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819A -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96819A KR20090096819A KR1020080021874A KR20080021874A KR20090096819A KR 20090096819 A KR20090096819 A KR 20090096819A KR 1020080021874 A KR1020080021874 A KR 1020080021874A KR 20080021874 A KR20080021874 A KR 20080021874A KR 20090096819 A KR20090096819 A KR 200900968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um
- unit
- conveying
- media
- double she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the articles resting on rollers or ball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매체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는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매체입금장치는 입금된 매체를 낱장 단위로 배출하는 매체입금부, 낱장 단위로 배출되는 매체를 반송하는 제1반송부, 제1반송부에 연속적으로 제공되어 매체를 반송하며 제1반송부와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2반송부, 제1반송부의 반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반송되는 매체 중 이매인 부분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이매감지센서, 매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가 감지되면 제2반송부의 작동을 유지하면서 제1반송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매체입금부, 반송부, 이매감지센서, 제어부, 동기화센서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 수표와 같은 매체를 처리하는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크게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 수표 등과 같은 매체는 매체입금장치의 입금부를 통해 입금될 수 있으며, 입금부를 통해 입금된 매체는 일정 이송 경로를 거쳐 매체저장부에 저정될 수 있다.
한편, 매체입금장치를 통해 입금된 매체는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동안 낱장 단위로 이송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매체가 2장 이상 겹쳐져서 중송(重送, double feeding)되면 잼(jam)발생의 원인이 되며 매체입금장치가 오동작 되거나 정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매체의 중송은 매체의 장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매체가 이송되도록 구성된 매체입금장치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매체의 장방향을 따라 매체가 이송되는 방식은 매체 간에 겹쳐질 수 있는 구간이 크기 때문에 매체의 중송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매체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한 일부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매체의 중송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매체의 중송을 방지하면서 매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체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매체입금장치는 입금된 매체를 낱장 단위로 배출하는 매체입금부, 낱장 단위로 배출되는 매체를 반송하는 제1반송부, 제1반송부에 연속적으로 제공되어 매체를 반송하며 제1반송부와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2반송부, 제1반송부의 반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반송되는 매체 중 이매인 부분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이매감지센서, 매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가 감지되면 제2반송부의 작동을 유지하면서 제1반송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매체입금부로부터 배출되어 반송되는 매체는 매체의 길이 방향(장방향)을 따라 진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매체의 폭방향을 따라 매체가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반송부 및 제2반송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반송부 및 제2반송부는 서로 연동되는 복수개의 반송롤러 및 반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반송롤러에 의해 일정 경로를 따라 순환하며 매체의 반송 경로를 정의하는 벨트 또는 가이드면을 제공하는 가이드판이 반송롤러와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이매감지센서는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제1반송부를 구성하는 반송롤러 중 매체입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후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매감지센서로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광학식 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매감지센서의 후방에는 이매감지센서와 동기화(synchronization)되도록 동기화센서가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동기화센서는 반송되는 매체가 이매감지센서까지 도달하기 전에 먼저 통과되는 매체를 인식하여 예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매감지센서는 동기화센서에서 발생된 예비신호에 동기화되어 소위 긴장상태 하에서 반송되는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동기화센서는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여 이매감지센서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매체입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이송부의 반송롤러의 접점과 이매감지센서 사이에 분리감지센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분리감지센서에 의해서 매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매체입금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은 입금된 매체를 낱장 단위로 배출하는 매체입금부, 낱장 단위로 배출되는 매체를 반 송하는 제1반송부, 제1반송부에 연속적으로 제공되어 매체를 반송하며 제1반송부와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2반송부, 제1반송부의 반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반송되는 매체 중 이매인 부분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이매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매체입금부에 입금된 매체를 낱장 단위로 배출하는 단계, 매체입금부로부터 배출된 매체를 제1반송부를 통해 반송하는 단계, 매체가 제1반송부를 통과하는 동안 매체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인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매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2반송부의 작동을 유지하면서 제1반송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매체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매체입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이송부의 반송롤러의 접점 이전 또는 이후의 위치에서 이매감지센서에 인접하게 동기화 센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기화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대응하여 이매감지센서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매 감지와는 별도로 이매감지센서를 통해 매체가 감지된 경우 매체입금부를 정지시키고, 매체의 부재가 감지된 경우 매체입금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매체입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이송부의 반송롤러의 접점과 이매감지센서 사이에 분리감지센서를 제공하고, 분리감지센서를 통해 매체가 감지된 경우 매체입금부를 정지시키고, 매체의 부재가 감지된 경우 매체입금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복수개의 반송부에 의해 매체가 반송될 수 있게 함으로써, 매체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매체를 이송할 수 있다.
더욱이, 매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체가 이송된다 하더라도 매체의 중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하는 이매감지센서가 동기화센서에서 먼저 감지한 예비신호에 동기화되어 작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매 감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입금장치가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입금장치는 지폐 또는 수표 등과 같은 통상의 매체를 입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매체를 입금함과 동시에 매체를 출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입금장치는 통상의 금융자동화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 및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입금장치(200)가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100)는 매체입금부(210), 제1반송부(220), 제2반송부(230), 이매감지센서(250), 제어부(240) 및 매체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입금부(210)는 사용자(또는 고객)가 매체를 입금할 수 있도록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미도시)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된다. 매체입금부(210)에는 매체가 소정 스택(stack) 단위로 입금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매체가 낱장 단위로 입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매체입금부(210)에 스택 단위의 매체가 입금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매체입금부(210)는 입금된 매체를 낱장 단위로 픽업하는 픽업롤러(212), 상기 픽업롤러(212)와 인접하게 장착되어 픽업롤러(212)에 의해 낱장 분리된 매체를 이송 경로로 유입시키는 피드롤러(214), 상기 피드롤러(214)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게이트롤러(2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픽업롤러(212), 피드롤러(214) 및 게이트롤러(216)를 통해 입금된 매체는 매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낱장 단위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체를 낱장 단위로 배출하기 위한 픽업롤러(212), 피드롤러(214) 및 게이트롤러(216)가 매체입금부(210)의 내부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픽업롤러, 피드롤러 및 게이 트롤러가 매체입금부(210)의 외부에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체가 길이 방향(장방향)을 따라 배출 및 이송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매체가 폭방향을 따라 배출 및 이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송부(220)는 매체입금부(210)로부터 낱장 단위로 배출되는 매체를 반송하기 위해 매체입금부(210)의 출구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반송부(22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반송부(220)는 서로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1반송롤러(222) 및 상기 제1반송롤러(2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반송롤러(222)에 의해 일정 경로를 따라 순환하며 매체의 반송 경로를 정의하는 벨트 또는 가이드면을 제공하는 가이드판이 제1반송롤러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송부(230)는 제1반송부(220)에 의해 반송되는 매체를 전달받아 매체저장부 측으로 반송하기 위해 제1반송부(220)의 출구단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반송부(220)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반송부(230)는 서로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2반송롤러(232) 및 상기 제2반송롤러(2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반송부(220) 및 제2반송부(230)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반송부(220) 및 제2반송부(230) 서로 다른 구조 및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반송부(220) 및 제2반송부(230)의 각 구동모터(224,234)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제1반송부(220) 및 제2반송부(230) 중 어느 하나만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이매감지센서(250)는 제1반송부(220)의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매체 중 이매인 부분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제1반송부(220)의 반송경로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이매감지센서(250)로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광학식 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이매감지센서(250)는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 즉, 제1반송부(220)의 입구단에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T) 이후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반송롤러의 접점이라 함은 반송롤러와 매체 간에 실질적으로 접촉이 일어나는 지점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40)는 이매감지센서(25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 반송부(220,230)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어부(240)는 매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가 감지되면 제2반송부(230)의 작동을 유지한 상태로 제1반송부(220)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매감지센서(250)는 매체입금부(210)로부터 배출된 매체가 제1반송부(220)를 통해 반송되는 동안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그 후 매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제2반송부(230)의 작동을 유지하면서 제1반송부(2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즉, 도 3과 같이, 매체입금부(210)로부터 배출되는 매체의 바로 다음 매체의 일부가 매체입금부(210) 외부로 끌려나가며 제1반송부(220)의 반송 경로까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이매감지센서(250)에 의해 감지될 경우 제어부(240)는 제2반송부(23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1반송부(220)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먼저 반송되던 매체는 제2반송부(230)를 통해 정상적으로 반송될 수 있으며, 뒤따라오던 바로 다음 매체는 회전이 구속된 제1반송부(220)의 반송롤러에 의해 구속되며 더 이상 제2반송부(230) 측으로 반송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다.
한편, 먼저 반송되던 매체의 반송이 완료된 후 제1반송부(220)에 구속된 상태로 있던 매체는 제1반송부(220)가 재작동함에 따라 다시 정상적으로 반송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1반송부(220) 및 매체입금부(210)의 각 롤러가 역회전함에 따라 다시 매체입금부(21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매체의 일부가 겹쳐진 경우와 달리 두 장의 매체가 거의 완전하게 겹치는 경우에는, 제1반송부만을 별도로 정지시키지 않고 제1반송부 및 매체입금부의 각 롤러가 역회전함에 따라 겹쳐진 매체가 다시 매체입금부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매감지센서(250)의 후방에는 이매감지센서(250)와 동기화(synchronization)되도록 동기화센서(260)가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동기화센서(260)는 반송되는 매체가 이매감지센서(250)까지 도달하기 전에 먼저 통과되는 매체를 인식하여 예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매감지센서(250)는 동기화센서(260)에서 발생된 예비신호에 동기화되어 소위 긴장상태 하에서 반송되는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동기화센서(260)는 이매감지센서(250)가 긴장상태 하에서 반송되는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하며, 이매감지센서(250)의 이매 감지에 따른 제1반송부(220)의 정지가 최대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화센서(260)는 매체의 통과 여부 정도를 감지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전술한 이매감지센서(250) 보다 감도 및 정확도가 높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이매감지센서(250)는 매체가 겹쳐진 상태를 감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체를 통과하는 광량에 민감해야 하나, 동기화센서(260)는 단순히 매체 통과에 따른 다크(Dark) 및 라이트(Light) 여부만 감지하면 충분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동기화센서(260)는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여 이매감지센서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동기화센서(260)가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전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르게 는 도 5와 같이 상기 동기화센서(260')가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동기화센서(260)가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전에 배치되는 경우, 동기화센서(260)는 단순히 이매감지센서(250)의 동기화를 위한 예비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매감지센서(25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매체의 이매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매체입금부(210)의 작동 여부(매체입금부(210)로부터의 매체 배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5와 같이 동기화센서(260')가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후에 배치될 경우, 이매감지센서(250)는 단순히 통과되는 매체의 이매 여부만을 감지하게 되고, 동기화센서(260')는 이매감지센서(250)의 동기화를 위한 예비 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매체입금부(21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동기화센서(260') 대신 단순히 매체를 감지하기 위한 분리감지센서(미도시)가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이송부(220)의 반송롤러(222)의 접점과 이매감지센서(250)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40)는 분리감지센서에 의해서 매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매체입금부(2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후에 배치되는 센서(동기화센서 또는 분리감지센서)는 단순히 매체입금부(210)의 작동 여부만을 결정하기 위해 제공되거나, 매체입금부(210)의 작동 여부 결정과 동시에 이매감지센서(250)와의 동기화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매체저정부는 입금된 매체를 저장하기 위해 제공되는 바, 제1반송부(220) 및 제2반송부(230)를 통해 반송된 매체는 일정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된 매체저장부로 이송되면서 입금거래가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반송부(230)와 매체저장부의 사이에는 리젝트부, 일시스택부 등과 같은 각종 부가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가장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반송부(230)와 매체저장부의 사이에는 입금된 매체가 정상적인 매체인지 비정상적인 매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매체인식부(300), 입금된 매체 중 비정상 매체를 회수하는 리젝트부(RJ; Reject Box)(400), 입금된 매체 중 정상 매체를 일시 저장하는 일시스택부(ES; Escrow Box)(500), 매체 중 수취되지 않는 매체를 회수하는 리트랙트부(RT; Retract Box)(600) 또는 소정의 비정상 매체 중 위조 매체를 저장하는 특수저장부(FN; Forged Note box)(700)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각각의 부가장치들은 벨트 및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이송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은 매체입금부(210)에 입금된 매체를 낱장 단위로 배출하는 단계, 상기 매체 입금부(210)로부터 배출된 매체를 제1반송부(220)를 통해 반송하는 단계, 상기 매체가 제1반송부(220)를 통과하는 동안 매체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인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매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2반송부(230)의 작동을 유지하면서 제1반송부(2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매체입금부(210)에 입금된 매체를 픽업롤러(212), 피드롤러(214) 및 게이트롤러(216)를 이용하여 낱장 단위로 배출한다.
다음, 상기 매체입금부(210)로부터 배출된 매체를 제1반송부(220)를 통해 반송한다. 이 단계에서 매체는 제1반송부(220)의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될 수 있다. 아울러, 제1반송부(220)를 통해 매체를 반송하는 단계에서, 제1반송부(220)는 매체입금부(210)가 작동하기 전에 미리 작동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매체입금부(210)의 작동이 시작된 후 순차적으로 제1반송부(220)가 작동될 수도 있다.
다음, 매체가 제1반송부(220)를 통과하는 동안 매체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인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 단계에서는 제1반송부(220)의 반송 경로 상에 배치된 이매감지센서(250)를 통해 통과되는 매체의 이매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매감지센서(250)는 매체를 통과하는 광량을 통해 매체의 이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방식에 의해 이매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매감지센서(250)의 센싱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상기 제1반송부(220)를 통해 반송되는 매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반송부(230)의 작동을 유지하면서 제1반송부(220)의 작동을 정지한다.
즉, 매체입금부(210)로부터 배출되는 매체의 바로 다음 매체의 일부가 매체입금부(210) 외부로 끌려나가며 제1반송부(220)의 반송 경로까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이매감지센서(250)에 의해 감지될 경우 제어부(240)는 제2반송부(23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1반송부(220)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먼저 반송되던 매체는 제2반송부(230)를 통해 정상적으로 반송될 수 있으며, 뒤따라오던 바로 다음 매체는 회전이 구속된 제1반송부(220)의 반송롤러에 의해 구속되며 더 이상 제2반송부(230) 측으로 반송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다.(도 3 참조)
한편, 매체의 이매 여부를 판단하기 전에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매감지센서(250)의 후방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동기화센서(260)를 통해 매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매감지센서(250)는 동기화센서(260)에서 감지한 신호에 대응하여 동기화되어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이 단계에서는 반송되는 매체가 이매감지센서(250)까지 도달하기 전에 먼저 통과되는 매체를 인식하여 예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매감지센서(250)는 동기화센서(260)에서 발생된 예비신호에 동기화되어 소위 긴장상태 하에서 반송되는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이매감지센서(250)가 긴장상태 하에서 반송되는 매체의 이매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하며, 이매감지센서(250)의 이매 감지에 따른 제1반송부(220)의 정지가 최대한 신속하고 정 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전술한 이매 감지와는 별도로 이매감지센서(250)를 통해 매체가 감지된 경우 매체입금부(210)를 정지시키고, 상기 매체의 부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매체입금부(2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동기화센서(260)는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동기화센서(260)는 단순히 이매감지센서(250)의 동기화를 위한 예비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매감지센서(25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매체의 이매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매체입금부(210)의 작동 여부(매체입금부(210)로부터의 매체 배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도 4 참조)
다르게는 전술한 동기화센서(260')를 통해 매체가 감지된 경우 매체입금부(2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동기화센서(260')는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매감지센서(250)는 단순히 통과되는 매체의 이매 여부만을 감지하게 되고, 동기화센서(260')는 이매감지센서(250)의 동기화를 위한 예비 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매체입금부(21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도 5 참조)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동기화센서(260') 대신 단순히 매체를 감지하기 위한 분리감지센서(미도시)가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이송부(220)의 반송롤러(222)의 접점과 이매감지센서(250)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감지센서에 의해서 매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매체입금부(2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매체입금부(210)에 인접하게 배치되 는 제1이송부(210)의 반송롤러(222)의 접점 이후에 배치되는 분리감지센서는 이매감지센서(250)와의 동기화와 상관없이 단순히 매체입금부(210)의 작동 여부만을 결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매체입금장치는 입금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입출금 겸용 금융자동화기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입금장치가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금융자동화기기 200 : 매체입금장치
210 : 매체입금부 220 : 제1반송부
230 : 제2반송부 240 : 제어부
250 : 이매감지센서 260 : 동기화센서
Claims (10)
- 입금된 매체를 낱장 단위로 배출하는 매체입금부;낱장 단위로 배출되는 상기 매체를 반송하는 제1반송부;상기 제1반송부에 연속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매체를 반송하며, 상기 제1반송부와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2반송부;상기 제1반송부의 반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반송되는 매체 중 이매인 부분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이매감지센서; 및상기 매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가 감지되면 상기 제2반송부의 작동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반송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매체입금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반송부 및 상기 제2반송부는 상기 매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매체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입금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반송부는 서로 연동되는 복수개의 반송롤러를 포함하고,상기 이매감지센서는 상기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매체입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후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입금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이매감지센서와 동기화(synchronization)되도록 상기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이매감지센서의 후방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동기화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입금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동기화센서는 상기 매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매체입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송롤러의 접점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여 상기 이매감지센서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입금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매체입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반송롤러의 접점과 상기 이매감지센서 사이에 제공되는 분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감지센서에 의해서 매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매체입금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입금장치.
- 입금된 매체를 낱장 단위로 배출하는 매체입금부, 낱장 단위로 배출되는 상기 매체를 반송하는 제1반송부, 상기 제1반송부에 연속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매 체를 반송하며 상기 제1반송부와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2반송부, 상기 제1반송부의 반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반송되는 매체 중 이매인 부분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이매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매체입금부에 입금된 매체를 낱장 단위로 배출하는 단계;상기 매체입금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매체를 상기 제1반송부를 통해 반송하는 단계;상기 매체가 상기 제1반송부를 통과하는 동안 매체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인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상기 매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상에서 이매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2반송부의 작동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반송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매체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매체입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이송부의 반송롤러의 접점 이전 또는 이후의 위치에서 상기 이매감지센서에 인접하게 동기화 센서를 제공하고, 상기 동기화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이매감지센서를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이매 감지와는 별도로 상기 이매감지센서를 통해 매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매체입금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매체의 부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매체입금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매체입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이송부의 반송롤러의 접점과 상기 이매감지센서 사이에 분리감지센서를 제공하고, 상기 분리감지센서를 통해 매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매체입금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매체의 부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매체입금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입금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1874A KR20090096819A (ko) | 2008-03-10 | 2008-03-10 |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1874A KR20090096819A (ko) | 2008-03-10 | 2008-03-10 |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6819A true KR20090096819A (ko) | 2009-09-15 |
Family
ID=4135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1874A Withdrawn KR20090096819A (ko) | 2008-03-10 | 2008-03-10 |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9681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79090A (ko) * | 2009-12-31 | 2011-07-0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 자동화기기 |
-
2008
- 2008-03-10 KR KR1020080021874A patent/KR20090096819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79090A (ko) * | 2009-12-31 | 2011-07-0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 자동화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5065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ous kinds of paper media with skew sensing | |
KR102425145B1 (ko) |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 |
JP5091628B2 (ja) | 紙葉類取扱装置 | |
KR102112615B1 (ko) | 횡방향 입출금 방식이 적용된 환류형 지폐/수표 입출금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지폐/수표 처리방법 | |
KR20110056945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이송방법 및 그 장치 | |
KR20160139764A (ko) | 매체 처리 장치 | |
JP6064791B2 (ja) | 媒体繰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 |
KR101527651B1 (ko) | 매체 처리 장치 | |
JP2021105894A (ja) | 紙葉類処理装置 | |
KR102361651B1 (ko) |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 |
KR20060078539A (ko) |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 |
KR20090096819A (ko) |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H11283074A (ja) | 循環式紙幣入出金機 | |
KR20220050410A (ko) |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의 제어방법 | |
CN106044300A (zh) | 介质处理装置 | |
KR102312676B1 (ko) | 지폐계수모듈 및 지폐계수모듈의 제어방법 | |
JP2572485B2 (ja) | 紙幣入出金機における出金繰出制御装置 | |
KR101203762B1 (ko) | 지폐취급장치 및 지폐취급방법 | |
KR200379150Y1 (ko) |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 |
KR101153639B1 (ko) | 매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 | |
KR20090008756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휠회전제어방법 | |
JP4768293B2 (ja) | 紙葉類収納装置 | |
JP6495159B2 (ja) | 媒体識別装置 | |
JP2559389B2 (ja) | 現金自動取引装置 | |
KR20250018322A (ko) |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