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650A - 조명 광학 시스템, 노광 장치, 디바이스 제조 방법, 보정 필터, 및 노광 광학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광학 시스템, 노광 장치, 디바이스 제조 방법, 보정 필터, 및 노광 광학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7650A KR20100117650A KR1020107019811A KR20107019811A KR20100117650A KR 20100117650 A KR20100117650 A KR 20100117650A KR 1020107019811 A KR1020107019811 A KR 1020107019811A KR 20107019811 A KR20107019811 A KR 20107019811A KR 20100117650 A KR20100117650 A KR 201001176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photosensitive
- illumination
- optical system
- reg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5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0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5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5
- 206010034972 Photosensitivity reaction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0000036211 photosensiti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8 roug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5405 multipole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079 coop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WGLPBDUCMAPZCE-UHFFFAOYSA-N Trioxochromium Chemical compound O=[Cr](=O)=O WGLPBDUCMAPZ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00423 chrom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06010034960 Photophobi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13469 light 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79 pupill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61 region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5 wor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76498 Pollachius vir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UKWITHWXAAZEY-UHFFFAOYSA-L calcium difluoride Chemical compound [F-].[F-].[Ca+2] WUKWITHWXAAZ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6 fluor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18 DNA micro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58 cryst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59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6—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ylindrical or toric fa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058—Mask illumination systems
- G03F7/70141—Illumination system adjustment, e.g. adjustments during exposure or alignment during assembly of illumination syste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09—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 G02B19/001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at least one surface having optical pow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27—Systems for changing the beam intensity distribution, e.g. Gaussian to top-ha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88—Diaphragms, spatial filters, masks for removing or filtering a part of the bea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058—Mask illumination systems
- G03F7/70191—Optical correction elements, filters or phase plates for controlling intensity, wavelength, polarisation, phase or the lik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03F7/70308—Optical correction elements, filters or phase plates for manipulating imaging light, e.g. intensity, wavelength, polarisation, phase or image shif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808—Construction details, e.g. housing, load-lock, seals or windows for passing light in or out of apparatus
- G03F7/70825—Mounting of individual elements, e.g. mounts, holders or suppo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조명 동공에 형성되는 4극 형상의 2차 광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웨이퍼 상에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정지 노광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정지 노광 영역 내의 중심점 P1에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의 성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정지 노광 영역 내의 주변점 P2, P3에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의 성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6a는 중심점 P1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의 Z방향을 따른 광강도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주변점 P2, P3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의 Z방향을 따른 광강도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핀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 1 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핀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 2 도,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핀부재의 감광율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중심점 P1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가 핀부재에 의해 조정되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주변점 P2, P3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가 핀부재에 의해 조정되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a는 외경이 큰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에 대하여 복수의 핀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b는 외경이 작은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에 대하여 복수의 핀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a는 폭방향의 치수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불연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핀부재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b는 폭방향의 치수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핀부재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a는 3개의 핀부재(9H)와 3개의 핀부재(9V)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b는 3개의 핀부재(9H)와 3개의 핀부재(9V)가 앞뒤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조명 광로 중의 소정 위치에 핀부재를 위치 결정하고 또한 보지(保持)하는 위한 보지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a는 폭방향의 치수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핀부재가 부착된 보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차광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b는 폭방향의 치수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핀부재가 부착된 보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차광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복수의 핀부재가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가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보지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7의 홀더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폭치수나 두께 치수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변화되는 테이프 형상의 핀부재를 감거나 풀거나 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평행 평면판의 측면의 형태를 갖는 차광 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20의 차광 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3은 액정 표시 소자 등의 액정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4는 X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핀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리점을 설명하는 제 1 도,
도 25는 X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핀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리점을 설명하는 제 2 도,
도 26은 조명 동공에 형성되는 4극 형상의 2차 광원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광부를 구성하는 1쌍의 차광 부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1쌍의 차광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불리점이 회피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2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1쌍의 차광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불리점이 회피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2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차의 영향을 설명하는 도면,
도 30은 본 실시형태의 비교예에 있어서의 시차의 영향을 설명하는 도면,
도 31은 본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본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차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본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따른 차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본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 따른 차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보정 필터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변형예에 따른 감광 유닛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7은 삼각 형상의 단면의 돌기부를 구비한 감광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삼각 형상의 단면의 홈부를 구비한 감광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의 홈부를 구비한 감광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노광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조명 동공에 형성되는 4극 형상의 2차 광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2는 정지 노광 영역 내의 중심점 P1에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의 성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43은 정지 노광 영역 내의 주변점 P2, P3에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의 성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44a는 중심점 P1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의 Z방향을 따른 광강도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4b는 주변점 P2, P3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의 Z방향을 따른 광강도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으로서, 입사면에 원형상의 차광성 도트가 형성되고, 사출면에 링형상의 차광성 도트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6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46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46c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47은 본 실시형태의 보정 필터의 감광율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8은 본 실시형태의 보정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 1 도,
도 49는 본 실시형태의 보정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 2 도,
도 50은 중심점 P1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가 본 실시형태의 보정 필터에 의해 조정되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1은 주변점 P2, P3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가 본 실시형태의 보정 필터에 의해 조정되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2는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의 조합의 변형예로서, 입사면에 원형상의 차광성 도트가 형성되고, 사출면에 1쌍의 원형상의 차광성 도트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3a는 도 52의 변형예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53b는 도 52의 변형예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54는 농도 필터를 이용하지 않고 각 점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를 거의 균일하게 조정하는 변형예에 따른 보정 필터를 구성하는 4개의 필터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55는 도 54의 변형예의 새로운 1쌍의 필터 영역에 있어서, 입사면 및 사출면에 원형상의 차광성 도트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6a는 도 55의 필터 영역에서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56b는 도 55의 필터 영역에서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57은 도 55의 필터 영역의 감광율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8은 도 45의 실시형태의 필터 영역에 의해 조정된 중심점 P1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가 도 55의 필터 영역에 의해 거의 균일하게 조정되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9는 도 45의 실시형태의 필터 영역에 의해 조정된 주변점 P2, P3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가 도 55의 필터 영역에 의해 거의 균일하게 조정되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0은 도 45의 실시형태 및 도 52의 변형예에 대응한 구성에 있어서, 단위 감광 영역으로서 산란 영역 또는 회절 영역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1은 도 55의 변형예에 대응한 구성에 있어서, 단위 감광 영역으로서 산란 영역 또는 회절 영역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으로서, 입사면 및 사출면에 원형상의 차광성 도트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의 분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5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65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65c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66은 본 실시형태의 보정 필터의 감광율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7은 본 실시형태의 보정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 1 도,
도 68은 본 실시형태의 보정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 2 도,
도 69는 중심점 P1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가 보정 필터에 의해 조정되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0은 주변점 P2, P3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가 보정 필터에 의해 조정되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1은 입사 각도 0에 관하여 비대칭인 감광율 특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2는 본 실시형태의 단위 감광 영역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단위 감광 영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3a는 도 72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73b는 도 72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74는 도 72의 단위 감광 영역의 감광율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5는 차광 부재의 형태를 갖는 변형예에 따른 보정 필터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6은 도 75의 변형예에 따른 보정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 1 도,
도 77은 도 75의 변형예에 따른 보정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 2 도,
도 7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정 필터에 형성된 2종류의 단위 감광 영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9는 1쌍의 필터 영역에 다른 종류의 단위 감광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0은 조명 NA가 비교적 큰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를 형성한 형태, 및 조명 NA가 비교적 작은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를 형성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노광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2는 도 81의 실린드리컬 마이크로 플라이아이 렌즈(cylindrical micro fly's eye lens)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3은 조명 동공에 형성되는 4극 형상의 2차 광원을 나타내는 도면,
도 84는 정지 노광 영역 내의 중심점 P1에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의 성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85는 정지 노광 영역 내의 주변점 P2, P3에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의 성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86a는 중심점 P1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의 Z방향을 따른 광강도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6b는 주변점 P2, P3에 관한 동공 강도 분포의 Z방향을 따른 광강도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7은 도 82의 실린드리컬 마이크로 플라이아이 렌즈에 마련된 감광부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88은 4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에 있어서 X방향으로 간격을 사이에 두고서 1쌍의 면광원에 대응하는 영역에 감광부로서의 V자 형상의 절삭면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9a는 중심점 P1에 도달하는 광선군이 본래 크기의 소광원을 형성하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9b는 주변점 P2, P3에 도달하는 광선군이 본래 크기의 소광원과 본래보다 작은 소광원을 형성하는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0은 본 실시형태의 감광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 1 도,
도 91은 본 실시형태의 감광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 2 도,
도 92는 도 82와는 다른 형태를 갖는 실린드리컬 마이크로 플라이아이 렌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3은 도 92의 실린드리컬 마이크로 플라이아이 렌즈에 마련된 감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4는 5극 형상의 동공 강도 분포에 있어서 X방향으로 간격을 사이에 두고서 1쌍의 면광원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감광부로서의 V자 형상의 절삭면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노광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6은 도 95의 실린드리컬 마이크로 플라이아이 렌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7은 본 실시형태의 감광 유닛의 주요부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98은 본 실시형태의 감광 유닛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9는 도 96과는 다른 형태를 갖는 실린드리컬 마이크로 플라이아이 렌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0은 도 99의 실린드리컬 마이크로 플라이아이 렌즈에 대하여 감광 유닛의 차광 부재가 배치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1은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차광 부재를 이용하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2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차광 부재를 이용하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3은 한쪽의 끝만이 지지된 상태에서 국소적으로 연장되는 차광 부재를 이용하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4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변화되는 단면을 갖는 차광 부재를 이용하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5는 차광 부재의 위치 또는 자세가 변경가능한 제 1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6은 차광 부재의 위치 또는 자세가 변경가능한 제 2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7은 차광 부재의 위치 또는 자세가 변경가능한 제 3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8은 차광 부재의 위치 또는 자세가 변경가능한 제 4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9는 차광 부재의 위치 또는 자세가 변경가능한 제 5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0은 차광 부재의 위치 또는 자세가 변경가능한 제 6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1a는 차광 부재의 위치 또는 자세를 변경하는 구동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1b는 차광 부재의 위치 또는 자세를 변경하는 구동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2는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투영 광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3은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투영 광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3: 회절 광학 소자
4: 어포컬 렌즈
6: 보정 필터, 농도 필터
7: 줌 렌즈
8: 마이크로 플라이아이 렌즈(광학 인테그레이터)
9: 핀부재(차광 부재), 차광부, 감광 유닛, 보정 필터
9a, 9b: 제 1 감광 부재, 제 2 감광 부재
9aa, 9bb: 차광성 도트
91, 92: 보정 영역
95: 차광 부재
10: 콘덴서 광학 시스템
11: 마스크 블라인드
12: 결상 광학 시스템
19a, 19b: 선형상의 돌기부
19c, 19d: 선형상의 홈부
109, 119: 실린드리컬 마이크로 플라이아이 렌즈(광학 인테그레이터)
M: 마스크
PL: 투영 광학 시스템
AS: 개구 조리개
W: 웨이퍼
Claims (119)
- 광원으로부터의 광으로 피조사면을 조명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에 있어서,
광학 인테그레이터(optical integrator)를 갖고,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보다 뒤쪽의 조명 동공에 동공 강도 분포를 형성하는 분포 형성 광학 시스템과,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뒤쪽의 광로의 소정면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면에 대한 입사 각도에 따라 감광율(減光率)이 변화되는 감광율 특성을 구비하는 감광(減光)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직전 또는 직후의 위치에 배치된 차광 부재를 갖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피조사면 상의 1점을 향하는 광의 상기 차광 부재에 의한 감광율이 상기 피조사면의 중심으로부터 주변에 걸쳐서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의 형태를 갖고, 상기 차광 부재의 두께 방향은 상기 조명 동공의 면과 거의 평행하며 또한 상기 차광 부재의 폭방향은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방향과 거의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평행 평면판의 측면의 형태를 갖고, 상기 차광 부재의 두께 방향은 상기 조명 동공의 면과 거의 평행하며 또한 상기 차광 부재의 폭방향은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방향과 거의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차광 부재의 두께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주변으로 상기 감광율이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 5,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의 폭방향의 치수는 상기 차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 5,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제 1 차광 부재의 폭방향의 치수는, 제 2 차광 부재의 폭방향의 치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조명 동공에 있어서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광축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사이에 둔 1쌍의 영역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직전 또는 직후의 위치에 배치된 플레이트 형상의 형태를 갖는 차광 부재를 갖고,
상기 차광 부재의 두께 방향은 상기 조명 동공의 면과 거의 평행하며 또한 상기 차광 부재의 폭방향은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방향과 거의 평행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직전 또는 직후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 동공의 면과 거의 평행한 면을 따라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를 갖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는, 상기 피조사면 상의 1점을 향하는 광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에 의한 감광율이 상기 피조사면의 중심으로부터 주변에 걸쳐서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는 각각 플레이트 형상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주변으로 상기 감광율이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는, 상기 조명 동공에 있어서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광축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사이에 둔 1쌍의 영역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는, 상기 광축을 지나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에 관하여 거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는 상기 조명 동공의 면과 거의 평행한 면을 따라 메쉬(mesh) 형상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는, 상기 1쌍의 영역 중 한쪽의 영역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메쉬 형상을 갖는 제 1 차광 부재군과, 상기 1쌍의 영역 중 다른쪽의 영역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메쉬 형상을 갖는 제 2 차광 부재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광 부재군과 상기 제 2 차광 부재군은, 상기 광축을 지나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에 관하여 거의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광 부재군 및 상기 제 2 차광 부재군에 있어서, 차광 부재의 상기 광축 방향의 치수가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차광 부재의 상기 광축 방향의 치수보다 상기 광축의 근처에 배치된 차광 부재의 상기 광축 방향의 치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광 부재군 및 상기 제 2 차광 부재군에 있어서, 차광 부재군의 메쉬의 성김(coarsenesses)이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차광 부재군의 메쉬보다 상기 광축의 근처에 배치된 차광 부재군의 메쉬가 성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보다 뒤쪽의 조명 동공의 직전 또는 직후의 위치에 배치되고, 적어도 한쪽의 면에 선형상의 감광부가 형성된 광투과성의 기판을 갖으며,
상기 감광부는, 광의 진행 방향을 따른 치수를 갖고, 또한 상기 피조사면 상의 1점을 향하는 광의 상기 감광부에 의한 감광율이 상기 피조사면의 중심으로부터 주변에 걸쳐서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의 감광부는 선형상의 돌기부 또는 선형상의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또는 상기 홈부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홈부의 외측면에는, 황삭(rough grinding) 가공 또는 흑화(blackening)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감광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주변으로 상기 감광율이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감광부는, 상기 조명 동공에 있어서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광축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사이에 둔 1쌍의 영역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는, 상기 광축을 지나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에 관하여 거의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는, 상기 조명 동공의 면과 거의 평행한 면을 따라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는, 상기 1쌍의 영역 중 한쪽의 영역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메쉬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군과, 상기 1쌍의 영역 중 다른쪽의 영역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메쉬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군과 상기 제 2 군은, 상기 광축을 지나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에 관하여 거의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군 및 상기 제 2 군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의 상기 광축 방향의 치수가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상기 감광부의 상기 광축 방향의 치수보다 상기 광축의 근처에 배치된 상기 감광부의 상기 광축 방향의 치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군 및 상기 제 2 군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의 메시의 성김이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상기 감광부의 메시보다 상기 광축의 근처에 배치된 상기 감광부의 메시가 성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파면 분할형이고, 또한,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의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복수의 제 1 굴절면과,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의 뒤쪽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복수의 제 2 굴절면을 구비하고,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 중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제 2 굴절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조사면에 도달하는 광의 위치가 상기 피조사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멀어짐에 따라서 감광율이 증대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감광부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은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는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V자 형상의 절삭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는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반사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는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감광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는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광산란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8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광의 입사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광학 부재와, 제 2 광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광학 부재의 사출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 2 광학 부재의 사출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은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이고,
상기 제 1 광학 부재의 입사측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인 복수의 제 3 굴절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 2 광학 부재의 입사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3 굴절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인 복수의 제 4 굴절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8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의 입사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광학 부재와, 제 2 광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광학 부재의 입사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 2 광학 부재의 사출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은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이고,
상기 제 1 광학 부재의 입사측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인 복수의 제 3 굴절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 1 광학 부재의 사출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3 굴절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인 복수의 제 4 굴절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38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파면 분할형이고,
상기 감광 수단은,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의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복수의 제 1 굴절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의 뒤쪽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복수의 제 2 굴절면 중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제 2 굴절면의 경계선의 직후에 배치되고, 상기 피조사면에 도달하는 광의 위치가 상기 피조사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멀어짐에 따라서 감광율이 증대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감광부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부는,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경계선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형상의 차광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보지(保持)하기 위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의 양단을 지지하는 보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에 소요의 텐션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1 항 또는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를 소정의 위치로 보지하기 위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의 한쪽의 끝만을 지지하는 보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0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는, 위치 및 자세 중 어느 한쪽이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는,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5 항 또는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는,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상기 평면 내에서의 위치가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5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는,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 또는 상기 광축과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5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는,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축 둘레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55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복수의 제 2 굴절면 중 상기 2개의 이웃하는 제 2 굴절면의 제 1 경계선의 직후에 배치되는 제 1 선형상의 차광 부재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복수의 제 2 굴절면 중 2개의 이웃하는 제 2 굴절면의 제 2 경계선의 직후에 배치되는 제 2 선형상의 차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선형상의 차광 부재와 상기 제 2 선형상의 차광 부재와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자세 중 적어도 한쪽은 변경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파면 분할형이고,
상기 감광 수단은,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내의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복수의 제 1 굴절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의 뒤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복수의 제 2 굴절면 중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제 2 굴절면의 경계선의 직후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경계선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형상의 차광 부재를 갖고,
상기 선형상의 차광 부재는 위치 및 자세 중 어느 한쪽이 변경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49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은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49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광의 입사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광학 부재와, 제 2 광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광학 부재의 사출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 2 광학 부재의 사출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은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이며,
상기 제 1 광학 부재의 입사측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인 복수의 제 3 굴절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 2 광학 부재의 입사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3 굴절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인 복수의 제 4 굴절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49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광의 입사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광학 부재와, 제 2 광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광학 부재의 입사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 2 광학 부재의 사출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굴절면은 상기 평면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굴절면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이며,
상기 제 1 광학 부재의 입사측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인 복수의 제 3 굴절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 1 광학 부재의 사출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 3 굴절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굴절력을 갖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의 무굴절력인 복수의 제 4 굴절면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49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입사광의 진행 방향을 가로지르는 면 내에 배열된 복수의 투과형의 렌즈면을 갖고,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서로 이웃하는 상기 렌즈면 사이의 비렌즈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차광 재료로 이루어지는 독립 물품으로서 배치되는 차광 부재를 갖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앞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와 상기 조명 동공의 뒤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 사이의 조명 동공 공간에 배치되고, 광축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광투과성의 기판을 갖으며,
상기 기판은, 광의 입사측의 면에 형성된 제 1 감광 패턴과, 광의 사출측의 면에 형성된 제 2 감광 패턴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평행 평면판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69 항 또는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광 패턴은, 상기 입사측의 면에 분포 형성된 복수의 제 1 단위 감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감광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 1 단위 감광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사출측의 면에 분포 형성된 복수의 제 2 단위 감광 영역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은, 입사광을 가리는 차광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은,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은, 입사광을 회절시키는 회절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71 항 내지 제 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과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아서 실질적으로 겹치지 않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과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아서 보완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71 항 내지 제 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과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아서 거의 겹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69 항 내지 제 7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감광 수단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감광율이 감소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제 1 보정 필터 영역과, 광의 입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감광율이 증대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제 2 보정 필터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보정 필터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감광 수단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감광율이 감소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제 1 보정 필터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보정 필터 영역은, 상기 조명 동공에 있어서 광축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사이에 둔 1쌍의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감광 수단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감광율이 증대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제 2 보정 필터 영역을 갖으며,
상기 제 2 보정 필터 영역은,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광축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사이에 둔 1쌍의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앞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와 상기 조명 동공의 뒤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 사이의 조명 동공 공간에 위치하는 제 1 면에 형성된 제 1 감광 영역과, 상기 조명 동공 공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제 2 면에 상기 제 1 감광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 2 감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감광 영역은,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통과하는 광에 대하여, 상기 제 1 면으로의 광의 입사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감광율이 단조롭게 감소하고, 거의 일정한 감광율을 유지한 후에 단조롭게 증대하는 감광율 특성을 부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광투과성의 기판을 갖고,
상기 제 1 감광 영역은 상기 기판의 입사측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감광 영역은 상기 기판의 사출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평행 평면판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입사측의 면은 광축에 대하여 거의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81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감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은, 입사광을 가리는 차광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81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감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은,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81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감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은, 입사광을 회절시키는 회절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81 항 내지 제 8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감광 영역 중 한쪽의 영역은, 다른쪽의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소정의 단면을 갖는 차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감광 영역은 상기 차광 부재의 한쪽 측면이며, 상기 제 2 감광 영역은 상기 차광 부재의 상기 한쪽 측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측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89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기 조명 동공의 면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감광 영역은 상기 차광 부재의 앞쪽의 측면이며, 상기 제 2 감광 영역은 상기 차광 부재의 뒤쪽의 측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감광 수단의 상기 제 1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감광 영역은, 상기 조명 동공에 있어서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광축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사이에 둔 1쌍의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앞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와 상기 조명 동공의 뒤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 사이의 조명 동공 공간에 배치되고, 광축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광투과성의 제 1 기판과, 상기 조명 동공 공간에서 상기 제 1 기판보다 뒤쪽에 배치되고 상기 광축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광투과성의 제 2 기판을 갖고,
상기 제 1 기판은 광의 입사측의 면 및 광의 사출측의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제 1 감광 패턴을 갖고,
상기 제 2 기판은 광의 입사측의 면 및 광의 사출측의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제 2 감광 패턴을 갖고,
상기 제 1 감광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위 감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감광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위 감광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위 감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은, 상기 감광 수단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감광율이 변화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입사측의 면에 형성된 제 1 전방 감광 패턴과, 상기 사출측의 면에 형성된 제 1 후방 감광 패턴을 갖고,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입사측의 면에 형성된 제 2 전방 감광 패턴과, 상기 사출측의 면에 형성된 제 2 후방 감광 패턴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2 항 또는 제 9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은 평행 평면판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2 항 내지 9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2 항 내지 제 9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광 패턴은 분포 형성된 복수의 제 1 단위 감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감광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 1 단위 감광 영역에 대응하여 분포 형성된 복수의 제 2 단위 감광 영역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은, 입사광을 가리는 차광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은,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은, 입사광을 회절시키는 회절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6 항 내지 제 9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과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아서 실질적으로 겹치지 않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과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아서 보완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6 항 내지 제 9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과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은,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아서 거의 겹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2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감광율이 감소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제 1 보정 유닛 영역과, 광의 입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감광율이 증대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제 2 보정 유닛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보정 유닛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9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감광 수단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감광율이 감소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제 1 보정 유닛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보정 유닛 영역은, 상기 조명 동공에 있어서 상기 조명 광학 시스템의 광축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사이에 둔 1쌍의 영역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단위 파면 분할면을 갖고,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감광 수단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감광율이 증대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제 2 보정 유닛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보정 유닛 영역은, 상기 조명 동공에 있어서 광축을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사이에 둔 1쌍의 영역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조사면 상에서의 조도 분포 또는 상기 피조사면 상에 형성되는 조명 영역의 형상을 변경하는 광량 분포 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10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분포 조정부는, 상기 차광 부재에 의한 상기 피조사면 상의 광량 분포로의 영향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제 2 항 내지 제 10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조사면과 광학적으로 공액인 면을 형성하는 투영 광학 시스템과 조합해서 이용되고, 상기 조명 동공은 상기 투영 광학 시스템의 개구 조리개와 광학적으로 공액인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 시스템.
- 소정의 패턴을 조명하기 위한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0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명 광학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패턴을 감광성 기판에 노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 제 10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패턴의 이미지를 상기 감광성 기판 상에 형성하는 투영 광학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투영 광학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패턴 및 상기 감광성 기판을 주사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켜, 상기 소정의 패턴을 상기 감광성 기판에 투영 노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 제 1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 청구항 109 내지 청구항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노광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패턴을 상기 감광성 기판에 노광하는 노광 공정과,
상기 소정의 패턴이 전사된 상기 감광성 기판을 현상하여, 상기 소정의 패턴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스크층을 상기 감광성 기판의 표면에 형성하는 현상 공정과,
상기 마스크층을 통해서 상기 감광성 기판의 표면을 가공하는 가공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조 방법.
- 광원으로부터의 광으로 제 1 조사면을 조명하고, 조명된 상기 제 1 조사면의 이미지를 제 2 조사면에 투영하는 노광 광학 시스템에 있어서,
광학 인테그레이터를 갖고,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보다 뒤쪽의 조명 동공에 동공 강도 분포를 형성하는 분포 형성 광학 시스템과,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의 상기 뒤쪽의 광로의 소정면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면에 대한 입사 각도에 따라 감광율이 변화되는 감광율 특성을 구비하는 감광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광학 시스템.
-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직전 또는 직후의 위치 또는 그 공액면에 배치된 차광 부재를 갖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 1 조사면 또는 제 2 조사면 상의 1점을 향하는 광의 상기 차광 부재에 의한 감광율이 상기 제 1 조사면 또는 제 2 조사면의 중심으로부터 주변에 걸쳐서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광학 시스템.
-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직전 또는 직후 또는 그 공액면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 동공의 면과 거의 평행한 면을 따라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를 갖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는, 상기 제 1 조사면 또는 제 2 조사면 상의 1점을 향하는 광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차광 부재에 의한 감광율이 상기 제 1 조사면 또는 제 2 조사면의 중심으로부터 주변에 걸쳐서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광학 시스템.
-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광학 인테그레이터보다 뒤쪽의 조명 동공의 직전 또는 직후 또는 그 공액면의 위치에 배치되고, 적어도 한쪽의 면에 선형상의 감광부가 형성된 광투과성의 기판을 갖으며,
상기 감광부는, 광의 진행 방향을 따른 치수를 갖고, 또한 상기 제 1 조사면 또는 제 2 조사면 상의 1점을 향하는 광의 상기 감광부에 의한 감광율이 상기 제 1 조사면 또는 제 2 조사면의 중심으로부터 주변에 걸쳐서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광학 시스템.
-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앞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와 상기 조명 동공의 뒤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 사이의 조명 동공 공간 또는 그리고 공액인 공간에 배치되고, 광축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광투과성의 기판을 갖고,
상기 기판은, 광의 입사측의 면에 형성된 제 1 감광 패턴과, 광의 사출측의 면에 형성된 제 2 감광 패턴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광학 시스템.
-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앞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와 상기 조명 동공의 뒤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 사이의 조명 동공 공간 또는 그리고 공액인 공간에 위치하는 제 1 면에 형성된 제 1 감광 영역과, 상기 조명 동공 공간 또는 그리고 공액인 공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제 2 면에 상기 제 1 감광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 2 감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감광 영역은,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통과하는 광에 대하여, 상기 제 1 면으로의 광의 입사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감광율이 단조롭게 감소하고, 거의 일정한 감광율을 유지한 후에 단조롭게 증대하는 감광율 특성을 부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광학 시스템.
-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수단은, 상기 조명 동공의 앞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와 상기 조명 동공의 뒤쪽에 인접하여 파워를 갖는 광학 소자 사이의 조명 동공 공간 또는 그리고 공액인 공간에 배치되고, 광축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광투과성의 제 1 기판과, 상기 조명 동공 공간 또는 그리고 공액인 공간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보다 뒤쪽에 배치되고 상기 광축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광투과성의 제 2 기판을 갖고,
상기 제 1 기판은, 광의 입사측의 면 및 광의 사출측의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제 1 감광 패턴을 갖고,
상기 제 2 기판은, 광의 입사측의 면 및 광의 사출측의 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제 2 감광 패턴을 갖고,
상기 제 1 감광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위 감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감광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위 감광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위 감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단위 감광 영역 및 상기 제 2 단위 감광 영역은, 상기 감광 수단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감광율이 변화되는 감광율 특성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광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033390 | 2008-02-14 | ||
JP2008033390A JP2009194159A (ja) | 2008-02-14 | 2008-02-14 | 光学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の製造方法 |
US7113008P | 2008-04-14 | 2008-04-14 | |
US61/071,130 | 2008-04-14 | ||
US7144608P | 2008-04-29 | 2008-04-29 | |
US7144408P | 2008-04-29 | 2008-04-29 | |
US61/071,444 | 2008-04-29 | ||
US61/071,446 | 2008-04-29 | ||
US12974508P | 2008-07-16 | 2008-07-16 | |
US61/129,745 | 2008-07-16 | ||
US12978608P | 2008-07-18 | 2008-07-18 | |
US61/129,786 | 2008-07-18 | ||
JP2008187977A JP2010027876A (ja) | 2008-07-19 | 2008-07-19 | 減光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JPJP-P-2008-187977 | 2008-07-19 | ||
US13604408P | 2008-08-08 | 2008-08-08 | |
US61/136,044 | 2008-08-08 | ||
US13647308P | 2008-09-08 | 2008-09-08 | |
US61/136,473 | 2008-09-08 | ||
JPJP-P-2008-264961 | 2008-10-14 | ||
JP2008264961A JP2010097975A (ja) | 2008-10-14 | 2008-10-14 | 補正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US12/366,429 | 2009-02-05 | ||
US12/366,429 US8908151B2 (en) | 2008-02-14 | 2009-02-05 | Illumination optical system, exposure apparatus,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ompensation filter, and exposure optical system |
PCT/JP2009/052274 WO2009101958A1 (ja) | 2008-02-14 | 2009-02-12 | 照明光学系、露光装置、デバイス製造方法、補正フィルター、及び露光光学系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7650A true KR20100117650A (ko) | 2010-11-03 |
KR101682727B1 KR101682727B1 (ko) | 2016-12-05 |
Family
ID=4095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1981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2727B1 (ko) | 2008-02-14 | 2009-02-12 | 조명 광학계, 노광 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908151B2 (ko) |
EP (2) | EP3306398A1 (ko) |
KR (1) | KR101682727B1 (ko) |
TW (1) | TWI479273B (ko) |
WO (1) | WO200910195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90804B2 (ja) * | 2008-07-16 | 2013-04-24 | 株式会社ニコン | 減光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JP5187636B2 (ja) * | 2009-01-16 | 2013-04-24 | 株式会社ニコン | 補正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US8749760B2 (en) * | 2009-03-03 | 2014-06-1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symmetric complementary dipole illuminator |
JP5507761B2 (ja) * | 2011-07-29 | 2014-05-2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像装置 |
WO2013027507A1 (ja) | 2011-08-23 | 2013-02-2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像装置 |
CN104635342A (zh) * | 2013-11-14 | 2015-05-20 | 清华大学 | 光学照明系统 |
ES2830823T3 (es) * | 2013-12-12 | 2021-06-04 | Mes Medical Electronic Systems Ltd | Dispositivo para someter a prueba en casa |
US9575412B2 (en) * | 2014-03-31 | 2017-02-21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le imbalance by adjusting exposure intensity |
JP2016012122A (ja) * | 2014-06-03 | 2016-01-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フォトマスク、光学素子アレイの製造方法、光学素子アレイ |
CN111443576B (zh) | 2015-04-07 | 2023-04-07 |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 照明系统以及使用其形成鳍状结构的方法 |
JP6674306B2 (ja) | 2016-03-31 | 2020-04-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照明装置、光学装置、インプリント装置、投影装置、及び物品の製造方法 |
NL2018857B1 (en) | 2017-05-05 | 2018-11-09 | Illumina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focus tracking using a light source configuration |
NL2018854B1 (en) * | 2017-05-05 | 2018-11-14 | Illumina Inc | Systems and methodes for improved focus tracking using blocking structures |
NL2018853B1 (en) | 2017-05-05 | 2018-11-14 | Illumina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focus tracking using a hybrid mode light source |
US10667693B1 (en) * | 2018-11-16 | 2020-06-02 | Perkinelmer Health Sciences, Inc.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filter correction based on angle of incidence |
US12104891B1 (en) * | 2019-08-12 | 2024-10-01 | Nikon Corporation | Spatially filtered talbot interferometer for wafer distortion measurement |
US11308254B2 (en) * | 2019-08-30 | 2022-04-19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layout distortion due to exposure non-uniformity |
MX2021016073A (es) * | 2019-12-31 | 2022-03-25 | Illumina Inc | Funcionalidad de enfoque automático en el análisis óptico de muestras. |
DE102021203961B3 (de) * | 2021-04-21 | 2022-08-25 | Carl Zeiss Smt Gmbh | Pupillenblende für eine Beleuchtungsoptik eines Metrologiesystems, Beleuchtungsoptik und Metrologie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51717A1 (ja) * | 2002-12-03 | 2004-06-17 | Nikon Corporation | 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および露光方法 |
JP2006332197A (ja) * | 2005-05-24 | 2006-12-07 | Nikon Corp | 鏡筒、露光装置及び光学素子の検出方法並びにデバイス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21898A (en) | 1983-03-17 | 1986-11-11 | Allied Corporation | Directional optical filter |
JPH06124873A (ja) | 1992-10-09 | 1994-05-06 | Canon Inc | 液浸式投影露光装置 |
JP4310816B2 (ja) | 1997-03-14 | 2009-08-12 | 株式会社ニコン | 照明装置、投影露光装置、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投影露光装置の調整方法 |
JP3747566B2 (ja) | 1997-04-23 | 2006-02-22 | 株式会社ニコン | 液浸型露光装置 |
AU2747999A (en) | 1998-03-26 | 1999-10-18 | Nikon Corporation | Projection exposure method and system |
JP2001221975A (ja) | 2000-02-10 | 2001-08-17 | Fujitsu Ltd | 光学装置 |
JP2002100561A (ja) | 2000-07-19 | 2002-04-05 | Nikon Corp | 露光方法及び装置、並びにデバイス製造方法 |
SG124257A1 (en) | 2000-02-25 | 2006-08-30 | Nikon Corp | Exposure apparatus and exposure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illumination distribution |
JP2001313250A (ja) | 2000-02-25 | 2001-11-09 | Nikon Corp | 露光装置、その調整方法、及び前記露光装置を用いるデバイス製造方法 |
EP1262836B1 (en) | 2001-06-01 | 2018-09-12 | ASML Netherlands B.V. |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DE60225216T2 (de) | 2001-09-07 | 2009-03-05 | Asml Netherlands B.V. | Lithographischer Appar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orrichtung |
EP1870772B1 (en) | 2002-03-18 | 2013-10-23 | ASML Netherlands B.V. | Lithographic apparatus |
JP4324957B2 (ja) | 2002-05-27 | 2009-09-02 | 株式会社ニコン | 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および露光方法 |
US7471375B2 (en) * | 2003-02-11 | 2008-12-30 | Asml Netherlands B.V. | Correction of optical proximity effects by intensity modulation of an illumination arrangement |
WO2004093780A2 (en) * | 2003-04-21 | 2004-11-04 | Matrix Laboratories Ltd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gabapentin form-ii |
ATE502323T1 (de) | 2003-07-30 | 2011-04-15 | Zeiss Carl Smt Gmbh | Beleuchtungssystem für die mikrolithographie |
JP3984950B2 (ja) | 2003-11-12 | 2007-10-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照明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露光装置 |
WO2005048326A1 (ja) | 2003-11-13 | 2005-05-26 | Nikon Corporation | 可変スリット装置、照明装置、露光装置、露光方法及びデバイスの製造方法 |
US7030958B2 (en) | 2003-12-31 | 2006-04-18 | Asml Netherlands B.V. | Optical attenuator device, radiation system and lithographic apparatus therewith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TWI437618B (zh) | 2004-02-06 | 2014-05-11 | 尼康股份有限公司 | 偏光變換元件、光學照明裝置、曝光裝置以及曝光方法 |
US20050237623A1 (en) * | 2004-02-26 | 2005-10-27 | Damian Fiolka | Optical unit for an illumination system of a microlithographic projection exposure apparatus |
JP4470558B2 (ja) | 2004-03-31 | 2010-06-02 | ウシオ電機株式会社 | 光照射装置 |
JP2005321766A (ja) | 2004-04-08 | 2005-11-17 | Braun Kk | 遮光方法および遮光板 |
JP2005322855A (ja) | 2004-05-11 | 2005-11-17 | Nikon Corp | 光強度分布の評価方法、調整方法、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および露光方法 |
US7283209B2 (en) * | 2004-07-09 | 2007-10-16 | Carl Zeiss Smt Ag | Illumination system for microlithography |
JP2006054328A (ja) | 2004-08-12 | 2006-02-23 | Nikon Corp | 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及びマイクロデバイスの製造方法 |
JP4599936B2 (ja) * | 2004-08-17 | 2010-12-15 | 株式会社ニコン | 照明光学装置、照明光学装置の調整方法、露光装置、および露光方法 |
US7145634B2 (en) | 2004-12-01 | 2006-12-05 | Asml Netherlands B.V. |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DE102004063314A1 (de) | 2004-12-23 | 2006-07-13 | Carl Zeiss Smt Ag | Filtereinrichtung für die Kompensation einer asymmetrischen Pupillenausleuchtung |
JPWO2006070580A1 (ja) | 2004-12-27 | 2008-06-12 | 株式会社ニコン | オプティカルインテグレータ、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露光方法、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TWI453796B (zh) | 2005-01-21 | 2014-09-21 | 尼康股份有限公司 | 偏光變更單元以及元件製造方法 |
JP2008544531A (ja) | 2005-06-21 | 2008-12-04 | カール ツァイス エスエムテー アーゲー | 瞳ファセットミラー上に減衰素子を備えた二重ファセット照明光学系 |
JP2007027240A (ja) | 2005-07-13 | 2007-02-01 | Nikon Corp | 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および露光方法 |
US7375353B2 (en) * | 2005-09-13 | 2008-05-20 | Asml Netherlands B.V. |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US7532308B2 (en) | 2005-09-13 | 2009-05-12 | Asml Netherlands B.V. |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US7489387B2 (en) | 2006-11-30 | 2009-02-10 | Canon Kabushiki Kaisha |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fabrication method |
CN101636695B (zh) | 2007-01-30 | 2012-06-06 | 卡尔蔡司Smt有限责任公司 | 微光刻投射曝光设备的照明系统 |
US7843549B2 (en) | 2007-05-23 | 2010-11-30 | Asml Holding N.V. | Light attenuating filter for correcting field dependent ellipticity and uniformity |
-
2009
- 2009-02-05 US US12/366,429 patent/US890815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2-12 WO PCT/JP2009/052274 patent/WO200910195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2-12 KR KR1020107019811A patent/KR10168272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2-12 EP EP17185510.9A patent/EP330639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9-02-12 TW TW098104487A patent/TWI47927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02-12 EP EP09710500.1A patent/EP2244282B1/en not_active Not-in-forc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51717A1 (ja) * | 2002-12-03 | 2004-06-17 | Nikon Corporation | 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および露光方法 |
US20060055834A1 (en) * | 2002-12-03 | 2006-03-16 | Nikon Corporation | Illumination optical system, exposure apparatus, and exposure method |
US20080239274A1 (en) * | 2002-12-03 | 2008-10-02 | Nikon Corporation | Illumination optical system, exposure apparatus, and exposure method |
JP2006332197A (ja) * | 2005-05-24 | 2006-12-07 | Nikon Corp | 鏡筒、露光装置及び光学素子の検出方法並びにデバイス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908151B2 (en) | 2014-12-09 |
KR101682727B1 (ko) | 2016-12-05 |
US20090284727A1 (en) | 2009-11-19 |
EP2244282B1 (en) | 2017-09-06 |
TW200947141A (en) | 2009-11-16 |
WO2009101958A1 (ja) | 2009-08-20 |
EP2244282A1 (en) | 2010-10-27 |
EP2244282A4 (en) | 2011-08-24 |
EP3306398A1 (en) | 2018-04-11 |
TWI479273B (zh) | 2015-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117650A (ko) | 조명 광학 시스템, 노광 장치, 디바이스 제조 방법, 보정 필터, 및 노광 광학 시스템 | |
JP5459571B2 (ja) | オプティカルインテグレータ系、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US7706072B2 (en) | Optical integrator, illumination optical device, photolithograph, photolithography, and method for fabricating device | |
KR20030023586A (ko) | 조명장치, 그것을 이용한 노광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방법 | |
WO2010061674A1 (ja) | 補正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KR101789855B1 (ko) | 조명 광학계 및 노광 장치 | |
JP5541604B2 (ja) | 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5035747B2 (ja) | オプティカルインテグレータ、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2002222761A (ja) | 照明光学装置および該照明光学装置を備えた露光装置 | |
JP5182588B2 (ja) | オプティカルインテグレータ、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2010097975A (ja) | 補正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5387893B2 (ja) | 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5326733B2 (ja) | 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5201061B2 (ja) | 補正フィルター、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5190804B2 (ja) | 減光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2010067943A (ja) | 補正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2010040617A (ja) | オプティカルインテグレータ、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5187631B2 (ja) | 補正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HK1251045A1 (en) | Illumination optical system, exposure device and equipment manufacturing method, compensation filter and exposure optical system | |
JP5187636B2 (ja) | 補正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HK1147843B (en) | Illumination optical system,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HK1147843A (en) | Illumination optical system,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JP2010182703A (ja) | 補正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2010157650A (ja) | 補正ユニット、照明光学系、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
JP2008021767A (ja) | 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9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