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3905Y1 -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905Y1
KR950003905Y1 KR92003752U KR920003752U KR950003905Y1 KR 950003905 Y1 KR950003905 Y1 KR 950003905Y1 KR 92003752 U KR92003752 U KR 92003752U KR 920003752 U KR920003752 U KR 920003752U KR 950003905 Y1 KR950003905 Y1 KR 950003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ray tube
fastening member
cathode ray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92003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566U (ko
Inventor
엄재덕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03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905Y1/ko
Publication of KR9300225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5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0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9/00Details of vacuu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1/00
    • H01J19/02Electron-emitting electrodes; Cathodes
    • H01J19/04Thermionic cathodes
    • H01J19/10Thermionic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H01J19/12Supports; Vibration-damp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제1도는 종래의 보스에 음극선관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스에 음극선관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을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체결부재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4a도는 조립전의 상태도, 제4b도는 조립중의 상태도, 제4c도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도.
제5도는 제4c도의 “A”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넷 2 : 보스
3 : 압축스프링 4 : 탄성부재
5 : 음극선관 6 : 러그
7 : 체결부재
본 고안은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에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보스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캐비넷에 기둥형태로된 복수개의 보스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제1도와 같이 캐비넷(1)에 별도로 제작된 복수개의 보스(2a)를 고정한 후 이 보스에 음극선관을 장착하였다.
즉, 캐비넷(1)에 고정된 보스(2a)에 음극선관(5)을 얹혀서 각 보스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음극선관에 고정되어 있는 각 러그(Lug)(6)와 각 보스를 일치시킨 후 각 러그와 보스사이에 체결부재(7)를 체결하여 음극선관을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극선관용 보스는 단지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너트로서의 역할만을 할뿐, 음극선관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질때 이를 완충시키는 역할은 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제품의 운반이나 기타 원인에 의해 음극선관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그 하중이 음극선관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스부위에 집중되어 보스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심한 경우 보스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극선관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보스의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 음극선관의 러그가 장착될 수 있도록 캐비넷에 고정된 보스와, 상기 보스의 홈부내에 설치되고 일부가 보스에 인서트되어 고정된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바깥측에 설치되고 러그가 얹혀지도록 상단부가 보스의 상부로 돌출된 탄성부재와, 상기 러그의 구멍을 통해 압축스프링에 결합되어 러그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캐비넷(1)에 장착되는 복수개(통상 4개)의 보스(2)의 홈부내에 압축스프링(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축스프링(3)의 하단 일부는 보스(2)에 인서트(insert)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보스(2)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3)의 바깥측 둘레면에는 탄성부재(4)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4)의 상단은 보스(2)의 상부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보스(2)의 홈부내에 삽입되어 보스(2) 상부로 돌출된 탄성부재(4)에는 음극선관(5)에 고정된 각 러그(6)가 얹혀지며, 상기 각 러그(6)의 상방으로 부터 러그(6)의 구멍을 통해 체결부재(7)를 삽입하여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체결부재(7)가 압축스프링(3)에 체결됨과 동시에 러그(6)는 보스(2)의 상단면과 일정공간(S)만큼 떨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제4도와 같이 체결부재(7)의 나사홈간격인 피치(Pitch)(b)는 압축스프링(3)의 선과 선사이의 간격인 피치(a)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부재(7)를 조임에 따라 압축스프링(3)은 압축되도록 되어 있으며, 체결부재(7)가 완전히 조여진 상태에서도 체결부재(7)의 하단과 보스(2)의 홈부 바닥면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은 음극선관(5)에 고정된 각 러그(6)가 탄성부재(4)가 얹혀진 상태에서 체결부재(7)를 조여주면 체결부재(7)가 압축스프링(3)에 체결되면서 음극선관(5)이 보스(2)에 고정되는 것으로, 체결부재(7)의 체결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4a도는 체결부재(7)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도로서, 이 상태에서 러그(6)의 구멍을 통해 체결부재(7)를 보스(2)내로 삽입하면 압축스프링(3)의 상단부가 체결부재(7)의 최하단 나사홈으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스프링(3)의 상단부가 체결부재(7)의 하단 나사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부재(7)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4b도와 같이 압축스프링(3)이 나사홈에 감겨지면서 체결부재(7)가 점차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체결부재(7)의 피치(b)가 압축스프링(3)의 피치(a)보다 작기 때문에 압축스프링(3)은 점차 압축된다.
또한 체결부재(7)를 더욱 조여주면 제4c도와 같이 체결부재(7)의 머리부분이 러그(6)에 접속되면서 체결작업이 완료되고 러그(6)는 보스(6)에는 이탈하지 않게된다.
즉, 체결부재(7)를 조여주면 체결부재(7)가 압축스프링(3)에 결합되는데, 이 압축스프링(3)의 일단은 보스(2)에 인서트되어 보스(2)와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체결부재(7)는 압축스프링(3)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보스(2)에 체결되며, 따라서 러그(6)는 보스(2)에서 이탈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7)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체결부재(7)의 하단과 홈부의 바닥면 사이에는 공간(S)이 존재하게 되므로 음극선관(5)은 압축스프링(3)에 의해 상,하방향의 탄력을 받는 상태로 보스(2)에 지지된다.
또한 보스(2)의 상단과 러그(6)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어 체결부재(7)를 체결할 때 탄성부재(4)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고 좌,우 방향으로 인장이 되므로 음극선관(5)에 좌,우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탄성부재(7)가 이를 흡수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음극선관에 가해지는 상,하방향의 진동은 압축스프링이 흡수하고 좌,우방향의 진동은 탄성부재가 흡수하여 보스에는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되며, 따라서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한 보스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음극선관(5)의 러그(6)가 장착될 수 있도록 캐비넷(1)에 고정된 보스(2)와, 상기 보스의 홈부내에 설치되고 일부가 보스에 인서트되어 고정된 압축스프링(3)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바깥측 둘레에 설치되고 러그가 얹혀지도록 상단부가 보스의 상부로 돌출된 탄성부재(4)와, 상기 러그의 구멍을 통해 압축스프링에 결합되어 러그를 탄성부재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7)로 구성된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7)와 보스(2)의 홈부 바닥면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된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KR92003752U 1992-03-09 1992-03-09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Expired - Fee Related KR950003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752U KR950003905Y1 (ko) 1992-03-09 1992-03-09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752U KR950003905Y1 (ko) 1992-03-09 1992-03-09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566U KR930022566U (ko) 1993-10-16
KR950003905Y1 true KR950003905Y1 (ko) 1995-05-17

Family

ID=1933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3752U Expired - Fee Related KR950003905Y1 (ko) 1992-03-09 1992-03-09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9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566U (ko) 199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8098A (en) Mounting nut
US1988295A (en) Yieldable supporting structure
KR970010655B1 (ko) 초음파 혼의 캐퍼레리 유지구조
KR950003905Y1 (ko)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US4750401A (en) Lug nut assembly for drums
US6131875A (en) Cone-shaped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n optical scanner
KR102484080B1 (ko) 전선볼트 고정구조
KR200159173Y1 (ko) 너트조립체
KR100433387B1 (ko) 텔레비젼브라운관의진동방지장치
KR200191511Y1 (ko) 진동감소용 와셔구조
KR0138542Y1 (ko) 텔레비전용 회로기판 결합부재
KR0134258Y1 (ko) 충격흡수용 리코일 스프링 샤프트
KR200343003Y1 (ko) 고정 장치
KR20220023168A (ko) 방진너트 세트
KR20000007288U (ko) 회로기판 조립용 체결수단
KR950007142Y1 (ko) 연사기용 피드 로울러의 실장력 조정구의 결합 구조
JPH11108035A (ja) 接合装置用緩衝構造、および緩衝装置
KR0113634Y1 (ko) 스프링 타입용 지그
KR0121562Y1 (ko) 동축형 스피커의 중.고음용 스피커 지지구조
KR19980037775U (ko) 볼트와 너트의 풀림방지장치
KR930006445Y1 (ko) 말굽형 판스프링을 이용한 crt 커플링 연결장치
KR0138398Y1 (ko) 실린더헤드 카바의 체결 장착용의 볼트 체결장치
JPH04272373A (ja) 家屋等の基礎間結合用アンカ−ボルト及びその設置方法
KR930000396Y1 (ko) 카-오디오용 데크의 진동완충장치
KR200155627Y1 (ko) 위치조정이 용이한 브라운관의 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03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3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228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8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082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