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9150Y1 -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150Y1
KR200379150Y1 KR20-2004-0037741U KR20040037741U KR200379150Y1 KR 200379150 Y1 KR200379150 Y1 KR 200379150Y1 KR 20040037741 U KR20040037741 U KR 20040037741U KR 200379150 Y1 KR200379150 Y1 KR 200379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thdrawal
collection
bill
guide
bil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혁
백윤길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15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상지폐류 인입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출금하지 않고 회수하여 원활한 지폐류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폐류이송장치의 지폐류 분리부위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상지폐류가 회수적재되는 회수함, 상기 지폐류 분리부위와 출금구의 사이에서 지폐류를 상기 회수함 또는 상기 출금구측으로 가이드하는 출금/회수가이드, 상기 출금/회수가이드를 선회시키는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 상기 지폐류이송장치의 인입부측에 설치되어 분리수단에서 낱장분리된 지폐류의 인입여부 및 지폐류의 통과시간을 감지하는 지폐류 길이감지센서, 상기 회수함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지폐류 회수여부를 감지하는 지폐류 회수감지센서, 상기 각 감지센서의 측정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를 제공하여 이상지폐류의 인입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고 또한 이상지폐류를 효율적으로 별도의 공간에 회수하여 지폐류 출금기의 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임.

Description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Device for withdrawing abnormal paper money in A.T.M.}
본 고안은 지폐류 출금기에서 발생되는 이상지폐류를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류 출금기의 지폐류이송장치로 인입되는 지폐류의 길이를 측정하여 반절권 등의 이상지폐류 인입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출금하지 않고 회수하여 원활한 지폐류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웬만한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A.T.M.)에는 지폐류 출금기와 지폐류 입출금기 등이 있는데, 지폐류 출금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지폐류만 자동으로 출금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지폐류 입출금기는 지폐류자동출금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지폐류 출금기 내부에 출금될 지폐류가 적재되어 있는 보관함을 카세트라 칭하고, 지폐류 입출금기 내부에 출금될 지폐류가 적재되어 있거나 입급되는 지폐류가 유입되어 적재되는 환류식 보관함을 리사이클박스라 칭한다.
이러한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는 입금기능과 출금기능이 동시에 구현되므로 지폐류가 입금되는 입금부측으로는 각종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지폐류 입금장치가 설치되고, 지폐류가 출금되는 출금부측으로는 마찬가지로 각종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지폐류 출금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지폐류 출금기의 카세트는 출금기능만이 구현되므로 지폐류가 출금되는 출금부측으로는 각종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지폐류 인출장치 또는 지폐류 분리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지폐류 출금기는 상기 지폐류 분리수단에서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컨베어벨트 등으로 이루어진 지폐류이송장치측으로 이송시키고 최종적으로 상기 지폐류이송장치의 끝부분에서 출금구를 통하여 고객에게 출금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폐류 출금기는 지폐류 분리수단에서 지폐류가 정상적으로 낱장분리되지 못하고 지폐류가 2매이상이 겹쳐서 출금된다던지, 설정된 지폐류의 길이보다 길고나 짧은 즉 다른 권종의 지폐류가 카세트 내에 섞여있다던지 또는 반으로 접힌 반절권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를 그대로 출금하게되면 기기내에 잼(jam)을 유발하거나 금융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폐류 출금기의 지폐류이송장치 내로 인입되는 지폐류의 길이를 측정하여 이상지폐류의 인입여부를 감지하고 이상지폐류가 감지되면 이를 출금하지 않고 회수하여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카세트 내에 적재되고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에 의하여 낱장분리되며 지폐류이송장치의 상부이송벨트와 하부이송벨트 사이의 지폐류 이송경로상로 인입되는 지폐류를 출금구로 출금하거나 인입된 지폐류 중 이상지폐류는 회수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송벨트와 하부이송벨트에서 지폐류가 분리되는 부위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상지폐류가 회수적재되는 회수함; 상기 지폐류이송장치의 지폐류 분리부위와 상기 출금구의 사이에서 지폐류를 상기 회수함 또는 상기 출금구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선회되는 출금/회수가이드; 상기 출금/회수가이드를 선회시키는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 상기 상부이송벨트와 하부이송벨트 사이의 지폐류 이송경로상의 인입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수단에서 낱장분리된 지폐류의 인입여부 및 지폐류의 통과시간을 감지하는 지폐류 길이감지센서; 상기 회수함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지폐류 회수여부를 감지하는 지폐류 회수감지센서; 상기 각 감지센서의 측정신호를 수집하여 인입된 지폐류의 길이를 판단 및 설정치와 비교하여 정상지폐류는 출금하고 이상지폐류는 회수하도록 상기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는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류 출금기에 장착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일례로 상기 지폐류 출금기의 주요한 구성부품으로는 메인프레임(500) 내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지폐류가 적재되는 카세트(100), 카세트(100) 내에 적재된 지폐류를 분리롤러(201)와 피드롤러(202)로 낱장분리해내는 분리수단(200), 분리수단(200)에서 분리된 지폐류를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 사이의 지폐류 이송경로상의 인입부로 인입하여 이송하는 지폐류이송장치(3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카세트(100)에는 지폐류가 수직하게 세워져 적재되어 있고 길이가 긴 방향이 카세트(100)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이와같이 적재되어 지폐류가 분리 및 이송되면 지폐류의 길이가 짧은 방향 즉 너비방향으로 지폐류가 이송되므로 횡방향 지폐류 취급기기라고 불리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출금기에서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의 회수함(10)은 지폐류이송장치(300)의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에서 지폐류가 분리되는 부위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상지폐류를 회수하여 적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에서 지폐류가 분리되는 부위와 메인프레임(500) 출금구(501)의 사이에는 출금/회수가이드(20)가 설치된다.
이에 출금/회수가이드(20)는 상기한 지폐류 분리부위에서 분리되는 지폐류를 도 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회수함(10)측으로 가이드하거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출금구(502)측으로 가이드하도록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일례로 출금구(501)의 직전에는 상하구조로 출금롤러(90)를 설치하여 출금/회수가이드(20)에 출금가이드되는 지폐류가 원활하게 출금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출금/회수가이드(20)는 회전축(31)과 연계되는 후술할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30)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선회되는 것이다.
이처럼 지폐류는 최초 카세트(100)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분리수단(200)에 의해 낱장분리되고, 이송장치(300)의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 사이의 인입부로 인입되어 출금/회수가이드(20)측으로 분리되며, 출금/회수가이드(20)에 가이드되어 출금구(501)로 출금되던지 또는 회수함(10)으로 회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 사이의 지폐류 이송경로상의 인입부측에는 분리수단(200)에서 낱장분리된 지폐류의 인입여부를 감지하는 지폐류 길이감지센서(A1, A2)가 설치된다.
지폐류 길이감지센서(A1, A2)는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 사이의 지폐류 이송경로상의 인입부측에서 상하구조로 발광부(A1)와 수광부(A2)가 설치되는 장거리형 광센서이고, 이에 평상시 라이트(light)신호를 감지하다 지폐류가 통과되면 다크(dark)신호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에 지폐류 길이감지센서(A1, A2)는 지폐류의 인입여부를 감지함은 물론 다크로 감지되는 시간 즉 지폐류의 통과시간을 감지한다.
그리고, 회수함(10)의 입구측에는 회수함(10)으로 회수되는 지폐류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지폐류 회수감지센서(B1, B2)가 설치된다.
지폐류 회수감지센서(B1, B2)는 지폐류가 회수함(10)으로 이송되는 이송경로상에 상하구조로 발광부(B1)와 수광부(B2)가 설치되는 장거리형 광센서이고, 이에 평상시 라이트(light)신호를 감지하다 출금/회수가이드(20)에 지폐류가 가이드되어 회수되면 다크(dark)신호를 감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각 감지센서(A1, A2, B1, B2)의 측정신호를 수집하여 인입된 지폐류의 길이를 판단 및 설정치와 비교하여 정상지폐류는 출금하고 이상지폐류는 회수하도록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면에 표현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즉, 일정하게 구동되는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를 통과하는 지폐류도 일정한 속도로 이송된다고 가정하면, 지폐류길이감지센서(A1, A2)에서 정상적인 지폐류가 다크로 감지되는 시간과 비정상적인 지폐류가 다크로 감지되는 시간은 다를 수 밖에 없다.
일례로 제어부는 카세트(100)내에 다른 권종의 지폐류 즉 길이가 틀린 지폐류가 일부 섞여서 있는 경우 또는 분리수단(200)에서 지폐류가 낱장분리되지 못하고 연이어 분리되거나 일부중첩되어 연이어 분리되는 2매이상 분리되는 경우 또는 분리수단(200)에서 지폐류 낱장분리도중 지폐류가 구겨져 인입되거나 또는 지폐류가 반으로 접힌 반절권 등이 인입되거나 하는 경우에는 지폐류의 길이가 설정치보다 크거나 작으므로 다크로 감지되는 시간이 정상지폐류와는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를 이상지폐류로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지폐류 출금도중 이상지폐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출금/회수가이드(20)를 출금위치에서 회수위치로 선회시켜 이상지폐류가 출금/회수가이드(20)에 회수가이드되어 회수함(10)으로 회수되도록 하고, 회수함(10)의 입구측에 설치된 지폐류 회수감지센서(B1, B2)에서 이상지폐류의 회수가 감지되면 정상적으로 회수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출금/회수가이드(20)를 다시 출금위치로 복원선회시켜 출금동작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의 후면부 사시도이다.
분리수단(200)의 분리롤러(201)와 피드롤러(202)는 분리수단 구동모터(203)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분리수단 구동기어부(204)와 기어 및 축연결되어 지폐류 낱장분리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송장치(300)의 상부벨트(301)와 하부벨트(302)는 이송장치 구동모터(303)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이송장치 구동기어부(304)에서 기어 및 축연결되어 지폐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지폐류이송장치(300)의 상부벨트(301)와 하부벨트(302)는 1열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부벨트(301)와 하부벨트(302)의 좌우로는 지폐류의 상하면을 가이드하여 지폐류의 틀어짐(skew)을 방지하는 지폐류이송가이드(도면에 표현되지 않음) 등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금/회수가이드(20)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있고, 출금/회수가이드(20)가 선회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한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30)의 솔레노이드(35)가 메인프레임(5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도 5는 도 4에서 메인프레임의 일측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30)는 출금/회수가이드(20)를 관통결합하여 양단이 메인프레임(500)에 회전지지되는 회전축(31), 회전축(31)의 일단에 일측이 결합되는 편심바(32), 편심바(32)의 회전축(31)이 결합된 부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부위에 솔레노이드바(33)가 결합되는 솔레노이드(35)로 이루어진다.
이에 솔레노이드(35)에서 솔레노이드바(33)가 전진 또는 후진되면 편심바(32)와 솔레노이드바(33)는 결합부위(34)에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편심바(32)는 선회되고 회전축(31)은 회전되어 결국 출금/회수가이드(20)가 출금위치 또는 회수위치로 선회되는 것이다.
그리고, 출금/회수가이드(20)의 출금위치로 선회되었는지 또는 회수위치로 선회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위한 출금/회수가이드 감지센서(S1)가 구비된다.
일례로 출금/회수가이드 감지센서(S1)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출금/회수가이드(20)의 선회경로상에 설치되어 출금/회수가이드(20)를 직접감지하여 출금회수/가이드(20)의 출금위치 또는 회수위치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일례로 출금/회수가이드 감지센서(S1)는 도시된 바와같이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30) 편심바(32)의 선회에 따른 존재 또는 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출금회수/가이드(20)의 출금위치 또는 회수위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출금/회수가이드 감지센서(S1)는 메인프레임(500) 내측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 출금/회수가이드(20)의 회전축(31)에 고정되어 출금/회수가이드(20)와 함께 선회되는 편심바(32)의 선회경로 전면과 후면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인접하여 설치되는 단거리형 광센서이고, 이에 라이트신호일경우 또는 다크신호일경우 출금/회수가이드(20)가 출금위치 또는 회수위치로 선회된 것으로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각 감지센서(A1, A2, B1, B2, S1)가 설치된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는 원활한 회수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각 감지센서에서 수집된 신호에 의하여 인입된 지폐류의 길이를 판단 및 설정치와 비교하여 정상지폐류는 출금하고 이상지폐류는 회수하도록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면에 표현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이러한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최초 지폐류 출금기는 정상적인 지폐류 출금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 또는 정상적인 출금을 완료한 상태이므로 출금/회수가이드(20)는 출금위치로 선회되어 있는 상태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는 지폐류이송장치(300)의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 사이의 인입부측에 설치되는 지폐류 길이감지센서(A1, A2)에서 지폐류 인입여부 및 지폐류 통과시간을 감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 상기 제어부는 지폐류 길이감지센서(A1, A2)에서 감지된 지폐류 통과시간을 설정치와 비교하여 오차범위이내이면 정상지폐류이므로 출금하고, 오차범위이상 크거나 작으면 이상지폐류로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 상기 제어부는 이상지폐류가 인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의 지폐류 분리부위에 설치되는 출금/회수가이드(20)를 회수위치로 선회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내에 지폐류가 1장씩만 이송되는 방식이라면 지폐류 길이감지센서(A1, A2)에서 지폐류의 인입이 감지된 후 인입된 지폐류가 출금/회수가이드(20)에 도달하기 전까지 출금/회수가이드(20)는 회수위치로 선회되어야 한다.
또한, 상부이송벨트(301)와 하부이송벨트(302) 내에 복수매의 지폐류가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연속이송되는 방식이라면 지폐류 길이감지센서(A1, A2)에서 인입된 지폐류가 이상지폐류로 인식된 후 선행하여 이송중이던 정상지폐류는 그대로 출금하고 이상지폐류가 출금/회수가이드(20)에 도달하기 전까지 출금/회수가이드(20)는 회수위치로 선회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간격을 가지고 지폐류가 연속이송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 상기 제어부는 출금/회수가이드(20)에 회수가이드되는 이상지폐류가 회수함(10)에 유입된 것으로 지폐류 회수감지센서(B1, B2)에서 감지되면 출금/회수가이드(20)는 출금위치로 복원선회시켜 다음 정상지폐류가 정상출금되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지폐류 길이감지센서(A1, A2)에서 이상지폐류가 감지된 후 지폐류 회수감지센서(B1, B2)에서 설정시간동안 지폐류가 부존재로 감지되면 이송장치(30)내에서 잼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지폐류 출금기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한다. 즉, 이상지폐류에 의해 이송장치(30) 내에서 잼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회수마저 불가한 상태로 판단하여 기기의 안전을 위하여 지폐류 출금기의 동작을 중단하고 이를 경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출금/회수가이드 이상지폐류가 회수함(10)에 유입된 것으로 지폐류 회수감지센서(B1, B2)에서 감지된 후 출금/회수가이드(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출금/회수가이드 감지센서(S1)가 출금/회수가이드(20)의 복원선회여부를 감지하여 부존재로 감지 즉 출금/회수가이드(20)가 복원선회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출금/회수가이드(20)에 잼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출금 또는 회수마저 불가한 상태로 판단하여 기기의 안전을 위하여 지폐류 출금기의 동작을 중단하고 이를 경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지폐류이송장치로 인입되는 이상지폐류의 인입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고 또한 이상지폐류를 효율적으로 별도의 공간에 회수하는 것은 물론 지폐류 출금과정에는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고 정상적인 지폐류 출금과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지폐류 출금기의 운용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의 후면부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메인프레임의 일측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수함 20 : 출금/회수가이드
30 :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 31 : 회전축
32 : 편심바 33 : 솔레노이드바
35 : 솔레노이드
A1, A2 : 지폐류 길이감지센서 B1, B2 : 지폐류 회수감지센서
S1 : 출금/선회가이드 감지센서

Claims (6)

  1. 카세트 내에 적재되고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에 의하여 낱장분리되며 지폐류이송장치의 상부이송벨트와 하부이송벨트 사이의 지폐류 이송경로상로 인입되는 지폐류를 출금구로 출금하거나 인입된 지폐류 중 이상지폐류는 회수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송벨트와 하부이송벨트에서 지폐류가 분리되는 부위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상지폐류가 회수적재되는 회수함;
    상기 지폐류이송장치의 지폐류 분리부위와 상기 출금구의 사이에서 지폐류를 상기 회수함 또는 상기 출금구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선회되는 출금/회수가이드;
    상기 출금/회수가이드를 선회시키는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
    상기 상부이송벨트와 하부이송벨트 사이의 지폐류 이송경로상의 인입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수단에서 낱장분리된 지폐류의 인입여부 및 지폐류의 통과시간을 감지하는 지폐류 길이감지센서;
    상기 회수함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지폐류 회수여부를 감지하는 지폐류 회수감지센서;
    상기 각 감지센서의 측정신호를 수집하여 인입된 지폐류의 길이를 판단 및 설정치와 비교하여 정상지폐류는 출금하고 이상지폐류는 회수하도록 상기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회수가이드 구동부는 상기 출금/회수가이드를 관통결합하여 양단이 상기 지폐류 출금기의 메인프레임에 회전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일측이 결합되는 편심바, 상기 편심바의 상기 회전축이 결합된 부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부위에 솔레노이드바가 결합되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바의 선회경로상에는 상기 출금/회수가이드의 선회에 따른 상기 편심바의 존재 또는 부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출금/회수가이드 감지센서가 추가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회수가이드 감지센서는 상기 편심바의 선회경로상의 전면과 후면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설치되는 단거리형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류 길이감지센서는 상기 상부이송벨트와 하부이송벨트 사이의 지폐류 이송경로상의 인입부측에 상하구조로 발광부와 수광부가 설치되는 장거리형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류 회수감지센서는 지폐류가 상기 회수함으로 이송되는 이송경로상에 상하구조로 발광부와 수광부가 설치되는 장거리형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KR20-2004-0037741U 2004-12-31 2004-12-31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379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741U KR200379150Y1 (ko) 2004-12-31 2004-12-31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741U KR200379150Y1 (ko) 2004-12-31 2004-12-31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502A Division KR20060078535A (ko) 2004-12-31 2004-12-31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150Y1 true KR200379150Y1 (ko) 2005-03-18

Family

ID=4368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741U Expired - Lifetime KR200379150Y1 (ko) 2004-12-31 2004-12-31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1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078B1 (ko) * 2006-03-23 2012-06-11 엘지엔시스(주) 매체 회수유니트
KR101481832B1 (ko) 2008-11-06 2015-01-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다이버터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078B1 (ko) * 2006-03-23 2012-06-11 엘지엔시스(주) 매체 회수유니트
KR101481832B1 (ko) 2008-11-06 2015-01-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다이버터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560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KR20000028967A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102112615B1 (ko) 횡방향 입출금 방식이 적용된 환류형 지폐/수표 입출금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지폐/수표 처리방법
KR2011005694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이송방법 및 그 장치
JP3248972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200379150Y1 (ko)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KR100232988B1 (ko) 지폐 자동 지불장치
KR20060078539A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JP2979519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102361651B1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20090062006A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72246A (ko) 종이매체의 제공방법 및 그 제공장치
KR20060078535A (ko) 지폐류 출금기의 이상지폐류 회수장치 및 그 방법
KR200379151Y1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KR102312676B1 (ko) 지폐계수모듈 및 지폐계수모듈의 제어방법
JPS63112350A (ja) 紙葉類取扱い装置の障害復旧方法
JP2009080611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100552228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서 출금지폐겹침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금지폐겹침 방지방법
KR100442496B1 (ko)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
JP2559389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H06219596A (ja) 紙幣自動支払装置
JP2517053Y2 (ja) 紙幣自動支払装置
KR2009000875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휠회전제어방법
KR100535155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KR1006003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분리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31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1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82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7080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050308

Request date: 20070807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71126

Appeal identifier: 200710000214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07

Effective date: 20071126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71127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0710000214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71126

Request date: 2007080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