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21133A - 정보단말기 - Google Patents

정보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133A
KR20010021133A KR1020000043054A KR20000043054A KR20010021133A KR 20010021133 A KR20010021133 A KR 20010021133A KR 1020000043054 A KR1020000043054 A KR 1020000043054A KR 20000043054 A KR20000043054 A KR 20000043054A KR 20010021133 A KR20010021133 A KR 2001002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ousing
display
information
display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하시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2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1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정보단말기는 표시부(5)를 갖는 제 1하우징(2) 및 입력/표시부(11)를 갖는 제 2하우징(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하우징(2)과 상기 제 2하우징(3)이 서로에 대하여 접힐 때, 매우 작아질 수 있다. 정보단말기는 향상된 조작성을 제공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큰 용량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정보단말기{Inform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접을 수 있는 구조의 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내에 무선통신 시스템의 정보송수신용 휴대정보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었다. 휴대정보단말기는 휴대전화시스템 및 개인휴대전화시스템(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의 휴대정보단말기를 포함한다(이하, 휴대전화라 칭함).
첨부된 도 1은 표시부(50)가 있는 하우징(51), 키입력부(52)가 있는 또 다른 하우징(53) 및 힌지부(hinge section)(54)로 구성되는 종래의 휴대전화를 나타내며, 상기 하우징(51, 53)은 서로에 대하여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하우징(51)과 하우징(53)이 접혀져서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휴대하기가 간편하다. 게다가, 하우징이 접힐때 표시부(50)는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되며, 입력부(52)는 키가 잘못 입력되지 않도록 방지된다.
한편, 사용시에 하우징(51)과 하우징(53)이 적당한 각도로 열릴 때, 휴대전화의 마이크로폰(55)과 스피커는 사용자의 입과 귀 사이의 간격만큼 떨어져서 통화하기에 적당하게 된다.
휴대전화의 표시부(50)는 걸려오는 전화의 정보뿐만 아니라 부재중 전화의 정보 및 전파의 현재상태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종종 이를 볼수 있도록 사용된다.
그때, 접을 수 있는 휴대전화의 하우징(51)과 하우징(53)은 사용자가 이후의 카테고리 정보를 보고싶을 때마다 표시부(50)가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 열려야 한다. 그러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53) 상에 투명한 보이는 창(57)이 있는 휴대전화는 성가시게 하우징(51)과 하우징(53)을 열 필요가 없도록 하며, 사용자가 그것을 열지 않고도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커다란 기억용량 및 문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같은 다양한 고도의 기능을 가진 정보단말기가 제공되는 휴대전화가 요구된다. 그 때, 그러한 고도의 휴대전화는 메모리에 저장된 개인의 이름 및 전화번호나 전자메일에 의해서 송수신된 문자메세지와 같은 다양한 문자 데이터를 표시부(50)에 나타내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휴대전화의 하우징(53) 상에 있는 보이는 창(57)은 키입력부가 기계적 접촉을 포함하며 공간을 꽤 차지하기 때문에, 위치와 면적이 제한된다. 즉, 보이는 창(57)이 표시부(50)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보이는 창(57)에 의해서 표시부(50)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될 수 없다.
보이는 창(57)의 면적이 표시부(50)에 표시되는 정보의 가시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확장된다면, 키입력부(52)의 버튼키 간의 간격 및/또는 버튼키의 크기가 줄어들어 휴대전화의 조작성을 해치게 된다.
종래의 휴대전화 표시부(50)는 전화 시스템의 문자전송서비스에 의해서 수신된 문자데이터 전체를 한꺼번에 나타내기에 충분히 크지않다. 그때 표시부(50)는 스크롤(scroll)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간단히 말해서, 종래의 휴대전화 표시부(50)는 휴대전화에서 정상적으로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량을 한꺼번에 다루기에 충분히 크지 않다.
그러므로, 상술한 상황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전화를 매우 작게 만들기 위해서 서로에 대하여 접힐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표시부를 갖는 제 1하우징과 입력/표시부를 갖는 제 2하우징을 포함하는 정보단말기를 제공하여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성을 우수하게 하고 커다란 데이터용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있는 제 1하우징과 정보를 입력 및/또는 표시하기 위한 입력/표시부가 있는 제 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하우징은 서로 대향하고 있는 상기 입력/표시부와 상기 표시부가 서로에 대하여 접히도록 하기 위해서 그들의 각각의 끝에 맞는 힌지(hinge) 장치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정보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정보단말기는 제 1 및 제 2하우징이 서로에 대하여 접혀질 때 매우 작아지도록 만들 수 있다. 게다가, 입력/표시부가 정보입력수단과 정보표시수단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정보단말기는 우수한 가시범위와 조작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가 열려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휴대전화가 열려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가 열려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휴대전화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휴대전화의 입력/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3의 휴대전화의 하우징(3)의 사시도이며, 입력/표시부를 나타낸다.
도 6b는 도 6a의 A-A'선을 따라 잘린 하우징(3)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B-B'선을 따라 잘린 하우징(3)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입력/표시부의 처리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사시도이며, Mode-1에서 작동하는 입력/표시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사시도이며, Mode-2에서 작동하는 입력/표시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사시도이며, Mode-3에서 작동하는 입력/표시부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휴대전화 2. 제 1하우징
3. 제 2하우징 4. 힌지부
5. 표시부 7. 터치패널
9. 스피커 10. 조그 다이얼
11. 입력/표시부 12. 마이크로폰
13. 투과형LCD
이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단말기의 실시예로서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전화(1)는 실제적으로 장방형의 평형육면체인 제 1하우징(2) 및 제 1하우징(2)의 것과 같은 형태의 제 2하우징(3), 그리고 제 1하우징(2)의 끝과 제 2하우징(3)의 끝을 연결하는 힌지부(4)를 포함한다.
제 1하우징(2)에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9), 회전되고 눌려질 때마다 조작신호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조그 다이얼(jog dial)(10) 및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가 있다. 표시부(5)는 제 1하우징(2)의 제 1주면(6)상의 힌지부(4) 근처에 만들어진다. 스피커(9)는 제 1하우징(2)의 제 1주면상에 힌지부(4)의 반대쪽에 만들어진다. 조그 다이얼(10)은 제 1하우징(2)의 측면에 만들어진다.
제 2하우징(3)에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입력/표시부(11)와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2)이 있다. 입력/표시부(11)는 제 2하우징(3)의 제 2주면(8)상에 힌지부(4) 근처에 만들어진다. 마이크로폰(12)은 제 2하우징(3)의 제 2주면상에 힌지부(4)의 반대편에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을 갖는 휴대전화(1)의 제 1하우징(2) 및 제 2하우징(3)은 제 2하우징(3)이 제 1하우징(2)에 대하여 힌지부(4)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부(4)에 의해서 그 각각의 끝에 힌지되어 연결된다. 그때, 제 1하우징(2)의 표시부(5)는 휴대전화(1)의 제 1 및 제 2하우징이 서로에 대하여 닫혀서 제 1주면(6) 및 제 2주면(8)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될 때, 제 2하우징(3)에 의해서 덮여지게 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하우징(2)과 제 2하우징(3)은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열려서 사용자가 통화를 하거나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 제 2하우징(3)을 적당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로 유지된다. 이하, 표시부(5)가 제 2하우징(3)에 의해서 덮여지는 상태를 휴대전화(1)의 닫힌 상태라고 하는 반면에 사용자가 통화하거나 문자데이터를 입력하기에 적당하도록 제 2하우징(3)이 제 1하우징(2)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열려서 유지되는 상태를 휴대전화(1)의 열린 상태라고 한다.
휴대전화(1)의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른 사람과 통화를 하거나 문자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휴대전화(1)가 닫힌 상태일 때, 그것은 아주 작아져서 사용자가 주머니나 어떤 다른 적당한 곳에 편리하게 넣어다닐 수 있다.
표시부(5)는 장방형의 액정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5)는 상기 전화로 통화시에는 상대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며, 휴대전화(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문장이나 현재시간 및/또는 전파의 현재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표시부(11)는 빛을 투과시키기에 적합하며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상의 특징을 제공하는 투과형 LCD(liquid crystal display)(13)와, 또 빛을 투과시키기에 적합하며 프린트 와이어를 제공하는 터치패널(7)로 구성된다. 입력/표시부(11)는 투과형 LCD(13)의 주면에 터치패널을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입력/표시부(11)는 장방형의 주면을 가지며,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형 LCD(13)가 제 2하우징(3)의 제 2주면(8)의 반대편에 노출되는 반면에 터치패널(7)은 제 2하우징(3)의 제 2주면(8)상에 노출된다. 입력/표시부(11)는 표시부(5)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식으로 제 2하우징(3)에 위치하며, 표시부(5)에 표시되는 정보는 휴대전화(1)가 닫힌 상태일 때, 입력/표시부(11)를 통하여 볼 수 있다. 입력/표시부(11)는 제 2주면(8)의 반대편에 투명보호패널과 함께 제공되기도 한다.
이하에 설명될 바와 같이, 입력/표시부(11)는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일 때와 닫힌상태일 때 다르게 작동한다.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일 때, 입력/표시부(11)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며, 투과형LCD(13)는 이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는 표시장치로서 기능한다.
게다가, 휴대전화(1)가 열린 상태에서 입력/표시부(11)는 또한 입력장치로서 기능한다. 입력/표시부(11)가 입력장치로서 기능할 때, 사용자는 투과형LCD(13)상에 표시되는 정보에 상응하는 터치패널(7) 부분을 누른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일 때 입력/표시부(11)는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투과형LCD(13)상의 정보를 볼 수 있다. 표시장치로서 기능할 때의 입력/표시부(11)상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구체적인 예는 휴대전화(1)에 수신된 문자메세지와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목록을 포함한다. 입력장치로서 기능할 때의 입력/표시부 상에 표시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의 예는 전화를 걸기 위해 필요한 숫자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문자나 코드등을 포함한다.
한편, 휴대전화(1)가 닫힌상태일 때, 투과형LCD(13)로의 전력공급이 중지되기 때문에, 입력/표시부(11)는 더이상 입력장치나 표시장치로서 기능하지 않으며, 투명해지게 된다. 따라서, 휴대전화(1)가 닫힌 상태일 때, 입력/표시부(11)는 투명해지며 사용자가 그것을 통하여 표시부(5) 상에 표시된 정보를 보기에 알맞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부(5) 상에 표시된 정보를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표시부(11)는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일 때 표시장치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표시부(5)와 병용하면 큰 용량의 문자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게다가, 입력/표시부(11)는 또한 사용자가 상응하는 부분의 터치패널을 누름으로써 투과형LCD(13)상에 표시된 어떤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표시부(11)로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휴대전화(1)가 닫힌상태일 때, 입력/표시부(11)는 투명해진다. 게다가, 입력/표시부(11)는 사용자가 그것을 통하여 표시부(5)에 표시된 정보를 보기에 적당한 위치에 자리하기 때문에, 표시부(5)상에 표시된 정보는 입력/표시부(11)를 통하여 사용자가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즉, 휴대전화(1)가 닫힌 상태일 때, 사용자는 제 1하우징(2)에 대하여 제 2하우징(3)을 회동시켜 휴대전화(1)를 열지않고도 표시부(5)에 표시된 현재시간 및/또는 전파의 현재상태를 볼 수 있다.
휴대전화(1)는 휴대전화(1)가 닫힌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 2주면(8)의 반대편에서 투과형LCD(13) 상에 표시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제, 휴대전화(1)의 구성이 도 7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1)는 전파 송수신용 송수신부(20),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 정보를 입력/표시하기 위한 입력/표시부(11), 휴대전화(1)의 구성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 음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2),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기 위한 스피커(9), 휴대전화(1)의 구성부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22) 및 입력/표시부(11)의 입력작동과 표시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조그다이얼(10)로 구성된다.
표시부(5)는 제어부(21)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숫자와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입력/표시부(11)는 투과형LCD(13) 및 터치패널(7)로 구성된다. 투과형 LCD(13)는 제 2주면(8)측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어부(2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서 숫자나 문자정보를 표시한다. 터치패널(7)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압력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압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21)로 전송한다.
제어부(21)는 대표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며,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전화(1)의 각 처리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1)는 터치패널(7)로부터 공급된 신호와 투과형LCD(13) 상에 표시된 정보 사이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사용자가 입력시에 신호를 처리한다.
마이크로폰(12)은 음향으로부터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그 발생된 신호를 모아서 제어부(21)로 공급한다.
스피커(9)는 제어부(21)로부터 공급된 음성신호를 음으로 변환하여 그 획득한 음을 출력한다.
조그다이얼(10)은 사용자에 의해서 회전되고 눌려질 때 입력신호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발생된 신호를 제어부(21)로 공급한다.
송수신부(20)는 대표적으로 안테나 방식에 의해서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이제, 휴대전화(1)가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될 때 수행되는 상기 구성을 갖는 휴대전화(1)의 처리작동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휴대전화(1)가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됨으로써 제 2하우징(3)이 힌지부(4)에 의해 회전되어 제 1하우징(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열려질 때, 도 7에 나타내지 않은 센서는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인 것을 인식하며, 그 인식한 신호를 제어부(21)로 보낸다. 그 때, 제어부(21)는 투과형LCD(13)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보내며, 제어부(21)에서 독출되고 저장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작동한다. 투과형LCD(13)는 제 2주면(8)측에서 정보를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제어부(21)에 공급된 신호에 기초하여 정보를 표시한다.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되는 휴대전화(1)의 처리작동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됨으로써 제 2하우징(3)이 힌지부(4)에 의해 회전되어 제 1하우징(2)의 표시부(5)를 덮을 때, 도 7에 나타내지 않은 센서는 휴대전화(1)가 닫힌상태인 것을 인식하며, 그 인식한 신호를 제어부(21)로 보낸다. 그 때, 제어부(21)는 투과형LCD(13)의 정보표시가 종결되도록 신호를 보낸다. 투과형LCD(13)는 그 자체를 투명하게 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표시부(5)상의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어부(21)에 공급된 신호에 기초하여 정보표시를 종결한다.
이제, 입력/표시부(11)의 입력 및 표시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처리작동이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입력/표시부(11)의 입력 및 표시상태는 이하에 설명될 바와 같이 세 가지 다른 모드에서 처리된다. 투과형LCD(13)가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패널(7)의 전면이 작동하는 상태를 이하 Mode-1이라고 칭하는 것을 주목하라.
투과형LCD(13)가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패널(7)의 전면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나 입력/표시부(11)가 표시장치로만 작동하는 상태를 이하 Mode-2라고 칭하는 것을 주목하라. 끝으로, 투과형LCD(13)가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패널(7)이 부분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나, 터치패널(7)이 작동하는 입력/표시부(11)의 부분이 입력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터치패널(7)이 작동하지 않는 입력/표시부(11)의 부분이 표시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상태를 Mode-3이라고 칭한다.
제어부(21)는 전원(22)이 사용자에 의해서 활성화되었는지가 인식되면 S1단계로부터 아래의 처리작동이 시작된다.
첫째로, S1단계에서 제어부(21)는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처리작동은 제어부(21)에 의해서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임이 판단되면, S2단계로 진행한다. 반면에, 제어부(21)에 의해서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S10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S2단계에서, 제어부(21)는 입력/표시부(11)의 투과형LCD(13)를 점등하며, 입력/표시부(11)상에 정보를 표시한다.
그 후에, S3단계에서, 제어부(21)는 입력/표시부(11)의 작동상태가 조그다이얼(10)에 의해서 Mode-1으로 전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1)에 의해서 입력/표시부(11)의 작동상태가 Mode-1으로 전환된 것이 판단되면, 처리작동은 S4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21)에 의해서 입력/표시부(11)의 작동상태가 Mode-1으로 전환되지 않았음이 판단되면, 처리작동은 S5단계로 진행한다.
그때, S4단계에서, 제어부(21)는 Mode-1의 처리작동을 실행한다. Mode-1에서 휴대전화(1)가 통화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숫자키(30), 수신키(31), 종료키(32), 메모키와 클리어키와 같은 기능키(33)를 포함한 키들이 입력/표시부(11)에 표시되어 선택된 키에 상응하는 터치패널(7)부분이 사용자에 의해서 눌려질 때, 입력작동이 수행된다. 그 때, 표시부(5)는 터치패널(7)을 누름으로써 전화번호(34)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표시한다. 그러나, 입력/표시부(11)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정보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서 선택한 전화번호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목하라. 예를들면, 입력/표시부(11)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만들어져서 사용자가 선택된 키에 상응하는 터치패널(7)부분을 연속적으로 누를 때, 문자로 표현된 정보가 입력된다. Mode-1의 상기 처리작동이 완결된 후에, 제어부(21)는 S9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S3단계에서 제어부(21)에 의해서 입력/표시부(11)의 작동상태가 Mode-1으로 전환되지 않았음이 판단되면, 처리작동은 S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S5단계에서, 제어부(21)는 동작상태가 조그다이얼(10)에 의해서 Mode-2로 전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5단계에서 제어부(21)에 의해서 입력/표시부(11)의 작동상태가 Mode-2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처리작동은 S6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S5단계에서 제어부(21)에 의해서 입력/표시부(11)의 작동상태가 Mode-2로 전환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작동은 S7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S6단계에서, 제어부(21)는 Mode-2의 처리작동을 실행한다. Mode-2에서, 입력/표시부(11)는 표시부(5)와 독립적인 정보나 표시부(5)에 표시되는 정보에 연속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표시부(11)가 Mode-2에서 표시부(5)와 독립적으로 정보를 표시할 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표시부(11)가 표시부(5)의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사람의 상세한 정보(이름, 자택전화번호, 휴대전화번호)(36)를 표시하는 동안에, 표시부(5)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사람의 목록(35)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입력/표시부(11)가 표시부(5)에 표시된 정보에 연속한 정보를 표시하며, 수신된 이메일의 전체 메세지를 표시할 수 없을 때, 입력/표시부(11)는 수신된 메세지의 나머지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Mode-2의 처리작동이 종료된 후에, 제어부(21)는 S9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S5단계에서 제어부(21)에 의해서 입력/표시부(11)의 작동상태가 Mode-2로 전환되지 않았음이 판단되면, 처리작동은 S7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S7단계에서, 제어부(21)는 작동상태가 조그다이얼(10)에 의해서 Mode-3으로 전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7단계에서 제어부(21)에 의해서 입력/표시부(11)의 작동상태가 Mode-3으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처리작동은 S8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S7단계에서 제어부(21)에 의해서 입력/표시부(11)의 작동상태가 Mode-3으로 전환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작동은 S9단계로 진행한다.
그때, S8단계에서 제어부(21)는 Mode-3의 처리작동을 실행한다. Mode-3에서, 터치패널(7)이 작동하여 입력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입력/표시부(11)의 영역(이하 영역A라고 함)을 한정짓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Mode-3에서, 터치패널(7)이 작동하지 않아 표시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입력/표시부(11)의 영역(이하 영역B라 함)을 표시부(5)와 독립적인 정보나 표시부(5)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연속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역B가 표시부(5)와 독립적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영역B에 표시된 정보가 이메일에 의해 전송된 메세지일 때, 영역A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키(37)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으로써 선택된 키에 상응하는 터치패널(7)부분을 연속적으로 누름으로써 데이터가 입력된다. 그때, 영역B는 터치패널(7)에 의해서 입력되었으나 메세지가 아직 확정되지 않은 문자(38)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영역B가 표시부(5)에 표시된 정보에 연속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될 때, 표시부(5)에 표시될 수 없는 전송메세지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Mode-3의 상기 처리작동이 종료된 후, 제어부(21)는 S9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S9단계에서, 제어부(21)는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1)에 의해서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라고 판단되면, 처리작동은 S3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어부(21)에 의해서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처리작동은 S10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S10단계에서, 제어부(21)는 입력/표시부(11)의 투과형LCD를 소등한다.
S10단계가 종료된 후에, 처리작동은 S1단계로 되돌아가며, 제어부(21)는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로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다시 한번 판단한다. 이런식으로, 휴대전화(1)에서 상기 처리작동은 전원(22)이 꺼질 때까지 반복된다.
따라서, 휴대전화(1)가 열린상태일 때, 입력/표시부(11)는 터치패널(7)이 작동하는 입력/표시부(11)의 면적을 제어함으로써 휴대전화(1)의 사용목적에 따라 입력장치 및 표시장치로서 여러가지 다른 방법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휴대전화(1)에 한정되지 않으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다른 정보단말기와 같은 휴대정보단말기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 1하우징 및 제 2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정보단말기는 하우징이 서로에 대하여 접혀질 때, 소형화되고 휴대하기에 간편해진다. 게다가, 제 1하우징에 위치한 입력/표시부와 제 2하우징에 위치한 표시부가 문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표시면적을 확대하기 위해서 동등한 방식으로 사용되어 다양하고 복잡한 정보를 표시 및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입력 및 표시할 수 있는 정보단말기가 제공된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정보단말기가 닫힌상태일 때, 입력표시부는 투명해져서 사용자가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쉽게 볼 수가 있다.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보단말기는 정보단말기가 닫힌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정보단말기에 있어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갖는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이 상기 표시부가 보이도록 배치되는 제 1상태로부터 상기 제 1하우징 및 제 2하우징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 2하우징에 의해서 덮여서 보이지 않도록하기 위해서 배치되는 제 2상태로 정보단말기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상태변환수단과,
    상기 제 1상태와 상기 제 2상태에서 보이며, 상기 제 2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를 덮지만 정보를 입력 및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 2하우징에 위치한 입력/표시부와,
    상기 제 2상태에서 투명해지도록(transparent) 상기 입력/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단말기.
  2. 제 1항에 따르면,
    상기 입력/표시부는 투명한 액정표시기와 투명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단말기.
  3. 제 1항에 따르면,
    상기 입력/표시부는 전체면이 입력부로서 기능하는 전체입력모드와,
    전체면이 표시부로서 기능하는 전체표시모드와,
    그 일부가 입력부로서 기능하는 부분입력모드에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체입력모드, 상기 전체표시모드 및 상기 부분입력모드를 선택하는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환수단은 상기 제 1하우징의 단부와 제 2하우징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단말기.
KR1020000043054A 1999-07-30 2000-07-26 정보단말기 KR20010021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17518A JP2001045124A (ja) 1999-07-30 1999-07-30 情報端末
JP99-217518 1999-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133A true KR20010021133A (ko) 2001-03-15

Family

ID=1670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054A KR20010021133A (ko) 1999-07-30 2000-07-26 정보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62244B1 (ko)
EP (1) EP1073246A2 (ko)
JP (1) JP2001045124A (ko)
KR (1) KR20010021133A (ko)
CN (1) CN1134194C (ko)
TW (1) TW52536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435B1 (ko) * 2009-01-30 2010-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1351732B1 (ko) * 2007-03-09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KR101540663B1 (ko) * 2008-12-16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방송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2748B2 (ja) * 2000-08-21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記録媒体並びに通信端末装置
DE10052212C2 (de) * 2000-10-20 2003-01-16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Schnurloses Telefon
JP2002204297A (ja) * 2000-11-02 2002-07-19 Sharp Corp 携帯情報機器
GB0028890D0 (en) * 2000-11-27 2001-01-10 Isis Innovation Visual display screen arrangement
US7289083B1 (en) * 2000-11-30 2007-10-30 Palm, Inc. Multi-sided display for portable computer
DE10059524A1 (de) * 2000-11-30 2002-06-20 Infineon Technologies Ag Kommunikationsendgerät mit benutzerseitig konfigurierbarem Speicher
US6941160B2 (en) 2000-11-30 2005-09-06 Sanyo Electric Co., Ltd. Dual display portable telephone device and allocation means for display process thereof
US7184796B2 (en) * 2000-12-04 2007-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built in projection display
US7466961B1 (en) * 2004-12-13 2008-12-16 Palm, Inc. Compact palmtop computer system and wireless telephone with foldable dual-sided display
US8384674B1 (en) 2001-01-30 2013-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grated enclosure/touch screen assembly
US20020142809A1 (en) * 2001-02-27 2002-10-03 Young Kim One key dialed digital wireless telephone
US6992659B2 (en) 2001-05-22 2006-01-31 Palmone, Inc. High transparency integrated enclosure touch screen assembly for a portable hand held device
US7142195B2 (en) 2001-06-04 2006-11-28 Palm, Inc.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display visible from both sides
US7395089B1 (en) 2001-06-11 2008-07-01 Palm, Inc Integrat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device
US6957397B1 (en) 2001-06-11 2005-10-18 Palm, Inc. Navigating through a menu of a handheld computer using a keyboard
US7356361B1 (en) 2001-06-11 2008-04-08 Palm, Inc. Hand-held device
US6975304B1 (en) 2001-06-11 2005-12-13 Handspring, Inc. Interface for processing of an alternate symbol in a computer device
US6950988B1 (en) 2001-06-11 2005-09-27 Handspring, Inc. Multi-context iterative directory filter
US7852430B1 (en) 2001-11-29 2010-12-14 Palm, Inc. Light guide spacers for backlighting a reflective display
US7665043B2 (en) 2001-12-28 2010-02-16 Palm, Inc. Menu navigation and operation feature for a handheld computer
US7079119B2 (en) * 2002-02-28 2006-07-18 Palm, Inc. Cover for electronic device
JP3999092B2 (ja) * 2002-09-30 2007-10-31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GB0223883D0 (en) * 2002-10-15 2002-11-20 Seamless Display Ltd Visual display screen arrangement
JP4125653B2 (ja) 2002-10-30 2008-07-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100983270B1 (ko) 2003-09-04 201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191834A (ja) * 2003-12-25 2005-07-14 Fujitsu Ltd 端末装置
KR100677303B1 (ko) 2003-12-26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D520976S1 (en) * 2004-04-16 2006-05-16 Ladelfa Paul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mera mobile phone
KR100600750B1 (ko) 2004-07-27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053678A (ja) 2004-08-10 2006-02-23 Toshiba Corp ユニバーサル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6279361A (ja) * 2005-03-29 2006-10-12 Nec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JP4600121B2 (ja) * 2005-03-30 2010-12-15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EP1753210A3 (en) * 2005-08-12 2008-09-0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memo function
KR100771615B1 (ko) * 2005-09-08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JP4028566B2 (ja) * 2005-09-21 2007-12-26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コマンド入力方法
JP5049515B2 (ja) * 2006-06-06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080204463A1 (en) * 2007-02-27 2008-08-28 Adam Cybart Adaptable User Interface and Mechanism for a Tit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204418A1 (en) * 2007-02-27 2008-08-28 Adam Cybart Adaptable User Interface and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204417A1 (en) * 2007-02-27 2008-08-28 Pierce Paul M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207254A1 (en) * 2007-02-27 2008-08-28 Pierce Paul M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02152B2 (en) * 2007-04-30 2014-12-02 Motorola Mobility Llc Dual sided electrophoretic display
US20080291169A1 (en) * 2007-05-21 2008-11-27 Brenner David S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309589A1 (en) * 2007-06-13 2008-12-18 Morales Joseph M Segmented Electroluminescent Device for Morphing User Interface
US9122092B2 (en) * 2007-06-22 2015-09-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olored morphing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90042619A1 (en) * 2007-08-10 2009-02-12 Pierce Paul M Electronic Device with Morphing User Interface
US8077154B2 (en) * 2007-08-13 2011-12-13 Motorola Mobility, Inc. Electrically non-interfering printing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capacitive touch sensors
US20090046065A1 (en) * 2007-08-17 2009-02-19 Eric Liu Sensor-keypad combina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KR20090036191A (ko) * 2007-10-09 2009-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WO2009055771A1 (en) * 2007-10-26 2009-04-30 Ipocus Llc Electronic device with separate bar code display
US8139195B2 (en) * 2007-12-19 2012-03-20 Motorola Mobility, Inc. Field effect mode electro-optical device having a quasi-random photospacer arrangement
US7864270B2 (en) * 2008-02-08 2011-01-04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and LC shutter with diffusive reflective polarizer
US8059232B2 (en) * 2008-02-08 2011-11-15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and LC shutter for polarization-sensitive switching between transparent and diffusive states
TWD133919S1 (zh) * 2008-05-15 2010-03-21 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行動電話
US8314859B2 (en) * 2008-05-29 2012-11-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image capturing method thereof
ATE504155T1 (de) * 2008-05-29 2011-04-15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KR101526970B1 (ko) 2008-05-29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7797B1 (ko) * 2008-05-29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129084B1 (en) * 2008-05-29 2010-11-24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129090B1 (en) * 2008-05-29 2016-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EP2129091A1 (en) * 2008-05-29 2009-12-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transparent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EP2128686B1 (en) 2008-05-29 2017-07-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a solar cell module integrated under th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SD597055S1 (en) * 2008-09-05 2009-07-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D590807S1 (en) * 2008-09-23 2009-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US8259075B2 (en) 2009-01-06 2012-09-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ondary key group layout for keyboard
KR101521932B1 (ko) * 2009-01-19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527811B2 (ja) * 2010-04-20 2014-06-2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784960B2 (ja) 2011-04-26 2015-09-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タッチパネル操作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
JP5774931B2 (ja) * 2011-07-25 2015-09-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3101526A1 (en) 2011-12-31 2016-12-07 Nokia Technologies Oy Causing elements to be displaye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3980A1 (fr) * 1996-09-27 1998-04-02 Nissha Printing Co., Ltd. Element de fermeture superieur d'un boitier de telephone portatif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t element
FI104928B (fi) * 1997-11-27 2000-04-28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on viestin ja menetelmä langattoman viestimen valmistuksessa
JP3098488B2 (ja) * 1998-04-20 2000-10-1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の不在時着信通知装置及び方法
US6377685B1 (en) * 1999-04-23 2002-04-23 Ravi C. Krishnan Cluster key arrang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32B1 (ko) * 2007-03-09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표시창 구비 이동단말기
KR101540663B1 (ko) * 2008-12-16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방송제어 방법
KR100986435B1 (ko) * 2009-01-30 2010-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3031A (zh) 2001-02-07
US6662244B1 (en) 2003-12-09
TW525363B (en) 2003-03-21
EP1073246A2 (en) 2001-01-31
JP2001045124A (ja) 2001-02-16
CN1134194C (zh)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1133A (ko) 정보단말기
US20020022503A1 (en) Mobile phone of dual display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using the same
EP1758345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EP2194439B1 (en) Double-acting communication device
US7983628B2 (en) Cellular telephon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5933783A (en) Portable terminal
US654978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
KR100422383B1 (ko) 단말장치
EP0897236A2 (en) Foldable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2658928B2 (ja) 携帯通信機
EP1156640B1 (en) Portable folding communication unit
US6865400B2 (en) User interfacing device for PDA/wireless terminal
JP2001237932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装置
US7321789B2 (en) Folding information processor
JP2001136251A (ja)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2000124977A (ja) 電子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US700326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and hide-away keyboard
US7206616B2 (en) Handphon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like keyboard
KR100367550B1 (ko)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KR200228906Y1 (ko)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KR100447589B1 (ko) 듀얼 키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JP3669958B2 (ja) 携帯端末装置
JPH09247734A (ja) 携帯電話装置
JP4216203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2101172A (ja) 無線情報端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7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9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