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9426B1 - 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426B1
KR102359426B1 KR1020190041320A KR20190041320A KR102359426B1 KR 102359426 B1 KR102359426 B1 KR 102359426B1 KR 1020190041320 A KR1020190041320 A KR 1020190041320A KR 20190041320 A KR20190041320 A KR 20190041320A KR 102359426 B1 KR102359426 B1 KR 10235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leeve
ring
pipe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025A (ko
Inventor
방만혁
Original Assignee
방만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만혁 filed Critical 방만혁
Priority to KR102019004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4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4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장치는 복합관의 연결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을 통해 효과적인 수밀 연결이 가능하고 인발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관 연결 장치{Apparatus for coupling pipes}
본 발명은 관 연결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효과적인 수밀 연결이 가능하고 인발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복합관의 연결에 적합한 관 연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관과 같은 고내식성 금속관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고가(高價)의 소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아지고 벤딩 등의 성형에 한계가 있어서 시공상의 어려움이 많고 직관으로만 제조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직관으로 제조된 금속관은 운반 등을 위해 소정 길이로 절단되는데, 현장 시공시 금속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에 많은 부품과 노동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관은 지반에 매설된 경우에 토양에 의한 부식, 전기적 부식 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수지관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볍고 시공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지만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의해서 연결부위가 분리되어 누수가 발생되기도 하고 압력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금속수지 복합관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a ~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수지 복합관(1)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외부면에 접착층(4)과 수지층(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관이다.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내식성이 우수하다. 수지층(3)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두께 보다 훨씬 두꺼운 두께로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을 감싸는데,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합관(1)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토양에 대한 내부식성도 우수하며 가격도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복합관(1)은 직관으로 제조된 후 환형으로 권취될 수 있고, 환형으로 권취된 복합관(1)은 직관으로 환원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단면 손상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공장에서 긴 길이로 제조한 후 환형으로 귄취하여 공사 현장까지 운반하고, 환형 권취된 복합관(1)을 공사 현장에서 직관으로 환원하여 시공한다. 이와 같이, 복합관(1)은 기존의 다른 관들과 비교하여 많은 장점을 갖는다.
한편, 기존의 다른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5941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연결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며, 관 내부에 고압이 작용할 때나 관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연결 부분이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복합관의 연결에 적합한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압이나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분리되지 않는 관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갖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100)(200)(300)(400)(500)는 슬리브(110)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슬리브(110)는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관(1)의 내부에 그 양쪽 단부가 각각 삽입되고 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외측에 설치되고, 관(1)이 내부로 삽입된다.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는 제1 홈라인(111)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홈라인(111) 양측에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제1 돌기라인(112)이 형성되며, 제1 홈라인(111)에는 오링(113)이 설치되고,
조인트(130) 단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된 후, 조인트(130)의 단부가 압착되어 오링(113)이 관(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수밀이 이루어진다.
금속링(13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치부(齒部, 13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부(131a)는 압착시 관(1)의 외주면(수지층 등)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금속링(131)은 오링(113)과 근접하되 오링(113)의 슬리브 단부쪽을 압착할 수 있다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2 홈라인(114)이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조인트(130)의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는 슬리브(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7)는 양쪽 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118)이 조인트(130)의 내주면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130)의 중앙 부분이 내측으로 요입되고, 상기 요입된 부분(138)이 슬리브(110)의 외주면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이 주름관(119)으로 이루어지면 슬리브(110)의 벤딩이 자유롭게 된다. 이 경우,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600)는, 중앙 부분이 주름관(139)으로 이루어지고 양쪽 단부는 확관부(137)로 이루어진 조인트(130); 및, 조인트(130)의 양쪽 확관부(137)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슬리브(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1)은 복합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관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접착층(4); 및, 접착층(4)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지층(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금속링(131)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복합관의 연결에 적합한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고압이나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분리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복합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복합관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 6a는 각각 도 2a의 관 연결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슬리브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2a의 관 연결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슬리브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1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b는 도 13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b는 도 14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b는 도 15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b는 도 16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b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b는 도 18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b는 도 19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b는 도 20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 ~ 23은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4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4b는 도 24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5 ~ 27은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의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다른 관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복합관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합관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의 등록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한편, 아래의 각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장치(100)는 슬리브(110)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슬리브(110)는 관 형상을 갖는데, 그 양쪽 단부가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복합관(1)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다. 슬리브(110)는 복합관(1)의 내부에 삽입되되, 압착으로 인해 복합관(1)과 견고하게 밀착되는 정도의 외경을 갖는다.
슬리브(110)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110)는 압착시,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복합관(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변형될 수 있다.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는 제1 홈라인(111)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홈라인(111) 양측에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제1 돌기라인(112)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 홈라인(111)에는 오링(113)이 설치된다. 오링(113)은 슬리브(110)와 복합관(1) 사이를 수밀되도록 하고, 제1 돌기라인(112)은 오링(113)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돌기라인(112)과 오링(13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조인트(130)의 단부가 압착되면 오링(132)은 제1 돌기라인(112)과 대응되는 복합관(1)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외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인트(130)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슬리브(110)가 그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130)와 슬리브(110) 사이에 복합관(1)이 삽입된다. 조인트(130)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조인트(130)의 양쪽 단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된다. 오링(132)은 조인트(130)와 복합관(1) 사이를 수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금속링(131)은 조인트(130)를 복합관(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a~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링(131)의 측면과 오링(132)의 측면은 압착 전후에 서로 접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금속링(13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치부(齒部, 131a)가 형성되고, 압착시 치부(131a)는 복합관(1)의 외주면(수지층)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복합관(1) 내부에 고압이 작용하거나 복합관(1)에 인발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복합관(1)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치부(131a)는 수직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면은 슬리브(110)의 중앙쪽을 향하고 상기 경사면은 슬리브(110)의 끝단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인트(130)의 중앙 부분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133)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입부(133)는 복합관(1)을 조인트(130)와 슬리브(110) 사이에 삽입할 때 복합관(1)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효과적인 결합과 수밀 및 인발 방지를 위해서, 오링(132)과 금속링(131)은 오링(113)과 근접하되 오링(113) 보다 슬리브(110) 단부쪽을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슬리브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슬리브(110)는 제1,2 홈라인(111)(114)과, 제1,2 돌기라인(112)(115) 및 오링(116)을 포함한다.
제2 홈라인(114)은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인트(130)의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 5는 각각 슬리브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슬리브(110)는 돌출부(117)를 포함한다. 돌출부(117)는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에 슬리브(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17)는 양쪽 복합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한다.
도 6a는 두 개의 돌출부(117)가 형성된 슬리브(110)를 보여주고, 도 6b는 이 슬리브(110)를 이용하여 양쪽 복합관(1)을 연결하는 것을 보여준다. 두 개의 돌출부(117)는 각각 양쪽 복합관(1)에 대해 스토퍼 역할을 한다.
도 7a는 슬리브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슬리브(110)는, 도 6a의 슬리브와 비교하여, 제2 홈라인(114)을 더 갖는다는 점에서 다르다.
[제2 실시예]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장치(200)는 슬리브(110)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관 연결장치(200)는, 제1 실시예의 관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양쪽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복합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조인트의 단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되 오링(132)이 금속링(131) 보다 조인트의 중앙쪽에 설치되고, 금속링(131)의 외경이 오링(132)의 외경 보다 크므로 금속링(131)이 설치된 부분과 오링(132)이 설치된 부분 사이에는 조인트에 턱(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인트(130)의 단부에 대한 압착이 완료되면 턱(135)이 평평해진다.
복합관(1)은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사이로 삽입된 후 조인트(130)의 단부가 압착되면 조인트(130) 및 슬리브(110)와 결합된다.
도 9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금속링(131)이 오링(113)과 대응되도록 위치한 후 복합관(1)을 압착하여 치부(131a)가 수지층(3)에 압입되도록 한다. 이에 비해, 도 10a~10b에서는 금속링(131)이 오링(113) 보다 중앙쪽 부분의 수지층(3)을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11a~11b에서는 금속링(131)이 두 개의 오링(113)(116) 사이를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제3 실시예]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장치(300)는 슬리브(110)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관 연결장치(300)는, 제1 실시예의 관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조인트(300)가 요홈부(133)를 갖지 않고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18)를 이루며, 돌출부(118)가 조인트(130)의 내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복합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13a는 관 연결 장치(300)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b는 상기 관 연결 장치(300)가 양쪽 복합관(1)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금속링(131)이 오링(113)과 대응되도록 위치한 후 수지층(3)을 압착한다. 이에 비해, 도 14a~14b에서는 금속링(131)이 오링(113) 보다 중앙쪽 부분의 수지층(3)을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15a~15b에서는 금속링(131)이 두 개의 오링(113)(116) 사이를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제4 실시예]
도 16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6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장치(400)는 슬리브(110)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관 연결장치(400)는, 제1 실시예의 관 연결장치(100)와 비교하여, 조인트(130)의 중앙 부분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요입부(138)를 이루고, 요입부(138)가 슬리브(110)의 외주면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복합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한다.
요입부(110)는 조인트(130)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금속링(131)은 오링(113)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서 복합관(1)을 압착한다.
도 17a는 관 연결 장치(400)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7b는 상기 관 연결 장치(400)가 양쪽 복합관(1)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금속링(131)이 오링(113)과 대응되도록 위치한 후 오링(113)과 대응되는 수지층(3)을 압착한다. 이에 비해, 도 18a~18b에서는 금속링(131)이 오링(113) 보다 중앙쪽 부분을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19a~19b에서는 금속링(131)이 두 개의 오링(113)(116) 사이를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제5 실시예]
도 20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0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장치(500)는 슬리브(110)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관 연결장치(500)는, 제2 실시예의 관 연결장치(2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이 주름관(119)으로 이루어지므로 슬리브(110)의 벤딩이 자유롭다는 점에서 다르다.
즉, 관 연결장치(500)는 양쪽 복합관(1)이 어긋나도록 위치한 경우 또는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우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1은 변형된 관 연결 장치(500)가 양쪽 복합관(1)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금속링(131)이 오링(113)과 대응되도록 위치한 후 오링(113)과 대응되는 수지층(3)을 압착한다.
그리고, 도 22에서는 금속링(131)이 오링(113) 보다 중앙쪽 부분을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도 23에서는 금속링(131)이 두 개의 오링(113)(116) 사이를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제6 실시예]
도 24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4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장치(600)는 조인트(130)와 슬리브(110)를 포함한다.
조인트(130)의 양쪽 단부에는 확관부(137)가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는 주름관(139)이 형성된다. 양쪽 단부의 확관부(137)에는 각각 슬리브(110)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슬리브(110)와 확관부(137) 사이에 복합관(1)이 삽입되어 설치된 후 금속링(131)과 오링(132)이 복합관(1)을 압착하여 결합된다.
조인트(130)의 중앙 부분에 주름관(13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 연결장치(500)는 양쪽 복합관(1)이 어긋나도록 위치한 경우 또는 소정 각도를 이루며 위치한 경우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5는 변형된 관 연결 장치(600)가 양쪽 복합관(1)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금속링(131)이 오링(113)과 대응되도록 위치한 후 오링(113)과 대응되는 수지층(3)을 압착한다.
그리고, 도 26에서는 금속링(131)이 오링(113) 보다 중앙쪽 부분을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도 27에서는 금속링(131)이 두 개의 오링(113)(116) 사이를 압착하도록 설치된다.
1 : 복합관 2 :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
3 : 수지층 4 : 접착층
5 : 제2 경사면 110 : 슬리브
111 : 제1 홈라인 112 : 제1 돌기라인
113 : 오링 114 : 제2 홈라인
115 : 제2 돌기라인 116 : 오링
117, 118 : 돌출부 119 : 주름관
130 : 조인트 131 : 금속관
131a : 치부(齒部) 132 : 오링
137 : 확관부 138 : 요입부
139 : 주름관
100, 200, 300, 400, 500, 600 : 관 연결장치

Claims (12)

  1.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관(1)의 내부에 그 양쪽 단부가 각각 삽입되고 관 형상을 갖는 슬리브; 및,
    슬리브의 외측에 설치되고, 관(1)이 내부로 삽입되는 조인트;를 포함하고,
    슬리브의 양쪽 단부에는 제1 홈라인(111)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홈라인(111) 양측에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제1 돌기라인(112)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 홈라인(111)에는 오링(113)이 설치되고,
    조인트의 단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되 오링(132)이 금속링(131) 보다 조인트의 중앙쪽에 설치되고, 금속링(131)의 외경이 오링(132)의 외경 보다 크므로 금속링(131)이 설치된 부분과 오링(132)이 설치된 부분 사이에는 조인트에 턱(135)이 형성되며,
    관(1)이 슬리브와 조인트 사이로 삽입된 후, 조인트의 단부가 압착되어 오링(113)이 관(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턱(135)은 수평이 되도록 평평해지고,
    제1 돌기라인(112)과 오링(132)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조인트의 단부가 압착되면 오링(132)이 제1 돌기라인(112)과 대응되는 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조인트 단부의 압착 전후에 오링(132)의 측면과 금속링(131)의 측면이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링(13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치부(齒部, 131a)가 형성되고, 치부(131a)는 관(1)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금속링(131)은 오링(113)과 근접하되 오링(113)의 슬리브 단부쪽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의 중앙쪽에는 슬리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117)가 형성되고, 돌출부(117)는 양쪽 관(1)이 슬리브와 조인트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조인트는 슬리브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의 후단이 슬리브의 중앙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1)이 슬리브와 조인트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의 중앙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118)이 조인트의 내주면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1)이 슬리브와 조인트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조인트의 중앙 부분이 내측으로 요입되고, 상기 요입된 부분(138)이 슬리브의 외주면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1)이 슬리브와 조인트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의 중앙 부분이 주름관(119)으로 이루어져서 슬리브의 벤딩이 자유롭고,
    조인트는 슬리브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의 후단이 슬리브의 중앙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1)이 슬리브와 조인트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10. 중앙 부분이 주름관(139)으로 이루어지고 양쪽 단부는 확관부(137)로 이루어진 조인트; 및,
    조인트의 양쪽 확관부(137)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슬리브의 외주면에는 제1 홈라인(111)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홈라인(111) 양측에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제1 돌기라인(112)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 홈라인(111)에는 오링(113)이 설치되고,
    조인트의 양쪽 단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되 오링(132)이 금속링(131) 보다 조인트의 중앙쪽에 설치되고, 금속링(131)의 외경이 오링(132)의 외경 보다 크므로 금속링(131)이 설치된 부분과 오링(132)이 설치된 부분 사이에는 조인트에 턱이 형성되며,
    관(1)이 슬리브와 조인트 사이로 삽입된 후, 조인트의 단부가 압착되어 오링(113)이 관(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턱이 수평이 되도록 평평해지고,
    제1 돌기라인(112)과 오링(132)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조인트의 단부가 압착되면 오링(132)이 제1 돌기라인(112)과 대응되는 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조인트 단부의 압착 전후에 오링(132)의 측면과 금속링(131)의 측면이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11.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1)은 복합관이고,
    상기 복합관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접착층(4); 및,
    접착층(4)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지층(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슬리브와 조인트 및 금속링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KR1020190041320A 2019-04-09 2019-04-09 관 연결 장치 Active KR102359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20A KR102359426B1 (ko) 2019-04-09 2019-04-09 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20A KR102359426B1 (ko) 2019-04-09 2019-04-09 관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025A KR20200119025A (ko) 2020-10-19
KR102359426B1 true KR102359426B1 (ko) 2022-02-07

Family

ID=7304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320A Active KR102359426B1 (ko) 2019-04-09 2019-04-09 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487B1 (ko) * 2020-10-31 2021-10-20 방만혁 본관과 단관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복합관 및, 이 복합관의 연결구조
KR102438797B1 (ko) * 2021-09-13 2022-08-31 (주)금강 튜브의 삽입이 용이한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관 제조방법
KR102623297B1 (ko) * 2022-12-29 2024-01-10 (주)뉴보텍 복합관 이음 커플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119B1 (ko) * 1995-09-19 2001-11-22 마리오 파텍 파이프연결관
KR101166886B1 (ko) * 2012-04-23 2012-07-18 (주)금강 환형으로 권취가 용이한 금속 수지 복합관 및, 그 제조방법
WO2019021821A1 (ja) * 2017-07-26 2019-01-31 東洋フイツテング株式会社 管継手及び管継手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898Y1 (ko) * 1981-07-18 1987-03-14 모리게이 집어등
KR860002107Y1 (ko) * 1985-01-10 1986-08-28 최병우 프레스식(Press式)관이음쇠의 체결부(締結部)구조
JPH0257788A (ja) * 1988-08-23 1990-02-27 Benkan Corp 銅管用管継手
JPH1082487A (ja) * 1996-08-28 1998-03-31 Shutebi Tech Ag 継管のための継手装置
KR101229453B1 (ko) * 2011-01-18 2013-02-04 (주)아진상사 금속관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119B1 (ko) * 1995-09-19 2001-11-22 마리오 파텍 파이프연결관
KR101166886B1 (ko) * 2012-04-23 2012-07-18 (주)금강 환형으로 권취가 용이한 금속 수지 복합관 및, 그 제조방법
WO2019021821A1 (ja) * 2017-07-26 2019-01-31 東洋フイツテング株式会社 管継手及び管継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025A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426B1 (ko) 관 연결 장치
CA2819998C (en) Expandable tubular connection
US10036495B2 (en) Coupling using sealant for sealing secured components
KR200452915Y1 (ko) 배관 연결부재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US11193611B2 (en) Pipe coupling apparatus
US4420176A (en) Elastomeric joint for use between rigid fittings and rigid pipe and method of use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JP2010236567A (ja) ホース継手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US20140144007A1 (en) Portable integral fitted plastic pipe method
EP3660376B1 (en) Pipe joint and pipe joint structure
KR102372761B1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US5180195A (en) Joint locking system for pipe
US10767795B2 (en) Fit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itting for attaching flexible tube to rigid tube
US954504A (en) Pipe-coupling.
KR102264914B1 (ko) 관 연결 방법
KR102383855B1 (ko) 플렉시블 조인트
CN112984232B (zh) 管道组件和管道装配方法
KR101198331B1 (ko) 플렉시블 튜브의 무용접 커플링 장치
KR101157190B1 (ko) 관 결합구조
KR20100048182A (ko) 관 결합구조
KR100397308B1 (ko)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KR200228224Y1 (ko)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KR200206336Y1 (ko) 관체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4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