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6958Y1 -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958Y1
KR200376958Y1 KR20-2004-0034607U KR20040034607U KR200376958Y1 KR 200376958 Y1 KR200376958 Y1 KR 200376958Y1 KR 20040034607 U KR20040034607 U KR 20040034607U KR 200376958 Y1 KR200376958 Y1 KR 200376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door frame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태남
Original Assignee
인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태남 filed Critical 인태남
Priority to KR20-2004-0034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과 도어의 사이에서 외부적으로 은폐되도록 설치되어 도어의 회동지지가 가능하면서도 도어의 디자인에 대한 불리한 영향을 배제하도록 된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에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힌지장치는 하부힌지에는 내부중공의 도어프레임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결합되는 프레임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힌지에 대해 회동결합되는 상부힌지에는 연결부재결합판이 연설되며, 상기 연결부재결합판에는 연결부재의 결합판접면부가 결합됨과 더불어 그 연결부재의 도어접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개방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힌지가 도어프레임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가 연결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도어의 회동작동을 외부적으로 노출되지 않고서도 지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힌지와 상기 상부힌지의 내부에는 유압식 도어클로저기능과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기능중 어느 하나가 내설되어, 도어의 원활한 개폐작용과 일정한 각도에서의 정지 및 자동적인 닫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OUTWARDLY HIDED DOOR-HINGE APPARATUS}
본 고안은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프레임과 도어의 사이에서 외부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도어프레임에 대해 도어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으로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어는 다양한 형태의 회동지지구조에 의해 그 일측이 도어프레임의 대응하는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회동지지구조의 일예로는 일측이 도어의 일측면에 나사결합되고 그 타측이 도어프레임의 대응하는 측면에 나사결합되며 중앙부위가 회동핀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의 경첩이 포함된다.
또, 회동지지구조의 다른 예로는 도어의 일측면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도어프레임의 측면의 상/하측에 각기 도어회동수납요부가 형성된 도어지지편이 일정한 길이로 노출형성되고 도어의 일측면 상/하측에도 각기 회동돌기가 형성된 회동결합편이 상기 도어지지편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상/하측 회동돌기가 도어프레임의 상/하측 대응하는 도어회동지지요부에 수용되어 도어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도 포함된다.
최근에 소개되는 회동지지구조로는 동축상에서 상부가 하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의 도어결합부가 도어의 일측면에 나사결합되고 하부의 도어프레임결합부가 도어프레임의 일측면에 나사결합되는 형태의 도어힌지장치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대개의 도어회동구조는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어 도어프레임에 대해 도어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시켜주기는 하지만, 도어프레임에 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과정에서 그 도어회동구조는 외부적으로 노출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더구나 전체적인 심미감을 고려한 도어의 디자인에 비해 도어회동구조는 통상적인 외부노출형식이기 때문에 도어의 디자인에 불리한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프레임의 내부로부터 도어의 일측면에 도어회동지지를 위해 외부적으로는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유압식 도어클로저 및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의 형태로도 적용이 가능한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하부힌지에는 내부중공의 도어프레임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결합되는 프레임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힌지에 대해 회동결합되는 상부힌지에는 연결부재결합판이 연설되며, 상기 연결부재 결합판에는 연결부재의 결합판접면부가 결합됨과 더불어 그 연결부재의 도어접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개방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힌지가 도어프레임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가 연결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도어의 회동작동을 외부적으로 노출되지 않고서도 지지하도록 된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부힌지에서 연설된 상기 연결부재결합판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대한 도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부재결합나사공이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힌지와 상기 상부힌지의 내부에는 유압식 도어클로저기능과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기능중 어느 하나가 내설되어, 도어의 원활한 개폐작용과 일정한 각도에서의 정지 및 자동적인 닫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가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배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10은 대체로 '⊃'-자 형상의 내부중공 도어프레임을 나타내고, 12는 그 도어프레임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일측면이 지지되는 도어를 나타내며, 상기 도어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12)의 일측면을 외부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회동지지하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힌지장치를 나타내고, 그 도어힌지장치(14)의 설치 수량은 도어(12)의 전체적인 중량이라든지 개폐회동시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정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의 외관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상기 도어힌지장치(14)는 상기 도어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는 힌지하부(20)를 갖추게 되고, 그 힌지하부(20)에는 상기 도어프레임(10)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에 대응하는 내벽면에 고정(도 4 참조)하기 위한 프레임고정판(22)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프레임고정판(22)에는 그 프레임고정판(22)을 상기 도어프레임(10)의 내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나사체결공(24)이 천설되고, 그 힌지하부(20)에는 미려한 마감을 위한 하부커버(26)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또, 상기 힌지하부(20)의 상측에는 그 힌지하부(20)의 상단 외주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도어(12)의 회동지지를 위한 힌지상부(30)가 결합된다.
그 힌지상부(30)의 외주 소정위치에는 선형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설되다가 그 단부에서 교차각으로 절곡된 연결부재결합판(32)이 형성되고, 그 연결부재결합판(32)에는 복수의 연결부재결합나사공(34)이 형성되는 바, 그 연결부재결합나사공(34)은 장공의 형태로 형성해줌으로써 상기 도어프레임(10)에 대한 도어(12)의 간격변화에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주게 된다.
또, 상기 힌지상부(30)의 상단에는 상기 힌지하부(20)의 하단에 결착된 하부커버(26)와 대응하는 상부커버(36)가 결착된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가 유압식 도어클로저(및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기반으로 구성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에 적용가능한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로는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제10-284872호(발명의 명칭 :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에 소개된 구조가 대표적으로 상정된다.
따라서, 도 1에서 최상위의 도어힌지장치(14)는 도 2a에 도시된 구조로 적용하고 중간의 도어힌지장치(14)는 상기의 대한민국 특허 제10-284872호에 개시된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기능이 내재된 구조로 적용하며 최하위의 도어힌지장치(14)는 상기의 대한민국 특허 제 호에 개시된 스프링식 도어클로져의 기능이 내재된 구조로 적용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그 전체적인 외관 구성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지만, 그 내부에 유압식 도어클로저기능 또는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기능이 내재되는 상태에 따라 유압의 조정 또는 스프링의 탄성력 조정을 위한 조정노브(40)가 갖추어지게 되며, 그 경우 상기 상부커버(36)는 그 조정노브(40)의 커버링을 위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와 분해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힌지(30)의 연결부재결합판(32)과 상기 도어(12)의 일측회동지지면(도 4에서 12A 참조)사이에는 연결부재(42)가 개재되는 바, 그 연결부재(42)는 상기 연결부재결합판(32)에 대응하는 결합판접면부(44)와 상기 도어(12)의 일측 회동지지면(12A)에 고정결합되는 도어접면부(48)가 형성된 형태이고, 상기 결합판접면부(44)에는 상기 연결부재결합나사공(34)에 대응하는 결합판결합공(46)이 천설되며, 상기 도어접면부(48)에도 상기 도어(12)의 일측면(12A)에 고정결합을 위한 복수의 도어고정공(50)이 천설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42)는 도 3과 도 4에서 상기 도어힌지장치(14)와 도어(12)의 사이에 별개로 제공되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반드시 개별적인 구성요소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기 도어힌지장치(14)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제공되어도 바람직하게 된다.
또, 도면에서 상기 연결부재(42)의 결합판접면부(44)와 도어접면부(48)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힌지장치(14)에 의해 상기 도어(12)의 원활한 개폐구동을 위한 각도를 보상하기 위한 각도로 절곡된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2)를 매개하여 상기 도어힌지장치(14)가 상기 도어(12)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도어프레임(10)상에는 각 도어힌지장치(14)가 설치된 위치마다 일정한 면적의 작동개방부(10A)가 형성되고, 그 작동개방부(10A)를 통해 상기 도어(12)가 개폐되는 작용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2)가 출입하면서 상기 도어힌지장치(14)가 상기 도어(12)를 회동적으로 지지하도록 매개해주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상기 도어프레임(10)의 내벽면상에는 상기 도어힌지장치(14)의 상기 힌지하부(20)의 상기 프레임고정판(22)에 형성된 나사체결공(24)을 통해 다수의 나사에 의해 해당하는 도어힌지장치(14)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 상기 도어힌지장치(14)의 상부힌지(30)에 연설된 연결부재결합판(32)에는 상기 연결부재(42)의 결합판접면부(44)가 결합되는 바, 상기 연결부재결합판(32)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42)의 결합판접면부(44)는 상기 연결부재결합판(32)에 형성된 장공형태의 연결부재결합나사공(34)을 활용하여 상기 도어프레임(10)에 대한 상기 도어(12)의 최적간격으로 결합된다.
또, 상기 연결부재(42)의 상기 도어접면부(48)는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작동개방부(10A)를 통해 상기 도어(12)의 일측 회동지지면(12A)에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2)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힌지장치(14)와 상기 연결부재(42)는 도 4에 예시된 형태로 상기 도어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상태에서 예컨대 도 4의 후방으로 상기 도어(12)를 열게 되면 그 도어(12)의 회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2)가 상기 상부힌지(30)의 지원하에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작동개방부(10A)를 통해 회전하게 되며, 그에 대해 상기 도어(12)를 닫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42)와 상기 상부힌지(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의 도어힌지장치(14)는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기능이 내재되도록 하여 상기 조정노브(40)에 의해 유압을 조정하는 한편, 최하위의 도어힌지장치(14)는 스프링식 도어클로져의 기능이 내재되도록 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해주면, 상기한 대한민국 특허 제10-284872호에 설명된 바에 따라 상기 도어(12)의 원활한 개폐작용과 자동적인 정지 및 닫힘기능이 달성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이탈함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재(42)는 상기 도어힌지장치(14)에 일체로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에서는 상기 연결부재(42)의 결합판접면부(44)와 도어접면부(48)의 사이가 상기 도어힌지장치(14)에 의해 상기 도어(12)의 원활한 개폐구동을 위한 각도로 절곡된 형태이지만, 상기 도어힌지장치(14)와 상기 도어(12)의 원활한 개폐구동이 가능하다면 곡선형태로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0)과 상기 도어(12)의 사이에 개재되는 해당하는 도어힌지장치(14)에서 상기 연결부재(42)가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부힌지(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힌지에서 연설되는 연결부재결합판과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판접면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에 의하면 도어프레임과 도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어프레임에 대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도어의 심미감에 악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 도어프레임과 도어의 사이에 은폐되어 설치된 해당하는 도어힌지장치에 유압식 도어클로저기능 또는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기능을 내재시키고서 하나의 도어에 대해 유압식 도어클로저기능을 갖는 도어힌지장치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기능을 갖는 도어힌지장치를 병행하여 설치해주면 도어의 원활한 개폐작용과 도어의 자동정지 및 닫힘 작용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가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배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의 외관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가 유압식 도어클로저(또는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기반으로 구성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와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프레임, 12: 도어,
14: 도어힌지장치, 20: 하부힌지,
24: 프레임결합판, 30: 상부힌지,
32: 연결부재결합판, 34: 연결부재결합나사공,
40: 조정노브, 42: 연결부재,
44: 결합판접면부, 48: 도어접면부.

Claims (3)

  1. 하부힌지에는 내부중공의 도어프레임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결합되는 프레임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힌지에 대해 회동결합되는 상부힌지에는 연결부재결합판이 연설되며,
    상기 연결부재결합판에는 연결부재의 결합판접면부가 결합됨과 더불어 그 연결부재의 도어접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개방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힌지가 도어프레임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힌지가 연결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도어의 회동작동을 외부적으로 노출되지 않고서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힌지에서 연설된 상기 연결부재결합판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대한 도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부재결합나사공이 장공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힌지와 상기 상부힌지의 내부에는 유압식 도어클로저기능과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기능중 어느 하나가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KR20-2004-0034607U 2004-12-06 2004-12-06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KR200376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607U KR200376958Y1 (ko) 2004-12-06 2004-12-06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607U KR200376958Y1 (ko) 2004-12-06 2004-12-06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958Y1 true KR200376958Y1 (ko) 2005-03-11

Family

ID=4367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607U KR200376958Y1 (ko) 2004-12-06 2004-12-06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9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3569A (zh) * 2021-11-08 2022-01-04 浙江美多电器有限公司 一种内置铰链式集成灶
CN117386246A (zh) * 2023-11-08 2024-01-12 浙江德艺门业有限公司 一种隐藏式铰链、包含其的门以及铰链的加工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3569A (zh) * 2021-11-08 2022-01-04 浙江美多电器有限公司 一种内置铰链式集成灶
CN117386246A (zh) * 2023-11-08 2024-01-12 浙江德艺门业有限公司 一种隐藏式铰链、包含其的门以及铰链的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510B2 (en) Multi-axis door hinge
US7669285B2 (en) Damping device for furniture hinges
US7832057B2 (en) Extendable multi-axis door hinge
CA2270241C (en) Articulating hinge covering door stop
US7194785B2 (en) Buffer bar fastening structure
KR200410197Y1 (ko) 댐퍼가 구비된 도어힌지
KR200376958Y1 (ko)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KR200380544Y1 (ko) 외부은폐형 힌지가 결합된 도어장치
KR102520553B1 (ko) 도어용 손끼임방지 경첩
JP3285290B2 (ja) ドア支持構造
KR20050110432A (ko) 도어힌지
KR200406889Y1 (ko) 외부은폐형 도어힌지
KR102181562B1 (ko)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KR200294242Y1 (ko)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KR20090118351A (ko) 유리도어 결합용 힌지 프레임을 갖는 샤워부스
KR19990010016U (ko) 도어용 경첩의 개방각도 조절장치
KR200300526Y1 (ko) 가구 유리문용 경첩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101900854B1 (ko) 쇼크 업소버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102200793B1 (ko)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WO2004016890A3 (en) Four pivot swing away hinge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KR200223566Y1 (ko) 회전개폐 도아용 상부 피봇힌지
JP2006083628A (ja) 隠し丁番と該丁番を内蔵した扉及び該丁番の取付方法
KR200376907Y1 (ko)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2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2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41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