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0793B1 -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793B1
KR102200793B1 KR1020190014370A KR20190014370A KR102200793B1 KR 102200793 B1 KR102200793 B1 KR 102200793B1 KR 1020190014370 A KR1020190014370 A KR 1020190014370A KR 20190014370 A KR20190014370 A KR 20190014370A KR 102200793 B1 KR102200793 B1 KR 10220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ydraulic cylinder
frame
hinge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072A (ko
Inventor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이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성 filed Critical 이대성
Priority to KR1020190014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7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7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E05D15/26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comprising two piv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도어의 수직프레임과 벽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호간의 접철회전이 용이토록, 상호간의 회전연결부위에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 커버, 고정체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원활한 회전 및 조립 및 사용이 용이토록 하며,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를 수직프레임 내에 내설하여 폴딩도어가 개방후 자동밀폐가 가능토록 하면서, 밀폐후에는 자성부재에 의해 외력이 아닌 바람 등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Fol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without hinges}
본 발명은 폴딩도어에서 접철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서,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고 폴딩속도가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말 그대로 접이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외벽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 외력에 대응해 내구성이 보장되며 방음, 방풍의 효과가 있어 외부용으로도 적합하다. 또한, 제품에 유리를 적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내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폴딩도어는 공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기존 문들의 50% 개폐구조를 90% 이상으로 열리게 하여 주거용으로는 넓은 생활공간을 그리고 상가용으로는 고객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여 주로 고급 레스토랑, 아파트, 주택, 상가 등의 출입구 또는 분합문에 쓰이는 추세이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벽체의 출입구 외측에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공간이 없는 곳에서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출입구 형태를 따라 문틀프레임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슬라이딩도어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슬라이딩도어 일단이 문틀프레임 일측에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종래의 폴딩도어는 슬라이딩도어들이 상부레일이 형성된 상부프레임에 매달려 설치되고, 절첩된다. 즉, 슬라이딩도어들의 하중이 상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폴딩도어는 슬라이딩도어들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폴딩도어는 벽체와의 연결부위 구성이 복잡하거나, 도어와 도어 상호간의 연결부위가 매끄럽지 못한 경우도 있었으며, 닫혀진 후에는 바람 등에도 손쉽게 열리는 문제 등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56898호(2014.10.27.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도어에서 수직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접철회전이 손쉽고 용이한 연결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설치와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개방된 폴딩도어는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폴딩도어가 닫혀질 시에는 자성에 의해 고정되어, 외력이 아닌 바람 등에 의해 개방되는 문제도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도어의 폴딩 속도 또한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한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의 도어(11) 측면이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철되며 개폐되는 폴딩도어(10)에 적용되는 것이며, 벽체(W)에 대응설치되며, 상면에 다수의 제 1고정피스(21)가 형성된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삽입구(34)가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제 2고정피스(31)가 형성된 상기 도어(11)의 수직프레임(30);상기 수직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40)의 모서리측 설치공간(33)에서,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길이방향으로 수직내설되며, 상부로 돌출된 힌지축(58)과 연결된 유압실린더가 내장됨으로써, 일측으로 회동 후 원위치로 자동복귀가 가능토록 설치되어 도어(11) 회동을 위한 경첩이 필요없도록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홈(59')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상기 설치공간(33)에서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상면에 대응결합되어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를 보호하며, 중앙에 상기 힌지축(58)이 돌출되는 관통홀(64)이 천공된 커버(60); 상기 설치공간(33)에 일단이 커버(60)의 상면에 대응위치되어, 중앙에 천공된 삽입공(73)에 힌지축(58)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수단으로 제 1고정피스(21)에 고정되어, 상면이 수평프레임(40)과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는 고정체(70); 상기 삽입구(34)를 통해 수직프레임(3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절홈(59')을 회전시켜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압조절에 의해 힌지축(58)의 회전력이 조절되면서, 상기 도어(11)의 폴딩 속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장치(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딩도어에서 수직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접철회전이 손쉽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된 폴딩도어의 자동복귀가 가능하고, 닫혀진 후에는 사용자의 외력 이외에는 열리지 않고 확실한 고정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접철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의 적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도 2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수의 도어(11) 측면이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철되며 개폐되는 폴딩도어(10)에 적용되는 것이며, 벽체(W)에 대응설치되며, 상면에 다수의 제 1고정피스(21)가 형성된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삽입구(34)가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제 2고정피스(31)가 형성된 상기 도어(11)의 수직프레임(30);상기 수직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40)의 모서리측 설치공간(33)에서,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길이방향으로 수직내설되며, 상부로 돌출된 힌지축(58)과 연결된 유압실린더가 내장됨으로써, 일측으로 회동 후 원위치로 자동복귀가 가능토록 설치되어 도어(11) 회동을 위한 경첩이 필요없도록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홈(59')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상기 설치공간(33)에서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상면에 대응결합되어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를 보호하며, 중앙에 상기 힌지축(58)이 돌출되는 관통홀(64)이 천공된 커버(60); 상기 설치공간(33)에 일단이 커버(60)의 상면에 대응위치되어, 중앙에 천공된 삽입공(73)에 힌지축(58)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수단으로 제 1고정피스(21)에 고정되어, 상면이 수평프레임(40)과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는 고정체(70); 상기 삽입구(34)를 통해 수직프레임(3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절홈(59')을 회전시켜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압조절에 의해 힌지축(58)의 회전력이 조절되면서, 상기 도어(11)의 폴딩 속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장치(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30)과 접촉되는 일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함몰되는 제 1함몰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에는 제 1함몰부(22)와 대응되는 원호 형상의 제 1돌출부(32)를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11)의 회동이 용이토록 하며, 상기 삽입구(34)는 제 1돌출부(32) 측에 천공형성되어, 도어(11) 밀폐시 처천공된 상기 삽입구(34)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는 상기 힌지축(58)과 연결된 유압실린더가 내설되어 있는 본체(51); 상기 본체(51)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사산(54)이 형성된 체결라인(53); 상기 본체(51)의 상부에 위치되며 체결라인(53)에 고정수단으로 체결되는 제 1체결공(56) 및 상기 제 2고정피스(31)에 고정수단으로 대응체결되는 다수의 제 2체결공(57)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0) 상면의 설치공간(33)에 안착고정되는 커버판(55); 상기 본체(51) 내부에서부터 커버판(55)의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체(70)에 고정되는 힌지축(58); 상기 본체(51)의 하단부로 돌출되면서 저면에 조절홈(5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와 연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유압실린더 내부에서 승, 하강되면서 내부의 유압을 조절하는 조절체(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장치(90)는 중단이 절곡되어 있으며, 양단이 다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홈(59')에 대응되며 체결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60)는 상기 수평프레임(40)의 모서리가 일측에 대응체결되며, 상면에는 단턱(61)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61)의 수직면에는 고정체(70) 일측의 링형상 제 2돌출부(72)와 대응되도록, 함몰된 제 2함몰부(62)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61)의 수평면에는 고정체(70)가 대응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의 제 2체결공(57)과 대응되는 제 3체결공(63)을 다수 형성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11) 상호간 연결되어지는 일측 상,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턱(12); 상기 도어(11)와 도어(11) 사이의 연결턱(12)에 설치되어, 복수개 도어(11)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기어박스(80); 상기 폴딩도어(10)의 다수 도어(11) 중, 끝단에 위치된 도어(11)의 상면 일측에 함몰형성되는 장착홈(13)에 장착되어, 폴딩도어(10)가 닫힐 시 문틀의 자성체와 자성접촉되도록 하는 자성부재(14);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는 고정프레임(20), 수직프레임(30),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커버(60), 고정체(70), 조절장치(9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은 폴딩도어(10)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대상면(벽체(W))에 직립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중공처리된 빔 형태이며, 상단(및 하단)에는 본 발명의 후술될 고정체(70) 등와 연결되기 위한 제 1고정피스(21)가 다수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고정피스(21)는 고정수단(B)(볼트 등이 이용되며, 후술될 다른 고정수단(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과 결합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54)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될 제 2고정피스(31), 제 1체결공(56), 제 2체결공(57), 제 3체결공(63)의 내주연에도 동일하게 나사산(54)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은 도어(11)를 이루는 수평프레임(40)과 수직프레임(30) 중, 수직프레임(30)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전술된 고정프레임(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제 2고정피스(31)가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직프레임(30) 또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이며 빔 형태를 이룬다.
또한, 폴딩도어(10)를 이루는 다수의 도어(11)가 접철되는 경우, 도어(11)의 상기 수직프레임(30)은 고정프레임(20)과의 연결부위에서 전, 후로 회동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에,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30)과 접촉되는 일측면이 원호 형상로 함몰되는 제 1함몰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에는 제 1함몰부(22)와 대응되는 원호 형상의 제 1돌출부(32)를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11)의 회동이 용이토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수직프레임(30)의 상, 하단에는 수평프레임(40)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체결되는데, 수직프레임(30)의 상단에 체결되는 수평프레임(40)은 수평프레임(40)의 상부면이 수직프레임(30)의 상면과 동일수평선상이 아니라, 수직프레임(30)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가 되도록 결합되어, 수평프레임(40)과 수직프레이미 상호간의 모서리 연결부위에 단턱(61)의 설치공간(33)이 형성되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설치공간(33)에는 후술될 도어(11)의 회전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커버(60), 고정체(70)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진다.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수직프레임(30)의 경우, 후술될 조절장치(90)를 내부에 삽입가능토록 일측 하단에 삽입구(34)가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구(34)는 제 1돌출부(32) 측에 천공형성되어, 도어(11) 밀폐시 천공된 상기 삽입구(34)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는 도어(11)의 수직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40)의 모서리 연결부분에 형성되는 설치공간(33)에서, 내부가 비어있는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길이방향으로 수직내설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힌지축(58)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로 돌출된 힌지축(58)과 연결된 유압실린더(미도시)가 내장됨으로써, 일측으로 회동 후 원위치로 자동복귀가 가능토록 설치되어 도어(11) 회동을 위한 경첩이 필요없도록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홈(59')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는 본체(51), 체결라인(53), 커버판(55), 힌지축(58), 조절체(59)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51)는 힌지축(58)과 연결된 유압실린더가 내설되어 것이다.
상기 체결라인(53)은 본체(51)의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2)에, 상기 본체(51)의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사산(54)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커버판(55)은 본체(51)의 상부에 위치되며 체결라인(53)에 고정수단으로 체결되는 제 1체결공(56) 및 상기 제 2고정피스(31)에 고정수단으로 대응체결되는 다수의 제 2체결공(57)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0) 상면의 설치공간(33)에 안착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축(58)은 전술된 본체(51) 내부에서부터 커버판(55)의 상부로 돌출형성되되, 돌출되는 힌지축(58)이 후술될 고정체(7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체(59)는 본체(51)의 하단부로 돌출되면서 저면에 다각형(ex: 육각형 등)의 조절홈(59')이 함몰형성되어 있고, 전술된 상기 유압실린더와 연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유압실린더 내부에서 승, 하강되면서 유압실린더 내부의 유압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유압조절로 인하여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최상부의 힌지축(58)의 회동이, 압력이 높아질수록 회전이 잘 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11)의 개폐가 더욱 늦어지도록 하고, 압력이 낮아질수록 회전이 더 잘되어, 도어(11)의 개폐가 더욱 빨라지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이러한 조절체(59)의 회전을 통해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내 유압실린더 유압을 조절하여, 도어(11)의 폴딩속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는 최상단의 힌지축(58)이 도어 프레임과 대응되며 끼워지면서 도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직립설치되고, 출입시 회동되며 도어(11)가 열린 이후,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리턴회동되면서 닫는 기능을 가지도록 내부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 경첩없이 도어(D)의 회동이 가능토록 하는 장치로, 유압힌지를 의미한다.
내부에 유압실린더가 장착되어, 도어(11)를 열고 이후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유압실린더에 의해 도어(11)가 원위치로 자동복귀되면서 도어가 닫히는 이러한 유압힌지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다.
또한, 이러한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는 실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기술로써, 내부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러한 자동복귀 구조를 가지는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의 내부 구성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회동된 도어(11)가 별도의 외력없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목적이라면 전술된 본 발명의 예시 외에, 다양한 실시예로 변경 및 대체될 수 있음이다.
상기 커버(60)는 전술된 설치공간(33)에서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상면(더욱 자세히는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의 커버판(55))에 대응결합되어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를 보호하며, 중앙에상기 힌지축(58)이 돌출되는 관통홀(64)이 천공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60)는 상기 수평프레임(40)의 모서리가 일측에 대응체결되며, 상면에는 단턱(61)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단턱(61)의 수직면에는 고정체(70) 일측의 링형상 제 2돌출부(72)와 대응되도록, 함몰된 제 2함몰부(62)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61)의 수평면에는 고정체(70)가 대응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의 제 2체결공(57)과 대응되는 제 3체결공(63)을 다수 형성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간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체(70)는 전술된 설치공간(33)에 일단이 커버(60)의 상면에 대응위치되어, 중앙에 천공된 삽입공(73)에 힌지축(58)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수단으로 제 1고정피스(21)에 고정되어, 상면이 수평프레임(40)과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체(70)는 삽입공(73)이 중앙이 천공되는 원형판 형태의 제 1몸체(71)와, 상기 제 1몸체(71)에서 연장되되 고정프레임(20)의 다수 제 1고정피스(21)와 대응되는 다수의 제 4체결공(75)을 천공형성하는 'ㄷ'자 형태의 제 2몸체(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장치(90)는 전술된 수직프레임(30)의 삽입구(34)를 통해 수직프레임(30) 내부로 삽입되어,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의 최하단측 조절체(59)의 조절홈(59')을 회전시킴으로써,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내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절장치(90)의 유압조절에 의해 힌지축(58)의 회전력이 조절(더욱 잘 회전되거나 또는 회전이 잘 안되는 뻑뻑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되면서, 상기 도어(11)의 폴딩 속도가 제어(빨라지거나 느려지거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11) 상호간 연결되어지는 일측 상, 하단에 각각 함몰되는 연결턱(12)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11)와 도어(11) 사이의 연결턱(12)에 기어박스(80)가 설치되어, 복수개 도어(1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도어(11)와 도어(11)를 상호간 연결하면서 회동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폴딩도어(10)의 다수 도어(11) 중, 끝단에 위치된 도어(11)의 상면 일측에 함몰형성되는 장착홈(13)에는 자성부재(14)(ex: 자석)가 장착되어 있도록 하여, 폴딩도어(10)가 닫힐 시 문틀에 사전장착되어 있는 자성체와 자성접촉되도록 하여, 폴딩도어(10)가 닫힌 이후에는 사용자의 외력 외 바람 등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폴딩도어 11: 도어
12: 연결턱 13: 장착홈
14: 자성부재 20: 고정프레임
21: 제 1고정피스 22: 제 1함몰부
30: 수직프레임 31: 제 2고정피스
32: 제 1돌출부 33: 설치공간
34: 삽입구 40: 수평프레임
50: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
51: 본체 52: 돌출부
53: 체결라인 54: 나사산
55: 커버판 56: 제 1체결공
57: 제 2체결공 58: 힌지축
59: 조절체 59': 조절홈
60: 커버 61: 단턱
62: 제 2함몰부 63: 제 3체결공
64: 관통홀 70: 고정체
71: 제 1몸체 72: 제 2돌출부
73: 삽입공 74: 제 2몸체
75: 제 4체결공 80: 기어박스
90: 조절장치
B: 고정수단

Claims (6)

  1. 다수의 도어(11) 측면이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철되며 개폐되는 폴딩도어(10)에 적용되는 것이며,
    벽체(W)에 대응설치되며, 상면에 다수의 제 1고정피스(21)가 형성된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제 2고정피스(31)가 형성된 상기 도어(11)의 수직프레임(30);
    상기 수직프레임(30)과 수평프레임(40)의 모서리측 설치공간(33)에서,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길이방향으로 수직내설되며, 상부로 돌출된 힌지축(58)과 연결된 유압실린더가 내장됨으로써, 일측으로 회동 후 원위치로 자동복귀가 가능토록 설치되어 도어(11) 회동을 위한 경첩이 필요없도록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홈(59')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상기 설치공간(33)에서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 상면에 대응결합되어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를 보호하며, 중앙에 상기 힌지축(58)이 돌출되는 관통홀(64)이 천공된 커버(60);
    상기 설치공간(33)에 일단이 커버(60)의 상면에 대응위치되어, 중앙에 천공된 삽입공(73)에 힌지축(58)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수단으로 제 1고정피스(21)에 고정되어, 상면이 수평프레임(40)과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는 고정체(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30)과 접촉되는 일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함몰되는 제 1함몰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에는 제 1함몰부(22)와 대응되는 원호 형상의 제 1돌출부(32)를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11)의 회동이 용이토록 하며,
    상기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는
    상기 힌지축(58)과 연결된 유압실린더가 내설되어 있는 본체(51);
    상기 본체(51)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사산(54)이 형성된 체결라인(53);
    상기 본체(51)의 상부에 위치되며 체결라인(53)에 고정수단으로 체결되는 제 1체결공(56) 및 상기 제 2고정피스(31)에 고정수단으로 대응체결되는 다수의 제 2체결공(57)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0) 상면의 설치공간(33)에 안착고정되는 커버판(55);
    상기 본체(51) 내부에서부터 커버판(55)의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체(70)에 고정되는 힌지축(58);
    상기 본체(51)의 하단부로 돌출되면서 저면에 조절홈(5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와 연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유압실린더 내부에서 승, 하강되면서 내부의 유압을 조절하는 조절체(59);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60)는
    상기 수평프레임(40)의 모서리가 일측에 대응체결되며, 상면에는 단턱(61)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61)의 수직면에는 고정체(70) 일측의 링형상 제 2돌출부(72)와 대응되도록, 함몰된 제 2함몰부(62)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61)의 수평면에는 고정체(70)가 대응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자동복귀용 유압실린더형 힌지장치(50)의 제 2체결공(57)과 대응되는 제 3체결공(63)을 다수 형성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간 고정되고,
    상기 도어(11) 상호간 연결되어지는 일측 상,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턱(12);
    상기 도어(11)와 도어(11) 사이의 연결턱(12)에 설치되어, 복수개 도어(11)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기어박스(80);
    상기 폴딩도어(10)의 다수 도어(11) 중, 끝단에 위치된 도어(11)의 상면 일측에 함몰형성되는 장착홈(13)에 장착되어, 폴딩도어(10)가 닫힐 시 문틀의 자성체와 자성접촉되도록 하는 자성부재(14);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1) 밀폐시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제 1돌출부(32) 측에 천공되는 삽입구(34)를 통해, 상기 수직프레임(3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절홈(59')을 회전시켜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압조절에 의해 힌지축(58)의 회전력이 조절되면서, 상기 도어(11)의 폴딩 속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장치(90); 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장치(90)는 중단이 절곡되어 있으며, 양단이 다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홈(59')에 대응되며 체결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14370A 2019-02-07 2019-02-07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Active KR102200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70A KR102200793B1 (ko) 2019-02-07 2019-02-07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70A KR102200793B1 (ko) 2019-02-07 2019-02-07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072A KR20200097072A (ko) 2020-08-18
KR102200793B1 true KR102200793B1 (ko) 2021-01-11

Family

ID=7226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370A Active KR102200793B1 (ko) 2019-02-07 2019-02-07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7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2493A (ja) * 2014-05-07 2015-11-26 株式会社スギモト創建 回転折れ戸
KR101774469B1 (ko) * 2016-06-16 2017-09-04 이철우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98B1 (ko) 2011-08-30 2014-10-31 홍성주 폴딩도어
KR20160140280A (ko) * 2015-05-29 2016-12-07 정영호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KR20170121907A (ko) * 2016-04-26 2017-11-03 박영순 폴딩도어의 양방향 회전식 절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2493A (ja) * 2014-05-07 2015-11-26 株式会社スギモト創建 回転折れ戸
KR101774469B1 (ko) * 2016-06-16 2017-09-04 이철우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072A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670B1 (ko) 폴딩도어 회전장치
US7814621B1 (en) Stay-closed hinge
US20070186375A1 (en) Door assembly with concealed door closer
KR102176888B1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US20120260577A1 (en) Linear actuator particularly for sliding doors and for sliding door or window closure elements in general
ES2836116T3 (es) Sistema de puerta
CN105486009B (zh) 冰箱
KR102200793B1 (ko)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JP5190967B2 (ja) ヒンジ機構
KR102405052B1 (ko) 스프링 캠 댐핑장치가 구비된 조립 및 분해용이한 도어힌지장치
KR20120041388A (ko) 상하 개폐식 가구 도어용 경첩
JP4431132B2 (ja) ピボットヒンジの吊り金具ユニット
KR20230032504A (ko) 도어용 손끼임방지 경첩
KR20120115879A (ko)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40105164A (ko) 욕실용 도어 힌지
ITUA20164327A1 (it) Cerniera, in particolare per cabine doccia e porte in cristallo
KR102532350B1 (ko) 여닫이용 하부 힌지장치
KR102590721B1 (ko) 외력이 없어도 자동으로 닫히는 2 도어 폴딩시스템
KR200376958Y1 (ko)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KR102800678B1 (ko) 댐퍼가 부착된 접이식 스윙 중문
KR20090118351A (ko) 유리도어 결합용 힌지 프레임을 갖는 샤워부스
KR101782481B1 (ko)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닫힘 도어 장치
KR200234587Y1 (ko) 도어용 힌지
JP2018127861A (ja) 建具及び建具における戸体の吊り込み方法
KR101717479B1 (ko)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1개의 동일한 이동 통로를 갖는 개폐도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