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6588A - 플루르바이프로펜의 경피 전달용 기구 - Google Patents

플루르바이프로펜의 경피 전달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588A
KR19990076588A KR1019980704664A KR19980704664A KR19990076588A KR 19990076588 A KR19990076588 A KR 19990076588A KR 1019980704664 A KR1019980704664 A KR 1019980704664A KR 19980704664 A KR19980704664 A KR 19980704664A KR 19990076588 A KR19990076588 A KR 19990076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dermal delivery
adhesive layer
copolymer
flurbiprofe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 에핑 조켐
에이. 그룰크 에베르하드
제이. 갓베이 크리스틴
웰싱 볼프강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1999007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피부 침투 강화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치료학적 유효량의 플루르바이프로펜을 포함하는 약물의 경피 전달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루르바이프로펜의 경피 전달용 기구
약물 경피 전달용 기구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약물을 환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전형적으로, 약물 경피 전달용 기구는 전달하고자 하는 약물을 함유하는 담체(예를 들면, 액체, 겔, 고형 매트릭스, 또는 압감성 접착제)을 포함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기구로는, 피부로의 약물 방출 속도를 조절하는 막을 함유한 저장소 유형의 기구와 압감성 접착제와 같은 매트릭스에 약물의 분산액을 함유한 기구를 포함한다. 그러나, 피부는 외부 물질이 신체 내로 침입하는 것에 대하여 실질적인 차단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피부를 통과하는 약물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정 물질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기구의 유형, 기구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적합한 경피 유동(flux) 속도, 및 적합한 제제 구성 성분은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 약물에 따라 좌우된다.
플루르바이프로펜, 즉 (±)-2-플루오로-α-메틸-[1,1'-바이페닐]-4-아세트산은 약리학 연구에 있어서 항염증성, 진통성, 및 해열성을 나타내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하기 (A)와 (B)를 포함하며, 지지체와 접착층의 수증기 투과율이 동시에 400 g/m2/24 hr 이상인 경피 전달용 기구를 제공한다:
(A) 지지체(backing);
(B) 하기 (1), (2), (3) 및 (4)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한 표면에 접착되는 접착층;
(1) 하기 (a)와 (b)로부터 유도된 혼성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a) 알킬기 내에 4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알킬기 내에 4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A 단량체와,
(b) 카르복실산, 술폰아미드, 우레아, 카르바메이트, 카르복사미드, 히드록시, 아미노, 옥시, 옥소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작용기를 포함하는 1 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B 단량체;
(2)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존재하는 플루르바이프로펜;
(3) 접착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4) 접착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접착층 혼합물은 균일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경피 약물 전달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플루르바이프로펜(flurbiprofen)을 함유한 약학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루르바이프로펜, 특히 S(+)-플루로바이프로펜을 함유한 경피 전달용 기구를 제공한다. 플루로바이프로펜은 치료학적 유효량, 즉 증상 치료에 있어서 소정의 치료 결과를 발생시키는 데 유효한 양으로 존재한다. 치료학적 유효량을 구성하는 양은 치료하고자 하는 증상, 플루르바이프로펜과 함께 투여되는 임의의 약물, 소정의 치료 지속 기간, 기구를 부착시키고 하는 피부상의 표면적, 및 경피 전달용 기구의 다른 구성 성분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양을 구체적으로 열거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못하지만, 당업자들이라면 상기 요인들을 적절히 고려하여 그러한 양들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플루르바이프로펜은 본 발명의 기구 내에 접착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접착층에는 용해되지 않은 고체 플루르바이프로펜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접착층은 접착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는 접착층 내에 분산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접착층 내에 용해되어 피부를 관통하는 플루르바이프로펜의 침투를 향상시키는 데, 이 때 그러한 침투 현상은 후술하는 피부 침투 시험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실질적으로 플루르바이프로펜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에 대해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본 발명의 기구에 사용될 때, 궁극적으로 적합한 압감성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한다. 공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0.2 dl/g 내지 약 2 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dl/g 내지 약 1.4 dl/g이다.
접착층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공중합체는,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80 중량% 내지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4 중량% 내지 94 중량%의 혼성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데, 이 때 혼성 중합 단위는 1종 이상의 A 단량체로부터 유도되고, 그 A 단량체는 알킬기 내에 4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알킬기 내에 4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예로는 n-부틸, n-펜틸, n-헥실, 시클로헥실, 이소헵틸, n-노닐, n-데실, 이소헥실, 이소보르닐, 2-에틸옥틸, 이소옥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n-부틸, n-펜틸, n-헥실, 시클로헥실, 이소헵틸, n-노닐, n-데실, 이소헥실, 이소보르닐, 2-에틸옥틸, 이소옥틸 및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는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접착층의 공중합체 성분은 1 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혼성 중합 단위를 더 포함하는 데, 이 때 B 단량체는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중량% 내지 약 16 중량 %로 존재한다. 적합한 B 단량체로는 카르복실산, 술폰아미드, 우레아, 카르바메이트, 카르복사미드, 히드록시, 아미노, 옥시, 옥소,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작용기를 함유한 것들을 들 수 있다. B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히드록시알킬기 내에 2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 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기 내에 2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 히드록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알킬기 내에 1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 알킬 치환 아크릴아미드, N-비닐-N-메틸 아세트아미드, N-비닐 발레로락탐, N-비닐 카프로락탐, N-비닐-2-피롤리돈,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알콕시기 내에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 알콕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알콕시기 내에 1 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 알콕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 옥사이드 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디(저급)알킬아미노 에틸 아크릴레이트, 디(저급)알킬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저급)알킬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B 단량체로는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산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고, 그 제조 방법은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데,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참고 인용한 미국 재발행 특허 제24,906호(Ulrich)에 개시되어 있다.
접착층은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더 포함한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이라는 용어는 N-비닐-2-피롤리돈의 단독 중합체 또는 N-비닐-2-피롤리돈으로부터 유도된 혼성 중합 단위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의미하며, 이러한 혼성 중합 단위는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PVP 단독 중합체와 PVP 공중합체의 적합한 예로는 "폴리비돈"과 "코폴리비돈엄"에 대하여 유럽 약전에 수록된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것들을 들 수 있다. 그러한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는 바스프 악티엔게젤사프트으로부터 구입 가능한 상품명 콜리돈(KOLLIDON)이 있다. 바람직한 PVP 단독 중합체로는 콜리돈 25, 콜리돈 30 및 콜리돈 90이 있다. 바람직한 PVP 공중합체로는 N-비닐-2-피롤리돈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콜리돈 VA 64가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접착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접착층 내에 존재한다. 접착층 내에 PVP를 함유시키는 것은, 접착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고, 접착층의 응집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점착력이 너무 높으면, 피부로부터 기구를 제거하는 경우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응집 강도가 너무 낮으면, 기구를 제거할 때, 허용치 이상의 접착체 잔류물이 피부에 그대로 남게 될 수 있다.
또한, 플루르바이프로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경피 전달용 기구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지지체는 기구가 피부와 같은 모양이 될 수 있도록 가요성을 지닌다. 지지체는, 후술하는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수증기 투과 현상을 측정했을 때, 본 발명의 경피 전달용 기구가 400 g/m2/hr 이상의 수증기 투과율을 갖도록 비폐색성이다. 적합한 지지체 재료의 예로는 부직포와 천공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지지체는 실질적으로 접착층의 성분들에 대해 불활성이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한 지지체는 다방향 신장성을 지닌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포함한다. 그러한 웨브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고,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방법,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949,128호(오스터마이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는 데, 상기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 발명에서 참고 인용하고 있다. 요약컨대, 적절하게 용접[예를 들면, 열에 의한 점용접(spotwelded) 또는 열에 의한 스펀본드(spunbonded)용접]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가열(130℃ 내지 150℃)하면서 종방향으로 신장시켜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웨브를 제공한다. 이어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장비, 예를 들면 마이크로크레이퍼(MICROCREPER; 상품명, 마이크렉스(MICREX) 코오포레이션으로부터 구입함)를 사용하여 웨브에 종방향으로 신장을 부여한다. 형성된 웨브는 연성, 형태 일치성, 신장성 및 통기성을 지닌 지지체를 제공한다. 이 웨브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비롯한 특정 지방산 에스테르의 피부 침투 강화제에 대하여 내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웨브를 선택적으로 더 처리할 수 있다(예를 들면, 약물 함유 접착제 매트릭스를 적층시키기 위한 보다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는 압연 처리 또는 약물 함유 접착제 매트릭스가 웨브에 결합하는 것을 강화시키는 코로나 처리).
살아 있는 피부의 수증기 투과율(MVTR)은 약 400 g/m2/24 hr인 것으로 측정되었다(미국, 일리노이, 스프링필드, 찰스 지. 토마스의 문헌중에 기재된 "Human Perspiration(쿠노 야스의 논문)", 1956, pp. 26-27). MVTR이 상기 측정 수치보다 낮은 기구는 일반적으로 폐색성을 지닌다. 플루르바이프로펜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경피 전달용 기구는 비폐색성을 나타내고, 후술하는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수증기 투과 현상을 측정했을 때, 400 g/m2/24 hr 이상의 MVTR를 갖는다. 이러한 성질은 기구 이면의 피부상에서 수분 축적을 감소시켜 발생하는 피부 침연의 정도를 감소시킨다.
플루르바이프로펜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경피 전달용 기구는, 유기 용매(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중에 공중합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및 플루르바이프로펜을 함유한 용액을, 유기 용매(예를 들면, 이소프로판올)중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한 용액과 배합하여 코팅 제제를 생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코팅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적합한 박리 라이너상에 코팅시킴으로써, 코팅 제제의 예정된 균일한 두께를 제공한다. 적합한 박리 라이너로는 공지되어 있는 시이트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웨브, 폴리올레핀 웨브 또는 폴리스티렌 웨브, 또는 적합한 플루오로중합체 또는 실리콘계 코팅으로 코팅된 폴리에틸렌 코팅 페이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박리 라이너를 들 수 있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는 오븐 건조시킨 후,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지지체 재료에 적층시킨다.
플루르바이프로펜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경피 전달용 기구는 물품의 형태, 예를 들면 테이프, 패치, 시이트, 드레싱 또는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구는 예정된 양의 플루르바이프로펜을 피부를 통해 전달하는 데 적합한 크기의 패치 형태로 존재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구의 표면적은 약 50 ㎠ 내지 약 200 ㎠일 것이다.
플루르바이프로펜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기구는 플루르바이프로펜으로 치료 가능한 임의의 증상, 예를 들면 관절염 및 연성 조직 손상과 연관된 통증과 염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기구는 피부에 부착된 상태로 의도한 치료 효과를 달성하거나 유지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충분한 시간을 구성하는 시간은 본 발명 기구의 유동 속도를 고려하여 치료하고자 하는 증상에 따라 당업자들이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한다.
생체외 피부 침투 시험 방법
하기 실시예에 주어진 피부 침투 자료는 하기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것이다. 확산 셀을 사용하였다. 제모된(hairless) 마우스(3∼4 주령의 제모된 암컷 마우스)의 피부 또는 사체 피부를 사용하였다. 표피 측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피부를 셀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장착시키고, 이들을 볼 조인트 클램프 수단에 의해 동시에 고정시켰다.
장착된 피부 아래에 위치한 셀의 하부에, 수용체 유체가 피부와 접촉하도록 수용체 유체{("헤페스(HEPES)"(N-[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술폰산])에 의하여 완충 행크스(Hanks) 평형 염 용액, pH 7.2, 1.5 mmole 아지드화나트륨으로 보충함)}를 완전히 채워 넣었다. 수용체 유체를 자기 막대를 사용하여 교반시켰다. 사용할 때를 제외하고는 시료 취출구(샘플링 포트)를 닫아 두었다.
경피 전달용 기구를 평가할 때, 피부를 확산 셀 하부의 오리피스에 걸쳐 놓고, 박리 라이너를 면적 1.55 cm2의 패치로부터 제거하고, 패치를 피부에 부착하여 피부와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압착시켰다. 확산 셀을 조립한 후, 그 하부에 수용체 유체를 채워 넣었다.
이어서, 일정한 온도(32±1.5 ℃)와 습도(45±5%의 상대 습도)을 갖춘 챔버에 셀을 방치하였다. 실험 기간 전체에 걸쳐 자기 막대를 사용하여 수용체 유체를 교반시킴으로써, 피부 표피 측면상에서 샘플을 균일하게 하고 확산 차단을 감소시켰다. 수용체 유체의 전체 부피를 소정의 시간 간격(3, 6, 9, 12, 24, 36 및 48 시간)으로 회수하여 새로운 유체로 즉시 교환하였다.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회수된 유체를 약물 함량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피부를 침투하는 S(+)-플루르바이프로펜의 누적량을 측정하였다.
수증기 투과율 시험 방법
하기 실시예에 주어진 수증기 투과율(MVTR) 자료는 하기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것이다. 이 시험 방법은 ASTM E 96-80의 변형된 방법이다.
직경이 31 mm인 샘플을 시험하고자 하는 적층체로부터 다이 절단하였다. 내부경("i.d.")이 24.4 mm이고, 외경("o.d.")이 37.5 mm이며, 이면에 접착제를 갖는 호일 링을 시험 샘플의 지지체 표면에 적층시켰다. 박리 라이너를 시험 샘플로부터 제거하고, 이면에 접착제를 갖는 제2의 호일 링(i.d. 24.4 mm; o.d. 37.5 mm)을 시험 샘플의 접착 표면에 적층시킴으로써, 2개의 호일 링을 동심원상으로 정렬시키고, 시험 샘플을 호일 링의 접착 표면 사이에 개재 시켰다. 형성된 호일/샘플/호일 적층체를 평활하게 하여 주름 또는 공극을 제거하였다.
개구부의 직경이 40 mm인 갈색 유리병(100 ml)을 증류수 50 mL로 절반 채웠다. 이 유리병에 구멍의 직경이 30 mm인 나사식 리드(lid)를 끼워 맞추었다.
리드를 나사식으로 유리병에서 끼워 맞출 때, 샘플의 접착 표면이 유리병의 내부로 향하도록, 호일/샘플/호일 적층체를 리드에 동심원상으로 배치하였다. 내부 직경이 30 mm인 가스킷(gasket)을 리드내로 삽입하고, 형성된 리드/적층체/가스킷의 부분조립체를 유리병 상에 느슨하게 조였다.
조립체를 40℃의 온도와 20%의 상대 습도로 유지되는 챔버에 방치하였다. 4 시간이 경과한 후, 조립체를 챔버로부터 꺼내어 최근사치 0.01 g 단위까지 평량하였다(W1). 유리병상에서 리드를 단단히 조이고, 그 조립체를 다시 챔버로 복귀시켰다. 24 시간이 경과한 후, 조립체를 챔버로부터 꺼내어 최근사치 0.01 g 단위까지 평량하였다(W2).
이어서, 샘플의 MVTR(24 시간에 걸쳐서 샘플 면적(m2)당 투과되는 물의 양(g)으로 측정됨)을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각 적층체의 6개 샘플에 대해 시험을 수행하여 6개 샘플의 평균치를 기록하였다.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180도 박리 접착력
하기 실시예에 주어진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180도 박리 접착력에 관한 자료는 ASTM D 3330-90의 변형된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것이다.
2.54 cm ×7.62 cm의 샘플을 시험하고자 하는 적층체로부터 다이 절단하였다. 박리 라이너를 1 cm 아래로 박리시키고, 그 노출된 접착 표면을 리더 스트립에 부착시켰다.(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리더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 표면을 비코팅된 면에 부착시켜야 한다.) 박리 라이너를 시험 샘플로부터 제거하였다. 시험 샘플을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대략 스테인레스 스틸 시험 표면(4-히드록시-4-메틸-2-펜탄온으로 1회, 그리고 아세톤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세척한 5 cm ×14 cm의 스테인레스 스틸 판)의 중심으로 접착 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하였다. 대략 6mm/sec의 속도로 2 Kg 로울러를 사용하여 전방으로 1회, 그리고 역방향으로 1회 통과시킴으로써, 샘플을 압연시켰다. 이어서, 샘플을 주위 온도에서 15분 동안 방치하였다. 테이프를 180도 각도로 제거하는 데 필요한 박리력은 적당한 일련의 시험 장비(예를 들면, 프랑크 유니버살프루프머신 81565 또는 인스트론 머신 4201)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제거 속도는 230 mm/분이었다. 제거시 힘은 뉴톤 단위로 나타냈다. 각 적층체의 10개 샘플에 대해 시험을 수행하여, 10개 샘플의 평균치를 기록하였다.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90/10) 공중합체의 제조
교반기, 응축기, 질소 주입관 및 부가 깔대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72.0 g), 아크릴산(8.0 g) 및 에틸 아세테이트(78.1 g)를 넣었다. 이 혼합물을 적당하게 교반하면서 60℃로 가열하고, 질소로 퍼지하여 산소를 제거하였다. 에틸렌 아세테이트(3.0 g)에 미리 혼합시킨 루시돌 75(0.07 g, 엘프 아토켐 노쓰 아메리카로부터 구입함)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반응 온도를 60℃로 유지시켰다.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에서 중합체로의 전환율이 최소한 95%에 도달할 때까지, 대개는 20 시간 내지 30 시간까지 중합체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1.5 g)를 30분 마다 첨가하였다. 반응 시간 5 시간 및 9시간이 경과한 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3.0 g)와 미리 혼합시킨 루시돌 75(0.07 g)을 더 넣었다. 반응 전환율이 최소한 95%에 도달할 때, 형성된 중합체 용액을 헵탄으로 희석하여 고형분을 20% 내지 30%가 되게 한 후, 냉각하여 배출시켰다. 0.15 g/dl인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고유 점도는 1.7 dl/g 내지 2.0 dl/g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고유 점도는, 27℃로 조절된 물 중탕에서 캐논 펜스케(Canon-Fenske) # 50 점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중합체 용액 10 mml의 흐름 시간을 측정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험 절차 및 시험 장치는 문헌["Text of Polymer Science", 에프.더블유. 빌마이어, Wilely Interscience, 2nd Ed., 1971, pp. 84-85]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건조된" 접착제의 제조
건조된 접착제는 접착성 공중합체의 용액을 박리 라이너 상에 500 μm의 두께로 코팅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오븐 건조시켜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 단량체의 양을 감소시켰다. 건조된 접착제는 박리 라이너로부터 박리하여 용기에 보관하였다.
다방향 신장성 폴리프로필렌 지지체의 제조
오프셋에 의해 간헐적으로 점 용접된 구조와 1m2당 약 60g의 공칭(nominal) 기본 중량을 지닌 스펀본디드(spunbonded) 폴리프로필렌 부직포[프루덴버그 스펀웨브 컴퍼니로부터 구입한 루트라실(LUTRASIL:등록상표)LS-4160]를, 가열(약 138℃)가열하고, "넥킹 다운(necking-down)" 또는 "스트레치 세팅(sretch-setting)"으로서 알려진 방법으로 통상적인 장비를 사용하여 장력(권출 장력 또는 속도와 권취 장력 또는 속도를 조정하여 1:1.5(±0.1)응차를 생성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장력)하에 신장시켰다. 이러한 방법은 웨브의 폭을 감소시키고, 웨브의 길이를 증가시켜서 웨브의 횡방향으로 신장을 부여한다. 이어서, "넥킹 다운" 상태의 웨브를, 마이크로크레이퍼(MICROCREPER; 상품명)(미국, 마이애미, 월포울 소재, 마이크렉스(MICREX) 코오포레이션으로부터 구입함)을 사용하여 압축비를 약 30% 내지 약 40%로 하고, 온도를 70℃로 설정해서 마이크로크레이프화시켰다. 이 방법은 웨브를 따라 내려가는 방향 또는 웨브의 종방향으로 신장을 부여한다. 형성된 다방향 신장성 웨브를, 통상적인 장비 상에서 온도 약 138℃와 압력 100 psi(7.0 Kg/cm2)하에 소형(약 1.5 mm2) 와플 패턴 상부 롤과 평활한 크롬 하부 롤을 이용하여 압연시킴으로써, 다방향 신장성을 보유하는 동시에 약물 함유 매트릭스를 적층시키기 위한 보다 평활한 표면을 생성시켰다.
실시예 1
이소프로판올(166.7 g)중의 폴리비닐피롤리돈(4.69 g의 콜리돈 30)의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480 g)중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57.14 g), S(+)-플루르바이프로펜(13.3 g) 및 접착제(건조된 90/10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20 g)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균일한 코팅 제제를 생성시켰다. 제제를 박리 라이너[3M 제품, Scotchpak(등록상표) 1022 박리 라이너]상에 650 μm의 습윤 두께로 나이프 코팅시켰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하기 열거하는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1 가열 영역 65℃, 제2 가열 영역 75℃ 및 제3 가열 영역 9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를 코로나 처리한 후, 코팅된 라이너에 적층시켰다. 형성된 적층체의 약물 적재량은 0.63 mg/cm2이었다. 적층체를 1.55 cm2패치로 다이 절단하였다. 제모된 마우스 피부를 통한 침투 현상을, 전술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표 1에서 각각의 수치는 개별적인 6회 측정치의 평균값이다. 또한, 동일한 크기의, 시중에서 구입한 플루르바이프로펜 기구(아도피드(ADOFEED), Mikasa)샘플도 시험하였다.
실시예 2
이소프로판올(66.7 g)중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6.91 g의 콜리돈 VA 64)의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480 g)중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57.14 g), S(+)-플루르바이프로펜(13.3 g) 및 접착제(건조된 90/10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20 g)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균일한 코팅 제제를 생성시켰다. 제제를 박리 라이너[3M 제품, Scotchpak(등록상표) 1022 박리 라이너]상에 650 μm의 습윤 두께로 나이프 코팅시켰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하기 열거하는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1 가열 영역 65℃, 제2 가열 영역 75℃ 및 제3 가열 영역 9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를 코로나 처리한 후, 코팅된 라이너에 적층시켰다. 형성된 적층체의 약물 적재량은 0.82 mg/cm2이었다. 적층체를 1.55 cm2패치로 다이 절단하였다. 제모된 마우스 피부를 통한 침투 현상을, 전술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표 1에서 각각의 수치는 개별적인 6회 측정치의 평균값이다.
실시예 3
이소프로판올(66.7 g)중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7.94 g의 콜리돈 VA 64)의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480 g)중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57.4 g), S(+)-플루르바이프로펜(13.39 g) 및 접착제(건조된 90/10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20 g)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균일한 코팅 제제를 생성시켰다. 제제를 박리 라이너[3M 제품, Scotchpak(등록상표) 1022 박리 라이너]상에 650 μm의 습윤 두께로 나이프 코팅시켰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하기 열거하는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1 가열 영역 65℃, 제2 가열 영역 75℃ 및 제3 가열 영역 9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를 코로나 처리한 후, 코팅된 라이너에 적층시켰다. 형성된 적층체의 약물 적재량은 0.88 mg/cm2이었다. 적층체를 1.55 cm2패치로 다이 절단하였다. 재모된 마우스 피부를 통한 침투 현상을, 전술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기재하였으며, 표 1에서 각각의 수치는 개별적인 6회 측정치의 평균값이다.
실시예 4
이소프로판올(183.3 g)중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10.52 g의 콜리돈 VA 64)의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52 g)과 이소프로판올(88 g)의 혼합물중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57.14 g), S(+)-플루르바이프로펜(13.3 g) 및 접착제(건조된 90/10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10 g)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균일한 코팅 제제를 생성시켰다. 제제를 박리 라이너[3M 제품, Scotchpark(등록상표) 1022 박리 라이너]에 나이프 코팅시켰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하기 열거하는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1 가열 영역 65℃, 제2 가열 영역 75℃ 및 제3 가열 영역 90℃. 전술한 바와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에 코팅된 라이너를 적층시켰다. 형성된 적층체의 약물 적재량은 0.7 mg/cm2이었다. 적층체를 1.55 cm2패치로 다이 절단하였다. 제모된 마우스 피부를 통한 침투 현상을, 전술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표 1에서 각각의 수치는 개별적인 6회 측정치의 평균값이다.
실시예 5
이소프로판올(183.3 g)중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13.75 g의 콜리돈 VA 64)의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52 g)과 이소프로판올(88 g)의 혼합물중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58.9 g), S(+)-플루르바이프로펜(13.75 g) 및 접착제(건조된 90/10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10 g)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균일한 코팅 제제를 생성시켰다. 제제를 박리 라이너[3M 제품, Scotchpak(등록상표) 1022 박리 라이너]에 나이프 코팅시켰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하기 열거하는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1 가열 영역 65℃, 제2 가열 영역 75℃ 및 제3 가열 영역 9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에 코팅된 라이너를 적층시켰다. 형성된 적층체의 약물 적재량은 0.7 mg/cm2이었다. 적층체를 1.55 cm2패치로 다이 절단하였다. 제모된 마우스 피부를 통한 침투 현상을, 전술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표 1에서 각각의 수치는 개별적인 6회 측정치의 평균값이다.
실시예 6
이소프로판올(175 g)중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5.3 g의 콜리돈 VA 64)의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36 g)과 이소프로판올(84 g)의 혼합물중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57.4 g), S(+)-플루르바이프로펜(16.28 g) 및 접착제(건조된 90/10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05 g)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균일한 코팅 제제를 생성시켰다. 제제를 박리 라이너[3M 제품, Scotchpak(등록상표) 1022 박리 라이너]상에 나이프 코팅시켰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하기 열거하는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1 가열 영역 65℃, 제2 가열 영역 75℃ 및 제3 가열 영역 9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에 코팅된 라이너를 적층시켰다. 형성된 적층체의 약물 적재량은 0.7 mg/cm2이었다. 적층체를 1.55 cm2패치로 다이 절단하였다. 제모된마우스 피부를 통한 침투 현상을, 전술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표 1에서 각각의 수치는 개별적인 6회 측정치의 평균값이다.
비교 실시예 1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239 g), S(+)-플루르바이프로펜(56 g) 및 접착제(건조된 90/10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503 g)을 포함하는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2260 g)에 첨가하여, 균일한 코팅 제제를 생성시켰다. 압출 다이를 통해서, 상기 제제를 박리 라이너[3M 제품, Scotchpak(등록상표) 1022 박리 라이너]상에 코팅시켰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하기 열거하는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1 가열 영역 65℃, 제2 가열 영역 75℃ 및 제3 가열 영역 90℃. 이어서, 코팅된 라이너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에 적층시켰다. 형성된 적층체의 약물 적재량은 0.7 mg/cm2이지만, PVP를 함유하지 않았다. 적층체를 1.55 cm2패치로 다이 절단하였다. 제모된 마우스 피부를 통한 침투 현상을, 전술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C1)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표 1에서 각각의 수치는 개별적인 6회 측정치의 평균값이다.
제모된 마우스 피부 침투
실시예 번호 침투된 누적량(㎍/cm2/24 hr)
1 151.8
2 166.9
3 136.3
4 70.9
5 91.1
6 91.6
C1 190.8
아도피드 50.2
표 1의 자료는 본 발명의 기구가 시중에서 구입한 제품의 유동 속도보다 더 높은 유동 속도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7
이소프로판올(2684.1 g)중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201.34 g의 콜리돈 VA 64)의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5155 g)과 이소프로판올(1288.5 g)의 혼합물중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862.7 g), S(+)-플루르바이프로펜(201.28 g) 및 접착제(건조된 90/10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610.3 g)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균일한 코팅 제제를 생성시켰다. 압출 다이를 통해서,상기 제제를 박리 라이너[3M 제품, Scotchpak(등록상표) 1022 박리 라이너]상에 코팅시켰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하기 열거하는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1 가열 영역 65℃, 제2 가열 영역 75℃ 및 제3 가열 영역 9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를 코팅된 라이너에 적층시켰다. 형성된 적층체의 약물 적재량은 0.7 mg/cm2이었다.
적층체를 1.55 cm2패치로 다이 절단하였다. 제모된 마우스 피부를 통한 침투 현상을, 전술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으며, 표 2에서 각각의 수치는 개별적인 9회 측정치의 평균값이다. 전술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사체 피부를 통한 침투 현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으며, 표 3에서 각각의 수치는 개별적인 5회 측정치의 평균값이다.또한, 동일한 크기의 아도피드 제품의 샘플도 시험하였다.
점착력을 ASTM D-2979-71을 사용하여 시험하였고, 그 결과 점착력은 143.60 g/cm2(개별적인 10회 측정치의 평균값)이었다.
스틸(steel)상의 접착력을,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 접착력은 2.33 뉴톤(개별적인 7회 측정치의 평균값)이었다.
제모된 마우스 피부 침투
실시예 번호 침투된 누적량(㎍/cm2)
12 시간 24 시간 48 시간
7 73.52 151.32 290.02
아도피드 24.62 52.17 93.12
사체 피부 침투
실시예 번호 침투된 누적량(㎍/cm2)
12 시간 24 시간 48 시간
7 32.63 63.28 112.18
아도피드 11.57 32.79 67.27
표 2와 표 3의 자료는 본 발명의 기구가 시중에서 구입한 제품의 유동 속도보다 더 높은 유동 속도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수증기 투과율
실시예 7에서 제조한 경피 전달용 기구의 수분 투과율을, 시판되는 아도피드 기구의 수증기 투과율 및 WO 94/23713호의 실시예 1에 개시되어 있는 기구의 수증기 투과율(표4에서 C2로 기재되어 있음)과 비교하였다. 수증기 투과율은 전술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수증기 투과율(g/m2/24 hr)
실시예 번호
7 442
C2 74.8
아도피드 3497
표 4의 자료는 실시예 7의 기구가 비폐색성을 나타내는 반면에 C2의 기구는 폐색성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플라시보 1
플라시보(약물 무함유) 기구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이소프로판올(183.25 g)중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3.63 g의 콜리돈 VA 64)의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52.5 g)과 이소프로판올(88.69 g)의 혼합물중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54.25 g)와 접착제(건조된 90/10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10.08 g)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균일한 코팅 제제를 생성시켰다. 이 제제를 박리 라이너[3M 제품, Scotchpak(등록상표) 1022 박리 라이너]상에 600 μM로 나이프 코팅시켰다. 이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하기 열거하는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1 가열 영역 65℃, 제2 가열 영역 75℃ 및 제3 가열 영역 9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를 코로나 처리한 후, 코팅된 라이너에 적층시켰다.
점착력을 ASTM D-2979-71을 사용하여 시험하였고, 그 결과 점착력은 201.7 g/cm2(개별적인 10회 측정치의 평균값)이었다.
스틸(steel)상의 접착력을,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 접착력은 1.24 뉴톤(개별적인 6회 측정치의 평균값)이었다.
플라시보 2
이소프로판올(183.4 g)중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5.52 g의 콜리돈 VA 64)의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52 g)과 이소프로판올(88.25 g)의 혼합물중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55 g)와 접착제(건조된 90/10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10.06 g)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균일한 코팅 제제를 생성시켰다. 제제를 박리 라이너[3M 제품, Scotchpark(등록상표) 1022 박리 라이너]상에 600 μM로 나이프 코팅시켰다. 코팅된 박리 라이너를 하기 열거하는 온도 프로그램에 따라 오븐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제1 가열 영역 65℃, 제2 가열 영역 75℃ 및 제3 가열 영역 9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지지체를 코로나 처리한 후, 코팅된 라이너에 적층시켰다.
피부 접착력
플라시보1, 플라시보2, 비교 실시예1 및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적층체를 1 인치×3 인치(2.5 cm× 7.6 cm)의 스트립으로 절단하였다.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였다. 각각의 적층체마다 한개의 스트립(총 4개의 스트립)을 2시간 동안 10인의 피험자의 팔뚝 안쪽에 부착시켰다. 각각의 피험자에 있어서, 각 적층체에 대한 접착력을 6개의 세부 항목(매우 강함, 강함, 허용 가능함, 안락함, 불량함, 완전 불량함)중 하나를 사용하여 등급화시켰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으며, 표 5에서 모든 % 수치는 접착층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표 5의 자료는 접착층에 PVP를 함유시키는 것은 접착제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고, 보다 안락한 기구를 제공함을 보여준다.
적층체 약물(%) IPM(%) PVP(%) 접착력(세부 항목에 해당하는 피험자의 수)
매우강함 강함 허용가능함 안락함 불량함 완전불량함
플라시보1 0 32.3 2.16 0 1 3 6 0 0
플라시보2 0 32.2 3.2 0 0 4 5 1 0
C1 7.0 29.95 0 2 7 1 0 0 0
실시예7 7.0 30.0 7.0 1 2 5 1 1 0

Claims (10)

  1. 하기 (A)와 (B)를 포함하며, 수증기 투과율이 400 g/m2/24 hr 이상인 경피 전달용 기구:
    (A) 지지체;
    (B) 하기 (1), (2), (3) 및 (4)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체의 한 표면에 접착되는 접착층;
    (1) 하기 (a)와 (b)로부터 유도된 혼성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a) 알킬기 내에 4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알킬기 내에 4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A 단량체와,
    (b) 카르복실산, 술폰아미드, 우레아, 카르바메이트, 카르복사미드, 히드록시, 아미노, 옥시, 옥소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작용기를 포함하는 1 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B 단량체;
    (2)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존재하는 플루르바이프로펜;
    (3) 접착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4) 접착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비닐피롤리돈.
  2. 제1항에 있어서, 플루르바이프로펜이 접착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2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경피 전달용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접착층이 용해되지 않은 고형 플루르바이프로펜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 경피 전달용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플루르바이프로펜이 S(+)-플루르바이프로펜인 경피 전달용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A 단량체가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경피 전달용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B 단량체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알킬기 내에 1개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 알킬 치환 아크릴아미드, 알킬기 내에 1개 또는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알킬 아크릴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경피 전달용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상기 A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혼성 중합 단위를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8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하는 경피 전달용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상기 B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혼성 중합 단위를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경피 전달용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이 N-비닐-2-피롤리돈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경피 전달용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다방향 신장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구성되는 경피 전달용 기구.
KR1019980704664A 1995-12-22 1996-12-16 플루르바이프로펜의 경피 전달용 기구 KR19990076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77,482 US5702720A (en) 1995-12-22 1995-12-22 Transdermal device for the delivery of flurbiprofen
US8/577.482 1995-12-22
PCT/US1996/020006 WO1997023205A1 (en) 1995-12-22 1996-12-16 Transdermal device for the delivery of flurbiprof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588A true KR19990076588A (ko) 1999-10-15

Family

ID=243089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664A KR19990076588A (ko) 1995-12-22 1996-12-16 플루르바이프로펜의 경피 전달용 기구
KR10-1998-0704665A KR100452001B1 (ko) 1995-12-22 1996-12-19 약물전달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665A KR100452001B1 (ko) 1995-12-22 1996-12-19 약물전달기구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5702720A (ko)
EP (2) EP0869781B1 (ko)
JP (2) JP2000503638A (ko)
KR (2) KR19990076588A (ko)
CN (2) CN1098071C (ko)
AR (1) AR005163A1 (ko)
AT (2) ATE241350T1 (ko)
AU (2) AU701782B2 (ko)
CA (2) CA2238400A1 (ko)
CO (1) CO4810224A1 (ko)
CZ (2) CZ197298A3 (ko)
DE (2) DE69628448T2 (ko)
HR (1) HRP960608B1 (ko)
HU (1) HUP9901991A3 (ko)
IL (2) IL124629A (ko)
MX (2) MX9804871A (ko)
MY (1) MY113685A (ko)
NO (2) NO982613L (ko)
NZ (2) NZ325659A (ko)
TW (1) TW436298B (ko)
WO (2) WO1997023205A1 (ko)
ZA (1) ZA96107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101B1 (ko) * 2002-07-31 2005-09-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중 자극 응답성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2334A (en) * 1989-09-08 1993-10-12 Cygnus Therapeutic Systems Solid matrix system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JP3782834B2 (ja) * 1994-10-26 2006-06-07 株式会社トクホン 鎮痛抗炎症貼付剤
DE19830649C2 (de) * 1998-07-09 2003-04-10 Lohmann Therapie Syst Lts Topisches Pflaster mit nichtsteroidalen Antirheumatika mit Säuregruppe
DE19834496B4 (de) 1998-07-31 2004-02-26 Beiersdorf Ag Verbesserte Freisetzung von Ibuprofen aus Heißschmelzklebemassen in wirkstoffhaltigen Pflastern durch Zusatz von pharmazeutischen Hilfsstoffen und Verwendung von Hilfsstoffen zur Verbesserung der Freisetzung von Ibuprofen
WO2000010531A1 (en) 1998-08-19 2000-03-02 Rtp Pharma Inc. Injectable aqueous dispersions of propofol
DE19840191A1 (de) * 1998-09-03 2000-03-09 Lohmann Therapie Syst Lts Arzneistoffhaltiges Pflaster mit drei funktionalen Schichten
WO2001026648A1 (fr) * 1999-10-13 2001-04-19 Senju Pharmaceutical Co., Ltd. Preparation d'adhesif a usage ophtalmique pour l'absorption par voie percutanee
US20020110585A1 (en) 1999-11-30 2002-08-15 Godbey Kristin J. Patch therapeutic agent delivery device having texturized backing
US6455067B1 (en) * 2000-05-24 2002-09-24 Sang-A Pharmaceutical Co., Ltd. Transdermal patch fo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DE10032537A1 (de) * 2000-07-05 2002-01-31 Labtec Gmbh Dermales System, enthaltend 2-(3-Benzophenyl)Propionsäure
DE10049225A1 (de) * 2000-09-28 2002-04-11 Labtec Gmbh Dermales System, enthaltend Diclofenac
US20020106402A1 (en) * 2000-12-05 2002-08-08 Hartwig Rod Lawson Crystallization inhibition of drugs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7803392B2 (en) * 2000-12-27 2010-09-28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pH-Sensitive mucoadhesive film-forming gels and wax-film composites suitable for topical and mucosal delivery of molecules
US6479076B2 (en) * 2001-01-12 2002-11-12 Izhak Blank Nicotine delivery compositions
BR0210516A (pt) * 2001-06-18 2004-10-05 Noven Pharma Distribuição intensificada de drogas em sistemas transdérmicos
US6805878B2 (en) * 2001-09-13 2004-10-19 Noven Pharmaceuticals, Inc.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ACE inhibitors
US6951642B2 (en) 2001-09-28 2005-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in-oil emulsions with anionic groups, compositions, and methods
US7030203B2 (en) * 2001-09-28 2006-04-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in-oil emulsions with ethylene oxide groups,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30124174A1 (en) * 2001-10-25 2003-07-03 Endo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treating non-neuropathic pain
US20030152612A1 (en) * 2002-01-03 2003-08-14 Pugliese Peter T. Method and article to control cellulite
US6838078B2 (en) * 2002-01-16 2005-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m-form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7147873B2 (en) * 2002-01-16 2006-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septic compositions and methods
DE10212864B4 (de) * 2002-03-22 2005-12-22 Beiersdorf Ag Polymermatrizes umfassend ein Mischsystem zur Löslichkeitsvermittlung von pharmazeutischen Wirkstoff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US20040062794A1 (en) * 2002-09-30 2004-04-01 Lee Shulman 17Beta- estradiol/levonorgestrel transdermal patch fo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O2004080441A1 (ja) * 2003-03-10 2004-09-23 Tokuyama Corporation イオン性薬剤投与用の貼付材
KR20060039867A (ko) * 2003-06-20 2006-05-09 바이럴 게노믹스, 인크. Hiv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20050065062A1 (en) * 2003-09-24 2005-03-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formulat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2005079675A2 (en) 2004-02-17 2005-09-01 Cook Biotech Incorporated Medical devices and methods for applying bolster material
US20060078604A1 (en) 2004-10-08 2006-04-13 Noven Pharmaceuticals, Inc.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including an occlusive backing
WO2006048939A1 (ja) * 2004-11-05 2006-05-11 Lead Chemical Co., Ltd. 非ステロイド消炎鎮痛薬を含有する非水系経皮吸収製剤
KR100663163B1 (ko) * 2005-10-24 2007-01-02 (주)아모레퍼시픽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 제제
EP2046307A2 (en) * 2006-06-14 2009-04-15 Arrow Coated Products Limited Device for delivering active ingredients to humans, animals and plants
KR20080006960A (ko) * 2006-07-14 2008-01-17 (주)아모레퍼시픽 소수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제제
US20080039415A1 (en) * 2006-08-11 2008-02-14 Gregory Robert Stewart Retrograde transport of sirna and therapeutic uses to treat neurologic disorders
JP5214223B2 (ja) * 2007-11-15 2013-06-19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MX2010007665A (es) * 2008-05-21 2010-08-18 Teikoku Pharma Usa Inc Tratamiento de dismenorrea via administracion transdermal de farmacos anti-inflamatorios no esteroideos.
WO2010077096A2 (ko) * 2008-12-31 2010-07-08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약물전달기구
US20100291182A1 (en) * 2009-01-21 2010-11-18 Arsenal Medical, Inc. Drug-Loaded Fibers
US20100199406A1 (en) 2009-02-06 2010-08-12 Nike, Inc. Thermoplastic Non-Woven Textile Elements
US20100199520A1 (en) * 2009-02-06 2010-08-12 Nike, Inc. Textured Thermoplastic Non-Woven Elements
US8850719B2 (en) 2009-02-06 2014-10-07 Nike, Inc. Layered thermoplastic non-woven textile elements
US9682512B2 (en) 2009-02-06 2017-06-20 Nike, Inc. Methods of joining textiles and other elements incorporating a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US8906275B2 (en) 2012-05-29 2014-12-09 Nike, Inc. Textured elements incorporating non-woven textile materi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textured elements
CN101502499B (zh) * 2009-03-13 2011-07-27 北京化工大学 一种布洛芬经皮释放贴剂及其制备方法
US9044580B2 (en) 2009-08-24 2015-06-02 Arsenal Medical, Inc. In-situ forming foams with outer layer
US20110202016A1 (en) * 2009-08-24 2011-08-18 Arsenal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polymer foams
US9173817B2 (en) 2009-08-24 2015-11-03 Arsenal Medical, Inc. In situ forming hemostatic foam implants
US10420862B2 (en) 2009-08-24 2019-09-24 Aresenal AAA, LLC. In-situ forming foams for treatment of aneurysms
BR112012012348A2 (pt) * 2009-11-23 2016-04-26 Isp Investments Inc solução reativa de polímeros polimerizáveis compreendedo funcionalidades reativas polimerizáveis, processos e composições da mesma
US9034240B2 (en) 2011-01-31 2015-05-19 Arsenal Medical, Inc. Electrospinning process for fiber manufacture
US9194058B2 (en) 2011-01-31 2015-11-24 Arsenal Medical, Inc. Electrospinning process for manufacture of multi-layered structures
US8968626B2 (en) 2011-01-31 2015-03-03 Arsenal Medical, Inc. Electrospinning process for manufacture of multi-layered structures
US8993831B2 (en) 2011-11-01 2015-03-31 Arsenal Medical, Inc. Foam and delivery system for treatment of postpartum hemorrhage
US20130255103A1 (en) 2012-04-03 2013-10-03 Nike, Inc. Apparel And Other Products Incorporating A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ITMI20121428A1 (it) * 2012-08-10 2014-02-11 Allergosystem S R L Dispositivo per applicazione topica di medicamenti o cosmetici
BR112016016700A2 (pt) * 2014-01-29 2017-08-08 Nitto Denko Corp Composição para acelerar a penetração através da pele, preparação para administração transdérmica, e preparação de emplastro de pele
CN106255554B (zh) 2014-05-07 2021-05-04 勃林格殷格翰国际有限公司 容器、喷雾器及用途
CA3010183A1 (en) 2015-12-30 2017-07-06 Corium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ng term transdermal administration
WO2018074261A1 (ja) * 2016-10-17 2018-04-26 第一三共株式会社 封入容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EP3563840B1 (en) 2016-12-28 2021-09-0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atch
US11872320B2 (en) 2021-02-25 2024-01-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thod for treating osteoarthritis
CN116270575A (zh) * 2021-08-16 2023-06-23 乐明药业(苏州)有限公司 一种含有氟比洛芬的药物组合物与贴剂
WO2024145323A1 (en) * 2022-12-28 2024-07-04 Corium, Llc Pre-mixing method of preparing transdermal delivery system
WO2024145319A1 (en) * 2022-12-28 2024-07-04 Corium, Llc Method of preparing transdermal delive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06A (en) * 1859-07-26 Simeon goodfellow
IT610737A (ko) * 1955-11-18 1900-01-01
US3949128A (en) * 1972-08-22 1976-04-06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duct and process for producing a stretchable nonwoven material from a spot bonded continuous filament web
US4185100A (en) * 1976-05-13 1980-01-22 Johnson & Johnson Topical anti-inflammatory drug therapy
JPS55139313A (en) * 1979-04-16 1980-10-31 Ota Seiyaku Kk Gel cream composition comprising higher fatty acid ethanol amide, and drug containing it
GB2075837B (en) * 1980-05-14 1984-03-14 Hisamitsu Pharmaceutical Co Topical pharmaceutical gel containing anti-inflammatory analgesic agents
US5445604A (en) * 1980-05-22 1995-08-29 Smith & Nephew Associated Companies, Ltd. Wound dressing with conformable elastomeric wound contact layer
JPS5855411A (ja) * 1981-09-28 1983-04-01 Nitto Electric Ind Co Ltd 基剤組成物および外用医薬組成物
US4701470A (en) * 1982-12-06 1987-10-20 The Upjohn Company Treatment of Type II Herpes virus with ibuprofen
US4473584A (en) * 1982-12-06 1984-09-25 The Upjohn Company Treatment of Type I Herpes virus with flurbiprofen
US4477468A (en) * 1982-12-06 1984-10-16 The Upjohn Company Treatment of type II herpes virus with flurbiprofen
JPS59222409A (ja) * 1983-06-01 1984-12-14 Nippon Redarii Kk 消炎鎮痛ゲル軟膏剤
CH662944A5 (it) * 1984-10-18 1987-11-13 Pier Luigi Prof Dr Luisi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biocompatibili di micelle inverse di biocompatibili e loro utilizzazione.
US4751087A (en) * 1985-04-19 1988-06-14 Riker Laboratories, Inc. Transdermal nitroglycerin delivery system
DE3522550A1 (de) * 1985-06-24 1987-01-02 Klinge Co Chem Pharm Fab Aufspruehbare pharmazeutische zubereitung fuer die topische anwendung
DE3532562A1 (de) * 1985-09-12 1987-03-12 Dolorgiet Gmbh & Co Kg Transdermal resorbierbare, wasserhaltige zubereitungen von arylpropionsaeurederiva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GB8701392D0 (en) * 1987-01-22 1987-02-25 Boots Co Plc Therapeutic agents
US5656286A (en) * 1988-03-04 1997-08-12 Noven Pharmaceuticals, Inc. Solubility parameter based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drug saturation concentration
GB2217595B (en) * 1988-04-21 1991-11-20 American Cyanamid Co Antiinflammatory gel
US5230701A (en) * 1988-05-13 1993-07-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astomeric adhesive and cohesive materials
US5266723A (en) * 1989-05-16 1993-11-30 Medice, Ltd., Chem.-Pharm. Fabrik Putter Gmbh & Co. K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2-aryl-alkanoic acids, especially 2-aryl-propionic acids
WO1991006295A1 (en) * 1989-11-06 1991-05-16 Sepracor, Inc. Analgesic composition containing optically pure s(+) flurbiprofen
US5093133A (en) * 1990-01-24 1992-03-03 Mcneil-Ppc, Inc. Method for percutaneous delivery of ibuprofen using hydroalcoholic gel
WO1991017740A1 (en) * 1990-05-18 1991-11-28 Analgesic Associates Prevention or treatment of sunburn using the s(+) isomer of flurbiprofen
DE4028906A1 (de) * 1990-09-12 1992-03-19 Paz Arzneimittelentwicklung Arzneimittel sowie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bei der bekaempfung von schmerzen und/oder entzuendungen und/oder fieber an tieren und menschen
TW218849B (ko) * 1991-05-17 1994-01-11 Bristol Myers Squibb Co
AU656019B2 (en) * 1991-08-30 1995-01-19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nti-inflammatory analgesic plaster
DE4210711A1 (de) * 1991-10-31 1993-05-06 Schering Ag Berlin Und Bergkamen, 1000 Berlin, De Transdermale therapeutische systeme mit kristallisationsinhibitoren
GB2273044B (en) * 1992-12-02 1997-04-09 Pacific Chem Co Ltd Medicinal patches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AU6635294A (en) * 1993-04-22 1994-11-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derm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101B1 (ko) * 2002-07-31 2005-09-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중 자극 응답성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02720A (en) 1997-12-30
CZ197198A3 (cs) 1998-11-11
JP2000502349A (ja) 2000-02-29
CA2240349A1 (en) 1997-07-03
KR100452001B1 (ko) 2004-12-30
EP0868177A1 (en) 1998-10-07
CN1205630A (zh) 1999-01-20
US6086911A (en) 2000-07-11
ZA9610729B (en) 1998-06-19
MX9804871A (es) 1998-10-31
NZ325659A (en) 2000-02-28
CO4810224A1 (es) 1999-06-30
ATE243031T1 (de) 2003-07-15
HUP9901991A3 (en) 2001-04-28
CN1098071C (zh) 2003-01-08
IL124629A (en) 2001-10-31
HRP960608A2 (en) 1997-10-31
JP2000503638A (ja) 2000-03-28
NO982613L (no) 1998-08-21
KR19990076589A (ko) 1999-10-15
EP0868177B1 (en) 2003-06-18
MY113685A (en) 2002-04-30
HRP960608B1 (en) 2001-12-31
CA2238400A1 (en) 1997-07-03
DE69628448T2 (de) 2004-04-08
EP0869781A1 (en) 1998-10-14
DE69628762T2 (de) 2004-04-29
HUP9901991A2 (hu) 1999-10-28
NZ325125A (en) 2000-05-26
AU714798B2 (en) 2000-01-13
CN1205631A (zh) 1999-01-20
EP0869781B1 (en) 2003-05-28
TW436298B (en) 2001-05-28
AU701782B2 (en) 1999-02-04
WO1997023205A1 (en) 1997-07-03
AR005163A1 (es) 1999-04-14
NO982764D0 (no) 1998-06-15
DE69628762D1 (de) 2003-07-24
CN1098069C (zh) 2003-01-08
WO1997023206A1 (en) 1997-07-03
AU1422097A (en) 1997-07-17
AU1295097A (en) 1997-07-17
IL124804A0 (en) 1999-01-26
NO982613D0 (no) 1998-06-05
ATE241350T1 (de) 2003-06-15
NO982764L (no) 1998-06-15
IL124629A0 (en) 1998-12-06
CZ197298A3 (cs) 1999-01-13
MX9804969A (es) 1998-09-30
IL124804A (en) 2001-12-23
DE69628448D1 (de) 200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6588A (ko) 플루르바이프로펜의 경피 전달용 기구
US6193996B1 (en) Device for the transdermal delivery of diclofenac
US7501358B2 (en) Adhesive preparation
US9656441B2 (en) Transdermal patch
JP2849950B2 (ja) 経皮吸収製剤
US20070104771A1 (en) Transdermal galantamine delivery system
WO2012124966A2 (ko) 펜타닐 경피 패치제
US20070148218A1 (en) Olanzapine containing transdermal drug delivery compositions
US6797280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moisture-perme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rug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reparation each containing the composition
JP3201645B2 (ja) 投錨性を向上させた貼付剤
KR20090110255A (ko) 약물 경피 투여 장치
JP2647222B2 (ja) 経皮吸収製剤
MXPA00009361A (en) Device for the transdermal delivery of diclofenac
JPH08291067A (ja) エペリゾン外用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