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82460A - 게이트 구조물, 이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게이트 구조물, 이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460A
KR20050082460A KR1020040010882A KR20040010882A KR20050082460A KR 20050082460 A KR20050082460 A KR 20050082460A KR 1020040010882 A KR1020040010882 A KR 1020040010882A KR 20040010882 A KR20040010882 A KR 20040010882A KR 20050082460 A KR20050082460 A KR 2005008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pattern
conductive
conductiv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317B1 (ko
Inventor
윤재만
박동건
이충호
요시다
이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317B1/ko
Priority to DE102005006899A priority patent/DE102005006899B4/de
Priority to US11/059,145 priority patent/US20050184348A1/en
Priority to JP2005039859A priority patent/JP2005236290A/ja
Priority to TW094104597A priority patent/TW200529304A/zh
Priority to IT000253A priority patent/ITMI20050253A1/it
Priority to CN2005100095318A priority patent/CN1658401A/zh
Publication of KR2005008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25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vertical IGF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26D1/1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mounted on a movable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thin-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04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 H10D30/6713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28Vertical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29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10D30/673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gate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29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10D30/6737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H10D30/6739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the components including vertical IG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2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 H10D84/03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 H10D84/038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using silicon technology, e.g. Si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구조물을 갖는 MOS 트랜지스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구조물은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감싸도록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한다. 채널 패턴은 게이트 절연막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1도전 패턴은 채널 패턴의 하부로부터 제1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도전 패턴은 채널 패턴으로부터 제2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는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제2도전 패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채널 폭은 상기 게이트 구조물의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게이트 구조물, 이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Gate structur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s of forming the gate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게이트 구조물과 이를 갖는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 반도체 장치 및 상기 게이트 구조물과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소자형성영역, 즉 액티브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었고,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는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가 줄어들게 되었다.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가 작아지면, 채널 영역에서의 전계나 전위에 미치는 소스 및 드레인의 영향이 현저해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단채널 효과(short channel effect)라 한다. 또한, 액티브 영역의 축소에 따라 채널의 폭도 감소하게 되어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이 증가하는 협채널 효과(narrow channel effect) 또는 협폭 효과(narrow width effect)가 나타난다.
따라서, 기판 상에 형성되는 소자들의 크기를 축소시키면서 소자의 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핀(fin) 구조, DELTA(fully Depleted Lean-channel Transistor) 구조, GAA(Gate All Around) 구조와 같은 수직형 트랜지스터(vertical transistor) 구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6,413,802호에는 평행한 복수개의 얇은 채널 핀(fin)이 소스/드레인 영역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채널의 상면 및 측벽 상으로 게이트 전극이 확장되는 구조의 핀형 MOS 트랜지스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핀형 MOS 트랜지스터에 의하면, 채널 핀의 양 측면 상에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양 측면으로부터 게이트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단채널 효과(short-channel effect)를 감소시킬 있다. 그러나, 핀형 MOS 트랜지스터는 복수개의 채널 핀이 게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채널 영역 및 소스/드레인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커지게 되고, 채널 수가 늘어남에 따라 소스/드레인 접합 커패시턴스(junction capacitance)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DELTA 구조의 MOS 트랜지스터 예는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4,996,57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DELTA 구조에서는 채널을 형성하는 액티브층이 일정 폭을 가지고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전극이 수직으로 돌출된 채널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된 부분의 높이가 채널의 폭을 이루고, 돌출된 부분의 폭이 채널층의 두께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채널에서는 돌출된 부분의 양면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채널의 폭이 두 배로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협채널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된 부분의 폭을 줄일 경우, 양면에 형성되는 채널의 공핍층이 서로 겹치도록 만들어 채널 도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DELTA 구조의 MOS 트랜지스터를 벌크형 실리콘 기판에 구현하는 경우, 기판에 채널을 이루게 될 부분이 돌출되도록 기판을 가공하고 돌출된 부분을 산화 방지막으로 덮은 상태에서 기판 산화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때, 산화를 과도하게 실시하면 채널을 이룰 돌출부와 기판 본체를 연결하는 부분이 산화 방지막으로 보호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측면 확산된 산소에 의해 산화됨으로써, 채널과 기판 본체가 격리된다. 이와 같이 과도한 산화에 의해 채널 격리가 이루어지면서 연결부쪽 채널의 두께가 좁아지고, 단결정층이 산화 과정에서 응력을 받아 손상을 입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에, 이러한 DELTA 구조의 MOS 트랜지스터를 SOI(Silicon-On-Insulator)형 기판에 형성할 경우에는 SOI층을 좁을 폭을 갖도록 식각하여 채널 영역을 형성하므로 벌크형 기판을 사용할 때의 과도한 산화로 인한 문제가 없어진다. 그러나, SOI형 기판을 사용하면 채널의 폭이 SOI층의 두께에 의해 제한되는데, 완전 공핍 방식(fully depletion type)의 SOI형 기판은 SOI층의 두께가 수백 Å에 불과하므로 사용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한편, GAA 구조의 MOS 트랜지스터 예는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5,497,01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GAA 구조의 MOS 트랜지스터에서는, 통상적으로 SOI층으로 액티브 패턴을 형성하고 그 표면이 게이트 절연막으로 덮인 액티브 패턴의 채널 영역을 게이트 전극이 둘러싸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DELTA 구조에서 언급한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GAA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전극이 채널 영역에서 액티브 패턴을 둘러싸도록 형성하기 위해 액티브 패턴 아래쪽의 매몰 산화막을 등방성 식각의 언더 컷 현상을 이용하여 식각한다. 이때, 상기 SOI층이 그대로 채널 영역 및 소스/드레인 영역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등방성 식각 과정 동안 채널 영역의 하부뿐만 아니라 소스/드레인 영역의 하부도 상당 부분 제거된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을 증착할 때 채널 영역뿐만 아니라 소스/드레인 영역의 하부에도 게이트 전극이 형성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방성 식각 과정에서 채널 영역의 하부가 수평 식각되어 후속 공정에서 게이트 전극으로 매립되어질 터널의 수평 길이(또는 폭)가 커지게 된다. 즉, 이 방법에 의하면 채널의 폭보다 작은 게이트 길이를 갖는 MOS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고, 게이트 길이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반도체 장치의 집적도 증가에 따른 단채널 효과 및 협채널 효과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게이트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게이트 구조물을 갖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게이트 구조물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 구조물은, 기판 상에 형성되며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되며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물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채널 패턴과, 상기 채널 패턴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제1도전 패턴과, 상기 채널 패턴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제2도전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는, 기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pillar) 형상을 갖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도전 패턴의 측면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물과, 내측면과 외측면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내측면이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채널 패턴과, 상기 채널 패턴의 하부를 감싸며 상기 채널 패턴에 대하여 수직하는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불순물 도핑된 제1도전 패턴과, 상기 채널 패턴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채널 패턴에 대하여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하는 불순물 도핑된 제2도전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제2도전 패턴은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으로 기능하며, 불순물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은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제2도전 패턴 사이의 채널 패턴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는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제2도전 패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단채널 효과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은 상기 채널 패턴의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협채널 효과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은, 기판 상에 내측면과 외측면을 갖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내부를 채우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4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은, 기판 상에 제1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도전 패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제2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도전 패턴 및 상기 제2도전 패턴과 접하며, 내측면과 외측면을 갖는 채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패턴의 내측면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내부를 채우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4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은, 기판 상에 제1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도전 패턴 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희생층 상에 제2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도전층 및 상기 희생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접하며, 환형 기둥 형상을 갖는 채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패턴의 내측면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내부를 채우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패턴과 접하는 제2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반도체 장치는 채널 길이 및 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단채널 효과에 기인하는 펀치 쓰루(punch through), 채널 캐리어 이동도(carrier mobility) 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협채널 효과에 기인하는 문턱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채널 효과 및 협채널 효과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MOS 트랜지스터의 동작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 패턴 및 제2도전 패턴의 연장 방향들 사이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MOS 트랜지스터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또는 처리 장치의 레이아웃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i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고, 도 2는 도 1i에 도시된 게이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 100)와 같은 반도체 기판 상에 희생층(sacrificial layer, 102)을 형성한다. 상기 희생층(102)은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H4 가스와 같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GeH4 가스와 같은 게르마늄 소스 가스 및 H2 가스와 같은 캐리어 가스를 이용하는 초고진공 화학 기상 증착(ultra high vacuum chemical vapor deposition; UVCVD) 공정 또는 저압 화학 기상 증착(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희생층(102)은 기체 원료 분자선 증착(gas source molecular beam epitaxy; GS-MBE)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희생층(102) 상에 버퍼 산화막(104) 및 캡핑층(106)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캡핑층(106)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SiH2Cl2 가스, SiH4 가스, NH3 가스 등을 이용하는 LPCVD 공정 또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 산화막(104)은 열산화 공정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캡핑층(106) 상에 상기 희생층(102)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08)을 통상의 포토 공정을 통해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08)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상기 캡핑층(106) 및 버퍼 산화막(104)을 식각하여 상기 희생층(102)을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110)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개구부(110)는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08)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플라즈마 식각(plasma etching) 공정 또는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08)을 애싱 공정과 스트립 공정을 통해 제거하고, 상기 캡핑층(106)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기판(100)을 노출시키는 제2개구부(112)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희생층(102)을 식각한다. 상기 제2개구부(112)를 형성하는 동안 상기 제2개구부(112)의 바닥면(112a)이 상기 기판(100)의 표면(100a)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100)의 일부도 함께 식각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개구부(112)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은 식각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가 과식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e를 참조하면, 상기 제2개구부(112)의 내측면 상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단결정 실리콘 패턴(114)을 형성한다.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114)은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실리콘 소스 가스를 이용하는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114)은 실리콘을 함유하는 기판(100) 및 희생층(102)으로부터 성장되기 때문에 상기 캡핑층(106)의 상부면 및 상기 제1개구부(110)의 내측면을 제외한 상기 제2개구부(112)의 내측면 상에만 형성된다.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114)의 두께는 약 100Å 내지 300Å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f를 참조하면,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114)의 내측면 및 상부면 상에 게이트 절연막(116)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6)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산질화막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6)은 O2 가스, NO 가스 또는 N2O 가스를 이용하는 급속 열처리 공정(rapid thermal process; RTP)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는 약 10Å 내지 70Å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g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116)의 내부 및 상기 제1개구부(110, 도 1f)의 내부를 채우는(filling) 도전층(118)을 형성한다. 상기 도전층(118)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LPCVD 공정을 통해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동안 인시튜 방법으로 불순물 도핑 공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도전층(118)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LPCVD 공정을 통해 상기 게이트 절연막(116)의 내부 및 상기 제1개구부(110)의 내부를 채우는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고, 불순물 도핑 공정을 통해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상기 도전층(118)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도핑 공정은 통상적인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 공정 또는 불순물 확산(impurity diffusion) 공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층(118)은 텅스텐(W), 티타늄(Ti), 탄탈(Ta), 코발트(Co), 몰리브데늄(Mo), 니켈(Ni), 루테늄(Ru)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도전층(118)은 금속 전구체를 이용하는 금속 유기 화학 기상 증착(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공정, 물리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h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층(118, 도 1g)은 에치백(etch back) 공정 또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공정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전극(120)으로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상기 캡핑층(106)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층(118)의 상부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다.
도 1i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캡핑층(106, 도 1h), 버퍼 산화막(104, 도 1h) 및 희생층(102, 도 1h)을 통상의 건식 식각 공정 및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캡핑층(106) 및 버퍼 산화막(104)은 건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희생층(102)은 실리콘 게르마늄과 단결정 실리콘에 대하여 약 50:1 이상의 식각 선택비를 갖는 에천트를 이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1i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게이트 구조물(10)은 전체적으로 원형 기둥(pillar) 형상을 가지며, 게이트 구조물(10)의 하부는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에 매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조물(10)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으로부터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기둥 형상의 게이트 전극(120)과, 상기 게이트 전극(12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1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구조물(10)의 게이트 전극(120)은 제1직경을 갖는 하부의 제1기둥(120a)과, 상기 제1기둥(120a)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직경(120a)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상부의 제2기둥(12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둥(120a)과 제2기둥(120b)은 도전층 증착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조물(10)의 게이트 절연막(116)은 상기 제1기둥(120a)의 측면과 하부면 및 상기 제2기둥(120b)의 하부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게이트 구조물(10)을 갖는 MOS 트랜지스터(미도시)의 채널 영역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16)과 접하는 단결정 실리콘 패턴(114)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들이 상기 게이트 구조물(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경우,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은 환형 기둥(pillar ring) 또는 원형 튜브(circular tube) 형상을 갖는 단결정 실리콘 패턴(114)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는 게이트 절연막(116)의 높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16)의 외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는 상기 희생층(102)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은 상기 제2개구부(112, 도 1f)의 내경과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114)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고, 도 4는 도 3e에 도시된 게이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희생층(202)과 버퍼 산화막(204) 및 캡핑층(206)을 통과하는 개구부(208)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208)를 한정하는 희생층(102)의 내측면과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 상에 단결정 실리콘 패턴(210)을 형성한다.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210) 및 개구부(208)는 도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210)이 형성된 개구부(208)의 내측면 및 상기 캡핑층(206) 상에 게이트 절연막(212)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12)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금속 산화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산질화막은 LPCV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산화막은 MOC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막의 예로는, Ta2O5막, TaON막, TiO2막, Al2O3 막, Y2O3막, ZrO2막, HfO2막, BaTiO3막, SrTiO3막 등이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208, 도 3b)를 채우는 도전층(214)을 상기 게이트 절연막(212) 상에 형성한다. 상기 도전층(214)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층 또는 금속층일 수 있다. 상기 도핑된 폴리실리콘층은 LPCVD 공정 및 불순물 도핑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층은 MOC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의 예로는 텅스텐층, 티타늄층, 탄탈층, 코발트층, 몰리브데늄층, 니켈층, 루테늄층 등이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층(214, 도 3c)을 게이트 전극(216)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전층(214)의 상부를 제거한다. 상기 도전층(214)의 상부는 에치백 공정 또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평탄화 공정은 상기 캡핑층(206)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도전층(214)의 상부와 상기 캡핑층(206)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212)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다.
도 3e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캡핑층(206, 도 3d), 버퍼 산화막(204, 도 3d) 및 희생층(202, 도 3d)을 통상의 건식 식각 공정 및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상기 캡핑층(206) 및 버퍼 산화막(204)은 건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희생층(202)은 실리콘 게르마늄과 단결정 실리콘에 대하여 약 50:1 이상의 식각 선택비를 갖는 에천트를 이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3e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게이트 구조물(20)은 전체적으로 원형 기둥 형상을 가지며, 게이트 구조물(20)의 하부는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에 매립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구조물(20)의 게이트 전극(216)은 제1직경을 갖는 하부의 제1기둥(216a)과, 상기 제1기둥(216a)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상부의 제2기둥(216b)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둥(216a)과 제2기둥(216b)은 도전층 증착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조물(20)의 게이트 절연막(212)은 상기 게이트 전극(216)의 상부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들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d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희생층(302)과 버퍼 산화막(304) 및 캡핑층(306)을 통과하는 개구부(308)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308)를 한정하는 희생층(302)의 내측면과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 상에 단결정 실리콘 패턴(310)을 형성한다.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310) 상에 게이트 절연막(312)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308)를 채우는 게이트 전극(314)을 형성한다.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310), 게이트 절연막(312) 및 게이트 전극(314)은 도 1a 내지 도 1h 또는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방법들과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캡핑층(306) 및 게이트 전극(314) 상에 금속층(316)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316)은 MOC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층(316)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 코발트, 니켈, 루테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금속층(316)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을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금속층(316)과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314)을 반응시켜 상기 게이트 전극(314)의 상부면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층(318)을 형성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금속층(316, 도 5c), 캡핑층(306, 도 5c), 버퍼 산화막(304, 도 5c) 및 희생층(302, 도 5c)을 통상의 건식 식각 공정 및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상기 금속층(316)과 금속 실리사이드층(318)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에천트를 이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금속층(316)을 제거할 수 있으며, 통상의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캡핑층(306) 및 버퍼 산화막(304)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게르마늄과 단결정 실리콘에 대하여 약 50:1 이상의 식각 선택비를 갖는 에천트를 이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희생층(302)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f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희생층(402)과 버퍼 산화막(404) 및 캡핑층(406)을 통과하는 개구부(408)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408)의 내측면 상에 단결정 실리콘 패턴(410) 및 게이트 절연막(412)을 형성한다. 상기 단결정 실리콘 패턴(410) 및 게이트 절연막(412)은 도 1a 내지 도 1f 또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방법들과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412)이 형성된 개구부(408)의 내측면과 상기 캡핑층(406) 상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도전층(414)을 형성한다. 상기 도전층(414)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전층(414)은 LPCVD 공정 및 불순물 도핑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층(414)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부(408, 도 6b)의 내부를 채우는 금속층(416)을 상기 도전층(414) 상에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416)은 MOC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텅스텐, 티타늄, 탄탈, 코발트, 니켈, 루테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열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층(416, 도 6c)을 금속 실리사이드층(418)으로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416)은 상기 열처리 공정 동안에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반응하여 금속 실리사이드층(418)으로 변환된다.
도 6e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420)을 형성하기 위해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 또는 에치백 공정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금속 실리사이드층(418, 도 6d)의 상부 및 도전층(414, 도 6d)의 상부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평탄화 공정은 캡핑층(406)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f를 참조하면, 통상의 건식 식각 공정 및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캡핑층(406, 도 6e), 버퍼 산화막(404, 도 6e) 및 희생층(402, 도 6e)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습식 식각 공정에는 실리콘 게르마늄과 단결정 실리콘에 대하여 약 50:1 이상의 식각 선택비를 갖는 에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게이트 구조물(40)은 게이트 전극(420)과 게이트 절연막(4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420)은 제1외경을 갖는 하부의 제1실린더(422a) 부위와 상기 제1외경보다 큰 제2외경을 갖는 상부의 제2실린더(422b) 부위로 구성되는 도전 패턴(422)과 및 상기 도전 패턴(422)의 내부를 채우는 금속 실리사이드 플러그(424)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412)은 상기 제1실린더(422a) 부위의 측면과 하부면 및 상기 제2실린더(422b) 부위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412)은 상기 게이트 전극(420)의 상부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들 상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412)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Ta2O5, TaON, TiO2, Al2O3, Y2O3, ZrO2, HfO2, BaTiO3, SrTiO3 등이 있다.
도 7a 및 도 7b는 게이트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에서, 상기 평탄화 공정은 상기 희생층(102, 도 1g 및 도 1h 참조)이 노출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도전층(118)의 상부와 캡핑층(106) 및 버퍼 산화막(104)이 제거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구조물(12)은 기둥 형상을 갖는 게이트 전극(14)과, 상기 게이트 전극(14)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14)을 감싸도록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희생층(102)은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에서, 상기 평탄화 공정은 상기 희생층(402, 도 6d 및 도 6e 참조)이 노출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공정을 통해 금속 실리사이드층(418)의 상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층(414)의 상부, 캡핑층(406) 및 버퍼 산화막(404)이 제거되는 경우, 게이트 구조물(42)의 게이트 전극(44)은 실린더 형상을 갖고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도전 패턴(44a)과, 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도전 패턴(44a)의 내부를 채우는 금속 실리사이드 플러그(44b)를 포함하며, 게이트 절연막(46)은 도전 패턴(44)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도전 패턴(44)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도 8a 내지 도 8z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MOS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1희생층(502)을 형성한다. 상기 제1희생층(502)은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의 에피택셜 성장 공정,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초고진공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희생층(502)은 약 400Å 내지 600Å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500Å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희생층(502)을 형성하기 전에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에 불순물 도핑 영역(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이온 주입 공정 또는 확산 공정을 통해 N 타입 웰(well) 또는 P 타입 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희생층(502)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가스는 실리콘 소스 가스와, 게르마늄 소스 가스 및 캐리어 가스를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소스 가스의 예로는 실란(SiH4), 디실란(Si2H6), 트리실란(Si3H8), 모노클로로실란(SiH 3Cl), 디클로로실란(SiH2Cl2), 트리클로로실란(SiHCl3) 등이 있다. 상기 게르마늄 소스 가스의 예로는 저메인(GeH4), 디저메인(Ge2H4), 모노클로로저메인(GeH3 Cl), 디클로로저메인(Ge2H2Cl2), 트리클로로저메인(Ge3HCl3) 등이 있다. 상기 캐리어 가스의 예로는 염소(Cl2), 수소(H2), 염화수소(HCl) 등이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희생층(502) 상에 SiH4 가스, Si2H2Cl2 가스와 같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수소(H2) 가스, 염소(Cl2) 가스와 같은 반응 가스를 포함하는 공정 가스를 이용하는 통상의 에피택셜 성장 공정,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초고진공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제1단결정 실리콘층(504)을 형성한다.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504)은 약 400Å 내지 600Å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500Å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504)의 두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504, 도 8b)을 제1도전층(506)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504)을 N 타입 불순물 또는 P 타입 불순물로 도핑한다.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504)에 대한 불순물 도핑 공정은 이온 주입 공정 또는 확산 공정일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상기 제1도전층(506)은 SiH4 가스와 같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504)을 인시튜 도핑하기 위한 도펀트 소스를 포함하는 공정 가스를 이용하는 에피택셜 성장 공정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펀트 소스 가스로는 포스핀(PH3), 아신(AsH3) 등과 같은 N 타입 도핑 가스 및 디보란(B2H6)과 같은 P 타입 도핑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제1도전 패턴(508)을 형성하기 위해 통상의 건식 식각 공정(예를 들면, 플라즈마 식각 공정, 반응성 이온 식각 공정 등)을 통해 상기 제1도전층(506, 도 8c)을 패터닝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건식 식각 공정에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이 식각 마스크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제1도전층(506) 상에 형성되며, 애싱 공정 또는 스트립 공정을 통해 제거된다.
도 8e를 참조하면, 상기 제1도전 패턴(508) 및 상기 제1희생층(502) 상에 제2희생층(510)을 형성한다. 상기 제2희생층(510)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게르마늄 소스 가스 및 캐리어 가스를 이용하는 통상의 에피택셜 성장 공정, CVD 공정 또는 UVCVD 공정을 통해 형성되며,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희생층(510)은 상기 제1도전 패턴(508)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상기 제1도전 패턴(508)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f를 참조하면, 상기 제2희생층(510)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평탄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평탄화 공정으로는 CMP 공정이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평탄화 공정은 상기 제1도전 패턴(508)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수행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504, 도 8b) 상에는 제1버퍼 산화막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버퍼 산화막은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504)에 대한 도핑 공정 후에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희생층(510)에 대한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제거될 수도 있다.
도 8g를 참조하면, 상기 제1도전 패턴(508) 및 제2희생층(510) 상에 통상의 에피택셜 성장 공정, CVD 공정 또는 UVCVD 공정을 통해 제3희생층(512)을 형성한다. 상기 제3희생층(512)은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희생층(512)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가스는 실리콘 소스 가스와 게르마늄 소스 가스 및 캐리어 가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3희생층(512)의 두께는 약 1000Å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3희생층(512)의 두께는 목적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h를 참조하면, 상기 제3희생층(512) 상에 제2단결정 실리콘층(514) 및 제2버퍼 산화막(516)을 형성한다. 상기 제2단결정 실리콘층(514)은 SiH4 가스, Si2H2Cl2 가스와 같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수소(H2) 가스, 염소(Cl 2) 가스와 같은 반응 가스를 포함하는 공정 가스를 이용하는 통상의 에피택셜 성장 공정,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초고진공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결정 실리콘층(514)은 약 400Å 내지 6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목적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단결정 실리콘층(514)의 두께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8i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결정 실리콘층(514, 도 8h)을 제2도전층(518)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단결정 실리콘층(514)을 N 타입 불순물 또는 P 타입 불순물로 도핑한다. 상기 제2단결정 실리콘층(514)에 대한 불순물 도핑 공정은 이온 주입 공정 또는 확산 공정일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상기 제2도전층(518)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반응 가스 및 상기 제2단결정 실리콘층(514)을 인시튜 도핑하기 위한 도펀트 소스를 포함하는 공정 가스를 이용하는 에피택셜 성장 공정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펀트 소스 가스로는 PH3 가스, AsH3 가스 등과 같은 N 타입 도핑 가스 및 B2H6 가스와 같은 P 타입 도핑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j를 참조하면, 제2도전 패턴(520)을 형성하기 위해 통상의 건식 식각 공정(예를 들면, 플라즈마 식각 공정, 반응성 이온 식각 공정 등)을 통해 상기 제2버퍼 산화막(516)과 제2도전층(518, 도 8i)을 패터닝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건식 식각 공정에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이 식각 마스크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버퍼 산화막(516) 상에 형성되며, 제2도전 패턴(520)이 형성된 후 애싱 공정 또는 스트립 공정을 통해 제거된다. 이때, 상기 제2도전 패턴(520)은 상기 제1도전 패턴(508)과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2버퍼 산화막(516)은 상기 제2단결정 실리콘층(514, 도 8h)에 대한 도핑 공정을 수행한 후 통상의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다.
도 8k를 참조하면, 상기 제3희생층(512) 및 상기 제2버퍼 산화막(516) 상에 캡핑층(522)을 형성한다. 상기 캡핑층(522)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SiH2Cl2 가스, SiH4 가스, NH3 가스 등을 이용하는 LPCVD 공정 또는 PECV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l을 참조하면, 상기 캡핑층(522)을 평탄화하기 위해 화학적 연마 공정 또는 에치백 공정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수행한다.
도 8m을 참조하면, 상기 제2도전 패턴(520)을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524)를 형성하기 위해 평탄화된 캡핑층(522) 및 제2버퍼 산화막(516)을 부분적으로 식각한다. 상기 제1개구부(524)는 상기 캡핑층(522) 상에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통상의 이방성 식각 공정(예를 들면, 플라즈마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제1개구부(524)는 상기 제1도전 패턴(508)과 오버랩된 상기 제2도전 패턴(52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애싱 공정 또는 스트립 공정을 통해 제거된다.
도 8n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개구부(524)를 갖는 캡핑층(522)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통상의 이방성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를 노출시키는 제2개구부(526)를 형성한다. 상기 제2개구부(526)는 상기 제2도전 패턴(520), 제3희생층(512), 제1도전 패턴(508) 및 제1희생층(502)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526)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식각 시간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를 과식각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개구부(526)의 바닥면(526a)은 과식각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100a)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o를 참조하면, 상기 제2개구부(526)를 한정하는 표면들 상에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채널 패턴(528)을 형성한다. 상기 패널 패턴(528)은 SiH4 가스, Si2H2Cl2 가스와 같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수소(H2) 가스, 염소(Cl2) 가스와 같은 반응 가스를 포함하는 공정 가스를 이용하는 통상의 에피택셜 성장 공정,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초고진공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널 패턴(528)은 상기 제2개구부(526)의 내부에 노출된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 제1희생층(502), 제1도전 패턴(508), 제3희생층(512) 및 제2도전 패턴(520) 상에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 패턴(528)의 두께는 약 100Å 내지 3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50Å 내지 2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채널 패턴(528)의 두께는 목적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채널 패턴(528)의 두께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채널 패턴(528)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가스에는 상기 채널 패턴(528)을 인시튜 방법으로 불순물 도핑하기 위한 N 타입 도핑 가스 또는 P 타입 도핑 가스가 첨가될 수 있다.
도 8p를 참조하면, 상기 채널 패턴(528)의 표면들 상에 게이트 절연막(53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530)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O2 가스, NO 가스 또는 N2O 가스를 이용하는 급속 열처리 공정(rapid thermal process; RTP)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530)의 두께는 약 10Å 내지 70Å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q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530)의 내부 및 상기 제1개구부(524, 도 8p)의 내부를 채우는(filling) 제3도전층(532)을 형성한다. 상기 제3도전층(532)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LPCVD 공정을 통해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동안 인시튜 방법으로 불순물 도핑 공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3도전층(53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LPCVD 공정을 통해 상기 게이트 절연막(530)의 내부 및 상기 제1개구부(524)의 내부를 채우는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고, 불순물 도핑 공정을 통해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상기 제3도전층(532)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도핑 공정은 통상적인 이온 주입 공정 또는 불순물 확산 공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도전층(532)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코발트, 몰리브덴, 니켈, 루테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3도전층(532)은 금속 전구체를 이용하는 MOCVD 공정, P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도전층(532)의 재질은 목적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갖는 일함수(work function)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Vth)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에 따라 변화되므로, 상기 제3도전층(532)의 재질은 상기 목적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동작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는 상기 폴리실리콘층에 주입되는 불순물의 농도에 의해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불순물 도핑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불순물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질소 또는 아르곤을 주입함으로써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를 조절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는 질소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를 조절하기 위해 수행되는 이온 주입 공정은 후속하는 제3도전층(532)에 대한 평탄화 공정 이후에 상기 캡핑층(522)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r을 참조하면, 상기 제3도전층(532, 도 8q)은 에치백(etch back) 공정 또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전극(534)으로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상기 캡핑층(522)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3도전층(532)의 상부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다.
도 8s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534) 및 캡핑층(522) 상에 상기 제2도전 패턴(520)과 대응하는 하드 마스크(536)를 형성한다. 상기 하드 마스크(536)는 상기 게이트 전극(534)과 캡핑층(522) 상에 하드 마스크층(미도시)과 상기 제2도전 패턴(520)과 대응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층을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드 마스크층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의 화학 기상 증착 공정, LPCVD 공정 또는 PECV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통상의 포토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t를 참조하면, 상기 하드 마스크(536)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통상의 이방성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캡핑층(522)을 식각한다. 상기 캡핑층(522)에 대한 식각 공정은 상기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3희생층(512)을 노출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상기 캡핑층(522)에 대한 식각 공정 시간은 상기 제3희생층(512)을 과식각하기 위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8u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희생층(502, 510, 512, 도 8t)을 습식 식각 방법으로 제거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희생층(502, 510, 512)의 식각 공정에는 실리콘 게르마늄과 단결정 실리콘에 대하여 약 50:1 이상의 식각 선택비를 갖는 에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드 마스크(536)와 캡핑층(522)은 게이트 전극(534)을 상기 에천트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으로 사용된다.
도 8v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희생층(502, 510, 512, 도 8t)이 제거됨으로써 형성된 공간을 채우는 층간 절연층(538)을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층(538)은 SOG(spin on glass) 또는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538)은 도 8u에 도시된 MOS 트랜지스터 구조물이 완전히 매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w를 참조하면, 상기 층간 절연층(538)의 상부 및 하드 마스크(536, 도 8v)를 에치백 공정 또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게이트 전극(534)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게이트 전극(534)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게이트 전극(534) 상에는 금속 실리사이드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층은 금속층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공정과 상기 금속층을 금속 실리사이드층으로 형성하기 위한 실리사이데이션 공정과, 상기 금속층을 제거하기 위한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상기 층간 절연층(538)은 상기 희생층들(502, 510, 512, 도 8t)을 제거한 후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층간 절연층(538)은 상기 희생층들(502, 510, 512), 제2버퍼 산화막(516), 캡핑층(522) 및 하드 마스크(536)를 모두 제거한 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x를 참조하면, 상기 제1도전 패턴(508)과 제2도전 패턴(520)을 각각 노출시키는 콘택홀들(540a, 540b)을 형성한다. 상기 콘택홀들(540a, 540b)은 상기 층간 절연층(538) 상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는 통상의 플라즈마 식각 또는 반응성 이온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통상의 포토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콘택홀들(540a, 540b)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 이후에 제거된다.
도 8y를 참조하면, 상기 콘택홀들(540a, 540b, 도 8x)을 채우는 금속층(542)을 상기 층간 절연층(538), 캡핑층(522) 및 게이트 전극(534) 상에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542)은 MOCVD 또는 PVD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구리, 텅스텐, 탄탈륨, 티타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z를 참조하면, 상기 금속층(542, 도 8y)을 상기 제1도전 패턴(508), 제2도전 패턴(520) 및 게이트 전극(534)과 각각 연결되는 금속 배선들(544a, 544b, 544c)로 형성한다. 상기 금속 배선들(544a ,544b, 544c)은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과 통상의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MOS 트랜지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z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MOS 트랜지스터(50)는 반도체 기판(10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구조물(52)과, 상기 게이트 구조물(52)을 감싸도록 상기 게이트 구조물(52)의 외측면에 접하는 채널 패턴(528)과, 상기 채널 패턴(528)의 하부로부터 제1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제1도전 패턴(508)과, 상기 채널 패턴(528)의 상부로부터 제2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제2도전 패턴(5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도전 패턴(508)과 제2도전 패턴(520)은 소스 또는 드레인으로써 기능하고, 상기 채널 패턴(528)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채널 패턴(528)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게이트 구조물(52)은 원형 단면을 갖는 기둥(pillar) 형상을 갖고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534)과, 상기 게이트 전극(534)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530)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 패턴(528)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530)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530)의 외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채널 패턴(528)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530)의 외측면과 접하는 내측면을 갖고, 상기 제1도전 패턴(508) 및 제2도전 패턴(520)과 접하는 외측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534)은 제1직경을 갖는 하부의 제1기둥(534a)과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상부의 제2기둥(534b)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 패턴(528)의 외경은 상기 제2직경과 동일하며 상기 제1기둥(534a)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530)은 상기 제1기둥(534a)과 채널 패턴(528)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MOS 트랜지스터(50)의 채널 영역은 상기 제1도전 패턴(508)과 제2도전 패턴(520) 사이에 위치되는 채널 패턴(528)의 일부에 형성되며, 원형 튜브 형상 또는 환형 기둥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MOS 트랜지스터(50)의 채널 길이는 제1도전 패턴(508)과 제2도전 패턴(5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MOS 트랜지스터(50)의 채널 길이는 제3희생층(512, 도 8g 참조)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MOS 트랜지스터(50)의 채널 폭은 상기 게이트 전극(534)의 제1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MOS 트랜지스터(50)의 채널 폭은 상기 제2개구부(526, 도 8n 참조)의 내경 및 상기 채널 패턴(528)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채널 길이 및 폭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단채널 효과 및 협채널 효과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반도체 장치의 고접적화에 따른 채널 사이즈의 감소에 따른 단채널 효과 및 협채널 효과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전극(534)은 원형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게이트 전극(534)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단면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채널 폭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MOS 트랜지스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된 MOS 트랜지스터(550)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게이트 구조물(552)과, 상기 게이트 구조물(552)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채널 패턴(554) 및 상기 채널 패턴(554)의 하부와 상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도전 패턴(556) 및 제2도전 패턴(558)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도전 패턴(556)과 제2도전 패턴(558)은 각각 제1수평 방향 및 제2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2수평 방향들 사이의 각도는 약 90° 정도이다. 그러나, 상기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도전 패턴들(556, 558)이 연장되는 방향들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MOS 트랜지스터(550)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또는 처리 장치의 레이아웃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MOS 트랜지스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도시된 MOS 트랜지스터(560)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게이트 구조물(562)과, 상기 게이트 구조물(562)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채널 패턴(564) 및 상기 채널 패턴(564)의 하부와 상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도전 패턴(566) 및 제2도전 패턴(568)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도전 패턴(566)과 제2도전 패턴(568)은 상기 채널 패턴(564)으로부터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상기 제1도전 패턴(566)은 상기 제2도전 패턴(568)보다 긴 연장 길이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1도전 패턴(566)과 제2도전 패턴(568)의 방향들과 길이들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MOS 트랜지스터(560)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또는 처리 장치의 레이아웃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다수의 MOS 트랜지스터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MOS 트랜지스터들(570a, 570b)은 기둥 형상의 게이트 구조물들(572a, 572b)과, 상기 게이트 구조물들(572a, 572b)을 감싸도록 형성된 채널 패턴들(574a, 574b)과, 상기 채널 패턴들(574a, 574b)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도전 패턴들(578a, 578b)을 포함한다. 상기 제2도전 패턴들(578a, 578b)은 서로 다른 수평 방향들로 각각 연장된다. 제1MOS 트랜지스터(570a)와 제2MOS 트랜지스터(570b)는 상기 채널 패턴들(574a, 574b)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도전 패턴(576a)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도전 패턴(576a)을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MOS 트랜지스터들(570a, 570b)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또는 처리 장치의 레이아웃을 개선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채널 패턴들(574a, 574b)의 하부와 연결된 제1도전 패턴(576a)이 두 개의 MOS 트랜지스터들 사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제2도전 패턴들(578a, 578b) 중에서 하나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MOS 트랜지스터들(570c, 570d)은 게이트 구조물들(572c, 572d)과, 채널 패턴들(574c, 574d)과, 제2도전 패턴들(578c, 578d)을 포함한다. 상기 제2도전 패턴들(578c, 578d)은 서로 평행한 방향들로 각각 연장된다. 제1MOS 트랜지스터(570c)와 제2MOS 트랜지스터(570d)는 상기 채널 패턴들(574c, 574d)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도전 패턴(576b)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 설명은 도 12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MOS 트랜지스터들(570a, 570b)과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도 14a 내지 도 14k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1희생층(602)을 형성한다. 상기 제1희생층(602) 상에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1도전 패턴(608)과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2희생층(610)을 형성한다. 상기 제1도전 패턴(608) 및 상기 제2희생층(610) 상에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3희생층(612)을 형성하고, 상기 제3희생층(612) 상에 제2실리콘 단결정층(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제2실리콘 단결정층 상에 제2버퍼 산화막(616)을 형성하고, 상기 제2실리콘 단결정층을 제2도전층(618)으로 형성하기 위한 불순물 도핑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도 8a 내지 도 8i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버퍼 산화막(616) 상에 캡핑층(620)을 형성한다. 상기 캡핑층(620)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SiH2Cl2 가스, SiH4 가스, NH3 가스 등을 이용하는 LPCVD 공정 또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상기 제2도전층(618)을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622)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캡핑층(620) 및 제2버퍼 산화막(616)을 식각한다. 상기 제1개구부(622)는 상기 캡핑층(620) 상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통상의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애싱 공정 및 스트립 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도 14d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개구부(622)를 갖는 캡핑층(620)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통상의 이방성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를 노출시키는 제2개구부(624)를 형성한다. 상기 제2개구부(624)는 제2도전층(618), 제3희생층(612), 제1도전 패턴(608) 및 제1희생층(602)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개구부(624)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식각 시간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를 과식각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개구부(624)의 바닥면(624a)은 과식각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100a)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e를 참조하면, 상기 제2개구부(624)를 한정하는 표면들 상에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채널 패턴(626)을 형성한다. 상기 채널 패턴(626)은 SiH4 가스, Si2H2Cl2 가스와 같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수소(H2) 가스, 염소(Cl2) 가스와 같은 반응 가스를 포함하는 공정 가스를 이용하는 통상의 에피택셜 성장 공정,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초고진공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널 패턴(626)은 상기 제2개구부(624)의 내부로 노출된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 제1희생층(602), 제1도전 패턴(608), 제3희생층(612) 및 제2도전층(618) 상에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 패턴(626)의 두께는 약 100Å 내지 3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50Å 내지 2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채널 패턴(626)의 두께는 목적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채널 패턴(626)의 두께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채널 패턴(626)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가스에는 상기 채널 패턴(626)을 인시튜 방법으로 불순물 도핑하기 위한 N 타입 도핑 가스 또는 P 타입 도핑 가스가 첨가될 수 있다.
도 14f를 참조하면, 상기 채널 패턴(626)의 표면들 상에 게이트 절연막(628)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628)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O2 가스, NO 가스 또는 N2O 가스를 이용하는 급속 열처리 공정(RTP)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628)의 두께는 약 10Å 내지 70Å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g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628)의 내부 및 상기 제1개구부(622, 도 14f)의 내부를 채우는 제3도전층(630)을 형성한다. 상기 제3도전층(630)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LPCVD 공정을 통해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동안 인시튜 방법으로 불순물 도핑 공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상기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3도전층(6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LPCVD 공정을 통해 상기 게이트 절연막(628)의 내부 및 상기 제1개구부(622)의 내부를 채우는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고, 불순물 도핑 공정을 통해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상기 제3도전층(630)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도핑 공정은 통상적인 이온 주입 공정 또는 불순물 확산 공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도전층(630)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 코발트, 몰리브데늄, 니켈, 루테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3도전층(630)은 금속 전구체를 이용하는 MOCVD 공정, P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도전층(630)의 재질은 목적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갖는 일함수(work function)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아르곤 또는 질소를 주입함으로써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는 상기 폴리실리콘층에 주입되는 불순물의 농도에 의해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불순물 도핑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불순물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를 조절하기 위해 수행되는 이온 주입 공정은 후속하는 제3도전층(630)에 대한 평탄화 공정 이후에 상기 캡핑층(620)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4h를 참조하면, 상기 제3도전층(630, 도 14g)은 에치백(etch back) 공정 또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전극(632)으로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상기 캡핑층(620)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3도전층(630)의 상부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다.
도 14i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632)의 상부면 및 상기 게이트 전극(632)과 인접하는 상기 캡핑층(620)의 일부분 상에 하드 마스크(634)를 형성한다. 상기 하드 마스크(634)는 상기 게이트 전극(632)과 캡핑층(620) 상에 하드 마스크층(미도시)과 대응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층을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드 마스크(634)는 상기 제1도전 패턴(608)과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드 마스크층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의 화학 기상 증착 공정, LPCVD 공정 또는 PECV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통상의 포토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4j를 참조하면, 제2도전 패턴(636)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드 마스크(634)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통상의 이방성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캡핑층(620), 제2버퍼 산화막(616) 및 제2도전층(618, 도 14i)을 식각한다. 상기 제2도전 패턴(636)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은 상기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3희생층(612)을 노출시키도록 수행되며, 상기 제3희생층(612)이 과식각되도록 식각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4k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희생층(602, 610, 612, 도 14j)을 습식 식각 방법으로 제거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희생층(602, 610, 612)의 식각 공정에는 실리콘 게르마늄과 단결정 실리콘에 대하여 약 50:1 이상의 식각 선택비를 갖는 에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드 마스크(634)와 캡핑층(620)은 게이트 전극(632)을 상기 에천트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으로 사용된다.
이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희생층(602, 610, 612)이 제거됨으로써 형성된 공간을 채우는 층간 절연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제1도전 패턴(608), 게이트 전극(632) 및 제2도전 패턴(636)과 연결되는 금속 배선들(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층과 금속 배선들은 도 8v 내지 도 8z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에 불순물 도핑 영역(100b)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기판(100) 상에 버퍼 산화막(미도시)을 형성하고, 이온 주입 공정 또는 확산 공정을 통해 N 타입 웰 또는 P 타입 웰을 형성한다.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1단결정 실리콘층(702)을 형성한다.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702)은 SiH4 가스, Si2H2Cl2 가스와 같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수소(H2) 가스, 염소(Cl2) 가스와 같은 반응 가스를 포함하는 공정 가스를 이용하는 통상의 에피택셜 성장 공정,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초고진공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702)은 약 400Å 내지 600Å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500Å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702)의 두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상에 형성된 버퍼 산화막은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702)을 형성하기 전에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c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702, 도 15b)을 제1도전층(704)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702)을 N 타입 불순물 또는 P 타입 불순물로 도핑한다.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702)에 대한 불순물 도핑 공정은 이온 주입 공정 또는 확산 공정일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상기 제1도전층(704)은 SiH4 가스와 같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상기 제1단결정 실리콘층(702)을 인시튜 도핑하기 위한 도펀트 소스를 포함하는 공정 가스를 이용하는 에피택셜 성장 공정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펀트 소스 가스로는 포스핀(PH3), 아신(AsH3) 등과 같은 N 타입 도핑 가스 및 디보란(B2H6)과 같은 P 타입 도핑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5d를 참조하면, 제1도전 패턴(706)을 형성하기 위해 통상의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제1도전층(704, 도 15c)을 패터닝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건식 식각 공정에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이 식각 마스크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통상의 포토 공정을 통해 상기 제1도전층(704) 상에 형성되며, 애싱 공정 또는 스트립 공정을 통해 제거된다.
도 15e를 참조하면, 도 8e 내지 도 8z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또는 도 14a 내지 도 14k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MOS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장치(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장치(70)는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구조물(72)과, 상기 게이트 구조물(72)을 감싸도록 형성된 채널 패턴(728)과, 상기 채널 패턴(728)의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제1도전 패턴(706)과, 상기 채널 패턴(728)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도전 패턴(720)을 포함한다. 또한, 층간 절연층(738)은 상기 채널 패턴(728), 제1도전 패턴(706) 및 제2도전 패턴(720)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며, 금속 배선들(744a, 744b, 744c)은 게이트 전극(734), 제1도전 패턴(706) 및 제2도전 패턴(7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조물(72)은 게이트 전극(734)과 게이트 절연막(730)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734)은 제1직경을 갖는 하부의 제1기둥(734a)과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상부의 제2기둥(734b)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730)은 상기 제1기둥(734a)의 측면과 하부면 및 상기 제2기둥(734b)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채널 패턴(728)은 상기 제2기둥(734b)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730)의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1희생층(802)을 형성한다. 상기 제1희생층(802) 상에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1도전 패턴(808)과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2희생층(810)을 형성한다. 상기 제1도전 패턴(808) 및 상기 제2희생층(810) 상에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3희생층(812)을 형성하고, 상기 제3희생층(812) 상에 제2실리콘 단결정층(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제2실리콘 단결정층 상에 제2버퍼 산화막(816)을 형성하고, 상기 제2실리콘 단결정층을 제2도전층(818)으로 형성하기 위한 불순물 도핑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2버퍼 산화막(816) 상에 제1개구부(822)를 갖는 캡핑층(820)을 형성하고, 상기 캡핑층(820)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를 노출시키는 제2개구부(824)를 형성한다. 상기 제2개구부(824)의 내측면 상에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채널 패턴(826)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도 14a 내지 도 14e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채널 패턴(826)의 내측면, 상기 제1개구부(822)의 내측면 및 상기 캡핑층(820) 상에 게이트 절연막(828)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828)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금속 산화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산질화막은 LPCV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산화막은 MOC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막의 예로는, Ta2O5막, TaON막, TiO2막, Al2O3 막, Y2O3막, ZrO2막, HfO2막, BaTiO3막, SrTiO3막 등이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828) 상에 상기 제1개구부(822, 도 16b) 및 제2개구부(824, 도 16b)의 내부를 채우는 제3도전층(830)을 형성한다. 상기 제3도전층(830)은 도핑된 폴리실리콘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LPCVD 공정을 통해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동안 인시튜 방법으로 불순물 도핑 공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상기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3도전층(8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LPCVD 공정을 통해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고, 불순물 도핑 공정을 통해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상기 제3도전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의 예로는 텅스텐, 티타늄, 탄탈, 코발트, 몰리브데늄, 니켈, 루테늄 등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3도전층(830)은 금속 전구체를 이용하는 MOCVD 공정, P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6d를 참조하면, 상기 제3도전층(830, 도 16c)은 에치백(etch back) 공정 또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전극(832)으로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상기 캡핑층(820)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3도전층(830)의 상부 및 상기 캡핑층(820) 상의 게이트 절연막(828)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다.
도 16e를 참조하면, 도 14i 내지 도 14k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MOS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장치(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장치(80)는 반도체 기판(10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구조물(82)과, 상기 게이트 구조물(82)을 감싸도록 형성된 채널 패턴(826)과, 상기 채널 패턴(826)의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10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도전 패턴(808)과, 상기 채널 패턴(826)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도전 패턴(836)을 포함한다. 또한, 층간 절연층(838)은 상기 채널 패턴(826), 제1도전 패턴(808) 및 제2도전 패턴(836)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며, 금속 배선들(844a, 844b, 844c)은 상기 게이트 전극(832), 제1도전 패턴(808) 및 제2도전 패턴(836)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조물(82)은 게이트 전극(832)과 게이트 절연막(828)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832)은 제1직경을 갖는 하부의 제1기둥 부위(832a)와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상부의 제2기둥 부위(832b)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828)은 상기 제1기둥 부위(832a)의 측면과 하부면 및 상기 제2기둥 부위(832b)의 측면과 하부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채널 패턴(826)은 상기 제2기둥 부위(832b)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전극(832)의 제1기둥 부위(832a)를 감싸는 게이트 절연막(828)의 일부분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도 17a 내지 도 17f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1희생층(902)을 형성한다. 상기 제1희생층(902) 상에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1도전 패턴(908)과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2희생층(910)을 형성한다. 상기 제1도전 패턴(908) 및 상기 제2희생층(910) 상에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진 제3희생층(912)을 형성하고, 상기 제3희생층(912) 상에 제2실리콘 단결정층(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제2실리콘 단결정층 상에 제2버퍼 산화막(916)을 형성하고, 상기 제2실리콘 단결정층을 제2도전층(918)으로 형성하기 위한 불순물 도핑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2버퍼 산화막(916) 상에 제1개구부(922)를 갖는 캡핑층(920)을 형성하고, 상기 캡핑층(920)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부위를 노출시키는 제2개구부(924)를 형성한다. 상기 제2개구부(924)의 내측면 상에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채널 패턴(926)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 패턴(926) 상에 게이트 절연막(928)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도 14a 내지 도 14f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928) 및 상기 제1개구부(924, 도 17a)를 갖는 캡핑층(920) 상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제3도전층(930)을 형성한다. 상기 제3도전층(930)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도전층(930)은 LPCVD 공정 및 불순물 도핑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7c를 참조하면, 상기 제3도전층(930)에 의해 한정되는 제1개구부(922, 도 17a) 및 제2개구부(924, 도 17a)의 내부를 채우는 금속층(932)을 상기 도전층(930) 상에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932)은 MOCVD 공정 또는 ALD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텅스텐, 티타늄, 탄탈, 코발트, 니켈, 루테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d를 참조하면, 열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층(932, 도 17c)을 금속 실리사이드층(934)으로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932)은 상기 열처리 공정 동안에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반응하여 금속 실리사이드층(934)으로 변환된다.
도 17e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936)을 형성하기 위해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 또는 에치백 공정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통해 금속 실리사이드층(934, 도 17d)의 상부 및 제3도전층(930)의 상부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평탄화 공정은 캡핑층(920)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f를 참조하면, 도 14i 내지 도 14k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MOS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장치(9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장치(90)는 반도체 기판(10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구조물(92)과, 상기 게이트 구조물(92)을 감싸도록 형성된 채널 패턴(926)과, 상기 채널 패턴(926)의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10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도전 패턴(908)과, 상기 채널 패턴(926)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도전 패턴(942)을 포함한다. 또한, 층간 절연층(944)은 상기 채널 패턴(926), 제1도전 패턴(908) 및 제2도전 패턴(942)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며, 금속 배선들(946a, 946b, 946c)은 상기 게이트 전극(936), 제1도전 패턴(908) 및 제2도전 패턴(942)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조물(92)은 게이트 전극(936)과 게이트 절연막(928)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936)은 제1외경을 갖는 하부의 제1실린더(938a) 부위와 상기 제1외경보다 큰 제2외경을 갖는 상부의 제2실린더(938b) 부위로 구성되는 제3도전 패턴(938)과 및 상기 제3도전 패턴(938)의 내부를 채우는 금속 실리사이드 플러그(940)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928)은 상기 제1실린더(938a) 부위의 측면과 하부면 및 상기 제2실린더(938b) 부위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게이트 절연막(928)은 상기 게이트 전극(936)의 상부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들 상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채널 패턴은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게이트 구조물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채널 패턴의 하부와 상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제2도전 패턴은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으로 기능한다.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는 제1도전 패턴과 제2도전 패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채널 폭은 상기 게이트 구조물의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채널 효과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들과 협채널 효과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반도체 장치는 채널 길이 및 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단채널 효과에 기인하는 펀치 쓰루(punch through), 채널 캐리어 이동도(carrier mobility) 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협채널 효과에 기인하는 문턱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채널 효과 및 협채널 효과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MOS 트랜지스터의 동작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 패턴 및 제2도전 패턴의 연장 방향들 사이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또는 처리 장치의 레이아웃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i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도 1i에 도시된 게이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3e에 도시된 게이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f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게이트 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z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MOS 트랜지스터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MOS 트랜지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MOS 트랜지스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MOS 트랜지스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다수의 MOS 트랜지스터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k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7a 내지 도 17f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반도체 기판 502 : 제1희생층
504 : 제1단결정 실리콘층 506 : 제1도전층
508 : 제1도전 패턴 510 : 제2희생층
512 : 제3희생층 514 : 제2단결정 실리콘층
518 : 제2도전층 520 : 제2도전층
522 : 캡핑층 524 : 제1개구부
526 : 제2개구부 528 : 채널 패턴
530 : 게이트 절연막 532 : 제3도전층
534 : 게이트 전극 536 : 하드 마스크
538 : 층간 절연층 540a, 540b : 콘택홀
542 : 금속층 544a, 544b, 544c : 금속 배선

Claims (103)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pillar)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환형 기둥(pillar ring) 형상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과 전체적으로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 및 하부면과 전체적으로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제1직경을 갖는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제2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둥과 제2기둥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제1기둥의 측면과 하부면, 및 상기 제2기둥의 측면과 하부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하부는 상기 기판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층은 텅스텐 실리사이드, 티타늄 실리사이드, 탄탈 실리사이드, 코발트 실리사이드 및 니켈 실리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며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도전 패턴과, 상기 도전 패턴의 내부를 채우는 금속 실리사이드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 코발트, 니켈, 몰리브데늄 및 루테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Ta2O5막, TaON막, TiO2막, Al2O3막, Y2O 3막, ZrO2막, HfO2막, BaTiO3막, SrTiO3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14. 기판 상에 형성되며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채널 패턴;
    상기 채널 패턴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제1도전 패턴; 및
    상기 채널 패턴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제2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기둥(pillar) 형상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환형 기둥(pillar ring)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과 전체적으로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은 환형 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채널 패턴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내측면과 접하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채널 패턴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채널 패턴과 접하도록 상기 채널 패턴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은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은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인시튜 방법으로 도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 및 상기 제2도전 패턴은 상기 채널 패턴의 하부 및 상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 및 상기 제2도전 패턴은 상기 채널 패턴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 및 상기 제2도전 패턴은 상기 게이트 구조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 및 상기 제2도전 패턴은 상기 게이트 구조물로부터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도전 패턴의 연장 길이가 상기 제2도전 패턴의 연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 및 상기 제2도전 패턴은 에피택셜 성장 공정 및 불순물 도핑 공정을 통해 형성된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조물의 하단부는 상기 기판에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은 상기 기판의 표면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 부위에는 불순물 도핑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은 상기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상기 기판의 표면 사이에 형성된 층간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 부위에는 불순물 도핑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1. 기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pillar) 형상을 갖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도전 패턴의 측면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물;
    내측면과 외측면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갖고 상기 내측면이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채널 패턴;
    상기 채널 패턴의 하부를 감싸며, 상기 채널 패턴에 대하여 수직하는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불순물 도핑된 제1도전 패턴; 및
    상기 채널 패턴의 상부를 감싸며, 상기 채널 패턴에 대하여 수직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하는 불순물 도핑된 제2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의 두께는 약 100Å 내지 약 3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을 감싸도록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제2도전 패턴 사이에 형성된 층간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제1직경을 갖는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제2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둥과 제2기둥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은 상기 제1기둥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제1기둥과 상기 채널 패턴 사이 및 상기 제2기둥과 상기 채널 패턴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둥을 감싸도록 형성된 캡핑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채널 패턴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 및 상기 캡핑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층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0. 기판 상에 내측면과 외측면을 갖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내부를 채우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희생층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개구부 내측면 상에 단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의 내측면 및 상부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 상에 상기 희생층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제2개구부를 갖는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희생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캡핑층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개구부의 바닥면이 상기 기판의 표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채우는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캡핑층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층의 상부를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은 에피텍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된 실리콘 게르마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은 에피텍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47.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Ta2O5막, TaON막, TiO2막, Al2O3막, Y2O 3막, ZrO2막, HfO2막, BaTiO3막, SrTiO3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48.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약 10Å 내지 70Å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49.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불순물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면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층은 텅스텐 실리사이드, 티타늄 실리사이드, 탄탈 실리사이드, 코발트 실리사이드 및 니켈 실리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5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내측면 상에 실린더 형상을 갖는 도핑된 폴리실리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실리콘 패턴의 내부를 채우는 금속 실리사이드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5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 코발트, 니켈, 몰리브데늄 및 루테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54. 기판 상에 제1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도전 패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제2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도전 패턴 및 상기 제2도전 패턴과 접하며, 내측면과 외측면을 갖는 채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 패턴의 내측면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내부를 채우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상기 제2도전 패턴은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은 상기 기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은 상기 기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 기둥 형상을 갖고,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상기 제2도전 패턴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58.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상기 제2도전 패턴은 서로 다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59.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상기 제2도전 패턴은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도전 패턴의 연장 길이가 상기 제2도전 패턴의 연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60.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단결정 실리콘층을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을 제1도전층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을 불순물로 도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 상에 버퍼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 단계는 이온 주입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의 두께는 약 400Å 내지 약 600Å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64.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수행되며, 상기 제1도전층에 포함된 불순물과 다른 타입의 불순물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표면 부위를 도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6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실리콘 게르마늄층을 에피택셜 성장 방법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게르마늄층 상에 단결정 실리콘층을 에피택셜 성장 방법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을 제1도전층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을 불순물로 도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수행되며, 상기 제1도전 패턴에 포함된 불순물과 다른 타입의 불순물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표면 부위를 도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6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은 실리콘 게르마늄층이며, 상기 실리콘 게르마늄층은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70.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도전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1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희생층을 평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희생층 상에 제2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희생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희생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도전 패턴이 노출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7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희생층의 두께는 1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74.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희생층 상에 단결정 실리콘층을 에피택셜 성장 방법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을 제2도전층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을 불순물로 도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의 두께는 400Å 내지 6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실리콘층 상에 버퍼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77.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 및 상기 제2도전 패턴 상에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층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79.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80.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도전 패턴, 상기 희생층 및 상기 제1도전 패턴을 통해 통과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널 패턴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은 상기 제1도전 패턴, 상기 희생층 및 상기 제1도전 패턴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부의 내측면 상에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은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은 상기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인시튜 방법으로 도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84.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구부를 채우는 제3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캡핑층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3도전층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전층의 상부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을 통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86.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층 상에 상기 제2도핑 패턴과 대응하는 하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도핑 패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캡핑층의 제1부위를 제외한 제2부위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층 및 상기 캡핑층의 제2부위가 제거된 공간에 층간 절연층을 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희생층과 상기 채널 패턴에 대한 식각 선택비가 50:1 이상인 에천트를 이용하는 습식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88.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구부의 바닥면이 상기 기판의 표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89.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의 두께는 100Å 내지 300Å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90.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Ta2O5막, TaON막, TiO2막, Al2O3막, Y2O 3막, ZrO2막, HfO2막, BaTiO3막, SrTiO3막 또는 이들의 복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91.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불순물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면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93.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내측면 상에 실린더 형상을 갖는 도핑된 폴리실리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실리콘 패턴의 내부를 채우는 금속 실리사이드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94.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 코발트, 니켈, 몰리브데늄 및 루테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95. 기판 상에 제1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도전 패턴 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상에 제2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도전층 및 상기 희생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도전 패턴과 접하며, 환형 기둥 형상을 갖는 채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 패턴의 내측면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내부를 채우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패턴과 접하는 제2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96.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 패턴 및 상기 제2도전 패턴은 상기 채널 패턴의 하부와 상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97.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층 상에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캡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도전층, 상기 희생층 및 상기 제1도전 패턴을 통과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상에 에피택셜 성장 방법을 이용하여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채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99.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구부를 채우는 제3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캡핑층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3도전층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100.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제2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하드 마스크를 상기 캡핑층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캡핑층 및 상기 제2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10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과 상기 채널 패턴에 대하여 50:1 이상의 식각 선택비를 갖는 에천트를 이용하여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이 제거된 공간과, 상기 제2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캡핑층 및 제2도전층이 제거된 공간들을 채우는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102.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과 상기 채널 패턴에 대하여 50:1 이상의 식각 선택비를 갖는 에천트를 이용하여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 및 상기 제2도전 패턴 상의 캡핑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층이 제거된 공간과, 상기 제2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도전층이 제거된 공간과, 상기 캡핑층이 제거된 공간을 채우는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103.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층 및 상기 제2도전층은 실리콘 소스 가스와 도펀트 소스를 포함하는 공정 가스를 이용하는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KR1020040010882A 2004-02-19 2004-02-19 게이트 구조물, 이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057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882A KR100574317B1 (ko) 2004-02-19 2004-02-19 게이트 구조물, 이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DE102005006899A DE102005006899B4 (de) 2004-02-19 2005-02-15 Halbleitervorrichtung mit einer Gate-Struktur, sowie Verfahren zum Ausbilden der Gate-Struktur und der Halbleitervorrichtung
US11/059,145 US20050184348A1 (en) 2004-02-19 2005-02-15 Semiconductor device gat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05039859A JP2005236290A (ja) 2004-02-19 2005-02-16 ゲート構造物、これを有する半導体装置及びその形成方法
TW094104597A TW200529304A (en) 2004-02-19 2005-02-17 Gate structur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s of fomring the gate structure and the semiconductor device
IT000253A ITMI20050253A1 (it) 2004-02-19 2005-02-18 Struttura di porta dispositivo semiconduttore avente la medesima e procedimenti di formazione della struttura di porta e del dispositivo semiconduttore
CN2005100095318A CN1658401A (zh) 2004-02-19 2005-02-21 栅极结构、具有栅极结构的半导体器件及形成栅极结构和半导体器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882A KR100574317B1 (ko) 2004-02-19 2004-02-19 게이트 구조물, 이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460A true KR20050082460A (ko) 2005-08-24
KR100574317B1 KR100574317B1 (ko) 2006-04-26

Family

ID=3485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882A KR100574317B1 (ko) 2004-02-19 2004-02-19 게이트 구조물, 이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84348A1 (ko)
JP (1) JP2005236290A (ko)
KR (1) KR100574317B1 (ko)
CN (1) CN1658401A (ko)
DE (1) DE102005006899B4 (ko)
IT (1) ITMI20050253A1 (ko)
TW (1) TW2005293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545A (ko) * 2014-11-13 2016-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20160104195A (ko) * 2015-02-25 2016-09-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8721B2 (en) 2005-07-06 2011-02-15 Micron Technology, Inc. Surround gate access transistors with grown ultra-thin bodies
US7768051B2 (en) 2005-07-25 2010-08-03 Micron Technology, Inc. DRAM including a vertical surround gate transistor
US7358194B2 (en) * 2005-08-18 2008-04-15 Tokyo Electron Limited Sequential deposition process for forming Si-containing films
US7696567B2 (en) 2005-08-31 2010-04-13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557032B2 (en) 2005-09-01 2009-07-07 Micron Technology, Inc. Silicided recessed silicon
US7687342B2 (en) 2005-09-01 2010-03-3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memory device
US7416943B2 (en) 2005-09-01 2008-08-26 Micron Technology, Inc. Peripheral gate stacks and recessed array gates
JP4525928B2 (ja) 2005-12-27 2010-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643087B2 (en) * 2006-09-20 2014-02-04 Micron Technology, Inc. Reduced leakage memory cells
US20080119044A1 (en) * 2006-11-22 2008-05-2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back end of line processing of semiconductor circuits
US7923373B2 (en) 2007-06-04 2011-04-12 Micron Technology, Inc. Pitch multiplication using self-assembling materials
KR100871546B1 (ko) 2007-08-08 2008-12-01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4741B1 (ko) * 2007-10-31 2011-03-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KR101111919B1 (ko) * 2008-05-28 2012-10-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7928577B2 (en) 2008-07-16 2011-04-19 Micron Technology, Inc. Interconnect structures for integration of multi-layered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01752236B (zh) * 2009-10-26 2011-10-19 南京大学 一种调控GaAs半导体与栅介质间能带补偿的原子层沉积Al2O3/HfO2方法
KR101194973B1 (ko) * 2010-04-27 2012-10-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및 그 형성방법
US8871576B2 (en) * 2011-02-28 2014-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nanotube MOSFET
CN103107088B (zh) * 2011-11-11 2016-06-0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具有周围栅极结构的鳍型场效应晶体管及其制造方法
US8586455B1 (en) * 2012-05-15 2013-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venting shorting of adjacent devices
EP3120387A4 (en) * 2014-03-20 2017-10-25 Skokie Swift Corporation Vertical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a disc shaped gate
CN105448989B (zh) * 2014-08-26 2018-12-25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JP6233531B2 (ja) * 2014-12-08 2017-11-22 富士電機株式会社 炭化ケイ素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3070737A1 (en) 2015-03-17 2016-09-21 IMEC vzw Vertical Fin-FET semiconductor device
CN107204362B (zh) * 2016-03-18 2021-01-29 株式会社日本显示器 半导体装置
CN106328729A (zh) * 2016-10-19 2017-01-11 天津大学 基于石墨烯电极的量子点垂直沟道场效应管及其制备方法
US11237475B2 (en) * 2017-11-10 2022-02-01 Asml Netherlands B.V. EUV pellicles
CN109904229A (zh) * 2017-12-08 2019-06-18 萨摩亚商费洛储存科技股份有限公司 垂直式铁电薄膜储存晶体管和资料写入及读出方法
US10541268B2 (en) 2017-12-28 2020-01-21 Spin Memory, Inc. Three-dimensional magnetic memory devices
US10693056B2 (en) 2017-12-28 2020-06-23 Spin Memory, Inc. Three-dimensional (3D) magnetic memory device comprising a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having a metallic buffer layer
US10424357B2 (en) 2017-12-29 2019-09-24 Spin Memory, Inc.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memory device having a composite free magnetic layer
US10403343B2 (en) 2017-12-29 2019-09-03 Spin Memory, Inc.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serial configurations of magnetic memory devices
US10347308B1 (en) 2017-12-29 2019-07-09 Spin Memory, Inc.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parallel configurations of magnetic memory devices
US10803916B2 (en) 2017-12-29 2020-10-13 Spin Memor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writing to magnetic memory devices utilizing alternating current
US10192789B1 (en) * 2018-01-08 2019-01-29 Spin Transfer Technologies Methods of fabricating dual threshold voltage devices
US10770510B2 (en) * 2018-01-08 2020-09-08 Spin Memory, Inc. Dual threshold voltage devices having a first transistor and a second transistor
US10497415B2 (en) 2018-01-08 2019-12-03 Spin Memory, Inc. Dual gate memory devices
US10192787B1 (en) * 2018-01-08 2019-01-29 Spin Transfer Technologies Methods of fabricating contacts for cylindrical devices
US10192788B1 (en) * 2018-01-08 2019-01-29 Spin Transfer Technologies Methods of fabricating dual threshold voltage devices with stacked gates
US10319424B1 (en) 2018-01-08 2019-06-11 Spin Memory, Inc. Adjustable current selectors
US10692556B2 (en) 2018-09-28 2020-06-23 Spin Memory, Inc. Defect injection structure and mechanism for magnetic memory
US10878870B2 (en) 2018-09-28 2020-12-29 Spin Memory, Inc. Defect propagation structure and mechanism for magnetic memory
US10726191B2 (en) * 2018-09-28 2020-07-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2646792B1 (ko) 2019-02-26 2024-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0752157B (zh) * 2019-11-08 2021-06-22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三维悬空环栅结构半导体场效应晶体管器件的制备方法
CN111739944B (zh) * 2020-07-07 2021-06-01 上海大学 一种全包围栅极突触晶体管、制备方法及电路连接方法
CN113013248B (zh) * 2021-02-19 2022-07-12 上海大学 一种突触晶体管及其制备方法
US12170326B2 (en) * 2021-03-11 2024-12-17 Tokyo Electron Limited Three-dimensional device with vertical core and bundled wiring
CN117276326A (zh) * 2022-06-10 2023-12-22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晶体管器件及存储器
CN117253799A (zh) * 2022-06-10 2023-12-19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晶体管器件的制造方法
CN115346988B (zh) * 2022-10-18 2023-01-24 北京超弦存储器研究院 一种晶体管、3d存储器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TW202445833A (zh) * 2022-11-17 2024-11-16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WO2024105515A1 (ja) * 2022-11-17 2024-05-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WO2025017438A1 (ja) * 2023-07-20 2025-01-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78A (ja) * 1988-07-01 1990-01-18 Fujitsu Ltd 半導体装置
JPH03291973A (ja) * 1990-04-09 1991-12-24 Fuji Xerox Co Ltd 薄膜半導体装置
JPH05129335A (ja) * 1991-10-31 1993-05-25 Sharp Corp 縦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0147584B1 (ko) * 1994-03-17 1998-08-01 윤종용 매몰 비트라인 셀의 제조방법
US5497019A (en) * 1994-09-22 1996-03-05 The Aerospace Corporation Silicon-on-insulator gate-all-around MOSFET devices and fabrication methods
JP3307785B2 (ja) * 1994-12-13 2002-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
US5688704A (en) * 1995-11-30 1997-11-18 Luc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JP3217690B2 (ja) * 1996-03-22 2001-10-0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19705791C1 (de) * 1997-02-14 1998-04-02 Siemens Ag Leistungs-MOSFET
DE19743342C2 (de) * 1997-09-30 2002-02-28 Infineon Technologies Ag Feldeffekttransistor hoher Packungsdicht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0298438B1 (ko) * 1998-01-26 2001-08-07 김영환 박막트랜지스터및이의제조방법
DE19837555A1 (de) * 1998-08-19 2000-03-02 Winkelstroeter Dentaurum Kieferorthopädische Vorrichtung zum Vorverlagern des Unterkiefers
DE19844997A1 (de) * 1998-09-30 2000-04-13 Siemens Ag Vertikaler Feldeffekttransistor mit innenliegendem Gate und Herstellverfahren
DE10004984A1 (de) * 2000-02-04 2001-08-16 Infineon Technologies Ag Vertikales Halbleiterbauelement mit Source-Down-Design und entsprechendes Herstellungsverfahren
US6413802B1 (en) * 2000-10-23 2002-07-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infet transistor structures having a double gate channel extending vertically from a substrate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2002203969A (ja) * 2000-12-28 2002-07-1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4932088B2 (ja) * 2001-02-19 2012-05-1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64815B1 (en) * 2001-04-28 2002-12-16 Hynix Semiconductor Inc High voltage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00490180C (zh) * 2004-10-04 2009-05-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纵向场效应晶体管及其制造方法
US7977736B2 (en) * 2006-02-23 2011-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tical channel transistors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vertical channel transist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545A (ko) * 2014-11-13 2016-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20160104195A (ko) * 2015-02-25 2016-09-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317B1 (ko) 2006-04-26
ITMI20050253A1 (it) 2005-08-20
JP2005236290A (ja) 2005-09-02
TW200529304A (en) 2005-09-01
CN1658401A (zh) 2005-08-24
DE102005006899B4 (de) 2010-11-25
US20050184348A1 (en) 2005-08-25
DE102005006899A1 (de)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317B1 (ko) 게이트 구조물, 이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US12051722B2 (en) Semiconductor devices
KR102316293B1 (ko) 반도체 장치
US20050263795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hannel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745663B2 (ja) ダブルゲートFin−FETデバイスを形成する方法
US6764884B1 (en) Method for forming a gate in a FinFET device and thinning a fin in a channel region of the FinFET device
US8093127B2 (en) Method for forming a vertical transistor having tensile layers
US8129777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multi-channel type MOS transistor
US6706571B1 (en) Method for forming multiple structures in a semiconductor device
US12261220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645797B1 (en) Method for forming fins in a FinFET device using sacrificial carbon layer
KR101303180B1 (ko) 수직채널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 방법
US9608117B2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a finFET
US11557653B2 (en) Semiconductor devices
US9190410B2 (en) Semiconductor devices
US11757038B2 (en) Semiconductor memory structure having drain stressor, source stressor and buried gate
KR100541515B1 (ko) 수직 채널 패턴을 갖는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0147648B1 (en) Vertical fin gate structure for RF device
US20220367683A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Multigate Devices with Suppressed Diffusion
US12250832B2 (en) Semiconductor memory structure having drain stressor, source stressor and buried g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2234576A (zh) 半導體裝置
US12218197B2 (en) Gate oxide of nanostructure transistor with increased corner thickness
US20230411527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2148800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reduced contact re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