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1980Y1 - 합성수지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980Y1
KR200441980Y1 KR2020070007207U KR20070007207U KR200441980Y1 KR 200441980 Y1 KR200441980 Y1 KR 200441980Y1 KR 2020070007207 U KR2020070007207 U KR 2020070007207U KR 20070007207 U KR20070007207 U KR 20070007207U KR 200441980 Y1 KR200441980 Y1 KR 200441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sin pipe
synthetic resin
coupling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남
Original Assignee
박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남 filed Critical 박규남
Priority to KR2020070007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9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시공현장에서의 연결작업이 신속 간편하고, 결합력 및 수밀성이 우수하며,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홈을 가공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이 없이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일단에 합성수지관(1)이 결합되는 수지관 결합부(12)가 형성되고 타단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연결구 삽입부(14)와 볼트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6)가 형성되며, 상기 수지관 결합부(12)와 연결구 삽입부(14) 사이에는 환턱(18)이 형성된 암형 연결구(10)와; 일단에 또 다른 합성수지관(1')이 결합되는 수지관 결합부(22)가 형성되고, 타단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상기 암형 연결구(10)의 연결구 삽입부(14)에 끼워지는 결합관(24)과 상기 플랜지부(16)에 대응되는 플랜지부(26)가 형성되어 상기 암형 연결구(10)와 결합되는 수형 연결구(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암,수형 연결구(10,20)와 합성수지관(1,1')사이는 고무패킹(30)과 전기융착시트(40)가 함께 설치되어 수밀유지 및 지반침하 등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 삽입부(14)와 결합관(24) 사이에도 고무패킹(50)이 개재되어 수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Figure R2020070007207
합성수지관, 연결구, 플랜지, 패킹, 압박구, 압착부재, 분할형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구 {A joint for plastic pip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전기융착시트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기융착시트의 압착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 A 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합성수지관 10 : 암형 연결구
12 : 수지관 결합부 14 : 연결구 삽입부
15 : 위치세팅용 요홈 16 : 플랜지부
17 : 볼트구멍 18 : 환턱
19 : 보강리브 20 : 수형 연결구
22 : 수지관 결합부 24 : 결합관
25 : 위치세팅용 돌기 26 : 플랜지부
27 : 볼트구멍 28 : 환턱
29 : 보강리브 30 : 고무패킹
40 : 전기융착시트 42 : 라스
44 : 단자 46 : 수지 커버
47 : 접힘부 48 : 접합부
50 : 고무패킹 60 : 볼트
70 : 너트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연결구가 적은 부품 수로 이루어지고, 시공 현장에서의 연결작업이 신속 간편하며, 결합력이 우수하여 시공 후 연결부위에서의 누수발생염려가 적고,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홈을 가공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이 없이도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플랜지 방식에 의해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는데,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416904호의 관 연결구, 특허 제542038호의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특허공개 제2001-0017575호의 합성수지관의 이음장치, 실용신안공개 제1999-0033054호의 관 연결구, 실용신안등록 제198811호 의 플랜지를 이용한 하수관의 연결구조, 실용신안등록 제241422호의 대구경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실용신안등록 제337801호의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특허 제542028호의 파이프 연결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된 종래기술에 의한 플랜지 방식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연결 후 외력(지반의 침하나 합성수지관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합성수지관이 이탈되거나,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아 단가가 높고 시공이 번거로우며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홈을 가공하여야 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은 부품 수로 이루어지고, 시공 현장에서의 연결작업이 신속 간편하며, 결합력이 우수하여 시공 후 연결부위에서의 누수발생염려가 적고,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홈을 가공하는 등의 부수적인 작업이 없이도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플랜지 방식의 합성수지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에 합성수지관이 결합되는 수지관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연결구 삽입부와 볼트결합을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지관 결합부와 연결구 삽입부 사이에는 환턱이 형성된 암형 연결구와; 일단에 또 다른 합성수지관이 결합되는 수지관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상기 암형 연결구의 연결구 삽입부에 끼워지는 결합관과 상기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암형 연결구와 결합되는 수형 연결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암,수형 연결구와 합성수지관 사이는 고무패킹과 전기융착시트가 함께 설치되어 수밀유지 및 지반침하 등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 삽입부와 결합관 사이에도 고무패킹이 개재되어 수밀을 유지하도록 된 합성수지관 연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형 연결구의 연결구 삽입부와 수형 연결구의 결합관에는 암,수형 연결구의 결합시 플랜지부의 볼트구멍을 상호 일치시켜 주기 위한 위치 세팅용 돌기와 요홈이 형성되며, 이 돌기는 선단부가 뾰족한 삼각형태로 이루어지고, 요홈은 입구부가 넓은 삼각 형태로 이루어져 암,수형 연결구의 결합깊이가 깊어지는 것에 의해 볼트구멍이 상호 동축선상에 일치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전기융착시트는 시트 상의 수지 커버를 반 폭으로 접되 그 내부에 융착라스를 삽입하여 압착시키고, 이 융착라스의 양단에 단자를 부착한 것으로, 합성수지관이 끼워진 암,수형 연결구의 수지관 결합부에 접힌 부분을 안쪽으로 삽입하여 외부로 노출된 단자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합성수지관과 암,수형 연결구가 상호 융착결합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구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연결구는 일단에 합성수지관(1)이 결합되는 수지관 결합부(12)가 형성되고 타단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연결구 삽입부(14)와 볼트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6)가 형성되며, 상기 수지관 결합부(12)와 연결구 삽입부(14) 사이에는 환턱(18)이 형성된 암형 연결구(10)와; 일단에 또 다른 합성수지관(1')이 결합되는 수지관 결합부(22)가 형성되고, 타단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상기 암형 연결구(10)의 연결구 삽입부(14)에 끼워지는 결합관(24)과 상기 플랜지부(16)에 대응되는 플랜지부(26)가 형성되어 상기 암형 연결구(10)와 결합되는 수형 연결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암,수형 연결구(10,20)와 합성수지관(1,1')사이는 고무패킹(30)과 전기융착시트(40)가 함께 설치되어 수밀유지 및 지반침하 등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 삽입부(14)와 결합관(24) 사이에도 고무패킹(50)이 개재되어 수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암형 연결구(10)는 외형상으로 일측에 플랜지부(16)가 형성된 슬리브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수형 연결구(20)는 중간 부분에 플랜지부(26)가 형성된 슬리브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암형 연결구(10)보다는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암형 연결구(10)와 수형 연결구(20)는 각각 합성수지관(1,1')의 일단에 공장에서 부착되어 시공 현장으로 운반되는 것으로, 이는 하나의 합성수지관 양측에 각각 암,수형 연결구를 부착하여 이를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로 일렬로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 시공 현장에서는 합성수지관(1,1')을 볼트(60)와 너트(70)를 사용하여 플랜지결합시켜주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암,수형 연결구(10,20)는 볼트(60)와 너트(70)에 의한 플랜지결합시 그 사이에 패킹(50)이 끼워져 있어 이 패킹(50)이 눌리면서 상호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패킹(30)은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나 실리콘 등으로 제작되며 그 단면이 L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각각 합성수지관(1,1')의 말단에 미리 끼워진 상태에서 암,수형 연결구(10,20)의 수지관 결합부(12,22)에 최 내측에 끼워져 내부에 형성된 환턱(18,28)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게 되며, 수지관 결합부(12,22)의 외측에는 전기융착시트(40)가 끼워져 전기가 인가됨으로써 전기융착시트(40) 자체 및 이 전기융착시트(40) 내외측의 합성수지관(1,1') 외벽과 암,수형 연결구(10,20)의 수지관 결합부(12,22) 내벽이 용융되면서 상호 일체가 되도록 융착결합을 이루게 되며, 이에 의해 지반침하 등이 있더라도 합성수지관(1,1')이 연결구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면 중 부호 17, 27은 플랜지부(16, 26)에 형성되는 볼트구멍으로, 이 볼트구멍의 개수는 연결구의 크기에 따라 6개 또는 8개나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 으며, 일측 볼트구멍(16)에는 너트자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호 19, 29는 플랜지부(16)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리브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암형 연결구(10)의 연결구 삽입부(14)와 수형 연결구(20)의 결합관(24)에는 암,수형 연결구의 결합시 플랜지부(16,26)에 형성된 볼트구멍(17,27)을 상호 일치시켜 주기 위한 위치 세팅용 돌기(25)와 요홈(15)이 형성되며, 이 돌기(25)는 선단부가 뾰족한 삼각형태로 이루어지고, 요홈(15)은 입구부가 넓은 삼각 형태로 이루어져 암,수형 연결구(10,20)의 결합깊이가 깊어지는 것에 의해 양측의 볼트구멍(17,27)이 상호 동축선상에 일치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전기융착시트(4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상의 수지 커버(46)를 반 폭으로 접되 그 내부에 융착용 금속 라스(42)를 삽입하여 가열된 압착 로울러를 사용하여 접합부(48)를 따라 압착시키고, 이 라스(42)의 양단에 단자(44)를 부착한 것으로, 합성수지관(1,1')이 끼워진 암,수형 연결구(10,20)의 수지관 결합부(12,22)에 접힘부(47)를 안쪽으로 삽입하여 외부로 노출된 단자(44)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합성수지관(1,1')과 암,수형 연결구(10,20)가 상호 융착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합성수지관(1,1')을 상호 연결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암,수형 연결구(10,20)가 각각 양단에 미리 결합된 합성수지관(1)과 타측 합성수지관(1')을 근접시킨 상태에서 암형 연결구(10)의 연결구 삽입부(14)에 패킹(50)을 끼워 넣는다.
그 다음으로 수형 연결구(20)의 결합관(24)을 암형 연결구(10)의 연결구 삽입부(14)에 끼우되 이 결합관(24)의 외측에 형성된 위치세팅용 돌기(25)를 암형 연결구(10)의 연결구 삽입부(14) 내측에 형성된 요홈(15)에 대략 일치되도록 끼워주면 암,수형 연결구(10,20)의 플랜지부(16,26)에 형성된 볼트구멍(17,27)이 상호 저절로 동축선상에 일치되므로 볼트의 체결작업을 위한 준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암,수형 연결구(10,20)의 플랜지부(16,26)에 형성된 볼트구멍(17,27)을 통해 볼트(60)와 너트(70)를 체결하면 내측의 패킹(50)이 압박되면서 양측의 합성수지관(1,1')이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직선으로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의 배관 연결작업을 위한 연결구가 암,수형 연결구와 패킹 및 전기융착시트만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암,수형 연결구는 미리 공장에서 합성수지관의 양단에 각각 부착된 상태로 시공 현장으로 출고되므로 시공 현장에서의 연결작업은 단순히 패킹의 삽입 후 볼트체결만 해주면 되므로 신속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별도의 융착장비나 전력공급수단이 필요 없고, 합성수지관과 연결구와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시공 후 연결부위에서의 누수발생염려가 적으며,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홈을 가공하는 등 의 부수적인 작업이 없이도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삭제
  2. 일단에 합성수지관(1)이 결합되는 수지관 결합부(12)가 형성되고 타단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연결구 삽입부(14)와 볼트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6)가 형성되며, 상기 수지관 결합부(12)와 연결구 삽입부(14) 사이에는 환턱(18)이 형성된 암형 연결구(10)와; 일단에 또 다른 합성수지관(1')이 결합되는 수지관 결합부(22)가 형성되고, 타단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상기 암형 연결구(10)의 연결구 삽입부(14)에 끼워지는 결합관(24)과 상기 플랜지부(16)에 대응되는 플랜지부(26)가 형성되어 상기 암형 연결구(10)와 결합되는 수형 연결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암,수형 연결구(10,20)와 합성수지관(1,1')사이는 고무패킹(30)과 전기융착시트(40)가 함께 설치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 삽입부(14)와 결합관(24) 사이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고무패킹(50)이 끼워지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삽입부(14)와 결합관(24)에는 위치 세팅용 돌기(25)와 요홈(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기융착시트(40)는 시트 상의 수지 커버(46)를 반폭으로 접되 그 내부에 융착용 금속 라스(42)가 삽입되어 압착되며, 상기 라스(42)의 양단에 전기공급용 단자(4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20070007207U 2007-05-02 2007-05-02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441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207U KR200441980Y1 (ko) 2007-05-02 2007-05-02 합성수지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207U KR200441980Y1 (ko) 2007-05-02 2007-05-02 합성수지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980Y1 true KR200441980Y1 (ko) 2008-09-25

Family

ID=4162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207U KR200441980Y1 (ko) 2007-05-02 2007-05-02 합성수지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98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052B1 (ko) 2010-07-29 2010-10-20 최홍 관체 연결 장치
KR200459475Y1 (ko) 2009-06-03 2012-03-27 (주)두온티앤씨 냉매관 연결구조
KR101150473B1 (ko) * 2009-11-05 2012-05-31 대연정공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2322275B1 (ko) * 2021-04-15 2021-11-05 주식회사 유니테크 파이프 접합방법
WO2022154147A1 (ko) * 2021-01-13 2022-07-21 이광복 수족관용 파이프 홀더
WO2022234167A3 (es) * 2021-05-06 2023-04-20 Abn Pipe Systems S.L.U Conjunto de piezas para desagüe de aguas negras en vivienda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75Y1 (ko) 2009-06-03 2012-03-27 (주)두온티앤씨 냉매관 연결구조
KR101150473B1 (ko) * 2009-11-05 2012-05-31 대연정공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0989052B1 (ko) 2010-07-29 2010-10-20 최홍 관체 연결 장치
WO2022154147A1 (ko) * 2021-01-13 2022-07-21 이광복 수족관용 파이프 홀더
KR102322275B1 (ko) * 2021-04-15 2021-11-05 주식회사 유니테크 파이프 접합방법
WO2022234167A3 (es) * 2021-05-06 2023-04-20 Abn Pipe Systems S.L.U Conjunto de piezas para desagüe de aguas negras en viviend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98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EP0871834B1 (en) Interlocked restraint for a plastic pipe joining system
US4635972A (en) Plastic pipe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CA2079950C (en) Pipe jointing system
KR102359426B1 (ko) 관 연결 장치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KR100528714B1 (ko)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KR20080001062U (ko) 관연결부 일체형 고강도관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CN201078546Y (zh) 一种增强热塑性塑料管材的连接管件
KR20044056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KR20130022451A (ko) 소켓 연결장치
KR200377139Y1 (ko) 이탈방지턱을 갖는 이중벽관 소켓 결합구조
KR100786669B1 (ko)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KR101225697B1 (ko)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KR200274871Y1 (ko) 원형관 이음장치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KR100779984B1 (ko) 관 연결구
KR20180027943A (ko) 삽입형 전자소켓을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KR100433812B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GB2351133A (en) Coupling member for creating a seal between a socket and a pipe end
KR20080002631U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5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2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9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