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7926Y1 -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 Google Patents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926Y1
KR200287926Y1 KR2020020018490U KR20020018490U KR200287926Y1 KR 200287926 Y1 KR200287926 Y1 KR 200287926Y1 KR 2020020018490 U KR2020020018490 U KR 2020020018490U KR 20020018490 U KR20020018490 U KR 20020018490U KR 200287926 Y1 KR200287926 Y1 KR 200287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door frame
frame
doo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선
Original Assignee
윤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선 filed Critical 윤용선
Priority to KR2020020018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92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로 된 문짝 특히 방문짝을 지지하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짝(2)을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문짝(2)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문짝힌지(20a)와 문틀(1)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문틀힌지(10a)를 한 쌍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상부문짝힌지(20a)와 상부문틀힌지(10a)와 대칭되도록 문짝(2)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문짝힌지(20)와 문틀(2)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문틀힌지(10)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문짝(2)의 지지가 보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문짝(2)의 여닫는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부와 하부의 힌지(10a)(20a)(10)(20)를 바꾸어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대형 가구나 가전제품과 같은 부피가 큰 물품을 옮길 경우 문짝(2)에 의해 걸릴 때 문짝(2)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물품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문짝(2)의 잦은 탈부착에도 문짝(2)이 힌지에 의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WOODY DOOR-SUPPORTING HINGE}
본 고안은 목재로 된 문짝, 특히 방문짝을 지지하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짝을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문짝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문짝힌지와 문틀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문틀힌지를 한 쌍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상부문짝힌지와 상부문틀힌지와 대칭되도록 문짝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문짝힌지와 문틀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문틀힌지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문짝의 여닫는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부와 하부의 힌지를 바꾸어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이사할 때 대형 가구나 가전제품과 같은 부피가 큰 이사짐도 문짝에 걸림 없이 안전하게 출입 및 운반을 하며, 잦은 문짝의 탈부착함에 있어서도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에 있어서, 방문짝은 목재로 되어 있으며, 문짝은 보통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문틀에 지지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문짝의 하중이 수직으로 작용되므로, 사용중 문틀과 문짝이 잘 맞지 않아 문짝이 잘 닫히지 않거나 혹은 경첩이 문짝을 견고히 지지하지 못해 사용에 불편함이 따랐던 것이다.
또한, 이사할 때에 대형 가구나 가전제품과 같은 부피가 큰 이사짐을 방을 통해 운반하여야 하는 경우 문틀 사이로는 출입이 가능하나 문짝에 걸려 운반이 어려운 경우가 자주 있는데 이때는 문짝을 떼어 내고 운반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사할 때마다 문틀로부터 문짝을 분리할 경우 문틀에부착된 경첩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문틀의 훼손은 물론 문틀에 경첩을 재장착할 경우 문틀에 이미 형성된 경첩홀이 헐거워져 견고하게 장착이 되지 않아 문짝의 개폐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음발생으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문짝의 수직적인 하중에 잘 견딜 수 있는 힌지로 구성하되, 목재로 된 문짝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문짝힌지와 문틀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문틀힌지를 한 쌍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상부문짝힌지와 상부문틀힌지와 대칭되도록 문짝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문짝힌지와 문틀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문틀힌지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문짝의 여닫는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부와 하부의 힌지를 바꾸어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이사할 때 대형 가구나 가전제품과 같은 부피가 큰 이사짐도 문짝에 걸림 없이 안전하게 출입을 하기 위하여 잦은 문짝의 탈부착함에 있어서도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한 목재 문짝에 적합한 힌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문틀 및 문짝의 상하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하부힌지를 분리한 상태의 분리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문틀 1a 문틀힌지삽입홈
2 문짝 2a 문짝힌지삽입홈
10 하부문틀힌지 11 문틀힌지플레이트
12,12a 축받이부 13 축받이홈
15 고정나사 20 하부문짝힌지
21,21a 문짝힌지플레이트 22,22a 축삽입부
23 축삽입홈 25 고정나사
30 힌지축 31 볼베어링
이하,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힌지가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힌지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힌지가 문짝과 결합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본 고안에 있어서, 하부문틀힌지(10) 및 상부문틀힌지(10a), 그리고 하부문짝힌지(20) 및 상부문짝힌지(20a)는 그 구성이 대칭으로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편의상 한쌍의 하부문틀힌지(10) 및 하부문짝힌지(20)의 구성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하부문틀힌지(10)는 문틀(1)측에 고정나사(15)로 결합되는 문틀힌지플레이트(11)가 형성되고, 상기 문틀힌지플레이트(11)의 일측으로 연장하여 후술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힌지축(44)이 끼워져 결합되는 축받이홈(13)을 갖는 축받이부(12)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문틀힌지(10)와 결합되는 하부문짝힌지(20)는 상기의 하부문틀힌지(10)와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문짝(2)측에 고정나사(25)로 결합되는 문짝힌지플레이트(21)가 형성되고, 문짝힌지플레이트(21)의 일측으로 연장하여 힌지축(30)이 끼워져 결합되는 축삽입홈(23)을 갖는 축삽입부(22)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문짝힌지플레이트(21) 일측에는 원통모양의 축삽입홈(23)을 갖는 축삽입부(22)가 형성되고, 축삽입홈(23) 내에는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볼트형의 힌지축(30)이 나사 결합되고, 힌지축(30)의 끝부에는 볼베어링(31)이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a, 21a은 힌지플레이트(11)(21)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 23a는 상,하부문짝힌지(20a)(20)의 힌지축(30)의 상부를 막는 마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힌지를 문틀(1) 및 문짝(2)에 설치시에는 문틀(1)의 상,하부에는 상,하부문틀힌지(10a)(10)를 구성하는 문틀힌지플레이트(11)를 상,하부의 문틀(1)에 접촉시킨 후 고정나사(15)로서 각각 고정을 한다.
이어서 문짝(2) 상,하부에도 역시 상,하부문짝힌지(20a)(20)를 구성하는 문짝힌지플레이트(21)(21a)를 고정나사(25)에 의해 각각 고정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문틀(1)에 형성된 문짝(2)의 여닫는 방향이 바뀌어 상기 문틀(1)의 반대편에 설치할 경우, 상기의 문틀(1)과 문짝(2)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문틀 및 문짝힌지(10a)(20a)와 문틀(1)과 문짝(2)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문틀 및 문짝힌지(10)(20)를 서로 바꾸어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하여도 되는 것으로, 항상 상부문틀 및 문짝힌지(10a)(20a) 및 하부문틀 및 문짝힌지(10)(20)로서 셋트화되어 판매되어 사용자가 장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의 상,하부 문틀 및 문짝힌지(10a)(10)(20a)(20)를 문틀(1)과 문짝(2)의 상,하부로 설치할 경우, 문틀(1)과 문짝(2)에 직접 고정 설치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문틀힌지삽입홈(1a)과 문짝힌지삽입홈(2a)을 형성하여 고정나사(15)(25)에 의하여 고정 설치함으로써, 문틀(1)이나 문짝(2)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힌지는 상,하부문짝힌지(20a)(20)에 설치된 힌지축(30)에 공히 볼베어링(3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로써, 상,하부의 문짝힌지(20a)(2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문짝(2)의 개폐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은 문틀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문틀힌지와 문짝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문짝힌지를 한 쌍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상부문틀힌지와 상부문짝힌지와 대칭되도록 문틀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문틀힌지와 문짝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문짝힌지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문짝의 여닫는 방향이 다르더라도 문틀과 문짝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힌지와 문틀과 문짝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힌지를 서로 바꾸어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이사할 때 대형 가구나 가전제품과 같은 부피가 큰 이사짐도 문짝에 걸림 없이 안전하게 출입을 하기 위하여 잦은 문짝의 탈부착함에 있어서도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문틀(1)측에 고정나사(15)로 결합되는 문틀힌지플레이트(11)가 형성되고, 상기 문틀힌지플레이트(11)의 일측으로 연장하여 힌지축(30)이 끼워져 결합되는 축삽입홈(13)을 갖는 축삽입부(12)를 구비한 하부문틀힌지(10)와;
    상기의 하부문틀힌지(10)와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문짝(2)측에 고정나사(25)로 결합되는 문짝힌지플레이트(21)가 형성되고, 상기 문짝힌지플레이트(21)의 일측으로 연장하여 힌지축(30)이 끼워져 결합되는 축삽입홈(23)을 갖는 축삽입부(22)를 구비한 하부문짝힌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2020020018490U 2002-06-18 2002-06-18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Expired - Fee Related KR200287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90U KR200287926Y1 (ko) 2002-06-18 2002-06-18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90U KR200287926Y1 (ko) 2002-06-18 2002-06-18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926Y1 true KR200287926Y1 (ko) 2002-09-09

Family

ID=7312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9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7926Y1 (ko) 2002-06-18 2002-06-18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9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410A (ko) * 2019-04-24 2020-11-03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손가락 끼임 방지 도어
KR102577068B1 (ko) * 2023-03-21 2023-09-08 김광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410A (ko) * 2019-04-24 2020-11-03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손가락 끼임 방지 도어
KR102390644B1 (ko) * 2019-04-24 2022-04-27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손가락 끼임 방지 도어
KR102577068B1 (ko) * 2023-03-21 2023-09-08 김광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727B2 (en) Closet doors with integrated shelves
KR101123852B1 (ko) 여닫이 도어용 경첩
KR102520553B1 (ko) 도어용 손끼임방지 경첩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100627623B1 (ko) 피벗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접이식 회전문 조립체
JPH08210046A (ja) 建 具
KR101152837B1 (ko) 상하 개폐식 가구 도어용 경첩
KR200387585Y1 (ko) 접이식 도어용 호차
CN210563961U (zh) 铰链
KR200236345Y1 (ko) 다용도 조립식 가구
KR20090118351A (ko) 유리도어 결합용 힌지 프레임을 갖는 샤워부스
KR200283706Y1 (ko) 문짝지지용 힌지
KR100380655B1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KR200194367Y1 (ko) 목재사물함의 경첩 설치구조
KR100687802B1 (ko)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CN105952292B (zh) 淋浴门系统及其组件
KR200163740Y1 (ko) 붙박이장
KR100477212B1 (ko)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KR200376958Y1 (ko)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KR200388879Y1 (ko) 가구용 도어힌지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KR200353798Y1 (ko) 도어용 피벗 힌지
KR200486873Y1 (ko) 자동 조심용 경첩
KR200311077Y1 (ko)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KR200410180Y1 (ko) 안전도어용 피벗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6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6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