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4871Y1 - 원형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원형관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871Y1
KR200274871Y1 KR2020020002718U KR20020002718U KR200274871Y1 KR 200274871 Y1 KR200274871 Y1 KR 200274871Y1 KR 2020020002718 U KR2020020002718 U KR 2020020002718U KR 20020002718 U KR20020002718 U KR 20020002718U KR 200274871 Y1 KR200274871 Y1 KR 200274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insula
packing
circular
pipes
circula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희
Original Assignee
이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희 filed Critical 이선희
Priority to KR2020020002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871Y1/ko

Links

Landscapes

  • Gasket Seal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관을 상호 연결시키는 2개의 반원형상의 상부반도와 하부반도로 구성된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부반도와 하부반도의 양측부에 볼트공이 구비된 결합턱을 형성하고 하부반도에는 받침대를 형성 하였으며 상,하부반도의 내부와 결합력에 수밀packing을 설치하고 상,하부반도의 내부 양단부에 압착packing이 설치된 원형관 이음장치이다.
본고안는 하부반도 중앙에 2관을 서로 맞대어 설치하고 그위에 상부반도를 덮어쒸우고 결합력을 볼트로 결합하는 아주 간단하면서도 수밀이 완전하고 지진에도 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안한 원형관 이음장치이며, 특히 원형관의 연결시 관이 굴러가는 불편한 점이 있어 하부반도에 받침대를 형성 하였으며 종래는 반도와 packing이 각각 이어서 관연결시불편하였으나 본고안에서는 packing을 반도의 packing홈에 설치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지진이나 부등침하에도 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압착packing을 반도에 설치한 원형관 이음장치이다 본고안 원형관이음장치는 간편한 연결로 시공비가 저렴하며, 공기가 단축되고, 어떤 기후의 조건에서도 시공할 수 있으며 수밀과 관이탈방지가 우수하여 하수관과 수도관 같은 원형관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원형관 이음장치{omitted}
본고안은 원형관을 연결하는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관을 간편하게 연결 하면서도 수밀도 되고 지진에도 견고한 연결이음장치을 고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원형관을 연결하는 이음장치는 관단부에 후렌지를 부착하고 후렌지사이에 packing을 끼우고 볼트로 결합하여 연결하는 후렌지이음장치가 있고 관의 단부 한 쪽을 확장하고 그속에 packing을 설치하여 연결하는 편수칼라 이음장치가 있으며, 또 확장된 곳에 후렌지을 부착하여 볼트로 조여서 연결하는 KP joint 이음장치가 있다. 합성수지관인 경우 관의 단부와 단부를 열융착하는 버트 융착 이음장치와 PE시트에 열선을 삽입하여 그것을 관체외면에 감싸고 전기열로 관과 PE시트를 융착하는 전기융착시트의 이음장치가 있으며, 열수축PE스리브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두관을 서로 맞댄 후 그 위에 끼우고 열을 가하여 연결하는 열수축스리브 이음장치가 있다. 또 PE 와 SUS평판의 반도를 파이프에 감싸고 볼트로 조여서 연결하는 반도 이음장치가 있다. 이러한 이음장치들은 연결이 불편하고 또 제작이 까다로울뿐아니라 연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수밀이 안되거나 관이 이탈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고안은 원형관에 연결하는 이음장치로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관을 가장 간편하게 연결하면서도 누수가 되지 않으며 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할 수있는 고안이다. 본고안은 2개의 반 원형상반도로서 상부반도와 하부반도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반도와 하부반도의 양측부에 볼트공이 구비된 결합턱을 형성하고 하부반도에는 원형관이 굴러지지 않도록 받침대을 형성하고, 상부, 하부반도의 내부와 결합턱에 packing 홈을 구비하고 상부,하부반도의 내부와 결합턱을 수밀할 수 있는 packing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반도와 하부반도 그리고 결합턱의 packing홈에 설치하고 또 상,하부반도의 내부양단부에 원형관을 압착할 수 있는 압착packing을 설치한 원형관 이음장치이다.
본고안은 종래의 원형관 이음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고안으로 2개의 반원형상반도로 상부반도와 하부반도로 구성하여 수밀을 위한 일체형으로 된 packing과 관이탈방지를 위한 압착packing과 작업의 편의성을 위한 하부반도에 받침대를 형성하는 것이 본고안이 이루고져하는 기술적 과제로서 본고안의 원형관 이음장치는 연결작업이 간단한 공구로 아주 간편하게 눈,비속에서도 연결이 가능하며 지진에도 관이 이탈되지 않으며 수밀이 될 수 있도록 고안된 원형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이음장치로 원형관을 연결한 사시도
도 2는 본고안의 원형관 이음장치사시도
도 3a는 도2의 원형관 이음장치 분해사시도
도 3b는 도2의 상부반도 내부를 보기위하여 뒤집어 놓은 형상
도 4a는 본고안의 반도내부와 결합턱의 일체형 수밀packing 평면도
도 4b는 본고안의 결합턱부위의 packing 평면도
도 5는 본고안의 압착packing 사시도
도 6은 본고안의 다른실시예의 받침대 정면도
도 7은 본고안의 다른실시예의 원형관 이음장치 정면도
<도면의 주요한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원형관 251 : 반도의 내부packing
210 : 상부반도 252 : 결합턱의 packing
220 : 하부반도 260 : packing홈
230 : 결합력 270 : 압착packing
231 : 볼트공 271 : U형 SUS반도
232 : 볼트 272 : U형 톱날SUS반도
240 : 받침대 273 : 고무packing
250 : 수밀pack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반도 이음장치로 원형관을 연결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고안의 원형관이음장치의 사시도로서 재질은 재활용합성수지로 2개의 반원형상으로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로 구성하였으며 하부반도(220)에는 받침대(240)를 형성하여 원형관을 연결시 관이 굴러가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 강도을 높이도록 하였고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의 양측부에 볼트공(231)이 구비된 결합턱(230)을 각각 형성하고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의 내부와 걸합턱(230)에는 packing 홈(260)을 구비하고 packing홈(260)에 도4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수밀packing(250)을 상부반도(210)와 그 결합턱(230)의 Packing홈(260)에 설치하고 또 하부반도(220)와 그 결합턱(230)의 Packing홈(260)에 빠지지 않게 각각 설치 하였다. packing홈(260)의 구조는 입구는 폭이 좁고 내부는 넓게 하여 수밀 packing(250)이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도5는 본고안의 압착packing(260)사시도로서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의 각각 양단부 내부에 packing홈(260)을 구비하고 packing홈(260)에 압착packing을 빠지지 않도록 설치 하였다
압착packing(260)은 U형 SUS반도에 고무packing(273)을 삽입하여 원형관을 더욱 효과적으로 압착하여 부등침하나 지진에도 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U형 SUS반도에 고무packing을 삽입한 것은 상,하부반도(210,220)의 결합턱(230)은 볼트(232)로 조일 때 원형관체를 보호하고 압착효과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또 U형SUS반도 대신에 U형 톱날 SUS반도(272)를 사용하여 압착 효과를 더욱 높이도록 하였다.
도6은 본고안의 다른실시예의 받침대 정면도이다.
도7은 본고안의 다른실시예의 원형관 이음장치의 정면도이다. 원형의 반도로서 반도양단부에 볼트공(231)이 구비된 결합턱(230)을 형성하여 볼트(232)로 결합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밀packing과 압착packing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원형으로 형성하고 원형반도하부에 받침대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고안은 원형관을 연결하는 이음장치로서 하부반도 중앙에 두관을 서로 맞대어 설치하고 그위에 상부반도를 덮어 쒸운 후 결합턱을 볼트로 결합하여 연결하는 아주 간단한 이음장치로서 그 내부에 수밀packing 과 압착packing을 설치하여 수밀은 물론 지진시에도 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하부반도에 받침대를 형성하여 관연결에 편리하도록 고안한 원형관 이음장치이다.
종래의 원형관 연결이음장치는 각양각색으로 완전한 것이 없었다. 연결이 간편하면 수밀이 잘 안되거나 관이 이탈되는 문제가 있고 또 수밀이 완전하면 연결이 불편하고 연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고안의 원형 관이음장치는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로 견고하게 제작하였으며 간단하게 2개의 반원형 반도로 구성되어 연결이 아주 간편하고 내부의 수밀pakcing과 압착packing으로 수밀이 완전하고 관이탈을 방치하였으며 연결작업시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고 강도를 높이는 받침대을 형성하여 원형관 이음장치에 새로운 발전을 갖게 되었으며 재활용합성수지재질로 환경친화적인재품이고 그 수명이 거의 영구적으로 매우 효과가 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원형관을 상호연결하는 2개의 반원형상의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로 구성하고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의 양측부에 볼트공(231)이 구비된 걸합턱(230)을 각각 형성한 이음장치에 있어서 하부반도에(220) 받침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관 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원형관을 상호 연결하는 2개의 반원형상의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로 구성하고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의 양측부에 볼트공(231)이 구비된 걸합턱(230)을 각각 형성한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부반도(210)의 내부와 하부반도(220)의 내부와 각각 그 걸합턱(230)에 packing홈(260)을 구비하되 packing홈(260)의 형상을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게 형성하여 상부반도(210)와 그 결합턱(260)에 구비된 packing홈(260)에 일체로된 수밀packing(250)을 설치하고 또 하부반도(230)와 그 결합턱(230)에 구비된 packing홈(260)에 일체로된 수밀packing(2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관 이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원형관을 상호 연결하는 2개의 반원형상의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로 구성하고 상부반도(210)와 하부만도(220)의 양측부에 볼트공(231)이 구비된결합턱(230)을 각각 형성된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의 내부 양단부에 packing홈(260)을 구비하고 그 packing 홈(260)에 U형SUS반도에 고무packing(273)이 삽입된 압착packing(27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관이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원형관은 상호연결시키는 2개의 반원형상의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로 구성하고 상부반도(210)와 하부반도(220)의 양측부에 볼트공(231) 구비된 결합턱(230)을 각각 형성한 이음장치에 있어서 하부반도(220)의 받침대(240)의 형상이 하부반도(220)의 하단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관이음장치
KR2020020002718U 2002-01-28 2002-01-28 원형관 이음장치 KR200274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718U KR200274871Y1 (ko) 2002-01-28 2002-01-28 원형관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718U KR200274871Y1 (ko) 2002-01-28 2002-01-28 원형관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871Y1 true KR200274871Y1 (ko) 2002-05-11

Family

ID=7311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718U KR200274871Y1 (ko) 2002-01-28 2002-01-28 원형관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8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517B1 (ko) 2010-02-05 2012-07-27 엄영미 분리 조립형 배수관
KR101194591B1 (ko) * 2012-07-02 2012-11-12 부림산업개발(주)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517B1 (ko) 2010-02-05 2012-07-27 엄영미 분리 조립형 배수관
KR101194591B1 (ko) * 2012-07-02 2012-11-12 부림산업개발(주)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11508A (ja) パイプ修理用クランプ
KR102019258B1 (ko) 난방용 온수마루
KR200274871Y1 (ko) 원형관 이음장치
KR100772118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0596742B1 (ko) 관 접속구조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KR200302163Y1 (ko) 이중수밀유지용 관
KR200187811Y1 (ko) 관의 이음장치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246835Y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KR101090413B1 (ko) 관 연결구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JP2002310359A (ja) 波付管の端部構造
KR100637049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지중 매설되는 상하수관용 연결 소켓
KR200184213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20090035979A (ko) 관이음용 조인트
KR200390468Y1 (ko) 벌어지는 파이프 이음관용 홀더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20080001062U (ko) 관연결부 일체형 고강도관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200289282Y1 (ko) 합성수지관 반도이음장치
KR200380676Y1 (ko) 가스관 연결장치
KR200352829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1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1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0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