[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2158A - 맨홀 제작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맨홀 제작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158A
KR20050092158A KR1020040017244A KR20040017244A KR20050092158A KR 20050092158 A KR20050092158 A KR 20050092158A KR 1020040017244 A KR1020040017244 A KR 1020040017244A KR 20040017244 A KR20040017244 A KR 20040017244A KR 20050092158 A KR20050092158 A KR 2005009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manhole
ring
ladder
ha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우
Original Assignee
조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우 filed Critical 조용우
Priority to KR102004001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2158A/ko
Publication of KR2005009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15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원통형상의 콘크리트 맨홀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수를 줄여 거푸집의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의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안전하면서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맨홀 내주면에 설치되는 사다리도 맨홀형성용 콘크리트 타설시 매입시켜 동시에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1쌍의 반원통부재가 일측단부는 힌지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에 설치되며 원통형상 원주부의 일정구간이 절결되어 있는 내부거푸집 본체부, 상기 내부거푸집 본체부의 절결구간에 장/탈착되는 내부거푸집 보조부, 상기 내부거푸집 본체부의 절결구간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절결구간을 수축시키거나 팽창시켜 상기 내부거푸집 보조부를 상기 내부거푸집 본체부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턴버클로 구성되는 내부거푸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을 제공하여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거푸집 설치를 위한 작업시간을 대폭 감축시킬수 있고, 안전성이 뛰어나면서도 설치가 용이한 발명임.

Description

맨홀 제작용 거푸집 {Mold for manufacturing manhole}
본 발명은 중공원통형상의 콘크리트 맨홀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수를 줄여 거푸집의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의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안전하면서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맨홀 내주면에 설치되는 사다리도 맨홀형성용 콘크리트 타설시 매입시켜 동시에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 등을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통상의 맨홀 구축용 거푸집은, 합판을 이용하거나 금속패널 또는 합성수지제 패널을 이용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의 맨홀을 구축할 수 있도록 내부벽면 형성용 거푸집(이하 '내부거푸집'이라 함)과 외부벽면 형성용 거푸집(이하 '외부거푸집'이라 함)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거푸집은 맨홀을 원형 모양이나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도 1은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원형 모양의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외부거푸집(10)은 맨홀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하되 다수개의 패널로 분할구성되어 있다.
외부거푸집(10)은 도 1에서는 3개의 패널로 분할구성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외부거푸집(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통상 3~5개의 개수로 분할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외부거푸집(10)은 각 패널의 측면 이음매 부위에 외향하여 돌출된 플렌지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각 플렌지부(10a)에 체결부재(11)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것으로 조립된다.
이러한 외부거푸집(10)의 내측에는 맨홀의 내벽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거푸집(20)이 설치된다.
내부거푸집(20)은 외부거푸집(10)과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패널로 분할구성되고, 각 패널에는 내향하여 돌출된 플렌지부(20a)가 형성되어 체결부재(12)에 의해 조립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외부거푸집(10)과 내부거푸집(20)의 사이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진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제거하여 맨홀이 제작되는 것이다.
도 2a는 종래 거푸집에 의한 원형 모양의 맨홀에 사다리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b는 도 2a의 요부단면도이다.
맨홀에는 그 내부를 작업자가 출입가능하도록 그 내측 벽면에 사다리를 설치하게되는데, 다수개의 사다리용 손잡이(5)를 단계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종방향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통상 맨홀 내벽면에 사다리용 손잡이(5)를 고정하기 위한 매설공(6)을 천공하고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사다리용 손잡이(5)의 양단부를 매설공(6)에 매설고정하게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거푸집은 인력으로 거푸집 부재를 이동하고 아울러 조립해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게를 고려하여 다수개의 패널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조립하므로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설치 및 해체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각 패널의 이음매부분이 콘크리트의 압력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되거나 자주 노출되어 손상되므로 오래사용되지 못한다.
일례로 합성수지제 패널의 경우는 약 10회 정도의 수명을 갖고 금속패널의 경우는 약 15회 정도의 수명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거푸집을 이용하여 1회 맨홀을 형성한 후 재차 그 상측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맨홀의 높이를 높게하는 인상작업에 있어서도 다수개의 패널을 그 상측으로 조립하여야 하는 매우 불편하고 복잡한 과정으로 인해 과도한 설치 및 해체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먼저 형성된 중공 맨홀 위에서 작업해야되므로써 불안정한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된다는 안전상에 있어서의 문제점 및 숙련된 인력만이 작업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다리용 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하여 맨홀에 별도의 천공작업을 하여야하고, 비좁은 맨홀내에서 작업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맨홀의 높이에 따라 별도의 사다리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여건이 좋지 못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매설공에 사다리용 손잡이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완벽하게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다리용 손잡이가 빠져나올수도 있으므로 안전상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다리용 손잡이를 맨홀 내벽면에 단계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할때 작업자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야 출입시에 파지하기에 용이하므로 매설공을 맨홀의 내벽면에 사선방향 전방으로 수직방향으로 천공하고 사다리용 손잡이를 설치하여야 작업자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됨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강체에 사선방향으로 천공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므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국 맨홀의 내벽면에 법선방향으로 천공하고 이로인해 사다리용 손잡이가 작업자와 수직하지 못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좌우측 사다리용 손잡이의 파지부가 동일방향을 이루지 못하고 'V'자 형으로 기울어진 형태가 되므로써 파지하기에 용이하지 못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1쌍의 반원통부재로 형성되는 중공원통형상의 외부거푸집, 원통형상 원주부의 일정구간이 절결되어 있는 내부거푸집 본체부와 내부거푸집 본체부의 절결구간에 장/탈착되는 내부거푸집 보조부로 구성되어 턴버클에 의해 조립되는 내부거푸집으로 이루어져 분체수가 적어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 1세트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의 사이 공간에 콘코리트가 충진되어 중공원통형상의 맨홀이 형성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에 있어서, 1쌍의 반원통부재가 일측단부는 힌지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중공원통형상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원통형상 원주부의 일정구간이 절결되어 있는 내부거푸집 본체부, 상기 내부거푸집 본체부의 절결구간에 장/탈착되는 내부거푸집 보조부, 상기 내부거푸집 본체부의 절결구간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절결구간을 수축시키거나 팽창시켜 상기 내부거푸집 보조부를 상기 내부거푸집 본체부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턴버클로 구성되는 내부거푸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전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후면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분리사사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거푸집(10)은 1쌍의 반원통형 부재가 그 일측단부는 힌지결합되고, 그 타측단부는 체결부재(14)에 의해 체결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힌지결합부위도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가능함은 물론이다.
외부거푸집(10)은 맨홀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단부는 힌지되어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경첩(13)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타측단부는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나사봉(14a)과 너트(14b)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4)가 구비되어 있다.
외부거푸집(10)은 체결부재(14)가 해제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첩(13)에 의해 결합된 단부를 축으로 대향측 단부가 양측으로 벌려지도록 되어 있다.
외부거푸집(10)은 그 외측 둘레부에 다수개의 수평플렌지부(15)를 돌출형성하여 콘크리트가 충진될 시 발생되는 측압에 잘 견딜수 있도록 하고, 외부거푸집(10)의 원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며, 체결부재(14)에 의해 결합된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수직플렌지부(16)가 구비되어 콘크리트가 충진될시 콘크리트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거푸집(10)의 내측으로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부거푸집(20)이 동심위치에 설치된다.
내부거푸집(20)은 맨홀의 내벽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원통형상이며 원통형상 원주부의 일정구간이 절결되어 있는 내부거푸집 본체부(21),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절결구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절결구간에 장/탈착되는 내부거푸집 보조부(22),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내주부에 설치되어 조임동작에 의해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절결구간을 수축시키거나 풀림동작에 의해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절결구간을 팽창시키는 턴버클(23)이 구비된다.
내부거푸집(20)은 그 내측 둘레부에 다수개의 수평플렌지부(29)를 돌출형성하여 콘크리트가 충진될 시 발생되는 측압에 잘 견딜수 있도록 하고, 내부거푸집(20)의 원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내부거푸집은(20)은 내부거푸집 본체부(21)에서 내향하여 돌출되는 수직플렌지부(21a)와 내부거푸집 보조부(22)에서 내향하여 돌출되는 수직플렌지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각 수직플렌지부(21a, 22a)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55)이 형성되어 있어, 관통공(55)에 걸쇠(24)가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내부거푸집 본체부(21)에 내부거푸집 보조부(22)가 장착된다.
걸쇠(24)는 관통공(55)에 삽입된 후에 일단은 내부거푸집 보조부(22)의 수직플렌지부(22a)측에 형성된 압착부(56)와 타단은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수직플렌지부(21a)측에 형성된 압착부(57)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턴버클(23)의 조임동작과 더불어 압착부(56, 57)에서의 압착력이 발생되어 내부거푸집 본체부(21)와 내부거푸집 보조부(22)를 더욱 견고하게 장착시키게 된다.
한편, 걸쇠(24)는 그 후방 일정부위에 내부거푸집 본체부(21)에 형성되는 멈치(25)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일정구간내에서 제한되므로 유실이 방지된다.
이러한 내부거푸집(20)은 상기한 걸쇠(24) 등에 의해 내부거푸집 본체부(21)에 내부거푸집 보조부(22)가 장착되고,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절결구간 양측부에 형성된 고정쇠(54a, 54b)에 고정되어 있는 턴버클(23)이 조임동작에 의해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절결구간을 수축시켜 내부거푸집 보조부(22)가 압착되어 탈착되지 않는다.
또한, 내부거푸집 본체부(21)에는 절결구간의 양측부에 턴버클(2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쇠(54a, 54b)와는 별도로 턴버클(23)이 고정쇠(54a, 54b)의 일축을 기준으로 선회되어 고정되는 별도의 고정쇠(53)가 내부거푸집 본체부(21) 내측의 턴버클(23)의 선회구간 내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쇠(53)는 내부거푸집 본체부(21)에서 내부거푸집 보조부(22)를 해체시에 턴버클(23)을 그 내측으로 선회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내부거푸집 보조부(22)를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공간의 확보를 통한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거푸집 본체부(21)는 내부거푸집 보조부(22)가 해체된 후 턴버클(23)을 고정쇠(53)에 고정시켜 조임동작을 행하게 되면 맨홀과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내부거푸집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수구형성링의 요부단면도이다.
턴버클(23)은 중앙의 회전체(23a)와 그 양측에 결합된 나사봉(23b)으로 이루어져 있고, 나사봉(23b)은 그 끝단이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절결구간 양측부에 형성된 고정쇠(54a, 54b)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체(23a)의 정방향회전 또는 역방향회전에 의해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절결구간을 수축 또는 팽창시키게된다.
이에 거푸집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된 이 후에 외부거푸집(10)의 체결부재(14)을 해제하고 경첩(13)을 기준으로 외부거푸집(10)을 양측으로 벌려 외부거푸집(10)이 제거되며, 내부거푸집(20)은 걸쇠(24)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내부거푸집 본체부(21)에서 내부거푸집 보조부(22)를 제거한 후 턴버클(23)에 조임동작을 행하게 되면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절결구간이 수축되면서 맨홀과 내부거푸집 본체부(21)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외부거푸집(10)과 내부거푸집(20)의 사이공간에는 측부에 슬릿(31a)이 형성되는 고리형상으로 일측 단부는 외부거푸집(10)의 내벽에 밀접되고 타측 단부는 내부거푸집(20)의 외벽에 밀접되는 환체(31), 환체(31)의 원주부를 따라 내측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측압에 대하여 환체형상을 유지시키는 지지앵글(33), 지지앵글(33)에 설치되어 조임동작에 의해 환체(31)의 반경을 수축시키거나 풀림동작에 의해 환체(31)의 반경을 팽창시키는 턴버클(32)로 이루어지는 배수구형성링(30)이 설치된다.
이에 배수구형성링(30)이 차지하는 부분만큼 맨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턴버클(32)을 조이게되면 배수구형성링(30)의 반경이 줄어들어 맨홀과 배수구형성링(30)이 용이하게 분리된다.
더하여, 배수구형성링(30)은 그 외주면이 내부거푸집(20)과 밀접되는 단부에서 외부거푸집(10)과 밀접되는 단부측으로 상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맨홀과 분리시 더욱 수월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내부거푸집 보조부(22)에는 맨홀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사다리용 손잡이(25)를 설치하기 위한 삽입공(26), 상기 삽입공(26)에서 사다리용 손잡이(25)가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한 개방부위를 막는 부착판(27)이 설치된다.
내부거푸집(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공(26)의 상측으로 설치용 손잡이(28)가 설치된다.
설치용 손잡이(28)는 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자가 내부거푸집 보조부(22)의 운반이나 설치 등의 작업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사다리용 손잡이(25)가 삽입공(26)에 삽입된 후 거푸집내의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이전에 이탈되지 않도록 테이프나 결속선 등으로 함께 묶어둘수 있는 고정지지대의 역할 및 사다리용 손잡이(25)가 설치용 손잡이(28)에서 묶이게 되므로 설치용 손잡이(28)를 기준으로 사다리용 손잡이(25)가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까지 돌출되도록 하는 역활을 겸하게 된다.
이와같이 맨홀형성용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사다리용 손잡이(25)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사다리 설치가 용이하고, 사다리용 손잡이(25)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끝단부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가 양생된 이후에는 빠질 수 없는 구조이므로 안전상에 있어서도 완벽하며, 사다리용 손잡이(25)가 작업자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면서 파지부들이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므로 파지하기에도 용이하고, 부착판(27)의 설치 후 노출면에 형광층을 형성시켜 조도가 낮은 맨홀내에서도 쉽게 사다리용 손잡이(25)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맨홀이 형성되며, 외부거푸집(10)과 내부거푸집(20)의 이격되어 있는 거리만큼이 맨홀의 두께가 되고, 외부거푸집(10)과 내부거푸집(20)에 의해 형성된 높이 만큼이 맨홀의 길이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을 상측으로 다단적층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외부거푸집(10) 및 내부거푸집(20)은 그 상단 및 하단에 외측 및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수평플렌지부(15, 29), 수평플렌지부(15, 29)를 체결하는 체결부재(17)가 구비되어 다단의 높이를 갖는 맨홀을 1회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단의 높이를 갖는 맨홀형성용 거푸집은 먼저 하부의 맨홀형성을 위한 외부거푸집(10) 및 내부거푸집(20)을 설치한 후 상부의 맨홀형성을 위한 외부거푸집(10) 및 내부거푸집(20)을 직접 다단설치할 수도 있고, 하단의 맨홀형성을 위한 외부거푸집(10) 및 내부거푸집(20)의 상측으로 외부에서 조립을 완료한 상태의 외부거푸집(10) 및 내부거푸집(20)을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들어올려 다단적층시킨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다단의 높이를 갖는 맨홀을 1회에 형성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맨홀을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작업용링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형성된 맨홀의 내/외경부에는 인상작업용링(41, 42)이 설치되고, 그 상측으로 외부거푸집(10) 및 내부거푸집(20)을 적층하여 맨홀형성용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맨홀을 인상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맨홀제작용 거푸집을 사용하여 인상작업이 가능하다.
외경부 인상작업용링(41)은 고리형상으로 일정구간이 절결되어있는 환형각봉(41a), 환형각봉(41a)의 절결구간 양측에 설치되어 환형각봉(41a)의 반경을 수축시키는 체결부재(41b)로 구성되어 기형성된 맨홀의 외경부에 설치된다.
내경부 인상작업용링(42)는 고리형상으로 일정구간이 절결되어있는 환형각봉(42a), 환형각봉(42a)의 절결구간 양측에 설치되어 환형각봉(42a)의 반경을 팽창시키는 턴버클(42b)로 구성되어 기형성된 맨홀의 내경부에 설치된다.
한편, 내경부 인상작업용링(42)은 환형각봉(42a)의 상측에 원형의 발판을 설치하고 내부거푸집(20)을 적층하면, 인상부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내부거푸집(20)의 해체 작업시에 작업자가 맨홀 내부에 설치된 상기 발판을 딛고 작업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거푸집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 및 덮개용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 및 덮개용 거푸집에 의한 맨홀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한 외부거푸집(10) 및 내부거푸집(20)에 의하여 제작되는 맨홀은 그 바닥(71)과 덮개(72)를 형성할 수 있는 바닥 및 덮개용 거푸집(70)이 구비된다.
바닥 및 덮개용 거푸집(70)은 1쌍의 반원통부재가 일측단부는 힌지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중공원통형상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단부에는 상기한 외부거푸집(10)과 마찬가지로 힌지되어 결합되도록 경첩(도면에 표현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단부는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나사봉(74a)과 너트(74b)로 이루어진 체결부재(74)가 구비되어 있다.
맨홀 바닥(71)은 바닥 및 덮개용 거푸집(70)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킴으로써 형성가능하되, 통상적으로 콘크리트가 양생완료되기 이전에 콘크리트에 철근 등을 미리 설치하여, 이후 그 상측으로 설치되는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맨홀 덮개(72)는 바닥 및 덮개용 거푸집(70)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키되, 지면에 노출되는 통로인 출입구(73)가 형성되도록 별도의 링(도면에 표현되지 않음) 등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출입구(73)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맨홀제작용 거푸집의 내부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부거푸집(20)의 결합구조를 변형하여 본 것이다.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부거푸집 본체부(21)와 내부거푸집 보조부(22)에는 수직플렌지부(21a, 22a)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거푸집 보조부(22)의 수직플렌지부(22a)에는 내부거푸집 본체부(21)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1)가 형성된다.
내부거푸집 본체부(21)의 수직플렌지부(21a)에는 돌출부(51)가 끼워지는 절개홈(59)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51)가 절개홈(59)에 끼워진 후 그 상하면이 밀접되는 삽입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돌출부(51)와 삽입부(52)에 순차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58)을 형성하고, 상측이 절곡되어 있는 걸쇠(24)를 관통공(58)에 삽입결합하는 것으로 내부거푸집 보조부(22)가 내부거푸집 본체부(21)에 결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은 거푸집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수 분안에 완료되고 인상작업을 위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도 수 십분 안에 완료되는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이 거푸집을 설치하는데만 수 십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인상작업을 위한 설치시에는 수 시간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숙련공이 아니면 작업하기도 용이하지 않다는 것에 비해 대단히 경제적이고, 외부에서 조립한 후 크레인 등으로 옮기기가 용이하므로 안전성도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은 기존의 거푸집이 10~15회 정도 사용가능한 것에 비해 부품이 일체화되어있어 내구력이 향상되므로 약 40회 이상 사용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거푸집 설치를 위한 작업시간을 대폭 감축시킬수 있고, 거푸집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이며, 인상작업에 있어서도 작업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작업시간도 감축시킬수 있고, 숙련된 인력이 아니라도 작업가능하며, 사다리용 손잡이가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사다리설치용 손잡이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천공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사시도,
도 2a는 종래 거푸집에 의한 원형 모양의 맨홀에 사다리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도 2a의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전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후면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분리사사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내부거푸집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수구형성링의 요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맨홀 제작용 거푸집을 상측으로 다단적층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맨홀을 인상시키기 위한 인상작업용링의 설치상태도,
도 9b는 도 9a의 요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 및 덮개용 거푸집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 및 덮개용 거푸집에 의한 맨홀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맨홀제작용 거푸집의 내부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거푸집 13 : 경첩
14 : 체결부재 20 : 내부거푸집
21 : 내부거푸집 본체부 22 : 내부거푸집 보조부
23 : 턴버클 24 : 걸쇠
25 : 사다리용 손잡이 26 : 삽입공
27 : 부착판 30 : 배수구형성링
41, 42 : 인상작업용링 70 : 바닥 및 덮개용 거푸집

Claims (7)

  1. 외부거푸집과 내부거푸집 1세트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의 사이 공간에 콘코리트가 충진되어 중공원통형상의 맨홀이 형성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에 있어서,
    1쌍의 반원통부재가 일측단부는 힌지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중공원통형상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거푸집;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원통형상 원주부의 일정구간이 절결되어 있는 내부거푸집 본체부, 상기 내부거푸집 본체부의 절결구간에 장/탈착되는 내부거푸집 보조부, 상기 내부거푸집 본체부의 절결구간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절결구간을 수축시키거나 팽창시켜 상기 내부거푸집 보조부를 상기 내부거푸집 본체부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턴버클로 구성되는 내부거푸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며 측부에 슬릿이 형성되는 고리형상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외부거푸집의 내벽에 밀접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내부거푸집의 외벽에 밀접되는 환체, 상기 환체의 내측 원주부를 따라 설치되어 환체형상을 유지시키는 지지앵글, 상기 환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임 또는 풀림동작에 의해 상기 환체의 반경을 수축 또는 팽창시키는 턴버클로 이루어지는 배수구형성링이 부가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형성링은 그 외주면이 상기 내부거푸집에서 상기 외부거푸집측으로 상향하여 경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거푸집 보조부에는 맨홀의 내측벽면에 종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사다리용 손잡이의 설치를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서 상기 사다리용 손잡이가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한 개방부위를 막는 부착판이 부가설치되어, 상기 사다리용 손잡이가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거푸집 보조부에는 상기 삽입공의 상측에서 내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사다리용 손잡이가 삽입된 후 함께 결속되는 설치용 손잡이가 부가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
  6. 제 1항에 있어서, 고리형상으로 일정구간이 절결되어있는 환형각봉, 상기 환형각봉의 절결구간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환형각봉의 반경을 수축시켜 기형성된 맨홀의 외경부에 고정설치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외경부 인상작업용링;
    고리형상으로 일정구간이 절결되어있는 환형각봉, 상기 환형각봉의 절결구간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환형각봉의 반경을 팽창시켜 기형성된 맨홀의 내경부에 고정설치시키는 턴버클로 구성되는 내경부 인상작업용링;으로 이루어진 인상작업용링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제작용 거푸집.
  7. 제 1항에 있어서, 1쌍의 반원통부재가 일측단부는 힌지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중공원통형상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맨홀 바닥 및 맨홀 덮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바닥 및 덮개용 거푸집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
KR1020040017244A 2004-03-15 2004-03-15 맨홀 제작용 거푸집 Ceased KR20050092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44A KR20050092158A (ko) 2004-03-15 2004-03-15 맨홀 제작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44A KR20050092158A (ko) 2004-03-15 2004-03-15 맨홀 제작용 거푸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113U Division KR200352945Y1 (ko) 2004-03-16 2004-03-16 맨홀 제작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158A true KR20050092158A (ko) 2005-09-21

Family

ID=3727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244A Ceased KR20050092158A (ko) 2004-03-15 2004-03-15 맨홀 제작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215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379B1 (ko) * 2011-03-28 2013-03-26 최홍규 콘크리트맨홀 거푸집
KR200466430Y1 (ko) * 2012-09-07 2013-04-15 한국농어촌공사 지하수 관정 보호 덮개 제조용 거푸집
CN107097328A (zh) * 2017-07-04 2017-08-29 中铁西北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路基边坡生态骨架护坡制作装置
CN110714211A (zh) * 2019-11-18 2020-01-21 浙江道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制造微角锥阵列结构工作模带的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076916B1 (ko) * 2018-10-18 2020-02-12 오영재 일체형 거푸집 탈형장치
CN118148431A (zh) * 2024-05-09 2024-06-07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集电线路铁塔基础施工装置及施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379B1 (ko) * 2011-03-28 2013-03-26 최홍규 콘크리트맨홀 거푸집
KR200466430Y1 (ko) * 2012-09-07 2013-04-15 한국농어촌공사 지하수 관정 보호 덮개 제조용 거푸집
CN107097328A (zh) * 2017-07-04 2017-08-29 中铁西北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路基边坡生态骨架护坡制作装置
KR102076916B1 (ko) * 2018-10-18 2020-02-12 오영재 일체형 거푸집 탈형장치
CN110714211A (zh) * 2019-11-18 2020-01-21 浙江道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制造微角锥阵列结构工作模带的装置及其制造方法
CN118148431A (zh) * 2024-05-09 2024-06-07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集电线路铁塔基础施工装置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3527B2 (en) Method for arranging engagement means in a concrete part
KR100832848B1 (ko) 교각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영구거푸집
US68374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forms for concrete pours
US3982363A (en) Frangible insert
KR20050092158A (ko) 맨홀 제작용 거푸집
US20030038429A1 (en) Flexible waterstop ring
KR200352945Y1 (ko) 맨홀 제작용 거푸집
KR20120033525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판
KR200494198Y1 (ko)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EP0233502A2 (e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inflatable membrane form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shell building
JPH0788832A (ja) Pc部材のシース孔形成用部材及びシース孔を有するp c部材の製造方法
JP2000120367A (ja) 外締めライナプレートとその使用方法
US6921501B2 (en) Method of forming a circumferentially closed concrete wall having the same cross-section over the entire height thereof
JP4443666B2 (ja) コンクリート杭の遠心鋳造用型枠
JP3803413B2 (ja) コンクリート製柱状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588943B1 (ko) 버팀보 지지용 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구조
KR100665209B1 (ko) 맨홀거푸집
JPH083582Y2 (ja) 作業ステージの支持部材
KR100855059B1 (ko) 관통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200403874Y1 (ko) 맨홀용 사다리
KR200378357Y1 (ko) 제거형 소일 네일의 구조
KR200354116Y1 (ko) 조립식 사다리
JPS5844452B2 (ja) コンクリ−トセグメントノセイゾウホウホウ
JPH0420542Y2 (ko)
JP3081441U (ja) コンクリート型枠板の締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