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55612A - 정보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612A
KR20040055612A KR1020030091728A KR20030091728A KR20040055612A KR 20040055612 A KR20040055612 A KR 20040055612A KR 1020030091728 A KR1020030091728 A KR 1020030091728A KR 20030091728 A KR20030091728 A KR 20030091728A KR 20040055612 A KR20040055612 A KR 20040055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schedule
time
op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바따유미
사까이도오루
야마다구니히로
Original Assignee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61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시설 정보 화면에 게재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설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시설 정보 화면으로부터 위치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위치 특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설정된 지정 지점을 포함하는 시설 정보를 등록하는 시설 정보 등록부와, 등록된 시설 정보를 격납하는 시설 정보 격납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정보 표시 시스템{Information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정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등의 차량에 배치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는, 도로 지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설정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가장 적절한 경로를 탐색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목적지 및 상기 목적지를 방문하는 날짜를 미리 등록해 두면, 등록된 당일에 자동적으로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상기 경로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내비게이션 장치도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경우, 차량의 운전자 등의 조작자가 행락지, 관광지, 방문지 등의 목적지를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고, 또한 상기 목적지를 방문하는 날짜, 예를 들어 다음 휴일의 월일을 입력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휴일이 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자동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경로가 표시 화면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목적지까지의 적절한 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미리 예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예정의 당일에 잊는 일 없이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도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자는 인터넷을 경유하여 홈페이지 등의 웹(Web)페이지에 억세스함으로써, 행락지, 관광지, 방문지 등에 있어서의 시설이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51671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는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취득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목적지를 설정하는 경우, 조작자는 상기 정보 중에서 지도 상에 있어서의 목적지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내비게이션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있었다. 그로 인해, 목적지의 설정에 시간과 수고가 들어 버린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를 인터넷에 접속하고, 검색을 행하여 시설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시설을 목적지로서 설정하는 경우, 조작자는, 우선 웹페이지에 게재된 상기 시설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인 주소나 전화 번호를 찾아내고, 계속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 상기 주소나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목적지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내비게이션 장치를 인터넷에 접속하여 검색을 행하기 위한 조작 및 내비게이션 장치에 주소나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고, 또한 틀림없이 입력하기 위해 상기 주소나 전화 번호를 메모에 취할 필요도 있다. 그로 인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 목적지를 설정할 때까지 긴 시간과 많은 수고가 들어 조작자는 번거롭게 느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설 정보 화면에 게재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하여 등록할 수 있는 정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단말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제1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단말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제2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설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단말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제1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단말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제2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등록된 스케줄을 안내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등록된 예정 일시를 변경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정보 제공 서버
12a, 12b : 정보 단말
14 : 송수신부
21 : PIM 데이터 베이스
24 : 경로 탐색부
25 : PIM 처리부
32 : 주소
33 : 전화 번호
그로 인해, 본 발명의 정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시설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시설 정보 화면으로부터 위치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위치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을 검색하는 검색부와, 검색된 시설의 지점을 포함하는 시설 정보를 등록하는 시설 정보 등록부와, 등록된 시설 정보를 격납하는 시설 정보 격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정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표시 장치 및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과, 상기 정보 추출부, 검색부, 시설 정보 등록부, 시설 정보 격납부 및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서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정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표시 장치, 정보 추출부, 검색부, 시설 정보 등록부 및 시설 정보 격납부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정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위치 특정 정보는 전화 번호 및 주소이고, 상기 시설 정보 등록부는 상기 전화 번호와 주소의 정합성을 검증하여 상기 시설의 지점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정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시설 정보는 예정 일시를 포함하는 스케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정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스케줄은 사전에 통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정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예정 일시를 경과한 스케줄은 삭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정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예정 일시를 경과한 스케줄은 예정 일시가 변경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1은 서버로서의 정보 제공 서버이고, CPU, MPU 등의 연산 수단,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기억 수단,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 안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일 컴퓨터가 아닌, 복수의 컴퓨터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소위 분산형 서버라도 좋다. 또한, 상기 컴퓨터 안에 다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는 다른 컴퓨터 안에 구축된 시스템 중 하나라도 좋다.
그리고, 부호 12a 및 12b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정보 단말 및 제2 정보 단말로서의 정보 단말이다. 상기 정보 단말은 실제로는 다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부호 12a 및 12b로 대표한다. 또한, 상기 조작자는, 예를 들어 승용차, 트럭, 버스, 오토바이 등의 차량 운전자, 동승자 등이지만, 보행자라도, 혹은 공공 교통 기관의 이용자라도 어떠한 사람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은 CPU, MPU 등의 연산 장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CRT 등의 표시 장치, 키보드, 조이 스틱, 십자 키, 누름 버튼,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의 음성 출력 장치 및 통신 인터페이스 등의 송수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은, 예를 들어 승용차, 트럭, 버스, 오토바이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내비게이션 장치이지만, 거치 전화기, 휴대 전화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 디지털 텔레비전 등 어떠한 것이라도좋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은 도시되지 않은 현재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현재 위치 검출 장치는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이,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인 경우, 일반적으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지자기 센서, 거리 센서, 스티어링 센서, 비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에 의해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 등인 경우, 일반적으로는 상기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 등이 권역 내에 존재하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기초로 하여 상기 기지국의 위치를 현재 위치로서 검출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 등에 GPS 수신기를 부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 및 정보 단말(12a, 12b)은 네트워크(27)를 거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27)는 유선 또는 무선의 공중 통신 회선망, 전용 통신 회선망, 휴대 전화 회선망,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위성 통신 회선망 등 어떠한 통신 회선망이라도 좋고,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방송 위성에 의한 CS 방송이나 BS 방송을 이용하여 통신해도 좋고,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이용하여 통신해도 좋고, FM 다중 방송을 이용하여 통신해도 좋고, 또한 도로 옆에 설치되어 있는 광비콘이나 전파 비콘을 이용하여 통신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표시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 및 정보 단말(12a, 12b)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자는 미리 상기 정보 표시 시스템에 등록되어 등록 ID를 소유하는 사람이다. 또한, 상기 정보단말(12a, 12b)도 각각 등록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은 브라우저(Browser) 소프트웨어를 격납하고, 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웹사이트의 페이지나 홈페이지, 즉 웹페이지에 억세스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게재된 각종 정보를 브라우즈할, 즉 열람할 수 있다. 또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등의 웹사이트에 억세스하여 원하는 정보가 게재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검색을 의뢰할 수도 있다. 또한, ASP 등의 웹사이트로부터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 로드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는 상기 정보 단말(12a, 12b)로부터 송신된 출발지, 목적지 등의 정보 및 그 밖의 각종 정보를 기초로 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등의 정보나 그 밖의 각종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12a, 12b)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부(13), 상기 정보 단말(12a, 12b)과 정보의 교환을 하는 송수신부(14), 상기 정보를 순차적으로 상기 정보 단말(12a, 12b)마다 격납하는 단말 정보 격납부(15) 및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을 ID 키 등을 기초로 하여 특정하기 위한 단말 특정부(16)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정보 제공부(13)는 지도 정보 격납부로서의 지도 데이터 베이스(17), POI(Point of Interest) 데이터 베이스(18), 도로 데이터 베이스(19), 도로 교통 정보 격납부로서의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20), 스케줄 정보 격납부로서의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 데이터 베이스(21) 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지도 데이터 베이스(17)는 지도를 묘화하기 위한 노드, 링크,좌표, 시설 명칭 등의 지도 정보를 격납한다. 또한, 상기 POI 데이터 베이스(18)는 출발지, 목적지, 통과점 등이 되는 지점을 검색하기 위한 시설 데이터, 타운 페이지 데이터, 이벤트 데이터 등을 격납한다. 또한, 상기 도로 데이터 베이스(19)는 도로의 탐색 비용, 도로의 종별 등의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데이터를 격납한다.
또한, 상기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20)는, 예를 들어 VICS(R)라 불리우는 도로 교통 정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경찰, 일본 도로 공단 등의 교통 관제 시스템의 정보를 수집하여 작성한 도로의 정체 등에 관한 정보나 교통 규제 정보 등의 도로 교통 정보를 격납한다. 또한, 상기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20)는 축제, 퍼레이드, 불꽃놀이 대회 등의 이벤트 개최 예정 장소, 예정 일시 등의 이벤트 예정 정보, 예를 들어 역 주변이나 대형 상업 시설 주변의 도로에는 주말을 제외하고 매일 특정 시각에 정체가 발생한다든지, 해수욕장 주변의 도로에는 하계 휴가 시기에 정체가 발생하는 등의 통계적 정체 정보, 기상청이 작성하는 일기 예보 등의 기상 정보 등도 격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PIM 데이터 베이스(21)에는 조작자의 1인마다 대응하는 개인 파일이 작성되어 격납되어 있고, 상기 개인 파일의 각각에는 각 조작자의 스케줄, 카렌더, 주소록, 전화 번호부, 등록 지점표, 메모 등의 개인적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인 파일의 속에는 스케줄, 카렌더, 주소록, 전화 번호부, 등록 지점표, 메모 등의 개인적 정보를 각각 격납하기 위한 스케줄 파일, 카렌더 파일, 주소록 파일, 전화 번호부 파일, 등록 지점표 파일, 메모 파일 등의 속성 파일이 상기 개인적 정보의 속성에 대응하여 전개되고, 구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인 파일은 미리 등록된 조작자마다 작성되지만, 정보 단말마다 작성되도록 해도 좋고, 상기 조작자가 복수의 등록 ID를 소유하는 경우, 등록 ID마다 작성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지도 데이터 베이스(17), POI 데이터 베이스(18), 도로 데이터 베이스(19),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20), PIM 데이터 베이스(21) 등이 격납되는 정보 제공 서버(11)의 기억 수단은 정보 제공 서버(11)의 내부 기억 매체라도 좋고, 외부 기억 매체라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내부 기억 매체 및 외부 기억 매체는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자기 드럼, CD-ROM, MD, DVD-ROM, 광디스크, MO, IC 카드, 광카드, 메모리 카드 등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부(13)는 상기 지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도를 묘화하는 지도 작성부(22), 상기 POI 데이터 베이스(18)에 격납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시설이나 목적지와 같은 소정 지점의 좌표 정보, 명칭, 주소 등의 지점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로서의 POI 검색부(23) 및 상기 도로 데이터 베이스(19),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20) 등에 격납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24)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부(13)는 상기 정보 단말(12a, 12b)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조작자의 스케줄, 카렌더, 주소록, 전화 번호부, 등록 지점표, 메모 등의 작성이나 갱신을 행하거나, 상기 스케줄, 카렌더, 주소록, 전화 번호부, 등록 지점표, 메모 등에 포함되는 정보를 추출하거나 하는 PIM 처리부(25) 및 상기 정보 단말(12a, 12b)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단말(12a, 12b)로 송신하기 위한 정보를 편집하거나 작성하거나 하는 송신 정보 작성부(26)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정보 제공부(13)는 도시되지 않은 목적지 설정부, 도착 예측 시각 산출부, 비교부 등을 갖는 동시에, PIM 프로그램, 경로 탐색용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여기서, 상기 PIM 프로그램은 휴대 정보 단말, PDA, 퍼스널 컴퓨터 등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개인 스케줄, 카렌더, 주소록, 전화 번호부, 등록 지점표, 메모 등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 경우, 상기 목적지 설정부는 목적지, 통과 지점, 등록 지점 등의 위치 정보가 스케줄, 카렌더, 주소록, 전화 번호부, 등록 지점표, 메모 등에 등록되어 있을 때에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목적지 설정을 행한다. 또한, 도착 예측 시각 산출부는 경로 탐색부(24)에 의해 탐색된 경로의 정보, 예를 들어 도로 구간마다의 소요 시간 데이터의 합을 기초로 하여 상기 목적지에 도착할 시각, 즉 도착 예측 시각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도착 예측 시각 산출부는 일정 시간마다 도착 예측 시각을 갱신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때,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20)에 격납된 최신 정체 정보, 교통 규제 정보 등도 가미하여 도착 예측 시각을 다시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도착 예측 시각과 도착 희망 시각을 비교한다.
한편,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와 상기 스케줄, 카렌더, 주소록, 전화 번호부, 등록 지점표, 메모 등에 포함되는 정보나 그 밖의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 및 표시 제어 장치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표시 장치에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로부터 송신된 카렌더 및 지도를 표시시키고,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의 현재 위치, 목적지, 주변 시설 등을 표시시킨다. 또한, 상기 도착 희망 시각, 도착 예측 시각, 목적지의 명칭, 주소 등의 정보, 시설 데이터, 타운 페이지 데이터, 이벤트 데이터, 도로 교통 정보, 이벤트 예정 정보, 통계적 정체 정보, 기상 정보 등의 각종 정보도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제공 서버(11)가 지도 데이터 베이스(17), PIM 데이터 베이스(21) 등의 데이터 베이스 및 경로 탐색부(24), PIM 처리부(25) 등의 수단을 갖고, 정보 단말(12a, 12b)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경로 탐색이나, 스케줄, 카렌더, 주소록, 전화 번호부, 등록 지점표, 메모 등의 작성, 갱신, 편집 등을 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정보 단말(12a, 12b)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을 소형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조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이 상기 지도 데이터 베이스(17) 등의 데이터 베이스 및 경로 탐색부(24) 등의 수단을 갖고 경로 탐색 등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어 운영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POI 데이터 베이스(18), 도로 데이터 베이스(19),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20), PIM 데이터 베이스(21), POI 검색부(23), PIM 처리부(25), 목적지 설정부, 도착 예측 시각 산출부, 비교부 등도 정보 제공 서버(11)가 아닌 정보단말(12a, 12b)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기능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정보 단말(12a, 12b)의 표시 장치 또는 음성 출력 장치는 탐색된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로서 기능하고, PIM 처리부(25)는 웹페이지의 화면 등의 시설 정보 화면으로부터 위치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시설의 지점을 포함하는 시설 정보를 등록하는 시설 정보 등록부로서 기능하고, PIM 데이터 베이스(21)는 등록된 시설 정보를 격납하는 시설 정보 격납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시설 정보는 시설에 관한 각종 정보이지만, 예정 일시 등을 포함하는 스케줄이라도 좋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정보 표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정보 제공 서버(11)가 지도 데이터 베이스(17), POI 데이터 베이스(18),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20), PIM 데이터 베이스(21) 등의 데이터 베이스 및 경로 탐색부(24), PIM 처리부(25) 등의 수단을 갖고, 정보 단말(12a)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경로 탐색이나, 스케줄, 카렌더, 주소록, 전화 번호부, 등록 지점표, 메모 등의 작성, 갱신, 편집 등을 행하고, 그 결과를 정보 단말(12a)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단말(12a)은 차량에 탑재되는 내비게이션 장치라 상정한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12b)이 휴대 전화기 또는 PHS 전화기이고, 상기 조작자는 상기 정보 단말(12b)을 조작하여 경로 탐색이나, 스케줄, 카렌더, 주소록, 전화 번호부, 등록 지점표, 메모 등의 작성, 갱신, 편집 등의 요구를 정보 제공 서버(11)로 송신하고, 그 결과를 차량에 탑재되는 내비게이션 장치인 정보단말(12a)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동일 조작자가 상기 정보 단말(12a 및 12b)을 조작하는 것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단말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제1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단말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제2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설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조작자는 정보 단말(12a)을 조작하고, 네트워크(27)를 경유하여 원하는 정보가 게재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검색을 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사이트라 통칭되는 웹사이트에 억세스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자는 일, 공부, 취미, 스포츠, 외식, 구경, 쇼핑, 잡용 등에 관한 정보가 게재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검색을 행한다. 여기서는, 정보를 등록하는 대상인 시설로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레스토랑의 정보가 게재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검색을 행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조작자는 상기 정보 단말(12a)에 격납되어 있는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를 기동시키고, 웹사이트에 억세스하여 검색 조건 입력 화면을 상기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요리의 종류, 요금 등의 조건을 입력하여 검색을 행하면,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레스토랑의 정보가 게재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나 링크가 형성된 레스토랑의 명칭 등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링크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에 있어서 앵커 태그에 협지된 문자열을 클릭하면, 상기 앵커 태그가 지정하는 파일이나 문자열에 점프하는 구조이다.
계속해서, 상기 조작자는 상기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된 상기 URL이나 링크가 형성된 레스토랑의 명칭 등을 클릭한다. 여기서는, 상기 레스토랑의 명칭을 클릭한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레스토랑의 홈페이지와 같이 상기 레스토랑의 정보가 게재되어 있는 웹페이지에 점프하여 시설 정보 화면으로서 상기 웹페이지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표시 화면(30)이 상기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정보 표시 화면(30)에는 시설의 명칭으로서의 레스토랑의 명칭(31), 시설의 주소로서의 레스토랑의 주소(32), 시설의 전화 번호로서의 레스토랑의 전화 번호(33)가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보 제공 서버(11)의 POI 데이터 베이스(18)에 격납되어 있는 시설 데이터, 타운 페이지 데이터 등에는 시설의 주소(32)와 전화 번호(33)의 대응표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전화 번호부 등에 의해 공표된 전화 번호(33)나 조작자 등에 의해 미리 등록된 전화 번호(33)의 경우, 상기 전화 번호(33)를 기초로 하여 대응하는 시설의 주소(32)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의 지도 정보 데이터 베이스(17)에 격납되어 있는 지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주소(32)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좌표를 특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목적지인 지정 지점, 즉 시설의 지점으로서의 상기 시설의 주소(32) 및 시설의 전화 번호(33)는 시설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위치 특정 정보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정보 표시 화면(30)에는, 상기 주소(32) 및 전화 번호(33)는 각각 하나씩 포함되어 있지만, 복수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정보 표시 화면(30)에는 조작자가 상기 레스토랑의 위치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취득 지시 수단으로서의 취득 버튼(34)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취득 버튼(34)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단말(12a)의 입력 장치가 취득 지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즉, 조작자는 정보 단말(12a)의 키보드, 조이 스틱, 열십자키, 누름 버튼,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레스토랑의 위치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자가 상기 취득 버튼(34)을 클릭하거나 누르거나 함으로써 상기 레스토랑의 위치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지시하면, 상기 정보 표시 화면(30) 및 상기 레스토랑의 위치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것의 지시가 정보 제공 서버(11)로 송신된다. 계속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의 PIM 처리부(25)는 자연어로 기재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 등의 소정의 어구를 추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정보 표시 화면(30)으로부터 전화 번호(33)를 추출한다.
이 경우, 상기 PIM 처리부(25)는 전화 번호(33)와 주소(32)의 정합성을 검증하여 지정 지점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우선, 상기 PIM 처리부(25)는 상기 정보 표시 화면(30)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숫자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4자리수 연속된 숫자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상의 문장, 즉 텍스트에 있어서 사용되는 숫자는 3자리수 이하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4자리수 연속된 숫자 데이터는 전화 번호(33)에 포함되는 숫자인 개연성이 매우 높은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PIM 처리부(25)는 상기 4자리수 연속된 숫자 데이터 및 텍스트에 있어서 상기 숫자 데이터의 전방에 위치하는 숫자 데이터를, 즉 상기 4자리수 연속된 숫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방의 숫자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숫자 데이터의 자리수가 9 또는 1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본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는 9자리수 또는 10자리수이므로, 자리수가 9 또는 10이 아닌 숫자 데이터는 전화 번호(33)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PIM 처리부(25)는 상기 9자리수 또는 10자리수의 숫자 데이터의 최초의 숫자, 즉 제1 자리수째의 숫자가 O(제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본에 있어서의 전화 번호의 시외 국번은 O으로부터 개시되므로, 제1 자리수째의 숫자가 0이 아니면 상기 숫자 데이터는 전화 번호(33)가 아니고, 제1 자리수째의 숫자가 0이면 상기 숫자 데이터는 전화 번호(33)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PIM 처리부(25)는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검색한 모든 숫자 데이터에 관하여 전술된 동작을 반복하여 전화 번호(33)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정보 표시 화면(30)으로부터 전화 번호(33)가 추출된다. 또한, 상기 정보 표시 화면(30)에 레스토랑의 전화 번호(33) 이외의 전화 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때, 즉 복수의 전화 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모든 전화 번호가 추출된다.
다음에, 상기 PIM 처리부(25)는 추출한 상기 전화 번호(33)를 기초로 하여시설로서의 레스토랑의 위치를 특정한다. 이 경우, 상기 PIM 처리부(25)는, 우선 POI 데이터 베이스(18)에 격납되어 있는 시설의 주소(32)와 전화 번호(33)의 대응표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정보 표시 화면(30)으로부터 추출된 모든 전화 번호에 대해 대응하는 시설을 검색한다. 그리고, 각각의 전화 번호에 대해 대응하는 시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대응하는 시설이 없는 경우에는, 다음 전화 번호에 대해 대응하는 시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대응하는 시설이 있는 경우, 상기 PIM 처리부(25)는 상기 정보 표시 화면(30)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레스토랑의 주소(32)를 추출한다. 통상,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주소를 정확하게 추출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여기서는 자치 단체명(도, 도, 후, 껭)을 추출하여 그 이하의 행정 구획의 명칭, 즉 자치 단체명(시, 쪼, 손) 이나 번지 등은 추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자치 단체명(도, 도, 후, 껭)은「도」,「도」,「후」또는「껭」이라는 문자를 추출함으로써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IM 처리부(25)는 추출한 자치 단체명(도, 도, 후, 껭)과, 상기 전화 번호의 시외 국번에 대응하는 자치 단체명(도, 도, 후, 껭)을 비교하여 상기 레스토랑의 주소(32)와 상기 전화 번호(33)가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전화 번호에 대해 대응하는 시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주소(32)와 상기 전화 번호(33)가 대응하고 있는 경우, 상기 PIM 처리부(25)는 인식한 상기 전화 번호(33)가 정확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레스토랑의 주소(32), 즉 시설의 위치를 특정한다. 계속해서, 상기 PIM 처리부(25)는 특정된 시설의 위치로서의 상기 레스토랑의 주소(32)를 PIM 데이터 베이스(21)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에 격납하여 등록한다. 이 경우, 위치 특정 정보로서의 상기 주소(32)는 상기 조작자의 스케줄에 있어서의 스케줄 항목 중 하나인 행선지, 즉 목적지로서의 지정 지점으로서 등록된다. 또한, 상기 스케줄에는 지정 지점의 명칭도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명칭은 조작자가 정보 단말(12a)을 조작하고 입력하여 등록되도록 해도 좋고, PIM 처리부(25)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추출된 시설의 명칭으로서의 레스토랑의 명칭(31)이 자동적으로 지정 지점의 명칭으로서 등록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조작자는 상기 목적지에 관련지어 일시 데이터를 스케줄 항목으로서 등록할 수도 있다. 즉, 목적지로서 등록된 상기 레스토랑에 들르는 일시를 일시 데이터로 하여 스케줄에 등록 일시로서 등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일시 데이터에는 년, 월, 일, 시, 분 모두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시 또는 분이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조작자는 정보 단말(12a)을 조작하여 일시 데이터 및 상기 일시 데이터를 등록하는 지시를 입력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보 표시 화면(30)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에 일시를 나타내는 어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PIM 처리부(25)가 상기 일시를 나타내는 어구를 추출하여 일시 데이터를 스케줄 항목으로서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PIM 처리부(25)는 상기 레스토랑의 주소(32)를 등록하면 일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 즉 등록이 지시된 상기 일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일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일시 데이터를 상기 레스토랑의 주소(32)와 관련지어 상기 PIM 데이터 베이스(21)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에 격납하여 예정 일시로서 등록한다. 이에 의해, 상기 조작자의 스케줄에 있어서, 상기 예정 일시에 지정 지점으로서의 상기 레스토랑에 들른다는 예정이 등록된다.
또한, 상기 조작자는 수시로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자는 정보 단말(12a)을 조작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에 억세스하고, 상기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스케줄을 검색하여 원하는 스케줄을 취득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 표시(40)를 상기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이 경우, 일시, 목적지의 명칭, 목적지로서의 시설의 주소(32), 상기 시설의 전화 번호(33) 등의 스케줄 항목을 입력하여 해당하는 스케줄을 검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 표시(4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항목이 예정되어 있는 일시로서의 예정 일시를 도시하는 예정 일시란(41), 스케줄 항목이 예정되어 있는 지정 지점으로서의 지점 또는 시설의 명칭을 도시하는 명칭란(42), 스케줄 항목에 관한 메모가 도시되는 메모란(43), 상기 지점 또는 시설의 주소(32)를 도시하는 주소란(44), 상기 시설의 전화 번호(33) 등의 참조해야 할 전화 번호가 도시되는 TEL란(45), 스케줄 항목이 등록된 날짜가 도시되는 등록일란(46) 및 스케줄 항목이 조작자 이외의 사람으로부터 송신된 것인 경우에 송신한 사람이 도시되는 송신자란(47)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등록된 스케줄의 상세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3은 일시 데이터가 상기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예정 일시란(41)이 공백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시 데이터가 상기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의 정보 제공부(13)는 상기 스케줄 항목이 예정되어 있는 일시, 즉 예정 일시가 되면, 지정 지점으로서 등록된 상기 레스토랑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상기 레스토랑까지의 경로에 관한 정보로서의 경로 정보 및 상기 경로의 안내를 행하기 위한 경로 안내 정보를 작성한다. 이 경우, 경로 탐색부(24)가 지도 데이터 베이스(17), POI 데이터 베이스(18), 도로 데이터 베이스(19) 및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20)에 억세스하고, 상기 레스토랑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상기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로부터 차량에 탑재되는 내비게이션 장치인 정보 단말(12a)로 송신된다. 계속해서, 상기 정보 단말(12a)은 수신된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표시 장치에 상기 레스토랑까지의 경로를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경로의 안내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상기 조작자는 안내에 따라서, 상기 경로에 따라서 상기 레스토랑까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스토랑까지의 경로의 탐색 및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의 작성은 예정 일시가 되기 전에 행해져 정보 단말(12a)로 송신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정보 단말(12a)의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상기 예정 일시가 되면 표시 장치에 지정 지점으로서의 상기 레스토랑까지의 경로가 표시되는 동시에 상기 경로의 안내가 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제공 서버(11)의 PIM 처리부(25)가 정보 표시 화면(30)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시설의 주소(32) 및 시설의 전화 번호(33)를 추출하여 조작자의 스케줄에 있어서의 스케줄 항목으로서 등록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의 경로 탐색부(24)가 상기 레스토랑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작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정보 단말(12a) 또는 정보 단말(12b)이 PIM 처리부(25), 경로 탐색부(24) 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정보 단말(12a) 또는 정보 단말(12b)이 정보 표시 화면(30)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시설의 주소(32) 및 시설의 전화 번호(33)를 추출하거나,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작성하거나 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흐름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 정보 표시 화면(30)으로부터 전화 번호(33)를 추출한다.
스텝 S2 추출한 전화 번호(33)로부터 시설의 주소(32)를 특정한다.
스텝 S3 특정한 시설의 주소(32)를 개인 파일에 등록한다.
스텝 S4 일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시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하고, 일시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5 일시 데이터를 개인 파일에 등록한다.
스텝 S6 일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경로가 탐색되고, 안내가 개시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1 정보 표시 화면(30)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한다.
스텝 S1-2 추출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숫자 데이터를 검색하는 루프를 차례로 개시한다.
스텝 S1-3 4자리수 연속된 숫자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4자리수 연속된 숫자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4로 진행하고,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4 상기 4자리수 연속된 숫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방의 숫자 데이터를 추출한다.
스텝 S1-5 숫자 데이터의 자리수가 9 또는 10자리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9 또는 10자리수인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진행하고, 9 또는 10자리수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6 제1 자리수째의 숫자가 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0인 경우에는 스텝 S1-7로 진행하고, 0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7 전화 번호(33)라 인식한다.
스텝 S1-8 루프를 종료한다.
다음에, 시설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2-1 POI 데이터 베이스(18)에 있어서, 전화 번호(33)에 대해 대응하는 시설을 검색한다.
스텝 S2-2 각각의 전화 번호(33)에 대해 대응하는 시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진행하고, 없는 경우에는 다음 전화 번호에 대해 대응하는 시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3 정보 표시 화면(30)으로부터 시설의 주소(32)를 추출한다.
스텝 S2-4 시설의 주소(32)와 전화 번호(33)가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5로 진행하고,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로 복귀한다.
스텝 S2-5 인식한 전화 번호(33)가 정확하다고 판단한다.
스텝 S2-6 시설의 주소(32)를 특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자가 일, 공부, 취미, 스포츠, 외식, 구경, 쇼핑, 잡용 등의 흥미를 갖는 사항에 관한 정보가 게재되어 있는 웹페이지를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고, 상기 웹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위치 특정 정보로서의 시설의 주소(32)나 전화 번호(33)를 취득하는 취득 지시 수단을 조작하면, 상기 위치 특정 정보가 자동적으로 지정 지점의 위치 특정 정보로서 조작자의 스케줄에 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조작자는 차량에 탑재되는 내비게이션 장치인 정보 단말(12a)에 상기 시설의 주소(32)나 전화 번호(33)를 입력하여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조작자는 시간을 들이는 일 없이 용이하게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어 번거롭게 느끼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시설의 주소(32)나 전화 번호(33)를 잘못 입력해 버리는 일도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단말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제1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단말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제2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정보 표시 화면(30)에 전화 번호(33)가 복수 포함되고, 또한 각각의 전화 번호(33)에 대응하는 시설이 있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PIM 처리부(25)는 복수의 시설을 특정하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보 시설 일람 표시(50)를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후보 시설 일람 표시(50)는 정보 제공 서버(11)로부터 정보 단말(12a)로 송신되어 상기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후보 시설 일람 표시(50)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설의 명칭이 표시되는 시설 명칭란(51) 및 각 시설의 전화 번호(33)가 도시되는 전화 번호란(52)이 포함된다. 또한, 도7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상기 시설은 은행의 지점이다.
계속해서, 조작자는 정보 단말(12a)을 조작하여 상기 후보 시설 일람 표시(50)의 시설 명칭란(51)에 포함되는 시설, 예를 들어 ○○○○ 은행 △△ 지점을 선택하여 선택 결과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PIM 처리부(25)는 상기 정보 단말(12a)로부터 수신한 선택 결과에 따라서, 선택된 시설로서의 ○○○○ 은행 △△ 지점의 명칭, 주소(32), 전화 번호(33) 등을 등록한다. 또한, 상기 조작자가 정보 단말(12a)을 조작하여 일시 데이터 및 상기 일시 데이터를 등록하는 지시를 입력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로 송신한 경우에는 일시 데이터도 예정 일시로서 등록된다. 또한, 정보 표시 화면(30)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에 일시를 나타내는 어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PIM 처리부(25)가상기 일시를 나타내는 어구를 추출하여 일시 데이터를 스케줄 항목으로서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조작자는 정보 단말(12a)을 조작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에 억세스하고, 상기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스케줄을 검색하여 원하는 스케줄을 취득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 표시(40)가 상기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일시 데이터가 상기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예정 일시란(41)에 예정 일시, 예를 들어 2002년 12월 13일이 표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의 정보 제공부(13)는 상기 예정 일시, 즉 2002년 12월 13일이 되면, 지정 지점으로서 등록된 상기 ○○○○ 은행 △△ 지점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상기 경로에 관한 정보로서의 경로 정보 및 상기 경로의 안내를 행하기 위한 경로 안내 정보를 작성한다. 이 경우, 경로 탐색부(24)가 지도 데이터 베이스(17), POI 데이터 베이스(18), 도로 데이터 베이스(19) 및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20)에 억세스하고, 상기 ○○○○ 은행 △△ 지점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상기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11)로부터 차량에 탑재되는 내비게이션 장치인 정보 단말(12a)로 송신된다. 또한, 상기 ○○○○ 은행 △△ 지점까지의 경로의 탐색 및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의 작성은 예정 일시가 되기 전에 행해져 정보 단말(12a)로 송신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정보 단말(12a)의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상기 스케줄 항목이 예정 일시가 되면 표시 장치에 상기 ○○○○ 은행 △△ 지점까지의 경로가 표시되는 동시에 상기 경로의 안내가 개시된다.
계속해서, 상기 정보 단말(12a)은 수신한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표시 장치에 상기 ○○○○ 은행 △△ 지점까지의 경로를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경로의 안내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상기 조작자는 안내에 따라서, 상기 경로에 따라서 상기 ○○○○ 은행 △△ 지점까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웹페이지에 시설의 위치 특정 정보로서의 시설의 주소(32)나 전화 번호(33)가 복수 게재되어 있는 경우, 후보 시설 일람 표시(50)가 작성되어 조작자가 상기 후보 시설 일람 표시(50) 중에서 원하는 시설을 선택하면 상기 시설의 위치 특정 정보가 자동적으로 지정 지점의 위치 특정 정보로서 조작자의 스케줄에 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웹페이지에 위치 특정 정보로서의 시설의 주소(32)나 전화 번호(33)가 복수 게재되어 있는 경우라도 조작자는 시간을 들이는 일 없이 용이하게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어 번거롭게 느끼는 일도 없다.
또한, 예정 일시의 일시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예정 일시가 되면 자동적으로 지정 지점까지의 경로의 안내가 개시되므로, 상기 조작자는 안내에 따라서 상기 지정 지점까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등록된 예정 일시의 당일이 되기 전에 예정이 있는것이 사전에 통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예정 일시의 데이터인 일시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등록된 스케줄이 사전에 통지되도록 하기 위해, 스케줄의 사전 통지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이 통지되는 타이밍은 상기 예정 일시의 전이고, 조작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날에 정보 단말(12a)의 전원을 온(ON)으로 한 직후에 스케줄이 통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조작자가 정보 단말(12a)을 조작하여 상기 정보 단말(12a)의 전원을 온으로 하면, 상기 정보 단말(12a)은 표시 장치에 다음 날에 예정이 있는 뜻의 사전 통지를 표시시킨다. 또한, 상기 정보 단말(12a)이 차량에 탑재되는 내비게이션 장치인 경우, 통상 차량의 엔진이 기동되면 자동적으로 전원이 온이 되므로, 조작자는 정보 단말(12a)을 조작하여 전원을 온으로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조작자가 정보 단말(12a)을 조작하면, 상기 사전 통지에 대응하는 스케줄 표시로서 상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 표시(40)가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입력된 스케줄의 상세를 용이하게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이 통지되는 타이밍은 조작자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정 일시의 전날, 2일 전 등과 같이 일 단위로 설정되어도 좋고, 전날의 저녁, 전날의 18 : 00 내지 22 : 00, 당일의 아침 등과 같이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시간대를 이른 아침, 아침,한낮, 야간, 심야 등과 같이 광범위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단말(12a)이 내비게이션 장치, 휴대 전화기 등과 같이 현재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것인 경우, 전날의 자택으로 귀가할 때, 당일의 근무처로 출근할 때 등과 같이 위치를 포함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날의 자택으로 귀가할 때에 스케줄이 통지되도록 설정되면, 전날에 상기 정보 단말(12a)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자택 주변의 소정 범위, 예를 들어, 자택으로부터 반경 500〔m〕이내의 지역으로 진입하면 등록된 스케줄이 통지된다. 또한, 당일의 근무처로 출근할 때에 스케줄이 통지되도록 설정되면, 당일에 상기 정보 단말(12a)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근무처 주변의 소정 범위, 예를 들어 근무처로부터 반경 500〔m〕이내의 지역으로 진입하면 등록된 스케줄이 통지된다. 또한, 위치만을 상기 스케줄이 통지되는 조건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택 부근의 역, 좋아하는 백화점, 공원 등을 미리 소정 위치로서 설정하여 상기 정보 단말(12a)이 상기 소정 위치 주변의 소정 범위로 진입한 경우에, 항상 당일이나 다음 날의 스케줄이 통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케줄의 사전 통지의 형태는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것에 의한 통지라도 좋고, 음성이나 특정한 음악, 차임 등의 소리에 의한 통지라도 좋다. 예를 들어, 스케줄의 사전 통지 조건이 전날의 저녁에 자택으로 귀가할 때인 경우,「내일, ○○ 회사에서 ○시 ○분부터 회의를 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라는 아나운스가 여성의 음성으로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의 종류는 남성의 소리, 여성의 소리 등을 조작자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 등록된 가족의 소리, 친구의 소리, 배우의 소리, 가수의 소리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시간대에 의해, 표시에 의한 통지와 소리에 의한 통지를 자동적으로 절환하거나, 통지하는 내용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시간대가 이른 아침, 아침, 한낮, 야간, 심야 등과 같이 광범위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른 아침에는, 당일의 예정은 소리에 의해 통지하고, 다음 날의 예정은 표시에 의해 통지한다. 그리고, 아침 및 한낮에는, 당일의 예정은 소리 및 표시에 의해 통지하고, 다음 날의 예정은 표시에 의해 통지한다. 또한, 야간 및 심야에는 당일 및 다음 날의 예정을 표시에 의해 통지한다.
또한, 상기 스케줄의 사전 통지는 다른 정보 단말(12b)로 송신하는 것에 의한 통지라도 좋다. 예를 들어, 정보 단말(12b)이 휴대 전화기, PHS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 PDA 등과 같이 조작자가 항상 몸에 지니고 있는 기기이거나, 가정이나 직장에 배치된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조작자가 항상 조작하는 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스케줄이 정보 단말(12b)의 표시 장치나 스피커 등에 의해 통지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조작자 이외의 사람, 즉 다른 사람으로부터 송신된 스케줄을 등록하여 사전에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다른 사람은 미리 정보 표시 시스템에 등록되어 등록 ID를 소유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상기 다른 사람은 일반적으로, 조작자의 친구, 지인, 가족 등이고, PIM 데이터 베이스(21)에 격납되어 있는 조작자의 개인 파일에 송수신 상대, 즉, 친구로서 등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친구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우선, 상기 다른 사람이 자기의 정보 단말로부터 조작자 앞으로 스케줄을 네트워크(27)를 거쳐서 정보 제공 서버(11)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은, 예를 들어 업무상의 회의, 연회, 파티, 데이트, 만남 등에 관한 것으로, 일시, 지점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케줄은 송신자란에 송신자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친구 링크라 인식되어 친구 링크 파일에 격납된다. 여기서, 친구 링크라 함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조작자 앞으로 송신된 개인적 정보이다. 또한, 친구 링크가 격납되는 친구 링크 파일은 상기 PIM 데이터 베이스(21) 내에 각각의 개인 파일에 대응시켜 격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혼자서 작성한 스케줄뿐만 아니라, 친구, 지인, 가족 등의 다른 사람으로부터 송신된 스케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송신된 스케줄이 조작자 자신도 참가하는 업무상의 회의, 연회, 파티, 데이트, 만남 등인 경우, 조작자는 상기 다른 사람으로부터 송신된 스케줄을 조작자의 개인 파일에 복사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친구, 지인, 가족 등의 다른 사람으로부터 송신된 스케줄을 자기의 스케줄로서 개인 파일에 격납하여 상기 스케줄의 사전 통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조작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송신된 스케줄을 자기의 스케줄로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케줄을 작성하여 수정할 필요가 없어 번거로움을 느끼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등록된 스케줄이 표시나 소리에 의해사전에 통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조작자는 스케줄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어 당황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스케줄이 통지되는 조건을 조작자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는 자신에게 있어서 가장 적절한 조건으로 스케줄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줄이 통지되는 형태로서 표시에 의한 통지나 소리에 의한 통지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는 자신에게 있어서 가장 적절한 형태로 스케줄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등록된 스케줄을 사전에 확실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등록된 스케줄을 안내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12a)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지정 지점이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통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지의 형태는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것에 의한 통지라도 좋고, 음성이나 특정한 음악, 차임 등의 소리에 의한 통지라도 좋지만, 여기서는 지정 지점이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통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범위는, 예를 들어 현재 위치로부터 반경 N〔㎞〕의 범위이다. 여기서, 상기 N의 값은 조작자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자는 넓은 범위라도, 좁은 범위라도 좋고, 임의의 지역 범위에 존재하는 지정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자는 정보 단말(12a)의 현재 위치 대신에, 등록 지점이나 지도상의 임의의 지점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한 지점 주변의 지역에 있어서의 지정 지점을 확인할 수도 있다. 즉, 현재 위치 주변의 지역에 있어서의 지정 지점을 확인하는 경우, 현재 위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자는 현재 위치 이외의 지점이라도 임의의 지점의 주변에 존재하는 지정 지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현재 위치가 정보 단말(12a)의 현재 위치이고, N = 0.5인 경우, 즉 상기 정보 단말(12a)의 현재 위치로부터 반경 500〔m〕이내의 지역에 존재하는 지정 지점이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지정 지점이 정보 단말(12a)의 현재 위치로부터 반경 500〔m〕이내의 지역에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계속해서 현재 일시가 지정 기간 내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상기 지정 기간은 등록된 스케줄이 통지되는 기간이고, 미리 상기 조작자에 의해 지정되어 등록된 기간이다. 그리고, 현재 일시가 지정 기간 내인 경우, 상기 지정 지점이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통지되면, 상기 조작자는 상기 지정 지점에 들르는 예정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위치로부터 반경 500〔m〕이내의 지역에 존재하는 지정 지점이라도 현재 일시가 상기 지정 기간 내가 아닌 경우, 상기 지정 지점은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상기 지정 지점이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통지되면, 상기 지정 지점에 들르는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으로서의 들름 선택 버튼이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들름 선택 버튼은 들르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들름 버튼 및 들르지 않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들르지 않음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작자는 들름 버튼 또는 들르지 않음 버튼을 누름으로써, 지정 지점에 들르는지 여부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들름 선택 버튼은 단일이라도 좋다. 이 경우, 들름 선택 버튼을 누르면, 지정 지점에 들르는 것이 선택된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지정 지점에 들르는 것이 선택된 것이 정보 단말(12a)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1)로 송신되면, 경로 탐색부(24)에 의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로서의 지정 지점까지의 경로에 대한 경로 탐색이 개시된다. 계속해서,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가 정보 제공 서버(11)의 송수신부(14)로부터 정보 단말(12a)로 송신되어 상기 정보 단말(12a)에 의해 탐색된 경로에 대한 경로 안내가 행해진다. 여기서, 상기 정보 단말(12a)은 수신한 경로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표시 장치에 상기 지정 지점까지의 경로를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경로의 안내를 개시한다. 또한, 지정 지점에 들르지 않는 것이 선택되면 경로 탐색도, 경로 안내도 행해지지 않는다.
계속해서, 정보 단말(12a)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하여 목적지로서의 지정 지점에 도착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상기 지정 지점에 도착한 경우, 상기 지정 지점에 들른다는 스케줄에 관한 데이터로서의 예정 데이터가 파일로부터삭제된다. 또한, 상기 지정 지점에 도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예정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아 전술된 동작이 반복된다.
다음에, 흐름도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1 지정 지점으로부터 500〔m〕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500〔m〕이내인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하고, 500〔m〕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2 현재 일시가 지정 기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정 기간 내인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지정 기간 내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3 지정 지점이 통지된다.
스텝 S14 지정 지점에 들르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들르는 경우에는 스텝 S15로 진행하고, 들르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5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를 개시한다.
스텝 S16 지정 지점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착한 경우에는 스텝 S17로 진행하고,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7 예정 데이터를 파일로부터 삭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정한 행선지로서 등록한 지정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로 접근하면, 상기 지정 지점이 존재하는 것이 통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조작자는 예정을 준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등록된 예정 일시를 변경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정 일시를 경과한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스케줄 항목이 예정되어 있는 일시로서의 일시 데이터가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PIM 처리부(25)는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지정 지점에 대응하는 일시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 경우, 상기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스케줄에 포함되는 모든 지정 지점에 관하여 대응하는 일시 데이터를 차례로 검색한다. 계속해서, 상기 PIM 처리부(25)는 지정 지점에 들르는 예정 일시의 일시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 즉 예정 일시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여 다음 지정 지점에 관하여 대응하는 일시 데이터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예정 일시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PIM 처리부(25)는 현재 일시가 예정 일시를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여 다음 지정 지점에 관하여 대응하는 일시 데이터를 검색한다. 또한, 경과한 경우, 예정 일시를 경과한 뜻이 정보 제공 서버(11)로부터 정보 단말(12a)로 송신되고, 상기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예정 일시를 경과한 뜻이 표시되어 통지된다. 또한, 상기 통지의 형태는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것에 의한 통지라도 좋고, 음성이나 특정한 음악, 차임 등의 소리에 의한 통지라도 좋지만, 여기서는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통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계속해서, 예정 일시를 경과한 뜻이 정보 단말(12a)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통지되면, 상기 예정 일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으로서의 예정 일시 변경 선택 버튼이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예정 일시 변경 선택 버튼은 예정 일시를 변경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변경 버튼 및 예정 일시를 변경하지 않은 것을 선택하기 위한 불변경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작자는 변경 버튼 또는 불변경 버튼을 누름으로써, 예정 일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예정 일시 변경 선택 버튼은 단일이라도 좋다. 이 경우, 예정 일시 변경 선택 버튼을 누르면, 예정 일시를 변경하는 것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예정 일시를 변경하는 것이 선택된 경우에는, 변경 후의 예정 일시가 상기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다.
그리고, 예정 일시를 변경하는 것이 선택된 취지 및 상기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변경 후의 예정 일시가 정보 단말(12a)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1)로 송신되면, 상기 PIM 처리부(25)는 등록되어 있는 예정 일시를 상기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변경 후의 예정 일시로 갱신하여 처리를 종료하고, 다음 지정 지점에 관하여 대응하는 일시 데이터를 검색한다.
또한, 예정 일시를 변경하지 않은 것이 선택된 뜻이 정보 단말(12a)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11)로 송신되면, 상기 PIM 처리부(25)는 상기 지정 지점에 관하여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 즉 예정 일시를 경과한 스케줄을 삭제하여 처리를 종료하고, 다음 지정 지점에 관하여 대응하는 일시 데이터를 검색한다.
다음에, 흐름도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21 지정 지점에 대응하는 일시 데이터를 검색하는 루프를 차례로 개시한다.
스텝 S22 예정 일시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진행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8로 진행한다.
스텝 S23 현재 일시가 예정 일시를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S24로 진행하고,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8로 진행한다.
스텝 S24 예정 일시를 경과한 뜻을 통지한다.
스텝 S25 예정 일시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변경하는 경우에는 스텝 S26으로 진행하고, 변경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7로 진행한다.
스텝 S26 예정 일시를 변경한다.
스텝 S27 데이터를 삭제한다.
스텝 S28 루프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정 일시를 경과한 스케줄은 자동적으로 삭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조작자에 대응하는 개인 파일의 메모리 자원을 낭비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뜻을 기초로 하여 다양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 정보 화면에 게재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하여 등록할 수 있다.

Claims (8)

  1. 시설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시설 정보 화면으로부터 위치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위치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시설을 검색하는 검색부와,
    검색된 시설의 지점을 포함하는 시설 정보를 등록하는 시설 정보 등록부와,
    등록된 시설 정보를 격납하는 시설 정보 격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 및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과,
    상기 정보 추출부, 검색부, 시설 정보 등록부, 시설 정보 격납부 및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 정보 추출부, 검색부, 시설 정보 등록부 및 시설 정보 격납부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특정 정보는 전화 번호 및 주소이고, 상기 시설 정보 등록부는 상기 전화 번호와 주소의 정합성을 검증하여 상기 시설의 지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정보는 예정 일시를 포함하는 스케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정보는 사전에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 일시를 경과한 스케줄은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 일시를 경과한 스케줄은 예정 일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KR1020030091728A 2002-12-17 2003-12-16 정보 표시 시스템 Withdrawn KR200400556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64704A JP2004198158A (ja) 2002-12-17 2002-12-17 情報表示システム
JPJP-P-2002-00364704 2002-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612A true KR20040055612A (ko) 2004-06-26

Family

ID=3258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728A Withdrawn KR20040055612A (ko) 2002-12-17 2003-12-16 정보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58389A1 (ko)
JP (1) JP2004198158A (ko)
KR (1) KR20040055612A (ko)
CN (1) CN1510597A (ko)
DE (1) DE10358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8366B2 (ja) * 2007-04-25 2013-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走行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走行情報の学習方法
JP2005257670A (ja) * 2004-02-12 2005-09-22 Denso Corp 車両用案内装置
JP2006146561A (ja) * 2004-11-19 2006-06-08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163943A (ja) * 2004-12-08 2006-06-22 Ricoh Co Ltd 情報想起検索システム、情報想起検索装置、情報想起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60235856A1 (en) * 2004-12-16 2006-10-19 Halcrow Michael A Route generation for task completion by a location-aware device
US20070005363A1 (en) * 2005-06-29 2007-01-04 Microsoft Corporation Location aware multi-modal multi-lingual device
JP4682732B2 (ja) 2005-07-27 2011-05-11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70260402A1 (en) * 2006-05-08 2007-11-08 Taras H E Destination spa infused with experiential life management on government owned land
JP4204610B2 (ja) * 2006-09-12 2009-01-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メモページ情報登録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170960B1 (en) * 2006-11-22 2012-05-01 Aol Inc. User behavior-based remotely-triggered automated actions
US8577877B2 (en) * 2007-04-02 2013-11-05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mo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geographical position data
EP1978451A1 (en) * 2007-04-02 2008-10-08 Wayfinder Systems AB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mo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geographical position data
KR101387503B1 (ko) * 2007-08-20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관련 정보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
JP5158964B2 (ja) * 2008-09-30 2013-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129722B2 (ja) * 2008-11-14 2013-01-30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端末装置、経路探索サーバ、経路探索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WO2010089849A1 (ja) * 2009-02-03 2010-08-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方法、経路探索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1185908A (ja) * 2010-03-11 2011-09-22 Clario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目的地に関する情報の案内方法
JP5762160B2 (ja) * 2011-06-15 2015-08-1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案内情報生成装置、案内情報生成方法および案内情報生成プログラム
JP5825030B2 (ja) * 2011-10-13 2015-12-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101242A (ko) * 2013-02-0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US9992628B2 (en) * 2016-04-21 2018-06-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p downloading based on user's future location
JP7013292B2 (ja) * 2018-03-16 2022-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走行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2881A (en) * 1993-12-27 1997-03-18 Aisin Aw Co., Ltd. Map display system
US5784059A (en) * 1994-09-16 1998-07-21 Aisin Aw Co., Ltd.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destination selection using hierarchical menu arrangement with selective level skipping
US5825306A (en) * 1995-08-25 1998-10-20 Aisin Aw Co., Ltd.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s
US5790974A (en) * 1996-04-29 1998-08-04 Sun Microsystems, Inc. Portable calendaring device having perceptual agent managing calendar entries
JP4100803B2 (ja) * 1999-02-23 2008-06-1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車両誘導方法
CA2416253A1 (en) * 2000-07-28 2002-02-07 American Calcar Inc. Technique for effective organization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JP2002169828A (ja) * 2000-11-30 2002-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1422501A1 (en) * 2001-08-31 2004-05-26 Aisin Aw Co.,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58992A1 (de) 2004-07-22
US20040158389A1 (en) 2004-08-12
CN1510597A (zh) 2004-07-07
JP2004198158A (ja)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5612A (ko) 정보 표시 시스템
KR20040047736A (ko) 정보 표시 시스템
US7739039B2 (en) Technique for effective navigation based on user preferences
US8688366B2 (en)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to provid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US20050004903A1 (en) Regional information retrieving method and regional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KR20040030444A (ko) 정보 표시 시스템
WO2003063521A2 (en) Routing framework
KR100536470B1 (ko) 정보관리 시스템
JP2009093384A (ja) Poi検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poi検索方法
JP4737645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端末装置
JP2003130672A (ja) 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9036720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JP2000163436A (ja) 情報検索システムおよび情報検索方法
JP2007024624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携帯端末
JP4577298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
JP4722688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10256106A (ja) 道案内システム
JP2008129224A (ja) 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配信サーバおよび地図表示端末ならびに住所特定方法
JP2006343939A (ja) 周辺条件物件検索システム、周辺条件物件検索サーバ、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