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9398A -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398A
KR19990019398A KR1019970042778A KR19970042778A KR19990019398A KR 19990019398 A KR19990019398 A KR 19990019398A KR 1019970042778 A KR1019970042778 A KR 1019970042778A KR 19970042778 A KR19970042778 A KR 19970042778A KR 19990019398 A KR19990019398 A KR 1999001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buffer
damper
rubbe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경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398A/ko
Publication of KR1999001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398A/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단순히 고무재의 방진러버에 의해 엔진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엔진측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댐퍼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지 못하고 차체에 전달되어 차량이 떨리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 재질로 이루어진 댐퍼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21)에 볼트(21a)를 형성하고, 상부케이스(21)의 저면에는 완충러버(22)를 고정 설치하며, 이 완충러버(22)는 유입홈(22a)을 이 형성하여 제1완충유체(23)를 채운다. 그리고 완충러버(22)의 저면에는 분리판(24)이 설치되며, 분리판(24)과 완충러버(22)의 외측면에는 중앙케이스(25)가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중앙케이스(25)와 밀착 끼워지는 하부케이스(26)에는 다이아프램(27)과 완충공간부(28) 및 제2완충유체(29)를 구비한다.
따라서 댐퍼는 여러개의 다른 재질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차량의 정숙성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마운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엔진은 섀시 프레임 또는 보디에 지지되어 있으며,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섀시나 보디에 전해져 승차감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엔진의 장착부에는 반드시 탄성체에 의한 방진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엔진 방진장치는 엔진마운팅(engine mounting) 또는 엔진 서포트라고 부르며, 엔진의 진동을 차체에 전달하지 못하도록 방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엔진 방진장치중 엔진마운팅은 고무 등의 완충부재로 만들어지며, 엔진쪽과 보디쪽을 연결하여 고무의 압축, 인장, 비틀림의 작용에 따라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엔진마운팅은 차종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버퍼로드(buffer rod)를 설치한 것, 그리고 고무로 만들어진 러버마운팅과 고무내에 액체를 봉입하여 진동의 감쇠력을 크게 한 복합 마운팅이 있으며, 또한 진동쪽 추(댐퍼)를 추가하여 진동쪽의 진폭을 작게 하거나 진동수를 변화시켜 공진을 방지하는 것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엔진마운팅에 사용되는 댐퍼는 엔진을 차체에 지지하는 역할과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는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대략 원통형상의 원통브래킷(3)이 형성되고, 이 원통브래킷(3)의 중앙에는 관통구멍(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윗면 일측에는 기준돌기(3b)가 형성된다.
한편, 원통브래킷(3)의 외주연에는 고무재의 방진러버(4)가 설치되며, 이러한 방진러버(4)는 상부 양측에 공간부(4a)가 형성된다. 그리고 방진러버(4)가 끼워지는 플레이트(5)는 중앙부에 끼움구멍(5a)이 형성되고, 윗쪽 양측에는 차체(6)와 결합되도록 체결구멍(5b)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엔진마운팅의 댐퍼(2)는 원통브래킷(3)의 기준돌기(3b)를 엔진의 소정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관통구멍(3a)에 별도의 볼트(B)를 삽입시켜 엔진브래킷(1)과 너트(N)로 체결된다. 그리고 플레이트(5)의 체결구멍(5b)은 차체(6)와 볼트(B)로 체결되거나 별도의 브래킷에 의해 차체(6)와 체결되어 엔진의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는 단순히 고무재의 방진러버(4)에 의해 엔진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엔진측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댐퍼(2)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지 못하고 차체(6)에 전달되어 차량이 떨리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즉, 댐퍼(2)는 원통브래킷(3)과 플레이트(5) 사이에 방진러버(4)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엔진으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어느정도 흡수,감소시키게 되나, 하나의 방진러버(4)로 인해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충분히 흡수하거나 감소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댐퍼(2)는 엔진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 감소시키지 못하므로 엔진 시동시 차량이 떨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 차량의 정숙성과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재질로 이루어진 댐퍼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댐퍼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댐퍼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엔진브래킷 20; 댐퍼
21; 상부케이스 21a; 볼트
22; 완충러버 22a; 유입홈
23; 제1완충유체 24; 분리판
25; 중앙케이스 26; 하부케이스
26a; 볼트 27; 다이아프램
28; 완충공간부 29; 제2완충유체
30; 차체 N; 너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는 볼트가 엔진브래킷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상부케이스와; 저면 중앙부에 유입홈이 형성되는 완충러버와; 이 완충러버의 유입홈에 채워지는 제1완충유체와;완충러버의 저면과 밀착되는 분리판과; 이러한 분리판과 완충러버의 외측면을 감싸는 중앙케이스와; 하방향으로 볼트가 돌출되는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중앙케이스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다이아프램과 분리판 사이에 위치되는 완충공간부와; 다이아프램과 하부케이스 사이에 채워지는 제2완충유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20)의 상부케이스(21)는 볼트(21a)가 엔진브래킷(10)에 삽입 체결되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너트(N) 등으로 엔진브래킷(10)과 체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21)의 저면과 밀착 고정되는 완충러버(22)는 저면 중앙부에 유입홈(22a)이 형성되며, 러버와 같은 완충부재로 형성된다.
상기한 완충러버(22)의 유입홈(22a)에는 제1완충유체(23)를 채우며, 이러한 제1완충유체(23)는 유체의 특성상 상부나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분산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완충유체(23)의 저부, 즉 완충러버(22)의 저면에는 분리판(24)을 밀착 설치하며, 이러한 분리판(24)에 의해 제1완충유체(23)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분리판(24)은 단면형상이 오목렌즈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완충유체(23)의 움직임이 보다 잘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오목렌즈 형상외에 다른 형상으로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분리판(24)과 완충러버(22)의 외측면에는 중앙케이스(25)가 밀착 설치되며, 이러한 중앙케이스(25)는 분리판(24)과 완충러버(22)를 감싸도록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케이스(25)의 저부과 밀착 고정되는 하부케이스(26)는 차체(3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방향으로 볼트(26a)가 돌출된다.
하부케이스(26)와 중앙케이스(25)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다이아프램(27)은 박막 형상으로 형성되며, 진동 및 충격의 흡수가 용이하면서 다이아프램(27)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이아프램(27)과 분리판(24) 사이에는 완충공간부(28)가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완충공간부(28)는 다이아프램(27)과 분리판(24)이 신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그 만큼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이아프램(27)과 하부케이스(26) 사이에 채워지는 제2완충유체(29)가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주행시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은 엔진을 지지하고 있는 엔진브래킷(10)이나 엔진마운팅으로 전달된다. 이때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은 떨림과 같은 진동이 전달되며, 이러한 떨림은 엔진 내에서 반복되는 폭발행정에 의해 발생되어 엔진브래킷(10)과 차체(30) 사이에 고정 설치된 댐퍼(20)로 전달된다.
그러나, 댐퍼(20)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개의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엔진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상쇄 또는 감소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댐퍼(20)의 상부케이스(21)는 엔진브래킷(10)으로부터 강한 진동이 1차적으로 전달되나, 내구성이 큰 고무재의 완충러버(22)에 의해 큰 진동을 상당히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완충러버(22)의 아랫측에는 제1완충유체(23)와 격리판 및 완충공간부(2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완충러버(22)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분산시키면서 감소시키게 된다. 더욱이 제1완충유체(23)와 격리판 및 완충공간부(28)는 각각 서로 다른 재질, 즉 매질이 서로 상이하므로 완충러버(2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완충공간부(28)의 아랫측에는 박막 형상의 다이아프램(27)과 제2완충유체(29)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가일층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완충공간부(28)와 제2완충유체(29) 사이에 설치된 다이아프램(27)은 둘 사이에서 진동이나 충격에 따라 신축적으로 움직이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진동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부케이스(26)와 볼트(26a)에 의해 체결된 차체(30)에는 엔진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엔진 시동후에도 차량이 떨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댐퍼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완충러버와 제1,2완충유체 및 완충공간부와 다이아프램을 구비하여 엔진브래킷으로부터 전달되는 엔진의 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댐퍼는 여러개의 다른 재질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차량의 정숙성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엔진브래킷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을 지지하면서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 등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에 있어서,
    볼트(21a)가 상기 엔진브래킷(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상부케이스(21)와;
    상기 상부케이스(21)의 저면과 밀착 고정되며, 저면 중앙부에 유입홈(22a)이 형성되는 완충러버(22)와;
    상기 완충러버(22)의 유입홈(22a)에 채워지는 제1완충유체(23)와;
    상기 완충러버(22)의 저면과 밀착되는 분리판(24)과;
    상기 분리판(24)과 완충러버(22)의 외측면을 감싸는 중앙케이스(25)와;
    상기 중앙케이스(25)의 저부과 밀착 고정되며, 하방향으로 볼트(26a)가 돌출되는 하부케이스(26)와;
    상기 하부케이스(26)와 중앙케이스(25)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다이아프램(27)과;
    상기 다이아프램(27)과 분리판(24) 사이에 위치되는 완충공간부(28)와;
    상기 다이아프램(27)과 하부케이스(26) 사이에 채워지는 제2완충유체(29);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
KR1019970042778A 1997-08-29 1997-08-29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 KR19990019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778A KR19990019398A (ko) 1997-08-29 1997-08-29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778A KR19990019398A (ko) 1997-08-29 1997-08-29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398A true KR19990019398A (ko) 1999-03-15

Family

ID=6603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778A KR19990019398A (ko) 1997-08-29 1997-08-29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3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039B1 (ko) * 2001-06-21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성 엔진 마운팅 어셈블리
KR100452203B1 (ko) * 2002-05-30 200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두께 차이를 갖는 현가장치용 로워암
CN114475203A (zh) * 2021-12-03 2022-05-13 苏州恒荣精密机电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震汽车发动机托臂和支架
CN117227451A (zh) * 2023-11-13 2023-12-15 常州万才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矿用无轨胶轮车
CN119189627A (zh) * 2024-11-29 2024-12-27 河南恒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模态尼龙车用压缩机支架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039B1 (ko) * 2001-06-21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성 엔진 마운팅 어셈블리
KR100452203B1 (ko) * 2002-05-30 200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두께 차이를 갖는 현가장치용 로워암
CN114475203A (zh) * 2021-12-03 2022-05-13 苏州恒荣精密机电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震汽车发动机托臂和支架
CN117227451A (zh) * 2023-11-13 2023-12-15 常州万才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矿用无轨胶轮车
CN117227451B (zh) * 2023-11-13 2024-02-09 常州万才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矿用无轨胶轮车
CN119189627A (zh) * 2024-11-29 2024-12-27 河南恒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模态尼龙车用压缩机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1787C (en) Fluid filled elastomeric damping device
JP3049105B2 (ja) ブッシュタイプの制振装置及びブッシュタイプの液体充填制振装置
JPH0211945A (ja) 流体充填弾性振動減衰装置
US5433421A (e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KR100262146B1 (ko) 액체봉입식 마운트
KR19990019398A (ko) 차량용 엔진마운팅의 댐퍼
KR100489110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100461449B1 (ko) 엔진 마운팅 장치
KR100501361B1 (ko) 차량의 반 능동 마운트 장치
JPH08291835A (ja) 防振装置
KR200149038Y1 (ko) 댐퍼볼트
KR0179479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방진장치
JP3567948B2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3767009B2 (ja) 粘性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200160615Y1 (ko) 쇽업소버의 댐퍼스프링구조
KR200147379Y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KR200143121Y1 (ko) 유압식 엔진 마운팅장치
JPH05149368A (ja) 防振装置
KR0185112B1 (ko)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
JP3972292B2 (ja) 車両用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0559873B1 (ko) 차량의 엔진마운트
JP2553360Y2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H0227534B2 (ja) Ekifunyuboshinsochi
KR100192485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841163B1 (ko) 산업용중장비의 방진용 사각 마운트 결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