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7445Y1 -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445Y1
KR200387445Y1 KR20-2005-0001356U KR20050001356U KR200387445Y1 KR 200387445 Y1 KR200387445 Y1 KR 200387445Y1 KR 20050001356 U KR20050001356 U KR 20050001356U KR 200387445 Y1 KR200387445 Y1 KR 200387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ontrol shaft
shaft coupling
splin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정
Original Assignee
우진내외장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내외장건설(주) filed Critical 우진내외장건설(주)
Priority to KR20-2005-0001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44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도아 좌측에 마련되는 도아 힌지장치에서 사용되는 힌지연결부재를 도아 우측에 마련되는 도아 힌지장치에서 사용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힌지연결부재의 제작과 시공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힌지연결부재(30)의 조절축 결합관(31)의 상단과 하단 모두를 개방하는 동시에 조절축 결합관(31) 내부 중앙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절축 스플라인부(43)(53)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33)를 형성하고, 상부 스플라인부(33)의 하단 및 하부 스플라인부(33)의 상단에 조절축(40)(50)의 하강 또는 상승을 억제하는 걸림단턱(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도아(10)의 좌측면에 힌지장치를 설치할 때나 도아(10) 우측면에 힌지장치를 설치할 때 모두 한 종류의 힌지연결부재(3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힌지연결부재(30)의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부품관리 및 취급, 그리고 시공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 a hinge apparatus for an auto-closed door }
본 고안은 자동 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고정판넬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연결부재에 수닫힘조절축이 설치되고 도아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연결부재에 수닫힘조절축에 삽입 결합되는 암닫힘조절축이 설치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휴게소나 건물의 화장실 등 각종 화장실에 설치되는 도아는 내부공간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약간 열린 상태로 있도록 하면 통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내부공간에 사람이 없음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아 힌지장치는 도아를 열고 내부공간에서 나온 다음 도아에서 손을 떼면 자동으로 약간 열린 상태의 원위치로 닫히게 되는 자동닫힘기능을 갖도록 하는 예가 많은 바, 본 고안은 특히 하단에 경사캠면이 마련되는 캠부의 상부에 스플라인부와 끼움지지부가 마련되고 하부 중앙에 힌지구멍이 마련되는 암닫힘조절축을 도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연결부재의 조절축 결합관에 삽입 설치하고, 상단에 암닫힘조절축의 경사캠면과 대응되는 경사캠면이 마련되는 캠부의 상부 중앙에 암닫힘조절축의 힌지구멍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축이 돌출 형성되고 캠부의 하부에 스플라인부와 끼움지지부가 마련된 수닫힘조절축을 고정판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연결부재의 조절축 결합관에 삽입 설치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열린 상태의 도아에서 손을 떼면 양 닫힘조절축의 경사캠면의 작용으로 도아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에 관계하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아 힌지장치는 오른손으로 도아의 전면 오른쪽을 밀고 내부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도아의 좌측에 마련되는 예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아의 우측에 마련될 수도 있게 되는 바, 종래에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도아 좌측에 마련되는 도아 힌지장치에서 사용되는 힌지연결부재를 도아 우측에 마련되는 도아 힌지장치에서 사용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힌지연결부재의 제작과 시공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본 고안이 관계하는 상기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조절축 결합관의 일측에 다수의 체결구멍을 갖는 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된 힌지연결부재를 도아 또는 고정판넬과 결합할 때에 고정판의 전면으로 체결나사의 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각 체결구멍에 접시머리홈을 형성하고, 접시머리체결나사를 사용하여 힌지연결부재를 조립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도 6과 같이 조절축 결합관(31') 일단부가 밀폐되고, 조절축 결합관(31')의 내부에 형성된 스플라인부(33')의 일단에 조절축(40)(5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억제하는 걸림단턱(32')이 형성된 힌지연결부재(30')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고정판(34') 전면에 접시머리홈(36')을 갖는 체결구멍(35')이 형성된 도아 좌측면 조립용 겸 고정판넬 우측면 조립용 힌지연결부재(30')를 도아 우측면이나 고정판넬 좌측면에 조립할 수가 없게 되고, 고정판의 후면에 접시머리홈을 갖는 체결구멍이 형성된 도아 우측면 조립용 겸 고정판넬 좌측면 조립용 힌지연결부재를 도아 좌측면이나 고정판넬 우측면에 조립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고정판 체결구멍의 접시머리홈 위치가 다른 2종류의 힌지연결부재를 제작한 후 도아 힌지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른 힌지연결부재를 사용하여야 했기 때문에 힌지연결부재의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됨은 물론 부품관리 및 시공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한 종류의 힌지연결부재를 도아 좌측면이나 도아 우측면, 고정판넬 우측면이나 고정판넬 좌측면 모두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힌지연결부재의 제작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부품관리 및 시공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단과 하단 모두를 개방한 힌지연결부재의 조절축 결합관의 내부 중앙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절축 스플라인부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를 형성하고, 상부 스플라인부의 하단 및 하부 스플라인부의 상단에 조절축의 하강 또는 상승을 억제하는 걸림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도아 우측 열림 조립시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도아 우측 열림 조립시의 일부 절제 분해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도아 우측 열림 조립상태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조절축 스플라인부(43)(53)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33)의 일단에 조절축(40)(5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억제하는 걸림단턱(32)이 마련된 조절축 결합관(31)의 일측에 다수의 체결구멍(35)을 갖는 고정판(34)이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판(34)의 각 체결구멍(35)에 접시머리홈(36)이 형성되어 접시머리체결나사(60)로 힌지연결부재(30)가 도아(10)의 일측면과 고정판넬(20)의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단에 경사캠면(42)이 마련되는 캠부(41)의 상부에 스플라인부(43)와 끼움지지부(44)가 마련되고 하부 중앙에 힌지구멍(45)이 마련되는 암닫힘조절축(40)이 도아(10)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 힌지연결부재(30)의 조절축 결합관(31)에 삽입 설치되고, 상단에 암닫힘조절축(40)의 경사캠면(42)과 대응되는 경사캠면(52)이 마련되는 캠부(51)의 상부 중앙에 암닫힘조절축(40)의 힌지구멍(45)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축(55)이 돌출 형성되고 캠부(51)의 하부에 스플라인부(53)와 끼움지지부(54)가 마련된 수닫힘조절축(50)이 고정판넬(20)의 타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연결부재(30)의 조절축 결합관(31)에 삽입 설치되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열린 상태의 도아(10)에서 손을 떼면 양 닫힘조절축(40)(50)의 경사캠면(42)(52)의 작용으로 도아(10)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재(30)의 조절축 결합관(31)의 상단과 하단 모두를 개방하는 동시에 조절축 결합관(31) 내부 중앙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절축 스플라인부(43)(53)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33)를 형성하고, 상부 스플라인부(33)의 하단 및 하부 스플라인부(33)의 상단에 조절축(40)(50)의 하강 또는 상승을 억제하는 걸림단턱(32)을 형성하여 한 종류의 힌지연결부재(30)를 도아(10) 좌측면이나 도아(10) 우측면, 고정판넬(20) 우측면이나 고정판넬(20) 좌측면 모두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힌지연결부재 고정판(34)의 각 체결구멍(35)과 대응되는 다수의 관통구멍(38)이 마련되고 일측면에 호형요입부(37a)가 마련된 접촉판(37)을 개재하여 힌지연결부재(30)의 고정판(34)을 호형으로 굴곡 형성된 도아(10)의 좌측면에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으며,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39는 힌지연결부재 조절축 결합관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는 밀폐마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힌지연결부재(30)의 조절축 결합관(31)의 내부구조가 상하 대칭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연결부재(30)를 상하방향으로 180도 뒤집어도 힌지연결부재(30)의 조절축 결합관(31)에 각 조절축(40)(50)을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도아(10)의 좌측면에 힌지장치를 설치할 때나 도아(10) 우측면에 힌지장치를 설치할 때 모두 한 종류의 힌지연결부재(30)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에서 도 4까지와 같이 내부에서 보았을 때 도아(10)의 우측면에 힌지장치가 설치될 때는 고정판(34)의 우측면에 접시머리홈(36)이 위치되는 상태로 암닫힘조절축(40)이 결합되는 힌지연결부재(30)를 도아(10)의 우측면에 조립하는 동시에 고정판(34)의 좌측면에 접시머리홈(36)이 위치되는 상태로 수닫힘조절축(50)이 결합되는 힌지연결부재(30)를 고정판넬(20)의 좌측면에 조립하면 되며, 도 5와 같이 내부에서 보았을 때 도아(10)의 좌측면에 힌지장치가 설치될 때는 고정판(34)의 좌측면에 접시머리홈(36)이 위치되는 상태로 암닫힘조절축(40)이 결합되는 힌지연결부재(30)를 도아(10)의 좌측면에 조립하는 동시에 고정판(34)의 우측면에 접시머리홈(36)이 위치되는 상태로 수닫힘조절축(50)이 결합되는 힌지연결부재(30)를 고정판넬(20)의 우측면에 조립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아(10) 및 고정판넬(20)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연결부재(30)의 조절축 결합관(31)의 내부구조를 상하 대칭구조로 형성하여 도아(10)의 좌측면에 힌지장치를 설치할 때나 도아(10) 우측면에 힌지장치를 설치할 때 모두 한 종류의 힌지연결부재(3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힌지연결부재(30)의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부품관리 및 취급, 그리고 시공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 도아 좌측 열림 조립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 도아 좌측 열림 조립시의 일부 절제 분해 측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 도아 좌측 열림 조립상태의 배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 도아 좌측 열림 조립상태의 요부 횡단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 도아 우측 열림 조립상태의 요부 횡단면도
도 6은 도 2와 대비한 종래 장치의 일부 절제 분해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아 20 : 고정판넬
30 : 힌지연결부재 31 : 조절축 결합관
32 : 걸림단턱 33 : 스플라인부
34 : 고정판 35 : 체결구멍
36 : 접시머리홈 40 : 암닫힘조절축
41 : 캠부 42 : 경사캠면
43 : 스플라인부 44 : 끼움지지부
45 : 힌지구멍 50 : 수닫힘조절축
51 : 캠부 52 : 경사캠면
53 : 스플라인부 54 : 끼움지지부
55 : 힌지축 60 : 접시머리체결나사

Claims (1)

  1. 조절축 스플라인부(43)(53)가 결합되는 스플라인부(33)의 일단에 조절축(40)(5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억제하는 걸림단턱(32)이 마련된 조절축 결합관(31)의 일측에 다수의 체결구멍(35)을 갖는 고정판(34)이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판(34)의 각 체결구멍(35)에 접시머리홈(36)이 형성되어 접시머리체결나사(60)로 힌지연결부재(30)가 도아(10)의 일측면과 고정판넬(20)의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단에 경사캠면(42)이 마련되는 캠부(41)의 상부에 스플라인부(43)와 끼움지지부(44)가 마련되고 하부 중앙에 힌지구멍(45)이 마련되는 암닫힘조절축(40)이 도아(10)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 힌지연결부재(30)의 조절축 결합관(31)에 삽입 설치되고, 상단에 암닫힘조절축(40)의 경사캠면(42)과 대응되는 경사캠면(52)이 마련되는 캠부(51)의 상부 중앙에 암닫힘조절축(40)의 힌지구멍(45)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축(55)이 돌출 형성되고 캠부(51)의 하부에 스플라인부(53)와 끼움지지부(54)가 마련된 수닫힘조절축(50)이 고정판넬(20)의 타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연결부재(30)의 조절축 결합관(31)에 삽입 설치되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열린 상태의 도아(10)에서 손을 떼면 양 닫힘조절축(40)(50)의 경사캠면(42)(52)의 작용으로 도아(10)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재(30)는,
    상기 조절축 결합관(31)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되고;
    상기 스플라인부(33)는 상기 조절축 결합관(31)의 내부 중앙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턱(32)은 상기 스플라인부(33) 중 상부측 스플라인부의 하단과 하부측 스플라인부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KR20-2005-0001356U 2005-01-17 2005-01-17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387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56U KR200387445Y1 (ko) 2005-01-17 2005-01-17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56U KR200387445Y1 (ko) 2005-01-17 2005-01-17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445Y1 true KR200387445Y1 (ko) 2005-06-17

Family

ID=4368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356U Expired - Lifetime KR200387445Y1 (ko) 2005-01-17 2005-01-17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4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97Y1 (ko) * 2007-11-02 2010-11-08 우진내외장건설(주)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문의 힌지 구조
KR20180065617A (ko) * 2016-12-08 2018-06-18 김용갑 가스댐퍼부착식 자동 힌지구가 장착된 여닫이 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97Y1 (ko) * 2007-11-02 2010-11-08 우진내외장건설(주)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문의 힌지 구조
KR20180065617A (ko) * 2016-12-08 2018-06-18 김용갑 가스댐퍼부착식 자동 힌지구가 장착된 여닫이 도어
KR101960028B1 (ko) 2016-12-08 2019-03-20 김용삼 가스댐퍼부착식 자동 힌지구가 장착된 여닫이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6085A1 (en) Door hinge
US6564428B2 (en) Compound hinge
US8490246B2 (en) Adjustable hinge
CA2931718C (en)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JP2013522504A (ja) 隠蔽型ドアのヒンジ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WO2005102128A1 (en) Hinge
EP1635009A2 (en) Hinged wall access panel
KR200355677Y1 (ko) 환기공을 구비하는 창문용 프레임
KR200450897Y1 (ko)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문의 힌지 구조
KR200173295Y1 (ko) 도어 힌지
JP3124317U (ja) 門扉取付装置
KR200246919Y1 (ko) 도어용 장식테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200376958Y1 (ko)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JP2006083628A (ja) 隠し丁番と該丁番を内蔵した扉及び該丁番の取付方法
KR20190002371U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EP1022419B1 (en) Compound hinge
CN108266078A (zh) 高度可调铰链和淋浴房
KR200454836Y1 (ko) 출입문용 힌지 및 이를 구비한 출입문 조립체
KR200376907Y1 (ko) 경첩
KR920002154Y1 (ko) 경 첩
KR200437506Y1 (ko) 경첩
KR200223180Y1 (ko) 캐비넷용 경첩
JP2001027084A (ja) 門 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1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1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