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7212B1 -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212B1
KR100477212B1 KR10-2002-0056680A KR20020056680A KR100477212B1 KR 100477212 B1 KR100477212 B1 KR 100477212B1 KR 20020056680 A KR20020056680 A KR 20020056680A KR 100477212 B1 KR100477212 B1 KR 100477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urved portion
hinge shaft
spac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901A (ko
Inventor
이현노
Original Assignee
(주)서홍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홍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서홍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5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212B1/ko
Publication of KR2002008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21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 E06B2007/365Rounded shape at gap, e.g.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한 쌍의 수직보와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보 중 어느 하나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드된 내곡면부를 가진 문틀; 및 상기 내곡면부에 미끄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보에 대응되는 가장자리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블록하게 라운드된 외곡면부를 가진 문짝을 구비하고, 상기 내곡면부와 외곡면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문짝이 수평보에 대해 외곡면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문짝에 마련되는 수용 공간; 상기 수용 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구; 상기 수납구를 문짝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 상기 수납구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힌지축; 상기 문틀의 수평보에 설치되며 힌지축이 결합될 수 있는 캡; 및 상기 힌지축이 캡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힌지축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블록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Coupling structure of indoor safe door}
본 발명은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문짝의 개폐시 문짝과 문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완전히 제거하고, 문틀과 문짝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주거 공간의 실내문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소정 출입 통로의 벽체에 설치되며, 문틀과 문짝으로 구성되고, 문틀과 문짝에 연결된 다수의 경첩을 중심으로 문짝이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종래의 실내문은 문짝이 개폐될 때, 경첩에 의해 문틀과 문짝 사이에 소정 간격의 틈새가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 유아나 어린이들의 손가락이 그 틈새에 끼어 부상을 당하는 일이 종종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실내문은 문짝 전체의 무게가 문틀의 수직보에 전적으로 가중되기 때문에, 적어도 3개 이상의 경첩을 설치해야 하는 바, 문의 미려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내문은 문틀과 문짝의 연결 작업시 문틀과 문짝의 지지면에 경첩의 두께 만큼 홈을 파낸 다음 문짝을 들어서 문짝에 고정된 경첩을 그 홈에 정확히 고정시켜야 하므로, 시공이 까다롭고, 파손에 의한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 유아나 어린이의 손가락이 문틀과 문짝 사이의 틈새에 끼어 부상을 당하는 등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문짝의 개폐시 문짝과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의 미려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문틀과 문짝의 연결 시공이 단순 용이하고,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경첩이 배제된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보와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드된 내곡면부를 가진 문틀과, 상기 내곡면부에 접촉될 수 있는 외곡면부를 가지며 상기 수평보에 대해 외곡면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문짝을 구비하는 문에 있어서, 상기 외곡면부 측의 어느 일단에 소정 깊이 형성되고, 상기 문짝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공과 연통되는 수용 공간;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밀폐된 소정 수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는 구멍을 가지며, 그 내주면에 수납 공간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가진 수납구; 상기 수납구를 문짝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수납구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문짝의 어느 일단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수납 공간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가 형합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축; 상기 수평보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내곡면부와 외곡면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을 수평보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힌지축의 일단이 수용되고 그 힌지축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마련된 캡; 및 상기 힌지축이 캡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힌지축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수납구의 구멍에 결합될 수 있는 지지블록을 구비한다.본 발명에 따른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곡면부는 문짝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내곡면부에 대한 미끄럼 각도가 약 220°인 것이 바람직하다.본 발명에 따른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는 문짝의 회동 각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내곡면부에 연장되는 경사면을 더 구비한다.본 발명에 따른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는, 상기 문짝이 개폐될 때, 상기 내곡면부와 외곡면부의 마찰을 실질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내곡면부 또는 외곡면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든 라운드면에 코팅된 마찰 방지막을 더 구비한다.본 발명에 따르면, 문짝의 개폐시 문짝과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와 같이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에 유아나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당하는 등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경첩이 배제되고 문짝과 문틀의 결합 시공이 간단하므로, 문의 외관이 미려하고, 파손에 의한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한 점에 다른 특징이 있다.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평면 구성도이다.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100)는, 각각 한 쌍의 수직보(11)와 수평보(13)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수직보(11) 중 어느 하나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반경으로 오목하게 라운드 된 내곡면부(15)를 가진 문틀(10)과, 내곡면부(15)에 미끄럼 접촉될 수 있도록 수직보(11)에 대응되는 가장자리단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반경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된 외곡면부(21)를 가진 문짝(20)을 포함하며, 내곡면부(15)와 외곡면부(21)가 접촉된 상태에서 문짝(20)이 수평보(13)에 대해 외곡면부(2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상기 문틀(10)은 일반적으로 목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진 사각 형상의 틀을 구비하며, 건축 공사시 실내 출입 통로의 벽체에 고정된다.전술한 바 있는 상기 내곡면부(15)는 수직보(11)의 전방 또는 후방측 모서리 부분에 수직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내곡면부(15)는 상기 모서리 부분에 대해 약 90°의 미끄럼 각도를 유지한다. 또한, 내곡면부(15)는 문짝(20)의 회동 각도를 결정할 수 있는 경사면(17)이 문짝(10)이 개방되는 쪽으로 연장 형성된다. 경사면(17)은 문짝(20)이 기설정된 회동 각도 만큼 최대한으로 개방될 때, 그 문짝(20)의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의 역할도 겸한다.상기 문짝(20)은 문틀(10)의 내측 영역에 형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각각의 수평보(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전술한 바 있는 상기 외곡면부(21)는 종래와 같이 문짝(20)의 개방시 경첩에 의해 문틀(10)과 문짝(2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제거하기 위해 내곡면부(15)에 미끄럼 접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곡면부(21)는 문짝(20)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다. 또한, 외곡면부(21)는 내곡면부(15)에 대해 약 220°의 미끄럼 각도를 유지한다.한편, 상기 내곡면부(15) 및 외곡면부(21) 중 어느 하나의 라운드면에는 문짝(20)이 회동될 때, 내곡면부(15)와 외곡면부(21)의 라운드면이 미끄럼 접촉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음을 최소화하고, 실질적으로 문짝(20)이 부드럽게 회동될 수 있도록 마찰 방지막(30)이 코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 방지막(30)은 내곡면부(15)의 라운드면에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마찰 방지막(30)은 내곡면부(15) 및 외곡면부(21)의 라운드면 모두에 코팅될 수도 있다(도 2 참조).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5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문틀(10)과 문짝(20)을 결합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안전문 결합구조(100)는, 문짝(20)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40)과, 수용 공간(40)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구(50)와, 수납구(50)를 문짝(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60)과, 수납구(5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힌지축(70)과, 문틀(10)의 수평보(13)에 설치되며 힌지축(70)이 결합될 수 있는 캡(80)과, 힌지축(70)이 캡(8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힌지축(7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블록(90)을 구비한다.상기 수용 공간(40)은 외곡면부(21) 측의 문짝(20) 상,하단에 형성되며, 문짝(2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문짝(20)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공(41)과 연통된다. 각각의 수용 공간(40)은 상기 문짝(20)의 상,하단으로부터 원 형상으로 소정 깊이 형성된 홈으로, 서로 연통되지 않고 각각의 바닥면을 가진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삽입공(41)은 문짝(20)의 전면으로부터 수용 공간(40)의 바닥면 측으로 관통되는 구멍을 의미한다. 상기 삽입공(41)은 후술할 지지블록(90)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으로, 지지블록(90)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상기 수납구(50)는 수용 공간(40)에 수용되며, 실질적으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밀폐된 수납 공간(51)이 마련된다. 수납구(50)는 수용 공간(40)에 수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삽입공(41)과 연통되는 구멍(53)이 타단 측에 형성된다. 수납구(50)는 구멍(53)이 삽입공(41)과 일치되도록 수용 공간(40)에 수용된다. 또한, 수납구(50)의 내주면에는 수납 공간(51)의 중심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수납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돌기(55)가 마련된다.상기 고정 브라켓(60)은 수납구(50)를 문짝(20)의 상,하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납구(50)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다. 고정 브라켓(60)은 수납구(50)의 일단으로부터 원형으로 연장되면서 문짝(2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체결부(61)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61)에는 체결 나사가 관통하여 문짝(20)의 상,하단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63)이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브라켓(60)은 수납구(50)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체결부(61)가 체결 나사에 의해 문짝(20)의 상,하단에 고정됨에 따라 수납구(50)를 문짝(2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상기 힌지축(70)은 수납구(50)의 수납 공간(51)에 수용될 수 있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구성되며, 수납구(5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55)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납 공간(51)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를 위해, 힌지축(70)에는 가이드 돌기(55)가 실질적으로 형합될 수 있는 가이드 홈(71)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55)는 가이드 홈(71)에 결합되면서 힌지축(70)이 수납 공간(51)에 수용될 때, 그 힌지축(70)이 소정 외력에 의해 수납 공간(51) 내에서 회전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축(70)은 가이드 돌기(55)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납 공간(51)에 완전히 몰입될 수 있고, 소정 외력 또는 자중에 의해 그 일단이 수납 공간(51)으로부터 소정 길이 만큼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70)의 타단에는 오목하게 라운드된 라운드면이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면은 문짝(20)의 상단측 수납구(50)에 수용된 힌지축(70)을 소정 지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들어 올리기 위한 여유면을 의미한다.상기 캡(80)은 수직보(11)의 내곡면부(15)와 문짝(20)의 외곡면부(21)가 접촉된 상태에서 수납구(50)의 수납 공간(51)에 결합된 힌지축(70)을 수평보(13)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캡(80)은 문짝(20)이 회동될 때, 문짝(20)과 함께 회동되는 힌지축(70)을 실질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캡(80)은 외곡면부(21) 측의 상,하단에 상응하는 수평보(13)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수평보(13)에 소정 깊이 형성된 수용홈(82)에 수용되고 체결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캡(80)은 수납구(50)의 수납 공간(51)으로부터 인출된 힌지축(70)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81)이 마련된다.상기 지지블록(90)은 힌지축(70)의 일단이 소정 외력 또는 자중에 의해 수납 공간(51)으로부터 인출되어 캡(80)의 공간(81)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힌지축(70)이 수납 공간(51)으로 다시 원위치되지 않도록 힌지축(70)의 타단을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것이다. 지지블록(90)은 문짝(20)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공(41)에 삽입될 수 있는 블록체로서, 삽입공(41)에 삽입되고 동시에 수납구(50)의 구멍(53)을 통과하여 수납 공간(5)의 바닥면 측으로 인입된다. 지지블록(90)은 체결 나사가 삽입공(41)의 중심 방향으로 관통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그 체결 나사가 수납구(50)를 관통하여 수용 공간(40)의 내벽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지지블록(90)의 상면에는 힌지축(70)의 타단에 형성된 라운드면에 미끄럼 접촉될 수 있도록 볼록하게 라운드된 라운드면이 형성된다.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전문 결합 구조의 조립 순서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전문 결합 구조(100)의 조립 순서를 살펴 보면, 수납구(50)는 외곡면부(21) 측의 상,하단에 형성된 수용 공간(40)에 수용된다. 수납구(50)의 구멍(53)은 문짝(20)의 일면으로부터 수용 공간(40)으로 관통된 삽입공(41)과 일치되고, 고정 브라켓(60)의 체결부(61)는 문짝(20)의 상,하단에 자연스럽게 위치된다.이어서, 고정 브라켓(60)은 체결 나사가 체결부(61)의 체결공(63)을 관통하여 문짝(20)의 상,하단에 체결됨에 따라 문짝(20)에 견고히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고정 브라켓(60)이 수납구(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구(50)는 수용 공간(40)에 수용된 상태로 문짝(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다음, 힌지축(70)은 가이드 홈(71)에 가이드 돌기(55)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 공간(51)에 인입된다. 이 때, 힌지축(70)은 수납 공간(51)에 완전히 몰입된 상태가 된다. 또한, 힌지축(70)은 가이드 홈(71)에 가이드 돌기(55)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수납구(50)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어 수납 공간(51) 내에서 회전되거나 유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힌지축(70)의 인입측 단부는, 문짝(20)의 삽입공(41)과 수납구(50)의 구멍(53)이 서로 일치되기 때문에, 문짝(20)의 삽입공(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이어서, 캡(80)은 수평보(13)에 각각 형성된 수용홈(82)에 수용되고, 체결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이와 같은 상태에서, 문짝(20)은 문틀(10)의 내측 영역에 직립된 상태로 정위치된다. 그러면, 문짝(20)의 외곡면부(21)와 수직보(11)의 내곡면부(15)는 각각의 라운드면이 자연스럽게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 때, 문짝(20)의 하단측 수납구(50)에 수용된 힌지축(70)은 자중에 의해 그 일단이 캡(80)의 공간(81)으로 슬라이딩 결합된다.다음, 문짝(20)의 상단측 수납구(50)에 수용된 힌지축(70)은 삽입공(41)을 통해 그 인입측 단부에 실질적으로 가해지는 소정 외력에 의해 수납 공간(51)으로부터 소정 길이 인출되고, 상기 인출측 단부는 수평보(13)에 각각 설치된 캡(80)의 공간(81)에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축(70)은 그 인입측 단부에 라운드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 지그를 이용하여 들어 올려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힌지축(70) 각각의 인출측 단부가 캡(80)의 공간(81)에 결합됨에 따라 수납 공간(51)의 바닥면 측에는 캡(80)의 공간(81) 깊이 만큼 여유 공간이 형성된다.이어서, 지지블록(90)은 삽입공(41)을 통해 삽입되고 수납구(50)의 구멍(53)을 지나 수납 공간(51)의 상기 여유 공간에 결합된다. 이 때, 문짝(20)의 상단측 삽입공(41)에 삽입될 지지블록(90)은 삽입공(41)이 지지블록(90)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축(70)을 지지하고 있는 지그에 걸리지 않으면서 삽입공(41)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다음, 지지블록(90)은 체결 나사가 관통되어 수용 공간(40)의 내벽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여유 공간에 결합된 채 견고히 고정된다. 그러면, 힌지축(70)은 그 인입측 단부에 형성된 라운드면이 지지블록(90)의 라운드면과 미끄럼 접촉되면서 캡(80)의 공간(81) 측으로 각각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힌지축(70)이 캡(80)과 지지블록(9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문짝(20)은 수평보(13)에 대해 외곡면부(21)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게 된다.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에서와 같이 문짝(20)의 결합 구조를 먼저 설명하고, 이어서 문틀(10)의 결합 구조를 나중에 설명하였으나, 이는 시계차에 불과하므로 상술한 조립 순서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안전문 결합 구조(100)의 동작 및 작용을 살펴 보면, 문짝(20)은 힌지축(70)이 외곡면부(21) 측에 실질적으로 지지되고 수평보(13)에 설치된 캡(8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곡면부(21)가 내곡면부(15)에 접촉된 상태에서 그 힌지축(70)을 중심으로 회동된다.상기 문짝(20)은 내곡면부(15)의 미끄럼 각도(약 90°)를 기준으로 외곡면부(21)의 미끄럼 각도가 약 220°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곡면부(21)의 미끄럼 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회동된다.상기 문짝(20)이 회동되는 도중, 문짝(20)의 외곡면부(21)는 문짝(20)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 수직보(11)의 내곡면부(15)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문짝(20)과 수직보(11)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문짝의 개폐시 문짝과 문틀 틈새로 유아나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당하는 등의 위험성이 배제된다. 또한, 내곡면부(15)의 라운드면에 마찰 방지막(30)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그 내곡면부(15)와 외곡면부(21)의 마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외곡면부(21)가 더욱 부드럽게 미끄럼 접촉될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한편, 문짝(20)을 문틀(10)로부터 해체하기 위해서는, 우선 문짝(20)의 상단측 지지블록(90)을 삽입공(41)을 통해 외부로 빼낸다. 그러면, 문짝(20)의 상단측 힌지축(70)은 그 자중에 의해 지지블록(90)의 높이 만큼 수납 공간(51)으로 몰입된다.
이어서, 문짝(20)의 하단측 지지블록(90)을 삽입공(41)을 통해 외부로 빼내고 문짝(20)의 전면을 바깥쪽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 문짝(20)을 들어 올리게 되면, 문짝(20)은 문틀(10)로부터 용이하게 해체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첫째, 문짝의 개폐시 문짝과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와 같이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에 유아나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당하는 등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다.둘째, 경첩이 배제되고 문짝과 문틀의 결합 시공이 간단하므로, 문의 외관이 미려하고, 파손에 의한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도 3 및 도 4는 도 1의 평면 구성도.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도 7 및 도 8은 도 5의 결합 단면 구성도.<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0... 문틀 11... 수직보13... 수평보 15... 내곡면부17... 경사면 20... 문짝21... 외곡면부 30... 마찰 방지막40... 수용 공간 41... 삽입공50... 수납구 51... 수납 공간53... 구멍 55... 가이드 돌기60... 고정 브라켓 61... 체결부63... 체결공 70... 힌지축71... 가이드 홈 80... 캡81... 공간 82... 수용홈90... 지지블록
삭제
삭제
삭제

Claims (4)

  1. 수직보와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드된 내곡면부를 가진 문틀과, 상기 내곡면부에 접촉될 수 있는 외곡면부를 가지며 상기 수평보에 대해 외곡면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문짝을 구비하는 문에 있어서,
    상기 외곡면부 측의 어느 일단에 소정 깊이 형성되고, 상기 문짝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공과 연통되는 수용 공간;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밀폐된 소정 수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는 구멍을 가지며, 그 내주면에 수납 공간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가진 수납구;
    상기 수납구를 문짝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수납구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문짝의 어느 일단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수납 공간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가 형합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축;
    상기 수평보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내곡면부와 외곡면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을 수평보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힌지축의 일단이 수용되고 그 힌지축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마련된 캡; 및
    상기 힌지축이 캡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힌지축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수납구의 구멍에 결합될 수 있는 지지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곡면부는 문짝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내곡면부에 대한 미끄럼 각도가 약 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는 문짝의 회동 각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내곡면부에 연장되는 경사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이 개폐될 때, 상기 내곡면부와 외곡면부의 마찰을 실질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내곡면부 또는 외곡면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든 라운드면에 코팅된 마찰 방지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KR10-2002-0056680A 2002-09-17 2002-09-17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477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680A KR100477212B1 (ko) 2002-09-17 2002-09-17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680A KR100477212B1 (ko) 2002-09-17 2002-09-17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217U Division KR200311077Y1 (ko) 2002-09-18 2002-09-18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901A KR20020087901A (ko) 2002-11-23
KR100477212B1 true KR100477212B1 (ko) 2005-03-23

Family

ID=2772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6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7212B1 (ko) 2002-09-17 2002-09-17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451B1 (ko) * 2007-05-22 2008-03-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여닫이 문 세트의 개폐반복성 시험장치
JP2013228641A (ja) * 2012-04-26 2013-11-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2201512B1 (ko) * 2019-04-12 2021-01-12 우주웰보드 주식회사 조립식 문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901A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42829A1 (en) Closet doors with integrated shelves
KR100477212B1 (ko)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KR101123852B1 (ko) 여닫이 도어용 경첩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CA2323280A1 (en) A window panel balance apparatus and method
KR200311077Y1 (ko) 실내 안전문의 결합 구조
KR102520553B1 (ko) 도어용 손끼임방지 경첩
KR200443654Y1 (ko) 도어의 힌지장치
EP4098831B1 (en) Hinge and refrigeration apparatus
KR100755495B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핸들
KR20140105164A (ko) 욕실용 도어 힌지
KR20030002535A (ko) 도어 장치
KR102532350B1 (ko) 여닫이용 하부 힌지장치
KR20040016362A (ko) 안전 경첩
KR200442711Y1 (ko) 도어의 힌지장치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KR200287926Y1 (ko)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20050009356A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2555141B1 (ko) 문닫힘 방지용 스토퍼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용 경첩
KR102625482B1 (ko) 도어 힌지 구조
JP2003020848A (ja) 扉位置決め装置
KR200388879Y1 (ko) 가구용 도어힌지
DK1975356T3 (en) A support arrangement for windows
CN214035231U (zh) 一种门铰链及具有该门铰链的设备
KR200260678Y1 (ko) 닫힘 방지용 경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803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30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