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683A - 단계적으로 조정가능한 길이를 갖는 조임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단계적으로 조정가능한 길이를 갖는 조임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9683A KR20110139683A KR1020117019906A KR20117019906A KR20110139683A KR 20110139683 A KR20110139683 A KR 20110139683A KR 1020117019906 A KR1020117019906 A KR 1020117019906A KR 20117019906 A KR20117019906 A KR 20117019906A KR 20110139683 A KR20110139683 A KR 201101396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e
- attachment
- diaper
- tightening
- tightening t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22 Cucurbi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01 laminat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49 polyester-amid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adjustable by adding or removing material, e.g. umbilical cord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13/60—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with release means associated with tab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5—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hoo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는 테이프 기판의 일 종단에서 탭부, 테이프 기판의 타 종단에서 고정부, 및 탭부와 고정부 사이의 조정부를 갖는 조임 테이프를 포함하되, 어태치먼트가 탭부에 고정되고, 조임 테이프는 고정부에서 기저귀 몸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측면 종단에 부착되며, 조정부가 접히며 접합부에서 조임 테이프 및/또는 기저귀 몸체에 일시적으로 접합되고, 어태치먼트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조임 테이프의 길이는 어태치먼트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와 기저귀 몸체의 외측 엣지 사이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조임 테이프의 길이는 착용자의 허리의 크기에 단계적으로 조정가능하고, 이에 따라 일 크기의 일회용 기저귀가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에 의해 착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임 테이프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조임 테이프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가 공지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4-538089호(특허문헌 1)는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갖는 조임 테이프가 Z형상으로 접혀서 어태치먼트가 떼어낼 수 있게 기저귀 몸체에 접합되는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에서, 조임 테이프는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이전에, 어태치먼트를 기저귀 몸체에 일시적으로 접합하기 위하여 접힌다.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이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체형에 맞는 많은 크기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특히, 성인이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할 때, 착용자의 체형 사이의 차이는 아기의 경우에 비교해서 크다. 그러나, 예를 들어, 요양 시설 및 병원에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의 마련은 기저귀를 위한 큰 저장 구역을 요구하고, 비용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엉덩이와 허리의 크기 사이의 밸런스(balance)가 표준 체형과 상이한 착용자가 표준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할 때, 착용자는 착용의 편안한 느낌을 획득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환경의 관점에서 달성되어 왔고,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허리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조정가능한 조임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테이프 기판의 일 종단에 형성되는 탭부, 테이프 기판의 타 종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탭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조정부를 갖는 조임 테이프; 및 전면부, 후면부, 및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되는 가랑이부를 갖는 기저귀 몸체를 포함하되, 어태치먼트가 탭부에 고정되고, 조임 테이프는 고정부에서 기저귀 몸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측면 종단에 부착되며, 조정부는 접히고 접합부에서 기저귀 몸체 및/또는 조임 테이프에 일시적으로 접합되며, 어태치먼트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조임 테이프의 길이는 어태치먼트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와 기저귀 몸체의 외측 엣지 사이의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조정부가 접힌 상태뿐 아니라, 조정부가 접합부에서 조정부의 일시적인 접합을 해제함으로써 펼쳐진 상태에서 착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크기의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허리의 크기에 따라 조임 테이프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에 의해 착용될 수 있다.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조임 테이프와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보다 낮다.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가 조임 테이프와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보다 낮을 때, 조임 테이프의 조정부는 조임 테이프와 기저귀 몸체를 단절시키지 않고 손쉽게 펼쳐진다.
접합부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또는 열 봉합에 의해 형성된다. 접합부가 접착제에 의해 형성될 때, 결합부를 임의의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접합부가 손쉽게 형성된다. 접합부가 열 봉합에 의해 형성될 때, 조임 테이프는 기저귀 몸체 또는 그 자체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접합되고, 이에 따라 접합부는 내구성이 있게 된다.
접합부는 불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접합부가 불연속적으로 제공될 때, 조임 테이프는 접합부에서 일시적인 접합을 해제함에 있어 접합부로부터 거의 단절되지 않는다.
조정부는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조정부가 고정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될 때, 조임 테이프는 고정부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조정부의 경우에 대하여, 특히 조정부가 펼쳐진 상태로 사용함에 있어, 기저귀 몸체에 더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접힘부에서 조정부를 접음으로써 탭부가 되접혀 어태치먼트가 접힘부 안쪽에 존재하도록 하고 어태치먼트는 조정부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기저귀의 사용 이전에, 어태치먼트의 노출이 억제된다. 따라서, 어태치먼트가 취급성에 있어 우수함을 초래하면서, 다른 부재에 의도하지 않게 덜 접합될 것 같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조임 테이프의 길이는 착용자의 허리의 크기에 따라 조정가능하고, 이에 따라 일 크기의 일회용 기저귀가 다앙한 체형의 사람들에 의해 착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임 테이프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1b는 도 1a에서 선 Ⅰ-Ⅰ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조임 테이프의 조정부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조임 테이프를 도시하고, 도 2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2b는 도 2a에서 선 Ⅱ-Ⅱ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서 조임 테이프의 탭부가 되접힌 상태에서의 조임 테이프를 도시하고, 도 3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도 3a에서 선 Ⅲ-Ⅲ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서 조임 테이프가 기저귀 몸체의 외측 엣지를 따라 접힌 상태에서의 조임 테이프를 도시하고, 도 4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4b는 도 4a에서 선 Ⅳ-Ⅳ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된 조임 테이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5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5b는 도 5a에서 선 Ⅴ-Ⅴ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임 테이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6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6b는 도 6a에서 선 Ⅵ-Ⅵ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임 테이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7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7b는 도 7a에서 선 Ⅶ-Ⅶ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임 테이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와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획득함에 있어 절단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와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임 테이프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에서 선 ⅩⅡ-ⅩⅡ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조임 테이프의 조정부가 접힌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을 도시하고, 도 13b는 조임 테이프의 조정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조임 테이프의 조정부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조임 테이프를 도시하고, 도 2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2b는 도 2a에서 선 Ⅱ-Ⅱ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서 조임 테이프의 탭부가 되접힌 상태에서의 조임 테이프를 도시하고, 도 3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도 3a에서 선 Ⅲ-Ⅲ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서 조임 테이프가 기저귀 몸체의 외측 엣지를 따라 접힌 상태에서의 조임 테이프를 도시하고, 도 4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4b는 도 4a에서 선 Ⅳ-Ⅳ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된 조임 테이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5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5b는 도 5a에서 선 Ⅴ-Ⅴ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임 테이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6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6b는 도 6a에서 선 Ⅵ-Ⅵ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임 테이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7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7b는 도 7a에서 선 Ⅶ-Ⅶ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임 테이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와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획득함에 있어 절단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와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임 테이프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에서 선 ⅩⅡ-ⅩⅡ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조임 테이프의 조정부가 접힌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을 도시하고, 도 13b는 조임 테이프의 조정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기저귀 몸체 및 조임 테이프를 포함한다. 기저귀 몸체는 전면부, 후면부, 및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의 가랑이부를 포함하고, 조임 테이프는 기저귀 몸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측면 종단에 부착된다. 여기서,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복부측에 적용되는 부분은 전면부라 불리고, 착용자의 엉덩이측에 적용되는 부분은 후면부라 불리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되고 착용자의 가랑이에 적용되는 부분이 가랑이부라 불린다.
조임 테이프는 전면부의 좌측 종단, 전면부의 우측 종단, 후면부의 좌측 종단 및 후면부의 우측 종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조임 테이프들이 전면부의 좌측 종단 및 우측 종단, 또는 후면부의 좌측 종단 및 우측 종단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기저귀 몸체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 액체 불투과성 후면 시트 및 그 사이에 끼워진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laminate)를 포함할 수 있으되, 라미네이트는 전면부, 후면부 및 이들 사이에 가랑이부를 갖는다. 또한, 기저귀 몸체는 전면부, 후면부 및 이들 사이에 가랑이부를 갖는 외측 시트; 및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 액체 불투과성 후면 시트 및 이들 사이에 끼워진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몸체를 포함하되, 흡수성 몸체는 외측 시트의 가랑이부에서, 착용함에 있어 착용자와 마주하는, 내측면 상에 위치된다.
조임 테이프는 테이프 기판 및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포함한다. 조임 테이프는 테이프 기판의 일 종단에 형성되는 탭부, 테이프 기판의 타 종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탭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조정부를 갖는다.
탭부는 테이프 기판의 일 종단에 형성되는 부분이고, 어태치먼트가 탭부에서 테이프 기판에 고정된다. 어태치먼트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테이프 기판의 일 표면에 고정된다. 게다가, 어태치먼트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탭부에서 고정된다.
어태치먼트의 실시예는 후크-앤-루프(hook-and-loop) 조임장치의 후크 부재 및 루프 부재; 및 접착제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 및 접착 레이어 등을 포함한다. 후크 부재로서, 예를 들어 앵커 형상, 후크 형상, 버섯 형상 등의 후크를 갖는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루프 부재로서, 루프 구조가 이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부재가 채택될 수 있고, 부직포 직물, 우븐(woven) 직물, 니티드(knitted) 직물, 표면 상의 우븐 직물, 부직포 직물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의 복합 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부는 테이프 기판의 타 종단에 형성되는 부분이고 기저귀 몸체에 부착된다. 고정부는 결합부에서 기저귀 몸체에 고정된다. 결합부는 예를 들어, 지금까지 공지된 접착 수단 예를 들어 접착제, 열 봉합, 초음파 결합 등에 의해 형성된다. 테이프 기판의 고정부는 예를 들어, 기저귀 몸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 표면 상에, 또는 기저귀 몸체를 구성하는 2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테이프 기판의 고정부는 예를 들어, 외측 시트의 일 표면 상에, 또는 상면 시트와 후면 시트 사이에 부착된다.
조정부는 고정부와 탭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조정부는 기저귀 몸체에 부착되지 않고 어태치먼트가 고정되지 않는 부분에 상응하는, 고정부와 탭부 사이의 부분이다. 고정부 및 조정부는 조임 테이프가 기저귀 몸체에 부착되는 결합부의 측면 엣지에서 경계가 정해진다. 탭부 및 조정부는 어태치먼트의 측면 엣지에서 경계가 정해진다. 여기서, 측면 엣지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에 대한 엣지를 의미한다.
전후 방향은 일회용 기저귀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폭 방향은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한 평면 상에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폭 방향은 착용자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상응하고, 착용자가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때에는 반대이다.
조정부는 접히고 접합부에서 조임 테이프 및/또는 기저귀 몸체에 일시적으로 접합된다. 접합부를 제공하는 것 및 조정부의 접힘 방식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 설명된다.
조임 테이프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조임 테이프의 형상은 예를 들어, 다각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 타원형 등일 수 있고, 가늘고 긴 형상이 바람직할 수 있다. 조임 테이프는 예를 들어, 탭부가 형성되는 테이프 기판의 일 종단 또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테이프 기판의 타 종단이 직선 또는 맨더링(meandering) 윤곽을 갖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탭부가 형성되는 테이프 기판의 일 종단은 바람직하게는 탭부의 손쉬운 핀칭(pinching) 및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맨더링 윤곽을 갖는다. 한편, 고정부가 형성되는 테이프 기판의 타 종단은 바람직하게는 직선 윤곽을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임 테이프의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a는 조임 테이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도 1a의 선 Ⅰ-Ⅰ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조임 테이프(2)는 테이프 기판(3)의 일 종단에 형성되는 탭부(4), 테이프 기판(3)의 타 종단에 형성되는 고정부(6), 및 고정부(6)와 탭부(4) 사이에 형성되는 조정부(5)를 갖는다.
어태치먼트(9)는 탭부(4)에 고정된다. 탭부(4)와 조정부(5)는 어태치먼트(9)의 측면 엣지(9E)에서 경계가 정해지고, 탭부(4)는 화살표(7)에 의해 나타난 범위에서 조임 테이프(2)의 부분이다.
도 1에서, 후크 부재는 어태치먼트(9)로서 제공된다. 후크 부재는 베이스부와 후크부를 포함하고, 후크부는 베이스부의 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후크들로 이루어진다. 후크부를 갖는 표면의 반대측 표면인, 베이스부의 반대측 표면은 테이프 기판(3)에 접합된다.
고정부(6)는 결합부(10)에서 기저귀 몸체(21)에 고정된다. 도 1에서, 고정부(6)는 기저귀 몸체(21)를 구성하는 2 장의 시트들 사이에 부착된다. 고정부(6)와 조정부(5)는 결합부(10)의 측면 엣지(10E)에서 경계가 정해지고, 고정부(6)는 화살표(8)에 의해 나타난 범위에서 조임 테이프(2)의 부분이다.
조정부(5)는 고정부(6)와 탭부(4) 사이에 형성되고, 화살표들(7, 8)에 의해 나타난 범위에서 부분들과 다른 조임 테이프(2)의 부분이다. 도 1에서, 조정부(5)는 고정부(6)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외측 가장자리는 일회용 기저귀(1)의 폭 방향(x)에 대한 외측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조정부(5)는 접히고 접합부(11)에서 기저귀 몸체(21)에 일시적으로 접합된다. 도 1에서, 조정부(5)는 접혀 조임 테이프(2)가 단면에 있어 Z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정부(5)는 조정부(5)와 고정부(6) 사이의 경계, 즉, 결합부(10)의 측부 엣지(10E)에서 안쪽으로 접히고, 안쪽으로 접힌 조정부(5)는 바깥쪽으로 접히며, 이에 의해 조정부(5)에서 내측 접힘선(12)을 형성한다. 여기서, 용어 "안쪽으로(inwardly)" 및 "바깥쪽으로(outwardly)"는 일회용 기저귀(1)의 폭 방향(x)을 따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조정부(5)는 접히고 내측 접힘선(12)에서의 접합부(11)에서 기저귀 몸체(21)에 일시적으로 접합된다.
화살표(13)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인, 접합부(11)와 어태치먼트(9) 사이의 조임 테이프(2)의 길이는 화살표(14)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인, 접합부(11)와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 사이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조임 테이프(2)가 사용될 때, 어태치먼트(9)는 심지어 조정부(5)가 접힌 상태에서 기저귀 몸체(12) 바깥에 전체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심지어 조정부(5)가 접힌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조임 테이프를 하기에 설명되는 어태치먼트-수용부에 접합함으로써 착용될 수 있다. 날씬하거나 작은 사람이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때 조정부가 접힌 상태에서 조임 테이프는 적절하게 사용된다.
한편, 비만이거나 큰 사람이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때, 기저귀는 조정부가 접힌 상태에서 조임 테이프로 착용자의 허리를 충분하게 덮을 수 없다. 따라서, 조임 테이프가 하기에 설명되는 어태치먼트-수용부에 도달하지 않거나 조임 테이프의 접합력이 약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런 경우에, 접합부에서 조정부의 일시적인 접합이 해제되고 조정부가 펼쳐진 후에 조임 테이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접합부에서 조정부의 일시적인 접합이 도 1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에서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a는 조임 테이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2a의 선 Ⅱ-Ⅱ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조임 테이프(2)는 접합부(11)에서 조정부(5)의 일시적인 접합을 해제하고; 조정부(5)를 펼침으로써 도 1에서의 상태로부터 도 2에서의 상태로 바뀐다. 폭 방향(x)에 대한 조임 테이프(2)의 길이는 조정부(5)를 펼침으로써 증가한다. 비만이거나 큰 사람이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때 조정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조임 테이프는 적절하게 사용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길이가 조정가능한 조임 테이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허리의 크기에 따라 조임 테이프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이 일 크기의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고정부(6)는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로 연장되기 위하여 제공되고, 조정부(5)는 고정부(6)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조정부(5)와 고정부(6) 사이의 경계가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 근처에 위치될 때, 조임 테이프 및 기저귀 몸체는 착용 또는 제거에 있어 우수한 기저귀의 작용성을 초래하면서, 조정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손쉽게 함께 취급된다. 고정부(6)와 조정부(5) 사이의 경계는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몸체의 외측 엣지로부터 15㎜ 이내에 위치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몸체의 외측 엣지로부터 10㎜ 이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이전에, 조임 테이프는 적절하게 다시 접힐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이전에, 어태치먼트가 노출될 때, 어태치먼트가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부재에 접합되거나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부재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이전에, 바람직하게는, 접힘부에서 조정부를 접음으로써 탭부가 되접혀 어태치먼트가 접힘부 안쪽에 존재하도록 하고, 어태치먼트는 떼어낼 수 있게 조정부에 접합된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탭부가 도 1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에서 되접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3a는 조임 테이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의 선 Ⅲ-Ⅲ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접힘부에서 조정부(5)를 접음으로써 탭부(4)가 되접혀, 어태치먼트(9)는 접힘부 안쪽에 존재하고, 어태치먼트(9)는 조정부(5)에 접합된다. 어태치먼트(9)가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이전에 조정부(5)에 접합될 때, 어태치먼트(9)의 노출이 억제된다. 따라서, 어태치먼트(9)는 우수한 취급성을 초래하면서, 다른 부재에 의도적이지 않게 덜 접합될 것 같다. 게다가, 어태치먼트(9)는 다른 부재를 덜 손상시킬 것 같다. 이런 경우에, 탭부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접힌 조정부의 길이보다 짧다. 여기서, 조정부 및 탭부의 길이는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x)에 대한 길이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 테이프(2)가 접합부(11)(2개 이상의 접합부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어태치먼트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보다 탭부(4)에 더 근접한 이의 부분에서 접힐 때, 어태치먼트(9)와 접합부(11) 사이의 조임 테이프(2)의 길이는 어태치먼트(9)로부터 접합부(11)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하지 않으나, 어태치먼트(9)로부터 접합부(11)까지의 조임 테이프(2)의 경로 길이를 의미한다. 접합부(11)와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 사이의 길이는 기저귀 몸체(21) 상의 길이를 의미하고, 특히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로부터 기저귀 몸체(21) 상의 접합부(11)의 돌출된 위치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 3에서도, 화살표(13)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인, 접합부(11)와 어태치먼트(9) 사이의 길이는 화살표(14)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인, 접합부(11)와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 사이의 길이보다 길다.
도 4에서, 도 3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2)는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를 따라 접히고, 이에 의해 조임 테이프(2)는 기저귀 몸체(21) 상에서 다시 접힌다. 도 4a는 조임 테이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도 4a의 선 Ⅵ-Ⅵ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바로 제조된 사용되지 않는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 일회용 기저귀(1)는 컴팩트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에 부착된 조임 테이프(2)는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존재한다. 도 4에서도, 화살표(13)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인, 접합부(11)와 어태치먼트(9) 사이의 길이는 화살표(14)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인, 접합부(11)와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 사이의 길이보다 길다.
하기는 조임 테이프의 또 다른 구체예를 설명할 것이고, 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와 상이하다.
도 5는 접합부들의 개수; 및 고정부가 기저귀 몸체에 부착되는 방식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와 상이한 조임 테이프를 도시한다. 도 5a는 조임 테이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도 5a의 선 Ⅴ-Ⅴ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에서, 조임 테이프(2)는 고정부(6)에서 기저귀 몸체(21)를 구성하는 1장의 시트의 표면에 부착된다. 고정부(6)는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로 연장되지 않기 위하여 제공된다.
조정부(5)는 고정부(6)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조정부(5)는 고정부(6)와 조정부(5) 사이의 경계, 즉, 결합부(10)의 측면 엣지(10E)에서 안쪽으로 접히고, 안쪽으로 접힌 조정부(5)는 바깥쪽으로 접히고, 이에 의해 조정부(5)에서 내측 접힘선(12)을 형성한다. 도 5에서, 조정부(5)는 접히고 결합부(10)의 측면 엣지(10E) 바깥에서의 접합부(11b)에서 기저귀 몸체(21), 및 내측 접힘선(12)에서의 접합부(11a)에서 조임 테이프(2) 모두에 일시적으로 접합된다.
조임 테이프에서, 접합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 이상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2 개 이상의 위치에 접합부들을 제공함으로써, 조임 테이프는 조정부가 접힌 상태에서 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조임 테이프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특히, 어태치먼트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가 기저귀 몸체의 외측 엣지로부터 15㎜ 이내(더 바람직하게는 10㎜ 이내)에 위치될 때, 조임 테이프 및 기저귀 몸체는 착용 또는 제거에 있어 우수한 기저귀의 작용성을 초래하면서, 조정부가 접힌 상태에서 손쉽게 함께 취급된다. 여기서, 어태치먼트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는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조임 테이프의 경로 상에서 가장 근접하도록 제공되는 접합부를 의미하고, 직선 거리에서 어태치먼트에 가장 근접하도록 위치된 접합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접합부가 2개 이상의 위치에 제공될 때, 어태치먼트(9)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11b)와 어태치먼트(9) 사이의 조임 테이프(2)의 길이(화살표(13)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는 어태치먼트(9)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11b)와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 사이의 길이(화살표(14)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조임 테이프(2)에서, 어태치먼트(9)는 기저귀를 착용함에 있어 우수한 조임 테이프의 취급성을 초래하면서, 심지어 조정부(5)가 접히는 상태에서도 기저귀 몸체(21) 바깥에 전체적으로 위치된다.
도 6은 고정부가 기저귀 몸체에 부착되는 방식 및 조정부가 접히는 방식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와 상이한 조임 테이프를 도시한다. 도 6a는 조임 테이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도 6a의 선 Ⅵ-Ⅵ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조임 테이프(2)는 고정부(6)에서 기저귀 몸체(21)를 구성하는 1장의 시트의 표면에 부착된다. 조정부(5)는 도 1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와 달리 고정부(6)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조정부(5)는 접혀서, 조임 테이프(2)가 단면에 있어 C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6)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조정부(5)는 바깥쪽으로 접히고, 이에 의해 조정부(5)에서는 내측 접힘선(12)을 형성한다. 도 6에서, 조정부(5)는 접히고 내측 접힘선(12)에서의 접합부(11)에서 기저귀 몸체(21)에 일시적으로 접합된다.
도 6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에서도, 화살표(13)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인, 접합부(11)와 어태치먼트(9) 사이의 길이는 화살표(14)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인, 접합부(11)와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 사이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조임 테이프(2)에서, 어태치먼트(9)는 기저귀를 착용함에 있어 우수한 조임 테이프의 취급성을 초래하면서, 심지어 조정부(5)가 접히는 상태에서도 기저귀 몸체(21) 바깥에 전체적으로 위치된다.
도 6은 조정부(5)가 고정부(6)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구체예를 도시하나, 조정부(5)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6)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기저귀를 사용하는 동안에, 바깥쪽으로 잡아당겨지기 위하여 조임 테이프(2)에 힘이 가해진다. 조정부(5)가 고정부(6)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경우에, 전단력이 기저귀 몸체(21)와 고정부(6) 사이에 가해진다. 한편, 조정부(5)가 고정부(6)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경우에, 박리력이 기저귀 몸체(21)와 고정부(6) 사이에 가해진다. 결합부(10)에서 기저귀 몸체(21)에 대한 고정부(6)의 결합 조건이 동일할 때, 기저귀 몸체(21)에 대한 고정부(6)의 결합은 박리력보다 전단력에 대하여 저항성이 있다. 따라서, 조정부가 고정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될 때, 조임 테이프는 특히, 조정부가 펼쳐진 경우에, 기저귀 몸체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의 취급성은 향상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조정부는 접혀서, 조임 테이프는 단면에 있어 Z 또는 C 형상으로 형성되나, 조정부를 접는 횟수는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부가 접혀서 조임 테이프가 단면에 있어 Σ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조정부가 접혀서 조임 테이프가 단면에 있어 Z 글자가 적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추가로 조정부가 접히는 방식에 있어 상기에 설명된 조임 테이프와 상이한 조임 테이프를 도시한다. 도 7a는 조임 테이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도 7a의 선 Ⅶ-Ⅶ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조정부는 접혀서, Z형상이 일회용 기저귀(1)의 폭 방향(x)으로 정렬된다.
조정부(5)는 고정부(6)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조정부(5)가 고정부(6)와 조정부(5) 사이의 경계, 즉, 결합부(10)의 측면 엣지(10E)에서 안쪽으로 접히고, 안쪽으로 접힌 조정부(5)는 바깥쪽으로 접히며, 이에 의해 제 1 내측 접힘선(12a)을 형성한다. 조정부(5)는 내측 접힘선(12a)에서의 접합부(11c)에서 조임 테이프(2)에 일시적으로 접합된다. 바깥쪽으로 접힌 조정부(5)는 추가로 결합부(10)의 측면 엣지(10E) 바깥에서의 위치에서 안쪽으로 접히고, 조정부(5)가 결합부(10)의 측면 엣지(10E) 바깥에서 안쪽으로 접히는 위치에서의 접합부(11d)에서 기저귀 몸체(21)에 일시적으로 접합된다. 안쪽으로 접힌 조정부(5)는 추가로 접합부(11c) 바깥에서 안쪽으로 접히고, 이에 의해 제 2 내측 접힘(12b)을 형성한다. 또한 조정부(5)는 내측 접힘선(12b)에서의 접합부(11e)에서 조임 테이프(2)에 일시적으로 접합된다.
도 7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에서, 어태치먼트(9)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는 접합부(11e)이다. 이런 경우에, 어태치먼트(9)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11e)와 어태치먼트(9) 사이의 조임 테이프(2)의 길이(화살표(13)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는 어태치먼트(9)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11e)와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 사이의 길이(화살표(14)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조임 테이프(2)에서, 어태치먼트(9)는 기저귀를 착용함에 있어 우수한 조임 테이프의 취급성을 초래하면서, 심지어 조정부(5)가 수차례 접히는 상태에서도 기저귀 몸체(21) 바깥에 전체적으로 위치된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2 개 이상의 위치에서 내측 접힘선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정부가 접힐 때, 조임 테이프의 길이는 단계적인 방식으로 조정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접합부(11e)에서 일시적인 접합을 해제함으로써, 조임 테이프는 제 1 단계로서 펼쳐지고, 이에 의해 조임 테이프의 길이는 증가한다. 게다가, 접합부들(11d, 11c)에서 일시적인 접합을 해제함으로써, 조임 테이프는 제 2 단계로서 펼쳐지고, 이에 의해 조임 테이프의 길이는 추가로 증가한다. 따라서, 2 개 이상의 위치에서 내측 접힘선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정부가 접힐 때, 조임 테이프의 길이는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기 위하여 더 유연하게 조정가능하게 된다.
도 8은 탭부가 형성된 테이프 기판의 형상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와 상이한 조임 테이프를 도시한다. 도 8에서, 탭부(4)가 형성된 테이프 기판(3)의 일 종단은 도 1에서보다 많은 맨더링 개수를 갖는 맨더링 윤곽을 갖는다. 2 개의 위치 상에 고정된 어태치먼트(9)가 기저귀를 착용함에 있어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기 위하여 허리 및 몸통에 맞게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손쉽게 하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조임 테이프가 바람직할 수 있다.
접합부는 접착제, 열 봉합, 초음파 결합 등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또는 열 봉합에 의해 형성된다. 접합부가 접착제에 의해 형성될 때, 결합부를 임의의 패턴, 예를 들어 제조업자가 원하는 대로 선 패턴, 도트 패턴 및 나선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손쉽게 되고, 이에 따라 접합부가 손쉽게 형성된다. 접합부가 열 봉합에 의해 형성될 때, 조임 테이프는 기저귀 몸체 또는 그 자체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접합되고, 이에 따라 접합부는 내구성이 있게 된다.
접합부는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접합부는 바람직하게는 불연속적으로 제공된다. 접합부가 불연속적으로 제공될 때, 조정부가 실제적으로 접합되는 부분에서의 접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반면에, 전체적인 접합부의 접합 강도는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에서 조정부의 일시적인 접합이 해제되고 조임 테이프가 펼쳐질 때 조임 테이프는 접합부로부터 거의 단절되지 않는다. 특히, 접합부가 열 봉합에 의해 형성될 때, 열 봉합이 가해지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접합되고, 이에 따라 접합부가 불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조임 테이프와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보다 낮다.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가 조임 테이프 및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보다 낮을 때, 조임 테이프의 조정부는 조임 테이프 및 기저귀 몸체를 단절시키지 않고 손쉽게 펼쳐진다. 여기서, 파단 강도는 조임 테이프의 파단 강도 및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로부터 더 낮은 강도를 나타낸다.
접합 강도 및 파단 강도는 하기와 같이 측정된다. 각각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은 50 ㎜× 120㎜ 내지 150㎜의 크기를 갖기 위하여 일회용 기저귀로부터 절단된다. 일회용 기저귀로부터 시편을 절단함에 있어, 시편은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 방향(y)으로 50㎜의 길이 및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x)으로 120㎜ 내지 150㎜의 길이를 갖기 위하여 절단된다.
접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은 조임 테이프의 조정부가 접힌 상태에서, 조임 테이프를 절단함으로써 마련되어, 접합부는 시편의 중앙 근처에 위치된다. 시편을 절단함에 있어, 또한 기저귀 몸체는 동시에 절단될 수 있다. 도 9a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로부터 접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획득함에 있어 절단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접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획득하기 위하여,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41)에 의해 둘러싸인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
파단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은 조임 테이프의 조정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기저귀 몸체를 절단함으로써 마련된다. 시편을 절단함에 있어, 또한 조임 테이프가 동시에 절단될 수 있으나, 흡수성 재료가 또한 동시에 절단될 때, 흡수성 재료가 시편으로부터 제거된다. 파단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마련함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몸체는 절단되어 시편은 가능한 한 많은 흡수성 재료 및 조임 테이프를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저귀 몸체가 상호 간에 결합된 2 장의 시트들로 형성될 때, 1 장을 이루는 상호 간에 결합된 2 장의 시트들은 시편으로서 사용된다. 도 9b는 도 2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로부터 파단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획득함에 있어 절단 위치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파단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획득하기 위하여,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42)에 의해 둘러싸인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
각각의 강도는 인장 강도 시험기로 시편을 잡아당김으로써 측정된다.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시편(43)은 인장 강도 시험기의 상측 척(chuck)(44)과 하측 척(45)으로 세로 방향으로 양 종단을 클리핑(clipping)함으로써 고정된다. 상측 척(44)과 하측 척(45) 사이의 거리(46)는 100㎜가 되도록 조정된다.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으로 불충분한 길이를 갖는 시편이 획득된다면, 거리(46)는 100㎜보다 짧도록 설정되고 각각의 시편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측 척(44)과 하측 척(45)의 위치는 조정되어 측정이 수직방향으로 취해진다. 시편(43)은 비틀리거나 편향되지 않기 위하여 척들(44, 45)에 고정된다.
시편(43)이 척들(44, 45)에 고정된 이후에, 시편(43)은 시편(43)의 세로 방향, 즉, 일회용 기저귀의 폭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접합 강도 또는 파단 강도를 측정한다. 접합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 접합이 해제될 때까지 시편이 잡아당겨진다. 접합이 해제된 이후에, 측정 동안에 기록된 강도의 최대값(피크 강도)은 측정 결과로서 여겨진다. 파단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 시편은 단절될 때까지 잡아당겨진다. 단절 이후에, 측정 동안에 기록된 강도의 최대값(피크 강도)은 측정 결과로서 여겨진다. 각각의 상기 측정은 5개의 시편들을 사용하여 취해지고, 5번의 측정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은 접합 강도(N1) 또는 파단 강도(N2)를 나타낸다. 기저귀 몸체가 이의 우측과 좌측에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때, 시편은 기저귀 몸체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개의 시편들은 동일측으로부터 절단된다.
예를 들어, 기저귀 몸체에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시트는 후면 시트 및 측면 시트를 핫 멜트(hot-melt) 접착제에 의해 상호 간에 결합함으로써 제조되었고 파단 강도(N2)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후면 시트로서, 복합 필름이 15g/㎡의 단위 면적 당 질량을 갖는 SMS 부직포 직물과 20g/㎡의 단위 면적 당 질량을 갖는 투과성 필름을 3g/㎡ 내지 5g/㎡의 양으로 섬유 형태로서 도포되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상호 간에 결합함으로써 마련되었다. 측면 시트로서, 20g/㎡의 단위 면적 당 질량을 갖는 SMS 부직포 직물이 사용되었다. 후면 시트와 측면 시트를 결합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5g/㎡ 내지 20g/㎡의 양으로 도포되었다. 이런 시트의 파단 강도(N2)는 53.1N이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조임 테이프가 접합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 단절되기 이전에 접합이 해제되고, 접합 강도(N1)는 파단 강도(N2)보다 낮다. 조임 테이프가 접합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 단절되기 이전에 접합이 해제될 때,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는 조임 테이프의 파단 강도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합 강도(N1)가파단 강도(N2)보다 낮을 때,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는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테이프 기판은 부직포 직물, 우븐 직물, 니티드 직물,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 직물과 플라스틱 직물의 라미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라미네이트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부직포 직물의 시트와 플라스틱 필름의 시트가 적층된 라미네이트, 및 플라스틱 필름이 부직포 직물들 사이에 끼워진 라미네이트를 포함한다. 테이프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손쉬운 접합부의 형성의 관점으로부터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 직물의 라미네이트 또는 부직포 직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접합부가 제공되는 라미네이트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직물로 이루어진다.
어태치먼트로서, 후크-앤-루프 조임장치의 후크 부재 및 루프 부재, 접착체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 및 접착 레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탭부에서 어태치먼트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부에 접합될 때, 하기의 테이프 기판 및 어태치먼트의 재료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후크 부재가 어태치먼트로서 사용되고,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 직물의 라미네이트 또는 부직포 직물은 테이프 기판의 재료로서 사용된다. 이런 경우에, 어태치먼트가 고정되는 테이프 기판의 표면은 라미네이트의 부직포 직물이다. 이는 그 위에 어태치먼트를 갖는 테이프 기판의 표면이 탭부가 접힐 때 어태치먼트가 접합되는 표면이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접착제는 어태치먼트로서 사용되고,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 직물의 라미네이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은 테이프 기판의 재료로서 사용된다. 이런 경우에, 어태치먼트가 고정되는 테이프 기판의 표면은 라미네이트의 플라스틱 필름이다. 이런 조합에 따라, 탭부에서 어태치먼트는 조정부에 떼어낼 수 있게 접합된다.
테이프 기판에 사용되는 부직포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드법(spunbond method), 공기투과법(air-through method), 부분결합법(point bonding method), 멜트 블로우법(melt blowing method), 에어레이드법(airlaid method), 이런 방법들의 조합 등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직물이다. 또한, 멜트 블로우법과 스펀본드법의 조합인 SMS 방법 또는 스펀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직물이 바람직할 수 있고, 스펀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직물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고강도를 갖는 테이프 기판이 손쉽게 획득된다.
테이프 기판에 사용되는 부직포 직물의 재료는 합성 섬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천연 섬유 예를 들어, 펄프 및 실크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합성 섬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할 수 있고;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부터 획득된 부직포 직물이 사용될 때, 고강도를 갖는 테이프 기판이 손쉽게 획득된다.
테이프 기판에 사용되는 부직포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30g/㎡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g/㎡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g/㎡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5g/㎡이하의 단위 면적 당 질량을 갖는다. 부직포 직물이 30g/㎡이상의 단위 면적 당 질량을 가질 때, 조임 테이프의 파단 강도는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큰 경향이 있다. 부직포 직물이 100g/㎡이하의 단위 면적 당 질량을 가질 때, 부직포 직물은 조정부에서 손쉽게 접힐 수 있다.
기저귀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어태치먼트 수용부를 구비한다. 어태치먼트 수용부는 조임 테이프의 어태치먼트가 떼어낼 수 있게 접합될 수 있는 부분 또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조임 테이프가 전면부에 부착될 때, 어태치먼트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몸체의 후면부에 위치된다. 또한, 조임 테이프가 후면부에 부착될 때, 어태치먼트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몸체의 전면부에 위치된다.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함에 있어, 후면부에 부착된 조임 테이프는 전면부에 위치된 어태치먼트 수용부에 접합되거나, 전면부에 부착된 조임 테이프는 후면부에 위치된 어태치먼트 수용부에 접합된다.
조임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몸체에 부착되어 어태치먼트를 갖는 표면은 착용자와 마주한다. 이런 경우에, 어태치먼트 수용부는 바림직하게는 기저귀 몸체의, 착용에 있어 착용자와 마주하는 표면의 반대측 표면인, 외측면 상에 위치된다.
어태치먼트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어태치먼트가 접합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접착제가 어태치먼트로서 사용될 때, 어태치먼트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후크 부재가 어태치먼트로서 사용될 때, 어태치먼트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루프 부재로 이루어진다. 루프 부재는 부직포 직물, 우븐 직물, 니티드 직물, 표면 상의 우븐 직물, 부직포 직물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의 복합 재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루프 재료로서 사용되는 각각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이의 표면 상에 루프 구조를 갖는다. 게다가, 어태치먼트 수용부가 기저귀 몸체의 외측 표면 상에 위치되고 후면 시트 또는 외측 시트가 어태치먼트 수용부로서 작용하는 재료로 이루어질 때, 어태치먼트 수용부로서 기능을 하는 또다른 부재가 채택될 수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부재 각각의 재료가 설명된다. 상면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부직포 직물 등으로 이루어지고, 후면 시트 및 외측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방수성 부직포 직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외측 시트는 또한 친수성 부직포 직물 및 방수성 재료 예를 들어,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및 방수성 부직포 직물이 적층된 라미네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면 시트, 후면 시트 또는 하기에 설명되는 측면 시트가 부직포 직물로 이루어질 때, 이런 시트들에 사용되는 부직포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5g/㎡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g/㎡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40g/㎡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5g/㎡이하의 단위 면적 당 질량을 갖는다. 부직포 직물이 5g/㎡이상의 단위 면적 당 질량을 가질 때,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는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큰 경향이 있다. 부직포 직물이 40g/㎡이하의 단위 면적 당 질량을 가질 때, 착용의 느낌을 향상시키면서, 부직포 직물의 통기성은 손쉽게 보증된다.
흡수성 코어는 예를 들어, 친수성 섬유 어셈블리 예를 들어 분쇄된(crushed) 펄프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입상 흡수성 수지와 혼합하고 클럼프(clump)를 획득하는 단계; 페이퍼 시트 예를 들어 티슈 페이퍼 등, 또는 커버 시트 예를 들어 액체 투과성 부직포 직물 시트 등으로 클럼프를 싸는 단계; 및 획득되고 싸여진 클럼프를 미리결정된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 모래시계 형상, 내부의 중심이 니핑된 박(center nipped-in gourd) 형상, 배틀도어(battledore) 형상 등으로 성형되는 단계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의 실시예는 접착제, 열 봉합, 초음파 봉합 등을 포함한다. 접착제의 실시예는 핫-멜트 접착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접착제, 고무 접착제, 비닐 아세테이트 접착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실시예가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1의 선 ⅩⅡ-ⅩⅡ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과 도 12에서, 화살표 x 방향이 폭 방향으로서 정의되고, 화살표 y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화살표 x 및 y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한 수직 방향은 수직 방향(z)(두께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일회용 기저귀(1)는 전면부(P), 후면부(Q) 및 전면부(P)와 후면부(Q) 사이에 위치된 가랑이부(R)를 갖는 기저귀 몸체(21)를 포함한다. 다리 절개부(34)는 가랑이부(R)에 형성되어 착용자는 기저귀를 손쉽게 착용한다.
기저귀 몸체(21)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22), 액체 불투과성 후면 시트(23) 및 이들 사이에 끼워진 흡수성 코어(24)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되, 라미네이트는 전면부(P), 후면부(Q)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부(R)를 갖는다. 상면 시트(22)는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하기 위하여 위치되고, 배설물 예를 들어 소변 등이 투과하도록 한다. 상면 시트(22)를 투과한 배설물은 흡수성 코어(24)에 수용된다. 후면 시트(23)는 배설물이 바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더럽혀지게 되는 의복 등을 보호한다.
도 12에서,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는, 측면 시트(25)는 상면 시트(22)의, 일회용 기저귀(1)의 폭 방향(x)에 대하여, 좌측 종단 및 우측 종단에 제공된다. 측면 시트(25)는 상면 시트(22)의 외측 종단에 접합된다. 라이징(rising) 탄성 부재(32)는 측면 시트(25)의 내측부에 위치된다. 일회용 기저귀(1)가 착용될 때, 측면 시트(25)의 내측 종단은 라이징 탄성 부재(32)의 수축력으로 인해 상면 시트(22) 위로 상승한다. 따라서, 측면 시트(25)의 내측부는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여 상승하고, 이에 의해 배설물 예를 들어 소변 등이 폭 방향(x)으로 바깥쪽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면 시트(25)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방수성 부직포 직물 등으로 이루어지고, 더 바람직하게는 방수성 부직포 직물로 이루어진다.
다리 탄성 부재(31)는 일회용 기저귀(1)의 가랑이부(R)의 좌측 엣지 및 우측 엣지(29)를 따라 늘어난 상태로 측면 시트(25)와 후면 시트(23) 사이에 위치된다.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서 다리 주름은 다리 탄성 부재(31)의 수축력으로 인해 형성되고, 이에 의해 배설물 예를 들어 소변 등이 가랑이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허리 탄성 부재(33)는 일회용 기저귀(1)의 전후 방향(y)으로 엣지(30)를 따라 늘어난 상태로 후면 시트(23)와 측면 시트(25) 또는 상면 시트(22) 사이에 위치된다.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서 허리 주름은 허리 탄성 부재(33)의 수축력으로 인해 형성되고, 이에 의해 배설물 예를 들어 소변 등이 후면측 또는 복부측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 쌍의 조임 테이프(2)는 기저귀 몸체(21)의 후면부(Q)의 좌측 종단 및 우측 종단(28)에 부착된다. 도 11에서, 조임 테이프(2)는 일회용 기저귀(1)로부터 폭 방향(x)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기 위하여 고정부(6)에서의 후면 시트(23)와 측면 시트(25) 사이에 부착된다. 어태치먼트 수용부(26)는 전면부(P)에 위치된다. 비록 도 11에 도시되지 않더라도, 한 쌍의 조임 테이프(2)는 전면부(P)의 좌측 종단 및 우측 종단(27)에 부착될 수 있고, 어태치먼트 수용부(26)는 후면부(Q)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에서 후면부(Q)의 좌측 종단(28)에 부착되는 조임 테이프(2)(기저귀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좌측 및 도면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조임 테이프(2))는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조임 테이프에 상응한다. 한편, 도 11에서 후면부(Q)의 우측 종단(28)에 부착되는 조임 테이프(2)(기저귀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우측 및 도면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조임 테이프(2))는 조정부(5)가 접힌 상태인,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조임 테이프에 상응한다. 일회용 기저귀(1)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로 존재할 때, 조임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도 11의 좌측에 도시된 상태로 존재한다. 기저귀가 착용될 때, 조임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도 11의 우측에 도시된 상태로 존재한다.
도 13a는 좌측 종단 및 우측 종단(28)에 부착된 조임 테이프(2)의 조정부(5)가 접힌 상태로 도 1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가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3a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1)에서, 폭 방향으로 기저귀 몸체(21)의 길이는 M이고,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로부터 각각의 조임 테이프(2)의 종단까지의 길이는 N1이다. 일 조임 테이프(2)에서, 조정부(5)는 2L의 길이에 대하여 접힌다. 조정부(5)가 접힌 상태에서, 후면측 상의 착용자의 허리는 M + 2N1의 길이만큼 일회용 기저귀(1)의 후면부(Q)로 덮힌다.
도 13b는 좌측 종단 및 우측 종단(28)에 부착되는 조임 테이프(2)의 조정부(5)가 펼쳐진 상태로 도 1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가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3a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1)에서, 폭 방향으로 기저귀 몸체(21)의 길이는 M이고, 기저귀 몸체(21)의 외측 엣지로부터 각각의 조임 테이프(2)의 종단까지의 길이는 N2이다. 여기서, 등식: N2 = N1 + 2L이 충족된다. 조정부(5)가 펼쳐진 상태에서, 후면측 상의 착용자의 허리는 M + 2N2의 길이만큼 일회용 기저귀(1)의 후면부(Q)로 덮힌다. 따라서, 조정부(5)가 펼쳐진 상태에서, 허리를 덮는 길이는 조정부(5)가 접힌 상태에서와 비교해서 4L의 길이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조임 테이프가 착용자의 허리의 크기에 따라 조정부를 접거나 펼침으로써 길이를 조정가능하기 때문에, 일 크기의 일회용 기저귀는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에 의해 착용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
2: 조임 테이프
3: 테이프 기판
4: 탭부
5: 조정부
6: 고정부
9: 어태치먼트
11: 접합부
21: 기저귀 몸체
26: 어태치먼트 수용부
2: 조임 테이프
3: 테이프 기판
4: 탭부
5: 조정부
6: 고정부
9: 어태치먼트
11: 접합부
21: 기저귀 몸체
26: 어태치먼트 수용부
Claims (7)
- 테이프 기판의 일 종단에 형성되는 탭부, 테이프 기판의 타 종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탭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조정부를 갖는 조임 테이프; 및
전면부, 후면부 및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되는 가랑이부를 갖는 기저귀 몸체를 포함하되,
어태치먼트(attachment)가 탭부에 고정되고,
조임 테이프는 고정부에서 기저귀 몸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측면 종단에 부착되며,
조정부는 접히며 접합부에서 기저귀 몸체 및/또는 조임 테이프에 일시적으로 접합되고,
어태치먼트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조임 테이프의 길이는 어태치먼트에 가장 근접한 접합부와 기저귀 몸체의 외측 엣지 사이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부는 고정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합부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합부는 열 봉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접합부는 불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부에서 접합 강도는 조임 테이프 및 기저귀 몸체의 파단 강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힘부에서 조정부를 접음으로써 탭부가 되접혀 어태치먼트가 접힘부 안쪽에 존재하도록 하고 어태치먼트는 조정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064736A JP5396115B2 (ja) | 2009-03-17 | 2009-03-17 | 使い捨ておむつ |
JPJP-P-2009-064736 | 2009-03-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9683A true KR20110139683A (ko) | 2011-12-29 |
Family
ID=4255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9906A Withdrawn KR20110139683A (ko) | 2009-03-17 | 2010-02-26 | 단계적으로 조정가능한 길이를 갖는 조임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8758320B2 (ko) |
EP (1) | EP2408412A1 (ko) |
JP (1) | JP5396115B2 (ko) |
KR (1) | KR20110139683A (ko) |
CN (1) | CN102333511A (ko) |
AU (1) | AU2010225865B2 (ko) |
CA (1) | CA2751246A1 (ko) |
MX (1) | MX2011009637A (ko) |
MY (1) | MY156136A (ko) |
SG (1) | SG174375A1 (ko) |
TW (1) | TW201034640A (ko) |
WO (1) | WO20101069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30955A1 (en) * | 2008-11-24 | 2010-05-27 | Tice Renee J | Reusable absorbent article for ambulatory users |
DE102009022529A1 (de) * | 2009-05-25 | 2010-12-02 | Paul Hartmann Ag | Gefalteter Inkontinenzartikel |
DE102010052264A1 (de) * | 2010-11-23 | 2012-05-24 | Paul Hartmann Ag | Gefalteter Inkontinenzartikel |
USD796033S1 (en) * | 2011-02-16 | 2017-08-2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chanical fastener |
USD794181S1 (en) * | 2011-02-16 | 2017-08-0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chanical closure element |
DE102011007820A1 (de) * | 2011-04-20 | 2012-10-25 | Paul Hartmann Ag | Fixier- und Tragevorrichtung für eine wegwerfbare absorbierende Inkontinenzvorlage |
JP2013198693A (ja) * | 2012-03-26 | 2013-10-03 | Oji Holdings Corp | テープ型おむつ及びテープ型おむつの製造方法 |
JP2015093111A (ja) * | 2013-11-13 | 2015-05-18 | カミ商事株式会社 | 止着テープ及びこれを備える使い捨ておむつ |
USD882769S1 (en) * | 2017-06-23 | 2020-04-28 | Secure Personal Care Products LLC | Adult diaper |
JP7049185B2 (ja) * | 2018-05-28 | 2022-04-06 | 大王製紙株式会社 |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TWI754399B (zh) * | 2020-09-30 | 2022-02-01 | 亞比斯包材工場股份有限公司 | 可調整耳帶長度的口罩 |
KR102314264B1 (ko) * | 2021-06-15 | 2021-10-19 |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 일회용 기저귀 후크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롤형 훅테이프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413891A1 (fr) | 1978-01-06 | 1979-08-03 | Beghin Say Sa | Attaches pliees et procede de fabrication |
US5281209A (en) * | 1992-06-30 | 1994-01-2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having tucked flaps |
US5730739A (en) * | 1991-10-01 | 1998-03-24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having a unitary release material joined to each side flap |
US5304162A (en) | 1992-12-30 | 1994-04-19 | Kimberly-Clark Corporation | Garment and pleated, adjustable strap member therefor |
EP0757550B2 (en) * | 1994-04-29 | 2004-09-1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Closure system for disposable pull-on pants having a stretchable waistband |
JP3429383B2 (ja) * | 1995-02-24 | 2003-07-22 | 花王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US6494873B2 (en) * | 2000-03-31 | 2002-12-17 | Sca Hygiene Products |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a belt |
DE10140622A1 (de) | 2001-08-18 | 2003-03-06 | Hartmann Paul Ag | Hygieneartikel mit Befestigungselementen |
JP2003265527A (ja) * | 2002-03-13 | 2003-09-24 | Nitto Denko Corp | 使い捨ておむつ |
US7291371B2 (en) * | 2003-02-12 | 2007-11-06 | Avery Dennison Corporation | Mechanical closure tape |
JP2004321269A (ja) * | 2003-04-22 | 2004-11-18 | Crecia Corp | サイズ調整用ファスニングテープを備えた紙おむつ |
DE102004048540A1 (de) * | 2004-10-06 | 2006-04-13 | Paul Hartmann Ag | Wegwerfwindel, insbesondere zur Inkontinentenversorgung |
WO2007071268A1 (en) | 2005-12-19 | 2007-06-28 | Sca Hygiene Products Ab | Multi-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 |
AU2006342530A1 (en) * | 2006-04-25 | 2007-11-01 | Sca Hygiene Products Ab | Pant-like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for making it |
US20080097368A1 (en) * | 2006-10-24 | 2008-04-24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lease tape-free fastener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tilizing the same |
AU2007355926B2 (en) * | 2007-06-29 | 2013-05-16 | Sca Hygiene Products Ab | Absorbent article with fastening flaps |
-
2009
- 2009-03-17 JP JP2009064736A patent/JP5396115B2/ja active Active
-
2010
- 2010-02-26 EP EP10715364A patent/EP2408412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2-26 TW TW099105610A patent/TW201034640A/zh unknown
- 2010-02-26 CN CN2010800096822A patent/CN102333511A/zh active Pending
- 2010-02-26 MY MYPI2011003553A patent/MY156136A/en unknown
- 2010-02-26 US US13/202,057 patent/US875832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2-26 SG SG2011066081A patent/SG174375A1/en unknown
- 2010-02-26 KR KR1020117019906A patent/KR20110139683A/ko not_active Withdrawn
- 2010-02-26 AU AU2010225865A patent/AU2010225865B2/en not_active Ceased
- 2010-02-26 CA CA2751246A patent/CA275124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2-26 WO PCT/JP2010/053696 patent/WO201010692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2-26 MX MX2011009637A patent/MX2011009637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034640A (en) | 2010-10-01 |
CA2751246A1 (en) | 2010-09-23 |
JP2010213924A (ja) | 2010-09-30 |
AU2010225865A1 (en) | 2011-08-18 |
EP2408412A1 (en) | 2012-01-25 |
AU2010225865B2 (en) | 2013-08-15 |
MY156136A (en) | 2016-01-15 |
US20110301563A1 (en) | 2011-12-08 |
SG174375A1 (en) | 2011-11-28 |
MX2011009637A (es) | 2011-10-12 |
WO2010106926A1 (en) | 2010-09-23 |
JP5396115B2 (ja) | 2014-01-22 |
CN102333511A (zh) | 2012-01-25 |
US8758320B2 (en) | 2014-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39683A (ko) | 단계적으로 조정가능한 길이를 갖는 조임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 |
JP5225905B2 (ja) | 止着テープおよびこの止着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 | |
KR101251677B1 (ko) | 일회용 착용 물품 | |
JP2014023949A (ja) |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
JP4969894B2 (ja)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
JP5421046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5722972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KR101236668B1 (ko) | 일회용 착용 물품 | |
JP5243079B2 (ja) | インナー吸収性物品 | |
JP5590939B2 (ja) | インナーパッド | |
JP6025209B2 (ja) |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
JP5960388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5743414B2 (ja) |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
JP5715865B2 (ja) | 紙おむつ | |
JP5564291B2 (ja) | 止着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
JP7042088B2 (ja) | パッドタイプ吸収性物品 | |
JP4813156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2005270346A (ja) | 吸収性物品 | |
JP2008093224A (ja) | 使い捨て吸収性物品 | |
JP2014004493A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5717682B2 (ja) |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
JP2016123614A (ja) | 使い捨ての着用物品 | |
JP2005270347A (ja) | 吸収性物品 | |
JP2014198177A (ja) |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 |
JP2016123639A (ja) | 使い捨ての着用物品およびその包装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8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