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72392A -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392A
KR20050072392A KR1020040073345A KR20040073345A KR20050072392A KR 20050072392 A KR20050072392 A KR 20050072392A KR 1020040073345 A KR1020040073345 A KR 1020040073345A KR 20040073345 A KR20040073345 A KR 20040073345A KR 20050072392 A KR20050072392 A KR 20050072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flow
information
rule
button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713B1 (ko
Inventor
다카오노부유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2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71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 정보에 행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잡업 플로(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連携)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하는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이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을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해당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표시시켜,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실시할 때 지정하는 재실행 버튼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종이 문서나 전자 정보의 공유화를 꾀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하여 적절한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스캐너, 팩시밀리(이하 「FAX」라고 함), 복사기 또는 이들을 복합한 복합기, 퍼스널 컴퓨터, 메일 서버를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종이 문서와 전자 정보의 공유화를 꾀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원고를 판독하는 스캐너, 페이퍼리스 팩스(paper less FAX)등의 입력계로부터 문서 파일을 수용하여, 이미지 가공, 문자인식 등의 처리계를 지나, 프린터나 메일 서버 등의 출력 시스템을 거쳐 문서 파일를 외부로 송출한다.
통상, 문서 파일의 수용, 가공, 송출은 각각 독립하여 행해진다. 이 때문에, 유저는 문서 파일의 수용, 가공, 송출을 연속해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는 수용, 가공, 송출의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설정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유저는 수용, 가공, 송출에 관한 윈도우(window)를 하나씩 열고 소정의 입력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매우 불편하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수용에서 송출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네트워크 상에서 연휴(連携)해서 미리 정의한 순번으로 실행하는 워크 플로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워크 플로 시스템은 승인이나 회람 등 오피스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워크 플로를 상정하고, 기존의 종이 베이스의 업무 시스템을 그대로 전자화하는 것에 의해 개발되는 것이 많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2-99686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1-325389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1-195295호 공보를 참조).
이 종류의 워크 플로 시스템에서는 수용으로부터 송출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정의한 후는, 해당 정의에 따라 일련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 가능하지만, 해당 정의의 완료 후에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장치에 대하여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작업 플로)를 송출하여 기억시키고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장치에 의해 연휴하여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형태가 고려된다.
이 형태는, 작업 플로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장치에 미리 기억시켜 실행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 플로를 신규로 작성했을 때에 해당 작업 플로를 대상으로 하는 장치에 송출하여 기억시키거나, 각 장치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를 갱신하거나 삭제하는 작업 플로에 대해 각종 조작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작업 플로에 대한 각종 조작의 지시 입력을 행한 후에, 또는 상기 정의가 완료한 시점에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지시 입력에 따른 조작을 해당하는 장치에 반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정의가 확정된 시점에서 모든 설정이 완료하기 위해서이며, 해당 정의가 확정될 때까지는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이 변경되거나 작업 플로 자신이 변경될 경우도 있어, 해당 변경 때마다 변경 후의 상태를 각 장치에 반영시키는 것은 처리 부하(負荷)의 면에서 현저하게 불리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의 입력 시점과, 상기 정의의 완료 시점과의 사이에는 적지 않게 타임 래그(time lag)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타임 래그의 사이에 예를 들면 조작 대상으로 한 작업 플로의 기억처에 따른 장치의 전원이 꺼지거나, 액세스처가 되는 장치에 대해 액세스권을 갖는 어카운트가 변경되거나, 송출처가 되는 폴더를 유저가 잘못하여 소거해 버리거나 하여 시스템의 상태가 변화해 버린다.
그러나, 관련 기술은 이와 같은 시스템의 상태 변화에 관해서는 어떠한 대응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상태 변화에 의한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의 각 장치에 대한 반영이 실행 불가능하게 되어. 가령 그때문에 이미 에러가 발생하여도 그것을 유저가 파악하여 대책을 강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하는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수단을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해당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표시시킴과 동시에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하는 재실행 버튼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것이며, 표시 수단에 의해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기억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이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할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표시 수단은 액정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문서 정보는 문서에 관련된 정보이어도 좋으며 텍스트 데이터 등의 문자 정보나 종이 문서를 판독한 화상 정보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이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되어 해당 조작이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해당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표시시킴과 동시에,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되는 재실행 버튼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이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제 1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실시할 때에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가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하는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이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조작이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해당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시킴과 동시에,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되는 재실행 버튼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의 상태가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의 입력이 종료한 때로부터 변화하여 입력한 조작 지시에 대한 조작을 실행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그 이유를 표시 수단의 표시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상기 조작 지시에 따른 조작이 실행할 수 없게 된 것에 대한 대책을 용이하게 강구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대책의 실시 후에 재실행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재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이며, 해당 기록 매체는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 표현하는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행하는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해당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해당 기능은 (a)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할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템과, (b)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해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이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c) 스텝(b)에 의해 상기 조작이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해당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된 재실행 버튼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탭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형태에 기재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의하면, 컴퓨터에 대해 제 1 형태의 발명과 동일하게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 1 형태의 발명과 동일하게 시스템의 상태가 작업 플로에 대해 조작 지시의 입력이 종료된 때로부터 변화하여, 입력된 조작 지시에 따른 조작이 실행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그 이유를 표시 수단의 표시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상기 조작 지시에 따른 조작이 실행할 수 없게 된 것에 대하여 대책을 용이하게 강구할 수 있으며, 해당 대책의 실행 후에 재실행 버튼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재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매체에 의하면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실시할 때에,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할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이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조작이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해당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시킴과 동시에,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하는 재실행 버튼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의 상태가 작업 플로에 대해 조작 지시의 입력이 종료한 때로부터 변화해 버려 입력된 조작 지시에 따른 조작이 실행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그 이유를 표시 수단의 표시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상기 조작 지시에 따른 조작이 실행할 수 없게 된 것에 대한 대책을 용이하게 강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대책의 실시 후의 재실행 버튼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작업에 대한 조작을 재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은 프린터 기능, 스캐너 기능 및 팩시밀리 기능을 겸비한 복수의 복합기(10)과, 전자 메일의 송수신 등을 행하는 메일 서버(20)와, 복수의 단말 장치(25)와, 도큐먼트(document)를 소정의 수용처로부터 수용하여 소정의 가공을 실시한 후, 소정의 송출처에 송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도큐먼트는 주로 문서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이지만 가공 처리의 상태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합기(10), 메일 서버(20), 각 단말 장치(25) 및 제어 장치(30)는 네트워크(5)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5)에는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장치가 각각 접속되어도 좋다.
도 2는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의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복합기(10), 메일 서버(20) 및 단말 장치(25)는 네트워크(5)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있으나, 통상은 독립하여 작동한다. 그래서 제어 장치(30)는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 수용처, 가공 방법, 송출처를 설정하고, 도큐먼트의 수용, 가공 및 송출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자동화/정형화하여 코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련의 처리를 자동화/정형화하기 위해 정의한 것을 「규칙」이라고 한다. 규칙의 설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수용, 가공 방법, 송출의 각각의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입력계 플러그인, 처리계 플러그인, 출력계 플러그인이라고 한다.
도 3은 복합기(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복합기(10)는 입력계 플러그인이나 출력계 플러그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판독하는 스캐너부(11)와, 감광체에 정전잠상(靜電潛像)을 기록하고 정전잠상을 모노크로(monochrome) 토너 또는 컬러 토너를 이용하여 현상하며, 현상한 화상을 기록지에 전사하여 출력하는 프린터부(12), 팩시밀리 전문(電文)의 송수신을 행하는 팩시밀리(이하 「팩스」라고 함)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복합기(10)는 또한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4)와, 스캐너부(11)에서 판독된 화상 데이터나 네트워크(5)를 거쳐 송신한 화상 데이터, 팩스 송신 전문의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15)와, 아이콘을 갖는 조작 화면을 나타냄과 동시에 아이콘의 접속에 따라 조작 정보를 입력하는 표시 판넬(16)과,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포트(17)와,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제어 유닛(18)을 구비하고 있다.
스캐너부(11), 프린터부(12), 팩스부(13), 컨트롤러(14), 메모리(15), 표시 판넬(16) 및 입출력 포트(17)는 버스(bus)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포트(17)는 통신 제어 유닛(18)을 거쳐 네트워크(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캐너부(11)는 팩스부(13)의 일부로서 수용시켜도 좋다.
메일 서버(20)는 입력계 플러그인이나 출력계 플러그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네트워크(5)에 접속된 각 단말 장치(25)의 전자 메일의 송수신을 행하는 서버이다.
단말 장치(25)는 입력계 플러그인, 처리계 플러그인 및 출력계 플러그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즉 퍼스널 컴퓨터이다. 단말 장치(25)는 예를 들면 메일 서버(20)를 거쳐 외부와 전자 메일의 송수신을 행하거나, 파일 폴더의 도큐먼트를 보관하거나, 도큐먼트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한다.
제어 장치(30)는 규칙을 설정하거나, 규칙에 의거해서 도큐먼트의 수용, 가공 및 송신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 장치(30)는 처리계 플러그인이 되어도 좋다.
도 4는 제어 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30)는 전체를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1), 워크 에어리어로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RAM(32), CPU(31)의 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33), 규칙을 설정하기 위한 규칙 설정 화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4), CD-ROM 드라이브(3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30)는 또한 도큐먼트의 수용, 가공 및 송신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자동화/정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처리계 플러그인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소정의 데이터 등을 기억하거나 판독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6), 문장이나 기호 등을 입력하는 키보드(37), 포인팅 디바이스인 마우스(38), 이들이 접속된 인터페이스(39), 입출력 포트(40) 및 통신 제어 유닛(41)을 구비하고 있다.
CPU(31), RAM(32), ROM(33) 및 인터페이스(39)는 입출력 포트(40)를 통하여 네트워크(5)에 접속된 복합기(10) 등의 다른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제어 유닛(4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키보드(37)는 디스플레이(34)에 여러가지 설정 화면이 표시되었을 때에 오퍼레이터의 지시하는 정보를 직접 입력할 때 사용된다. 또한, 마우스(38)는 디스플레이(34)에 여러가지 설정 화면이 표시되었을 때, 표시된 것을 선택하거나 설정 지시의 내용을 입력할 때 사용된다.
[규칙의 일례]
도 5는 제어 장치(30)에 의해 입력계 플러그인, 처리계 플러그인, 출력계 플러그인을 임의로 편성시켜 생성할 수 있는 규칙의 일례를 설명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규칙(1)은 복수의 입력계 플러그인(팩스 수신 서비스, 파일 폴더, 스캔 서비스)으로부터 도큐먼트를 수용하고, 복수의 처리계 플러그인(이미지 가공, 광학 문자 인식(0CR), 속성 부여/분배)을 거쳐 이들의 처리를 거친 도큐먼트를 복수의 출력계 플러그인(파일 폴더, 프린트 출력)에 송출하는 것을 정의하고 있다.
규칙(2)는 파일 폴더 및 Mail_MAP I 입력으로부터 도큐먼트를 수용, 이미지 가공, 속성 부여/분배의 처리를 거쳐, 처리 후의 도큐먼트를 외부 서비스 연휴 폴더로 송출하는 것을 정의하고 있다.
규칙(3)은 파일 폴더로부터 도큐먼트를 수용, 이미지가공, 0CR 연휴 모듈, 속성 부여/분배의 처리를 거쳐, 처리 후의 도큐먼트를 파일 폴더에 송출하는 것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규칙(1)에서 규칙(3)은 각 처리계 플러그인의 전후에 있어서 다음 처리에 필요한 포맷(FMT) 변환을 행하고 있다.
여기서, 입력계 플러그인으로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팩스 수신 서비스, 파일 폴더, 스캔 서비스, Mail_SMTP 입력, POP 클라이언트, Mail_MAPI 입력 등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친전 박스도 해당한다.
처리계 플러그인으로서는 이미지 가공, 0CR, 속성 부여/분배, 0CR 연휴 모듈 등이 있다.
출력계 플러그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파일 폴더, 외부 서비스 연휴 폴더, ftp 출력, 파일 메세지, Mail_SMTP 출력, Mail_MAPI 출력 등이 있다. 또한, 입력계, 처리계 및 출력계의 각 플러그인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문서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에서는 수용으로부터 송출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규칙으로서 정의한 후에는 해당 정의에 따라 일련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 가능하게 되지만, 해당 정의의 완료 후에 네트워크 접속된 복수의 장치에 대하여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작업 플로)를 송출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장치에 의해 연휴해서 상기 일련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 된다.
이 형태는 작업 플로를 네트워크 접속된 각 장치에 미리 기억시켜 실행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본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에서는 작업 플로를 신규로 작성했을 때에 해당 작업 플로를 대상으로 하는 장치에 송출하여 기억시키거나, 각 장치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를 갱신하거나 삭제하는 작업 플로에 대해 각종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에서는 작업 플로에 대한 각종 조작의 지시 입력을 행한 후에, 또한 상기 정의가 완료한 시점에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지시 입력에 따른 조작을 해당하는 장치에 반영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 규칙의 정의가 확정된 시점에서 모든 설정이 완료하기 때문이며, 해당 정의가 확정할 때까지는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이 변경되거나, 작업 플로 자신이 변경될 경우도 있어, 해당 변경 때마다 변경 후의 상태를 각 장치에 반영시키는 것은 처리 부하(負荷)의 면에서 현저하게 불리한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 경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의 입력 시점과 상기 정의의 완료 시점과의 사이에는 적지 않게 타임 래그(time lug)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타임 래그의 사이에, 예를 들면 조작 대상으로 하는 작업 플로의 기억처가 되는 장치의 전원이 꺼지거나, 액세스처가 되는 장치에 대한 액세스권을 가진 어카운트가 변경되거나, 송출처가 되는 폴더를 유저가 잘못하여 삭제해 버리거나 하여 시스템의 상태가 바뀌어 버린다.
이 경우, 해당 상태 변화에 의해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의 각 장치에 대한 반영이 실행 불능이 되어 버려, 최악의 경우는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에 관한 정보자신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에서는 상기 정의가 완료한 시점에서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것에 관한 정보를 유저에게 명시하도록 하고 있다.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의 작용]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의 상술한 규칙을 신규 작성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규칙을 편집할 때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이 때 제어 장치(30)의 CPU(31)에 있어서 실행되는 규칙 설정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며, 해당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36)의 소정 영역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동(同) 도면의 스텝(ST1)에서는 미리 정해진 규칙 설정 화면(150)을 디스플레이(34)에 표시하고, 다음 스텝(ST2)으로 소정 정보의 입력 대기를 행한다.
도 7에는 상기 스텝(ST1)의 처리에 의해 디스플레이(34)에 표시된 규칙 설정 화면(150)의 표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규칙 설정 화면(150)은 규칙 명칭을 입력하는 규칙 명칭 박스(151), 규칙 설명을 입력하는 규칙 설명 박스(152), 규칙 설명의 자동 생성을 지시하는 설명 자동 생성 버튼(153), 에러 통지 드롭다운 리스트(154), 에러 통지 드롭다운 리스트 버튼(155), 에러 통지 리스트 박스(156), 규칙의 초기 상태 유효 설정 버튼(157), 규칙의 초기 상태 무효 설정 버튼(158)을 갖고 있다.
규칙 명칭 박스(151)는 신규 작성 또는 편집의 대상이 되는 규칙의 규칙명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신규 작성 시에는 규칙 명칭 박스(151)는 공백이 되어 규칙명은 필수 입력 항목이다. 규칙 설명 박스(152)는 규칙 명칭 박스(151)에 표시되어 있는 규칙명의 설명문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규칙 설명 박스(152)의 입력은 임의이다.
설명 자동 생성 버튼(153)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수용처, 가공 방법 및 송출처의 각 플러그인의 내용에 의거하여 규칙 설명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버튼이다. 그리고, 설명 자동 생성 버튼(153)이 클릭되었을 때에 생성된 규칙 설명은 규칙 설명 박스(152)에 표시된다.
에러 통지 드롭다운 리스트(154)는 에러 통지 드롭다운 리스트 버튼(155)이 클릭되면, 이미 인스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에러 통지 기능을 표시한다. 에러 통지 드롭다운 리스트(154) 중에서 하나의 에러 통지 기능이 선택되면, 에러 통지 리스트 박스(156)에 에러 통지 기능을 특정하는 명칭 및 등록 ID가 표시된다.
여기서, 규칙 설정 화면(150)은 수용처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처 드롭다운 리스트(161), 수용처 드롭다운 버튼(162), 수용처 리스트 박스(163), 수용처 편집 버튼(164), 수용처 삭제 버튼(165)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처 드롭다운 리스트(161)는 디폴트에서는 「항목을 선택해 주십시오」를 표시하지만 수용처 드롭다운 버튼(162)이 클릭되면, 이미 인스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계 플러그인(예를 들면, 파일 폴더 등) 및 레디 메이드(추천 메뉴)나, 후술하는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을 표시시킬 때에 지정되는 항목(이하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항목」이라고 함)을 표시한다.
수용처 드롭다운 리스트(161) 중에서 하나의 입력계 플러그인이 선택되면, 해당 입력계 플러그인의 설정 다이얼로그가 표시된다.
수용처 리스트 박스(163)는 상기 설정 다이얼로그에 있어서 설정이 정상으로 종료한 입력계 플러그인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처 리스트 박스(163)는 설정된 입력계 플러그인의 명칭과 함께 해당 입력계 플러그인을 표현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수용처 리스트 박스(163)에는 OK 버튼(197)이 클릭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입력계 플러그인이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수용처 편집 버튼(164)은 수용처 리스트 박스(163)에 표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계 플러그인 중에서, 선택한 입력계 플러그인의 설정 편집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또한, 수용처 리스트 박스(163)으로부터 소망의 입력계 플러그인을 선택해서 더블 클릭해도 좋다. 수용처 삭제 버튼(165)은 수용처 리스트 박스(163)에 표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계 플러그인 중에서 선택한 입력계 플러그인의 삭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규칙 설정 화면(150)은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 방법 드롭다운 리스트 리스트(171), 가공 방법 드롭다운 버튼(172), 가공 방법 리스트 박스(173), 가공 방법 순서 변경 버튼(174U, 174D), 가공 방법 편집 버튼(175), 가공 방법 삭제 버튼(176)을 구비하고 있다.
가공 방법 드롭다운 리스트(171)는 디폴트에서는 「항목을 선택해 주십시오」를 표시하지만 가공 방법 드롭다운 버튼(172)이 클릭되면, 이미 인스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처리계 플러그인(예를 들면, 이미지 가공, 광학 문자 인식 처리(0CR)등) 및 레디 메이드를 표시한다. 가공 방법 드롭다운 리스트(171) 중에서 하나의 처리계 플러그인이 선택되면, 해당 처리계 플러그인의 설정 다이얼로그가 표시된다.
가공 방법 리스트 박스(173)는 상기 설정 다이얼로그에 있어서 설정이 정상으로 종료한 처리계 플러그인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가공 방법 리스트 박스(173)는 설정된 처리계 플러그인의 명칭과 함께 해당 처리계 플러그인을 표현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가공 방법 순서 변경 버튼(174U, 174D)은 가공 방법 리스트 박스(173)에 복수의 처리계 플러그인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각 처리계 플러그인의 실행 순서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다. 예를 들면, 가공 방법 순서 변경 버튼(174U)은 클릭할 때마다, 가공 방법 리스트 박스(173) 중에서 선택되어 있는 처리계 플러그인의 순서를 1개씩 올린다. 한편, 가공 방법 순서 변경 버튼(174D)는 클릭할 때마다, 가공 방법 리스트 박스(173) 중에서 선택되어 있는 처리계 플러그인의 순서를 1개씩 내린다.
가공 방법 편집 버튼(175) 및 가공 방법 삭제 버튼(176)은 각각 상술한 수용처 편집 버튼(164) 및 수용처 삭제 버튼(165)과 같은 조작에 의해, 가공 방법 리스트 박스(173)에 표시된 처리계 플러그인의 편집·삭제의 지시를 행할 수 있다.
규칙 설정 화면(150)은 송출처에 관한 것으로서, 송출처 드롭다운 리스트(181), 송출처 드롭다운 버튼(182), 송출처 리스트 박스(183), 송출처 편집 버튼(184), 송출처 삭제 버튼(185), 송출처 순서 변경 버튼(186U, 186D)을 구비하고 있다.
송출처 드롭다운 리스트(181)는 디폴트에서는 「항목을 선택해 주십시오」를 표시하지만 송출처 드롭다운 버튼(182)이 클릭되면, 이미 인스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출력계 플러그인(예를 들면, 파일 폴더, 프린트 출력, 메일 SMTP 출력 등) 및 레디 메이드를 표시한다. 송출처 드롭다운 리스트(181) 중에서 하나의 출력계 플러그인이 선택되면, 해당 출력계 플러그인의 설정 다이얼로그가 표시된다.
송출처 리스트 박스(183)는 설정된 출력계 플러그인의 명칭과 함께 해당 출력계 플러그인을 표현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출처 리스트 박스(183)는 상기 설정 다이얼로그에 있어서의 설정이 정상으로 종료하면, 해당 출력계 플러그인의 송신 조건, 송신 포맷, 통지 조건 및 통지 방법을 트리(tree) 표시한다.
송출처 편집 버튼(184)은 송출처 리스트 박스(183)에 표시되어 있는 출력계 플러그인의 송출 조건, 송출 포맷, 통지 방법 및 통지 조건의 내용을 편집하는 버튼이다. 송출처 삭제 버튼(185)은 선택된 출력계 플러그인을 규칙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또한, 출력계 플러그인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송출처 삭제 버튼(185)을 클릭할 수 없다.
송출처 순서 변경 버튼(186U, 186D)은 송출처 리스트 박스(183)에 복수의 출력계 플러그인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각 출력계 플러그인의 실행 순서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다. 송출처 순서 변경 버튼(186U)은 클릭할 때마다, 출력계 플러그인의 순서를 1개씩 올린다. 송출처 순서 변경 버튼(186D)은 클릭할 때마다, 출력계 플러그인의 순서를 1개씩 내린다.
규칙 설정 화면(150)은 또한 출력계 플러그인에 관한 것으로서, 송출처 리스트 박스(183)에 문서명을 추가하는 문서명 추가 버튼(191), 송신 조건 설정 버튼(192), 송신 포맷 추가 버튼(193), 통지 조건 설정 버튼(194), 완료 통지 버튼(195)을 갖고 있다.
또한, 규칙 설정 화면(150)은 각 플러그인의 설정 내용 표시 박스(196), 각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내용에 따라서 규칙을 생성하는 OK버튼(197), 입력 처리를 취소하는 취소(cancel) 버튼(198), 도움말(help) 버튼(199)을 구비하고 있다.
설정 내용 표시 박스(196)는 각 리스트 박스(163, 173, 183)에 표시되어 있는 플러그인의 가운데, 도 4에 나타낸 마우스(38)에 의해 선택된 플러그인의 설정 내용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수용처 리스트 박스(163)에 표시된 「디렉토리(directory) D:¥in」를 마우스(38)로 선택하면, 설정 내용 표시 박스(196)는 「디렉토리 D:¥in」의 설정 내용으로서 「폴더의 종류를 선택해 주십시오 : 로컬(Local) 폴더」를 표시한다. 즉, 설정 내용 표시 박스(196)는 「디렉토리 D:¥in」가 폴더 종류의 선택을 요구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OK 버튼(197)은 규칙 정합성(整合性)의 판정 개시를 지시함과 동시에, 규칙의 정합성이 있을 때는 수용처, 가공 방법 및 송출처의 각 리스트 박스(163, 173, 183)의 내용에 의거하여 규칙을 생성하는 것을 지시한다. 한편, 취소 버튼(198)은 규칙의 신규 작성 또는 편집 처리를 취소하는 것을 지시한다. 또한, 도 7에서의 도움말 버튼(199)은 해당 규칙 설정 화면(150)의 조작 방법 등을 조회할 때에 지정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특별히 관계가 없기 때문에, 착종(錯綜)을 회피하기 위해서 이하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하는 각종 화면(도 8에 나타낸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 및 도 9에 나타낸 조작 재실행 화면)에서도 도움말 버튼이 표시되지만, 이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규칙 설정 화면(150)이 디스플레이(34)에 표시된다면, 유저는 규칙을 생성시킨 다음에 필요한 각종 정보의 설정이 완료된 후에 0K버튼(197)을 마우스(38)로 지정하던지, 또는 규칙의 신규 작성 또는 편집 처리를 취소하기 위해서 취소 버튼(198)을 마우스(38)로 지정하던지, 또는 수용처 드롭다운 버튼(162)을 마우스(38)로 지정해서 수용처 드롭다운 리스트(161)에 상술한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항목을 표시시킨 후, 해당 항목을 마우스(38)로 지정한다. 이로 인해, 상기 스텝 (ST2)가 긍정 판정이 되어서 스텝(ST3)로 이행한다.
스텝(ST3)에서는 규칙 설정 화면(150)에서 지정된 것이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항목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긍정 판정이 된 경우는 스텝(ST4)로 이행한다.
스텝(ST4)에서는 미리 정해진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을 디스플레이(34)에 표시하고, 다음 스텝(ST5)로 소정 정보의 입력 대기를 실시한다.
도 8에는 상기 스텝(ST4)의 처리에 의해 디스플레이(34)에 표시된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의 표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은 해당 화면 상에서 실행하는 처리의 명칭을 입력하는 처리 명칭 박스(201), 작업 플로를 기억시키는 장치(기기)에 액세스할 때에 필요한 유저의 어카운트 정보를 입력하는 유저 ID 박스(202A) 및 패스워드 박스(202B), 현재 설정 중의 규칙에 관련된 작업 플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관련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03), 작성 후의 작업 플로를 일람 표시하는 작업 플로 일람 박스(204)를 갖고 있다.
한편, 처리 명칭 박스(201)에는 디폴트에서는 「작업 플로 연휴」가 표시되어 있지만, 유저에 의해 임의인 명칭으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관련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03)에는 현재 설정 중의 규칙에 관련된 작업 플로의 명칭, 갱신 일시 및 작성자와 해당 작업 플로의 기억처 장치를 나타내는 기기명(IP 어드레스)의 각 정보가 작업 플로마다 일람 표시된다.
또한,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은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작업 플로 작성 버튼(210), 작업 플로 선택 버튼(211), 작업 플로 편집 버튼(212), 작업 플로 삭제 버튼(213)을 구비하고 있다.
작업 플로 작성 버튼(210)은 작업 플로를 신규로 작성할 때에 지정하는 것이며, 작업 플로 선택 버튼(211)은 작성 후의 작업 플로와 현재 설정 중인 규칙과의 관련성이나 해당 관련성 해제 등을 실시할 때에 지정하는 것이며, 작업 플로 편집 버튼(212)은 작성 후의 작업 플로의 기술 내용을 편집할 때에 지정하는 것이며, 또한 작업 플로 삭제 버튼(213)은 작성 후의 작업 플로를 삭제할 때에 지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것들의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을 「조작 버튼」이라고 총칭한다.
한편,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은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 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할 때에 지정되는 OK버튼(220) 및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 상에서의 처리를 취소할 때에 지정되는 취소 버튼(221)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이 디스플레이(34)에 표시되면, 유저는 필요에 따라 유저 ID 박스(202A) 및 패스워드 박스(202B)에 대하여 미리 부여되어 있는 자기의 어카운트 정보를 키보드(37) 및 마우스(38)을 이용해서 입력하고, 소망의 조작 버튼을 마우스(38)로 포인팅(pointing) 지정한다. 또한, 유저는 작업 플로에 대한 각종 조작이 종료하여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 상에서의 처리를 종료하는 때에는 OK 버튼(220)을,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 상에서의 처리를 취소할 때에는 취소 버튼(221)을 각각 마우스(38)로 포인팅 지정한다.
그리고, 어떠한 조작 버튼, OK 버튼(220) 및 취소 버튼(221)의 어떠한 것이 지정되면 상기 스텝(ST5)가 긍정 판정이 되어 스텝(ST6)으로 이행한다.
스텝(ST6)에서는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 상에서 어떠한 조작 버튼이 지정되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는 스텝(ST7)으로 이행하고, 지정된 조작 버튼에 따라 제어 장치(30)의 내부처리를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예를 들면, 지정된 조작 버튼이 작업 플로 작성 버튼(210)인 경우는, 작업 플로를 신규로 작성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34)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해당 화면 상에서 작업 플로를 작성한다. 여기서, 유저는 작성한 작업 플로의 명칭, 작성자명 및 해당 작업 플로의 기억처 장치를 나타내는 기기명(IP 어드레스)의 각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지정된 조작 버튼이 작업 플로 선택 버튼(211)인 경우는, 현재 설정 중인 규칙에 관련되어 있는 작업 플로에 관한 정보를 관련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03)에 일람 표시함과 동시에, 작성 후의 모든 작업 플로를 작업 플로 일람 박스(204)에 일람 표시한다. 또한, 유저가 소망하는 입력/처리/출력에 관한 기능을 지정해 각 기능에 관련된 작업 플로 관한 정보를 관련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03)에 일람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유저는 현재 설정 중인 규칙에 신규에 관련된 작업 플로를 작업 플로 일람 박스(204)에 표시된 것 중에서 선택하거나, 관련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03)에 표시되어 있는 해당 규칙에 이미 관련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해당 관련성을 해제하는 조작을 행한다.
한편, 유저는 현재 설정 중인 규칙에 관련된 작업 플로를 편집할 때에는, 해당 작업 플로를 관련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03)에 표시되어 있는 작업 플로 중에서 선택 지정한 후에 작업 플로 편집 버튼(212)을 지정한다. 이에 따라 CPU(31)는 선택된 작업 플로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34)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해당 화면 상에서 표시되어 있는 작업 플로를 편집한다.
또한, 유저는 현재 설정 중인 규칙에 관련된 작업 플로를 삭제할 때에는, 해당 작업 플로를 관련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03)에 표시되어 있는 작업 플로 중에서 선택 지정한 후에 작업 플로 삭제 버튼(213)을 지정한다. 이에 따라 CPU(31)는 선택된 작업 플로를 삭제(소거)한다.
한편, 이상의 지정된 조작 버튼에 따른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은 제어 장치(30)의 내부로 행하는 것이며, 조작된 작업 플로가 기억되는 장치에 대한 해당 조작 내용의 반영은 규칙 설정 화면(150)에 설정되어진 OK 버튼(197)이 지정된 시점으로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은 지정된 조작 버튼에 따른 내부 처리가 종료하면, 다음 스텝(ST8)에서는 상기 스텝(ST7)에 있어서 행하여진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RAM(32)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한 후, 상기 스텝(ST4)로 돌아간다.
또한, 상기 스텝(ST8)에서는 조작 대상이 된 작업 플로의 명칭 및 해당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한편, 상기 스텝(ST6)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는 스텝(ST9)로 이행하고,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 상에서 OK 버튼(220)이 지정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는 상기 스텝(ST1)으로 돌아가고,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 상에서 취소 버튼(221)이 지정된 것으로 간주하여 본 규칙 설정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ST3)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T10)으로 이행하고, 규칙 설정 화면(150)에서 지정된 것이 OK 버튼(197)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는 스텝(STl1)로 이행한다.
스텝(ST11)에서는 입력계 플러그인, 처리계 플러그인, 출력계 플러그인의 각 플러그인의 입출력 가능한 데이터 포맷에 의거하여 전후에 접속된 플러그인 사이에서의 포맷 불일치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규칙 설정 화면(150) 상에서 유저에 의해 설정된 규칙의 적부(適否)를 체크한다.
예를 들면, 수용처 리스트 박스(163)에 표시된 입력계 플러그인의 출력 데이터 포맷과, 가공 방법 리스트 박스(173)에 표시된 처리계 플러그인의 입력 데이터 포맷의 정합성을 판정하고, 이것들의 플러그인 사이가 일치하면 좋다. 마찬가지로, 가공 방법 리스트 박스(173)에 표시된 처리계 플러그인의 출력 데이터 포맷과 송출처 리스트 박스(183)에 표시된 출력계 플러그인의 입력 데이터 포맷의 정합성을 판정하고, 이것들이 일치하면 좋다.
다음 스텝(ST12)에서는 상기 스텝(ST11)에 있어서의 체크 결과가 문제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 즉 플러그인 사이의 입출력 데이터 포맷의 어느 한쪽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ST13)으로 이행하고, 유저에 에러 보고하여 규칙 수정을 촉구한 후에 상기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또한, 스텝(ST12)에 있어서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T14)로 이행하고, 규칙 설정 화면(150)을 거쳐 입력된 정보에 의거하여 수용처, 가공 방법, 송출처를 설정하고, 도큐먼트의 수용, 가공 및 송출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정의한 규칙을 생성하고, 하드 디스크(36)의 소정 영역이나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한 후에 스텝(ST15)로 이행한다.
스텝(ST15)에서는 상기 스텝(ST8)의 처리에 의해 RAM(32)의 소정 영역에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는 본 규칙 설정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T16)으로 이행한다.
스텝(ST16)에서는 생성한 규칙에 관련된 모든 작업 플로에 대해서, 각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을 해당 작업 플로의 기억처 장치를 나타내는 기기명(IP 어드레스)의 기기에 대하여 반영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해당 판정은 예를 들면 조작 대상으로 하는 작업 플로의 기억처에 대응하는 장치의 전원이 ON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위에서 입력된 어카운트가 액세스처가 되는 장치에 대한 액세스권을 갖는 어카운트에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 작업 플로의 기억처가 되는 폴더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 작업 플로의 기억처가 되는 장치가 비지(busy) 상태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스텝(ST16)에 있어서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는 스텝(ST17)로 이행하고, 생성한 규칙에 관련된 모든 작업 플로에 대해서 각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을 해당 작업 플로의 기억처 장치를 나타내는 기기명의 기기에 대하여 반영시킨 후에 본 규칙 설정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스텝(ST17)에 있어서의 조작 내용의 반영은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이 해당 작업 플로의 신규 작성이었을 경우는, 상기 스텝(ST7)에 있어서 작성된 작업 플로를 기억처 장치로서 지정된 장치에 대하여 송출하여 기억시킴으로써 실행한다. 또한,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이 해당 작업 플로에 대한 편집이었을 경우는, 상기 스텝(ST7)에 있어서 편집된 작업 플로를 기억처 장치로서 지정된 장치에 대하여 송출하여 기억(업데이트)시킴으로써 실행한다. 또한,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이 해당 작업 플로의 삭제였을 경우는, 해당 작업 플로의 기억처 장치로서 지정된 장치에 대하여 해당 작업 플로를 삭제(소거)시킴으로써 실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ST16)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는 스텝(ST18)로 이행하고, 미리 정해진 조작 재실행 화면(250)을 디스플레이(34)에 표시하고, 다음 스텝(ST19)로 소정 정보의 입력 대기를 행한다.
도 9에는 상기 스텝(ST18)의 처리에 의한 디스플레이(34)에 표시된 조작 재실행 화면(250)의 표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작 재실행 화면(250)은 조작을 할 수 없었던 작업 플로로부터의 재실행이나 선택 지정을 촉구하는 메시지 및 필요에 따른 어카운트 정보의 입력을 촉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됨과 동시에, 어카운트 정보를 입력하는 유저 ID박스(251A) 및 패스워드 박스(251B) 조작을 할 수 없었던 작업 플로에 관한 정보를 일람 표시하는 미조작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52)를 갖고 있다.
또한, 미조작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52)에는, 조작을 할 수 없었던 작업 플로에 관한 조작의 종류, 해당 작업 플로의 명칭, 갱신 일시, 작성자, 해당 작업 플로의 기억처 장치를 나타내는 기기명(IP 어드레스) 및 조작을 할 수 없었던 이유의 각 정보가 작업 플로마다 일람 표시된다.
또한, 조작 재실행 화면(250)은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해당 조작에 대응하는 장치에 대한 반영)을 다시 실행시킬 때에 지정하는 재실행 버튼(270) 및 조작 재실행 화면(250) 상에서의 처리를 취소할 때에 지정하는 취소 버튼(271)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조작 재실행 화면(250)이 디스플레이(34)에 표시되면, 유저는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는, 재실행을 행하는 작업 플로에 관해 미조작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52)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을 할 수 없었던 이유를 참조하고 해당 이유에 대처하기 위한 조작을 행한다. 해당 조작으로서는 재실행의 대상으로 하는 작업 플로의 기억처에 대응하는 장치의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의 해당 전원의 투입,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 상에서 입력된 어카운트가 액세스처가 되는 장치에 대한 액세스권을 갖는 어카운트에 일치하지 않을 경우의 유저ID 박스(251A) 및 패스워드 박스(251B)에의 해당 액세스권을 갖는 어카운트 정보의 입력, 작업 플로의 기억처가 되는 폴더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해당 폴더의 작성, 작업 플로의 기억처가 되는 장치가 비지(busy)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의 해당 비지 상태의 해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을 할 수 없었던 이유에 대처하기 위해 조작을 행한 후에, 유저는 미조작 작업 플로 리스트 박스(252)에 표시되어 있는 작업 플로 중에서 조작을 재실행시키는 작업 플로를 선택 지정한 후에 재실행 버튼(270)을 마우스(38)로 포인팅 지정한다.
한편, 유저는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반영할 수 없는 장치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 자신이 다른 작업을 행하고자 하는 해당 장치에 대한 상기대처가 바로 완료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인해, 조작의 재실행을 나중에 행할 경우에는 취소 버튼(271)을 마우스(38)로 포인팅 지정한다.
그리고, 재실행 버튼(270) 또는 취소 버튼(271)이 지정되면 상기 스텝(ST19)가 긍정 판정이 되어서 스텝(ST20)으로 이행한다.
스텝(ST20)에서는 지정된 버튼이 재실행 버튼(270)이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는 상기 스텝(ST16)으로 돌아가고,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취소 버튼(271)이 지정된 것으로 간주하여 스텝(ST21)로 이행한다.
스텝(ST21)에서는 조작을 할 수 없었던 작업 플로에 관해서, 해당 작업 플로의 명칭(본 발명의 「특정 정보」에 상당), 해당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 및 해당 조작을 할 수 없었던 이유의 각 정보를 하드 디스크(36)의 소정 영역에 기억하고 그 후에 본 규칙 설정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또한, 본 규칙 설정 처리 프로그램의 스텝(ST21)에 있어서, 기억된 정보는 유저에 의해 임의의 타이밍으로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의 각 장치로의 반영의 실행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 하드 디스크(36)로부터 판독되어,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포맷된 조작 재실행 화면(250)이 다시 디스플레이(34)에 표시되어, 스텝(ST16)∼스텝(ST20)과 같은 처리에 의해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의 각 장치로의 반영이 행해지게 된다.
규칙 설정 처리 프로그램의 스텝(ST1) 및 스텝(ST4)가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스텝(a)에, 스텝(ST16)이 본 발명의 스텝(b)에, 스텝(ST18)이 본 발명의 스텝(c), 스텝(d), 스텝(f)에, 스텝(ST21)이 본 발명의 스텝(e)에 각각 상당한다.
[규칙의 실행]
제어 장치(3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6)나 외부 기억 매체에 기억된 규칙에 의거하여,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 안에서 도큐먼트를 수용하고, 도큐먼트를 가공한 후 소정의 송출처에 송출할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10은 제어 장치(30)의 CPU(31)이 규칙에 따라 처리를 실행할 때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즉, 제어 장치(30)의 CPU(31)는 다음 스텝(ST51)에서 스텝(ST55)까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는, 도 5에 나타낸 규칙(1)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스텝(ST51)에서는 규칙의 「수용처」로서 설정된 입력계 플러그인(예를 들면, FAX 수신 서비스)으로부터 도큐먼트를 수용하여 스텝(ST52)로 이행한다.
스텝(ST52)에서는 규칙으로 설정된 「수용처」중에서 아직 실행되지 않은 다른 입력계 플러그인이 있는지를 판정하고, 아직 실행되지 않은 다른 입력계 플러그인(예를 들면, 파일 폴더, 스캔 서비스)이 있을 때는 스텝(ST51)로 돌아가고, 다른 입력계 플러그인이 없을 때는 스텝(ST53)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스텝(ST51) 및 스텝 (ST52)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모든 입력계 플러그인으로부터 도큐먼트를 수용한다.
스텝(ST53)에서는 규칙의 「가공 방법」으로서 설정된 처리계 플러그인의 처리를 순서대로 실행한다. 규칙(1)의 경우 윤곽 강조, 경사 보정 등의 이미지 가공, 광학 문자 인식(0CR)의 후에, 속성 부여/분배(다음의 스텝의 송출처에 따른 속성을 도큐먼트에 부여하는 것)를 행한다.
여기서는, 이미지 가공, 0CR, 속성 부여/분배의 각 처리 전에 미리 필요한 포맷 변환을 행하고 있다. 또한, 속성 부여/분배의 처리 후, 다음 송출처에 대응하도록 포맷 변환을 행하고 있다. 또한, 포맷 변환은 설정된 처리계 플러그인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실행해도 좋고, 오퍼레이터의 메뉴얼 설정에 의해 실행해도 좋다. 그리고 이것들의 처리를 거쳐 스텝(ST54)로 이행한다.
스텝(ST54)에서는 스텝(ST53)의 처리를 거친 도큐먼트를 「송출처」로서 설정된 출력계 플러그인(예를 들면, 파일 폴더)에 대해 송신 조건을 따라 송출한다. 또한, 도큐먼트에 송출처를 나타내는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는, 그 속성에 의거하여 송출처를 특정하면 좋다. 그리고, 통지 조건 및 통지 방법에 따라서 소정의 통지를 행한 후 스텝(ST55)로 이행한다.
스텝(ST55)에서는 규칙으로 설정된 「송출처」 중에서 아직 실행되고 있지 않는 다른 출력계 플러그인이 있는지를 판정하고, 아직 실행되고 있지 않은 다른 출력계 플러그인(예를 들면, 프린트 출력)이 있을 때는 스텝(ST54)로 돌아가고, 다른 출력계 플러그인이 없을 때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제어 장치(30)는 규칙 설정 화면(150)을 거쳐 작성된 규칙에 따라,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1) 상에서 도큐먼트를 수용하여, 가공, 송출의 일련의 처리를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실시할 때에,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여기서는, 작업 플로 연휴 설정 화면(200))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여기서는, 규칙 설정 화면(150))을 표시 수단(여기서는, 디스플레이(34))에 의해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할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여기서는, OK 버튼(197))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이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조작을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해당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시킴과 동시에,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되는 재실행 버튼(여기서는, 재실행 버튼(270))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의 상태가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의 입력이 종료했을 때로부터 바뀌어 버려, 입력한 조작 지시에 따른 조작을 실행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도, 그 이유를 표시 수단의 표시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 결과로서 상기 조작 지시에 따른 조작을 실행할 수 없게 된 것에 대한 대책을 용이하게 강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대책의 실시 후에 재실행 버튼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재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조작 지시로서 작업 플로의 신규 작성의 지시, 상기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갱신의 지시 및 상기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삭제 지시를 적용하였으므로, 작업 플로에 대하여 이들의 지시에 따른 각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억 수단(여기서는, 하드 디스크(36))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의 재실행을 취소할 때에 지정하는 취소 버튼(여기서는, 취소 버튼(271))을 더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해당 취소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조작의 조작 대상이 되는 작업 플로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여기서는, 작업 플로의 명칭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 및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고 있으므로,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반영할 수 없는 장치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 자신이 다른 작업을 행하고자 하는 해당 장치에 대해 상기 대처가 바로 완료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인해 조작의 재실행을 나중에 행할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가 상기 외부 장치에의 액세스권을 갖지 않은 사람의 어카운트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대응하여, 해당 액세스권을 갖는 사람의 어카운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화면(여기서는, 유저 ID박스(251A) 및 패스워드 박스(251B))을 더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입력된 어카운트의 액세스권을 소유하는 어카운트와의 불일치에 의한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의 불실행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할 수 있고,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는 클레임(청구항)에 관한 발명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실시형태 안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편성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에는 여러가지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고, 개시된 복수의 구성 요건에 있어서 적당한 편성에 의해 여러가지의 발명을 추출(抽出)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나타낸 모든 구성 요건으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건이 삭제되어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에서 이 몇 개의 구성 요건이 삭제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큐먼트의 수용처 및 송출처로서 복합기(10), 메일 서버(20), 단말 장치(25)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큐먼트의 수용처로서는 예를 들면 스캐너, 팩시밀리 장치, 또한 단말 장치(25)에 접속된 플렉시블(flexible)·디스크(disk)·드라이브(FDD),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록 매체의 드라이브 장치이어도 좋다. 또한, 도큐먼트의 송출처로서는 팩시밀리 장치, 복사기, 또한 단말 장치(25)에 접속된 기록 매체의 드라이브 장치여도 좋다. 또한, 규칙 설정 화면(150)은 제어 장치(3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었을 경우에 한하지 않고, 단말 장치(25)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것이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할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을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해당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표시시킴과 동시에,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하는 재실행 버튼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작 지시를 작업 플로의 신규 작성 지시, 상기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갱신 지시 및 상기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삭제 지시의 적어도 하나의 지시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의 재실행을 취소할 때에 지정하는 취소 버튼을 더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해당 취소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조작의 조작 대상이 되는 작업 플로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 해당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 및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억 수단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0nly Memory), 플래시 EEPROM(Flash EEPR0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R)), xD 픽처 카드(xD-Picture Card), 컴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ATA(AT Attachment)카드, 마이크로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CD-R(Compact Disc-Recordable), CD-RW(Compact Disc-ReWritable), 광자기 디스크 등의 반송 가능한 기록 매체나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의 고정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컴퓨터 등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 지억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가 상기 외부 장치에의 액세스권을 갖지 않은 사람의 어카운트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대응하여, 해당 액세스권을 갖는 사람의 어카운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다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 해당 기록 매체는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해당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해당 기능은 (a)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 수단으로 표시하고,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할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텝과, (b)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c) 스텝(b)에 의해 상기 조작이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해당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하는 재실행 버튼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작 지시를 작업 플로의 신규 작성의 지시, 상기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갱신 지시 및 상기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삭제 지시의 적어도 하나의 지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작의 재실행을 취소할 때에 지정하는 취소 버튼을 상기 표시 수단에 다시 표시하는 스텝(d)과 상기 취소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조작의 조작 대상이 되는 작업 플로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 해당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 및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e)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가 상기 외부 장치에의 액세스권을 갖지 않은 사람의 어카운트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대응하여, 해당 액세스권을 갖는 사람의 어카운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상기 표시 수단에 더 표시하는 스텝(f)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상기 매체에 의하면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실시할 때에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할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이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조작이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해당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시킴과 동시에,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하는 재실행 버튼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의 상태가 작업 플로에 대해 조작 지시의 입력이 종료한 때로부터 변화해 버려 입력된 조작 지시에 따른 조작이 실행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그 이유를 표시 수단의 표시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상기 조작 지시에 따른 조작이 실행할 수 없게 된 것에 대한 대책을 용이하게 강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대책의 실시 후의 재실행 버튼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작업에 대한 조작을 재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의 개략도.
도 2는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의 처리 개요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복합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block)도.
도 4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입력계 플러그인, 처리계 플러그인, 출력계 플러그인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생성할 수 있는 규칙의 일례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규칙 설정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 차트.
도 7은 규칙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작업 플로 연휴(連携)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조작 재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어 장치의 CPU가 규칙에 따라 처리를 행할 때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서 공유 네트워크 시스템
5 : 네트워크
10 : 복합기
20 : 복합기
25 : 단말 장치
30 : 제어 장치
31 : CPU
32 : RAM
34 : 디스플레이
36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150 : 규칙 설정 화면

Claims (8)

  1.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連携)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할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은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을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표시시켜,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하는 재실행 버튼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지시를 작업 플로의 신규 작성의 지시, 상기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갱신 지시 및 상기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삭제 지시 중 적어도 하나의 지시로 한 정보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의 재실행을 취소할 때 지정하는 취소 버튼을 더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고, 해당 취소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조작의 조작 대상이 되는 작업 플로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 해당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 및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가 상기 외부 장치에의 액세스권을 갖지 않은 사람의 어카운트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대응하여, 해당 액세스권을 갖는 사람의 어카운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더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해당 기록 매체는 문서 정보에 실시하는 복수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나타낸 작업 플로를 상기 문서 정보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외부 장치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실행시킴으로써, 해당 외부 장치와 연휴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문서 정보에 행하는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서 해당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의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이 기능은,
    (a)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화면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연휴 상태의 규칙을 정의하는 정보인 규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규칙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 지시 및 상기 규칙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여 입력 결과를 확정할 때에 지정하는 확정 버튼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텝과,
    (b) 상기 확정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지시에 의한 상기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c) 스텝 (b)에 의해 상기 조작을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해당 조작의 재실행을 행할 때에 지정되는 재실행 버튼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텝을 구비한 기록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지시를 작업 플로의 신규 작성의 지시, 상기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갱신 지시 및 상기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플로의 삭제 지시 중 적어도 하나의 지시로 한 기록 매체.
  7. 제 5 항에 있어서,
    (d) 상기 조작의 재실행을 취소할 때 지정하는 취소 버튼을 상기 표시 수단에 더 표시하는 스텝과,
    (e) 상기 취소 버튼이 지정되었을 때에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조작의 조작 대상이 되는 작업 플로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 해당 작업 플로에 대한 조작 내용 및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를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을 더 구비한 기록 매체.
  8. 제 5 항에 있어서,
    (f) 상기 실행할 수 없는 이유가 상기 외부 장치에의 액세스권을 갖지 않은 사람의 어카운트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대응하여, 해당 액세스권을 갖는 사람의 어카운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상기 표시 수단에 더 표시하는 스텝을 더 구비한 기록 매체.
KR1020040073345A 2004-01-06 2004-09-14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586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1365 2004-01-06
JP2004001365A JP4581404B2 (ja) 2004-01-06 2004-01-06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392A true KR20050072392A (ko) 2005-07-11
KR100586713B1 KR100586713B1 (ko) 2006-06-08

Family

ID=3479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3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6713B1 (ko) 2004-01-06 2004-09-14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66184A1 (ko)
JP (1) JP4581404B2 (ko)
KR (1) KR100586713B1 (ko)
CN (1) CN10035183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3526A (ja) * 2005-04-07 2006-11-16 Canon Inc ソフトウェア評価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評価システム
JP5019817B2 (ja) 2005-08-15 2012-09-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370530B2 (ja) * 2005-08-15 2013-12-1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05365B2 (ja) * 2006-02-03 2012-08-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898269B2 (ja) * 2006-04-14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インストール方法
JP4832164B2 (ja) * 2006-05-29 2011-12-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プログラム
JP2007318686A (ja) * 2006-05-29 2007-12-06 Ricoh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1863268A1 (en) 2006-05-29 2007-12-05 Ricoh Company, Ltd. Combining image processing components using visual programming
KR20080002084A (ko) * 2006-06-30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문자 판독을 위한 시스템 및 광학 문자 판독방법
JP4890151B2 (ja) * 2006-08-10 2012-03-0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
JP4267011B2 (ja) 2006-08-24 2009-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権限制御サーバ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8176210B2 (en) * 2006-11-22 2012-05-08 Ricoh Company, Ltd. Unified host application and associated methodology of integrating local service of a multi-function printer
JP4372147B2 (ja) * 2006-12-18 2009-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5084314B2 (ja) * 2007-03-19 2012-11-2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US8806324B2 (en) * 2007-08-03 2014-08-12 Sap Ag Annotation data filtering of computer files
JP5041973B2 (ja) * 2007-11-07 2012-10-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マクロ情報管理方法及びマクロ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09134695A (ja) * 2007-11-07 2009-06-18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プログラム
JP5096876B2 (ja) * 2007-11-08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ワークフロー支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ワークフロー支援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4971999B2 (ja) * 2008-01-21 2012-07-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
JP4944812B2 (ja) 2008-02-20 2012-06-0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と情報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US20090281862A1 (en) * 2008-05-09 2009-11-12 Ronald Marc Conescu Job editor interface based on dynamic device capabilities
JP2009272990A (ja) * 2008-05-09 2009-11-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ワークフロー実行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68434B2 (ja) * 2008-06-03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並びに画像処理装置
JP5328327B2 (ja) * 2008-12-08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471101B2 (ja) * 2009-07-15 2014-04-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36195B2 (ja) * 2009-12-22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56369B2 (en) * 2010-05-24 2014-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cing flow of data in a distributed computing application
US9465801B2 (en) * 2013-01-29 2016-10-11 Transbit Technologies Software Private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processing and management of technical digital documents and drawings
JP6532900B2 (ja) 2017-01-05 2019-06-19 株式会社東芝 ジョブ実行制御装置、ジョブ実行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945482A (zh) * 2017-08-02 2020-03-31 飞力凯网路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JP6817253B2 (ja) * 2018-06-29 2021-01-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14237560A (zh) * 2021-12-09 2022-03-25 阳光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的存储方法、存储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1704B2 (ja) * 1988-12-29 1999-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方法
US6389010B1 (en) * 1995-10-05 2002-05-14 Intermec Ip Corp. Hierarchical data collection network supporting packetized voice communications among wireless terminals and telephones
JP3454855B2 (ja) * 1993-02-01 2003-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ァクシミリサーバシステム
JP3181994B2 (ja) * 1992-09-03 2001-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ジョブフロー仕様書自動作成方法
US5613160A (en) * 1992-11-18 1997-03-18 Canon Kabushiki Kaisha In an interactive network board,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a network peripheral in a default configuration
DE69318259T2 (de) * 1992-11-18 1998-09-17 Canon K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mplementierung einer Zweiwegeschnittstelle zwischen einem lokalen Netzwerk und einem Peripheriegerät
US5611046A (en) * 1992-11-18 1997-03-1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peripheral to a local area network
US5647056A (en) * 1992-11-18 1997-07-08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to a networked peripheral
JP2518501B2 (ja) * 1992-12-22 1996-07-24 日新電機株式会社 プリントサ―バ装置
JP3486427B2 (ja) * 1993-01-18 2004-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TW228631B (en) * 1993-06-07 1994-08-21 Microsoft Corp Facsimile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use
US5896204A (en) * 1993-12-06 1999-04-20 Canon Kabushiki Kaisha Facsimile apparatus
KR0136118B1 (ko) * 1994-01-21 1998-04-27 김광호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방법
JP3531881B2 (ja) * 1994-02-17 2004-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288630A (ja) * 1994-04-20 1995-10-3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5532839A (en) * 1994-10-07 1996-07-02 Xerox Corporation Simplified document handler job recovery system with reduced memory duplicate scanned image detection
JP3647512B2 (ja) * 1995-08-04 2005-05-11 富士通株式会社 広域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の保守方式
US5859878A (en) * 1995-08-31 1999-01-12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Common receive module for a programmable digital radio
JP3322101B2 (ja) * 1995-11-10 2002-09-09 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00955B1 (ko) * 1995-12-08 1999-06-15 윤종용 팩시밀리의 전송 에러 페이지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14303B1 (ko) * 1996-04-10 1999-08-02 윤종용 팩시밀리의 동보송신 장치 및 방법
EP0853301B1 (en) * 1996-12-26 2003-05-02 Canon Kabushiki Kaisha A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JPH10240552A (ja) * 1996-12-26 1998-09-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H10240658A (ja) * 1996-12-26 1998-09-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H10240551A (ja) * 1996-12-26 1998-09-11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H10320475A (ja) * 1997-05-21 1998-12-04 Nec Corp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
EP0910008A3 (en) * 1997-10-14 2005-01-26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dding and deleting a job, and a storage medium for such a program
US6175839B1 (en) * 1997-11-21 2001-01-16 Fuji Xerox Filter interface for managing printer system information
US6801546B1 (en) * 1997-12-25 2004-10-05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etting destin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using the method
DE69939199D1 (de) * 1998-07-22 2008-09-11 Canon Kk Informationsverarbeitungsystem und -Verfahren
JP2000222338A (ja) * 1998-11-25 2000-08-11 Canon Inc 周辺機器及び周辺機器制御方法及び周辺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周辺機器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及び周辺機器制御プログラムを送出する送出装置及び周辺機器制御プログラム製品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送出する送出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製品
US6476930B1 (en) * 1998-12-04 2002-11-05 Ricoh Corporation Output processing and merging of hybrid electronic documents
US6864991B1 (en) * 1999-02-09 2005-03-08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rela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JP4124903B2 (ja) * 1999-03-19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US7034954B1 (en) * 1999-05-20 2006-04-2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store print job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store print job
US7366757B1 (en) * 1999-06-11 2008-04-29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US7031003B2 (en) * 1999-12-27 2006-04-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3780401B2 (ja) * 2000-02-01 2006-05-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スキャナを利用した文書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205039B1 (en) * 2000-03-03 2011-09-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ipating in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in an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EP1310109A2 (en) * 2000-03-03 2003-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ipating in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in an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JP2001256012A (ja) * 2000-03-13 2001-09-21 Nec Corp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
US7079275B2 (en) * 2000-03-28 2006-07-18 Mongonet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paper to electronic communications
JP2001282970A (ja) * 2000-03-29 2001-10-12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
JP3698974B2 (ja) * 2000-09-27 2005-09-21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指向開発用デバッグ支援装置
JP4436445B2 (ja) * 2000-11-17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在庫管理システム、在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20147624A1 (en) * 2000-12-12 2002-10-10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of supporting development of business process
JP2002185743A (ja) * 2000-12-14 2002-06-28 Fuji Xerox Co Ltd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961140B2 (en) * 2000-12-20 2005-11-01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can-to-print architecture
US7734715B2 (en) * 2001-03-01 2010-06-08 Ricoh Company, Ltd.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managing documents
JP2002359718A (ja) * 2001-03-02 2002-12-13 Canon Inc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20020086029A (ko) * 2001-05-10 2002-11-18 이종희 지능형 온라인 양식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US20040046787A1 (en) * 2001-06-01 2004-03-11 Attachmat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creen connector design, configuration, and runtime access
US7187461B2 (en) * 2001-06-25 2007-03-06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digital printers and servers via a network
CN1395188A (zh) * 2001-07-05 2003-02-05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工作流程系统及方法
US7305381B1 (en) * 2001-09-14 2007-12-04 Ricoh Co., Ltd Asynchronous unconscious retrieval in a network of information appliances
US7375835B1 (en) * 2001-10-29 2008-05-20 Ricoh Co., Ltd. E-mail transmission of print-ready documents
US7287277B2 (en) * 2001-12-21 2007-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a computer operation
US7194433B1 (en) * 2002-04-05 2007-03-20 Ricoh Company, Ltd.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managing documents
AU2003227310A1 (en) * 2002-04-05 2003-10-20 Lisa Seeman Networked accessibility enhancer system
US20030233437A1 (en) * 2002-04-24 2003-12-18 Hiroshi Kitada Brows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documents
JP4183231B2 (ja) * 2002-05-09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画像処理システム、端末
US7428578B1 (en) * 2002-07-02 2008-09-23 Ricoh Co., Ltd Remotely initiated document transmission
JP3726903B2 (ja) * 2002-11-08 2005-1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による作業の流れ管理方法
US8009307B2 (en) * 2003-02-06 2011-08-30 Advectis Inc Fax handling system and method
JP4039274B2 (ja) * 2003-02-28 2008-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7853946B2 (en) * 2003-02-28 2010-12-14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WO2005006732A1 (ja) * 2003-07-11 2006-09-28 佳章 瀧田 インターネット端末型次世代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5033559A (ja) * 2003-07-14 2005-02-03 Fuji Xerox Co Ltd 故障診断装置
US7493303B2 (en) * 2004-08-04 2009-0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remotely searching a local user index
JP4546299B2 (ja) * 2005-03-18 2010-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96791B2 (en) * 2005-08-04 2009-02-24 Microsoft Corporation Mock object generation by symbolic exec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1835C (zh) 2007-11-28
CN1637739A (zh) 2005-07-13
KR100586713B1 (ko) 2006-06-08
JP4581404B2 (ja) 2010-11-17
US20050166184A1 (en) 2005-07-28
JP2005196414A (ja)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6713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9519421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uring run time a multifunction peripheral (MFP) touch panel user interface (UI) from an external remote network-connected computer
US8441665B2 (en) Print system including image-forming apparatus for providing workflow
CN1312597C (zh) 服务处理装置、服务处理方法
US5819040A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transferring electronic document and paper document as single mail
US78739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workflow
JP4926651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102964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7558644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1267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suing job to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for issuing job to peripheral device
JP2006018640A (ja) 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0592101B1 (ko) 서비스 처리 시스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잡 관리 장치
CN115801963A (zh) 服务器、控制服务器的方法和存储介质
JP4265250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749782B2 (ja) 文書処理装置、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文書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65006A (ja) 画像入力装置、文書配信装置、文書配信システム、文書配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40083470A1 (en) Information updating apparatus,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information updating program
JP2004288055A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処理方法及びサービス処理プログラム
JP2004288038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7014022A (ja) ジョブ処理装置、該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109318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operation buttons corresponding to operations executed on document data
JP2005190366A (ja) サービス処理装置、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及び入力端末
JP2006340398A (ja)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方法
JP2005196404A (ja) ルール実行装置及びルール実行プログラム
JP200703464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