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는 이하에 서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실시예 1)를 거기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과 함께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실시예 1을 이루는 커넥터 장치(11)는, 예를 들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에서, 예를 들면 솔리드(solid)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기판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감합하는, 케이블 등 측의 커넥터 장치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장치(1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 하우징(13),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 대책을 위해 절연 하우징(13)의 외면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된, 예를 들면 각각이 탄성을 가진 금속판 재료가 굴곡되어 이루는 도전성 쉘(14) 및 도전성 커버(15), 및 금속 막대 모양 부재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레버(16)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 하우징(13)에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절연 하우징(13)의 긴 방향(화살표 L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서, 이하 L방향이라고 함)으로 뻗은 감합 볼록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13)에는, 각각이,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금속재료가 굴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18)가, 각각의 일부분이 감합 볼록부(17)에 L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도전 콘택트(18)의 각각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에 배치된 부분은, 감합 볼록부(17)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그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되어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복수의 도전 콘택트 중의 대응하는 것에 접촉 접속되고, 이에 의해 복수의 도전 콘택트(18)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각각 접속되게 된다. 또, 복수의 도전 콘택트(18)의 각각에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2) 중의 대응하는 것의 신호 도체가 접속된다.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의 각각은, 그 신호 도체가 도전 콘택트(18)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지 도체가 도전성 쉘(14) 및 도전성 커버(15)에 접촉 접속되어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조작 레버(16)는, 도 3에 단체로 나타나듯이, 한 벌의 굴곡완부(19a, 19b)가 L방향을 따라 뻗은 연결부(20)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 벌의 단부(22a, 22b)를 가지고 있다. 단부(22a)는, 본체부(21)의 일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19a)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19a)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23a)과 신장 부분(23a)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24a)을 가지고 있어,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단부(22b)는, 본체부(21)의 타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19b)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19b)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23b)과 신장 부분(23b)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24b)을 가지고 있어,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둘러싸는 원 C1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4에 나타나듯이, 조작 레버(16)의 단부(22a)가 가지는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은, 선단 부분(24a)이 신장 부분(23a)에 대해서 신장 부분(23a)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어 신장 부분(23a)과의 경계에 단부(25a)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부분(24a)의 중심축 방향은 신장 부분(23a)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것으로 되고, 신장 부분(23a)의 중심축 방향은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므로, 선단 부분(24a)의 중심축 방향도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나듯이,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은,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23a)의 가상 중심축선(26a)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L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24a)의 가상 중심축선(27a)이, L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S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서, 이하 S방향이라고 함)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마찬가지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가 가지는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은, 선단 부분(24b)이 신장 부분(23b)에 대해서 신장 부분(23b)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어 신장 부분(23b)과의 경계에 단부(25b)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부분(24b)의 중심축 방향은 신장 부분(23b)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것으로 되고, 신장 부분(23b)의 중심축 방향은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므로, 선단 부분(24b)의 중심축 방향도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은,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23b)의 가상 중심축선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L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24b)의 가상 중심축선이, L방향에 직교하는 S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작 레버(16)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듯이, 그 한 벌의 단부(22a, 22b),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을 가진 단부(22a) 및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을 가진 단부(22b)가,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22a, 22b)는, 각각이 L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방향을 가지고 뻗어, 각각의 선단 부분(24a, 24b)을 상호 대향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는,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 레버(16)의 본체부(21)를 형성하는 연결부(20)에는, 조작 레버(16)에 대한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 태그(16A)가 장착되어 있다.
도전성 쉘(14)은, 절연 하우징(13)에 있어서의 도 1 및 도 2의 각각에 있어서 하측으로 되는 외면(이하, 저면이라고 함)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되고, 또 도전성 커버(15)는, 절연 하우징(13)에 있어서의 도 1 및 도 2의 것에 각각에 있어서 상측으로 되는 외면(이하, 상면이라고 함)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커넥터 장치(11)에 대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이 연결된 하에서 도전성 커버(15)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 5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에는, 조작 레버(16)의 한 벌의 단부(22a, 22b), 즉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을 가진 단부(22a) 및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을 가진 단부(22b)를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벌의 지지 기구(30a, 30b)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5에 나타나듯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의 각각은, 그 신호 도체(12A)가, 도전 콘택트(18)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지 도체(12B)가 접지용 공통 도체(13X)에 접속된다. 접지용 공통 도체(13X)는 도전성 쉘(14) 및 도전성 커버(15)에 접촉 접속된다.
지지 기구(30a)는, 조작 레버(16)의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을 가진 단부(22a)를 보지하는,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를 구비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b)는, 조작 레버(16)의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을 가진 단부(22b)를 보지하는, 탄성을 가진 보지부(31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레버(16)의 한 벌의 단부(22a, 22b)의 각각은, L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방향을 가지고 뻗어 있으므로, 이들의 단부(22a, 22b)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구비된 보지부(31a, 31b)의 각각도 L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16)는, 보지부(31a, 31b)에 의해 각각 보지된 단부(22a, 22b)를 회동 중심으로 하고,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고, 도 1에 나타나는 것 같이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 도 2에 나타나는 것 같이 본체부(2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지지 기구(30a)에는, 조작 레버(16)의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을 가진 단부(22a)에 있어서의 단부(25a)에 계합하여 단부(22a)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32a)가 구비되어 있고, 또 지지 기구(30b)에는, 조작 레버(16)의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을 가진 단부(22b)에 있어서의 단부(25b)에 계합하여 단부(22b)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32b)가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 및 도전성 쉘(14)의 일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를 포함하는 부분을 둘러싸는 원 C2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6에 나타나듯이,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16)의 단부(22b)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b), 선단 부분(24b) 및 단부(25b)를 포함하는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groove-like portion)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b)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curved wall portion)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22b)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b), 선단 부분(24b) 및 단부(25b)를 포함하는 부분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이, 단부(22b)에 있어서의 단부(25b)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마찬가지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16)의 단부(22a)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a), 선단 부분(24a) 및 단부(25a)를 포함하는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22a)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a), 선단 부분(24a) 및 단부(25a)를 포함하는 부분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이, 단부(22a)에 있어서의 단부(25a)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도전성 커버(1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듯이 절연 하우징(13)에 있어서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될 때, 그 L방향의 양단부(35a, 35b)가,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조작 레버(16)의 한 벌의 단부(22a, 22b)를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30a, 30b)를 각각 덮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35a, 35b)에는, 누름편부(36a, 36b)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이들의 누름편부(36a, 36b)는, 양단부(35a, 35b)가 지지 기구(30a, 30b)를 각각 덮을 때, 지지 기구(30a, 30b)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 22b)에 각각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전성 커버(15)의 양단부(35a, 35b)가 지지 기구(30a, 30b)를 각각 덮음으로써, 지지 기구(30a)가 구비하는 보지부(31a) 및 계지부(32a)의 각각의 내부, 및 지지 기구(30b)가 구비하는 보지부(31b) 및 계지부(32b)의 각각의 내부로의 먼지나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 도전성 커버(15)에는, 그 양단부(35a, 35b)의 근방에, 절연 하우징(13)의 감합 볼록부(17)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계합구멍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37a, 37b)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 돌기(37a, 37b)의 각각은, 도전성 커버(15)의 일부가 형성하는 탄성편(彈性片)에 형성되어 있어,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계합구멍과의 계합 및 그 계합구멍으로부터의 이탈을 탄성편의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행한다.
이러한 하에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을 선단 부분(24a)의 신장 부분(23a)에 대한 평행 변위 방향을 조작 레버(1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b)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을 선단 부분(24b)의 신장 부분(23b)에 대한 평행 변위 방향을 조작 레버(1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나듯이, 조작 레버(1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1에 나타나는 A-A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 7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24b)이, 신장 부분(23b)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평행 변위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b)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b)에 계합하여 단부(25b)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24a)이, 신장 부분(23a)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평행 변위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a)에 계합하여 단부(25a)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도 2에 나타나듯이, 조작 레버(1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2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2에 나타나는 B-B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 8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24b)이, 신장 부분(23b)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으로 평행 변위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b)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b)에 계합하여 단부(25b)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24a)이, 신장 부분(23a)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으로 평행 변위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外方)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a)에 계합하여 단부(25a)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조작 레버(16)가, 도 1에 나타나는 것 같이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 도 2에 나타나는 것 같이 본체부(2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의 사이의 회동 위치를 취하는 하에 있어서도,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a) 혹은 단부(2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a) 혹은 단부(2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a)에 계합하고, 또한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가 단부(25a)에 계합하여 단부(25a)를 계지함과 아울러,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b)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b)에 계합하고, 또한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단부(25b)에 계합하여 단부(25b)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a) 혹은 단부(22b)의 지지 기구(30a) 혹은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도 9(사시도) 및 도 10(정면도)은 커넥터 장치(11)가 감합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는, 예를 들면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상태 하에서, 커넥터 장치(11)가 감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 하우징(41), 및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 대책을 위해 절연 하우징(41)의 외면부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 된,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금속판 재료가 굴곡되어 이루는 도전성 쉘(42)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 하우징(41)에 있어서의 도 10에 있어서의 하부측의 면으로부터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투공(透孔)에 감합하는 위치 결정용의 돌기(41a, 41b)가 돌출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는, 커넥터 장치(11)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절연 하우징(41)의 긴 방향(화살표 L′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서, 이하 L′방향이라고 함)으로 뻗은 감합 오목부(4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41)에는, 각각이,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금속재료가 굴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44)가, L′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도전 콘택트(44)의 각각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41)으로부터 그 외방으로 돌출하는 일단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배선 패턴부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형성하고 있다. 또, 복수의 도전 콘택트(44)의 각각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부분은, 감합 오목부(43) 내에 배치되어 커넥터 장치(11)의 감합 볼록부(17)가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18) 중의 대응하는 것이 접촉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도전성 쉘(42)에는, L′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45a, 45b)에,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절연 하우징(41)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커버(15)에 설치된 계합 돌기(37a, 37b)가 각각 계합하는 계합구멍(46a, 46b)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전성 쉘(42)에는, 배열 배치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44)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41)으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하고,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접지 접속부에 접속되는 접지 접속 단자(47a, 47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 쉘(42)에 있어서의 단부(45a)에는,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절연 하우징(41)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에 구비되어 회동 조작된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굴곡완부(19a)에 계합하는 탄성 계합부(48a)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42)에 있어서의 단부(45b)에도,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절연 하우징(41)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에 구비되어 회동 조작된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굴곡완부(19b)에 계합하는 탄성 계합부(48b)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는, 복수의 도전 콘택트(44)의 각각의 일단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배선 패턴부에 접속되어 또, 접지 접속 단자(47a, 47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접지 접속부에 접속되어,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상태에 놓여진다.
상술의 커넥터 장치(11) 및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는, 도 11에 나타나듯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예를 들면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상태 하에서,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S방향을 따른 이동을 수반하는 삽입이 이루어져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지고,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11)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감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때, 커넥터 장치(11)에 구비된 조작 레버(16)는, 도 11에 나타나듯이, 그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도 11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삽입되어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질 때는,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커버(15)에 설치된 계합 돌기(37a, 37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계합구멍(46a, 46b)에 각각 계합한다. 이에 의해 도전성 커버(15)와 도전성 쉘(42)이 서로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삽입되어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진 하에서, 커넥터 장치(11)에 구비된 조작 레버(16)가,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부터,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 회동 조작되어 도 12에 나타나는 상태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커넥터 장치(11)에 구비된 조작 레버(16)가 도 12에 나타나는 상태를 취하는 것으로 된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16)의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다.
조작 레버(16)의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한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16)는, 그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따라서, 도 8이 참조되어 전술된 것처럼,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고, 또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의 단부(22a, 22b)는,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 31b)로부터, 각각의 탄성에 기초하여,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굴곡완부(19a, 19b) 및 연결부(20)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부(2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付勢力)을 받아, 그 부세력을 조작 레버(16)에 전하게 된다. 즉,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과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2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19a, 19b)가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16)에, 본체부(2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 22b)가 조작 레버(16)에 미치는 부세력은, 본체부(2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16)에, 그 본체부(2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과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2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16)에, 그 본체부(2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부세력 부여부를 이루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부(2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16)는, 그 본체부(2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됨으로써, 그것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흔들리게” 되는 상태가 확실히 회피되게 된다.
또, 당연한 일이지만, 이러한 하에 있어서도, 전술된 것처럼,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a)에 계합하여 단부(25a)를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고, 또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b)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b)에 계합하여 단부(25b)를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레버(16)가 도 12에 나타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되는 것에 의해,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가 보다 한층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히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되는데 즈음해서는, 도 12에 나타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16)가, 회동 조작되어 그 본체부(2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의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탄성 계합부(48a, 48b)와의 계합을 해제하여, 도 11에 나타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커넥터 장치(11)의 전체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되고,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된다.
상술의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는, 그 도전성 쉘(14)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a)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a)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고, 또 도전성 쉘(14)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b)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b)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지지 기구(30a, 30b)의 각각은, 조작 레버(16)의 단부(22a, 22b)의 각각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부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른 여러가지 구체적 구성을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다른 예(실시예 2)에 구비되는 조작 레버(56)를 단체로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난 조작 레버(56)를 구비하는 실시예 2는, 조작 레버(56)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의 실시예 1(커넥터 장치(1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부분에 관해서는 전체적인 상세 설명은 생략되고, 설명의 필요에 응한 부분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에 붙여진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붙여진 것으로서 도시되고 또한 설명된다. 또, 실시예 2에는, 실시예 1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2)과 같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이 실시예 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태양과 마찬가지인 태양을 가지고,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실시예 2는 실시예 1이 감합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인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와 같은 상대측 커넥터 장치인 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실시예 1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감합하는 태양과 마찬가지인 태양을 가지고 감합하는 것으로 된다.
도 13에 나타난 조작 레버(56)는, 한 벌의 굴곡완부(59a, 59b)가, L방향(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으로서, 화살표 L에 의해 나타남)을 따라 뻗은 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는 본체부(61)와, 본체부(6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 벌의 단부(62a, 62b)를 가지고 있다. 단부(62a)는, 본체부(61)의 일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59a)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59a)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63a)과 신장 부분(63a)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64a)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단부(62b)는, 본체부(61)의 타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59b)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59b)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63b)과 신장 부분(63b)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64b)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둘러싸는 원 C3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14에 나타나듯이, 조작 레버(56)의 단부(62a)가 가지는 신장 부분(63a)과 선단 부분(64a)은, 선단 부분(64a)이, 신장 부분(63a)에 대해서 신장 부분(63a)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부분(64a)의 중심축 방향은 신장 부분(63a)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것으로 되고, 신장 부분(63a)의 중심축 방향은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므로, 선단 부분(64a)의 중심축 방향은 S방향(L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화살표 S에 의해 나타남)을 따르는 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나듯이, 신장 부분(63a)과 선단 부분(64a)은,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63a)의 가상 중심축선(66a)과 S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64a)의 가상 중심축선(67a)이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마찬가지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가 가지는 신장 부분(63b)과 선단 부분(64b)은, 선단 부분(64b)이, 신장 부분(63b)에 대해서 신장 부분(63b)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부분(64b)의 중심축 방향은 신장 부분(63b)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것으로 되고, 신장 부분(63b)의 중심축 방향은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므로, 선단 부분(64b)의 중심축 방향은 S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신장 부분(63a)과 선단 부분(64a)은,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63a)의 가상 중심축선과 S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64b)의 가상 중심축선이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작 레버(56)에 있어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16)와 마찬가지로, 그 한 벌의 단부(62a, 62b),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신장 부분(63a)과 선단 부분(64a)을 가진 단부(62a) 및 신장 부분(63b)과 선단 부분(64b)을 가진 단부(62b)가,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 30b)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62a, 62b)는, 각각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방향을 가지고 뻗어 있어,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는,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 레버(56)의 본체부(61)를 형성하는 연결부(60)에는, 조작 레버(56)에 대한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 태그(tag)가 장착된다.
도 15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63b)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에 대해서,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이, 단부(6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b)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63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에 대해서,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이, 단부(6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a)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하에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을 선단 부분(64a)의 신장 부분(63a)으로부터의 굴곡 방향을 조작 레버(5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b)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을 선단 부분(64b)의 신장 부분(63b)으로부터의 굴곡 방향을 조작 레버(5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5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6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16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64b)이, 신장 부분(63b)으로부터 S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되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지지 기구(30b)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64a)이, 신장 부분(63a)으로부터 S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되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가, 지지 기구(30a)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a)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조작 레버(5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17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64b)이, 신장 부분(63b)으로부터 S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되고,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에도,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지지 기구(30b)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64a)이, 신장 부분(63a)으로부터 S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되고,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에도,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가, 지지 기구(30a)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a)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조작 레버(56)가, 본체부(6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의 사이의 회동 위치를 취하는 하에 있어서도,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a) 혹은 단부(6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a) 혹은 단부(6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 및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 혹은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 및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단부(6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a) 혹은 단부(6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b)에 계합하여, 선단 부분(64a) 혹은 선단 부분(6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a) 혹은 단부(62b)의 지지 기구(30a) 혹은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상술의 조작 레버(56)를 구비한 실시예 2를 이루는 커넥터 장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예를 들면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상태 하에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S방향을 따른 이동을 수반하는 삽입이 이루어져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지고, 이에 의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감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때, 실시예 2에 구비된 조작 레버(56)는, 그 본체부(6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삽입되어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진 하에서, 조작 레버(56)가, 본체부(6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부터,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 회동 조작된다.
조작 레버(56)가,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에 놓여진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56)의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다.
조작 레버(56)의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한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56)는, 그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따라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고, 또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의 단부(62a, 62b)는,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 31b)로부터, 각각의 탄성에 기초하여,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굴곡완부(59a, 59b) 및 연결부(60)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부(6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을 받아, 그 부세력을 조작 레버(56)에 전하게 된다. 즉,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과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6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59a, 59b)가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56)에, 본체부(6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 62b)가 조작 레버(56)에 미치는 부세력은, 본체부(6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56)에, 그 본체부(6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과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6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56)에, 그 본체부(6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부세력 부여부를 이루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부(6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56)는, 그 본체부(6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됨으로써, 그것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흔들리게” 되는 상태가 확실히 회피되게 된다.
또, 당연한 일이지만, 이러한 하에 있어서도, 전술된 것처럼,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a)을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고, 또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b)을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레버(56)가,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되는 것에 의해,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가 보다 한층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히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되는데 즈음해서는, 조작 레버(56)가, 회동 조작되어 그 본체부(6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의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탄성 계합부(48a, 48b)와의 계합을 해제하여, 본체부(6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20)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실시예 2의 전체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되고,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된다.
상술의 실시예 2에 있어서도, 그 도전성 쉘(14)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a)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a)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고, 또 도전성 쉘(14)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b)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b)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되지만, 지지 기구(30a, 30b)의 각각은, 조작 레버(56)의 단부(62a, 62b)의 각각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부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른 여러가지 구체적 구성을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실시예 3>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또 다른 예(실시예 3)에 구비되는 조작 레버(76)를 단체(單體)로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난 조작 레버(76)를 구비하는 실시예 3도, 조작 레버(76)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의 실시예 1(커넥터 장치(1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부분에 관해서는 전체적인 상세 설명은 생략되고, 설명의 필요에 응한 부분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에 붙여진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붙여진 것으로서 도시되고 또한 설명된다. 또, 실시예 3에는, 실시예 1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2)과 같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이 실시예 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태양과 마찬가지인 태양을 가지고,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실시예 3은, 실시예 1이 감합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인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와 같은 상대측 커넥터 장치인 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실시예 1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감합하는 태양과 마찬가지인 태양을 가지고 감합하는 것으로 된다.
도 18에 나타난 조작 레버(76)는, 한 벌의 굴곡완부(79a, 79b)가, L방향(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으로서, 화살표 L에 의해 나타남)을 따라 뻗은 연결부(80)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는 본체부(81)와, 본체부(8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 벌의 단부(82a, 82b)를 가지고 있다. 단부(82a)는, 본체부(81)의 일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79a)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79a)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83a)과 신장 부분(83a)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84a)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단부(82b)는, 본체부(81)의 타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79b)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79b)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83b)과 신장 부분(83b)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84b)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둘러싸는 원 C4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19에 나타나듯이, 조작 레버(76)의 단부(82a)가 가지는 신장 부분(83a)과 선단 부분(84a)은, 선단 부분(84a)이, 신장 부분(83a)의 중심축 방향(L방향)에 직교하는 V방향(화살표 V에 의해 나타남)에 꽉 눌리게 되어, 신장 부분(83a)에 대해서 L방향과 V방향과의 양자에 직교하는 S방향(화살표 S에 의해 나타남)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9에 나타나듯이, 신장 부분(83a)과 선단 부분(84a)은,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83a)의 가상 중심축선(86a)과 S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84a)의 가상 중심축선(87a)이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마찬가지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가 가지는 신장 부분(83b)과 선단 부분(84b)은, 선단 부분(84b)이, 신장 부분(83b)의 중심축 방향(L방향)에 직교하는 V방향으로 꽉 눌리게 되어, 신장 부분(83b)에 대해서 L방향과 V방향과의 양자에 직교하는 S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신장 부분(83b)과 선단 부분(84b)은,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83b)의 가상 중심축선과 S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84b)의 가상 중심축선이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작 레버(76)에 있어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16)와 마찬가지로, 그 한 벌의 단부(82a, 82b),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신장 부분(83a)과 선단 부분(84a)을 가진 단부(82a) 및 신장 부분(83b)과 선단 부분(84b)을 가진 단부(82b)가,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 30b)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82a, 82b)는, 각각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방향을 가지고 뻗어 있어,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는,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 레버(76)의 본체부(81)를 형성하는 연결부(80)에는, 조작 레버(76)에 대한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 태그가 장착된다.
도 20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83b)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에 대해서,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이, 단부(8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b)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83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에 대해서,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이, 단부(8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a)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하에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을 선단 부분(84a)의 신장 부분(83a)으로부터의 돌출 방향을 조작 레버(7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b)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을 선단 부분(84b)의 신장 부분(83b)으로부터의 돌출 방향을 조작 레버(7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7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8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21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84b)이, 신장 부분(83b)으로부터 S방향으로 돌출되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지지 기구(30b)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84a)이, 신장 부분(83a)으로부터 S방향으로 돌출되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가, 지지 기구(30a)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a)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조작 레버(7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22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84b)이, 신장 부분(83b)으로부터 S방향으로 돌출되어,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에도,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지지 기구(30b)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84a)이, 신장 부분(83a)으로부터 S방향으로 돌출되어,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에도,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가, 지지 기구(30a)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a)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조작 레버(76)가, 본체부(6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의 사이의 회동 위치를 취하는 하에 있어서도,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a) 혹은 단부(8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a) 혹은 단부(8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 및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 혹은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 및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단부(8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a) 혹은 단부(8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b)에 계합하여, 선단 부분(84a) 혹은 선단 부분(8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a) 혹은 단부(82b)의 지지 기구(30a) 혹은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상술의 조작 레버(76)를 구비한 실시예 3을 이루는 커넥터 장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예를 들면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상태 하에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S방향을 따른 이동을 수반하는 삽입이 이루어져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지고, 이에 의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감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때, 실시예 3에 구비된 조작 레버(76)는, 그 본체부(8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삽입되어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진 하에서, 조작 레버(76)가, 본체부(8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부터,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 회동 조작된다.
조작 레버(76)가,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에 놓여진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76)의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다.
조작 레버(76)의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한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76)는, 그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따라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고, 또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의 단부(82a, 82b)는,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 31b)로부터, 각각의 탄성에 기초하여,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굴곡완부(79a, 79b) 및 연결부(80)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부(8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을 받아, 그 부세력을 조작 레버(76)에 전하게 된다. 즉,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과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8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79a, 79b)가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76)에, 본체부(8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 82b)가 조작 레버(76)에 미치는 부세력은, 본체부(8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76)에, 그 본체부(8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과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8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76)에, 그 본체부(8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부세력 부여부를 이루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부(8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76)는, 그 본체부(8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됨으로써, 그것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흔들리게” 되는 상태가 확실히 회피되게 된다.
또, 당연한 일이지만, 이러한 하에 있어서도, 전술된 것처럼,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a)을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고, 또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b)을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레버(76)가,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되는 것에 의해,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가 보다 한층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히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되는데 즈음해서는, 조작 레버(76)가, 회동 조작되어 그 본체부(8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의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탄성 계합부(48a, 48b)와의 계합을 해제하여, 본체부(8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20)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실시예 3의 전체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되고,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된다.
상술의 실시예 3에 있어서도, 그 도전성 쉘(14)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a)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a)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고, 또 도전성 쉘(14)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b)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b)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되지만, 지지 기구(30a, 30b)의 각각은, 조작 레버(76)의 단부(82a, 82b)의 각각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부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른 여러가지 구체적 구성을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와의 접속 상태를 취하게 하는 감합부와, 그 감합부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한 하에서, 조작 레버에 그 단부를 절연 하우징의 외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외력이 작용할 때에도, 당해 단부의 도전성 쉘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확실히 저지할 수가 있어, 조작 레버를 본래의 역할을 완수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또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한 조작 레버와 상대측 커넥터 장치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조작 레버가 “흔들리게” 되는 상태를 확실히 회피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여러가지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