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7420Y1 -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420Y1
KR200447420Y1 KR2020090008639U KR20090008639U KR200447420Y1 KR 200447420 Y1 KR200447420 Y1 KR 200447420Y1 KR 2020090008639 U KR2020090008639 U KR 2020090008639U KR 20090008639 U KR20090008639 U KR 20090008639U KR 200447420 Y1 KR200447420 Y1 KR 200447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chanism
wire
tension
sunshade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환
Original Assignee
김민환
(주)대하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환, (주)대하웰시스 filed Critical 김민환
Priority to KR2020090008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42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3Cor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차양막(110)의 일단이 고정된 차양막스풀(120); 상기 차양막(110)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차양막스풀(1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 상기 차양막(110)의 타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40);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양 끝단에 롤러(230)가 상호 대응되게 장착되어 신축수단(210)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롤러(2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제1장력기구(200);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마주보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동일구성을 갖는 제2장력기구(300); 상기 제1장력기구(200) 및 제2장력기구(300) 각각의 상기 대응되는 롤러(230) 사이에 반복 권취되어 일정 길이가 수용되고,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된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 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와이어(150);를 포함하는 차양장치가 소개된다.
차양장치, 차양막, 장력기구, 롤러, 와이어,

Description

차양장치{A BLIND APPARATUS}
본 고안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며 특히 규격창 뿐만 아니라 비규격창에도 적용할 수 있는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양장치는 창문 등에 설치되어 빛을 가리고, 실내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는 장치로, 현관이나 입구에 설치되어 빛을 가리고 경사면에 설치되어 지붕의 역할을 하거나 현관 등에 설치되어 셔터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차양장치를 살펴본다.
도1은 종래 차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양장치는 차양막스풀(10),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 차양막스풀(1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릴(30), 차양막(S)의 하단부(40)에 연결된 와이어(W) 및 차양막(S)의 하방 양측에서 와이어를 걸어 당기는 제1보조롤러(50)를 포함한다.
상기 차양막스풀(10)은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상기 차양막스풀(10)에는 차양막(S)의 상단이 고정된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차양막스풀(10)에 연결되어 그 차양막스풀(10)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차양막(S)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고, 상기 회전릴(30)은 상기 차양막스풀(10)의 양단에 설치되는데, 그 회전릴(30)은 와이어(W)를 감거나 풀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차양막스풀(10)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회전릴(30)에는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리고, 그 와이어(W)는 차양막의 하단부(40)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W)의 양단은 양쪽에 있는 회전릴(30)에 각각 고정되고 그 사이에 있는 와이어(W)가 상기 차양막 하단부(40)를 지나가도록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W)는 회전릴(30)과 차양막 하단부(40)에 연결되는데, 상기 차양막(S)이 감기면 풀리고 상기 차양막(S)이 풀리면 감기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릴(30)로부터 나온 와이어(W)가 하강 후 상승되어 상기 차양막 하단부(40)에 연결되도록, 상기 차양막(S)의 하방 양측에서 와이어(W)를 걸어 당기는 제1보조롤러(50)가 양측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릴(30)로부터 나온 와이어가 차양막(S)에 근접한 위치에서 하강되도록, 회전릴(30)의 하방에는 와이어(W)를 걸어 당기는 제2보조롤러(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차양막(S)과 와이어(W)의 감긴 두께차에 따라 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장력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장력기구(70)가 설치된다.
상기 장력기구(70)는 차양막 하단부(40)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와이 어(W)가 사용되는데,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좌측 회전릴(30)에 고정되어 좌측 제2보조롤러(60)와 좌측 제1보조롤러(50)를 지나고, 다시 좌측 제3보조롤러(51)를 지나 장력기구(70)를 통과한 후 우측 제3보조롤러(51)와 우측 제1보조롤러(50)를 지나 상승되어 우측 제2보조롤러(60)를 통해 우측 회전릴(30)에 고정된다.
상기 장력기구(70)는 양측을 지나는 와이어(W)를 서로 잡아당겨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다만 이 경우에도 그 장력의 크기는 오차를 보상할 정도로 족한 것이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힘은 구동부(20)의 회전에 따른 것이다.
장력기구(70)의 장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보조롤러(50)로부터 나온 와이어가 장력기구(70)에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양막의 하단부(40) 양측에는 제3보조롤러(51)가 각각 설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양장치는 차양막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와이어가 반드시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가이드레일이 필요하고 또 그 가이드레일의 중간 중간에 보조롤러들을 설치해야 하는바, 이에 따라 차양장치의 설치작업이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양장치는 차양막을 완전히 하강시켜도 바닥면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기 때문에 완벽하게 차광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양장치는 차양막의 이동거리와 와이어의 이동거리간에 차이가 발생하고 차양막 주위로 와이어가 지나가기 때문에 반드시 규격창에서만 사용해 야 하는 제한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양막 주위로 와이어가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가이드레일과 보조롤러 들을 삭제하여 원가를 절감하며 특히 규격창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를 갖는 비규격창에서도 팽팽하게 차양막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양막이 바닥면 또는 벽면과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고, 그 밀착상태에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틈을 통해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차양막 하단부의 폭이 좁은 경우에도 제한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외관을 개선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양막의 일단이 고정된 차양막스풀;
상기 차양막스풀에 차양막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그 차양막스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차양막의 타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양 끝단에 롤러가 상호 대응되게 장착되어 신축수단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롤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제1장력기구;
상기 지지프레임과 마주보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장력기구와 동일구성을 갖는 제2장력기구;
상기 제1장력기구 및 제2장력기구 각각의 상기 대응되는 롤러 사이에 반복 권취되어 일정길이가 수용되고, 상기 제1장력기구와 제2장력기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된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제1장력기구와 제2장력기구 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차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장력기구는, 실린더와 피스톤을 구비하여 신축되며, 무부하시 신장되는 신축수단과, 상기 신축수단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에 높이방향으로 2단 배치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압축성가스가 봉입되어 무부하시 그 가스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수단의 양단에는 결합플랜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플랜지는 서로 다른 장착편에 각각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의 각단은, 와이어의 길이 수용율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의 롤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장력기구 및 상기 제2장력기구의 어느 일단으로 두 가닥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장력기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마주보 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마운트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트프레임은 상기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선체결되는 마운팅브래킷을 통해 그 바닥면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트프레임의 상면 일측에는 마운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암막부가 높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장력기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장력기구는 상기 마운트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제1장력기구와 각각 대응되게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장력기구와 제2장력기구의 탄성력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각 실린더에 봉입된 가스의 압축압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양막 주위로 와이어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개선되고 설치가 용이하며, 종래 필요하던 가이드레일과 보조롤러 등이 대거 삭제되므로 원가가 절감됨과 동시에 규격창 뿐만 아니라 설치에 제약이 있던 비규격창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양막이 완전히 풀린 상태에서도 암막부에 의하여 틈새가 완전 차단되므로, 차광효과가 배가된다.
또한, 장력기구에서 롤러가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와이어의 길이를 흡수하기 때문에 차양막의 폭이 좁아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장력기구와 제2장력기구의 탄성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동부(모 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차양막 원단에도 부하를 덜 가하므로 차양막 원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장력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 장력기구의 신축에 따른 와이어의 길이수용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 장력기구의 신축에 따른 와이어의 길이수용율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사용될 수 있는 마운트프레임의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7은 본 고안의 마운트프레임에 제2장력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8은 본 고안의 마운트프레임 위로 차양막이 밀착된 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는 크게 차양막스풀(120)과, 구동부(130)와, 지지프레임(140)과,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와, 와이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는 배치되는 위치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원리로 작동된다.
상기 차양막스풀(120)은 차양막(110)의 일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봉 형태로 길게 이루어져 상기 차양막스풀(120)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차양막(110)이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130)는 차양막(110)이 상기 차양막스풀(120)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그 차양막스풀(1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양막스풀(120)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차양막스풀(120)에 전달하는 정, 역회전이 가능한 양방향 모터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차양막(110)의 타단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내부에는 후술할 제1장력기구(2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의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차양막(110)의 타단(도면상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도 무방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양막(110)의 타단이 지지프레임(140)과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1장력기구(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장력기구(200)는 양 끝단에 롤러(230)가 상호 대응되게 장착되어 신축수단(210)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롤러(2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인데, 상기 제1장력기구(200)는 신축수단(210)과, 장착편(220)과, 롤러(230)를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수단(210)은 실린더(211)와 피스톤(212)을 구비하여 상기 피스톤(212)이 실린더(211)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되거나 단축(이하,"신축"이라 함)되는바, 상기 신축수단(210)은 외부로부터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무부하시에 길이 신장되려는 특성을 갖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211)와 피스톤(212) 사이에는 압축스프링이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린더(211)의 내부에 압축성 가스가 봉입되어 무부하시 그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212)이 인출되도록 구현된다. 상기 실린더(211)에 봉입되는 압축가스의 압축압력에 따라 상기 신축수단(210)의 탄성력이 설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장착편(220)은 상기 신축수단(21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하나의 장력기구에는 1개의 신축수단(210)과 2개의 장착편(220)이 필요한바, 상기 신축수단(210)의 양단에는 장착편(220)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플랜지(210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플랜지(210a)는 서로 다른 장착편(220)에 각각 힌지(h)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롤러(230)는 상기 장착편(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230)의 중심축(c)은 상기 신축수단(210)의 신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구현되지만, 상기 장착편(220)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롤러(230)가 상기 신축수단(210)의 양단에 직접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30)는 상기 장착편(220)에 높이방향으로 2단 배치되며, 각 단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롤러(23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롤러(230)의 개수가 증가되면 후술할 와이어(150)의 길이 수용율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각 단별 롤러(230)의 개수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50)의 길이 수용율은 상기 제1장력기구(200)(제2장력기구(300)도 동일함)에 의해 수용되는 와이어(150)의 총 길이와 관련된 것으로 상기 제1장력기구(200)의 길이가 신장되면 상기 장착편(220)에 각각 설치된 롤러(230)간 거리가 길어져 와이어(150)의 길이 수용율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50)의 길이 수용율은 롤러(230)의 개수와도 연관이 있는데, 가령 각단에 롤러(230)가 하나만 설치된 경우에는 와이어(150)의 길이수용율이 신축수단(210)의 길이변화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축수단(210)의 길이변화량이 L이라고 한다면 와이어(150)의 길이수용량도 L이 되지만, 도4를 통해 예시한 바와 같이 각단에 롤러(230)가 2개 설치된 경우에는 롤러(230)에 감기는 와이어(150)의 길이가 더 늘어나기 때문에 신축수단(210)의 길이변화량이 L일 때 와이어(150)의 길이수용량은 롤러(230)의 원호길이를 무시하더라도 최소한 3L이 된다. 따라서, 와이어(150)의 길이 수용율을 필요한 만큼 증대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롤러(230)의 개수를 적절하게 증가시키면 된다.
이상은 상기 장착편(220)에 설치된 상단 롤러(230)에서의 와이어(150) 길이 수용율을 설명한 것이고, 상기 장착편(220)의 하단 롤러(230)에서도 동일한 원리로 와이어(150)의 길이가 흡수되는데 이것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롤러(230)들에 감긴 와이어(150)는 어느 하나의 상단 롤러(230)에서 하단롤러(230)로 그 경로를 변경한 후, 하단 롤러(230)들에 상기 상단 롤러(230)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기고, 최종적으로 제1장력기구(200)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위 상단 롤러(230)와 같이 각 단별 롤러(230)가 2개인 경우를 예로 들면, 신축수단(210)의 길이변화량이 L일 때 하단 롤러(230)에서의 와이어(150) 길이변화량은 상단 롤러(230)와 하단롤러(230)간 거리를 무시하고 롤러(230)의 원호길이를 무시하더라도 3L이 되는바, 상단과 하단에서의 와이어(150) 길이변화량은 총 6L이 된다.
한편, 상기 제2장력기구(300)는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마주보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므로, 상기 제2장력기구(300)에 대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장력기구(300)는 상기 차양막(110)이 수직하게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마주보는 바닥면(하부 바닥 또는 벽에서 돌출된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차양막(110)이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처럼 수평하게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마주보는 벽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장력기구(300)가 상기 제1장력기구(200)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나면, 하나의 와이어(150)가 상기 제1장력기구(200) 및 제2장력기구(300) 각각의 상기 대응되는 롤러(230) 사이에 반복 권취되어 일정길이가 수용되고, 상기 와이어(150)는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 사이에 연결되어 그 각각의 장력기구에서 수용된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제1장력기구(200) 와 제2장력기구(300)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양막(110)이 상기 차양막스풀(120)에 감긴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 간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그 사이에 있는 와이어(150)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장력기구(200) 및 제2장력기구(300)에서는 당겨진 와이어(150)에 의해 양쪽 장착편(220)간 거리가 줄어들게 되며, 결국 제1장력기구(200) 및 제2장력기구(300)는 신장되려는 성질을 내장한 채 탄성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110)이 풀리면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의 신장력에 의해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 사이의 와이어(150)가 팽팽하게 당겨져 상기 차양막(110)은 항상 팽팽한 상태의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50)는 상기 제1장력기구(200) 및 제2장력기구(300)의 양단으로 각각 한 가닥씩 배출되어도 무방하지만, 상기 와이어(150)가 어느 한쪽으로만 노출되는 것이 외관뿐만 아니라 커버하기에도 유리하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150)가 제1장력기구(200) 및 제2장력기구(300)의 어느 일단으로만 두 가닥이 배출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2 및 도5에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제1장력기구(200)에서 상기 와이어(150)의 일단이 장착편(220)의 상단 롤러(230)에 고정되고, 그 와이어(150)가 상기 대응되는 롤러(230) 사이에 반복 권취되어 하단으로 경로변경 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 권취된 후 하단 롤러(230)를 통해 한가닥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된 한가닥의 와이어(150)는 다시 제2장력기구(300)로 들어가서 동일한 방법으로 롤러들에 반복 권취된 후,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2장력기구(300)의 하단 롤러에 고정된다.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의 탄성력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어도 무방하지만, 탄성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구동부(130)가 차양막(110)을 감을 때의 부하를 덜어주고 상기 차양막(110)에 가해지는 인장력도 감소시켜 준다.
즉, 상기 제1장력기구(200)의 탄성력을 가령 10으로 하고 상기 제2장력기구(300)의 탄성력을 20으로 한다면, 상기 구동부(130)가 차양막(110)을 감을 때 상대적으로 탄성력이 낮은 제1장력기구(200)부터 압축되기 때문에, 상기 제1장력기구(200)의 탄성력을 제2장력기구(300)와 동일하게 20으로 설정한 경우에 비해 상기 구동부(130)의 초기 부하가 적게 든다.
이것은 차양막(110)을 처음에 완전히 감지 않고 조금만 감은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에 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130)는 초기 10의 탄성력에 해당하는 부하만 사용해도 된다. 또한, 차양막(110)에도 처음부터 20의 탄성력이 가해지지 않고 10의 탄성력만 가해지기 때문에 차양막(110)의 부하도 줄일 수 있어 차양막(110)이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얇은 차양막(11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는, 상기 실린더(211)에 각각 봉 입된 가스의 압축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1장력기구(200)의 실린더(211)에는 제곱센티미터당 10kg의 압축압력을 갖는 가스를 주입하고 상기 제2장력기구(300)의 실린더(211)에는 제곱센티미터당 20kg의 압축압력을 갖는 가스를 주입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제2장력기구(300)는 바닥면이나 벽면에 직접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상기 제2장력기구(30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면 외관상 보기 좋지 않기 때문에 도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운트프레임(40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은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그 지지프레임(14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장력기구(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은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마주보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직접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마운트프레임(400)의 설치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이 설치될 위치에 마운팅브래킷(500)을 선체결한 다음, 그 마운팅브래킷(500)에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팅브래킷(500)은 바닥면 또는 벽면에 접촉되어 나사 또는 볼트를 통해 체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로부 터 절곡되게 돌출된 브래킷플랜지(5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플랜지(52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에도 절곡되게 돌출된 프레임플랜지(420)가 마련되지만, 반드시 여기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플랜지(420)가 상기 브래킷플랜지(520)에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이 마운팅브래킷(500)에 고정 결합된다.
이렇게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이 바닥면 또는 벽면에 고정되면,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장력기구(300)가 그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2장력기구(300)에는 상기 제1장력기구(200)에서 배출되는 한 가닥의 와이어(150)가 삽입되어 롤러들 사이를 반복 권취한 후 그 끝단이 하단 롤러에 고정된다.
상기 제1장력기구(200)에서 배출되는 와이어(150)가 상기 제2장력기구(300)와 연결되도록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의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150)가 관통되는 관통공(410)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410)은 상기 와이어(15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그 크기나 형상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장력기구(300)에서의 와이어(150) 경로는 제1장력기구(200)와 비슷하고, 당업자라면 쉽게 그 경로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 모두 상기 실린더(211) 측 장착편(220)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212) 측 장착편(220)은 내부 수용공간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움직인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의 상면 일측에는 마운트프레임(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암막부(430)가 높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암막부(430)는 도8처럼 상기 차양막(110)이 완전히 풀려서 상기 지지프레임(140)이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의 상면에 접촉되었을 때 그 경계에서 생기는 틈을 통해 빛이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암막부(430)가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마운트프레임(400) 간에 발생하는 간극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어서 차광효과를 배가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는 각각 하나씩 즉, 1조(set)가 사용되어도 작동에 전혀 문제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2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제1장력기구(200)가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양단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제2장력기구(300)도 상기 마운트프레임(400) 내부에서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각각 대응되게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현된다.
이렇게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가 2조로 양단에 분할 설치되면, 차양막(110)의 작동이 보다 용이하면서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특히, 와이어(150)가 차양막(110)의 하부 가운데로 지나가지 않고 하부 양측으로 지나가게 되므로 외관상 보기 좋고 그 와이어(150)를 커버하기에도 용이하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종래 차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장력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장력기구의 신축에 따른 와이어의 길이수용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5는 본 고안 장력기구의 신축에 따른 와이어의 길이수용율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사용될 수 있는 마운트프레임의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7은 본 고안의 마운트프레임에 제2장력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마운트프레임 위로 차양막이 밀착된 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차양막 120 : 차양막스풀
130 : 구동부 140 : 지지프레임
150 : 와이어 200 : 제1장력기구
210 : 신축수단 211 : 실린더
212 : 피스톤 220 : 장착편
230 : 롤러 300 : 제2장력기구
400 : 마운트프레임 410 : 관통공
420 : 프레임플랜지 430 : 암막부
500 : 마운팅브래킷 510 : 베이스플레이트
520 : 브래킷플랜지

Claims (10)

  1. 차양막(110)의 일단이 고정된 차양막스풀(120);
    상기 차양막(110)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차양막스풀(1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
    상기 차양막(110)의 타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40);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양 끝단에 롤러(230)가 상호 대응되게 장착되어 신축수단(210)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롤러(2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제1장력기구(200);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마주보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동일구성을 갖는 제2장력기구(300);
    상기 제1장력기구(200) 및 제2장력기구(300) 각각의 상기 대응되는 롤러(230) 사이에 반복 권취되어 일정 길이가 수용되고,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된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 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와이어(150);를 포함하는 차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장력기구(200)는,
    실린더(211)와 피스톤(212)을 구비하여 신축되며, 무부하시 신장되는 신축수 단(210)과;
    상기 신축수단(2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장착편(220)과;
    상기 장착편(220)에 높이방향으로 2단 배치된 롤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210)은,
    상기 실린더(211)의 내부에 압축성가스가 봉입되어 무부하시 그 가스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212)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210)의 양단에는 결합플랜지(210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플랜지(210a)는 서로 다른 장착편(220)에 각각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230)의 각단은, 상기 와이어(150)의 길이 수용율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의 롤러(23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장력기구(3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마주보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마운트프레임(400)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은 상기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선체결되는 마운팅브래킷(500)을 통해 그 바닥면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프레임(400)의 상면 일측에는 마운트프레임(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암막부(430)가 높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장력기구(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장력기구(300)는 상기 마운트프레임(400) 내부에서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각각 대응되게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장력기구(200)와 제2장력기구(300)의 탄성력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각 실린더(211)에 봉입된 가스의 압축압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KR2020090008639U 2009-07-03 2009-07-03 차양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39U KR200447420Y1 (ko) 2009-07-03 2009-07-03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39U KR200447420Y1 (ko) 2009-07-03 2009-07-03 차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420Y1 true KR200447420Y1 (ko) 2010-02-10

Family

ID=4421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63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420Y1 (ko) 2009-07-03 2009-07-03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42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932Y1 (ko) 2010-11-10 2011-06-07 (주)대영시스템 장력유지구 및 이러한 장력유지구가 장착된 차양막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KR200457414Y1 (ko) 2010-01-06 2011-12-19 박병민 판서기능을 갖는 창호
KR101182603B1 (ko) 2011-08-31 2012-09-14 메코시스 주식회사 경사창의 롤스크린 복귀장치
KR20160003480U (ko) *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레이디창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CN113848996A (zh) * 2021-10-18 2021-12-28 济南国宏建材有限公司 一种自动遮阳系统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880A (ja) * 1991-12-16 1993-06-29 Igarashi Shohin Kaihatsu Kk シャッタのバランス装置
KR100528577B1 (ko) 2003-06-25 2005-11-16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사면설치 가능한 차양시스템
KR200429774Y1 (ko) 2006-08-16 2006-10-27 허승준 전동 롤 스크린 장치
KR200442357Y1 (ko) 2008-06-12 2008-10-31 윤종희 다용도 장력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880A (ja) * 1991-12-16 1993-06-29 Igarashi Shohin Kaihatsu Kk シャッタのバランス装置
KR100528577B1 (ko) 2003-06-25 2005-11-16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사면설치 가능한 차양시스템
KR200429774Y1 (ko) 2006-08-16 2006-10-27 허승준 전동 롤 스크린 장치
KR200442357Y1 (ko) 2008-06-12 2008-10-31 윤종희 다용도 장력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414Y1 (ko) 2010-01-06 2011-12-19 박병민 판서기능을 갖는 창호
KR200453932Y1 (ko) 2010-11-10 2011-06-07 (주)대영시스템 장력유지구 및 이러한 장력유지구가 장착된 차양막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KR101182603B1 (ko) 2011-08-31 2012-09-14 메코시스 주식회사 경사창의 롤스크린 복귀장치
KR20160003480U (ko) *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레이디창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KR200482821Y1 (ko) 2015-03-31 2017-03-10 김재황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CN113848996A (zh) * 2021-10-18 2021-12-28 济南国宏建材有限公司 一种自动遮阳系统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601B2 (en) Self-contained tensioned roller shade system
US8113264B2 (en) Tensioned roller shade system having a conical, grooved spool
KR200447420Y1 (ko) 차양장치
KR200445370Y1 (ko) 사면설치용 차양장치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CN103806822A (zh) 卷帘
HU223388B1 (hu) Elektromos működtetésű árnyékoló szerkezet ablakokhoz
KR20130009939A (ko)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US6935398B2 (en) Operating unit for a window covering
CN212346176U (zh) 一种可伸缩的电动窗帘导轨和窗帘
KR100528577B1 (ko) 사면설치 가능한 차양시스템
KR200429774Y1 (ko) 전동 롤 스크린 장치
KR102669195B1 (ko) 패브릭 텐션 장치
EP1836371B1 (en) A winding device for a cord guidance system of a screening device for the screening of a window
EP2216490B1 (en) Multi-functional roller blind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WO2023025841A1 (e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KR20110074427A (ko) 텐션 기능을 갖는 차양장치
KR200325685Y1 (ko) 사면설치 가능한 차양시스템
KR102773121B1 (ko)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KR102669666B1 (ko) 수직, 수평, 경사각으로 설치 가능한 전동식 롤 블라인드
JP3695697B2 (ja) 天窓用ブラインドのヘッドボックス取付装置
CN214302611U (zh) 一种装配式的附着式屋檐延伸结构
CN220483060U (zh) 一种天窗遮阳帘绳索张紧度调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70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1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