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9173Y1 - 너트조립체 - Google Patents

너트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173Y1
KR200159173Y1 KR2019970037665U KR19970037665U KR200159173Y1 KR 200159173 Y1 KR200159173 Y1 KR 200159173Y1 KR 2019970037665 U KR2019970037665 U KR 2019970037665U KR 19970037665 U KR19970037665 U KR 19970037665U KR 200159173 Y1 KR200159173 Y1 KR 200159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ole
bolt
members
nu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158U (ko
Inventor
김정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1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51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1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1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64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the threaded portions of the nut engaging the thread of the bolt by pressing or rotating an external retaining member such as a cap, a nut, a ring or a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너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2개의 부재(M1,M2)를 볼트(B)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너트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볼트(B)가 체결고정되는 고정구멍(11)을 구비한 너트(10); 상기 너트(10)를 포위하며 상기 너트(10) 의 고정구멍(11)과 연통하는 삽입구멍(21)이 천공형성되며, 2개의 부재중 하나의 부재(M1)의 구멍(P1)이 삽설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부재(M1)를 지지하며 상기 삽입홈(22)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부(23)가 형성된 완충부재(20);로 이루어지며, 볼트와 너트가 상호 정확한 정렬상태를 이루게되어 상호간의 체결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달성될 수 있으며, 부싱과 같은 별도의 완충수단이 필요없으므로써 부품수의 감소 및 체결작업이 편리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너트조립체
본 고안은 너트 조립체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부싱 또는 홀더없이 자체적으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부품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너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개 또는 그 이상의 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각각의 부재를 용접하거나 또는 리벳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같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방식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부재(1)와 제 2부재(2)는 볼트(3)와 너트(4)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이같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는 예컨대 자동차의 엔진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충시키기 위해 또한 결합된 부재들 상호간의 접촉으로 인한 마멸 및 소음의 방지를 위해, 볼트(3)의 헤드부와 제 1부재(1)간에는 와셔(5)가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부재(1,2) 사이에는 부싱(6)이 제공된다. 한편, 제 2부재(2)와 너트(4)사이에도 또한 부싱(7)이 제공된다.
상기 각각의 와셔(5) 및 부싱(6,7)은 모두 중앙에 고정구멍이 천공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재(1,2)의 결합시 상기 각각에 천공형성된 고정구멍이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 그 연통구멍에 볼트(3)를 삽입한 후 너트(4)를 체결 시킴으로써 2개의 부재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각각의 부재간의 결합시에 다수의 구성요소가 필요로 하며 이에따라 각각의 구성요소를 각각의 부재 사이에 정확히 배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의 구멍을 상호 일렬로 연통시키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이, 각각의 구성요소의 구멍이 정확히 연통하지 못하게 되면 볼트가 정확히 삽입되지 않게 됨은 물론 이 상태에서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게 되면 상호간의 결합이 정확하지 못하게되어 상호간 결합오차에 의해 자체에서 요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부품이 상호 별개로 제조되어 보관됨은 물론 별개로 보관됨에 따라 결합작업시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분실이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2개의 부재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너트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2개의 부재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차체적으로 완충 및 흡수 할 수 있는 너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2개의 부재를 상호 볼트결합 시킬 수 있는 너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너트의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너트 조립체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너트 조립체의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너트 11: 고정구멍
20: 완충부재 21: 삽입구멍
22: 삽입홈 23: 지지부
B: 볼트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2개의 부재를 볼트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너트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체결고정되는 고정구멍을 구비한 너트; 및 상기 너트를 포위하며 상기 너트 의 고정구멍과 연통하는 삽입구멍이 천공형성되며, 2개의 부재중 하나의 부재의 구멍이 삽설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너트조립체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너트조립체를 이용한 2개의 부재의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너트조립체는 너트(10) 및 완충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10)는 육각너트 또는 팔각너트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너트(10)의 중앙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멍(11)이 천공형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너트 조립체에는 완충부재(20)가 제공되는바, 상기 완충부재(2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와 같이 다소의 탄성을 지니는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20)에는 그것의 중앙부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구멍(21)이 천공형성 되는바, 상기 삽입구멍(21)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볼트(B)가 삽입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20)의 제위치의 주변에는 삽입홈(22)이 형성되는바, 상기 삽입홈(22)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같이 상호 결합될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의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홈(22)이 하부에는 라운딩처리된 지지부(2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20)의 삽입구멍(21)의 직경은 상기 너트(10)의 체결구멍(11)의 직경보다 다소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바, 이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볼트(B)가 상기 삽입구멍(21)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너트조립체의 제조 방식에 의하면 너트(10)에 고무와 같은 완충재질을 외부에서 압착 또는 가압성형하여 너트(10)와 완충부재(20)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너트조립체를 이용한 체결방식 및 그 작용 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호 결합 또는 연결될 2개의 부재(M1,M2)중 하나의 부재(M1)의 구멍(P1)에 너트조립체를 삽설시키는바, 이때 완충부재(20)의 라운드형 지지부(23)가 상기 구멍(P1)을 탄성적으로 관통하게 되며 이후 그 완충부재(20)의 삽입홈(22)이 상기 구멍(P1)에 삽입된다.
이후, 상기 일부재(M1)에 결합될 타부재(M2)를 상기 완충부재(20)의 상부면에 배치시킨후 완충부재(20)의 삽입구멍(21)을 타부재(M2)의 구멍(P2)에 연통시킨 상태에서 볼트(B)를 상기 연통구멍에 삽설시킨다.
이와같이 볼트(B)가 삽입구멍(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B)를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완충부재(20)의 내측에 제공된 너트(10)의 고정구멍(11)에 볼트(B)가 삽입 체결 됨으로써 2개의 부재(M1,M2)가 상호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너트 조립체를 이용하여 2개의 부품을 결합하면 볼트와 너트가 상호 정확한 정렬상태를 이루게되어 상호간의 체결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달성될 수 있으며, 부싱과 같은 별도의 완충수단이 필요없으므로써 부품수의 감소 및 체결작업이 편리한 잇점이 있다.
또한, 자체적으로 진동 및 충격을 완충할 수 있어 부품의 파손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2개의 부재(M1,M2)를 볼트(B)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너트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볼트(B)가 체결고정되는 고정구멍(11)을 구비한 너트(10);
    상기 너트(10)를 포위하며 상기 너트(10) 의 고정구멍(11)과 연통하는 삽입구멍(21)이 천공형성되며, 2개의 부재중 하나의 부재(M1)의 구멍(P1)이 삽설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부재(M1)를 지지하며 상기 삽입홈(22)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부(23)가 형성된 완충부재(20);로 이루어진 너트조립체.
KR2019970037665U 1997-12-16 1997-12-16 너트조립체 KR200159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665U KR200159173Y1 (ko) 1997-12-16 1997-12-16 너트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665U KR200159173Y1 (ko) 1997-12-16 1997-12-16 너트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158U KR19990025158U (ko) 1999-07-05
KR200159173Y1 true KR200159173Y1 (ko) 1999-10-15

Family

ID=1951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665U KR200159173Y1 (ko) 1997-12-16 1997-12-16 너트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1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70B1 (ko) 2010-05-20 2011-01-13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위치가이드 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541B1 (ko) * 2007-05-04 2008-04-08 정기정 체결용 보스
KR102778254B1 (ko) * 2019-06-25 202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70B1 (ko) 2010-05-20 2011-01-13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위치가이드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158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5060A (en) Fixing appliance
KR20000016087A (ko) 자동차용방진장치_
KR20170093406A (ko) 스티어링 시스템용 기어박스의 마운팅부시
JP5150443B2 (ja) 防振装置
KR200159173Y1 (ko) 너트조립체
US6782981B2 (en) Antivibration apparatus including a mass damper
JPH0949547A (ja) 防振クリップ
GB2165918A (en) Vibration-damping device
CN213981802U (zh) 一种减震座及全自动化学发光免疫分析仪
KR0138542Y1 (ko) 텔레비전용 회로기판 결합부재
JPH04318293A (ja) 圧縮機の支持装置
KR200151156Y1 (ko) 댐퍼볼트조립체
KR19980025308U (ko) 쇽업소버용 러버 부시
KR0124984Y1 (ko) 엔진 고정 브라켓 충격완화장치
KR0131250Y1 (ko) 크로스 멤버와 차체의 진동저감 결합구조
KR200229857Y1 (ko) 부쉬
KR930000396Y1 (ko) 카-오디오용 데크의 진동완충장치
KR100334271B1 (ko) 다이내믹 댐퍼와 리프스프링의 취부구조
KR0140764B1 (ko) 리어 미션 브라켓트
KR0133896Y1 (ko) 압축기 방진장치
KR200141758Y1 (ko)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연결구조
JP2003090387A (ja) マウント装置
KR100197496B1 (ko) 자동차의 범퍼 조립용 테일 브래키트
JPH0542874B2 (ko)
KR950003905Y1 (ko)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7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