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3896Y1 - 압축기 방진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 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896Y1
KR0133896Y1 KR2019950004423U KR19950004423U KR0133896Y1 KR 0133896 Y1 KR0133896 Y1 KR 0133896Y1 KR 2019950004423 U KR2019950004423 U KR 2019950004423U KR 19950004423 U KR19950004423 U KR 19950004423U KR 0133896 Y1 KR0133896 Y1 KR 0133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vibration
refrigerator
spring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867U (ko
Inventor
오영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04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896Y1/ko
Publication of KR9600318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8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8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상하지지부와, 상기 상하지지부에 그 단부가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상하부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며 스프링의 일부를 감싸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방진효율이 좋은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압축기 방진장치
제1도는 종래 냉장고에 설치된 압축기에 방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2도와 제3도는 종래 방진장치에 의해 압축기의 브라켓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방진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상부지지부 32 : 연결부
35 : 하부지지부 40 : 스프링
본 고안은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케이스에 대해 압축기를 지지하는 압축기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수단으로서는 진동의 방향, 진동의 감쇠정도 또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이러한 방진수단중 냉장고의 압축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냉장고의 압축기(100)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브라켓(101)과 상기 압축기(100)가 설치되는 냉장고 본체(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101)에 형성된 관통공(102)에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소정깊이 인입홈(11)이 형성된 봉상의 고무부재(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방진장치(10)는 냉장고의 압축기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냉장고의 본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장고의 운반중 압축기에 가하여지는 충격에 의해 압축기와 연결된 파이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상기 방진장치(10)는 단일의 고무부재(12)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압축기(100)로부터 발생된 진동의 감쇄작용이 미흡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방진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압축기(100)의 브라켓(101)에 고정되는 상부방진부재(21)와, 이 상부방진부재(21)의 수직하부에 위치되며 냉장고의 본체(200)에 고정되는 하부방진부재(22)와, 상하부방진부재(21)(22) 사이에 기재되는 스프링(2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방진장치는 압축기(100)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냉장고의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의 감쇄 및 진동 흡수효과는 상기 방진장치(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좋으나 압축기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한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즉, 상기 압축기(100)에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가하여 졌을 경우 스프링(23)의 압축은 상하부방진부재(21)(22) 사이의 간격 이상 이루어지게 되므로 압축기(100)와 연결된 관의 접합부에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방진장치는 상하부방진부재(21)(22)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스프링(23)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 방진장치의 설치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진동의 흡수와, 진동에 따른 진폭을 상대적으로 줄여 압축기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그 단부에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상하지지부와, 상기 상하지지부에 그 단부가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상하부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며 스프링의 일부를 감싸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의 단부에는 그 외주면에 인입홈이 형성된 고정부가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방진장치는 냉장고의 압축기 외주면에 형성된 브라켓과, 이 브라켓 수직하부의 냉장고 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압축기로부터의 진동과 냉장고의 운반등과 같이 본체로부터 가하여지는 진동이 상호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상하부지지부(31)(35)와, 상기 상하부지지부(31)(35)에 그 단부가 끼워지는 스프링(40)과, 상기 상하부지지부(31)(35)의 사이를 연결하며 스프링(40)의 일부를 감싸는 연결부(32)로 대별된다.
상기 상부지지부(31)는 스프링(4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삽입부(31b)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31b)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부(31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둘레턱(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부(31)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 삽입홈(33a)이 형성된 고정부(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35)는 상기 스프링(4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삽입부(35b)의 외주면에는 삽입부(35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둘레턱(35a)이 형성된다. 이때에 상기 상부지지부(31) 삽입부(31b)의 단부와 하부지지부(35b) 삽입부(35b) 사이의 간격은 3mm 내지 7mm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2)는 상기 상하부지지부(31)(35)의 외주면의 일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그 두께가 상하부지지부(31)(35)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두께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지지부(31)(35), 연결부(32) 및 고정부(33)의 재질은 고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것이나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방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방진장치를 이용하여 냉장고의 압축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서는 압축기(100)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된 브라켓(101)의 관통공에 상기 상부지지부(31)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32)를 끼워 고정부(32)의 삽입홈(33a)에 브라켓(101)이 위치되도록 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35)를 냉장고의 본체(200)에 고정한다. 상기 하부지지부의 고정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세트스크류를 이용하거나 하부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된 훅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방진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압축기(100)의 구동으로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하부지지부(31)(35)에 그 단부가 지지된 스프링(40)과 연결부(32)가 압축 및 인장되면서 압축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기(100) 또는 본체(200)으로부터 가하여지는 진동이 매우 큰 경우에는 상기 상하부지지부(31)(35)의 삽입부(31b)(35b)가 상호 접촉됨으로써 이 삽입부들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므로 압축기(100)가 본체(200)에 대해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압축기(100)가 심하게 흔들림으로써 압축기와 연결된 관의 접속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지지부(31)(35)는 연결부(32)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방진장치의 설치가 매우 간단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방진장치는 연결부와 스프링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게 되므로 방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냉장고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냉장고의 압축기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진동이 발생하는 각종 장치에 널리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상하부지지부와, 상기 상하부지지부에 그 단부가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상하부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며 스프링의 일부를 감싸는 연결부와, 상기 상부지지부의 상단부의 외주면에 삽입홈 형성된 고정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지지부 및 연결부가 고무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장치.
KR2019950004423U 1995-03-14 1995-03-14 압축기 방진장치 KR0133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423U KR0133896Y1 (ko) 1995-03-14 1995-03-14 압축기 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423U KR0133896Y1 (ko) 1995-03-14 1995-03-14 압축기 방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867U KR960031867U (ko) 1996-10-24
KR0133896Y1 true KR0133896Y1 (ko) 1999-05-15

Family

ID=1940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423U KR0133896Y1 (ko) 1995-03-14 1995-03-14 압축기 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8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17B1 (ko) * 2016-07-15 2016-11-02 (주)파워엔텍 방진장치용 3방향 내진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867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0443B2 (ja) 防振装置
KR0133896Y1 (ko) 압축기 방진장치
KR101182926B1 (ko) 벽걸이형 기기의 벽면 고정 장치
KR200314293Y1 (ko)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가 설치된 방진가대
KR200228560Y1 (ko) 방진용 천장구조물 고정 장치
JPH04318293A (ja) 圧縮機の支持装置
KR200165371Y1 (ko) 방진장치(apparatus preventing the vibration)
JPH04118326A (ja) 車両用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フイルターの支持装置
KR19990019398A (ko)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
KR930008267Y1 (ko) 세탁기의 모터 진동방지 장치
KR200154041Y1 (ko) 엔진 마운트용 브라켓
KR200168056Y1 (ko) 록커 커버용 러버 부동구조
KR940008146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니트 진동 방지장치
KR200165894Y1 (ko) 방진구
KR930000396Y1 (ko) 카-오디오용 데크의 진동완충장치
KR950006579Y1 (ko) 모터의 고정브래키트 방진구
JPH06336287A (ja) 振動発生機用防振容器装置
KR200177502Y1 (ko) 판스프링형 동흡진 장치
KR200149374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900004910Y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고정장치
KR920003184Y1 (ko) 냉장고용 압축기 고정구조
KR100786244B1 (ko) 진동감쇄 장치
KR19990000427U (ko) 스프링 방진구
JPH04272373A (ja) 家屋等の基礎間結合用アンカ−ボルト及びその設置方法
JPH1038027A (ja) 圧縮機の防振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31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14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6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0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