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36191A -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191A
KR20090036191A KR1020070101225A KR20070101225A KR20090036191A KR 20090036191 A KR20090036191 A KR 20090036191A KR 1020070101225 A KR1020070101225 A KR 1020070101225A KR 20070101225 A KR20070101225 A KR 20070101225A KR 20090036191 A KR20090036191 A KR 20090036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haft
display
display device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수
이정노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6191A/ko
Priority to US12/165,728 priority patent/US20090091512A1/en
Priority to CN2008101756260A priority patent/CN101409029B/zh
Publication of KR2009003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19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상호 연결된 두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방향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를 개시한다. 개시한 듀얼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화면을 갖춘 제1디스플레이패널과, 제2화면을 갖춘 제2디스플레이패널과, 제1디스플레이패널과 제2디스플레이패널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연결축은 제1디스플레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축부와, 제1축부로부터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제2디스플레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DUAL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연결된 두 디스플레이패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전화, 전자책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는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그 본연의 기능 뿐 아니라 인터넷, TV시청, 영화감상 등이 가능해졌다. 최근 이러한 기기들은 보다 넓은 화면에서 다양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두 개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채용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92621호(2006년 8월 23일 공개)는 상호 연결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패널을 갖춘 전자책 단말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양측의 두 디스플레이패널이 힌지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장치는 두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두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두 디스플레이패널이 한 방향으로만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면방향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화면을 통해 구현되는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연결된 두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방향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면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듀얼디스플레이장치를 채용하여 다양한 화면배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화면을 갖춘 제1디스플레이패널과, 제2화면을 갖춘 제2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로부터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의 모서리 쪽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의 모서리 쪽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1축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제1축수용홈과, 상기 제2축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제2축수용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듀얼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의 부착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디스플레이패널의 테두리 쪽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더 포함한다.
상기 듀얼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1축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에 장착되는 제1축연결부재와, 상기 제2축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에 장착되는 제2축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메인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는 서브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디스플레이장치는 연결축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메인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 테두리 쪽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1서브디스플레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로부터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의 장착을 위해 상기 메인디스플레이장치 테두리 쪽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패널과 제2디스플레이패널이 자유도가 높은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패널과 제2디스플레이패널의 테두리가 상호 부착되기 때문에 화면방향으로 조정한 후 두 디스플레이패널이 이격되거나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디스플레이장치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이 자유도가 높은 연결축에 의해 상호 연결된 형태이기 때문에 화면배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장치는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장치가 자석에 의해 부착되기 때문에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화면(11)을 갖춘 제1디스플레이패널(10)과, 제2화면(21)을 갖춘 제2디스플레이패널(20), 그리도 두 디스플레이패널(10,20)을 연결하는 연결축(30)을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패널(10)은 제1화면(11)을 통하여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디 스플레이모듈과, 이 디스플레이모듈을 보호하도록 둘레 및 배면을 덮는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제2디스플레이패널도 마찬가지이다. 또 제1 및 제2디스플레이패널(10,20)은 각각 가로와 세로의 폭이 다른 직사각형이고, 상호 동일한 크기로 마련된다.
제1디스플레이패널(10)과 제2디스플레이패널(20)은 자체적으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어유닛(미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미도시),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각각 내장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둘 중 어느 하나에만 이러한 장치들이 내장되고 나머지는 신호 및 전원케이블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제1 및 제2디스플레이패널(10,20)은 외부로부터 영상신호 및 전원을 인가하는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는 접속포트(미도시)를 구비하거나, 외부신호의 수신 또는 내부신호의 송출을 위한 무선송수신장치(미도시)가 내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디스플레이패널(10,20)은 자체 제어유닛의 동작에 의해 스스로 영상을 구현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패널(10)과 제2디스플레이패널(20)을 연결하는 연결축(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패널(10)의 모서리 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축부(31), 제1축부(31)로부터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제2디스플레이패널(20)의 모서리 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축부(32)를 포함한다. 즉 연결축(30)은 제1축부(31)와 제2축부(32)가 "L"형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이러한 연결축(30)의 결합을 위해 제1디스플레이패널(10)에는 제1축부(3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축연결부재(33)가 설치되고, 제2디스플레이패널(20)에는 제2축부(3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축연결부재(34)가 설치된다. 또 제2디스플레이패널(20)에는 제1 및 제2디스플레이패널(10,20)을 도 5의 형태로 접을 경우 제1축부(31) 및 제1축연결부재(3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축수용홈(35)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1디스플레이패널(10)에는 제2축부(32) 및 제2축연결부재(3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축수용홈(36)이 형성된다.
이러한 듀얼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패널(10)과 제2디스플레이패널(20)을 연결하는 연결축(30)이 "L"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부의 자유도가 높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의 길이가 긴 쪽이 상호 접한 상태가 되도록 두 디스플레이패널(10,20)을 배치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의 길이가 짧은 쪽이 상호 접한 상태가 되도록 두 디스플레이패널(10,20)을 배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듀얼디스플레이장치는 두 디스플레이패널(10,20)의 연결부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두 화면(11,12)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내용에 적합하도록 화면배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구현되는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패널(10)과 제2디스플레이패널(20)의 테두리 쪽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패널(10)과 제2디스플레이패널(20)의 테두리가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들(15,25)이 설치된다. 이러한 자석들(15,25)은 제1 및 제2디스플레이패널(10,20)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는 도 3 또는 도 4의 상태로 두 디스플레이패널(10,20)의 배치한 상태에서 두 디스플레이패 널(10,20)의 테두리가 상호 부착됨으로써 흔들림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사용하지 않을 때 제1 및 제2디스플레이패널(10,20)이 상호 겹치도록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도 제1 및 제2디스플레이패널(10,20)은 각각의 테두리 쪽에 설치된 자석들(15,25)의 자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상호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디스플레이패널(10,20)의 화면(11,12)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장치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멀티디스플레이장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과,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장치(110), 그리고 필요에 따라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에 장착하거나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서브디스플레이장치(200)를 포함한다.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은 메인화면(101)을 통하여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디스플레이모듈의 둘레 및 배면을 덮어서 디스플레이모듈을 보호하는 케이스(102)를 포함한다.
서브디스플레이장치(200)는 제1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과, 제1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과 연결축(230)에 의해 연결되는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술한 듀얼디스플레이장치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듀얼디스플레이장치의 제1디스플레이패널(10)이 제1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이 되고, 제2디스플레이패널(20)이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220)이 될 수 있다.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의 테두리 쪽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220)에 매입된 자석(215)의 자기력에 의해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220)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체(105)가 매입된다. 이 자성체(105)는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디스플레이장치(200)를 필요에 따라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의 상부 또는 양 측부에 부착할 수 있다.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220)의 배치형태도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220)을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배치하거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 상단에 상하방향 적층하는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 측단에 상하로 길게 배치하거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 측단에 횡방향으로 적층하는 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두 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22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호 겹치도록 접은 상태에서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 상단 또는 측단에 부착해둘 수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결합형태는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220)이 자유도가 높은 "L"형 연결축(230)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220)은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 또는 별도의 전원공급수단과 전선(미도시)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 또는 별도의 영상신호 송신장치(미도시)와 신호케이 블(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두 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220)에 무선수신장치(미도시)가 내장된 경우라면, 신호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서도 두 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220)에서 영상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를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메인디스플레이패널(100)에서 문서작업이나 인터넷 서핑 등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210,220)에서 메신저, 사전, 전자앨범 등의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축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상태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장치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 듀얼디스플레이장치의 다양한 적용 예들을 보인 것이다.
도 11은 도 7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디스플레이패널, 20: 제2디스플레이패널,
30: 연결축, 31: 제1축부,
32: 제2축부, 33: 제1축연결부재,
34: 제2축연결부재, 35: 제1수용홈,
36: 제2수용홈.

Claims (9)

  1. 제1화면을 갖춘 제1디스플레이패널과, 제2화면을 갖춘 제2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로부터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의 모서리 쪽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의 모서리 쪽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제1축수용홈과, 상기 제2축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제2축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의 부착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디스플레이패널의 테두리 쪽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패널에 장착되는 제1축연결부재와, 상기 제2축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2디스플레이패널에 장착되는 제2축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디스플레이장치.
  6. 메인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메인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는 서브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디스플레이장치는 연결축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메인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 테두리 쪽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1서브디스플레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로부터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1서브디스플레이패널의 모서리 쪽과 상기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의 모서리 쪽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제1축수용홈과, 상기 제2축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서브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제2축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서브디스플레이패널의 장착을 위해 상기 메인디스플레이장치 테두리 쪽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장치.
KR1020070101225A 2007-10-09 2007-10-09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Withdrawn KR20090036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225A KR20090036191A (ko) 2007-10-09 2007-10-09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US12/165,728 US20090091512A1 (en) 2007-10-09 2008-07-01 Dual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2008101756260A CN101409029B (zh) 2007-10-09 2008-07-11 双屏显示装置及采用该双屏显示装置的多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225A KR20090036191A (ko) 2007-10-09 2007-10-09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191A true KR20090036191A (ko) 2009-04-14

Family

ID=4052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225A Withdrawn KR20090036191A (ko) 2007-10-09 2007-10-09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91512A1 (ko)
KR (1) KR20090036191A (ko)
CN (1) CN10140902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040B1 (ko) * 2013-10-08 2014-08-29 주식회사 베프스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01822A (ko) * 2017-06-28 201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운용 방법
US10254883B2 (en) 2015-09-09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ensing pressure of inpu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KR102133120B1 (ko) * 2019-03-26 2020-07-10 정혜원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7146B2 (en) * 2007-10-05 2012-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WO2011037176A1 (ja) * 2009-09-28 2011-03-3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CN101783137B (zh) * 2010-03-01 2012-11-28 王润奇 使显示装置运动与图像输出相匹配的方法及设备
US8613061B2 (en) * 2010-09-01 2013-12-1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implement electronic book viewers
CN102622940A (zh) * 2011-01-31 2012-08-01 蔡熊光 显示装置
TWI461890B (zh) * 2011-07-21 2014-11-21 Asustek Comp Inc 可攜式電子系統
WO2013101030A1 (en) * 2011-12-29 2013-07-04 Intel Corporation Mobile device to operate in tablet mode and phone mode
CN103258521B (zh) * 2012-02-21 2017-03-29 海尔集团公司 一种应用于多屏共享的分屏显示方法及系统
TWI501647B (zh) * 2012-07-24 2015-09-2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
US9414503B2 (en) * 2012-09-14 2016-08-09 Lg Electronics Inc. Multi-display device
CN102998822B (zh) * 2012-11-29 2016-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3077665B (zh) * 2013-02-19 2015-09-30 无锡市汇捷科技有限公司 便携式可折叠led显示屏
US20160268729A1 (en) * 2013-11-13 2016-09-15 Nanoport Technology Inc. Magnetic connectors
CN107112685A (zh) 2014-10-20 2017-08-29 耐诺波特技术有限公司 具有可移动磁性部件的连接器以及连接装置的方法
KR102249030B1 (ko) * 2015-06-25 2021-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291873B2 (en) * 2015-11-20 2019-05-14 Hattar Tanin, LLC Dual-screen electronic devices
US20170147038A1 (en) * 2015-11-25 2017-05-25 Elizabeth Cody Convertible dual screen laptop
CN106205392A (zh) * 2016-07-26 2016-12-07 唐亮 一种车载双屏多媒体系统
US10146267B2 (en) * 2016-12-31 2018-12-04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ing device with elastomeric hinge assembly
KR102423134B1 (ko) * 2017-06-12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하우징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730255A (zh) * 2018-07-16 2020-01-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折叠的终端
CN114915814B (zh) * 2021-02-09 2023-10-27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1121A (ja) * 1998-05-28 1999-12-10 Nec Corp 移動無線機
JP2001045124A (ja) * 1999-07-30 2001-02-16 Sony Corp 情報端末
JP4639447B2 (ja) * 2000-09-05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6728557B1 (en) * 2002-05-17 2004-04-27 Motorola, Inc. Hinge assembly for a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M252077U (en) * 2004-02-27 2004-12-01 Darfon Electronics Corp Wireless input device
US7406343B2 (en) * 2005-08-09 2008-07-2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and mobile phone with the hinge
US8364214B2 (en) * 2006-12-14 2013-01-29 Nokia Corporation Electrically released magnet locking mechanism
US8005518B1 (en) * 2006-12-21 2011-08-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figurable multi-dimensional media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040B1 (ko) * 2013-10-08 2014-08-29 주식회사 베프스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0254883B2 (en) 2015-09-09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ensing pressure of inpu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KR20190001822A (ko) * 2017-06-28 201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운용 방법
KR102133120B1 (ko) * 2019-03-26 2020-07-10 정혜원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9029B (zh) 2011-09-28
CN101409029A (zh) 2009-04-15
US20090091512A1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6191A (ko)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KR102366515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164547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9173287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9173288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9572272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209765371U (zh) 信息处理装置
CN113140157B (zh) 可折叠显示装置
KR10232237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179559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6671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610158B (zh) 可折疊式電子顯示器
CN102855821B (zh) 柔性显示面板和包括该柔性显示面板的显示设备
US8125759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20212924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03404115A (zh) 便携式电子设备
JP4405532B2 (ja) 折畳み式携帯電話機
JP4695661B2 (ja) 電子機器
EP4206859A1 (en) Display device
JP2004198472A (ja)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機器
US9019720B1 (en) Height reduction in portable devices
KR102832321B1 (ko) 표시 장치
JP5471996B2 (ja) 電子装置及び連結ユニット
JP5121742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