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57109A - 화상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 및 현상 유닛 프레임 - Google Patents

화상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 및 현상 유닛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109A
KR20000057109A KR1019990063214A KR19990063214A KR20000057109A KR 20000057109 A KR20000057109 A KR 20000057109A KR 1019990063214 A KR1019990063214 A KR 1019990063214A KR 19990063214 A KR19990063214 A KR 19990063214A KR 20000057109 A KR20000057109 A KR 2000005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ortion
develop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3808B1 (ko
Inventor
가라까마도시유끼
사꾸라이가즈시게
오구마도루
마쯔모또히데끼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0005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03G15/08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the level being measured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장치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1 도전성 부분과,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도전성 부분과 협동하는 제2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전압이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될 때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도전성 접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유닛 프레임{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UNIT FRAME}
본 발명은 화상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현상 유닛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전자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예를 들어, 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전자사진 팩스기, 전자사진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 및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일체로 포함하고, 전자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카트리지이다. 적어도 현상 수단 및 전자사진 화상 감광 부재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카트리지이다.
종래에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다수의 프로세스 수단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 일체로 조립된다. 또한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유지보수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지보수를 위해 보수자에게 의존할 필요가없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의 사용은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 효율을 크게 개선시킨다. 이 결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사용하는 전술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는 스스로 카트리지를 교체해야 한다. 이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는 예를 들어 현상제 측정 검출 장치와 같은 현상제 소모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단을 구비한다.
종래에는, 현상제 잔여량 검출을 위해 현상 부재의 현상제 용기 내에 로드 형태의 한 쌍의 전극이 위치되고,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 량은 두 개의 전극 사이 정전기 용량의 변화 검출에 의한 결정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100571/1993호에는 하나는 U 형상이고, 다른 하나는 I 형상이어서 결합될 수 있는, 같은 평면에서 서로 병렬로 위치한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현상제 량 검출 부재가 설명된다.
그러나, 전술된 현상제 량 검출 장치는 현상제 용기 내에 현상제 유(무)를 검출하는 형태이다. 특히, 현상제 용기 내 현상제의 소모 직전에만 현상제 부족을 검출하는 형태다. 즉, 현상제 용기 내에 현상제가 얼마나 남았는가는 지속적으로 검출될 수는 없다.
따라서, 현상제 용기 내에 현상제 량의 지속적인 검출이 가능하다면, 사용자가 교체를 위한 새로운 카트리지를 준비하는 것을 가능케하는 현상제 용기 사용 상태를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를 위해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현상제 잔여량을 지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화상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 가능한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자사진 형성 장치에 적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장치, 현상 유닛 프레임의 취급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현상제 소모에 따른 현상제 잔여량을 지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현상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능 및 조립 효율의 관점에서 전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 장치를 향상시키고, 전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장치 내에 현상제 소비에 따른 현상 챔버 내의 현상제 양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현상제 양 검출 수단 등을 설치하기 위한 보다 잘 설계된 현상 유닛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라,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도전성 부분과, 제1 도전성 부분과의 사이에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제1 도전성 부분에 대향하는 제2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전압이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될 때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터에 따라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도전성 접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후속하는 설명을 고려하면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서, 그의 통상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4는 하부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주 조립체 내의 카트리지 설치 챔버의 외부 사시도.
도6은 부분적으로 분해된 현상 유닛 프레임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양 검출 장치의 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적 형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양 검출 장치 내의 토너 양과 정전 커패시티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양 검출 장치 내의 제1 및 제2 전극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종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다른 예의 종단면도.
도11은 현상 유닛 프레임의 사시도로서, 제1 및 제2 전극이 현상 유닛 프레임에 부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현상 유닛 프레임의 사시도로서, 제1 및 제2 전극이 현상 유닛 프레임에 부착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로서, 현상제가 현상 챔버 내에서 순환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로서, 현상제가 현상 챔버 내에서 순환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로서, 현상제가 현상 챔버 내에서 순환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로서, 현상제가 현상 챔버 내에서 순환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현상 유닛 프레임의 사시도로서, 제1 및 제2 전극이 현상 유닛 프레임에 부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직 단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직 단면도.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직 단면도.
도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현상제량 검출 장치용 현상제량 검출 회로의 개략도.
도23은 현상제량 게이지의 예의 개략도.
도24는 현상제량 게이지의 다른 예의 개략도.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직 단면도.
도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 단면도.
도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현상제량 검출 장치용 현상제량 검출 회로의 개략도.
도2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량 검출 원리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직 단면도.
도30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량 검출 장치가 설치된 현상 장치의 예의 수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기록 매체
9: 현상 수단
10: 세척 수단
14: 주 조립체
81, 82, 83: 제1, 제2 및 제3 전극
91, 92, 93: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점
B: 프로세스 카트리지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유닛 프레임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먼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설치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가 도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과정에 의해 예컨대, 기록 용지, OHP 시트, 직물 등의 다양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레이저 빔 프린터(A)에는 드럼 형태의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즉 감광 드럼(7)이 제공된다. 감광 드럼(7)은 대전 롤러(8), 즉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된다. 후에, 화상 데이터로 변조된 레이저 빔이 레이저 다이오드(1a), 다각형 미러(1b), 렌즈(1c) 및 편향 미러(1d)를 포함하는 광학 수단(1)으로부터 감광 드럼(7) 상으로 투사된다. 결과적으로, 화상 데이터에 상응하여 잠상이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잠상은 현상 수단(9)에 의해 토너 화상, 즉 가시 화상으로 현상된다.
이하의 설명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도3을 참조하면, 현상 롤러(9a)가 현상제 담지체로서 배치된 현상 챔버(9A)가 현상 수단(9)에 제공된다. 현상제 저장부로서 현상 챔버(9A) 다음에 위치된 현상제 용기(11A)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전송 부재(9b)의 회전에 의해 현상 롤러(9a)로 전송된다. 현상 챔버(9A)에는, 현상 챔버(9A) 내의 현상제를 순환시키기 위해 현상제 혼합 부재(9e)가 현상 롤러(9a)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현상 롤러(9a)는 고정 자석(9c)을 포함한다. 현상 롤러(9a)가 회전될 때 현상제는 현상 롤러(9a)의 주연면에 의해 유지되어 이송된다. 이 후에, 현상 롤러(9a)가 추가로 회전될 때 현상 롤러(9a) 상의 현상제는 현상 블레이드(9d)에 의해 소정 두께의 현상제 층으로 조절되고 마찰 전기로 대전되어 화상 현상 영역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화상 현상 영역에서, 현상제는 현상 롤러(9a)로부터 감광 드럼(7) 상의 잠상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다. 현상 롤러(9a)가 현상 바이어스 회로에 연결되어 현상 바이어스가 현상 롤러(9a)에 적용된다. 통상적으로, 현상 바이어스는 AC 전압과 DC 전압을 포함하는 합성 바이어스이다.
한편, 1장의 기록 매체(2)는 여러 장의 기록 매체(2)를 저장하는 시트 공급 카세트(3a)로부터 화상 전사 영역까지 토너 화상 형성의 공정과 동기화되어 픽업 롤러(3b), 컨베이어 롤러쌍(3c, 3d) 및 정합 롤러쌍(3e)의 조합에 의해 이송된다. 전사 영역에서, 전사 롤러(4)는 화상 전사 수단으로서 배치되고 전압이 전사 롤러(4)에 인가될 때 감광 드럼(7) 상의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된다.
전달 후에, 기록 매체(2)는 이송 안내부(3f)를 따라 고정 수단(5)으로 이송되고, 구동 롤러(5c)를 포함하는 고정 수단(5) 및 가열기(5a)를 포함하는 고정 롤러(5b)를 통과한다. 기록 매체(2)가 고정 수단(5)을 통과할 때, 기록 매체(2) 상으로 전달된 토너 화상은 고정 수단(5)으로부터 열과 압력이 인가되어 기록 매체(2)에 고정된다.
그 후에, 기록 매체(2)는 더 전진하고, 역전 통로(3j)를 통과하고, 그 다음 방출 롤러 쌍(3g, 3h, 3j)들에 의해 반송 트레이(6) 내로 방출된다. 반송 트레이(6)는 레이저 광선 프린터(A), 즉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상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기록 매체(2)가 플랩퍼(3k)를 작동시킴으로써 역전 통로(3j)를 통과하지 않고,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기록 매체(2)는 방출 롤러 쌍(3m)에 의해 방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픽업 롤러(3b), 이송 롤러 쌍(3b, 3c, 3d)들 및 정합 롤러 쌍(3e)과, 이송 안내부(3f), 방출 롤러 쌍(3g,3h, 3i)들 및 방출 롤러 쌍(3m)은 이송 수단을 구성한다.
전달 롤러(4)에 의한 기록 매체(2)로의 토너 화상 전달 후에, 감광 드럼(7)은 세척 수단(10)에 의해 세척되고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세척 수단(10)에 의해 제거된다. 그 다음, 감광 드럼(7)은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이어지는 싸이클을 위해 재이용된다. 세척 수단(10)은 감광 드럼(7)과 접촉하는 탄성 세척 블레이드(10a)를 포함한다. 탄성 세척 블레이드는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감광 드럼(7)으로부터 멀리 긁어내어 폐토너 용기(10b) 내로 수집한다.
도3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내부의 다양한 프레임 및 구성 요소의 통합된 조립체이다. 제조 중에, (현상 장치 부분을 구성하는) 현상 유닛은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현상제 저장 부분) 및 현상제 이송 부재(b)를 포함하는 현상제 저장 프레임(11)을, 현상제 롤러(9a) 및 현상제 블레이드(9d) 등으로 구성된 현상 수단(9)을 유지하는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그 다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7) 및 세척 블레이드(10a) 등으로 구성된 세척 수단(10) 및 충전 롤러(8)가 배치되는 세척 유닛 프레임(13)과 이 현상 유닛을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설치 수단 내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카트리지 설치 수단은 (도4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외부 우측 (좌측) 벽의 일부로서 형성된 안내 수단(13R, 13L)과, 안내 수단(13R, 13L)이 삽입될 수 있는 장치 주 조립체(14)의 일부로서 형성된 (도5의) 안내 부분(16R, 16L)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현상 챔버(9A) 내의 현상제가 소비될 때에 현상 챔버(9A)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인 현상제량 검출 장치를 구비한다.
도3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의 현상제량 검출 장치는 측정 전극이며 현상제 검출 부분(80)의 일부인 제1 및 제2 도전성 부분(전극: 81, 82)을 포함한다. 전극(81, 82)은 현상 롤러(9a)를 따라 배치된다.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해, 전극(81, 82)들 사이에 정전기를 유도하도록 전압이 제1 전극(81) 또는 제2 전극(82)에 인가되어, 현상제의 양이 두 개의 전극(81, 82) 사이의 정전기 용량의 측정으로부터 계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압은 제1 전극(81)에 인가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자기 현상제는 현상제 롤러(9a) 내에 저장된 자기 롤러(9c)에 의해 현상제 롤러(9a)의 주변부 표면에 부착되고, 현상제 롤러(9a)가 회전할 때 현상제 롤러(9a)의 주변부 표면 상에 유지된다. 그 다음, 현상제 롤러(9a)가 더 회전함에 따라, 현상제 롤러(9a) 상의 자기 현상제는 현상제 블레이드(9d)에 의해 긁어내어 진다. 결과적으로, 자기 현상제의 균일한 층은 현상제 롤러(9a)의 주변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전극(81, 82)은 현상제 롤러(9a)로부터 멀리 긁어내진 과다한 현상제가 그들 사이로 진입하도록 위치된다.
현상제의 유전 상수는 공기의 유전 상수보다 크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극(81, 82) 사이에 현상제가 있으면, 두 개의 전극들 사이의 정전기 용량은 현상제가 그들 사이에 없을 때보다 크다. 바꿔 말하면,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현상 챔버(9A) 내에 있으면, 그렇지 않은 때에 비해 큰 정전 용량이 그들 사이에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현상 챔버(9A) 내에 있으면, 현상 롤러(9a)로부터 박리된 전술한 현상제는 지속적으로 제1 및 제2 전극(81, 82)들 사이에 유입되기 때문이다. 그러면, 현상 챔버(9A) 내의 현상제가 소모됨에 따라, 전극(81, 82)들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제의 양은 점차 감소되고, 그들 사이의 정전 용량도 감소된다. 따라서, 현상제량 검출 장치는 지속적으로 2개의 전극들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출함으로써 현상제량을 검출한다. 도7은 이러한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현상제량이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전극(81, 82)의 치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전술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크게 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특히, 제1 및 제2 전극(81, 82)의 대향한 표면의 폭은 2개의 전극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보다 나은 이해를 돕게 될 도11 내지 도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전극(81, 82)은 현상 롤러(9a)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길고 협소한 부재들이다. 이들은 스테인레스강(SUS), 철, 인청동, 알루미늄, 전기 전도성 수지 등과 같이 전극 성능면에서 동일한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 재료가 현상제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비자성 SUS와 같은 비자성 금속 재료가 사용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81)은 비자성 SUS로 형성되었으며, 폭(W1)이 14 ㎜, 두께(t1)가 0.3 ㎜였다. 제2 전극(82)은 비자성 SUS로 형성되었으며, 폭(W2)이 17 ㎜, 두께(t2)가 0.5 ㎜였다. 이들 전극들을 현상 롤러(9a)를 따라 그와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은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 전극(81, 82)의 형태는 특정한 형태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측면(84)에서보다 현상제가 유입되는 측면 상에서의 간극이 더 넓게 되도록 전극(81, 82)을 평행하지 않게 배열하는 것은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극(81, 82)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극(81, 82)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이 형성되거나 엠보싱 처리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설계 상의 이유로 인해 대형 전극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곤란하다면, 또는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면, 제1 전극(81) 또는 제2 전극(82)은, 이와 같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로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전극은 각각 둥근 로드 형태이다. 비록 도9와 도10에 도시된 예에서는 로드의 개수가 하나이지만, 복수개일 수도 있다.
다음은 전극(81, 82)의 종방향 위치 설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전극(81, 82)은 전술한 정전 용량을 증가시켜서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현상 롤러(9a)의 종방향으로 화상 형성 범위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검출 정확도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한 쌍의 협소한 전극이 종방향으로 화상 형성 범위의 중심 또는 화상부에 배치되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치의 경우에는, 현상제가 종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분포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협소한 전극(81, 82)의 조합이, 예를 들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 및 양 핑거부와 같은 복수의 지점 각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도13 내지 도16을 참조하면, 현상 챔버(9A) 내에서의 현상제 순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충분한 양의 현상제(T)가 현상 챔버(9A)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프로세스 카트리지,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장치부가 처음으로 사용되었을 때는, 제1 및 제2 전극(81, 82) 사이에 현상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먼저 현상 챔버(9A) 내의 현상제(T)는 교반 부재(9e)에 의해 현상 롤러(9a)쪽으로 보내지며, 그런 다음 현상 롤러(9a)의 주연면으로 견인된다. 그런 다음, 현상 롤러(9a)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제는 현상 롤러(9a)의 주연면 상에 지지된다. 현상 롤러(9a)가 더욱 회전됨에 따라, 현상 롤러(9a)의 주연면 상의 현상제는 평평하게 되고, 즉 현상 롤러(9a)의 주연면 상의 초과량의 현상제는 박리되며, 박리될 때 현상제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81, 82) 사이로 유입된다.
현상제(T)가 계속적으로 제1 전극(81)과 제2 전극(82) 사이의 간극 내로 진입됨에 따라, 간극에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 내로 진입되는 현상제(T)가 충전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점에서, 현상 챔버(9A)는 아직도 현상제(T)로 채워져 있다. 따라서, 현상제(T)가 입구(84), 즉 전극(81 및 82)들 사이의 간극의 저부측을 통해 간극 내로 진입되면, 현상제는 현상 챔버(9A) 내의 현상제(T)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전극(81 및 82)들 사이의 현상제(T)가 중력 등으로 인해 2개의 전극들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자유 낙하되도록 현상 챔버(9A) 내의 현상제의 양이 상당량만큼 감소될 때까지 발생되지 않는다. 즉, 충분한 양의 현상제(T)가 현상 챔버(9A) 내에 있을 때, 제1 간극(81)과 제2 간극(82) 사이의 간극은 현상제(T)와 2개의 전극들 사이의 정전 용량이 높을 때 충전된다.
도15를 참조하면, 현상제 용기(11A) 및 현상 챔버(9A) 내의 현상제(T)의 양이 현상제 소비로 인해 감소됨에 따라, 입구(출구도 마찬가지, 84)를 차단하였던 일부의 현상제가 입구(84)로부터 이동되어, 제1 전극(81) 및 제2 전극(82) 사이의 현상제(T)는 자체 중량으로 인해 중력 방향으로 자유 낙하된다. 자유 낙하되는 일부의 현상제(T)는 낙하될 때 자력에 의해 현상 롤러(9a)로 끌려갈 수도 있고, 다른 현상제(T)는 현상 챔버(9A) 내의 나머지 현상제(T)와 결합되어 현상 롤러(9a)로 다시 공급되도록 항상 낙하만 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 위치에서, 2개의 전극들 사이의 현상제(T)는 자력에 의해 현상 롤러(9a)의 외주면으로 직접 복귀된다.
도15에 도시된 경우에, 현상 챔버(9A) 내의 현상제의 양은 전극(81 및 82)들 사이의 현상제가 전극들 사이로부터 배출될 정도로 작아졌다. 그러나, 현상제는 현상제가 제1 전극(81)과 제2 전극(82) 사이의 간극 내로 공급되도록 현상 블레이드(9b)에 의해 현상 롤러(9a)로부터 현상제를 긁어내는 데 필요한 양만큼 현상 챔버(9A) 내에 아직도 남아 있으므로, 전극(81 및 82)들 사이의 현상제의 양은 현상 챔버(9A) 내에 남아 있는 현상제의 양에 따라 점차 감소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최종 토너 소비 단계에서, 즉 현상제 용기(11A) 및 현상 챔버(9A) 내의 현상제가 실제로 거의 소모된 후에, 현상 롤러(9a)의 외주면 상의 과잉량의 현상제 층을 긁어내는 현상 블레이드(9d)의 선단에 인접하게 남아 있는 현상제, 즉 현상 롤러(9a)와 제1 전극(81) 사이에 남아 있는 현상제는 현상제가 완전히 없어질 때(종료 단계)까지 소비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인쇄물에는 백점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 챔버(9A) 내의 현상제의 양은 제1 전극(81)과 제2 전극(82) 사이의 현상제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되는데, 이는 전극(81 및 82)들 사이의 정전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81 및 82)들에 인접한 구조는, 제1 전극(81)과 제2 전극(82) 사이의 간극에는 내향 단부(85)에서 개구가 제공되지 않고 간극에는 입구 및 출구로서 역할을 하는 유일한 개구(84)가 제공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된 바와 같이, 현상제 입구(84, 출구도 마찬가지)측 상의 전극(81 및 82)들 사이의 간극을 넓히면, 현상제가 2개의 전극들 사이에서 용이하게 진입 또는 배출되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단위 시간당 현상 블레이드(9b)에 의해 현상 롤러(9a)의 외주면으로부터 긁어낸 현상제의 양은 현상 롤러(9a)의 회전 속도 증가 등 때문에 증가되며, 제1 전극(81)과 제2 전극(82) 사이에 진입되는 현상제의 양도 증가되고, 때로는 현상제가 여기에서 뭉쳐지기도 한다. 이러한 뭉침 현상(packing)이 발생되면, 전극(81 및 82)들 사이의 현상제는 순환되지 않고, 이러한 경우에 현상제의 자체 중량 및/또는 자력이 뭉쳐진 현상제를 2개의 전극들 사이로부터 자유 낙하시킬 정도로 크지 않으므로, 2개의 전극(81 및 82)들 사이의 정전 용량은 변하지 않는데, 정전 용량이 변하지 않으면 현상제 양을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현상제가 습기를 흡수하기 용이한 고습 분위기에서 발생되기 가장 쉽다.
도17은 상기 현상제 뭉침 현상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서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현상제가 전극(81 및 82)들 사이를 통과하도록 전극(81 및 82)들 사이의 간극의 가장 내향면(85) 상에 개구(85a), 즉 출구 및 개구(84), 즉 출입구를 제공하여, 2개의 전극들 사이의 간극 내로 진입되는 현상제는 간극 내에서 뭉치지 않는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현상 장치 부분에 제1 및 제2 전극(81, 82)을 부착하기 위한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제1 및 제2 전극(81, 82)을 포함하는 현상제 양 검출 부분(80)은 두 개의 전극(81, 82)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출함으로써 현상제 양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전극의 위치의 정확성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 목적이, 각종 백점의 발생을 야기하는 토너 소진 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극(81, 82)은 현상제가 소진될 때까지 현상제가 남아있는 부분인 현상 롤러(9a) 부근에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극(81, 82)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부착된다. 제1 및 제2 전극(81, 82)을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나사, 접착제, 크림핑(crimping) 및 삽입 성형(insert mold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구조의 배열을 채용함에 따라, 전극(81, 82)은 제1 및 제2 전극(81, 82) 사이의 거리를 정밀하게 설정하도록 정확히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현상 롤러(9a) 부근에 제1 및 제2 전극을 위치시킴으로써 현상제가 소진되는 시점을 매우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전극(81, 82)은 현상 유닛 프레임(12)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비자성 스테인레스(nonmagnetic SUS)로 형성되고, 그리고 나서 전술된 적절한 수단으로 현상 유닛 프레임에 부착된다. 그러나, 전극(81, 82)은 증착 또는 인쇄와 같은 공정을 사용하여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직접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전기 전도성 수지와 이색 성형(two color molding)의 조합을 사용하여 전기 전도성 부분으로서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극과 현상 유닛 프레임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작된 상기 실시예의 설계와 비교하여, 상기 대안의 설계들은 부착 오류 및/또는 부재 크기 오류가 상당히 감소되고, 따라서 이러한 설계의 채용은 전극에 대한 위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소형 현상 유닛 프레임(12)이 필요한 경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설계는 제1 및 제2 전극(81, 82)이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용기(11A)의 전방 벽(11a)에 부착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81, 82)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설계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전극(82)은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부착되고, 제1 전극(81)은 현상제 용기(11A)의 전방 벽(11a)에 부착되어, 제1 및 제2 전극(81, 82)은 현상 유닛 프레임(12)이 현상제 용기(11A)와 결합됨에 따라 서로 대향한다. 이러한 배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프레임 구조 설계의 측면에서 보다 넓은 허용 범위를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의 전술된 부분에서, 현상제 양을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구조의 배열은 자성 현상제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용 현상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비자성 현상제를 채용하는 현상 장치 부분을 포함하는 각종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비자성 현상제를 채용하는 현상 장치 구조의 경우, 현상제 코팅 롤러(86)가 현상제와 함께 현상 롤러(9a)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롤러(86)는 스폰지 등으로 형성된 탄성 부재이고, 현상제 롤러(9a)와 접촉하는 상태로 현상제 롤러(9a)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현상제는 접촉에 의해 발생된 [쿨롱(coulomb)으로 측정된] 정전력(electrostatic force)에 의해 현상 롤러(9a) 상에 코팅된다. 현상제(T)의 완전한 소진 바로 전에, 현상제(T)는 현상제 롤러(9a)와 현상제 코팅 롤러(86) 사이의 경계 부분 상에 남아있다. 따라서, 경계 부분 상의 영역 부근에 제1 및 제2 전극(81, 82)을 위치시킴으로써, 자성 현상제가 채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현상제 양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 측부 상의 전기 접점과 전극(81, 82)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의 배열에 관해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극(81, 82)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81a, 82a)가 각각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81a, 82a)들은 제1 및 제2 전극이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부착된 때,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제공되는 대응 관통 구멍(12a, 12b) 내에 삽입된다.
현상 유닛 프레임(12)은 종방향 단부들 중의 하나에서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고정되는 홀더(90)가 제공된다. 홀더(90)는 베어링을 개재함으로써 현상 롤러(9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홀더(90)에는 제1 전기 접점(91)와 제2 전기 접점(92)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전기 접점(91, 92)들의 접촉 부분(91a, 92a)들 즉, 자유 단부들은 홀더(90)가 현상 유닛 프레임(12)에 고정됨에 따라 종방향 단부들 중의 하나에서 제1 및 제2 전극(81, 82)의 전술된 돌출부(81a, 82a)들에 각각 연결되게 된다.
제1 및 제2 전기 접점(91, 92)들의 접촉 부분(91b, 92b) 즉, 전술된 자유 단부들에 대향되는 단부들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 장착됨에 따라 장착 주 조립체(14)에 위치하는 접촉부(17, 18; 도5)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도록 홀더(90)에 고정되어 홀더(90)의 외향 표면으로부터 노출된다.
전술된 구조 형상이 구비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기 사진 이미지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 내로 장착됨에 따라, 전기 사진 이미지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제1 전기 접점(91)를 통해 제1 전극(81)으로 전압이 가해지고, 제2 전극(82)으로부터 유도되고 전극(81, 82)들 사이의 정전 용량에 의한 전압이 제2 전기 접점(92)를 통해 전기 사진 이미지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로 출력된다. 물론, 전기 사진 이미지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제1 전기 접점(92)를 통해 제2 전극에 전압이 가해져서 제1 전극(B)에서 유도된 전압이 제2 전기 접점(92)를 통해 전기 사진 이미지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에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22에 의하면, 전술된 원리의 실시예가 현상제 양 검출 장치의 형상으로 기술될 것이다. 도22는 제1 및 제2 전극(81, 82)이 제공되는 현상제 양 검출부(80)와 회로 사이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현상제 양 검출 회로의 다이아그램의 일례이다.
현상제 양의 변화에 따라 변동하는 정전 용량(Ca)을 가지는 검출부(80)는 임피던스 요소로서 입력 전극 즉, 본 실시예의 제1 전극(81)과 출력 전극 즉, 본 실시예의 제2 전극(82)을 포함한다. 입력 전극은 제1 전자 접촉부(91)를 통해 현상제 편의 적용 수단으로서 현상 편의 회로(101)에 연결되고, 출력 전극은 제2 전기 접점(92)를 통해 현상제 양 검출 회로(100)의 제어 회로(102)에 연결된다. 또한, 기준 용량 요소(Cb)는 현상 편의 회로(101)에 연결되어, 편의 회로(101)를 통해 가해지는 교류 전류(11)의 사용하는 상태에서 남아있는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해 기준 전압(V1)을 생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장착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14)에 배치되는 (도5에 도시되지 않은) 접촉부(19)는 현상 롤러(9a)의 전기 접점(93)의 접촉 부분(93a)과의 전기 접촉을 생성하고, 그 결과 편의 회로(101)로부터 현상 롤러(9a)에 현상 편의가 적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제어 회로(102)는 교류 전류(I1') 즉, 기준 임피던스 요소와 저항(R2)에 가해지는 교류 전류(I1)로부터 가변 저항(VR1)에 의해 분류되는 전류에 의해 유발되는 전압 강하의 양(V2)을 저항(R3, R4)에 의해 생성되는 전압(V3)에 더함으로써 기준 전류(V1)를 생성한다.
따라서, 현상제 양 검출부(80)에 가해지는 교류(AC) 전류는 증폭기(103)에 입력되고, 이어서 현상제의 잔류량을 나타내는 전압(V4)(V1 - I2 x R5)으로 출력된다. 그 다음에, 그 출력값은 검출된 현상제의 잔류량의 값으로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및 제2 전극(81, 82) 사이의 현상제의 양을 연속적으로 검출해서 얻어진 정보를 토대로 정해지는 현상제의 소비량을 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제 공급 카트리지를 준비하도록 촉구하고 또한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교환하도록 촉구하거나 또는 전술된 연속 검출에 의해 현상제의 검출된 소모량에 따라 " 현상제 없음" 을 전시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새로운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촉구한다.
현상제의 양을 전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도23 및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현상제 양 검출 장치에 의해 얻어진 정보가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 등의 모니터 스크린에 전시되어, 사용자는 현상제의 양에 따라 이동하는 핸드(니들)에 의해 표시되는 게이지(42) 상의 지점을 관찰함으로써 현상제의 양을 알게 된다.
화상 형성 장치 중요 조립체는 그 자체에 도25에 도시된 전시 패널(43)을 기반으로 하는 LED와 같은 전시 패널이 제공되고, 이는 현상제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번쩍인다.
실시예2
도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서 프로세스카트리지(B)의 인화 장치에는 현상제 양 검출부(80)를 위한 측정 부재로서 제3 전기 전도성 부분(83; 전극)이 제공된다. 즉, 제3 전기 전도성 부분은 제 1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그것과 구조상 대체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의 것과 같은 이 실시예의 구조물과 구성 부품에는 제 1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조물과 부품에 주어지는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질 것이고,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즉, 이 실시예는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부분(전극)(81, 82), 그 구조와 설정위치, 전극(81, 82) 사이의 현상제 순환, 전극(81, 82)을 둘러싸는 구조물, 전극(81, 82)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 등의 관점에서 제1 실시예의 복사본이다. 따라서, 복사 부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구조의 중요한 목적은 하얀 얼룩 형태의 프린트 에러가 완결된 프린트물에 보여지기 직전에 바로 제 시간에 정확하게 그 지점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완성하기에 필요한 모든 것은 그곳으로부터 현상제의 마지막 공급이 소비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구역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제2 및 제3 전극(82, 83) 및 인화 롤러(9a)의 최인접부에서의 현상제의 양은 현상제의 순환에 관해서 제1 실시예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검출된다.
즉, 도26에 도시된 이 실시예의 현상제 양 검출 장치의 경우에, 제1 및 제2 전극(81, 82)은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같이 위치설정될 뿐만 아니라 추가된 전극, 즉 제3 전극(83)은 인화 롤러(9a)를 따라 위치설정된다. 제3 전극(83)은 제1 전극(81)보다는 인화 롤러(9a)에 보다 인접해 있다.
전술한 구조의 배치를 제공해서, 전압이 제1 전극(81)에 가해지면, 정전기는 제1 및 제2 전극(81, 82) 사이에 Ca의 양만큼 유도되고, 이와 동시에 정전기는 또한 인화 롤러(9a)에 가해지는 인화 편향에 의해 Cc의 양만큼 인화 롤러(9a)와 제3 전극(83) 사이에 유도된다. 현상제의 양은 이들 Ca와 Cc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므로써 결정된다.
현상제 양 검출 회로의 일예가 도27에 도시되고 있다. 전체 회로 구조는 제3 전극(83)이 인화 롤러(9a)에 대향해서 정전기가 인화 롤러(9a)와 제3 전극(83)사이에 Cc의 양만큼 유도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2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현상제 양 검출 회로와 대체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27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현상제 양의 검출 회로에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14)의 전극과 연결되고 제1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접접(91)과, 장치 주조립체(14)의 전극과 연결되고 현상 롤러(9a)에 대해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는 접점(93)이 제공된다. 이러한 접점(91, 93)의 분리된 제공은 설계상에서 더 많은 범위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전극(81)에 가해진 전압은 현상 바이어스 회로(101)로부터 제공되어 추가적인 전원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따라서, 비용 상승이 피해질 수 있다.
또한, 접점들은 단일편 형태이고, 따라서 정전 용량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게 보장하는 비스트레이 커패시턴스가 없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현상제 양은 전극(81, 82)들 사이에서 현상제의 양의 감소를 연속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정확하게 설정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현상제 양의 "종료(END)"는 현상 롤러(9a) 및 전극(83) 사이에서 현상제 양을 검출함으로써 정확하게 검출된다. 현상제 양 및 토너량 검출 회로의 출력 사이의 관계는 도28의 (a), (b) 및 (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27을 다시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전극(81, 82)에 의해 제공된 제1 정전 용량 요소(Ca) 및 현상 롤러(9a)와 제3 전극(83) 사이에 제공된 제2 정전 용량 요소(Cc)는 병렬로 연결되고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4)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접점 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비용이 낮아진다.
배선의 길이 루팅은 정전기가 배선의 인접부들 사이에 유도되어 차례로 검출 정확도를 감소시키는 기회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전기 배선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은 검출 정확도를 개선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제2 및 제3 전극(82, 83)은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하게는, 제2 및 제3 전극(82, 83)은 배선을 최소화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따라서 검출 정확도가 보다 개선된다. 이 경우에, 전극(83)의 만곡부는 전술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9a)와 제3 전극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고 제2 전극(82)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된다.
실시예 3
도30은 현상 장치 카트리지(C) 형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C)는 현상 롤러(9a)와 같은 현상 캐리어와, 현상제 캐리어에 현상제으로 공급하기 위해 토너를 수용하는 현상 챔버(9A)와, 현상제 캐리어와 현상 챔버(9A)가 수용되는 플라스틱 현상 유닛 프레임(11)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형태이다. 즉, 이 실시예의 현상 장치(C)는 전술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현상 장치부의 카트리지 변형예로, 즉 감광 드럼(7)과 대전 수단(8)과 세척 수단(10)을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제거하여 형성된 카트리지로 고려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부 및 현상제 양 검출 수단부의 구조에 대한 모든 설명은 이 실시예의 현상 장치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의 구조 및 기능의 설명은 전술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설명을 인용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다.
물론, 이 실시예의 현상 장치에는 제3 전극(83)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잔류 현상제의 양은 정확하고 연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처음으로 100% 사용되기 전에 현상제의 전체양은 현상제 용기 내에 포함되어 있다면, 잔류 현상제의 양이 대략 30% 내지 그보다 낮은 0% 범위에 있을 때 잔류 현상제의 양은 연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이 선행한 실시예들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현상제 용기 내의 잔류 현상제의 양은 50% 내지 그보다 낮은 0%의 범위 또는 40% 내지 그보다 낮은 0% 범위로 연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0%"는 현상제가 완전히 소모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양은 화상 형성 장치가 소정 수준의 화질(현상 화질)을 갖는 화상을 형성할 수 없게 하기에 충분하게 밀접한 지점으로 감소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또 다른 상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세부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적용예는 이하의 청구범위의 개량의 목적이나 그 범주 내에 있는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라,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전기 도전성부와; 제1 전기 도전성부에 대향하는 제2 전기 도전성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로부터 제1 전기 도전성부에 인가될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가 잔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압이 제1 전기 도전성부에 인가될 때 제1 및 제2 전기 도전성부 사이에 제공된 정전 용량에 따라 발생된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라,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전기 도전성부와; 제1 전기 도전성부에 대향하는 제2 전기 도전성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로부터 제1 전기 도전성부에 인가될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과; 전압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로부터 제3 전기 도전성부에 인가될 때 현상제 반송 부재와 그 자체 사이에 정전기를 유도하기 위한 제3 전기 도전성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가 잔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압이 제1 전기 도전성부에 인가될 때 제1 및 제2 전기 도전성부 사이에 제공된 정전 용량에 따라 발생된 전기 신호를 포함하는 복합 전기 신호와, 전압이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될 때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3 전기 도전성부 사이에 제공된 정전 용량에 따라 발생된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따라서, 현상제가 소모될 때 현상 챔버 내의 잔류 현상제의 양을 지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불안정한 환경에서의 2 개의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의 변동을 기초로 한 잔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할 때 발생하는 측정 오차들은 전체 검출 오차를 줄이도록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편의성의 면에서 철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라, 현상 유닛 프레임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전자사진 감광 부재로 반송하기 위한 현상제 반송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현상제 반송 부재의 주연 표면 상에 잔류하도록 허용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제1 전기 도전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제2 전기 도전성부가 제1 전기 도전성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제1 전기 도전성부와 대향하도록 제2 전기 도전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라, 현상 유닛 프레임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전자사진 감광 부재로 반송하기 위한 현상제 반송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현상제 반송 부재의 주연 표면 상에 잔류하도록 허용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제1 전기 도전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제2 전기 도전성부가 제1 전기 도전성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제1 전기 도전성부와 대향하도록 제2 전기 도전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과; 제3 전기 도전성부가 현상제 반송 부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현상제 반송 부재와 대향하도록 제3 전기 도전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현상제가 소모될 때 현상 챔버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현상제 양 검출 수단등은 전술된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적절히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앞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잔류 현상제의 양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9)

  1.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1 도전성 부분과,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도전성 부분과 협동하는 제2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전압이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될 때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가능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1 도전성 부분과,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도전성 부분과 협동하는 제2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전압이 인가될 때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현상제 반송 부재와 협동하는 제3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전압이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될 때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와 전압이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될 때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3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조합된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 및 제2 도전성 부분이 현상 롤러 형태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종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이 제2 도전성 부분보다 더 멀리 현상제 반송 부재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전기 접점이 제2 도전성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현상제가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에 공급되고,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에 공급된 상기 현상제가 도입 방향으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에 공급된 현상제가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를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이 평판 형상을 취하고,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의 갭이 현상제 도입측에서 넓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이 평판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부분은 평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은 로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부분은 로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전압이 가해질 때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와 협력하는 제3 도전성 부분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전압이 가해질 때,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3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는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 내에 배치된 자석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표면 상에 부착되는 자성 현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6.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성 부분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성 부분은 제2 도전성 부분에 대해 소정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8. 제2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성 부분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9. 제2항 및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성 부분은 제1 도전성 부분 및 제2 도전성 부분보다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0.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가)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나)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장치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1 도전성 부분과,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도전성 부분과 협동하는 제2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전압이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될 때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가)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나)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장치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1 도전성 부분과,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도전성 부분과 협동하는 제2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전압이 인가될 때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현상제 반송 부재와 협동하는 제3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전압이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될 때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와 전압이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될 때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3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조합된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부분 및 제2 도전성 부분이 현상 롤러 형태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종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이 제2 도전성 부분보다 더 멀리 현상제 반송 부재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4.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접점이 제2 도전성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현상제가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에 공급되고,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에 공급된 상기 현상제가 도입 방향으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에 공급된 현상제가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를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이 평판 형상을 취하고,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의 갭이 현상제 도입측에서 넓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분이 평판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9.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부분은 평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은 로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1.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부분은 로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2. 제20항에 있어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전압이 가해질 때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와 협력하는 제3 도전성 부분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전압이 가해질 때,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3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는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4.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 내에 배치된 자석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표면 상에 부착되는 자성 현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5. 제2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성 부분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성 부분은 제2 도전성 부분에 대해 소정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7. 제21항, 제35항 및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성 부분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에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8. 제21항,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성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부분에 비해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에 더욱 가깝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9.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0. 제20항, 제21항 및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침착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세척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1.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나)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정전 잠상 화상 형성 수단과,
    (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급송하는 현상제 이송 부재,
    제1 전도성 부분,
    정전 용량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전도성 부분과 협동하는 제2 전도성 부분,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제1 전도성 부분에 인가될 전압을 수용하는 제1 전기 접점,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의해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하도록 상기 제1 전도성 부분에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전도성 부분과 상기 제2 전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전달하는 제2 전기 접점
    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라) 상기 제2 전기 접점으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현상 장치에 존재하는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2.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가)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정전 잠상 형성 수단과,
    (나)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과,
    (다) 상기 제2 전기 접점으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 장치 내에 존재하는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 장치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1 도전성 부분과, 상기 도전성 부분과 협력하여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는 제2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에 가해지는 전압을 받는 제1 전기 접점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전압이 가해질 때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와 협력하여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는 제3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현상제의 잔류 양이 탐지되도록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전압이 가해질 때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3 도전성 부분 사이에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및 제1 도전성 부분에 전압이 가해질 때 상기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에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복합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하는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43.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수단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장치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1 도전성 부분과,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도전성 부분과 협동하는 제2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전압이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될 때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정전 잠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제2 전기 접점으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현상 장치 내에 있는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44.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며,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수단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장치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1 도전성 부분과,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도전성 부분과 협동하는 제2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반송 부재에 전압이 인가될 때 정전 커패시티를 제공하도록 현상제 반송 부재와 협동하는 제3 도전성 부분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전압이 제1 도전성 부분에 인가될 때 제1 도전성 부분과 제2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와 전압이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인가될 때 현상제 반송 부재와 제3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정전 커패시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조합된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나)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정전 잠상 형성 수단과,
    (다) 상기 제2 전기 접점으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현상 장치 내에 있는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45.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은 상기 현상 장치 내의 상기 현상제의 양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며, 검출 결과는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46.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양 검출 수단은 상기 현상 장치 내의 상기 현상제의 양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며, 검출 결과는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47.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현상 프레임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제 이송 부재 장착부와,
    제1 전도성 부분을 장착하는 제1 전도성 부분 장착부와,
    상기 제1 전도성 부분 장착부에 장착된 제1 전도성 부분과 협동하는 제2 전도성 부분을 장착하는 제2 전도성 부분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프레임.
  48.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현상 프레임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제 이송 부재 장착부와,
    제1 전도성 부분을 장착하는 제1 전도성 부분 장착부와,
    정전 용량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전도성 부분 장착부에 장착된 제1 전도성 부분과 협동하는 제2 전도성 부분을 장착하는 제2 전도성 부분 장착부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 장착부에 장착된 현상제 이송 부재에 대향하도록 제3 전도성 부분을 장착하는 제3 전도성 부분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프레임.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부분 장착부 및 제2 전도성 부분 장착부는 현상제가 제1 전도성 부분 장착부 및 제2 전도성 부분 장착부에 장착된 제1 전도성 부분과 제2 전도성 부분 사이에서 공급되도록 제1 전도성 부분 및 제2 전도성 부분이 배치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프레임.
KR1019990063214A 1998-12-28 1999-12-28 화상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 및 현상 유닛 프레임 KR100363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73834 1998-12-28
JP37383498 199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109A true KR20000057109A (ko) 2000-09-15
KR100363808B1 KR100363808B1 (ko) 2002-12-11

Family

ID=1850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214A KR100363808B1 (ko) 1998-12-28 1999-12-28 화상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 및 현상 유닛 프레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859627B2 (ko)
EP (1) EP1016939B1 (ko)
KR (1) KR100363808B1 (ko)
CN (1) CN1165818C (ko)
AU (1) AU6553099A (ko)
CA (1) CA2293188C (ko)
DE (1) DE6992966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6939B1 (en) * 1998-12-28 2006-02-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unit frame
US6912366B1 (en) * 1999-08-31 2005-06-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an amount of developer contained in a developer container, a memory for storing the amount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and control means for updat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JP3720671B2 (ja) * 2000-04-0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46988B2 (en) * 2000-11-10 2005-09-20 Simple Devices Detachable remote controller for an electronic entertainment device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JP3697168B2 (ja) 2001-03-0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785479B2 (en) 2001-12-28 2004-08-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ntrol section for detecting an amount of developer and an amount detection method of develop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255806A (ja) 2002-02-28 2003-09-1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48191B2 (ja) * 2002-03-25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302825A (ja) * 2002-04-09 2003-10-24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05950A (ja) * 2002-12-26 2004-07-22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58875B2 (ja) * 2003-08-25 2006-12-20 村田機械株式会社 現像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10143B2 (ja) * 2004-01-30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095589B2 (ja) * 2004-02-27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20050267518A1 (en) * 2004-04-07 2005-12-01 Tiax, Llc Tourniquet and method of using same
JP4963363B2 (ja) * 2006-03-01 201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残量検出方法
JP4804212B2 (ja) * 2006-04-19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生産方法及び再生産方法
US7764887B2 (en) * 2006-04-26 2010-07-27 Ricoh Company, Limite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941842Y (zh) * 2006-05-25 2007-09-05 周光真 一种多功能头盔
US7555231B2 (en) * 2006-09-14 2009-06-30 Lexmark International, Inc. Capacitive toner level sensor and methods of use
JP4667444B2 (ja) 2006-12-13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06236B2 (ja)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1074707A1 (ja) 2009-12-16 2011-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ドラムユニット、現像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62165B2 (ja) 2011-09-29 2016-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06743B2 (ja) 2012-01-05 2016-04-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250567B2 (en) 2013-07-12 2016-02-02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ontainer for detecting developer amount based on capacitanc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468747B2 (ja) * 2013-09-24 2019-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38181B2 (ja) 2014-04-15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樹脂成形品及び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可動部材の製造方法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US9535398B2 (en) 2014-09-04 2017-01-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444210B2 (ja) * 2015-02-23 2018-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容器の形成方法、現像装置の形成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形成方法
AU2016293485B2 (en) 2015-07-13 2021-05-13 Ancestry.Com Dna, Llc Local genetic ethnicity determination system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66617B2 (en) * 2017-12-19 2019-11-05 Lexmark International, Inc. Capacitive toner level sensor
US10969730B2 (en) 2019-02-25 2021-04-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JP7205361B2 (ja) * 2019-04-17 2023-01-1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量検出装置、トナー量検出方法、トナー量検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3453A (en) * 1975-12-18 1979-01-09 Tokyo Shibaura Electric Co., Ltd. Toner residual amount detecting device
JPS57154268A (en) * 1981-03-19 1982-09-24 Oki Electric Ind Co Ltd Detector for remaining amount of developer
JPS58126556A (ja) * 1982-01-23 1983-07-28 Canon Inc 現像装置
JPH01180379A (ja) * 1988-01-12 1989-07-18 Nec Corp プリンタ装置
US5003917A (en) 1988-08-12 1991-04-0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with image quality control
JPH02197880A (ja) * 1989-01-27 1990-08-06 Canon Inc 現像剤検出装置
JPH03200989A (ja) * 1989-10-04 1991-09-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828928A (en) 1990-04-27 1998-10-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US5623328A (en)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5294960A (en) 1990-11-06 1994-03-15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5229821A (en) 1990-11-30 1993-07-2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with toner depletion detection fea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899123B2 (ja) 1991-03-20 1999-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部材、帯電装置、この帯電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この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プロセスユニット
JPH04355477A (ja) * 1991-05-31 1992-12-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255175B2 (ja) 1991-10-03 2002-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有無検出装置
EP0543485B1 (en) 1991-11-20 1997-12-03 Canon Kabushiki Kaisha Squeegee sheet adher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585895A (en) 1991-12-19 1996-12-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with it
JP3005130B2 (ja) 1992-01-10 2000-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DE69320842T2 (de) 1992-01-30 1999-03-04 Canon K.K., Tokio/Tokyo Aufladungsteil, Aufladungsvorrichtung, Prozesskassette und Bilderzeugungsgerät
JP3126532B2 (ja) 1992-02-10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59985B2 (ja)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586042B1 (en) 1992-09-04 1998-09-0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69308966T2 (de) 1992-09-04 1997-08-07 Canon Kk Elektrophotographische Arbeitseinheit und Bilderzeugungsgerät mit einer solchen Arbeitseinheit
EP0770932B1 (en) 1992-09-04 1999-08-2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161242A (ja) * 1992-11-17 1994-06-07 Canon Inc 現像装置
US5966566A (en) 1993-03-24 1999-10-12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e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843231B1 (en) 1993-07-30 2001-10-31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member, charg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CA2128676C (en) 1993-09-08 1997-12-23 John D. Sotack Capacitive sensor
JPH08179625A (ja) 1994-12-21 1996-07-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943528A (en) 1995-04-28 1999-08-24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with a gripping cover feature usable with a process cartridge, a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using the process cartridge
JP3154642B2 (ja) 1995-04-28 2001-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現像枠体とクリーニング枠体の結合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294465B2 (ja) 1995-04-28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774488B2 (ja) 1995-04-28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68162B2 (ja) 1995-04-28 2002-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6056A (ja) 1995-06-30 1997-01-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2719B2 (ja) 1995-07-11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768658A (en) 1995-07-21 1998-06-1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de member,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768660A (en) 1995-08-02 1998-06-16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JP3445040B2 (ja) * 1995-10-09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869877B2 (ja) 1996-01-09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H09211960A (ja) 1996-01-29 1997-08-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2747B2 (ja) 1996-02-09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3382465B2 (ja) * 1996-07-04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23749B2 (ja) 1996-08-01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シール装置及び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3563893B2 (ja) * 1996-10-30 2004-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US5987269A (en) * 1998-02-13 1999-11-16 Hewlett-Packard Company Toner quantity measuring technique in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3530752B2 (ja) *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現像剤供給容器及び測定部品
JP3530751B2 (ja) *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016939B1 (en) * 1998-12-28 2006-02-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unit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6939A2 (en) 2000-07-05
CN1165818C (zh) 2004-09-08
US6859627B2 (en) 2005-02-22
DE69929667T2 (de) 2006-08-10
US7095967B2 (en) 2006-08-22
US20050025508A1 (en) 2005-02-03
CA2293188A1 (en) 2000-06-28
DE69929667D1 (de) 2006-04-13
KR100363808B1 (ko) 2002-12-11
EP1016939B1 (en) 2006-02-01
CN1267842A (zh) 2000-09-27
CA2293188C (en) 2002-12-10
AU6553099A (en) 2000-07-20
EP1016939A3 (en) 2001-05-30
US20020012542A1 (en) 200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808B1 (ko) 화상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 및 현상 유닛 프레임
JP3530752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現像剤供給容器及び測定部品
JP3530751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9233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量検出部材
JP3848191B2 (ja)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010102849A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105149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463225B1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feeding member and an elastic sheet
KR10039299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394377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97504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19488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84759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413991B1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200033876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U782688B2 (en) 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unit frame
JP200111734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枠体
JP2003195619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1042607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帯電装置
JP200102784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42581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12546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現像剤量検出装置及び現像剤残量検出部材
JP2000338763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194885A (ja) 現像剤残量検出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12546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現像剤量検出装置及び現像剤残量検出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