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95392A - 오토탁신 억제제로서의 벤조나프티리딘 화합물 - Google Patents

오토탁신 억제제로서의 벤조나프티리딘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392A
KR20110095392A KR1020117014790A KR20117014790A KR20110095392A KR 20110095392 A KR20110095392 A KR 20110095392A KR 1020117014790 A KR1020117014790 A KR 1020117014790A KR 20117014790 A KR20117014790 A KR 20117014790A KR 20110095392 A KR20110095392 A KR 20110095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t
phenyl
dihydro
benzo
mo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슈텔레
잉고 코버
카이 쉬만
멜라니 슐츠
디르크 빈케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9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39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nc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185

[식 중, R1, R2, R3, R4, R5, D, Z, X, Y, m 및 p 는 청구항 제 1 항에서 나타낸 바 대로 정의됨]. 상기 화합물은 종양 치료에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오토탁신 억제제로서의 벤조나프티리딘 화합물 {BENZONAPHTYRIDINE COMPOUNDS USED AS INHIBITORS OF AUTOTAXIN}
본 발명은, 중요한 특성을 갖는, 특히 약제 제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신규 화합물을 발견해내는 목적에 토대를 둔다.
본 발명은 화합물, 및 리소포스파티드산 (lysophosphatidic acid) 수준이 증가하는 것이 수반되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화합물의 용도, 나아가 이들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리소포스파티드산 (또는 간략히 LPA) 수준을 조절 및/또는 조정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바람직하게 억제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혈관신생, 암, 종양 형성, 성장 및 전이, 동맥경화, 안구 질병, 맥락막 신혈관생성 및 당뇨망막병증, 염증성 질병, 관절염, 신경변성, 재협착, 상처 치료 또는 이식 거부와 같은 질병 및 고통 호소의 치료용인 그 사용 방법과 관련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으로 적합하다.
오토탁신 (Autotaxin; ATX) 은 복수 (ascites) 및 혈장에서의 리소포스파티드산의 증가를 담당하는 효소이다 (Xu et al. 1995, Clinical Cancer Research Vol. 1, page 1223 and Xu et al. 1995, Biochem. J. Vol- 309, page 933). ATX 는 리소파티딜콜린 (lysophatidylcholine; LPC) 를 리소파티드산으로 전환시킨다 (Tokumura et al. 2002, J. Biol. Chem., Vol 277, page 39436 and Umezu-Gozo et al. 2002, J. Biol. Chem., Vol. 158, page 227). LPA 는 예를 들어 민무늬근 수축, 혈소판 응집 및 세포자멸사와 같은, 다수의 생물학적 및 생화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간 지질 매개체이다 (Tigyi et al. 2003 Prog. Lipid Res. Vol 42 , page. 498 and Mills et al. 2003 Nat. Rev. Cancer Vol. 3, page 582 and Lynch et al. 2001 Prost. Lipid Med. Vol.64, page 33). 더욱이, 초기 및 말기 난소암 환자의 혈장 및 복수 액에서 LPA 의 농도가 증가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LPA 는 종양 세포 증식 및 이의 이웃 조직으로의 침투에서 역할을 하여, 전이라는 결과를 이끌 수 있다 (Xu et al. 1995, Clinical Cancer Research Vol. 1, page 1223 and Xu et al. 1995, Biochem. J. Vol- 309, page 933). 이러한 생물학적 및 병생물학적 과정은 G-단백질과 결합된 수용체의 LPA 에 의한 활성화에 의해 스위치가 켜진다 (Contos et al. 2000, Mol. Pharm. Vol 58, page. 1188).
이러한 이유로, 종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LPA 수준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오토탁신과 같은 LPA 생합성과 관련된 효소를 억제시키는 것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ATX, Sano et al. 2002, J. Biol. Chem. Vol. 277, page 21197 and Aoki et al. 2003, J. Biol. Chem. Vol. 277 page 48737). 오토탁신은 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아제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의 효소 패밀리에 속하고 (Goding et al. 1998, Immunol. Rev. Vol. 161, page 11), 및 항종양 요법에서 중요한 출발점을 제시하는데 (Mills et al. 2003 Nat. Rev. Cancer Vol. 3, page 582 and Goto eta l. 2004 J. Cell. Biochem. Vol. 92, page 1115), 그 이유는 이것이 종양에서 증가된 정도로 발현되어 종양 세포를 증식시키고, 그 종양 세포를 이웃 조직으로 침투시켜 전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Nam et al. 2000, Oncogene, Vol. 19 page 241). 아울러, 오토탁신은 혈관신생 인자와 함께 혈관 신생 과정에서 혈관 형성을 일으킨다 (Nam et al. 2001, Cancer Res. Vol. 61 page. 6938). 혈관신생은, 종양에 영양분을 공급하게 하는 종양 성장에 있어서 주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혈관신생 억제는, 암 및 종양 요법에서 중요 출발점으로, 종양을 굶주리게 하는 것을 의도한다 (Folkman, 2007,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Vol. 6, page 273-286).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아제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의 효소 패밀리, 특히 오토탁신의 특정 억제를 야기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본원에 예로 기재된 시험으로 쉽게 검출할 수 있는 유리한 생물학적 활성을 지닌다. 이러한 시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도, 적합한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몰 범위, 더 바람직하게 나노몰 범위의 IC50 수치로 통상 기록되는 억제 효과를 보이고, 도모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고형 및 비(非)-고형 종양, 예컨대, 예를 들어, 단구성 백혈병, 뇌, 비뇨생식기, 림프계, 위, 후두, 난소 및 폐 선암종 및 소세포 폐 암종을 포함하는 폐 암종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로 치료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 전립선, 췌장 및 유방 암종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효과는 각종 질병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아제 및/또는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특히 오토탁신의 억제에 의해 영향받는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제 및/또는 약제 활성 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상기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뿐만 아니라,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투여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질병의 치료 방법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이종이식 종양 모델에서 유리한 작용을 지닌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숙주 또는 환자는 임의의 포유류 종, 예를 들어 영장류, 특히 인간; 마우스, 래트 및 햄스터를 포함하는 설치류; 토끼과; 말과, 소과, 개과, 고양이 등에 속할 수 있다. 동물 모델은 인간 질병의 치료용 모델을 제공하므로 실험용 연구에 있어서 중요하다.
특정 세포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로의 치료 수월성은 시험관 내 (in-vitro) 시험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활성 성분이 세포사를 유도하거나 또는 유주를 억제하기에 또는 혈관신생-촉진 물질의 세포내 분비를 막기에 충분한 기간, 보통 약 1 시간 내지 1 주 사이의 기간 동안 다양한 농도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세포 배양액과 조합시킨다. 시험관 내 시험에 있어서, 생검 샘플로부터의 배양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처리 후 남은 생존가능한 세포의 수를 센다.
투여량은 사용하는 특정 화합물, 특정 질병, 환자 병태 등에 의존한다. 통상적으로 치료적 투여량은 환자의 생존가능성을 유지하면서 표적 조직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세포군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것이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현저한 감소, 예를 들어, 약 50 % 이상의 세포 더미의 감소가 있을 때까지 계속되고, 체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세포가 본질적으로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종래 기술
오토탁신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은 문헌 [Peng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7, 2007, page 1634-1640)] 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기술된 화합물은 지질 유사체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어떠한 구조적인 특징에서도 공통점이 있지 않다.
기타 나프티리딘 유도체가 EP 0 997 462 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식 중,
D 는 Ar 또는 Het1를 나타냄,
Het1 은 미치환, 또는 Hal, A, OA, Ar, OH 및 또는 =O 로 단일-, 이- 또는 삼치환될 수 있는, 1 내지 4 개의 N, O 및/또는 S 원자를 갖는 모노- 또는 바이시클릭,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냄,
R1 은 각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H, Hal, OA, OH, A, 페닐, Het2 또는 CN 으로, 단일-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
Het2 은 미치환 또는 =O 로 단일- 또는 이치환될 수 있는, 1 내지 3 개의 N 및/또는 O 원자를 갖는 모노시클릭, 포화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냄,
R4 는 각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H, Hal, OA, OH, A 로, 단일-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
X, Y 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또는 -CH2-, -(CH2)2-, -CO- 또는 -CHOH- 을 나타내며, 이때 라디칼 X 또는 Y 중 단지 하나만이 부재일 수 있음,
R2, R3 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R 을 나타내고; R2 와 R3 은 함께 또한 2-6 개의 C 원자를 갖는 알킬렌 사슬을 나타내고, 이때 추가로 하나의 CH2 기는 O, NH 또는 NA' 로 대체될 수 있음,
A' 은 1-6 개의 C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CH2CH2OH, COO(CH2)nAr, (CH2)nAr, (CH2)nHet2, (CH2)nNA2 또는 Cyc 을 나타냄,
R5 은 H, Hal, NH2, OH, OA 또는 A 을 나타냄,
R 은 H, A, Cyc, (CH2)nAr 또는 (CH2)nHet 로, 단일- 또는 다치환됨,
Z 은 O, NH, -CH(CONHA)NH-, CH2NHCONH, -CH=CH- 을 나타내거나 또는 부재임,
Cyc 는 3-7 개의 C 원자를 갖는 시클릭 알킬을 나타냄,
A 는 1-10 개의 C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이때 1-7 개의 H 원자는 OR, CN, NR2, F 및/또는 Cl 로 대체될 수 있고, 및/또는 1 또는 2 개의 비인접 CH2 기는 O, NH, S, SO, SO2 및/또는 CH=CH 기로 대체될 수 있음) 또는,
3-7 개의 C 원자를 갖는 시클릭 알킬을 나타냄,
Ar 은 페닐, 인다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Hal, A, (CR2)nOR, O(CR2)nAr2, (CR2)nNR2, SR, NO2, CN, COOR, CONR2, NRCOA, NRSO2A, SO2NR2, S(O)mA, CO-Het, (CR2)nHet, O(CR2)nNR2, O(CR2)nHet, NHCOOA, NHCONR2, NHCOO(CR2)nNR2, NHCOO(CR2)nHet, CR=CRAr2, SO2Het, NHCONH(CR2)nNR2, NHCONH(CR2)nHet, OCONH(CR2)nNR2, CONH(CR2)nHet, CONR(CR2)nNR2, CONR(CR2)nHet 및/또는 COA 로 단일-, 이-, 삼-, 사- 또는 오치환됨,
Het 은 1 내지 4 개의 N, O 및/또는 S 원자를 갖는 모노-, 바이-, 또는 트리시클릭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 미치환 또는 Hal, A, Ar2, O(CR2)nAr2, (CR2)nOR, (CR2)nNR2, SR, NO2, CN, COOR, CONR2, NRCOA, NRSO2A, SO2NR2, S(O)qA, CO-Het2, (CR2)nHet2, O(CR2)nNR2, O(CR2)nHet2, NHCOOA, NHCONR2, NHCOO(CR2)nNR2, NHCOO(CR2)nHet2, NHCONH(CR2)nNR2, NHCONH(CR2)nHet2, OCONH(CR2)nNR2, OCONH(CR2)nHet2, CO-Het2, CHO, COA, =S, =NH, =NA 및/또는 =O (카르보닐 산소) 로 단일-, 이- 또는 삼치환될 수 있음,
Hal 은 F, Cl, Br 또는 I 을 나타냄,
n 은 0, 1 또는 2 를 나타냄,
m 은 0, 1, 2, 3, 4 를 나타냄,
p 는 1, 2, 3, 또는 4 를 나타냄].
화학식 I 의 화합물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유도체, 광학 활성 형태 (입체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다형체, 거울상체 (enantiomer),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히드레이트 및 용매화물을 의미한다. 화합물의 용매화물이라는 용어는, 그 상호 인력으로 인해 형성한 화합물 상 불활성 용매 분자의 부가물 (adduction) 을 의미한다. 용매화물은 예를 들어, 모노- 또는 디-히드레이트 또는 알코올레이트이다.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유도체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염 및 또한 소위 프로드러그 (prodrug) 화합물을 의미한다.
프로드로그 유도체는, 예를 들어 알킬 또는 아실기, 당 또는 올리고펩티드로 개질되었고, 유기체 내에서 빠르게 절단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효 화합물을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예를 들어 문헌 [Int. J. Pharm. 115, 61-67 (1995)] 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생분해가능 중합체 유도체를 포함한다.
"유효량" 이라는 표현은 예를 들어 연구원 또는 임상의학자에 의해 탐구 또는 요구되는 조직, 시스템에서, 동물 또는 인간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도출하는 약제 또는 약학적 활성 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또한, "치료적 유효량" 이라는 표현은 이 같은 양을 투여받지 못한 상응하는 대상체에 비하여, 하기의 결과를 갖는 양을 의미한다: 질병, 증후군, 병태, 통증의 호소, 장애 또는 부작용의 개선된 치료, 치유, 예방 또는 제거, 또는 또한 질병, 호소 또는 장애의 진전 감소.
"치료적 유효량" 이라는 용어는 또한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을 증가시키기에 유효한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 의 화합물의 혼합물, 예를 들어, 두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예를 들어, 1:1, 1:2, 1:3, 1:4, 1:5, 1:10, 1:100 또는 1:1000의 비율로 하는 혼합물의 용도와 관련이 있다. 이것은 입체이성질체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화학식 I 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하기를 특징으로 하는 특허 청구항에 따른 화학식 I 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하기 화학식 II 의 화합물:
Figure pct00002
[식 중, R2, R3, R4, R5 및 p 는 청구항 제 1 항에 나타낸 의미를 지님]
은 하기 화학식 III 또는 IV 의 화합물:
Figure pct00003
[식 중, R1, m, D, Z, X 및 Y 는 청구항 제 1 항에 나타낸 의미를 지니고, L 은 할로겐,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또는 트리플레이트임] 과 반응시킴,
및/또는 화학식 I 의 염기 또는 산을 이의 염들 중 하나로 전환함.
A 는 알킬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비분지형 (선형) 또는 분지형이며, 1, 2, 3, 4, 5, 6, 7, 8, 9 또는 10 개의 C 원자를 갖는다. 알킬은 바람직하게, 메틸, 나아가서는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또는 tert-부틸, 더욱이 또한 펜틸, 1-, 2- 또는 3-메틸부틸, 1,1- , 1,2- 또는 2,2-디메틸-프로필, 1-에틸-프로필, 헥실, 1- , 2- , 3- 또는 4-메틸펜틸, 1,1- , 1,2- , 1,3- , 2,2- , 2,3- 또는 3,3-디메틸부틸, 1- 또는 2-에틸부틸, 1-에틸-1-메틸-프로필, 1-에틸-2-메틸-프로필, 1,1,2- 또는 1,2,2-트리-메틸프로필, 추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
알킬은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1, 2, 3, 4, 5 또는 6 개의 C 원자를 갖는 알킬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트리플루오로메틸, 펜타플루오로에틸 또는 1,1,1-트리플루오로-에틸이다. 알킬은 또한 시클로알킬도 지칭한다.
시클로알킬은 바람직하게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또는 시클로헵틸을 지칭한다.
Alk 는 바람직하게 1, 2, 3 또는 4 개의 C 원자를 갖는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특히 바람직하게,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을 나타낸다.
Ar' 은 바람직하게 페닐, o-, m- 또는 p-톨릴, o-, m- 또는 p-에틸-페닐, o-, m- 또는 p-프로필-페닐, o-, m- 또는 p-이소프로필페닐, o-, m- 또는 p-tert-부틸-페닐, o-, m- 또는 p-히드록시페닐, o-, m- 또는 p-메톡시페닐, o-, m- 또는 p-니트로-페닐, o-, m- 또는 p-아미노-페닐, o-, m- 또는 p-(N-메틸아미노)-페닐, o-, m- 또는 p-(N-메틸-아미노-카르보닐)-페닐, o-, m- 또는 p-아세트아미도-페닐, o-, m- 또는 p-메톡시-페닐, o-, m- 또는 p-에톡시-페닐, o-, m- 또는 p-에톡시-카르보닐-페닐, o-, m- 또는 p-(N,N-디-메틸-아미노)-페닐, o-, m- 또는 p-(N,N-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페닐, o-, m- 또는 p-(N-에틸-아미노)-페닐, o-, m- 또는 p-(N,N-디에틸아미노)-페닐, o-, m- 또는 p-플루오로-페닐, o-, m- 또는 p-브로모-페닐, o-, m- 또는 p- 클로로페닐, o-, m- 또는 p-(메틸-술폰아미도)-페닐, o-, m- 또는 p-(메틸-술포닐)-페닐, 추가로 바람직하게 2,3-, 2,4-, 2,5-, 2,6-, 3,4- 또는 3,5-디-플루오로-페닐, 2,3-, 2,4-, 2,5-, 2,6-, 3,4- 또는 3,5-디클로로페닐, 2,3-, 2,4-, 2,5-, 2,6-, 3,4- 또는 3,5-디-브로모-페닐, 2,4- 또는 2,5-디니트로-페닐, 2,5- 또는 3,4-디메톡시-페닐, 3-니트로-4-클로로-페닐, 3-아미노-4-클로로-, 2-아미노-3-클로로-, 2-아미노-4-클로로-, 2-아미노-5-클로로- 또는 2-아미노-6-클로로페닐, 2-니트로-4-N,N-디-메틸-아미노- 또는 3-니트로-4-N,N-디메틸-아미노-페닐, 2,3-디아미노-페닐, 2,3,4-, 2,3,5-, 2,3,6-, 2,4,6- 또는 3,4,5-트리-클로로-페닐, 2,4,6-트리메톡시-페닐, 2-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 p-요오도-페닐, 3,6-디-클로로-4-아미노-페닐, 4-플루오로-3-클로로페닐,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 2,5-디플루오로-4-브로모-페닐, 3-브로모-6-메톡시-페닐, 3-클로로-6-메톡시-페닐, 3-클로로-4-아세트아미도-페닐, 3-플루오로-4-메톡시페닐, 3-아미노-6-메틸-페닐, 3-클로로-4-아세트아미도페닐, 2,5-디메틸-4-클로로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을 나타낸다.
Ar 은 바람직하게 페닐, o-, m- 또는 p-톨릴, o-, m- 또는 p-에틸-페닐, o-, m- 또는 p-프로필-페닐, o-, m- 또는 p-이소프로필페닐, o-, m- 또는 p-tert-부틸-페닐, o-, m- 또는 p-히드록시페닐, o-, m- 또는 p-메톡시페닐, o-, m- 또는 p-니트로-페닐, o-, m- 또는 p-아미노-페닐, o-, m- 또는 p-(N-메틸아미노)-페닐, o-, m- 또는 p-(N-메틸-아미노-카르보닐)-페닐, o-, m- 또는 p-아세트아미도-페닐, o-, m- 또는 p-메톡시-페닐, o-, m- 또는 p-에톡시-페닐, o-, m- 또는 p-에톡시-카르보닐-페닐, o-, m- 또는 p-(N,N-디-메틸-아미노)-페닐, o-, m- 또는 p-(N,N-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페닐, o-, m- 또는 p-(N-에틸-아미노)-페닐, o-, m- 또는 p-(N,N-디에틸아미노)-페닐, o-, m- 또는 p-플루오로-페닐, o-, m- 또는 p-브로모-페닐, o-, m- 또는 p- 클로로페닐, o-, m- 또는 p-(메틸-술폰아미도)-페닐, o-, m- 또는 p-(메틸-술포닐)-페닐, 추가로 바람직하게 2,3-, 2,4-, 2,5-, 2,6-, 3,4- 또는 3,5-디-플루오로-페닐, 2,3-, 2,4-, 2,5-, 2,6-, 3,4- 또는 3,5-디클로로페닐, 2,3-, 2,4-, 2,5-, 2,6-, 3,4- 또는 3,5-디-브로모-페닐, 2,4- 또는 2,5-디니트로-페닐, 2,5- 또는 3,4-디메톡시-페닐, 3-니트로-4-클로로-페닐, 3-아미노-4-클로로-, 2-아미노-3-클로로-, 2-아미노-4-클로로-, 2-아미노-5-클로로- 또는 2-아미노-6-클로로페닐, 2-니트로-4-N,N-디-메틸-아미노- 또는 3-니트로-4-N,N-디메틸-아미노-페닐, 2,3-디아미노-페닐, 2,3,4-, 2,3,5-, 2,3,6-, 2,4,6- 또는 3,4,5-트리-클로로-페닐, 2,4,6-트리메톡시-페닐, 2-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 p-요오도-페닐, 3,6-디-클로로-4-아미노-페닐, 4-플루오로-3-클로로페닐,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 2,5-디플루오로-4-브로모-페닐, 3-브로모-6-메톡시-페닐, 3-클로로-6-메톡시-페닐, 3-클로로-4-아세트아미도-페닐, 3-플루오로-4-메톡시페닐, 3-아미노-6-메틸-페닐, 3-클로로-4-아세트아미도페닐, 2,5-디메틸-4-클로로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을 나타낸다.
Ar 은 더 바람직하게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 치환된 페닐, 인다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Hal, A 및/또는 (CR2)nOR 로 단일-, 이-, 삼-, 사- 또는 오치환된다.
Ar2 은 바람직하게 페닐, o-, m- 또는 p-톨릴, o-, m- 또는 p-에틸-페닐, o-, m- 또는 p-프로필-페닐, o-, m- 또는 p-이소프로필페닐, o-, m- 또는 p-tert-부틸-페닐, o-, m- 또는 p-히드록시--페닐, o-, m- 또는 p-메톡시-페닐, o-, m- 또는 p-메톡시--페닐, o-, m- 또는 p-에톡시-페닐 o-, m- 또는 p-플루오로-페닐, o-, m- 또는 p-브로모-페닐, o-, m- 또는 p- 클로로-페닐, 더 바람직하게 2,3-, 2,4-, 2,5-, 2,6-, 3,4- 또는 3,5-디-플루오로-페닐, 2,3-, 2,4-, 2,5-, 2,6-, 3,4- 또는 3,5-디클로로페닐, 2,3-, 2,4-, 2,5-, 2,6-, 3,4- 또는 3,5-디-브로모-페닐, 2,5- 또는 3,4-디메톡시-페닐, 2,3,4-, 2,3,5-, 2,3,6-, 2,4,6- 또는 3,4,5-트리-클로로페닐, 2,4,6-트리-메톡시-페닐, 2-히드록시-3,5-디클로르페닐, p-요오도페닐, 4-플루오로-3-클로로페닐,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 2,5-디플루오로-4-브로모-페닐, 3-브로모-6-메톡시페닐, 3-클로로-6-메톡시-페닐, 3-플루오로-4-메톡시-페닐, 2,5-디메틸-4-클로로페닐을 나타낸다.
추가 치환과는 관계 없이, Het1 은 예를 들어 2- 또는 3-푸릴, 2- 또는 3-티에닐, 1-, 2- 또는 3-피롤릴, 1-, 2, 4- 또는 5-이미다졸릴, 1-, 3-, 4- 또는 5-피라졸릴, 2-, 4- 또는 5-옥사졸릴, 3-, 4- 또는 5-이속사졸릴, 2-, 4- 또는 5-티아졸릴, 3-, 4- 또는 5-이소-티아졸릴, 2-, 3- 또는 4-피리딜, 2-, 4-, 5- 또는 6-피리미디닐, 보다 더 바람직하게 1,2,3-트리아졸-1-, -4- 또는 -5-일, 1,2,4-트리아졸-1-, -3- 또는 5-일, 1- 또는 5-테트라졸릴, 1,2,3-옥사디아졸-4- 또는 -5-일, 1,2,4-옥사디아졸-3- 또는 -5-일, 1,3,4-티아디아졸-2- 또는 -5-일, 1,2,4-티아디아졸-3- 또는 -5-일, 1,2,3-티아디아졸-4- 또는 -5-일, 3- 또는 4-피리다지닐, 피라지닐, 1-, 2-, 3-, 4-, 5-, 6- 또는 7-인돌릴, 4- 또는 5-이소-인돌릴, 인다졸릴, 1-, 2-, 4- 또는 5-벤즈이미다졸릴, 1-, 3-, 4-, 5-, 6- 또는 7-벤조-피라졸릴, 2-, 4-, 5-, 6- 또는 7-벤족사졸릴, 3-, 4-, 5-, 6- 또는 7- 벤즈이속사졸릴, 2-, 4-, 5-, 6- 또는 7-벤조-티아졸릴, 2-, 4-, 5-, 6- 또는 7-벤즈이소티아졸릴, 4-, 5-, 6- 또는 7-벤즈-2,1,3-옥사디아졸릴, 2-, 3-, 4-, 5-, 6-, 7- 또는 8-퀴놀릴, 1-, 3-, 4-, 5-, 6-, 7- 또는 8-이소-퀴놀릴, 3-, 4-, 5-, 6-, 7- 또는 8-신놀리닐, 2-, 4-, 5-, 6-, 7- 또는 8-퀴나졸리닐, 5- 또는 6-퀴녹살리닐, 2-, 3-, 5-, 6-, 7- 또는 8-2H-벤조-1,4-옥사지닐, 더 바람직하게 1,3-벤조-디옥솔-5-일, 1,4-벤조디옥산-6-일, 2,1,3-벤조-티아디아졸-4- -5-일, 2,1,3-벤족사디아졸-5-일 또는 디벤조-푸라닐을 나타낸다.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은 부분 또는 완전 수소화될 수도 있다.
추가 치환과는 관계 없이, 그리하여 Het 는 또한, 예를 들어 2,3-디히드로-2-, -3-, -4- 또는 -5-푸릴, 2,5-디히드로-2-, -3-, -4- 또는 5-푸릴, 테트라히드로-2- 또는 -3-푸릴, 1,3-디-옥솔란-4-일, 테트라히드로-2- 또는 -3-티에닐, 2,3-디히드로-1-, -2-, -3-, -4- 또는 -5-피롤릴, 2,5-디히드로-1-, -2-, -3-, -4- 또는 -5-피롤릴, 1-, 2- 또는 3-피롤리디닐, 테트라히드로-1-, -2- 또는 -4-이미다졸릴, 2,3-디히드로-1-, -2-, -3-, -4- 또는 -5-피라졸릴, 테트라히드로-1-, -3- 또는 -4-피라졸릴, 1,4-디히드로-1-, -2-, -3- 또는 -4-피리딜, 1,2,3,4-테트라히드로-1-, -2-, -3-, -4-, -5- 또는 -6-피리딜, 1-, 2-, 3- 또는 4-피페리디닐, 2-, 3- 또는 4-모르폴리닐, 테트라히드로-2-, -3- 또는 -4-피라닐, 1,4-디옥사닐, 1,3-디옥산-2-, -4- 또는 -5-일, 헥사히드로-1-, -3- 또는 -4-피리다지닐, 헥사히드로-1-, -2-, -4- 또는 -5-피리미디닐, 1-, 2- 또는 3-피페라지닐, 1,2,3,4-테트라히드로-1-, -2-, -3-, -4-, -5-, -6-, -7- 또는 -8-퀴놀릴, 1,2,3,4-테트라히드로-1-,-2-,-3-, -4-, -5-, -6-, -7- 또는 -8-이소-퀴놀릴, 2-, 3-, 5-, 6-, 7- 또는 8- 3,4-디히드로-2H-벤조-1,4-옥사지닐, 추가 바람직하게 2,3-메틸렌-디옥시페닐, 3,4-메틸렌-디옥시-페닐, 2,3-에틸렌디옥시-페닐, 3,4-에틸렌디옥시페닐, 3,4-(디플루오로-메틸렌-디옥시)-페닐, 2,3-디히드로-벤조푸란-5- 또는 6-일, 2,3-(2-옥소-메틸렌-디옥시)-페닐 또는 나아가 3,4-디히드로-2H-1,5-벤조디옥세핀-6- 또는 -7-일, 더 바람직하게 2,3-디히드로--벤조-푸라닐, 2,3-디히드로-2-옥소푸라닐, 3,4-디히드로-2-옥소-1H-퀴나졸리닐, 2,3-디히드로벤족사졸릴, 2-옥소-2,3-디히드로-벤족사졸릴, 2,3-디히드로벤즈이미다졸릴, 1,3-디히드로-인돌, 2-옥소-1,3-디히드로인돌 또는 2-옥소-2,3-디히드로벤즈이미다졸릴을 나타낼 수 있다.
Het1 은 더욱이 바람직하게 1 내지 4 개의 N, O 및/또는 S 원자를 갖는 모노시클릭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낸다.
Het1 은 특히 바람직하게 피페라질,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벤조트리아질릴, 벤조-푸라닐, 2,3-디히드로벤족사졸릴, 벤족사졸릴, 디히드로벤조푸라닐 또는 테트라졸릴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A 및/또는 (CH2)nAr 로 단일-, 이- 또는 삼치환된다.
Het1 은 더욱이 포화 또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 이는 피페라진, 모르폴린, 피페리딘 및 피롤리딘으로 치환될 수 있다.
추가 치환과는 관계 없이, Het 은 예를 들어 2- 또는 3-푸릴, 2- 또는 3-티에닐, 1-, 2- 또는 3-피롤릴, 1-, 2, 4- 또는 5-이미다졸릴, 1-, 3-, 4- 또는 5-피라졸릴, 2-, 4- 또는 5-옥사졸릴, 3-, 4- 또는 5-이속사졸릴, 2-, 4- 또는 5-티아졸릴, 3-, 4- 또는 5-이소-티아졸릴, 2-, 3- 또는 4-피리딜, 2-, 4-, 5- 또는 6-피리미디닐, 더욱이 바람직하게 1,2,3-트리아졸-1-, -4- 또는 -5-일, 1,2,4-트리아졸-1-, -3- 또는 5-일, 1- 또는 5-테트라졸릴, 1,2,3-옥사디아졸-4- 또는 -5-일, 1,2,4-옥사디아졸-3- 또는 -5-일, 1,3,4-티아디아졸-2- 또는 -5-일, 1,2,4-티아디아졸-3- 또는 -5-일, 1,2,3-티아디아졸-4- 또는 -5-일, 3- 또는 4-피리다지닐, 피라지닐, 1-, 2-, 3-, 4-, 5-, 6- 또는 7-인돌릴, 4- 또는 5-이소-인돌릴, 인다졸릴, 1-, 2-, 4- 또는 5-벤즈이미다졸릴, 1-, 3-, 4-, 5-, 6- 또는 7-벤조-피라졸릴, 2-, 4-, 5-, 6- 또는 7-벤족사졸릴, 3-, 4-, 5-, 6- 또는 7- 벤즈이속사졸릴, 2-, 4-, 5-, 6- 또는 7-벤조-티아졸릴, 2-, 4-, 5-, 6- 또는 7-벤즈이소티아졸릴, 4-, 5-, 6- 또는 7-벤즈-2,1,3-옥사디아졸릴, 2-, 3-, 4-, 5-, 6-, 7- 또는 8-퀴놀릴, 1-, 3-, 4-, 5-, 6-, 7- 또는 8-이소-퀴놀릴, 3-, 4-, 5-, 6-, 7- 또는 8-신놀리닐, 2-, 4-, 5-, 6-, 7- 또는 8-퀴나졸리닐, 5- 또는 6-퀴녹살리닐, 2-, 3-, 5-, 6-, 7- 또는 8-2H-벤조-1,4-옥사지닐, 더욱이 바람직하게 1,3-벤조-디옥솔-5-일, 1,4-벤조디옥산-6-일, 2,1,3-벤조-티아디아졸-4- -5-일, 2,1,3-벤족사디아졸-5-일 또는 디벤조-푸라닐을 나타낸다.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은 또한 부분 또는 완전히 수소화될 수도 있다.
추가 치환과는 관계 없이, Het 는 그리하여 또한 예를 들어 2,3-디히드로-2-, -3-, -4- 또는 -5-푸릴, 2,5-디히드로-2-, -3-, -4- 또는 5-푸릴, 테트라히드로-2- 또는 -3-푸릴, 1,3-디-옥솔란-4-일, 테트라히드로-2- 또는 -3-티에닐, 2,3-디히드로-1-, -2-, -3-, -4- 또는 -5-피롤릴, 2,5-디히드로-1-, -2-, -3-, -4- 또는 -5-피롤릴, 1-, 2- 또는 3-피롤리디닐, 테트라히드로-1-, -2- 또는 -4-이미다졸릴, 2,3-디히드로-1-, -2-, -3-, -4- 또는 -5-피라졸릴, 테트라히드로-1-, -3- 또는 -4-피라졸릴, 1,4-디히드로-1-, -2-, -3- 또는 -4-피리딜, 1,2,3,4-테트라히드로-1-, -2-, -3-, -4-, -5- 또는 -6-피리딜, 1-, 2-, 3- 또는 4-피페리디닐, 2-, 3- 또는 4-모르폴리닐, 테트라히드로-2-, -3- 또는 -4-피라닐, 1,4-디옥사닐, 1,3-디옥산-2-, -4- 또는 -5-일, 헥사히드로-1-, -3- 또는 -4-피리다지닐, 헥사히드로-1-, -2-, -4- 또는 -5-피리미디닐, 1-, 2- 또는 3-피페라지닐, 1,2,3,4-테트라히드로-1-, -2-, -3-, -4-, -5-, -6-, -7- 또는 -8-퀴놀릴, 1,2,3,4-테트라히드로-1-,-2-,-3-, -4-, -5-, -6-, -7- 또는 -8-이소-퀴놀릴, 2-, 3-, 5-, 6-, 7- 또는 8- 3,4-디히드로-2H-벤조-1,4-옥사지닐, 더 바람직하게 2,3-메틸렌-디옥시페닐, 3,4-메틸렌-디옥시-페닐, 2,3-에틸렌디옥시-페닐, 3,4-에틸렌디옥시페닐, 3,4-(디플루오로-메틸렌-디옥시)-페닐, 2,3-디히드로-벤조푸란-5- 또는 6-일, 2,3-(2-옥소-메틸렌-디옥시)-페닐 또는 나아가 3,4-디히드로-2H-1,5-벤조디옥세핀-6- 또는 -7-일, 더욱이 바람직하게 2,3-디히드로--벤조-푸라닐, 2,3-디히드로-2-옥소푸라닐, 3,4-디히드로-2-옥소-1H-퀴나졸리닐, 2,3-디히드로벤족사졸릴, 2-옥소-2,3-디히드로-벤족사졸릴, 2,3-디히드로벤즈이미다졸릴, 1,3-디히드로-인돌, 2-옥소-1,3-디히드로인돌 또는 2-옥소-2,3-디히드로벤즈이미다졸릴을 나타낼 수 있다.
Het 는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4 개의 N, O 및/또는 S 원자를 갖는 모노시클릭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 이는 미치환 또는 A, Ar2, (CR2)nHet2 및/또는 (CR2)nOR 로 단일-, 이- 또는 삼치환될 수 있다.
Het 은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푸릴, 티에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리다지닐 또는 피라지닐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A, Ar2, (CR2)nHet2 및/또는 (CR2)nOR 로 단일- 또는 이치환된다.
Hal 은 바람직하게 F, Cl 또는 Br 을 나타내나, 또한 I, 특히 바람직하게 Br 또는 Cl 을 나타낸다.
지수는 하기 바람직한 의미를 지닌다:
m 1 또는 2,
n 0, 1, 2, 3, 4 또는 5,
p 1, 2, 3 또는 4.
본 발명에서 1 회 이상 나타나는 모든 라디칼들, 예컨대 R 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즉 상호 독립적이다.
화학식 I 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한다. 화학식 I은 이들 형태 모두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화학식 I 의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라디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의미 중 한 의미를 지닌다.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 모든 비율의 혼합물의 일부 바람직한 군은 하기 하위 화학식 Ia 내지 Ie 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화학식 I 에 따르고, 보다 상세히 명시하지 않은 라디칼은 화학식 I 에서 나타낸 의미를 지니나,
Ia 에서 R1 은 H, Hal, CN, 페닐, OA 또는 OH 을 나타냄;
Ib 에서 R4 은 H, Hal, A 또는 OH 을 나타냄;
Ic 에서 R5 은 H 임;
Id 에서 R2, R3 은 함께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1-메틸피페라지닐, 1-에틸-4-메틸피페라지닐, 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 1-메틸-4-프로필피페라지닐, 1-시클로펜틸-4-메틸-피페라지닐, 1-벤질-4-메틸-1,4-디아제파닐 또는 1-벤질-4-메틸피페라지닐을 나타냄;
Ie 에서 Het1 은 특히 바람직하게 피페라질,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벤조트리아질릴, 벤조푸라닐, 2,3-디히드로-벤족사졸릴, 벤족사졸릴, 디히드로벤조푸라닐 또는 테트라졸릴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A 및/또는 (CH2)nAr 로 단일-, 이- 또는 삼치환됨;
If 에서 Het2 은 특히 바람직하게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또는 피페라지닐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Hal, OH, OA,A 및/또는 =O 로 단일- 또는 이치환됨.
Ig 에서 R1 은 H, Hal, CN, 페닐, OA 또는 OH 을 나타냄;
R4 은 H, Hal, A 또는 OH 을 나타냄;
R5 은 H 를 나타냄 및
R2, R3 은 함께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1-메틸피페라지닐, 1-에틸-4-메틸피페라지닐, 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 1-메틸-4-프로필피페라지닐, 1-시클로펜틸-4-메틸-피페라지닐, 1-벤질-4-메틸-1,4-디아제파닐 또는 1-벤질-4-메틸피페라지닐을 나타냄,
Het1 은 특히 바람직하게 피페라질,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벤조트리아질릴, 벤조푸라닐, 2,3-디히드로벤족사졸릴, 벤족사졸릴, 디히드로벤조푸라닐 또는 테트라졸릴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A 및/또는 (CH2)nAr 로 단일-, 이- 또는 삼치환됨,
Het2 은 특히 바람직하게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또는 피페라지닐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Hal, OH, OA,A 및/또는 =O 로 단일- 또는 이치환된다.
화학식 I 에 따른 화합물 및 나아가서는 그의 제조를 위한 출발물질은, 또한, 문헌 (예를 들어,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Georg-Tieme-Verlag, Stuttgart와 같은 표준작업서)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상기 반응에 적합하고 공지된 반응 조건하에서 정확하게 제조된다. 그 자체로 공지되었지만 본원에서 보다 상세히 언급되지 않은 변형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된다면, 상기 출발물질은 그것이 반응 혼합물로부터 단리되지 않고 대신 화학식 I 의 화합물로 즉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 그 자리에서 (in situ) 형성될 수 있다.
화학식 I 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화학식 II 의 화합물을 화학식 III 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사용되는 조건에 따라, 반응 시간은 몇 분 내지 14 일이고, 반응 온도는 약 -30°내지 140°, 보통 -10°내지 90°, 특히 약 0°내지 약 70° 이다.
적합한 불활성 용매의 예는 탄화수소류, 예컨대 헥산, 석유 에테르, 벤젠, 톨루엔 또는 자일렌; 염소화 탄화수소류, 예컨대 트리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 알콜류,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n-부탄올 또는 tert-부탄올; 에테르류, 예컨대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또는 디옥산; 글리콜 에테르류,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또는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글림); 케톤류, 예컨대 아세톤 또는 부타논; 아미드류, 예컨대 아세트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니트릴류,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술폭시드, 예컨대 디메틸- 술폭시드 (DMSO); 카본 디술파이드; 카복실산류, 예컨대 포름산 또는 아세트산; 니트로 화합물, 예컨대 니트로메탄 또는 니트로벤젠; 에스테르류,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상기 용매의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및/또는 DMF 이다.
화학식 II, II 및 IV 의 출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이 신규하다면, 이들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출발 물질은 또한 일반적으로 시판 중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은 이의 최종 무 (non) 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본 발명은 또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하는 이들 화합물의 용도를 포함하는데, 이는 각종 유기 및 무기성의 산 및 염기로부터 당 기술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유도될 수 있다. 화학식 I 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형태는 대부분의 경우 종래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화학식 I 의 화합물이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경우, 이의 적합한 염 중 하나는 상기 화합물을 적합한 염기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염기-부가염을 생산시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염기에는, 예를 들어,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리튬을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수산화바륨 및 수산화칼슘과 같은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 예를 들어 칼륨 에톡시드 및 나트륨 프로폭시드; 및 피페리딘, 디에탄올아민 및 N-메틸글루타민과 같은 각종 유기 염기가 있다. 화학식 I 의 화합물의 알루미늄 염도 마찬가지로 포함된다. 화학식 I 의 특정한 화합물의 경우, 산-부가염은 이들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및 무기산, 예를 들어 할로겐화수소, 예컨대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또는 요오드화수소, 기타 광물산 및 이의 해당염, 예컨대 술페이트, 니트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등 및 알킬- 및 모노아릴술포네이트, 예컨대 에탄술포네이트, 톨루엔술포네이트 및 벤젠술포네이트 및 기타 유기산 및 이의 해당염, 예컨대 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타르트레이트, 말레에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벤조에이트, 살리실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I 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에는 하기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르기네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베실레이트), 바이술페이트, 바이술파이트, 브로마이드, 부티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술포네이트, 카프릴레이트, 클로라이드, 클로로벤조에이트, 시트레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디니트로벤조에이트, 도데실술페이트, 에탄술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갈락터레이트 (점액산 유래), 갈락투로네이트, 글루코헵타노에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타메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숙시네이트, 헤미술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히푸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히드로요오다이드, 2-히드록시에탄술포네이트, 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이소부티레이트, 락테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만델레이트, 메타포스페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모노히드로겐포스페이트, 2-나프탈렌술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올레에이트, 팔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술페이트, 페닐아세테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프탈레이트.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기 염에는 하기가 포함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의도되지 않는다: 알루미늄, 암모늄, 칼슘, 구리, 철(III), 철(II), 리튬, 마그네슘, 망간(III), 망간(II), 칼륨, 나트륨 및 아연 염. 상술한 염 중에서, 암모늄; 알칼리금속 염 나트륨 및 칼륨, 및 알칼리토금속 염 칼슘 및 마그네슘이 바람직하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무독성 염기로부터 유도된, 화학식 I 에 따른 화합물의 염에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하기의 염이 포함된다: 1 차, 2 차 및 3 차 아민, 치환된 아민, 또한 천연 발생 치환된 아민, 시클릭 아민, 및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예를 들어, 아르기닌, 베타인, 카페인,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벤자틴), 디시클로헥실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에틸모르폴린, N-에틸피페리딘, 글루카민, 글루코사민, 히스티딘, 히드라브아민 (hydrabamine), 이소프로필아민, 리도카인, 리신, 메글루민, N-메틸-D-글루카민, 모르폴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프로카인, 퓨린, 테오브로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민 (트로메타민).
염기성 질소-함유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C1-C4)-알킬 할라이드, 예를 들어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및 tert-부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요오다이드; 디(C1-C4)알킬 술페이트, 예를 들어 디메틸, 디에틸 및 디아밀술페이트; (C10-C18)알킬 할라이드, 예를 들어 데실, 도데실, 라우릴, 미리스틸 및 스테아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요오다이드; 및 아릴(C1-C4)알킬 할라이드, 예를 들어 벤질 클로라이드 및 펜에틸 브로마이드와 같은 시약을 이용해 4차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및 지용성 화합물 모두를 상기 염을 이용해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상술한 약학적 염에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하기가 포함된다: 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베실레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네이트, 헤미숙시네이트, 히푸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만델레이트, 메글루민, 니트레이트, 올레에이트, 포스포네이트, 피발레이트, 나트륨 포스페이트, 스테아레이트, 술페이트, 술포살리실레이트, 타르트레이트, 티오말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트로메타민.
화학식 I 에 따른 염기성 화합물의 산-부가염은, 요구되는 산 충분량과 자유 염기 형태를 접촉시켜 종래 방식으로 염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자유 염기는 종래 방식으로 염 형태를 염기와 접촉시키고 자유 염기를 단리시킴으로써 재생시킬 수 있다. 자유 염기 형태는 이의 상응하는 염 형태와 극성 용매 내 용해도와 같은 일정한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 어느 정도 차이가 나지만, 본 발명의 목적상, 염들은 이외의 부분에서는 그의 각 자유 염기 형태와 일치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화학식 I 에 따른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부가염은 금속 또는 아민, 예컨대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또는 유기아민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금속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이다. 바람직한 유기 아민은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D-글루카민 및 프로카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성 화합물의 염기-부가염은 요구되는 염기 충분량과 자유 산 형태를 접촉시켜 종래 방식으로 염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자유 산은 종래 방식으로 염 형태를 산과 접촉시키고 자유 산을 단리시킴으로써 재생될 수 있다. 자유 산 형태는, 이의 상응하는 염 형태와 극성 용매 내 용해도와 같은 일정한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 어느 정도 차이가 나지만, 본 발명의 목적상, 염들은 이외의 부분에서는 그의 각 자유 산 형태와 일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상기 유형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는 기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은 또한 다중 염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다중 염 형태에는, 예를 들어 하기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타르트레이트, 디아세테이트, 디푸마레이트, 디메글루민, 디포스페이트, 디소듐 및 트리히드로클로라이드.
상기에서 언급한 점과 관련하여, 본 문맥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표현은, 화학식 I 에 따른 화합물을 이의 염 중 한 형태로 포함하는 활성 성분을 의미하는데, 특히 상기 염 형태가 활성 성분의 자유 형태 또는 이전에 사용되었던 활성 성분의 임의 다른 염 형태와 비교했을 때, 활성 성분에 개선된 약물동력학적 특성을 부여하는 경우의 염 형태로 상기를 포함하는 활성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활성 성분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형태는 또한 이전에는 갖지 않은 바람직한 약물동력학적 특성을 처음으로 상기 활성 성분에 제공할 수 있고, 심지어는 이의 신체 내 치료 효능 면에서 상기 활성 성분의 약역학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에 따른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유도체, 용매화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 및 임의로 부형제 및/또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약학적 제형물은, 투약 단위 당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투약 단위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는 치료되는 질병 상태, 투여 방법 및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상태에 따라,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0.5 mg 내지 1 g, 바람직하게는 1 mg 내지 700 mg, 특히 바람직하게는 5 mg 내지 100 mg 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약학적 제형물이 투약 단위 당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투약 단위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약 단위 제형물은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1일 투여량 또는 부분-투여량 또는 활성 성분의 이의 대응하는 분율을 포함하는 것들이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약학적 제형물은 약제학 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 제형물은 임의의 목적한 적합한 방법, 예를 들어, 경구 (협측 또는 설하 포함), 직장내, 비강내, 국소 (협측, 설하 또는 경피 포함), 질내 또는 비경구 (피하,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내 포함) 방법에 의한 투여에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물은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을 부형제(들) 또는 보조제(들) 과 조합함으로써 약제학 분야에 공지된 모든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제형물은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분말 또는 과립; 수성 또는 비(非)수성액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 식용 포말 또는 포말 식품; 또는 수중유 (oil-in-water) 액체 에멀젼 또는 유중수 (water-in-oil) 액체 에멀젼과 같은 개별 단위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의 경구 투여인 경우,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부형제와 조합될 수 있다. 분말은 화합물을 적합한 미세 크기로 분쇄하고, 이를 유사한 방식으로 분쇄된 약학적 부형제, 예를 들어, 전분 또는 만니톨과 같은 식용 탄수화물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마찬가지로 향미제, 방부제, 분산제 및 염료가 존재할 수 있다.
캡슐은 상술한 바와 같은 분말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성형된 젤라틴 껍질에 충전함으로써 제조된다. 충전 작업 전에, 활제 (glidant) 및 윤활제 (lubricant), 예컨대 고체 형태의 고분산 규산,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상기 분말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붕해제 또는 가용화제, 예컨대 한천 (agar-agar), 탄산칼슘 또는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캡슐 복용 후의 약제의 이용가능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및 붕해제 및 염료를 마찬가지로 혼합물 내로 혼입시킬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에는, 전분, 젤라틴, 천연 당류, 예컨대 글루코오스 또는 베타-락토오스, 옥수수로부터 제조된 감미제, 천연 및 합성 고무, 예컨대 아카시아, 트래거캔스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투약 형태에 사용되는 윤활제에는, 나트륨 올레에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벤조에이트, 나트륨 아세테이트, 염화나트륨 등이 포함된다. 붕해제에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한천, 벤토나이트, 잔탄 검 등이 포함된다. 정제는 예를 들어, 분말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과립화 또는 건식 가공하고, 윤활제 및 붕해제를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압착하여 정제를 형성함으로써 제형화된다. 분말 혼합물은 적절한 방식으로 분쇄된 화합물을, 상술한 바와 같은 희석제 또는 염기와, 및 임의로는 결합제,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용해 지연제, 예컨대 파라핀, 흡수 촉진제, 예컨대 4차 염, 및/또는 흡수제, 예컨대 벤토나이트, 카올린 또는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분말 혼합물은 이를 결합제, 예컨대 시럽, 전분 페이스트 (paste), 아카디아 점액 또는 셀룰로오스 또는 중합체 물질의 용액으로 적시고, 체 (sieve) 를 통해 압착시킴으로써 과립화될 수 있다. 과립화에 대한 대안법으로서, 분말 혼합물을 타정기에 통과시킴으로써, 분열되어 과립을 형성하는 비균질한 형상의 덩어리를 생성할 수 있다. 정제 주조 금형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아르산, 스테아레이트 염, 탈크 또는 광유를 첨가하여 상기 과립을 윤활시킬 수 있다. 그 후 윤활된 혼합물을 압착하여 정제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자유롭게 흐르는 불활성 부형제와 조합한 후, 과립화 또는 건식 가공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직접 압착시켜 정제를 생성한다. 쉘락 (shellac) 밀봉층으로 이루어진 투명 또는 불투명 보호층, 당 또는 중합체 물질층 및 왁스의 광택층이 존재할 수 있다. 상이한 투약 단위 간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코팅에 염료를 첨가할 수 있다.
경구용 액체, 예컨대 용액, 시럽 및 엘릭시르 (elixir) 는, 주어진 양이 미리한정된 양의 화합물을 포함하도록 하는 투약 단위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시럽은, 상기 화합물을 적합한 향미제와 함께 수용액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엘릭시르는 무독성 알코올계 비히클 (vehicle) 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현탁액은, 상기 화합물을 무독성 비히클에 분산시킴으로써 제형화될 수 있다. 가용화제 및 에멀젼화제, 예컨대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테르, 방부제, 향미 첨가제, 예컨대 박하 오일 또는 천연 감미제 또는 사카린, 또는 기타 인공 감미제 등을 마찬가지로 첨가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투여 단위 제형물은 바람직하다면, 마이크로캡슐 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물은 또한 방출이 연장 또는 지연되는 방식으로, 예컨대 미립자 물질을 중합체, 왁스 등으로 코팅하거나 이에 함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 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염, 용매화물 및 생리적으로 기능적인 유도체는 또한 리포좀 전달 시스템 형태, 예컨대 소형 단일 라멜라 (unilamellar) 소포, 대형 단일 라멜라 소포 및 다중 라멜라 소포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리포좀은 다양한 인지질, 예컨대 콜레스테롤, 스테아릴아민 또는 포스파티딜콜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화학식 I 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염, 용매화물 및 생리적으로 기능적인 유도체는 또한, 상기 화합물 분자가 커플링 (coupling) 되는 개개의 담체로서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표적화된 약제 담체로서 가용성 중합체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에는, 팔미토일 라디칼로 치환된, 폴리비닐피롤리돈, 피란 공중합체, 폴리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도페놀, 폴리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타미도페놀 또는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리신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약제의 제어된 방출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생분해성 중합체 부류,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디히드록시피란,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로겔의 가교 또는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에 커플링될 수 있다.
경피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제형물은 수용자의 표피와 연장되고 밀접한 접촉을 위해 독립적인 첩부제로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문헌 [Pharmaceutical Research, 3(6), 318 (1986)] 에서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된 전리요법에 의해 첩부제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국소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화합물은 연고, 크림, 현탁액, 로션, 분말, 용액, 페이스트, 겔, 스프레이, 에어로졸 또는 오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눈 또는 다른 외부 조직, 예를 들어 입 및 피부의 치료를 위해, 제형물은 바람직하게는 국소 연고 또는 크림으로서 적용된다. 연고를 생성하기 위한 제형물의 경우, 활성 성분은 파라핀계 또는 수혼화성 크림 베이스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 성분은 제형화되어 수중유 크림 베이스 또는 유중수 베이스와의 크림을 생성할 수 있다.
눈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약학적 제형물에는, 활성 성분이 적합한 담체, 특히 수성 용매에 용해 또는 현탁된 점안액이 포함된다.
입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약학적 제형물에는, 마름모꼴정제 (lozenge), 향정 및 구강세정제 (mouthwash) 가 포함된다.
직장내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제형물은 좌제 또는 관장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담체 물질이 고체인 비강내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제형물은, 코담배 (snuff) 가 흡입되는 방식으로, 즉, 코에 가까이 놓여진 분말을 함유하는 용기로부터 비강내 경로에 의해 빠르게 흡입함으로써 투여되는, 입자 크기가 20 ~ 500 미크론 범위인 조분 (coarse powder) 을 포함한다. 담체 물질로서의 액체와 함께 비강내 스프레이 또는 점비약으로서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형물은 물 또는 오일 중의 활성 성분 용액을 포함한다.
흡입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제형물은, 에어로졸, 분무기 또는 취입기를 갖는 다양한 유형의 가압 디스펜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미립자 먼지 또는 미스트를 포함한다.
질내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제형물은 페서리 (pessary), 탐폰, 크림, 겔, 페이스트, 폼 (foam) 또는 스프레이 제형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제형물에는, 제형물이 치료될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게 하는 항산화제, 완충제, 정균제 (bacteriostatic) 및 용질을 포함하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주사 용액; 및 현탁 매질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현탁액이 포함된다. 상기 제형물은 단일 투여량 또는 다중 투여량 용기, 예를 들어 밀폐된 앰플 및 바이알로 투여될 수 있으며, 냉동 건조 (동결건조) 상태로 보관될 수 있어, 사용 직전에 멸균 담체 액체, 예를 들어 주입 목적용 물을 첨가하기만 하면 된다. 레시피에 따라 제조되는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체적으로 언급된 구성성분에 부가하여, 상기 제형물들은 또한 특정 유형의 제형물에 대해 당 분야에서 통상적인 기타 시약을 포함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물은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인간 또는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치료가 필요한 정확한 질병 상태, 및 그의 경중도, 제형물의 성질 및 투여 방법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에 따라 달라지며, 궁극적으로는 치료의 또는 치료 수의사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수용자 (포유류) 의 체중 1 kg 당 0.1 내지 100 mg, 특히 전형적으로는 하루에 체중 1 kg 당 1 내지 10 mg 이다. 따라서, 체중이 70 kg 인 성체 포유류에 대한 1 일 당 실제량은 통상적으로 70 내지 700 mg 이며, 이 양은 1 일 당 개별 투여량으로서, 또는 통상적으로는 총 1 일 투여량이 동일해지도록 1 일 당 부분 투여량의 연속으로 (예컨대, 2, 3, 4, 5 또는 6 회) 투여될 수 있다.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생리적으로 기능적인 유도체의 유효량은 그 자체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의 분율로서 결정될 수 있다. 유사한 투여량이 상기 언급된 다른 상태의 치료에 적합한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 에 따른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유도체, 용매화물 및 입체이성질체 (이들 모든 비율의 혼합물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약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의 분리된 팩(pack)으로 이루어진 세트(키트)와 관련이 있다:
(a) 화학식 Ⅰ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유도체, 용매화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의 유효량, 및
(b) 추가적인 약제 활성 성분의 유효량.
이 세트는, 박스, 개별 병, 백 (bag) 또는 앰플과 같은 적합한 용기를 포함한다. 이 세트는, 예를 들어, 각각 화학식 Ⅰ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유도체, 용매화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의 유효량 및 용해된 또는 냉동건조된 형태의 추가적인 약제 활성 성분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분리된 앰플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 로부터의 약제는 바람직하게,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 화학식 Ⅰ의 화합물과 조합된다. 표 1 의 약제 및 화학식 I 의 조합은 또한 화학식 VI 의 화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공지된 항암제와 바람직하게 조합된다:
이러한 공지된 항암제는 하기를 포함한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모듈레이터, 안드로겐 수용체 모듈레이터, 레티노이드 수용체 모듈레이터, 세포독성제, 항증식성 제제, 프레닐-단백질 전이효소 억제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HIV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 역전사효소 억제제 및 다른 혈관신생 억제제. 본 화합물은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투여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방사선치료와 병용하여 VEGF를 억제하는 상승 효과는 전문가들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WO 00/61186 참고).
"에스트로겐 수용체 모듈레이터"는 기작에 상관없이 수용체에 에스트로겐이 결합하는 것을 방해 또는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모듈레이터의 예는 타목시펜, 랄록시펜, 이독시펜, LY 353381, LY 117081, 토레미펜, 풀베스트란트, 4-[7-(2,2-디메틸-1-옥소프로폭시-4-메틸-2-[4-[2-(1-피페리디닐)에톡시]페닐]-2H-1-벤조피란-3-일]페닐 2,2-디메틸프로파노에이트,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 및 SH646 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안드로겐 수용체 모듈레이터"는 기작에 상관없이 수용체에 안드로겐이 결합하는 것을 방해 또는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안드로겐 수용체 모듈레이터의 예는 피나스테라이드 및 다른 5α-환원효소 억제제, 닐루타미드, 플루타미드, 비칼루타미드, 리아로졸 및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레티노이드 수용체 모듈레이터"는 기작에 상관없이 수용체에 레티노이드가 결합하는 것을 방해 또는 억제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레티노이드 수용체 모듈레이터의 예는 벡사로틴, 트레티노인, 13-시스-레티노산, 9-시스-레티노산, α-디플루오로메틸오르니틴, ILX23-7553, 트랜스-N-(4'-히드록시페닐)레틴아미드 및 N-4-카르복시페닐레틴아미드를 포함한다.
"세포독성제"는 알킬화 제제, 종양 괴사 인자, 층간삽입제, 마이크로튜블린 억제제 및 국소이성화효소(topoisomerase)를 포함하는, 주로 세포 기능에 직접 작용하여 또는 세포 분열을 억제 또는 방해하여 세포 사멸을 야기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세포독성제의 예는, 티라파지민, 세르테네프, 카켁틴, 이포스파미드, 타소네르민, 로니다민, 카르보플라틴, 알트레타민, 프레드니무스틴, 디브로모둘시톨, 라니무스틴, 포테무스틴, 네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테모졸로미드, 헵타플라틴, 에스트라무스틴, 임프로설판 토실레이트, 트로포스파미드, 니무스틴, 디브로스피듐 클로라이드, 푸미테파, 로바플라틴, 사트라플라틴, 프로피로마이신, 시스플라틴, 이로풀벤, 덱시포스파미드, 시스-아민디클로로(2-메틸피리딘)플라티늄, 벤질구아닌, 글루포스파미드, GPX100, (트랜스,트랜스,트랜스)비스-뮤-(헥산-1,6-디아민)뮤-[디아민플라티늄(Ⅱ)]비스[디아민(클로로)플라티늄(Ⅱ)] 테트라클로라이드, 디아리시디닐스페르민, 비소 트리옥사이드, 1-(11-도데실아미노-10-히드록시운데실)-3,7-디메틸잔틴, 조루비신, 이다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비산트렌, 미톡산트론, 피라루비신, 피나피데, 발루비신, 암루비신, 안티네오플라스톤, 3'-데-아미노-3'-모르폴리노-13-데옥소-10-히드록시카르미노마이신, 아나마이신, 갈라루비신, 엘리나피데, MEN10755 및 4-데메톡시-3-데아미노-3-아지리디닐-4-메틸술포닐다우노루비신 (WO 00/50032 참고)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마이크로튜불린 억제제의 예는 파클리탁셀, 빈데신 술페이트, 3',4'-디히드로-4'-데옥시-8'-노르빈칼류코블라스틴, 도세탁솔, 리족신, 돌라스타틴, 미보불린 이세티오네이트, 아우리스타틴, 세마도틴, RPR109881, BMS184476, 빈플루닌, 크립토피신, 2,3,4,5,6-펜타플루오로-N-(3-플루오로-4-메톡시페닐)벤젠술폰아미드, 무수빈블라스틴, N,N-디메틸-L-발릴-L-발릴-N-메틸-L-발릴-L-프롤릴-L-프롤린-t-부틸아미드, TDX258 및 BMS188797 을 포함한다.
국소이성화효소 억제제의 일부 예는, 토포테칸, 히캅타민, 이리노테칸, 루비테칸, 6-에톡시프로피오닐-3',4'-O-엑소벤질리덴카르트류신, 9-메톡시-N,N-디메틸-5-니트로피라졸로[3,4,5-kl]아크리딘-2-(6H)프로판아민, 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3-디히드로-9-히드록시-4-메틸-1H,12H-벤조[데]피라노[3',4':b,7]인돌리지노[1,2b]퀴놀린-10,13(9H,15H)디온, 루르토테칸, 7-[2-(N-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20S)-캄프토테신, BNP1350, BNPI1100, BN80915, BN80942, 에토포시드 포스페이트, 테니포시드, 소부족산, 2'-디메틸아미노-2'-데옥시에토포시드, GL331, N-[2-(디메틸아미노)에틸]-9-히드록시-5,6-디메틸-6H-피리도[4,3-b]카르바졸-1-카르복사미드, 아술라크린, (5a,5aB,8aa,9b)-9-[2-[N-[2-(디메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에틸]-5-[4-히드록시-3,5-디메톡시페닐]-5,5a,6,8,8a,9-헥소히드로푸로(3',4':6,7)나프토(2,3-d)-1,3-디옥솔-6-온, 2,3-(메틸렌디옥시)-5-메틸-7-히드록시-8-메톡시벤조[c]페난트리디늄, 6,9-비스[(2-아미노에틸)아미노]벤조[g]이소퀴놀린-5,10-디온, 5-(3-아미노프로필아미노)-7,10-디히드록시-2-(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6H-피라졸로[4,5,1-데]아크리딘-6-온, N-[1-[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7-메톡시-9-옥소-9H-티옥사잔텐-4-일메틸]포름아미드, N-(2-(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리딘-4-카르복사미드, 6-[[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3-히드록시-7H-인데노[2,1-c]퀴놀린-7-온 및 디메스나이다.
"항증식성 제제"는 안티센스 RNA 및 D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예컨대 G3139, ODN698, RVASKRAS, GEM231 및 INX3001 및 항대사물질, 예컨대 에노시타빈, 카모푸르, 테가푸르, 펜토스타틴, 독시플루리딘, 트리메트렉세이트, 플루다라빈, 카펙시타빈, 갈록시타빈, 시타라빈 옥포스페이트, 포스테아빈 소듐 히드레이트, 랄티트렉세드, 팔티트렉시드, 에미테푸르, 티아조푸린, 데시타빈, 놀라트렉세드, 페메트렉세드, 넬자라빈, 2'-데옥시-2'-메틸리덴시티딘, 2'-플루오로메틸렌-2'-데옥시시티딘, N-[5-(2,3-디히드로벤조퓨릴)술포닐]-N'-(3,4-디클로로페닐)우레아, N6-[4-데옥시-4-[N2-[2(E),4(E)-테트라데카디에노일]글리실아미노]-L-글리세로-B-L-만노헵토피라노실]아데닌, 아플리딘, 엑테인아시딘, 트록사시타빈, 4-[2-아미노-4-옥소-4,6,7,8-테트라히드로-3H-피리미디노[5,4-b]-1,4-티아진-6-일-(S)에틸]-2,5-티에노일-L-글루탐산, 아미노프테린, 5-플루오로우라실, 알라노신, 11-아세틸-8-(카르바모일옥시메틸)-4-포르밀-6-메톡시-14-옥사-1,11-디아자테트라사이클로-(7.4.1.0.0)테트라데카-2,4,6-트리엔-9-일아세트산 에스테르, 스와인소닌, 로메트렉솔, 덱스라족산, 메티오닌분해효소, 2'-시아노-2'-데옥시-N4-팔미토일-1-B-D-아라비노푸라노실 시토신 및 3-아미노피리딘-2-카르복스알데히드 티오세미카르바존을 포함한다. "항증식성 제제"는 또한 예컨대 트라스투주맵과 같은 "혈관신생 억제제" 아래에 나열된 것과는 다른 성장 인자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종양 억제유전자, 예컨대 p53 를 포함하고, 이는 재조합 바이러스-매개 유전자 운반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069,134 호 참고).
종양 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종양은 편평상피, 방광, 위, 신장, 두경부, 식도, 자궁경부, 갑상선, 장, 간, 뇌, 전립선, 비뇨기관, 림프계, 위, 후두 및/또는 폐 종양의 군에서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추가적으로 종양은 폐 선암종, 소세포 폐 암종, 췌장암, 난소암, 아교모세포종, 결장 암종 및 유방 암종의 군에서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또한 혈액 및 면역계의 종양의 치료를 위한, 바람직하게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성 백혈병 및/또는 만성 림프성 백혈병의 군에서 선택된 종양의 치료를 위한 용도가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을 항증식제와 병용하여 투여함으로써 암과 같은 신생물 종양을 가지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적합한 항증식제는 표 1 에 제공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및 하기에 모든 온도는 ℃로 표시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통상적인 마무리 작업"은 하기를 의미한다: 필요시 물을 첨가하고, 필요시 최종 생성물의 구성에 따라 pH 를 2 내지 10 사이의 수치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상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증발시키고,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및/또는 결정화를 통해 정제함. Rt 값은 언급된 용리제를 이용하여 HPLC 로 측정한다.
질량 분석법(MS): EI(전자 충격 이온화) M+
FAB (고속 원자 충격법) (M+H)+
ESI (전자분무 이온화) (M+H)+
APCI-MS (대기압 화학적 이온화-질량 분석기) (M+H)+
LC/MS 방법:
용매 A: 물 + 0.1% 의 HCOOH
용매 B: 아세토니트릴 + 0.1% 의 HCOOH
유속: 2.4 ml/min
구배: 0.0 min 4% 의 B
2.6 min 100% 의 B
컬럼: Chromolith®Speed ROD RP-18e 50-4, 6 mm
HPLC 방법:
용매 A: 물 + 0.1% 의 HCOOH
용매 B: 아세토니트릴 + 0.08% 의 HCOOH
유속: 1.5 ml/min
구배: 0.0 - 0.5 min 100% 의 A
0.5 - 3.5 min 100% 의 B
3.5 - 4.5 min 100% 의 B
4.5 - 4.6 min 100% 의 A
4.6 - 5.0 min 1000% 의 A
컬럼: Si-ROD®UM9423/100, 3 mm
실시예 1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 [b][1,6] 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1", rt[min] 2.45) 의 합성을 하기 반응식과 유사하게 하여 실시한다.
Figure pct00018
a. 0.48 g (1.5 mmol) 의 1 및 0.70 g (1.5 mmol) 의 PyBroP 를 20 ml 의 DMF 중에 용해하고, 5 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1.67 ml (1.5 mmol) 의 메틸피페라진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 (RT)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다. 용매를 회전식 증발기에서 제거하고, 물 (100 ml) 로 희석하고, EA 로 2x 추출한다. 유기 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해내고 건조될때까지 증발시킨다. 제조용 HPLC 를 통해 정제하여 0.29 g (48.3%) 의 2 를 무색의 무정형 생성물로서 수득한다.
b. 0.26 g (0.65 mmol) 의 2 를 5 ml 의 THF 중에 용해하고, 2ml 의 메탄올 및 0.3 ml 의 아세트산 (100%), 0.3 g 의 5% Pd/C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2 시간 동안 수소화한다. 이어서, 촉매를 여과해내고, 용매를 진공 하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제조용 HPLC 로 정제하여, 76 mg (37.7%) 의 출발 물질 3 을 무정형 생성물로서 수득한다.
c. 0.79 g (5 mmol) 의 5-클로로-2-메톡시페닐아민을 50 ml 의 DCM 중에 용해한다. 0.7 ml (5 mmol) 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한다. 이어서, 0.42 ml (5 mmol) 의 브로모아세틸 클로라이드를 빙냉 하 적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물로 세정한다. 이어서, 유기 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 여과해 내고, 용매를 진공 하 증발시킨다. 출발 물질 (4, 1.2 g, 86%) 을 정제 없이 추가로 반응시킨다.
d. 72 mg (0.23 mmol) 의 3, 65 mg (0.23 mmol) 의 4 및 76 mg (0.23 mmol) 의 탄산세슘을 5 ml 의 DMF 중 18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물을 배치 (batch) 에 첨가하고, 이후 빙초산으로 추출한다. 유기 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 여과해내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제조용 HPLC 로 정제하여, 54 mg (46%) 의 물질 "A1" 을 무정형 생성물로서 수득한다.
"A1"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2.86 (s, 3H), 3.14 - 3.57 (m, 9H), 3.68 (m, 1H), 3.90 (m, 5H), 4.46 - 4.85 (m, 4H), 7.15 (d, 1H), 7.23 (dd, 1H), 7.77 (m, 1H), 7.83 - 8.03 (m, 2H), 8.10 (m, 1H), 8.15 (d, 1H), 10.20 (s, 1H)*
하기 화합물들을 상응하는 전구체 (3 및 4) 를 이용하여 실시예 1 과 유사하게 하여 제조한다:
(2-벤질-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타논 ("A2", rt[min] 1.63)
Figure pct00019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4-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23", rt[min] 2.37)
Figure pct00020
"A23"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1.25 (m, 3H), 2.97 - 4.05 (3m, 17H), 4.43 - 4.88 (m, 4H), 7.12 (d, 1H), 7.21 (dd, 1H), 7.74 (m, 1H), 7.80 - 8.10 (3m, 3H), 8.13 (d, 1H), 10.20 (s, 1H)*
화합물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4-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24", rt[min] 2.37)
Figure pct00021
"A24"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2.11 - 3.92 (9m, 22H ), 4.36 (t, 2H), 7.04 (d, 1H), 7.10 (dd, 1H), 7.63 (m, 2H), 7.77 (dt, 1H), 8.00 (d, 1H), 8.29 (d, 1H), 9.73 (s, 1H)
4-{2-[(5-클로로-2-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보닐}-피페라진-1-카르복실산 벤질 에스테르 ("25", rt[min] 4.08)
Figure pct00022
"A25"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3.11 (m, 3H), 3.37(m, 2H), 3.53 (m, 1H), 3.75 (m, 2H), 3.80 - 3.99 (m, 7H), 4.55 dd, 2H), 4.70 (dd, 2H), 5.07 (m, 2H), 7.05 (d, 1H), 7.15 dd, 1H), 7.30 (m, 5H), 7.78 (m, 1H), 7.90 (d, 1H), 7.98 (m, 1H), 8.09 (d, 1H), 8.18 (d, 1H), 8.33 (m, 1H), 10.12 (s, 1H)*
2-[10-(4-벤질-1,4-디아제판-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N-(5-클로로-2-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A26", rt[min] 2.83)
Figure pct00023
화합물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27", rt[min] 2.37)
Figure pct00024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4-시클로펜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28", rt[min] 2.64)
Figure pct00025
"A28"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1.43 - 2.11 (4m, 12H), 2.72 - 3.96 (6m, 12H ), 4.43 - 4.85 (m, 4H), 7.08 (d, 1H), 7.17 (m, 1H), 7.74 (m, 1H), 7.83 (m, 1H), 7.92 (m, 1H), 8.00 (m, 1H), 8.10 (d, 1H), 9.75 (s, 1H)*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4-프로필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29", rt[min] 2.48)
Figure pct00026
"A29"에 대한 1H-NMR (DMSO-d6):d [ppm]
0.87 (m, 3H), 1.65 (m, 2H), 2.93 - 3.97 (5m, 17H ), 4.47 - 4.82 (m, 4H), 7.08 (d, 1H), 7.17 (m, 1H), 7.75 (m, 1H), 7.86 (m, 1H), 7.93 (m, 1H), 8.04 (m, 1H), 8.13 (d, 1H), 9.78 (s, 1H)*
2-[10-(4-벤질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N-(5-클로로-2-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A30", rt[min] 3.01)
Figure pct00027
{2-[(5-클로로벤조푸란-7-일아미노)-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타논 ("A57", rt[min] 2.40)
Figure pct00028
4-클로로-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메틸}-아미노)-벤조니트릴 ("A58", rt[min] 2.27)
Figure pct00029
4-클로로-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메틸}-아미노)-벤조산 메틸 에스테르 ("A59", rt[min] 2.75)
Figure pct00030
N-(5-클로로-2-이소프로폭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60", rt[min] 2.88)
Figure pct00031
N-[5-클로로-2-(2-히드록시에톡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61", rt[min] 2.16)
Figure pct00032
N-(5-플루오로-2-메톡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62", rt[min] 2.24)
Figure pct00033
4-클로로-2-(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틸아미노)-벤조산 ("A63", rt[min] 2.27)
Figure pct00034
N-[3-클로로-4-(2-옥소피롤리딘-1-일)-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64", rt[min] 1.95)
Figure pct00035
N-[3-클로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65", rt[min] 1.87)
Figure pct00036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4-(2-피페리딘-1-일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66", rt[min] 2.61)
Figure pct00037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4-(2-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67", rt[min] 2.53)
Figure pct00038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4-(2-모르폴린-4-일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68", rt[min] 2.48)
Figure pct00039
N-(5-브로모-2-메톡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69", rt[min] 2.53)
Figure pct00040
1-(6-클로로-2,3-디히드로벤조-1,4-옥사진-4-일)-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에타논 ("A70", rt[min] 2.21)
Figure pct00041
N-(5-클로로-2,4-디메톡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71", rt[min] 2.38)
Figure pct00042
N-(3-클로로-4-메톡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72", rt[min] 2.31)
Figure pct00043
N-(3-클로로-4-메틸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73", rt[min] 2.44)
Figure pct00044
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74", rt[min] 2.43)
Figure pct00045
N-(2,5-디클로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75", rt[min] 2.42)
Figure pct00046
N-(3,4-디클로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76", rt[min] 2.52)
Figure pct00047
N-(3-클로로-2-플루오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77", rt[min] 2.38)
Figure pct00048
N-(5-클로로-2-플루오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78", rt[min] 2.35)
Figure pct00049
N-(5-클로로벤조옥사졸-7-일)-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79", rt[min] 2.21)
Figure pct00050
N-(3,5-디클로로-2-메톡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80", rt[min] 2.46)
Figure pct00051
N-(5-클로로-2-옥소-2,3-디히드로벤조옥사졸-7-일)-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81", rt[min] 2.11)
Figure pct00052
N-(6-클로로-3H-벤조트리아졸-4-일)-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82", rt[min] 2.14)
Figure pct00053
실시예 2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7") 의 합성을 하기 반응식과 유사하게 하여 실시한다:
Figure pct00054

"A7"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3.07 (m, 4H), 3.43-3.59 (m, 4H), 3.77 (dt, 2H), 3.82 - 3.95 (m, 5H), 4.50-4.64 (m, 3H), 4.78 (m, 1H), 7.15 (d, 1H), 7.23 (dd, 1H), 7.81 (m, 1H), 7.91 (d, 1H), 7.99 (m, 1H), 8.16 (m, 2H), 10.08 (s, 1H)*
하기 화합물을 상응하는 전구체 (8) 을 이용하여 실시예 2 와 유사하게 하여 제조한다:
(2-벤질-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모르폴린-4-일메타논 ("A8", rt[min] 1.80)
Figure pct00055
"A8"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2.89 - 3.05 (m, 3H), 3.38 - 3.53 (m, 3H), 3.60 (m, 1H), 3.73 - 3.93 (m, 5H), 4.28 (m, 1H), 4.58 (dd, 2H), 4.72 (d, 1H), 7.52 (m, 3H), 7.62 (m, 2H), 7.73 (t, 1H), 7.80 (d, 1H), 7.91 (dt, 1H), 8.10 (d, 1H)*
N-(3-클로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9", rt[min] 2.96)
Figure pct00056
N-(2-메톡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10", rt[min] 2.85)
Figure pct00057
N-(5-클로로-2-메틸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11", rt[min] 3.07)
Figure pct00058
"A11"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2.24 (s, 3H), 3.08 (m, 2H), 3.51 (m, 2H), 3.70 - 3.97 (m, 8H), 4.55 (dd, 2H), 4.72 (dd, 2H), 7.20 (d, 1H), 7.28 (d, 1H), 7.65 (s, 1H), 7.76 (t, 1H), 7.87 (d, 1H), 7.94 (t, 1H), 8.13 (d, 2H), 9.05 (s, 1H)*
N-(2-메톡시-5-메틸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12", rt[min] 3.07)
Figure pct00059
N-(5-브로모-2-메톡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13", rt[min] 3.39)
Figure pct00060
"A13"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3.07 (m, 4H), 3.43-3.58 (m, 4H), 3.76 (m, 2H), 3.81 - 3.99 (m, 5H), 4.47 -4.79 (m, 4H), 7.06 (d, 1H), 7.32 (dd, 1H), 7.76 (m, 1H), 7.86 (d, 1H), 7.94 (m, 1H), 8.14 (d, 1H), 8.23 (m, 1H), 10.08 (s, 1H)*
N-(4-메톡시비페닐-3-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14", rt[min] 3.71)
Figure pct00061
"A14"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3.09 (m, 4H), 3.46-3.62 (m, 2H), 3.74 (m, 2H), 3.79 - 4.00 (m, 7H), 4.58 dd, 2H), 4.73 (dd, 2H), 7.20 (d, 1H), 7.32 (m, 1H), 7.44 (m, 3H), 7.58 (m, 2H), 7.76 (m, 1H), 7.86 (d, 1H), 7.94 (m, 1H), 8.14 (d, 1H), 8.33 (m, 1H), 10.11 (s, 1H)*
N-(5-클로로-2-에톡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41")
Figure pct00062
N-(5-브로모벤조푸란-7-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43", rt[min] 3.36)
Figure pct00063
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N-(2-트리플루오로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A44", rt[min] 3.92)
Figure pct00064
N-벤조푸란-7-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45", rt[min] 2.80)
Figure pct00065
N-(2,3-디히드로벤조푸란-7-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46", rt[min] 2.61)
Figure pct00066
N-(4-클로로피리딘-2-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47", rt[min] 2.75)
Figure pct00067
N-(5-클로로벤조푸란-7-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48", rt[min] 3.33)
Figure pct00068
N-(5-클로로-2-이소프로폭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49", rt[min] 3.81)
Figure pct00069
N-(5-클로로피리딘-3-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50", rt[min] 2.40)
Figure pct00070
N-(5-클로로-2-메톡시피리딘-3-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51", rt[min] 3.09)
Figure pct00071
N-(5-클로로-2-에톡시피리딘-3-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52", rt[min] 3.52)
Figure pct00072
N-(4-클로로-2-히드록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53", rt[min] 2.99)
Figure pct00073
N-[5-클로로-2-(2-히드록시에톡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54", rt[min] 2.83)
Figure pct00074
하기 화합물들을 상응하는 전구체 (7 및 8) 을 이용하여 실시예2 와 유사하게 하여 제조한다:
N-(5-클로로-2-메톡시페닐)-2-[7-클로로-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15", rt[min] 3.95)
Figure pct00075
"A15"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3.09 (m, 2H), 3.53 (m, 2H), 3.77 (m, 2H), 3.84 - 3.97 (m, 9H), 4.51 - 4.85 (m, 4H), 7.14 (d, 1H), 7.22 (dd, 1H), 7.71 (dd, 1H), 7.85 (d, 1H), 8.13 (m, 2H), 10.08 (s, 1H)*
N-(5-클로로-2-메톡시페닐)-2-[6-클로로-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16", rt[min] 3.87)
Figure pct00076
"A16"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3.05 (m, 2H), 3.41 - 3.57 (m, 4H), 3.74 (m, 2H), 3.81 (m,1H), 3.84 - 3.97 (m, 6H), 4.48 - 4.82 (m, 4H), 7.10 (d, 1H), 7.18 (dd, 1H), 7.61 (t, 1H), 7.73 (d, 1H), 7.99 (dd, 1H), 8.11 (d, 1H), 10.11 (s, 1H)*
N-(5-클로로-2-메톡시페닐)-2-[7-에틸-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17", rt[min] 3.60)
Figure pct00077
"A17"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1.30 (t, 3H), 2.91 (dd, 2H), 3.08 (m, 2H), 3.46 - 3.96 (5m, 13H), 4.49 - 4.79 (m, 4H), 7.10 (d, 1H), 7.19 (dd, 1H), 7.72 (d, 1H), 7.86 (d, 1H), 8.01 (s, 1H), 8.10 (d, 1H), 10.05 (s, 1H)*
3-{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2-옥소에틸아미노}-벤조니트릴 ("A21", rt[min] 3.33)
Figure pct00078
"A21"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3.04 (m, 4H), 3.19 (m, 2H), 3.36 - 3.55 (m, 4H), 3.68 - 3.93 (m, 12H), 6.86 (d,1H), 7.06 (d, 1H), 7.12 (dd, 1H), 7.42 (d, 1H), 7.92 (d, 1H), 8.28 (d, 1H), 9.70 (s, 1H)
2-[6-브로모-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N-(5-클로로-2-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A40")
Figure pct00079
2-[7-브로모-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N-(5-클로로-2-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A42", rt[min] 3.84)
Figure pct00080
1-(6-클로로-2,3-디히드로인돌-1-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에타논 ("A83", rt[min] 2.67)
Figure pct00081
1-(3,4-디히드로-2H-퀴놀린-1-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에타논 ("A84", rt[min] 2.52)
Figure pct00082
1-(2,3-디히드로벤조-1,4-옥사진-4-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에타논 ("A85", rt[min] 2.37)
Figure pct00083
N-(5-클로로-2-메톡시페닐)-N-메틸-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86", rt[min] 2.51)
Figure pct00084
N-(5-클로로-2-메톡시페닐)-N-메틸-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A87", rt[min] 2.46)
Figure pct00085

실시예 3
3-(2,4-디클로로페닐)-1-[10-(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프로판-1-온 ("A31", rt[min] 2.75) 의 합성
Figure pct00086
0.17 g (0.5 mmol) 의 3 (이 합성은 실시예 1 에 기술됨), 0.11g (0.5 mmol) 의 2,4-디클로로페닐프로피온산, 96 mg (0.5 mmol) 의 N-(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68 mg (0.5 mmol) 의 HOBt 및 0.07 ml (0.5 mmol) 의 트리에틸아민을 5 ml 의 DMF 중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용매를 회전식 증발기에서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수성 Na2CO3 용액 및 EA 중에 녹이고, 교반함으로써 추출한다. 유기 상을 분리해내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해내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1n HCl 중에 용해하고, 냉동 건조시켜, 0.18 g (66%) 의 6 을 무색 무정형 생성물로서 수득한다.
하기 화합물들을 상응하는 전구체 (9) 를 이용하여 실시예 3 과 유사하게 하여 제조한다:
1-[10-(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2-페닐아미노에타논 ("A3", rt[min] 2.11)
Figure pct00087
2-(2-클로로-5-메톡시페닐아미노)-1-[10-(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에타논 ("A4", rt[min] 2.53)
Figure pct00088
4-{2-[10-(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2-옥소에틸아미노}-벤조니트릴 ("A5", rt[min] 2.11)
Figure pct00089
3-{2-[10-(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2-옥소에틸아미노}-벤조니트릴 ("A6", rt[min] 2.21)
Figure pct00090
3-(2,5-디메톡시페닐)-1-[10-(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프로판-1-온 ("A32", rt[min] 2.27)
Figure pct00091
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1-[10-(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프로판-1-온 ("A33", rt[min] 2.59)
Figure pct00092
"A33"에 대한 1H-NMR (DMSO-d6):d [ppm]
2.74 - 2.95 (m, 8H), 3.05 (m, 1H), 3.15 - 3.52 (m, 6H), 3.66 (m, 1H), 3.90(m, 1H), 4.06(m, 1H), 4.67 - 5.02 (m, 3H), 7.16 (m, 1H), 7.25 (m, 1H), 7.35 (m, 1H) 7.90 (t, 1H), 7.99 - 8.15 (m, 2H), 8.24 (d, 1H)*
실시예 4
3-(2,4-디클로로페닐)-1-[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프로판-1-온 ("A35", rt[min] 3.81) 의 합성
Figure pct00093
"A35"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2.85 (m, 2H), 3.00 (m, 2H), 3.16 (m, 3H), 3.41 - 3.60 (m, 3H) 3.69 - 4.09 (m, 6H), 4.69 - 4.95 (m, 2H), 7.34 (m, 1H), 7.44 (m, 1H), 7.53 (m, 1H) 7.97 (t, 1H), 8.07 (d, 1H), 8.15 (t, 1H), 8.28 (d, 1H)*
하기 화합물들을 상응하는 전구체 (10) 을 이용하여 실시예 4 와 유사하게 하여 제조한다:
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1-[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프로판-1-온 ("A34", rt[min] 3.63)
Figure pct00094
1-[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2-페닐아미노에타논 ("A18", rt[min] 3.04)
Figure pct00095
4-{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2-옥소에틸아미노}-벤조니트릴 ("A19", rt[min] 3.04)
Figure pct00096
3-{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2-옥소에틸아미노}-벤조니트릴 ("A20", rt[min] 3.15)
Figure pct00097
3-(2,5-디메톡시페닐)-1-[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프로판-1-온 ("A22", rt[min] 3.65)
Figure pct00098
3-(2,5-디메톡시페닐)-1-[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프로판-1-온 ("A36", rt[min] 3.20)
Figure pct00099
"A36"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2.69 - 2.85 (m, 5H), 3.12 (m, 2H), 3.30 - 3.58 (m, 5H), 3.59 - 3.77 (m, 6H), 3.77 - 4.04 (m, 4H), 4.64 - 4.88 (m, 2H), 6.63 - 6.90 (m, 3H), 7.93 (t, 1H), 8.02 (d, 1H), 8.12 (t, 1H), 8.23 (d, 1H)*
3-(3-클로로페닐)-1-[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프로판-1-온 ("A37", rt[min] 3.55)
Figure pct00100
"A37"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2.83 - 2.98 (m, 5H), 3.11 - 3.24 (m, 3H), 3.41 - 3.60 (m, 2H), 3.72 - 4.10 (m, 6H), 4.71 - 4.98 (m, 2H), 7.20 - 7.38 (m, 4H), 7.96 (t, 1H), 8.08 (d, 1H), 8.16 (t, 1H), 8.31 (d, 1H)*
3-(3,4-디클로로페닐)-1-[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프로판-1-온 ("A38", rt[min] 3.71)
Figure pct00101
1-[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3-페닐프로판-1-온 ("A39", rt[min] 3.20)
Figure pct00102
"A39" 에 대한 1H-NMR (DMSO-d6):d [ppm]
2.76 - 2.93 (m, 5H), 3.04 - 3.20 (m, 2H), 3.35 - 3.58 (m, 3H), 3.63 - 4.04 (m, 6H), 4.64 - 4.90 (m, 2H), 7.12 - 7.30 (m, 5H), 7.93 (t, 1H), 8.03 (d, 1H), 8.12 (t, 1H), 8.30 (d, 1H)*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2-옥소아세트아미드 ("A55", rt[min] 3.73)
Figure pct00103

하기 화합물들을 상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하여 당업자가 제조할 수 있다:
HPLC 방법:
용매 A: 물 + 0.05% 의 HCOOH
용매 B: 아세토니트릴 + 0.04% 의 HCOOH
유속: 2.0 ml/min
구배: 0.0 - 0.5 min 99% 의 A
0.2 - 3.8 min 100% 의 B
3.8 - 4.4 min 100% 의 B
4.4 - 5.0 min 100% 의 A
컬럼: Si-ROD®UM9423/100, 3 mm
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N-(1-메틸-1H-피라졸-4-일)-아세트아미드 ("B1", rt[min] 2.08)
Figure pct00104
2-(4-클로로페닐)-2-(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틸아미노)-N-메틸아세트아미드 ("B2", rt[min] 2.03)
Figure pct00105
2-(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틸아미노)-N-메틸-2-페닐아세트아미드 ("B3", rt[min] 1.66)
Figure pct00106
N-(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B4", rt[min] 2.75)
Figure pct00107
N-(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B5", rt[min] 3.73)
Figure pct00108
N-(1H-벤조트리아졸-5-일)-2-[(5-클로로-2-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22", rt[min] 4.19)
Figure pct00109
{2-[2-(3-클로로페닐)-2H-피라졸-3-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모르폴린-4-일메타논 ("B23", rt[min] 3.28)
Figure pct00110
N-(5-브로모-3-플루오로-2-메톡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B24", rt[min] 3.71)
Figure pct00111
N-(4'-아미노-5-플루오로-4-메톡시비페닐-3-일)-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B35", rt[min] 3.07)
Figure pct00112
하기 HPLC 방법을 하기 화합물들에 적용한다:
용매 A: 물 + 0.05% 의 HCOOH
용매 B: 아세토니트릴 + 0.04% 의 HCOOH
유속: 2.0 ml/min
구배: 0.0 - 0.5 min 99% 의 A
0.2 - 3.8 min 100% 의 B
3.8 - 4.4 min 100% 의 B
4.4 - 5.0 min 100% 의 A
컬럼: Si-ROD®UM9423/100, 3 mm
{2-[2-(1H-벤조이미다졸-2-일)-에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타논 ("B6", rt[min] 3.39)
Figure pct00113
[2-(1H-벤조이미다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타논 ("B7", rt[min] 2.08)
Figure pct00114
N-(5-클로로벤조티아졸-7-일)-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B8", rt[min] 2.20)
Figure pct00115
아세트산 4-클로로-2-(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틸아미노)-벤질 에스테르 ("B9", rt[min] 2.33)
Figure pct00116
N-(5-클로로-2-히드록시메틸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B10", rt[min] 2.20)
Figure pct00117
{2-[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타논 ("B11", rt[min] 2.30)
Figure pct00118
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N-페닐아세트아미드 ("B12", rt[min] 2.04)
Figure pct00119
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N-(2-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페닐)-아세트아미드 ("B13", rt[min] 2.36)
Figure pct00120
{2-[2-(5-클로로-2-메톡시페닐아미노)-에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타논 ("B14", rt[min] 2.21)
Figure pct00121
[2-(6-클로로-1H-벤조이미다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타논 ("B15", rt[min] 2.12)
Figure pct00122
1-(4-클로로벤질)-3-{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에틸}-우레아 ("B16", rt[min] 2.37)
Figure pct00123
N-(5-클로로-2-메틸술파닐페닐)-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B17", rt[min] 2.42)
Figure pct00124
[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2-(5-메틸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메타논 ("B18", rt[min] 2.03)
Figure pct00125
N-(1-메틸피페리딘-4-일)-2-(4-클로로-3H-이미다조[4,5-c]피리딘-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19", rt[min] 2.02)
Figure pct00126
N-(1-메틸피페리딘-4-일)-2-[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20", rt[min] 2.35)
Figure pct00127
N-비페닐-3-일-2-{10-[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B21", rt[min] 2.37)
Figure pct00128
N-(1-메틸피페리딘-4-일)-2-[2-(5-플루오로-2-메톡시페닐)-1H-이미다졸-4-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25", rt[min] 2.05)
Figure pct00129
N-(1-메틸피페리딘-4-일)-2-(5-클로로벤조티아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26", rt[min] 2.35)
Figure pct00130
N-(1-메틸피페리딘-4-일)--2-[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27", rt[min] 2.35)
Figure pct00131
N-(1-메틸피페리딘-4-일)--2-(7-클로로-1H-벤조이미다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28", rt[min] 2.11)
Figure pct00132
N-(2-디메틸아미노에틸)--2-[5-(5-클로로-2-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29", rt[min] 2.33)
Figure pct00133
[5-(5-클로로-2-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메틸]-[2-({2-[5-(5-클로로-2-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보닐}-아미노)-에틸]-디메틸암모늄 ("B30", rt[min] 2.57)
Figure pct00134
N-(2-메톡시에틸)--2-[5-(5-클로로-2-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31", rt[min] 2.68)
Figure pct00135
N-에틸-2-[5-(5-클로로-2-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32", rt[min] 2.71)
Figure pct00136
N-(1-메틸피페리딘-4-일)-2-[5-(5-클로로-2-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33", rt[min] 2.31)
Figure pct00137
N-(1-메틸피페리딘-4-일)-2-{2-[N'-(5-클로로-2-메톡시벤조일)-히드라지노]-2-옥소에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34", rt[min] 2.10)
Figure pct00138
(2-{2-[5-(5-클로로-2-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에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모르폴린-4-일메타논 ("B36", rt[min] 2.51)
Figure pct00139
N-(1-메틸피페리딘-4-일)-2-[2-(2-아미노-5-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에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37", rt[min] 2.03)
Figure pct00140
N-(1-메틸피페리딘-4-일)-2-[3-(5-클로로-2-메톡시페닐)-프로피오닐]-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38", rt[min] 2.42)
Figure pct00141
2-[5-(5-클로로-2-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39", rt[min] 2.55)
Figure pct00142
N-(1-메틸피페리딘-4-일)--2-[(E)-3-(5-클로로-2-메톡시페닐)-아크릴오일]-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40", rt[min] 2.51)
Figure pct00143
5-클로로-2-메톡시벤질 10-(1-메틸피페리딘-4-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카르복실레이트 ("B41", rt[min] 2.44)
Figure pct00144
N-(2-플루오로에틸)-2-[(5-클로로-2-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42", rt[min] 2.74)
Figure pct00145
N-(테트라히드로피란-4-일)-2-[(5-클로로-2-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43, rt[min] 2.68)
Figure pct00146
N-(1-메틸피페리딘-4-일)-2-[1-(5-클로로-2-메톡시페닐)-2-옥소피롤리딘-3-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44", rt[min] 2.14)
Figure pct00147
N-(5-클로로-2-메톡시페닐)-2-[10-(4-디메틸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아세트아미드 ("B45", rt[min] 2.42)
Figure pct00148
N-(1-메틸피페리딘-4-일)-2-((S)-7-클로로-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46", rt[min] 2.23)
Figure pct00149
N-(2-옥소피페리딘-3-일)-2-[(5-클로로-2-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47", rt[min] 2.58)
Figure pct00150
N-(1-메틸피페리딘-4-일)-2-(6-클로로크로만-3-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48", rt[min] 2.23)
Figure pct00151
N-(1-메틸피페리딘-4-일)-2-(6-클로로-2H-크로멘-3-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49", rt[min] 2.23)
Figure pct00152
N-(1-메틸피페리딘-4-일)-2-(6,8-디클로로-2-옥소-2H-크로멘-3-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50", rt[min] 2.49)
Figure pct00153
1-(5-클로로-2-히드록시페닐)-2-[10-(모르폴린-4-카르보닐)-3,4-디히드로-1H-벤조[b][1,6]나프티리딘-2-일]-에타논 ("B51", rt[min] 2.50)
Figure pct00154
[2-(2-클로로피리딘-4-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모르폴린-4-일메타논 ("B52", rt[min] 1.87)
Figure pct00155
N-피페리딘-3-일-2-[(5-클로로-2-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53", rt[min] 2.35)
Figure pct00156
N-(1-메틸피페리딘-4-일)-2-[2-(5-브로모-2-메톡시페닐)-티아졸-4-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54", rt[min] 2.31)
Figure pct00157
N-(1-메틸피페리딘-4-일)--2-[2-(5-브로모-2-메톡시페닐)-티아졸-4-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55", rt[min] 2.56)
Figure pct00158
{2-[2-(5-클로로-2-메톡시페닐)-피리딘-4-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일}-모르폴린-4-일메타논 ("B56", rt[min] 2.60)
Figure pct00159
N-(1-메틸피페리딘-4-일)-2-(5,7-디클로로-8-히드록시퀴놀린-2-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벤조[b][1,6]나프티리딘-10-카르복사미드 ("B57", rt[min] 2.45)
Figure pct00160
약리학 데이타
오토탁신 억제 (효소 시험)
표 1
Figure pct00161
Figure pct00162
표 2
Figure pct00163
실시예 A: 오토탁신 시험 (효소 시험)
시험 기술
오토탁신 활성을 Amplex Red 시약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여기에서 Amplex Red 는 형성된 H2O2 에 대한 형광발생 인자 지시계로서 측정된다. 자세하게는, 오토탁신은 기질인 리소포스파티딜콜린 (LPC) 을 포스포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산 (LPA) 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반응 후, 포스포콜린은 알칼리 포스파타아제와 반응하여 무기 포스페이트 및 콜린을 생성시킨다. 다음 단계에서, 콜린은 콜린 옥시다아제에 의해 산화되어 H2O2 의 형성과 함께 베타인을 생성한다. H2O2 를 Amplex Red 시약과 퍼록시다아제 (양고추냉이 퍼록시다아제) 의 존재하에서 1 : 1 화학양으로 반응시켜, 고도의 형광 레조루핀 (resorufin) 을 형성시킨다. 반응과는 무관한 혹시 다른 형광 물질로부터의 형광 시그널을 제거 정정할 수 있도록, 형광을 반응-의존형 운동 (kinetic) 모드로 측정한다.
시험 절차
최고 7.7% 의 DMSO 와의 20mM Hepes pH 7.2 중에 각 농도로 용해된 1.5 ㎕ 의 표준 용액 또는 시험 물질 (A(n) 의 명칭을 지닌 물질) 을, 22℃ 에서 30 분 동안, 384 웰이 제공된 블랙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서, 고정제 재조합 오토탁신 10 ㎕ (16 ng) 과 함께 예비-인큐베이션한다. 이어서, 5㎕ 의 L-α-리소포스파티딜콜린 (LPC) 의 첨가에 의해 반응을 개시하는데, 이때의 LPC 의 최종 농도는 75μM 이다. 혼합물을 37℃ 에서 9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인큐베이션 후, Amplex Red 시약, 퍼록시다아제 (양고추냉이 퍼록시다아제) 및 콜린 옥시다아제를 첨가하고, 형광을 "Tecan Ultra multimode" 판독기로 485 nm 의 여기로 612 nm 에서 즉각 측정한다. 오토탁신의 활성을 형성된 H2O2 의 검출을 통해 간접적으로 산출한다.
물질: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PS 마이크로플레이트, 384 웰, 적은 부피, black Corning, Cat#3677
단백질: 재조합 오토탁신 (Baculovirale Hi5 Expression)
기질: L-α-리소포스파티딜콜린 (계란)); Avanti Polar Lipids # 830071P
표준: C14 LPA, Avanti Polar Lipids, Cat# 857120P
검출 시약: Amplex Red 시약; Invitrogen # A12222; Sigma # P6782 의1.923 ml 의 DMSO 퍼록시다아제 유형 VI-A (양고추냉이) 중 용해; 7.45 ml 의 시험 버퍼 중 용해, 콜린 옥시다아제; Sigma # C5896; 2.47 ml 의 시험 버퍼 중 용해
검출 시약 혼합: 시험 버퍼 중 Amplex Red 1:100 희석
시험 버퍼: 200 mM Tris HCl, Merck, Cat # 1.08219, pH 7.9,
0.1% 의 BSA, 무(無)지질, Roche Cat#775835
하기 실시예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B: 주사 바이알
2 차 증류수 (bidistilled water) 3 L 중의 화학식 I 의 활성 성분 100 g 및 디소듐 히드로겐포스페이트 5 g 의 용액을, 2N 염산을 사용하여 pH 6.5 로 조정, 멸균 여과하고, 주사 바이알로 옮긴 후, 멸균 조건 하에 동결건조하고 멸균 조건 하에 밀봉한다. 각각의 바이알에는 5 mg 의 활성 성분이 포함된다.
실시예 C: 좌제
대두 레시틴 100 g 및 코코아 버터 1400 g 과 화학식 I 의 활성 성분 20 g 의 혼합물을 용융시켜, 금형에 부어 넣고, 냉각되게 한다. 각각의 좌제에는 20 mg 의 활성 성분이 포함된다.
실시예 D: 용액
940 ml 의 2 차 증류수 중 1 g 의 화학식 I 의 활성 성분, 9.38 g 의 NaH2PO4ㆍ2H20, 28.48 g 의 Na2HPO4ㆍ12H20 및 0.1 g 의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로부터 용액을 제조한다. pH 를 6.8 로 조정하고, 용액을 1 ℓ로 만들어 조사하여 멸균시킨다. 상기 용액은 점안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E: 연고
500 mg 의 화학식 I 의 활성 성분을 무균 조건 하에서 99.5 g 의 바셀린과 혼합한다.
실시예 F: 정제
1 kg 의 화학식 I 의 활성 성분, 4 kg 의 락토오스, 1.2 kg 의 감자 전분, 0.2 kg 의 탈크 및 0.1 kg 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식으로 압착시켜, 각각의 정제가 10 mg 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정제를 수득한다.
실시예 G: 당의정
정제를 실시예 E 와 유사하게 압착시킨 후, 수크로오스, 감자 전분, 탈크, 트래거캔스 및 염료 코팅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코팅한다.
실시예 H: 캡슐
2 kg 의 화학식 I 의 활성 성분을, 각각의 캡슐이 20 mg 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도록 통상의 방식으로 경질 젤라틴 캡슐 내로 도입한다.
실시예 I: 앰플
60 ℓ의 2 차 증류수 중 1 kg 의 화학식 I 의 활성 성분의 용액을 멸균 여과하고, 앰플 내로 옮겨서 멸균 조건 하에 동결 건조하고 멸균 조건 하에 밀봉한다. 각각의 앰플에는 10 mg 의 활성 성분이 포함된다.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
    Figure pct00164

    [식 중,
    D 는 Ar 또는 Het1를 나타냄,
    Het1 은 미치환, 또는 Hal, A, OA, Ar, OH 및 또는 =O 로 단일-, 이- 또는 삼치환될 수 있는, 1 내지 4 개의 N, O 및/또는 S 원자를 갖는 모노- 또는 바이시클릭,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냄,
    R1 은 각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H, Hal, OA, OH, A, 페닐 또는 CN 으로, 단일-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
    Het2 은 미치환 또는 =O 로 단일- 또는 이치환될 수 있는, 1 내지 3 개의 N 및/또는 O 원자를 갖는 모노시클릭, 포화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냄,
    R4 는 각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H, Hal, OA, OH, A 로, 단일-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
    X, Y 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부재이거나 또는 -CH2-, -(CH2)2-, -CO- 또는 -CHOH- 을 나타내며, 이때 라디칼 X 또는 Y 중 단지 하나만이 부재일 수 있음,
    R2, R3 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R 을 나타내고; R2 와 R3 은 함께 또한 2-6 개의 C 원자를 갖는 알킬 사슬을 나타내고, 이때 추가로 하나의 CH2 기는 O, NH 또는 NA' 로 대체될 수 있음,
    A' 은 1-6 개의 C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CH2CH2OH, COO(CH2)nAr, (CH2)nAr, (CH2)nHet2, (CH2)nNA2 또는 Cyc 을 나타냄,
    R5 은 H, Hal, NH2, OH, OA 또는 A 일 수 있음,
    R 은 H, A, Cyc, (CH2)nAr 또는 (CH2)nHet 로, 단일- 또는 다치환됨,
    Z 은 O, NH, -CH(CONHA)NH-, CH2NHCONH, -CH=CH- 을 나타내거나 또는 부재임,
    Cyc 는 3-7 개의 C 원자를 갖는 시클릭 알킬을 나타냄,
    A 는 1-10 개의 C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이때 1-7 개의 H 원자는 OR, CN, NR2, F 및/또는 Cl 로 대체될 수 있고, 및/또는 1 또는 2 개의 비인접 CH2 기는 O, NH, S, SO, SO2 및/또는 CH=CH 기로 대체될 수 있음) 또는,
    3-7 개의 C 원자를 갖는 시클릭 알킬을 나타냄,
    Ar 은 페닐, 인다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Hal, A, (CR2)nOR, O(CR2)nAr2, (CR2)nNR2, SR, NO2, CN, COOR, CONR2, NRCOA, NRSO2A, SO2NR2, S(O)mA, CO-Het, (CR2)nHet, O(CR2)nNR2, O(CR2)nHet, NHCOOA, NHCONR2, NHCOO(CR2)nNR2, NHCOO(CR2)nHet, CR=CRAr2, SO2Het, NHCONH(CR2)nNR2, NHCONH(CR2)nHet, OCONH(CR2)nNR2, CONH(CR2)nHet, CONR(CR2)nNR2, CONR(CR2)nHet 및/또는 COA 로 단일-, 이-, 삼-, 사- 또는 오치환됨,
    Het 은 1 내지 4 개의 N, O 및/또는 S 원자를 갖는 모노-, 바이-, 또는 트리시클릭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 미치환 또는 Hal, A, Ar2, O(CR2)nAr2, (CR2)nOR, (CR2)nNR2, SR, NO2, CN, COOR, CONR2, NRCOA, NRSO2A, SO2NR2, S(O)qA, CO-Het2, (CR2)nHet2, O(CR2)nNR2, O(CR2)nHet2, NHCOOA, NHCONR2, NHCOO(CR2)nNR2, NHCOO(CR2)nHet2, NHCONH(CR2)nNR2, NHCONH(CR2)nHet2, OCONH(CR2)nNR2, OCONH(CR2)nHet2, CO-Het2, CHO, COA, =S, =NH, =NA 및/또는 =O 로 단일-, 이- 또는 삼치환될 수 있음,
    Hal 은 F, Cl, Br 또는 I 을 나타냄,
    n 은 0, 1 또는 2 를 나타냄,
    m 은 0, 1, 2, 3, 4, 또는 5 를 나타냄,
    p 는 1, 2, 3, 또는 4 를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R1 은 H, Hal, CN, 페닐, OA 또는 OH 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4 은 H, Hal, A, OA 또는 OH 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유도체, 용매화물, 호변이성질체, 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 이상에 있어서,
    R5 은 H 인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 이상에 있어서,
    R2, R3 은 함께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1-메틸피페라지닐, 1-에틸-4-메틸피페라지닐, 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 1-메틸-4-프로필피페라지닐, 1-시클로펜틸-4-메틸피페라지닐, 1-벤질-4-메틸-1,4-디아제파닐 또는 1-벤질-4-메틸피페라지닐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한 항 이상에 있어서,
    Het1 은 특히 바람직하게 피페라질,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벤조-트리아질릴, 벤조푸라닐, 2,3-디히드로벤족사졸릴, 벤족사졸릴, 디히드로벤조푸라닐 또는 테트라졸릴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A 및/또는 (CH2)nAr 로 단일-, 이- 또는 삼치환되는 화합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한 항 이상에 있어서,
    Het2 은 특히 바람직하게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또는 피페라지닐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Hal, OH, OA,A 및/또는 =O 로 단일- 또는 이치환되는 화합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 이상에 있어서,
    R1 은 H, Hal, CN, 페닐, OA 또는 OH 를 나타냄;
    R4 은 H, Hal, A, OA 또는 OH 을 나타냄;
    R5 은 H 를 나타냄, 및
    R2, R3 은 함께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1-메틸피페라지닐, 1-에틸-4-메틸피페라지닐, 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 1-메틸-4-프로필피페라지닐, 1-시클로펜틸-4-메틸-피페라지닐, 1-벤질-4-메틸-1,4-디아제파닐 또는 1-벤질-4-메틸피페라지닐을 나타냄,
    Het1 은 특히 바람직하게 피페라질,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리딜, 피리미디닐, 트리아졸릴, 벤조트리아질릴, 벤조푸라닐, 2,3-디히드로벤족사졸릴, 벤족사졸릴, 디히드로벤조푸라닐 또는 테트라졸릴을 나타내며,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A 및/또는 (CH2)nAr 로 단일-, 이- 또는 삼치환됨,
    Het2 은 특히 바람직하게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또는 피페라지닐로, 이들 각각은 미치환, 또는 Hal, OH, OA,A 및/또는 =O 로 단일- 또는 이치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
    Figure pct00165

    Figure pct00166

    Figure pct00167

    Figure pct00168

    Figure pct00169

    Figure pct00170

    Figure pct00171

    Figure pct00172

    Figure pct00173

    Figure pct00174

    Figure pct00175

    Figure pct00176

    Figure pct00177

    Figure pct00178

    Figure pct00179

    Figure pct00180

    Figure pct00181

    Figure pct00182
    .
  10. 화학식 I 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화학식 II 의 화합물:
    Figure pct00183

    [식 중, R2, R3, R4, R5 및 p 는 제 1 항에 나타낸 의미를 지님]
    을, 하기 화학식 III 또는 IV 의 화합물:
    Figure pct00184

    [식 중, R1, m, D, Z, X 및 Y 는 제 1 항에서 나타낸 의미를 지니고, L 은 할로겐,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또는 트리플레이트임] 과 반응시키는 것,
    및/또는 화학식 I 의 염기 또는 산을 이의 염 중 하나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하나 이상의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따른 화학식 I 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 모든 비율의 혼합물, 및 임의로는 부형제 및/또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약제.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호변이성질체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모든 비율의 혼합물의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또는 리소포스포리파아제 오토탁신의 억제, 조절 및/또는 조정이 역할을 하는 질병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용도.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따른 화합물의 암 질병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 제조를 위한 용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암 질병이 편평상피, 방광, 위, 신장, 두경부, 식도, 자궁경부, 갑상선, 장, 간, 뇌, 전립선, 비뇨기관, 림프계, 위, 후두 및/또는 폐 종양의 군으로부터의 종양과 연관되는 용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종양이 단구성 백혈병, 폐 선암종, 소세포 폐 암종, 췌장암, 난소 암종, 아교모세포종 및 유방 암종 및 결장 암종의 군에서 유래하는 용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치료될 질병이 혈액 및 면역계의 종양인 용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종양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성 백혈병 및/또는 만성 림프성 백혈병의 군에서 유래하는 용도.
  18.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방사선 치료 및 1) 에스트로겐 수용체 모듈레이터, 2) 안드로겐 수용체 모듈레이터, 3) 레티노이드 수용체 모듈레이터, 4) 세포독성제, 5) 항증식성 제제, 6) 프레닐-단백질 전이효소 억제제, 7)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8) HIV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 9) 역전사효소 억제제 및 10) 기타 혈관신생 억제제의 군으로부터의 화합물과 병용 투여하는, 종양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따른 화학식 Ⅰ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의 용도.
KR1020117014790A 2008-11-28 2009-11-05 오토탁신 억제제로서의 벤조나프티리딘 화합물 KR201100953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59578.0 2008-11-28
DE102008059578A DE102008059578A1 (de) 2008-11-28 2008-11-28 Benzo-Naphtyridin Verbind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392A true KR20110095392A (ko) 2011-08-24

Family

ID=4210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790A KR20110095392A (ko) 2008-11-28 2009-11-05 오토탁신 억제제로서의 벤조나프티리딘 화합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10230471A1 (ko)
EP (1) EP2352733A1 (ko)
JP (1) JP2012509916A (ko)
KR (1) KR20110095392A (ko)
CN (1) CN102227426A (ko)
AR (1) AR074418A1 (ko)
AU (1) AU2009319421A1 (ko)
BR (1) BRPI0921860A2 (ko)
CA (1) CA2744833A1 (ko)
DE (1) DE102008059578A1 (ko)
EA (1) EA201100880A1 (ko)
IL (1) IL213052A0 (ko)
MX (1) MX2011005531A (ko)
WO (1) WO2010060532A1 (ko)
ZA (1) ZA2011047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06817D0 (en) 2011-04-21 2011-06-01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
WO2013054185A1 (en) * 2011-10-13 2013-04-18 Pfizer, Inc. Pyrimidine and pyridine derivatives useful in therapy
WO2013070879A1 (en) 2011-11-10 2013-05-1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ethods for treating spinal cord injury with lpa receptor antagonists
CN104364239B (zh) 2012-06-13 2017-08-25 霍夫曼-拉罗奇有限公司 二氮杂螺环烷烃和氮杂螺环烷烃
AR092645A1 (es) 2012-09-25 2015-04-29 Hoffmann La Roche Derivados biciclicos inhibidores de autotaxina (atx)
JP6404220B2 (ja) * 2012-09-27 2018-10-10 シャンドーン イーンドーン イーンハオ バイオ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テアニン誘導体とカルボン酸クマリン誘導体との縮合生成物、その中間体、調製方法、及びその使用
BR112015014372A8 (pt) 2012-12-19 2019-10-29 Novartis Ag inibidores de autotaxina, seus usos, e composição e combinação farmacêuticas".
US9409895B2 (en) 2012-12-19 2016-08-09 Novartis Ag Autotaxin inhibitors
US20160002247A1 (en) * 2013-03-01 2016-01-07 The University Of Tokyo 8-substituted imidazopyrimidinone derivative having autotaxin inhibitory activity
AR095079A1 (es) * 2013-03-12 2015-09-16 Hoffmann La Roche Derivados de octahidro-pirrolo[3,4-c]-pirrol y piridina-fenilo
DK2970255T3 (en) 2013-03-14 2017-09-18 Galapagos Nv RELATIONSHIP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US9714240B2 (en) 2013-09-17 2017-07-25 Pharmakea, Inc. Vinyl autotaxin inhibitor compounds
US9951026B2 (en) 2013-09-17 2018-04-24 Pharmakea, Inc. Heterocyclic vinyl autotaxin inhibitor compounds
US9850203B2 (en) 2013-09-26 2017-12-26 Pharmakea, Inc. Autotaxin inhibitor compounds
CA2930735A1 (en) 2013-11-22 2015-05-28 Pharmakea, Inc. Tetracyclic autotaxin inhibitors
CA2930737C (en) 2013-11-22 2023-02-21 Pharmakea, Inc. Autotaxin inhibitor compounds
HUE036117T2 (hu) 2013-11-26 2018-06-28 Hoffmann La Roche Oktahidro-ciklobuta[1,2-C;3,4-C']dipirrol származékok, mint autotaxin inhibitorok
ES2883289T3 (es) 2013-12-20 2021-12-07 Astex Therapeutics Ltd Compuestos heterocíclicos bicíclicos y sus usos en terapia
HUE046820T2 (hu) 2014-03-26 2020-03-30 Hoffmann La Roche Biciklusos vegyületek autotaxin (ATX) és lizofoszfatidsav (LPA) termelésgátlókként
CR20160418A (es) 2014-03-26 2016-11-07 Hoffmann La Roche Nuevos compuestos biciclicos de 7 eslabones
US9051320B1 (en) 2014-08-18 2015-06-09 Pharmakea, Inc.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by a selective small molecule autotaxin inhibitor
GB201501870D0 (en) 2015-02-04 2015-03-18 Cancer Rec Tech Ltd Autotaxin inhibitors
GB201502020D0 (en) 2015-02-06 2015-03-25 Cancer Rec Tech Ltd Autotaxin inhibitory compounds
MA41898A (fr) 2015-04-10 2018-02-13 Hoffmann La Roche Dérivés de quinazolinone bicyclique
ES2915267T3 (es) 2015-05-27 2022-06-21 Sabre Therapeutics Llc Inhibidores de autotaxina y usos de los mismos
RU2746481C1 (ru) 2015-09-04 2021-04-14 Ф. Хоффманн-Ля Рош Аг Феноксиметиль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EP3353178B1 (en) 2015-09-24 2021-07-14 F. Hoffmann-La Roche AG Bicyclic compounds as dual atx/ca inhibitors
PE20180451A1 (es) 2015-09-24 2018-03-05 Hoffmann La Roche Nuevos compuestos biciclicos como inhibidores de atx
CA2983782A1 (en) 2015-09-24 2017-03-30 F. Hoffmann-La Roche Ag Bicyclic compounds as atx inhibitors
CN107614505B (zh) 2015-09-24 2021-05-07 豪夫迈·罗氏有限公司 作为双重atx/ca抑制剂的新型二环化合物
JP7157755B2 (ja) 2017-03-16 2022-10-20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二重atx/ca阻害剤として有用な複素環式化合物
EP3596060B1 (en) 2017-03-16 2023-09-20 F. Hoffmann-La Roche AG New bicyclic compounds as atx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430A (en) * 1987-12-03 1991-01-15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9-acylamino-tetrahydroacridine derivatives and memory enhancing agent containing said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US5747469A (en) 1991-03-06 1998-05-0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DNA damaging agents and p53
DE69828284T2 (de) 1997-06-30 2005-12-08 Nippon Kayaku K.K. Naphthyridinderivate oder salze davon
GB9904387D0 (en) 1999-02-25 1999-04-21 Pharmacia & Upjohn Spa Antitumour synergistic composition
AU4972900A (en) 1999-04-08 2000-11-14 Arch Development Corporation Use of anti-vegf antibody to enhance radiation in cancer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09916A (ja) 2012-04-26
EP2352733A1 (de) 2011-08-10
CN102227426A (zh) 2011-10-26
IL213052A0 (en) 2011-07-31
MX2011005531A (es) 2011-06-21
AR074418A1 (es) 2011-01-19
US20110230471A1 (en) 2011-09-22
AU2009319421A1 (en) 2011-07-14
WO2010060532A1 (de) 2010-06-03
EA201100880A1 (ru) 2012-01-30
ZA201104749B (en) 2012-03-28
DE102008059578A1 (de) 2010-06-10
BRPI0921860A2 (pt) 2015-12-29
CA2744833A1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5392A (ko) 오토탁신 억제제로서의 벤조나프티리딘 화합물
JP5847226B2 (ja) 腫瘍の治療のためのピペリジンおよびピペラジン誘導体
JP5997782B2 (ja) イミダゾール誘導体
JP5843930B2 (ja) チアゾール誘導体
JP6438514B2 (ja) Metap−2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環状アミド
JP2012532901A (ja) オートタキシン阻害剤としての複素環式化合物
AU2010306184B2 (en) Sulfoxide derivatives for treating tumors
JP5731481B2 (ja) 3−(1,2,3−トリアゾール−4−イル)ピロロ[2,3−b]ピリジン誘導体
KR20120027192A (ko) 오토탁신 저해제로서의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KR20100112626A (ko) 4-(피롤로[2,3-c]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민 유도체
JP2007515419A (ja) 2−(ヘテロ)アリール置換テトラヒドロキノリン誘導体
AU2006326768B2 (en) Hydroxyquinoline derivatives
KR20080080658A (ko) 디아제피논
KR20110112434A (ko) Metap-2 억제제로서 사용되기 위한 신규한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KR101211973B1 (ko) 2-(헤테로)-아릴-치환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유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