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5155B1 -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155B1
KR100535155B1 KR10-2004-0023672A KR20040023672A KR100535155B1 KR 100535155 B1 KR100535155 B1 KR 100535155B1 KR 20040023672 A KR20040023672 A KR 20040023672A KR 100535155 B1 KR100535155 B1 KR 10053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thdrawal
bills
box
banknotes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446A (ko
Inventor
차진환
신창훈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1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1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서 출금이 완료된 후에 리사이클박스의 출금가이드에 잔류된 지폐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잔류지폐를 리사이클박스 내로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금수단이 구비된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있어서, 상기 출금수단에서 출금이 완료되는 최종부위에 설치되어 반출되는 지폐류의 유무를 감지하여 출금매수를 계수하는 출금매수 감지센서, 상기 출금수단의 출금가이드에서 지폐류의 잔류상태가 감지되도록 설치되는 잔류지폐 감지센서,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의 푸쉬플레이트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는 입금정위치 감지센서, 상기 각 감지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출금수단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잔류지폐의 여부를 감지하고, 잔류지폐를 안정적으로 리사이클박스 내측으로 반송가능한 발명임.

Description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Control device for returning the remained the bill of the recycle box in auto teller machine and control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설치되어 잔류된 지폐류를 반송하는 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의 반송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서 출금이 완료된 후에 리사이클박스의 출금가이드에 잔류된 지폐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잔류지폐를 리사이클박스 내로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웬만한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류 지급기와 지폐류 입출금기 등이 있는데, 지폐류 지급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지폐류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지폐류 입출금기는 지폐류자동지급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지폐류 입출금기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가지 모듈을 고정하는 메인베이스(1), 고객이 입금한 지폐류를 입금하는 입금장치(2), 입금장치(2)에 입금된 지폐류의 진위여부나 파손여부를 감별하는 위폐감별장치(4), 위폐감별장치(4)에서 정상으로 통과된 지폐류를 일시 저장하는 일시저장장치(5), 위폐감별장치(4)에서 비정상으로 판별된 지폐류를 저장하는 지폐류저장박스(9b), 일시저장장치(5)에 일시 저장된 정상적인 지폐류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지폐류를 고객의 출금요구시 다시 출금하여 환류시키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리사이클박스(6), 리사이클박스(6)를 동작하기 위한 입출력신호와 전원 또는 구동력 등을 공급하고 리사이클박스(6)를 지지하는 리사이클박스지지장치(7), 리사이클박스(6)에 저장된 정상 지폐류를 고객의 출금요구시 출금하는 출금장치(8), 출금장치(8)에서 출금된 지폐류를 고객이 수취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저장하는 미수취회수함(9a), 메인베이스(1)에 설치되어 지폐류를 상기 각각의 모듈로 이송하는 이송장치(3a,3b,3c)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분리사시도이다.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6)는 상단부에 일측은 입금수단(100)이 구비되고 타측은 출금수단(200)이 구비된 헤드부(900)와 입금수단(100)에 의해 유입된 지폐류가 저장되거나 출금수단(200)에 의해 반출될 지폐류가 저장되어있는 저장부(80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전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후면부 분리사시도이다.
리사이클박스(6)의 헤드부(900)는 다수개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입금수단(100)과 입금수단(10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입금수단(100)의 롤러와 동일축에 결합되고 기어연결되어 있는 입금부 동력전달수단(300)이 구비되어 있고, 다수개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출금수단(200)과 출금수단(20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출금수단(200)의 롤러와 동일축에 결합되고 기어연결되어 있는 출금부 동력전달수단(400)이 구비되어 있다.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6)의 출금수단(200)은 리사이클박스(6)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21),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픽업롤러(21)를 상하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30),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22)와 게이트롤러(도면에 표현되지 않음), 출금롤러(22)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24),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는 출금요청되어진 매수만큼지폐류가 출금완료된 이후에도 픽업롤러(21)와 출금롤러(22)에서 낱장분리되어 반출 중이던 지폐류가 출금되지 못한 채 출금가이드(25)에 잔류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출금가이드(25)에는 잔류된 지폐류의 여부를 감지하고, 잔류된 지폐류가 감지되었을시에는 다시 리사이클박스(6)의 저장부(800)로 기존에 보관되어 있는 지폐류 또는 장치류와 물리적 부하없이 안정되게 반송할 수 있는 반송제어장치 및 반송제어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에서 출금완료후에 출금가이드에 지폐류가 잔류되었는지의 여부와 리사이클박스 내의 지폐류가 적층되는 푸쉬플레이트의 위치가 입금정위치에 위치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이에따라 출금수단 및 푸쉬플레이트를 제어하여 출금가이드에 지폐류가 잔류되었을시에 안정적으로 리사이클박스내로 반송하도록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 내에 설치되어 저장되어 있는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상기 픽업롤러를 상하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상기 리사이클박스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와 게이트롤러, 상기 출금롤러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 상기 리사이클박스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출금수단이 구비된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있어서, 상기 출금수단에서 출금이 완료되는 최종부위에 설치되어 반출되는 지폐류의 유무를 감지하여 출금매수를 계수하는 출금매수 감지센서;와 상기 출금가이드에서 지폐류의 잔류상태가 감지되도록 그 하측에 설치된 상기 핀치롤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잔류지폐 감지센서;와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의 지폐류가 적층되어 승하강되는 푸쉬플레이트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는 입금정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각 감지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출금수단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발명을 이용한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에서 출금이 완료되는 최종부위에 설치되는 출금매수 감지센서와 상기 리사이클박스의 출금되는 지폐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에서 지폐류의 잔류상태가 감지되도록 그 하측에 설치된 핀치롤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잔류지폐 감지센서와 상기 리사이클박스의 내의 지폐류가 적층되는 푸쉬플레이트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는 입금정위치 감지센서를 작동시켜 각 센서로부터 지폐류의 존재/부존재여부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상기 출금매수 감지센서에서 요청된 출금매수만큼 계수가 완료된 후 지폐류의 부존재가 감지되고, 상기 잔류지폐 감지센서에서 지폐류의 존재가 감지되면 지폐류가 상기 출금가이드에 잔류된 것으로 인식하는 잔류지폐 인식단계;와 상기 입금정위치 감지센서로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적층된 지폐류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고, 사전에 설정된 입금정위치까지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잔류지폐 반송준비단계;와 상기 출금수단을 입금방향으로 구동시켜 잔류지폐를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측으로 반송시키는 잔류지폐 반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내부를 보인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사이클박스(6)는 그 상부 일측은 지폐류가 유입되는 입금수단(100)과 저장되어있는 지폐류를 반출하는 출금수단(200)이 설치된다.
리사이클박스(6)의 출금수단(200)은 그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낱장으로 반출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리사이클박스(6) 내부에 저장된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21),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픽업롤러(21)를 상하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30),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22)와 게이트롤러(23), 출금롤러(22)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24),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25)로 구성된다.
상기 출금수단(200)의 퇴피분리장치(30)는 출금롤러(22)를 중심축으로 픽업롤러(21)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일측은 출금롤러(22)와 결합되어 리사이클박스(6)에 설치되고 타측은 픽업롤러(21)와 결합되는 고정판금물(31), 고정판금물(31)의 측부에 설치되고 회전동작에 의해 픽업롤러(21)가 출금롤러(22)를 축으로 상하로 이동되도록하는 퇴피캠(32)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퇴피캠(32)을 이용한 픽업롤러(21)의 퇴피구조는 픽업롤러(21)의 2회전시에 지폐 1매 분리방식으로 되어 지폐의 2매분리와 이상분리를 없앤 정상분리를 유도하게 된다.
한편, 픽업롤러(21)가 2매를 분리하여 출금롤러(22)에 지폐류를 넘기더라도 게이트롤러(23)는 출금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일례로써 일방향클러치가 설치되어 1매 반출이 이루어진다.
즉, 게이트롤러(23)는 일방향클러치에 의하여 출금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출금방향의 역방향인 리사이클박스 내부로 지폐를 유입하는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반출중인 2매의 지폐류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대소를 살펴보면, 출금롤러(22)와 상단지폐의 마찰력, 상단지폐와 하단지폐의 마찰력, 하단지폐와 게이트롤러(23) 및 출금가이드(25)의 마찰력 중에서 상단지폐와 하단지폐의 마찰력 크기가 최소라서 하단지폐의 선단은 마찰력에 의하여 게이트롤러(23) 및 출금가이드(25)를 넘지 못하고 걸려 있거나 출금방향의 역방향인 리사이클박스 내부로 되돌아오는 구조로 되어있어 2매 반출 방지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완료상태의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상태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출금수단(200)에 의하여 요청되어진 매수만큼 출금이 완료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금수단(10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선회되는 유입/반출가이드(40)는 출금동작시 출금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측으로 선회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있고, 리사이클박스(6) 내측의 푸쉬플레이트(50)는 픽업롤러(21)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출금수단(200)은 고객이 요청한 매수만큼 지폐류가 출금완료된 이후에도 반출 중이던 지폐류가 출금가이드(25)에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잔류지폐는 출금수단(200)을 입금방향 회전시켜 리사이클박스(6)내측으로 반송시킬 수 있으나, 출금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푸쉬플레이트(50)가 픽업롤러(21)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 상태에서 출금수단(200)을 입금방향회전시키면 잔류지폐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하기와 같은 반송제어장치 및 반송제어방법에 의하여 잔류지폐는 리사이클박스(6) 내측으로 반송된다.
출금수단(200)은 출금이 완료되는 최종부위에 설치되어 반출되는 지폐류의 유무를 감지하여 출금매수를 계수하는 출금매수 감지센서(A1, A2)가 설치된다.
출금매수 감지센서(A1, A2)는 일례로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광부(A1)와 수광부(A2)가 분리되어 있는 장거리형이 적절하고, 발광부(A1)와 수광부(A2)의 사이를 통과하는 지폐류의 출금간격을 체크하여 출금매수를 계수하게 된다.
출금수단(200)의 출금가이드(25)에는 잔류지폐가 감지되도록 그 하측에 설치된 핀치롤러(24)에 인접하여 잔류지폐 감지센서(B1, B2)가 설치된다.
잔류지폐 감지센서(B1, B2)는 일례로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광부(B1)와 수광부(B2)가 분리되어 있는 장거리형이 적절하고, 발광부(B1)와 수광부(B2)의 사이를 통과하는 지폐류의 존재/부존재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리사이클박스(6)는 내측의 지폐류가 적층되어 승하강되는 푸쉬플레이트(50)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도록 입금정위치 감지센서(C1, C2)가 설치된다.
입금정위치 감지센서(C1, C2)는 일례로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리사이클박스(6)의 전면부에 발광부(C1)가 설치되고 후면부에 수광부(C2)가 설치되는 장거리형이 적절하고, 발광부(C1)와 수광부(C2) 사이의 푸쉬플레이트(50)에 적층된 지폐류의 존재/부존재여부를 감지하여 푸쉬플레이트(50)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각 감지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출금수단(200) 및 푸쉬플레이트(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에 표현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이 설치된 각 감지센서(A1, A2, B1, B2, C1, C2)에 의해 수집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출금수단(200) 및 푸쉬플레이트(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에 표현되지 않음)가 마련된다.
이에 출금매수 감지센서(A1, A2)와 잔류지폐 감지센서(B1, B2)와 입금정위치 감지센서(C1, C2)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지폐류의 존재/부존재여부를 입력받아 수집하는 입력단계(S101)를 수행한다.
다음 출금매수 감지센서(A1, A2)에서 요청된 매수만큼 반출되는 지폐류의 매수가 감지된 후 일정시간동안 지폐류의 부존재가 감지되고, 잔류지폐 감지센서(B1, B2)에서 지폐류의 존재를 감지하면 지폐류가 출금가이드(26)에 잔류된 것으로 인식하는 잔류지폐 인식단계(S102)를 수행한다.
다음 입금정위치 감지센서(C1, C2)에서는 푸쉬플레이트(50)를 구동시켜 푸쉬플레이트(50)에 적층된 지폐류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도면에 표현되지 않음)는 사전에 설정된 입금정위치까지 푸쉬플레이트(50)를 하강시켜 지폐류의 반송을 위한 입금공간을 확보하는 잔류지폐 반송준비단계(S103)를 수행한다.
다음 출금수단(200)의 구동방향을 입금방향으로 구동시켜 잔류지폐를 푸쉬플레이트(50)로 반송하여 입금시키는 잔류지폐 반송단계(S104)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여 출금가이드(25)에 잔류된 지폐류는 리사이클박스(6) 내측의 푸쉬플레이트(50)로 반송되고, 리사이클박스(6)는 다음의 입금동작 또는 출금동작을 위한 대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되는 동안 유입/반출가이드(40)는 상측으로 선회되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잔류지폐의 반송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픽업롤러(21)와 동일축에 설치되어 픽업롤러(21)의 입금방향 회전시에 같이 회전되어 출금가이드(25)에 잔류된 지폐류를 픽업롤러(21)와 보조하여 리사이클박스(6) 내측으로 밀어내는 탄성편롤러(26)가 부가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금완료 후에 리사이클박스의 출금가이드에 잔류된 지폐류의 존재여부를 감지가능하고, 잔류된 지폐류가 감지되었을시에는 다시 리사이클박스의 저장부로 기존에 보관되어 있는 지폐류 또는 장치류와 물리적 부하없이 안정되게 반송할 수 있으므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지폐류 입출금기의 운용비용 절감과 운용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분리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전면부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후면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개략적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의 내부를 보인 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완료상태의 개략적인 상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상태의 개략적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픽업롤러 22 : 출금롤러
23 : 게이트롤러 24 : 핀치롤러
25 : 출금가이드 30 : 퇴피분리장치
31 : 고정판금물 32 : 퇴피캠
40 : 유입/반출가이드 50 : 푸쉬플레이트
100 : 입금수단 200 : 출금수단
A1, A2 : 출금매수 감지센서 B1, B2 : 잔류지폐 감지센서
C1, C2 : 입금정위치 감지센서

Claims (3)

  1.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 내에 설치되어 저장되어 있는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상기 픽업롤러를 상하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상기 리사이클박스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와 게이트롤러, 상기 출금롤러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 상기 리사이클박스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출금수단이 구비된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있어서,
    상기 출금수단에서 출금이 완료되는 최종부위에 설치되어 반출되는 지폐류의 유무를 감지하여 출금매수를 계수하는 출금매수 감지센서;
    상기 출금가이드에서 지폐류의 잔류상태가 감지되도록 그 하측에 설치된 상기 핀치롤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잔류지폐 감지센서;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의 지폐류가 적층되어 승하강되는 푸쉬플레이트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는 입금정위치 감지센서;
    상기 각 감지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출금수단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롤러에는 그 동일축에 설치되어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부로 반송되는 지폐류를 상기 출금롤러와 보조하여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측으로 밀어내는 탄성편롤러가 부가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장치.
  3.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의 출금수단에서 출금이 완료되는 최종부위에 설치되는 출금매수 감지센서와 상기 리사이클박스의 출금되는 지폐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에서 지폐류의 잔류상태가 감지되도록 그 하측에 설치된 핀치롤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잔류지폐 감지센서와 상기 리사이클박스의 내의 지폐류가 적층되는 푸쉬플레이트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는 입금정위치 감지센서를 작동시켜 각 센서로부터 지폐류의 존재/부존재여부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출금매수 감지센서에서 요청된 출금매수만큼 계수가 완료된 후 지폐류의 부존재가 감지되고, 상기 잔류지폐 감지센서에서 지폐류의 존재가 감지되면 지폐류가 상기 출금가이드에 잔류된 것으로 인식하는 잔류지폐 인식단계;
    상기 입금정위치 감지센서로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적층된 지폐류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고, 사전에 설정된 입금정위치까지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잔류지폐 반송준비단계;
    상기 출금수단을 입금방향으로 구동시켜 잔류지폐를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측으로 반송시키는 잔류지폐 반송단계;를 포함하여 잔류지폐를 반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KR10-2004-0023672A 2004-04-07 2004-04-07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35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672A KR100535155B1 (ko) 2004-04-07 2004-04-07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672A KR100535155B1 (ko) 2004-04-07 2004-04-07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446A KR20050098446A (ko) 2005-10-12
KR100535155B1 true KR100535155B1 (ko) 2005-12-07

Family

ID=3727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6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5155B1 (ko) 2004-04-07 2004-04-07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41B1 (ko) 2006-06-22 2007-08-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288B1 (ko) 2006-12-29 2008-02-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581Y1 (ko) * 1996-09-25 1999-08-02 구자홍 지폐 회수형 현금 자동 지급기
KR100246988B1 (ko) * 1997-06-24 2000-03-15 구자홍 지폐 자동 지급기의 지폐 회수 방법 및 그 장치
KR100339739B1 (ko) * 1998-07-28 2002-09-26 엘지전자주식회사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KR20030055983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잔류지폐 회수장치
KR100442497B1 (ko) * 2001-12-17 2004-07-30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지급기의 잔류지폐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581Y1 (ko) * 1996-09-25 1999-08-02 구자홍 지폐 회수형 현금 자동 지급기
KR100246988B1 (ko) * 1997-06-24 2000-03-15 구자홍 지폐 자동 지급기의 지폐 회수 방법 및 그 장치
KR100339739B1 (ko) * 1998-07-28 2002-09-26 엘지전자주식회사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KR100442497B1 (ko) * 2001-12-17 2004-07-30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지급기의 잔류지폐회수장치
KR20030055983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잔류지폐 회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41B1 (ko) 2006-06-22 2007-08-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446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193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자동 거래 장치
KR20030060756A (ko) 지폐 수납/지불 장비 및 자동 현금 거래 장치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101909021B1 (ko) 금융 기기
KR100535155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KR101607339B1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101631791B1 (ko) 금융 기기
KR100600347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금동작 감지장치
KR100552228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서 출금지폐겹침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금지폐겹침 방지방법
KR100552232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초기화 장치 및 이를이용한 초기화 방법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900768B1 (ko) 통장처리장치와 금융기기 및 통장처리방법
KR1006003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분리제어방법
KR101289543B1 (ko) 매체보관함 및 그의 제어방법, 금융기기
JP3931165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060034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JP2002150363A (ja) 自動取引装置
KR100596311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KR1006109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출금기의 출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57025A (ko) 카세트의 지폐 유무 감지장치
KR101965858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76147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20170130174A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631806B1 (ko) 금융 기기
KR101550129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