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3121B1 -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3121B1
KR102773121B1 KR1020230131496A KR20230131496A KR102773121B1 KR 102773121 B1 KR102773121 B1 KR 102773121B1 KR 1020230131496 A KR1020230131496 A KR 1020230131496A KR 20230131496 A KR20230131496 A KR 20230131496A KR 102773121 B1 KR102773121 B1 KR 102773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wire
roller
barrier
lowe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욱
Original Assignee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3013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3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31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3Cord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방풍창에 설치된 차단막을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에 연결된 텐션 와이어를 통해 텐션을 균등하게 조절하므로 차단막이 외부 환경에도 흔들리거나 방해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양쪽 끝단 내부에 와이어 출입공이 형성된 마감캡이 삽입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쪽 측면 끝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레일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하며, 하단에 하단바가 설치된 차단막:
다수의 세로 형태의 칸막이의 양측 외면에 가로 형태의 측면판으로 마감 설치하여 전방과 후방에 롤러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측면판의 외면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트공을 형성하며, 후면에 와이어 배출공이 형성된 마감캡을 설치하고, 전면에는 마감판이 설치된 롤러 하우징과, 롤러 삽입공간에 다수를 배열하여 삽입하며, 외주면에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홈을 형성하고, 표면 중앙에 볼트공이 형성된 전방과 후방 회전 롤러와, 전방과 후방 회전 롤러에 순차적으로 연결하며 양쪽 끝은 마감캡의 와이어 배출공으로 배출하는 텐션 와이어와, 롤러 하우징을 서로 연결하며 실린더에 로드가 출입하는 텐션 가동부로 이루어진 텐션 조절기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마감캡 외부로 배출된 텐션 와이어의 끝을 차단막의 하단바 하면에 고정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Block film tens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방풍창에 설치된 차단막을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에 연결된 텐션 와이어를 통해 텐션을 균등하게 조절하므로, 차단막이 외부 환경에도 흔들리거나 방해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상업시설 건물 등에는 외관이 미려한 커튼월 구조의 건물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커튼월 구조의 건물은 건물의 자체 중량이 가볍고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지만, 유리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열손실이 많은 단점이 있다. 건물에서 창호는 열적으로 가장 취약한 부분이며, 특히 유리면적의 증가는 건물에너지소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친다.
한편, 외부로부터 차광효과와 함께 사생활보호를 위하여 최근에는 사무실이나 가정 또는 음식점 등의 창문에 차양 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양 장치에는 차양부가 하나의 직물제 차양막으로 이루어진 롤 블라인드 혹은 롤 스크린, 차양부가 다수개의 알루미늄, 플라스틱 혹은 나무재질의 판형 슬릿들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와이어로 서로 연결된 베네치안 블라인드 및 천창, 경사창, 곡면창 등에 적용하는 롤 스크린의 응용된 형태를 말하는 패브릭 텐션 장치(Fabric tention system)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양 장치 중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차양 장치는, 차양 슬릿을 연결하는 와이어 혹은 스크린의 상단부가 체결되어 권취되는 상부 작동바와, 상기 상부 작동바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부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풀리 및, 상기 풀리과 결합되어 풀리를 회전시키는 볼체인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볼체인의 한쪽을 당기면 상기 풀리 및 작동바가 회전하면서 스크린이나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차양부의 하단 위치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수동으로 스크린이나 차양 슬릿을 승/하강시킬 경우 사용자는 여러회에 걸쳐서 볼체인을 당겨야 하므로 번거롭고, 이와 같이 당기는 과정에서 당기는힘과 스크린 혹은 차양 슬릿 부분의 하중이 블라인드를 부착하는 브라켓에 가해져서 체결상태가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수동 차양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상기 패브릭 텐션 장치(Fabric tention system)에 사용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차양막을 승/하강시키는 전동 차양 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전동식 차양 장치는 양측 레일에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가 삽입되어 장력을 조절하나, 양측 레일에 삽입되는 장력 조절 장치 중 일측 부분에서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스크린이 한쪽으로 기울어 스크린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스크린이 한쪽으로 기운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스크린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전동 차양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력조절장치가 주로 창호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데, 창호의 양측 프레임에 장력조절장치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롤 블라인드를 제거하지 않고, 이러한 장력조절장치를 부가로 설치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6902호(2021. 09. 0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 방풍창에 설치되는 차단막을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텐션 조절기를 통해 외부환경에도 차단막이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 없이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양쪽 끝단 내부에 와이어 출입공이 형성된 마감캡이 삽입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쪽 측면 끝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레일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하며, 하단에 하단바가 설치된 차단막:
다수의 세로 형태의 칸막이의 양측 외면에 가로 형태의 측면판으로 마감 설치하여 전방과 후방에 롤러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측면판의 외면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트공을 형성하며, 후면에 와이어 배출공이 형성된 마감캡을 설치하고, 전면에는 마감판이 설치된 롤러 하우징과, 롤러 삽입공간에 다수를 배열하여 삽입하며, 외주면에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홈을 형성하고, 표면 중앙에 볼트공이 형성된 전방과 후방 회전 롤러와, 전방과 후방 회전 롤러에 순차적으로 연결하며 양쪽 끝은 마감캡의 와이어 배출공으로 배출하는 텐션 와이어와, 롤러 하우징을 서로 연결하며 실린더에 로드가 출입하는 텐션 가동부로 이루어진 텐션 조절기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마감캡 외부로 배출된 텐션 와이어의 끝을 차단막의 하단바 하면에 고정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는 모듈화된 텐션 조절기를 통해 차단막에 균일적인 텐션이 작용하여 외부 환경에 차단막이 흔들리거나 방해받지 않고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며,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는 방풍 기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는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와 연결된 텐션 와이어가 유기적으로 회전하면서 차단막의 텐션을 균등하게 조절하면서 상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는 텐션 조절기의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수직 레일 및 차단막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롤러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롤러 하우징에 회전롤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롤러에 텐션 하우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텐션 조절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력 소비없이 모듈화된 텐션 조절기를 통해 외부 방풍창의 차단막이 외부 환경에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 없이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는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는 하부 프레임(310)과, 수직 레일(320)과, 롤러 하우징(340)과, 텐션 와이어(360)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방과 후방 회전 롤러(350)(350')와, 롤러 하우징(340) 사이에 설치되는 텐션 가동부(370)로 이루어진 텐션 조절기(380) 및, 하부 프레임(310)의 측면으로 배출된 텐션 와이어(360)를 차단막(330)의 하단바(331) 하면에 고정 설치하여 차단막(330)이 상하 작동시 텐션 와이어(360)가 같이 작동하면서 차단막(330)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310)은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갖는 수평 프레임이며, 양쪽 끝단에 텐션 와이어(360)가 배출되는 배출공(311)이 형성된 고정캡(312)을 삽입 설치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310)의 상면에 차단막(330)의 하단바(331)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 레일(320)은 상부 프레임(325)의 내부에 롤 형태로 감겨서 설치되는 차단막(330)의 양쪽 측면을 지지하면서 차단막(330)의 상하 작동을 안내하는 레일로서, 첨부된 도면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사각 형태이면서 전방으로 개방홈(112)이 형성된 삽입 공간(111)을 형성하며, 삽입 공간(111)의 내부에 밀착판(120)을 이용하여 차폐막(130)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밀착판(120)은 얇은 사각판인 지지판(121)의 전면 중앙에 외부로 돌출되면서 전방 중앙에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홈(123)이 형성된 사각 형태의 내부 공간인 돌기홈(122)을 형성한다.
상기 밀착판(120)은 차폐막(130)을 밀착 결합함 동시에 연결지퍼(14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폐막(130)은 삽입 공간(111)의 내벽에 밀착되는 수평 접촉면(231)을 형성하고, 수평 접촉면(131)의 양측에 곡선으로 연결되면서 연결지퍼(140)에 연결된 차단막(330)의 전면과 후면을 덮어주는 밀폐면(132)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지퍼(14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면(141)의 한쪽 끝단에 외부로 돌출된 원형의 고정돌기(142)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연결면(141)의 전면이나 후면 한쪽 면에 차단막(330)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고정돌기(142)는 밀착판(120)의 돌기홈(22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연결면(141)은 고정홈(123) 내에 위치하여 고정돌기(14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차단막(330)을 팽팽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텐션 조절기(380)는 하부 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에 삽입 설치되며, 롤러 하우징(340)과, 롤러 하우징(340)에 삽입 설치되는 전방과 후방 회전 롤러(350')(350)와, 전방과 후방 회전 롤러(350')(35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텐션 와이어(360)와, 롤러 하우징(340)과 롤러 하우징(340')을 사이에 설치되는 텐션 가동부(370)로 구성한다.
상기 롤러 하우징(340)은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로 형태의 칸막이(341)와, 칸막이(341)의 양측 외면에 가로 형태의 측면판(342)으로 마감하여, 전방과 후방에 사각 형태의 롤러 삽입공간(343)(344)을 형성한다.
상기 측면판(342)의 외면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트공(345)을 형성하고, 롤러 하우징(340)의 후면에는 와이어 배출공(346)이 형성된 마감캡(347)을 설치하며, 전면에는 금속 재질의 마감판(348)을 설치한다.
상기 전방과 후방 롤러 삽입공간(343)(344)은 첨부된 도면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와이어홈(351)을 형성하고, 표면 중앙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트공(352)이 형성된 원형의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350)(350')를 형성한다.
상기 전방 롤러 삽입공간(343)에 삽입되는 전방 회전롤러(350)의 지름은 후방 롤러 삽입공간(344)에 삽입되는 후방 회전롤러(350')의 지름 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는 상기 후방 회전롤러(350')의 외주면에 감겨 있는 텐션 와이어(36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350)(350')는 4개의 롤러를 가로 방향으로 정렬하여 전방과 후방 롤러 삽입공간(343)(344)에 삽입한 후에 측면판(342)에 형성된 볼트공(345)으로 볼트(355)를 삽입하여,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350)(350')의 볼트공(352)을 관통시킨 후에 반대편의 측면판(342)의 볼트공(345)에 고정한다.
상기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350)(350')는 볼트(355)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텐션 와이어(360)는 장력이 가해지는 와이어로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350)(350')의 와이이홈(351)에 순자적으로 설치한다.
먼저, 첫번째 전방 회전롤러(350)의 와이어홈(351)에 텐션 와이어(360)를 설치하고, 반대편의 두번째 전방 회전롤러(350)에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동일한 방식을 거쳐 전방 회전롤러(360) 4개에 텐션 와이어(360)를 설치한 후에 전방 회전롤러(350)보다 지름이 큰 첫번째 후방 회전롤러(350')의 와이어홈(351)에 연결 설치한다.
상기 후방 회전롤러(350')도 전방 회전롤러(350)와 동일한 방식으로 텐션 와이어(360)를 설치하고, 텐션 와이어(360)의 끝부분은 양쪽 마감캡(347)의 와이어 배출공(346)으로 배출한 후에 고정핀으로 압착하여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텐션 가동부(370)는 실린더(371)와 실린더(371) 내에서 출입하는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37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린더(371)는 공압 실린더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상기 텐션 가동부(370)는 한쪽 롤러 하우징(340)의 마감판(348)의 전면에 실린더(371)를 설치하고, 다른 쪽 롤러 하우징(340')의 마감판(348)의 전면에 실린더(371)에 체결된 로드(372)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실린더(371)가 설치된 롤러 하우징(340)은 하부 프레임(3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로드(372)가 설치된 롤러 하우징(340')은 텐션 와이어(36)의 장력에 따라 좌우 이동하면서 텐션을 조절한다.
상기 텐션 가동부(370)의 로드(372)는 차단막의 길이 및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350)(350')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텐션와이어(360)의 장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텐션 가동부(370)는 탄성 스프링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텐션 조절기(380)은 하부 프레임(310)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고, 실린더(371)가 설치된 롤러 하우징(340)의 마감캡(347)은 하부 프레임(310)에 다수의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로드(372)가 설치된 롤러 하우징(340')은 고정하지 않고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한 후에 텐션 와이어(360)의 끝단을 고정캡(312)의 배출공(311)으로 배출한 후에 차단막(330)의 하단에 설치된 하단바(331)의 하면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텐션 조절기(380)는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350)(350')에 설치된 텐션 와이어(360)의 길이를 차단막(330)에 텐션이 균일적으로 가해지도록 조절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 방풍창의 차단막(330)의 하단바(331)가 하부 프레임(310)의 상면에 위치하여 차단막(33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하부 프레임(310)의 내부에 설치된 로드(372)와 연결된 롤러 하우징(340')이 외부로 벌어져 있는 상태로, 텐션 와이어(360)가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350)(350')에 텐션을 최대로 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리모컨을 작동하여 차단막(330)을 상측으로 상승하면, 하단바(331)가 위로 상승함과 동시에 하단바(331)의 하면에 설치된 양쪽 텐션 와이어(360)도 늘어나면서 함께 상승한다.
이때, 텐션 와이어(360)가 연결 설치된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350)(350')가 유기적으로 정회전하게 되고, 로드(372)가 설치된 롤러 하우징(340')이 실린더(371) 쪽으로 줄어들면서 차단막(330)에 균일적인 텐션이 작용하여 외부 환경에 차단막(330)이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을 차단하면서 안정적으로 상승한다.
이와 반대로, 차단막(330)이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면, 하단바(331) 하면에 설치된 양쪽 텐션 와이어(360)가 전방과 후방 회전롤러(350)(350')와 유기적으로 역회전을 하게 되고, 로드(372)가 설치된 롤러 하우징(340')이 외부로 늘어나면서 차단막(330)에 균일적인 텐션을 가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은 주로 외부 방풍창의 차단막이 승하강 할때,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텐션 조절기를 통해 차단막의 하단바에 연결된 텐션 와이어로 차단막의 텐션을 조절하여 외부 환경에도 방해받지 않고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의 차단막에 적용하여 차단막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310:하부 프레임 311:와이어 배출공
312:고정캡 320:수직 레일
330:차단막 331:하단바
340:롤러 하우징 341:칸막이
342:측면판 343,343:전방, 후방 롤러 삽입공간
345:볼트공 346:와이어 배출공
347:마감캡 348:마감판
350,350': 전방, 후방 회전롤러 360:텐션 와이어 370:텐션 가동부 371: 실린더 371:로드 380:텐션 조절기

Claims (2)

  1.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양쪽 끝단 내부에 와이어 출입공이 형성된 마감캡이 삽입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쪽 측면 끝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레일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하며, 하단에 하단바가 설치된 차단막:
    다수의 세로 형태의 칸막이의 양측 외면에 가로 형태의 측면판으로 마감 설치하여 전방과 후방에 롤러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측면판의 외면에 내부를 관통하는 볼트공을 형성하며, 후면에 와이어 배출공이 형성된 마감캡을 설치하고, 전면에는 마감판이 설치된 롤러 하우징과,
    롤러 삽입공간에 다수를 배열하여 삽입하며, 외주면에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홈을 형성하고, 표면 중앙에 볼트공이 형성된 전방과 후방 회전 롤러와,
    전방과 후방 회전 롤러에 순차적으로 연결하며 양쪽 끝은 마감캡의 와이어 배출공으로 배출하는 텐션 와이어와,
    롤러 하우징을 서로 연결하며 실린더에 로드가 출입하는 텐션 가동부로 이루어진 텐션 조절기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마감캡 외부로 배출된 텐션 와이어의 끝을 차단막의 하단바 하면에 고정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가동부는 탄성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KR1020230131496A 2023-10-04 2023-10-04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Active KR10277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496A KR102773121B1 (ko) 2023-10-04 2023-10-04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496A KR102773121B1 (ko) 2023-10-04 2023-10-04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73121B1 true KR102773121B1 (ko) 2025-02-27

Family

ID=9482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496A Active KR102773121B1 (ko) 2023-10-04 2023-10-04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31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54B1 (ko) * 2014-12-09 2015-03-16 채준석 장력조절 장치
KR20200143932A (ko) * 2019-06-17 2020-12-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동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54B1 (ko) * 2014-12-09 2015-03-16 채준석 장력조절 장치
KR20200143932A (ko) * 2019-06-17 2020-12-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동 롤 블라인드
KR102296902B1 (ko) 2019-06-17 2021-09-09 (주)블라인드팩토리 전동 롤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4853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окно
US8056601B2 (en) Self-contained tensioned roller shade system
US7000670B2 (en) Blind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reof
US20120012260A1 (en) Retractable shade assembly with adjustable side guides
US20090229770A1 (en) Tensioned Roller Shade System Having a Conical, Grooved Spool
EP0560975A1 (en) Double layer shade
US9970232B2 (en) Mountable cover, blind and / or shade for a window or skylight
KR102055581B1 (ko)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롤 블라인드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101492050B1 (ko) 기밀성 블라인드 장치
KR20100010743U (ko) 롤 블라인드
KR102296902B1 (ko) 전동 롤 블라인드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102773121B1 (ko)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KR102077087B1 (ko) 태양광 차단 블라인드 방범 방충망틀
KR101774002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101774003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2155859B1 (ko) 외부 차양 장치
KR101870745B1 (ko) 단열겸용 방범셔터
KR20180111301A (ko) 롤 블라인드
KR20220074213A (ko) 패브릭 텐션 장치
KR102049297B1 (ko) 방충망 일체형 차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0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