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40952B1 - 송수관용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송수관용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952B1
KR101040952B1 KR1020110000830A KR20110000830A KR101040952B1 KR 101040952 B1 KR101040952 B1 KR 101040952B1 KR 1020110000830 A KR1020110000830 A KR 1020110000830A KR 20110000830 A KR20110000830 A KR 20110000830A KR 101040952 B1 KR101040952 B1 KR 101040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bolt
packing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5Rolling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용 연결구조는 관본체부; 상기 관본체부의 일측 단부에서 확관되도록 접합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일측 단부가 내삽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선단과 소켓부 내경 사이에 내삽되어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패킹; 상기 소켓부의 외경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재; 상기 플랜지부재에 대향 설치되어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이용해 상호 체결되고, 볼트 체결력에 의해 패킹이 소켓부 내면에 압착되도록 가압하는 압륜; 및 상하 반체로 제작된 한 쌍이 연결관의 외면과 압륜의 후단이 동시에 감싸지도록 결합되어 압륜과 연결관 사이가 연결되도록 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수관용 연결구조{an expansion joint for water pipe }
본 발명은 송수관용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이나 하수관과 같은 송수관들은 그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원하는 목적지까지 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주로 송수관들의 결합부에는 조인트가 장착되어 관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인트는 주로 단순하게 양측관들을 결합시킨 것이므로 지반이 침하되거나 송수관 내부에 과도한 수압이 발생되면 조인트에서 양측 관들이 이탈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탈 방지용 조인트가 개발된 것이 있으나, 이와 같은 조인트는 관이 이탈되는 폐단을 줄일 수 있는 반면 관을 과도하게 조여줌에 따라 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지반의 침하가 이루어질 때 지하에 매설된 관의 이탈 및 누수 등으로 막대한 예산 낭비가 있었고 이를 위하여 내진을 이룰 수 있는 신축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으며, 지진의 위험에 안심할 수 없는 한반도의 실정을 감안하여 신축되는 조인트에 의하여 내진을 목적으로 한 설계를 이루도록 하였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0659호의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일측 송수관(10)이 타측 송수관(11)의 내부에 삽입되어 패킹(12)에 의하여 밀폐되고, 그 외측에 장착된 압륜(20)의 결합공(20a)들에는 고정용 볼트(22)가 삽입되어 그 선단의 걸림부(22a)가 타측 송수관(11)의 플랜지(11a)에 걸려져 너트(23)로 조임되면서 압륜(20)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돌출부(21)가 패킹(12)을 가압시키는 조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 송수관(10)의 외측에는 그 내측면에 요철부(32)를 갖는 지지관(30)이 장착되고, 타측 송수관(11)에 고정된 압륜(20)의 외측에는 안내관(40)이 돌출 형성되며 지지관(30)과, 안내관(40)들의 내,외주연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31)(41)들이 서로 결합되어 일정거리 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은 주철로 제작된 송수관(11)을 연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관이 쉽게 부식되어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관 내외면에 에폭시 코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번거롭고 비용이 고가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주철관은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운반 및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조인트장치는 송수관(11)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1a)를 고정용볼트(22)의 걸림부(22a)를 이용해 결합되기 때문에 체결력이 국부적으로 작용되어 결합이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본체부, 소켓부, 연결관의 재질을 모두 스테인레스강관 재질로 구성하여 부식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시공이 편리한 이점을 갖는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켓부를 별도 제작하여 관본체부 및 연결관에 용접(W)하여 일체형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제작이 가능하고, 복잡 다양한 구조에 따른 금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켓부 측에 결합되도록 한 플랜지부재와, 클램프부재에 의해 연결관에 결합되는 압륜 사이를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이용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이탈 저지성 및 관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륜의 볼트체결과정에서 패킹을 가압시켜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이 뛰어난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랜지부재와 압륜 사이를 관통 결합하는 볼트부재의 체결방향을 연결관의 삽입방향에서 체결되도록 하고, 볼트부재의 머리부가 압륜의 볼트머리수용부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며, 체결작업이 편리한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프부재를 상하 반체로 제작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클램프부재의 일단부에 형성한 관 압착부의 내면에 다수의 요철돌기를 형성하여 압착과정에서 연결관의 외면을 요철돌기가 파고들어 미끌림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수압에도 견디도록 하여 관 연결부 특히 곡관 등의 이형관 연결부에서의 누수 및 이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 반체로 제작된 클램프부재의 걸림턱을 45도 방향에 4개를 형성함으로써, 클램프부재의 구조를 간결하게 할 수 있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본체부; 상기 관본체부의 일측 단부에서 확관되도록 접합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일측 단부가 내삽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선단과 소켓부 내경 사이에 내삽되어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패킹; 상기 소켓부의 외경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재; 상기 플랜지부재에 대향 설치되어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이용해 상호 체결되고, 볼트 체결력에 의해 패킹이 소켓부 내면에 압착되도록 가압하는 압륜; 및 상하 반체로 제작된 한 쌍이 연결관의 외면과 압륜의 후단이 동시에 감싸지도록 결합되어 압륜과 연결관 사이가 연결되도록 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본체부는, 직관, 곡관, 편락관, T자관 및 플랜지소켓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켓부는 연결관의 일단이 결합 안내되도록 확관되는 관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유도부에 연장되어 패킹이 삽입되도록 확관되는 패킹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은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되, 소켓부 측의 진입머리부가 경사진 쐐기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재는 내경둘레에 소켓부의 패킹삽입부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내면경사부가 형성되고, 외경둘레에 볼트부재가 관통되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륜은 원통형 일단부 둘레에 환형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환형테의 반대측에 패킹의 진입방향 후단을 가압시키기 위해 연장되는 가압단이 형성되며, 외경둘레에 볼트부재의 머리부가 묻히도록 결합되는 볼트머리수용부가 다수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머리수용부를 사각의 홈형상으로 제작하되, 연결관의 삽입방향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하 반체의 반원형 링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반원형 링의 양측 호 끝단에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로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일측방향의 내면 원주부에 연결관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하는 관 압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압착부의 반대측 방향의 내면 원주부에 압륜의 후단부 원주방향에 돌출 형성시킨 환형테에 물려지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는 볼트머리의 형상이 사각형인 T볼트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관본체부, 소켓부, 연결관의 재질을 모두 스테인레스강관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부식이 적어 수질관리에 효과적이며, 가볍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부를 별도 제작하여 관본체부 및 연결관에 용접(W)하여 일체형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제작이 가능하고, 복잡 다양한 구조에 따른 금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부 측에 결합되도록 한 플랜지부재와, 클램프부재에 의해 연결관에 결합되는 압륜 사이를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이용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이탈 저지성 및 관결합력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압륜의 볼트체결과정에서 패킹을 가압시켜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이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부재와 압륜 사이를 관통 결합하는 볼트부재의 체결방향을 연결관의 삽입방향에서 체결되도록 하고, 볼트부재의 머리부가 압륜의 볼트머리수용부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며, 체결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부재를 상하 반체로 제작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클램프부재의 일단부에 형성한 관 압착부의 내면에 다수의 요철돌기를 형성하여 압착과정에서 연결관의 외면을 요철돌기가 파고들어 미끌림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수압에도 견디도록 하여 관 연결부 특히 곡관 등의 이형관 연결부에서의 누수 및 이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 반체로 제작된 클램프부재의 걸림턱을 45도 방향에 4개를 형성함으로써, 클램프부재의 구조를 간결하게 할 수 있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륜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저면도 및 단면도.
도 13내지 도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용 연결구조의 관본체부 및 소켓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용 연결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용 연결구조는 크게 관본체부(110), 소켓부(120), 연결관(130), 패킹(140), 압륜(160), 및 클램프부재(18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본체부(11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관본체부(110)는 스테인레스강관으로 제작되는데, 직관, 곡관, 편락관, T자관 및 플랜지소켓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고, 어느 일측단부에는 소켓부(120) 접합 형성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소켓부(120)는 스테인레스강관으로 제작되는데, 일측단부가 관본체부(110) 측에 용접(W)을 통해 접합되며, 타측단부가 확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소켓부(120)는 연결관(130)의 일단이 결합 안내되도록 확관되는 관유도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관유도부(121)에 연장되어 패킹(140)이 삽입되도록 확관되는 패킹삽입부(1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부(110)에 연결관(130)의 일측 단부가 내삽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관(130)의 선단과 소켓부(120) 내경 사이에 패킹(140)이 내삽되어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130)은 스테인레스강관으로 제작되며, 좌우 어느 일단에 소켓부(11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패킹(140)은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되, 소켓부(120) 측의 진입머리부가 경사진 쐐기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켓부(120)의 외경에 플랜지부재(150)가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부재(150)는 내경둘레에 소켓부(120)의 패킹삽입부(123)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내면경사부(151)가 형성되고, 외경둘레에 볼트부재(171)가 관통되는 다수의 볼트공(153)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랜지부재(150)는 소켓부(120) 외경에 용접(W')을 통해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재(150)에 대향하여 압륜(160)이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륜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압륜(160)은 볼트부재(171)) 및 너트부재(173)를 이용해 플랜지부재(150)와 상호 체결되도록 하는데, 볼트 체결 과정에서 체결력에 의해 패킹(140)이 소켓부(120) 내면에 압착되도록 가압하게 된다.
상기 압륜(160)은 원통형 일단부 둘레에 환형테(16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환형테(161)의 반대측에 패킹(140)의 진입방향 후단을 가압시키기 위해 연장되는 가압단(163)이 형성되며, 외경둘레에 볼트부재(171)의 머리부가 묻히도록 결합되는 볼트머리수용부(165)가 다수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머리수용부(165)를 사각의 홈형상으로 제작하되, 연결관(130)의 삽입방향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171)는 볼트머리의 형상이 사각형인 T볼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반체로 제작된 클램프부재(180) 한 쌍이 연결관(130)의 외면과 압륜(160)의 후단이 동시에 감싸지도록 결합되어 압륜(160)과 연결관(130) 사이가 연결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저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부재(180)는, 상하 반체의 반원형 링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반원형 링의 양측 호 끝단에 체결볼트(187) 및 체결너트(188)로 결합되는 체결부(185)가 형성되고, 일측방향의 내면 원주부에 연결관(130)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하는 관 압착부(183)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압착부(183)의 반대측 방향의 내면 원주부에 압륜(160)의 후단부 원주방향에 돌출 형성시킨 환형테(161)에 물려지는 다수의 걸림턱(18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압착부(183)의 내면에는 다수의 요철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체결볼트(187) 및 체결너트(188)을 이용한 체결과정에서 연결관(130)의 외면을 압착시켜 요철돌기가 파고들어 미끌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요철돌기의 형상은 관압착부(183)의 내면을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도록 하는 탭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압착부(183)가 연결관(130)의 외경을 압착 고정한 상태이고, 반대측에 형성된 걸림턱(181)이 압륜(160)에 형성된 환형테(161)에 맞물려 관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81)은 체결부(185)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양측 45도 각도에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하 반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4개의 걸림턱(181)이 소압륜(160)에 형성된 환형테(161)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턱(181)을 45도 방향에 4개를 형성함으로써, 클램프부재(180)의 구조를 간결하게 할 수 있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3내지 도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용 연결구조의 관본체부 및 소켓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은 직관형태로 제작된 관본체부(110)의 양단부 각각에 소켓부(120)를 동시에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4는 직관형태로 제작된 관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소켓부(120)를 형성하고 타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5는 양측단의 직경을 달리하는 직관형태로 제작된 관본체부(110)의 양단부 각각에 소켓부(120)를 동시에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6은 T자관형태로 제작된 관본체부(110)의 각 단부에 소켓부(120)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17, 도 18은 곡관형태로 제작된 관본체부(110)의 단부에 소켓부(120)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관본체부(110), 소켓부(120), 연결관(130)의 재질을 모두 스테인레스강관재질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는 부식이 적어 수질관리에 효과적이며, 가볍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부(120)를 별도 제작하여 관본체부(110) 및 연결관(130)에 용접(W)하여 일체형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제작이 가능하고, 복잡 다양한 구조에 따른 금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부(120) 측에 결합되도록 한 플랜지부재(150)와, 클램프부재(180)에 의해 연결관(130)에 결합되는 압륜(160) 사이를 볼트부재(171) 및 너트부재(173)를 이용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이탈 저지성 및 관결합력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압륜(160)의 볼트체결과정에서 패킹(140)을 가압시켜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이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부재(150)와 압륜(160) 사이를 관통 결합하는 볼트부재(171)의 체결방향을 연결관(130)의 삽입방향에서 체결되도록 하고, 볼트부재(171)의 머리부가 압륜(160)의 볼트머리수용부(165)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며, 체결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부재(180)를 상하 반체로 제작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클램프부재(180)의 일단부에 형성한 관 압착부(183)의 내면에 다수의 요철돌기를 형성하여 압착과정에서 연결관(130)의 외면을 요철돌기가 파고들어 미끌림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수압에도 견디도록 하여 관 연결부 특히 곡관 등의 이형관 연결부에서의 누수 및 이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 반체로 제작된 클램프부재(180)의 걸림턱(181)을 45도 방향에 4개를 형성함으로써, 클램프부재(180)의 구조를 간결하게 할 수 있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110: 관본체부 120: 소켓부
121: 관유도부 123: 패킹삽입부
130: 연결관 140: 패킹
150: 플랜지부재 151: 내면경사부
153: 볼트공 160: 압륜
161: 환형테 163: 가압단
165: 볼트머리수용부 171: 볼트부재
173: 너트부재 180: 클램프부재
181: 걸림턱 183: 관 압착부
185: 체결부 185a: 볼트 관통홀
187: 체결볼트 188: 체결너트

Claims (9)

  1. 관본체부(110);
    상기 관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확관되도록 접합되는 소켓부(120);
    상기 소켓부(110)에 일측 단부가 내삽되는 연결관(130);
    상기 연결관(130)의 선단과 소켓부(120) 내경 사이에 내삽되어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패킹(140);
    상기 소켓부(120)의 외경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재(150);
    상기 플랜지부재(150)에 대향 설치되어 볼트부재(171)) 및 너트부재(173)를 이용해 상호 체결되고, 볼트 체결력에 의해 패킹(140)이 소켓부(120) 내면에 압착되도록 가압하는 압륜(160); 및
    상하 반체로 제작된 한 쌍이 연결관(130)의 외면과 압륜(160)의 후단이 동시에 감싸지도록 결합되어 압륜(160)과 연결관(130) 사이가 연결되도록 하는 클램프부재(180);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재(150)는 내경둘레에 소켓부(120)의 패킹삽입부(123)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내면경사부(151)가 형성되고, 외경둘레에 볼트부재(171)가 관통되는 다수의 볼트공(1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본체부(110)는, 직관, 곡관, 편락관, T자관 및 플랜지소켓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20)는 연결관(130)의 일단이 결합 안내되도록 확관되는 관유도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관유도부(121)에 연장되어 패킹(140)이 삽입되도록 확관되는 패킹삽입부(1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140)은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되, 소켓부(120) 측의 진입머리부가 경사진 쐐기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륜(160)은 원통형 일단부 둘레에 환형테(16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환형테(161)의 반대측에 패킹(140)의 진입방향 후단을 가압시키기 위해 연장되는 가압단(163)이 형성되며, 외경둘레에 볼트부재(171)의 머리부가 묻히도록 결합되는 볼트머리수용부(165)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머리수용부(165)를 사각의 홈형상으로 제작하되, 연결관(130)의 삽입방향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180)는, 상하 반체의 반원형 링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반원형 링의 양측 호 끝단에 체결볼트(187) 및 체결너트(188)로 결합되는 체결부(185)가 형성되고, 일측방향의 내면 원주부에 연결관(130)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하는 관 압착부(183)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압착부(183)의 반대측 방향의 내면 원주부에 압륜(160)의 후단부 원주방향에 돌출 형성시킨 환형테(161)에 물려지는 다수의 걸림턱(18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171)는 볼트머리의 형상이 사각형인 T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연결구조.
KR1020110000830A 2011-01-05 2011-01-05 송수관용 연결구조 KR101040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830A KR101040952B1 (ko) 2011-01-05 2011-01-05 송수관용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830A KR101040952B1 (ko) 2011-01-05 2011-01-05 송수관용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952B1 true KR101040952B1 (ko) 2011-06-16

Family

ID=4440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830A KR101040952B1 (ko) 2011-01-05 2011-01-05 송수관용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918B1 (ko) * 2020-08-12 2021-06-11 방만혁 관 연결 장치, 및 그 구조
CN116085566A (zh) * 2023-01-10 2023-05-09 安耐特流体输送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性高的大口径弯头管道连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818U (ko) 1976-03-17 1977-09-20
KR960005627U (ko) * 1994-07-20 1996-02-17 주식회사 동원프라스틱 관 접속장치
KR20100035453A (ko) * 2008-09-26 2010-04-05 (주) 삼정디씨피 클램프 거치부재
KR100952726B1 (ko) 2010-01-11 2010-04-13 성우파이프 (주)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818U (ko) 1976-03-17 1977-09-20
KR960005627U (ko) * 1994-07-20 1996-02-17 주식회사 동원프라스틱 관 접속장치
KR20100035453A (ko) * 2008-09-26 2010-04-05 (주) 삼정디씨피 클램프 거치부재
KR100952726B1 (ko) 2010-01-11 2010-04-13 성우파이프 (주)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918B1 (ko) * 2020-08-12 2021-06-11 방만혁 관 연결 장치, 및 그 구조
CN116085566A (zh) * 2023-01-10 2023-05-09 安耐特流体输送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性高的大口径弯头管道连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586B1 (ko) 이탈방지 압륜용 피복 강관
US20050104369A1 (en) Anchoring device for pipe coupling
KR20200041255A (ko) 액티브 그루브 조인트를 이용한 파이프 조인트방법
US3652110A (en) Formation of joints between tubular members
KR101907984B1 (ko) 파형 강관의 결속장치
KR101021190B1 (ko)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JP4412589B2 (ja) フランジ接合装置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101267263B1 (ko)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KR100717715B1 (ko)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KR20060082483A (ko) 파형강관 연결구
JP2024009299A (ja) 管継手離脱防止構造
KR101225697B1 (ko)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KR20044056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KR101044253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용 압륜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445298Y1 (ko) 편수식 클램핑 이음관
JP6709597B2 (ja) 管継手
KR200296093Y1 (ko) 링형 콜게이트관의 연결구조
KR100920866B1 (ko)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구
KR100540783B1 (ko) 배관용 연결구
KR100779984B1 (ko) 관 연결구
KR101172024B1 (ko) 상수도관 연결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