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70436A - 데이터펄스의 충격계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드라이버를갖춘 표면방전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펄스의 충격계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드라이버를갖춘 표면방전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436A
KR19980070436A KR1019980000400A KR19980000400A KR19980070436A KR 19980070436 A KR19980070436 A KR 19980070436A KR 1019980000400 A KR1019980000400 A KR 1019980000400A KR 19980000400 A KR19980000400 A KR 19980000400A KR 19980070436 A KR19980070436 A KR 19980070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ulse
electrodes
scan
puls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5982B1 (ko
Inventor
나까무라다다시
Original Assignee
가네꼬히사시
닛뽕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히사시, 닛뽕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7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9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address discharge
    • G09G3/2932Addressed by writing selected cells that are in an OFF st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8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collection of electrodes in groups for n-dimensional addr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5Reduction of instantaneous peaks of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표면방전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 (PDP) 은 주사펄스 (Pw) 및 데이터펄스 (Pd1, Pd2) 를 주사전극 (Sc1-Scj) 및 데이터전극 (Da1-Dam, Db1-Dbn) 에 인가함으로써 점화될 픽셀을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전극은 충격계수가 다른 데이터펄스가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전극 그룹 (DA, DB) 으로 분할되어, 큰 충격계수를 갖는 데이터펄스가 상기 데이터전극 그룹 중 하나에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전극 그룹에 접속된 드라이버부 (24a, 24b) 의 부하를 평준화하도록 큰 충격계수를 갖는 데이터펄스가 또다른 데이터전극 그룹에 인가된다.

Description

데이터펄스의 충격계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드라이버를 갖춘 표면방전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의 제어방법
본발명은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 (이하 PDP 라 칭함) 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방전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PDP 는 자기발광 박형구조, 즉각적인 응답, 및 플리커 (flicker) 가 없는 전체 색상 콘트라스트 (contrast) 비가 큰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와이드스크린과 같은 여러가지 매력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은 컴퓨터 및 작업자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바람직하다.
PDP 는 두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진다. 제 1 카테고리는 교류 인가 상태에서 전하를 간접적으로 방출하도록 유전물질로 덮인 전극을 갖는 교류 PDP 이다. 제 2 카테고리는 직접적인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방전공간에 노출된 전극을 갖는 직류 PDP 이다. 교류 PDP 는 다시 두개의 하위 카테고리로 더 분할되는데,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PDP 및 리프레시형 교류 PDP 가 그것이다.
교류 PDP 의 휘도는 전극에 인가되는 펄스의 반복이나 방전의 수에 비례한다. 리프레시형 교류 PDP 는 표시 면적에 반비례하여 발광을 감소시키며, 이런 이유로 작은 이미지를 만드는 장치에 적합하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PDP 에 합체된 픽셀의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픽셀은 후방 기판구조 (1) 및 전방 기판구조 (2) 를 구비하고, 칸막이벽 (3) 이 전방 기판구조 (2) 와 후방 기판구조 (1) 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헬륨 (He), 네온 (Ne), 크세논 (Xe), 또는 이 기체들의 가스 혼합물과 같은 방전가스 (4) 가 후방 기판구조 (1) 및 전방 기판구조 (2)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 이 방전가스는 방전 중에 자외선을 발생한다.
후방 기판구조 (1) 는 투명한 유리판 (1a) 을 구비하고, 이 투명한 유리판 (1a) 상에 데이터전극 (1b) 이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전극 (1b) 은 유전층 (1c) 으로 덮이고, 인광층 (1d) 이 상기 유전층 (1c) 상에 적층된다. 자외선이 인광층 (1d) 으로 방사되고, 인광층 (1d) 은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킨다. 가시광선은 화살표 (AR1) 로 표시된 대로 방사된다.
전방 기판구조 (2) 는 투명 유리판 (2a) 을 구비하고, 이 투명 유리판 (2a) 상에 주사전극 (2b) 및 유지전극 (2c) 이 형성된다. 주사전극 (2b) 및 유지전극 (2c) 은 데이터전극 (1b) 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트레이스 (trace) 전극 (2d, 2e) 이 주사전극 (2b) 및 유지전극 (2c) 상에 각각 적층되어, 주사신호 및 유지신호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전극 (2b, 2c, 2d, 2e) 은 유전층 (2f) 으로 덮이고, 이 유전층 (2f) 은 보호층 (2g) 으로 덮인다. 이 보호층 (2g) 은 마그네슘 산화물로 구성되며, 유전층 (2f) 이 방전하지 않게 한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픽셀은 다음과 같이 이미지를 생성한다. 먼저, 방전 임계치보다 큰 초기 전위가 주사전극 (2b) 및 유지전극 (2c) 사이에 인가되어, 그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난다. 양전하 및 음전하가 주사전극 (2b) 및 데이터전극 (1b) 상의 유전층 (2f, 1c) 으로 끌리게 되어, 벽전하로서 그 위에 축적된다. 벽전하는 전위 장벽을 만들고, 유효 전위를 점점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주사전극 (2b) 및 데이터전극 (1b) 사이에 초기 전위가 유지된다고 해도, 종래 기술의 픽셀은 방전을 중단하게 된다.
그 후에, 유지펄스가 주사전극 (2b) 및 유지전극 (2c) 사이에 인가되는데, 극성에 있어서, 벽전위와 동일하다. 벽전위는 유지펄스 상에 포개지게 된다. 이 때문에, 유지펄스의 진폭이 비록 작더라도, 전위는 방전 임계치를 초과하게 되고, 방전을 계속한다. 따라서, 유지펄스가 주사전극 (2b) 및 유지전극 (2c) 사이에 인가되는 동안, 유지방전이 계속된다. 이것이 메모리 기능이다.
소거펄스가 주사전극 (2b) 및 유지전극 (2c) 사이에 인가되면, 벽전위가 상쇄되고, 픽셀은 유지방전을 중단한다 소거펄스는 큰 펄스폭 및 작은 진폭 또는 좁은 폭을 갖는다.
도 2 는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PDP 에 합체된 픽셀의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픽셀 (5) 은 도 1 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픽셀과 구조에 있어서 동일하며, 표시영역을 형성한다. 픽셀 (5) 은 j 개의 로우 (row) 및 k 개의 칼럼 (column) 으로 배치되고, 작은 상자는 도 2 에서 각각의 픽셀 (5) 을 나타낸다. 주사전극 (Sc1-Scj) 및 유지전극 (Su1-Suj) 은 로우 방향으로 뻗어 있고, 주사전극 (Sc1-Scj) 은 유지전극 (Su1-Suj) 과 각각 쌍을 이룬다. 주사/유지전극의 쌍 (Sc1/Su1-Scj/Suj) 은 픽셀 (5) 의 로우와 각각 연관되어 있다. 반면에, 데이터전극은 칼럼 방향으로 뻗어 있고, 픽셀 (5) 의 칼럼과 각각 연관되어 있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교류 PDP 를 제어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는데, 이 종래의 방법은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International Symposium Digest of Technical Papers 제 116 권 807 내지 810 쪽에 나까무라 (Nakamura) 등에 의한 40 인치 대각선 전체 칼러 교류 플라즈마표시용 드라이브 에 개시되어 있다. 프라이밍 방전주기 (A), 기입주기 (B), 및 유지 방전주기 (C) 가 각각의 필드를 형성하고, 구동주기나 프레임은 필드 (1) 및 필드 (2) 를 갖는다. 유지전극 구동신호 (Wu) 가 모든 유지전극 (Su1-Suj) 에 공급되고, 주사전극 구동신호 (Ws1-Wsj) 는 주사전극 (Sc1-Scj) 에 각각 공급된다. 데이터전극 구동신호 (Wd) 는 데이터전극 (D1-Dk) 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활성 입자 및 벽전하가 프라이밍 방전주기 (A) 에 생성되어 안정한 기입방전특성을 얻는다. 프라이밍 방전펄스 (Pp) 가 모든 유지전극 (Su1-Suj) 에 인가되고 프라이밍 방전이 모든 픽셀 (5) 에서 일어나게 한다. 프라이밍 방전은 벽전하를 발생시킨다. 유지방전에 바람직하지 않은 벽전하를 소거하기 위하여, 소거펄스 (Ppe) 가 주사전극 (Sc1-Scj) 에 동시에 공급된다.
기입주기 (B) 에는, 주사펄스 (Pw) 가 주사전극 (Sc1-Scj) 에 잇달아 공급되고, 데이터펄스 (Pd) 는 주사펄스 (Pw) 와 동기인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픽셀과 연관된 데이터전극 (D1-Dk) 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이 때에, 기입방전은 가시광선을 방출할 픽셀 (5) 에서 발생하고, 벽전하가 픽셀 (5) 용으로 생성된다. 데이터펄스 (Pd) 가 모든 데이터전극 (D1-Dk) 에 동시에 인가되고, 주사펄스 (Pw) 및 데이터펄스 (Pd) 양자가 주사전극 (Sc1-Scj) 및 데이터전극 (D1-Dk) 사이에서 발생되는 매 타이밍마다 광전자방출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유지방전주기 (C) 에서는, 유지펄스 (Pc) 가 유지전극 (Su1-Suj) 에 공급되고, 또다른 유지펄스 (Ps) 가 주사전극 (Sci-Scj) 에 공급된다. 유지펄스 (Ps) 는 유지펄스 (Pc) 와 위상에 있어서 180° 다르다. 유지펄스 (Ps, Pc) 는 기입주기 (B) 에서 선택된 픽셀 (5) 의 휘도를 유지한다.
상기한 대로, PDP 는 넓은 표시영역에 적합하다. PDP 는 픽셀에서 가스방전을 통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스방전을 위한 많은 양의 광전자방출전류를 필요로 한다. 만일, 구동회로의 큰 출력 임피던스 및 전극 (Sc1-Scj, D1-Dk) 의 큰 저항으로 인하여 전위차가 작아진다면, 펄스에 대한 전위 범위가 타이트 (tight) 하게 되고 조도가 감소한다. 특히, 기입주기 (B) 에서 표시영역 (6) 으로부터 많은 수의 픽셀 (5) 이 선택된다면, 픽셀 (5) 은 가스방전을 위한 많은 양의 전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드라이버의 출력 임피던스 및 주사전극 (Sc1-Scj) 의 저항은 전류량에 크게 영향을 주고, 펄스 높이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드라이버가 데이터펄스 (Pd) 의 높이를 높이게 되거나, 설계자가 주사전극 (Sc1-Scj) 을 위한 드라이버의 출력 임피던스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넓은 표시영역 (6) 을 위하여 픽셀 (5) 이 증가하면, 데이터전극은 확장되고, 각각의 전극에 결합된 기생커패시턴스가 증가한다. 더욱이, 펄스는 고주파에서 구동된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어야 하는 부하가 커지고, 따라서 많은 양의 전력이 소모된다. 간단히 말해서, PDP 는 넓은 표시영역 (6) 용의 강한 드라이버를 필요로 하고, 강한 드라이버는 생산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출력 임피던스의 감소로 인하여 드라이버의 값이 비싸지고, 비싼 드라이버는 생산비용을 증가시킨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드라이버가 데이터전극 (D1-Dk) 을 위하여 종래의 PDP 에 합체되어, 모든 데이터전극 (D1-Dk) 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버의 부하는 해상도 및 표시영역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도 4 는 기입방전에 필요한 데이터펄스 (Pd) 의 최소 전위 및 매 주사전극 당 이미지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점화되어야 할 픽셀이 50% 이하라면, 최소 전위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그러나, 점화될 픽셀이 50% 를 초과한다면, 최소 전위는 플롯 (PL1) 으로 표시된 것처럼 증가한다. 드라이버는 데이터전극 (D1-Dk) 의 전위 레벨을 100% 에서의 최소 전위 이상으로 끌어올린다. 만일, 데이터전극 (D1-Dk) 이 최소 전위 레벨보다 낮다면, 일부 픽셀이 잘못 점화되어, 이 잘못 점화된 픽셀은 표시영역 (6) 상에 생성되는 이미지를 저하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드라이버는 데이터전극 (D1-Dk) 을 안정하게 구동시키도록 되어있으므로, 강한 드라이버는 가격이 비싸다.
도 5 는 일본특개평 8-305319 에 개시된 종래의 표면방전 교류 PDP 를 도시한다. 작은 원들은 각각 픽셀 (7) 을 나타낸다. 픽셀 (7) 은 로우 및 칼럼으로 배열되어 표시영역 (8) 을 구성한다. 픽셀 (7) 의 로우는 각각 주사전극 (Sc1-Scj) 및 유지전극 (Su1-Suj) 에 연관되어 있고, 픽셀 (7) 의 칼럼은 데이터전극 (D1-Dg, Dg+1-D2g) 에 연관되어 있다. 데이터전극 (D1-Dg, Dg+1-D2g) 은 두개의 데이터 그룹 (G1, G2) 으로 분할된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교류 PDP 를 제어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도시한다. Iw1 내지 Iwj 는 각각 주사전극 (Sc1-Scj) 을 통하여 흐르는 방전전류를 나타낸다. 기입주기에서, 데이터펄스 (Pda) 가 데이터전극 (D1-Dg) 에 인가되고, 데이터펄스 (Pdb) 가 데이터전극 (Dg+1-D2g) 에 인가된다. 시간지연이 데이터펄스 (Pda) 및 데이터펄스 (Pdb) 사이에 개입되며, 그 값은 종래의 교류 PDP 에서 400㎱ 이다. 이러한 이유로, 방전전류 (Iw1-Iwj) 는 두개의 정점을 가지며, 이 정점 전류는 도 2 에 도시된 종래의 교류 PDP 의 정점 전류보다 작다.
도 6 에 도시된 종래의 방법은 제조업자가 정점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고, 드라이버의 출력 임피던스 및 전극의 저항으로 인하여 전위를 강하시킨다. 더욱이, 데이터펄스 (Pda) 는 펄스 폭에 있어서 주사펄스 (Pw) 와 동일하다. 만일, 드라이버가 계속해서 데이터펄스 (Pda) 를 서로 인접한 데이터전극에 공급한다면, 드라이버는 주사펄스 (Pw) 를 0 까지 회복하지 못한다. 드라이버는 데이터펄스 (Pda) 를 일정 레벨까지 하강시키고, 데이터펄스 (Pda) 를 상기 일정 레벨로부터 상승시킨다. 이 때문에, 전력 소비는 데이터펄스 (Pda) 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다.
반면에, 데이터펄스 (Pdb) 는 데이터전극 (Dg+1-D2g) 에 주기적으로 공급된다. 드라이버는 데이터펄스 (Pdb) 들 사이에서 데이터펄스 (Pdb) 를 0 까지 회복하게 되어 있고, 데이터펄스 (Pdb) 를 완전히 바꾸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양의 전력 소비가 생긴다.
따라서, 데이터펄스 (Pdb) 용 드라이버는 데이터펄스 (Pda) 용 드라이버보다 큰 부하를 구동시키게 되어 있고, 이 데이터펄스 (Pdb) 용 드라이버는 데이터펄스 (Pdb) 용 다른 드라이버보다 더 가열되기 쉽다.
그러므로, 본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정점 전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데이터전극용 드라이버로부터 불균형을 제거하는 교류 PDP 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데이터펄스의 순서를 바꿀 것을 제안한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주사전극, 복수의 전극쌍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주사전극과 각각 쌍을 이루는 복수의 유지전극, 복수의 데이터전극 그룹으로 분할되는 복수의 데이터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쌍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전극과 선택적으로 연관되고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점화되는 복수의 픽셀을 갖는 PDP 의 제어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a) 상기 복수의 픽셀에 기입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소정 필드의 제 1 시기에서 서로 지연되고 충격계수가 다른 복수의 데이터펄스 및 주사펄스를 상기 복수의 데이터전극 그룹의 복수의 데이터전극으로는 선택적으로, 및 상기 주사전극으로는 연속하여 각각 공급하는 단계, b) 제 1 소정의 픽셀이 점화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 필드의 제 2 시기에서 제 1 유지펄스 및 상기 제 1 유지펄스와 위상이 다른 제 2 유지펄스를 상기 복수의 주사전극 및 상기 복수의 유지전극으로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픽셀에 기입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또다른 필드의 제 1 시기에 주사펄스 및 a) 단계의 상기 데이터펄스로부터 충격계수가 변화된 복수의 데이터펄스를 주사전극으로는 연속하여,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전극 그룹의 복수의 데이터전극으로는 선택적으로 각각 공급하는 단계, 및 d) 제 2 소정의 픽셀이 점화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또다른 필드의 제 2 시기에 상기 제 1 유지펄스 및 상기 제 2 유지펄스를 상기 복수의 주사전극 및 상기 복수의 유지전극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픽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의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에 합체된 전극 및 픽셀의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 은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방법을 도시하는 타이밍챠트.
도 4 는 각각의 주사라인을 따라 점화되는 픽셀 당 데이터펄스의 최소전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5 는 종래 기술의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에 합체된 전극 및 픽셀의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 은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도시하는 타이밍챠트.
도 7 은 본발명에 따른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8 은 본발명에 따른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타이밍챠트.
도 9 는 픽셀을 선택적으로 점화하기 위한 제어순서를 도시하는 타이밍챠트.
도 10 은 본발명에 따른 또다른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1 은 본발명에 따른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플라즈마표시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타이밍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u1-Suj : 유지전극 Sc1-Scj : 주사전극
Pd1, Pd2 : 데이터펄스 Pw : 주사펄스
Pe : 소거펄스 Td : 지연 시간
제 1 실시예
도 7 은 본발명을 구체화하는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PDP 를 도시한다. 이 PDP 는 화상을 생성하는 표시영역 (21), 주사전극 (Sc1-Scj), 유지전극 (Su1-Suj), 및 데이터전극 (Da1-Dam, Db1-Dbn) 을 구비한다. 표시영역 (21) 은 픽셀 (Ca11/Ca12, Cb11/Cb12) 의 어레이에 의해 실행된다. 픽셀의 로우 (Ca11-Cam1-Cb11-Cbn1/Ca12-Cam2-Cb12-Cbn2/Ca13-Cam3-Cb13-Cbn3/.../Ca1j-Camj-Cb1j-Cbnj) 는 각각 주사전극 (Sc1-Scj) 에 연관되어 있고, 또한 각각 유지전극 (Su1-Suj) 에 연관되어 있다. 반면에, 픽셀의 칼럼 (Ca11-Ca1j/ .../Cam1-Camj, Cb11-Cb1j/Cbn1-Cbnj) 은 데이터전극 (Da1-Dam, Db1-Dbn) 에 각각 연관되어 있다. 각 픽셀 (Ca11-Cbnj) 의 구조는 픽셀 (1) 과 유사하므로, 간단히 하기 위해 이하에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PDP 는 주사전극 (Sc1-Scj) 을 연속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22), 유지전극 (Su1-Suj) 을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23), 및 데이터전극 (Da1-Dam, Db1-Dbn) 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24) 를 더 구비한다. 드라이버 (24) 는 두개의 드라이버부 (24a, 24b) 를 구비하고, 데이터전극 (Da1-Dam) 및 데이터전극 (Db1-Dbn) 은 드라이버부 (24a, 24b) 에 각각 접속된다. 따라서, 데이터전극 (Da1-Dam) 및 데이터전극 (Db1-Dbn) 은 두개의 데이터전극 그룹 (DA, DB) 으로 분할된다.
도 8 은 본발명에 따른 PDP 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드라이버 (22, 23, 24) 는 표시영역 (21) 상에 화상을 생성시키며, 필드 (1) 및 필드 (2) 는 각각의 구동 순환주기나 한 프레임을 구성한다. 각각의 필드는 프라이밍 방전주기 (A), 기입주기 (B), 및 유지방전주기 (C) 로 분할된다.
드라이버 (22, 23) 는 프라이밍 방전주기 (A) 에서 프라이밍 방전펄스 (Pp) 및 소거펄스 (Pe) 를 유지전극 (Su1-Suj) 및 주사전극 (Sc1-Scj) 로 공급한다. 프라이밍 방전펄스 (Pp) 는 픽셀 (Ca11-Cbnj) 에서 프라이밍 방전을 일으켜서 벽전하를 축적하고, 소거펄스 (Pe) 는 기입방전에 바람직하지 않은 벽전하를 소거한다.
이어서, 드라이버 (22) 는 주사펄스 (Pw) 를 주사전극 (Sc1-Scj) 에 공급하고, 드라이버부 (24a, 24b) 는 데이터펄스 (Pd1, Pd2) 를 데이터전극 (Da1-Dam) 및 데이터전극 (Db1-Dbn) 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기입방전을 통하여 선택된 픽셀에 벽전위를 생성시킨다. 시간 지연 (Td) 이 데이터펄스 (Pd1) 및 데이터펄스 (Pd2) 사이에 개입된다. 필드 (1) 에서, 드라이버부 (24a) 는 우선 데이터펄스 (Pd1) 를 상승시키고, 그 후에 드라이버부 (24b) 가 데이터펄스 (Pd2) 를 상승시킨다. 그러나, PDP 가 필드 (2) 로 진행하면, 드라이버부 (24b) 가 우선 데이터펄스 (Pd2) 를 상승시키고, 그 후에 드라이버부 (24a) 가 데이터펄스 (Pd1) 를 상승시킨다.
PDP 는 유지방전주기 (C) 로 진행한다. 드라이버 (23) 는 유지펄스 (Pc) 를 유지전극 (Su1-Suj) 에 공급하고, 드라이버 (22) 는 유지펄스 (Ps) 를 주사전극 (Sc1-Scj) 에 공급한다. 유지펄스 (Ps) 는 유지펄스 (Pc) 와 180° 차이가 나고, 유지펄스 (Pc, Ps) 는 선택된 픽셀에서 방전을 유지한다. 따라서, 픽셀 (Ca11-Cbnj) 이 선택적으로 점화되어 표시영역 (21) 상에 화상을 만든다.
도 7 에서 검은 상자로 나타난 픽셀을 점화하기 위해서, 드라이버 (22, 23, 24) 는 도 9 에 도시된 유지전극 (Su1-Suj), 주사전극 (Sc1-Scj), 및 데이터전극 (Da1-Dam, Db1-Dbn) 을 제어한다. 이하의 기재는 픽셀 (Ca11, Ca12, Cb11, Cb12) 에서의 광전자방출전류에 촛점이 맞추어진다.
광전자방출전류가 필드 (1) 의 프라이밍 방전주기 (A) 에서 픽셀 (Ca11, Ca12, Cb11, Cb12) 에 흐른다. 주사전극 (Sc1) 상의 주사펄스 (Pw) 가 주사전극 (Sc1) 상에 활성 저 레벨로 머무르는 동안, 데이터전극 (Da1) 상의 데이터펄스 (Pd1) 가 시간 (a) 에서 상승하여 기입방전이 픽셀 (Ca11) 에서 발생하고, 데이터전극 (Db1) 상의 데이터펄스 (Pd2) 는 시간 (b) 에서 상승하여 기입방전이 픽셀 (Cb11) 에서 발생한다. 시간 (b) 는 시간 (a) 로부터 Td 만큼 지연된다.
주사전극 (Sc1) 상의 주사펄스 (Pw) 는 접지레벨로 회복되고, 다음 주사전극 (Sc2) 상의 주사펄스 (Pw) 는 접지레벨로부터 하강한다. 드라이버부 (24a) 는 계속하여 데이터펄스 (Pd1) 를 데이터라인 (Da1) 에 공급하고, 시간 (a') 에서 픽셀 (Ca12) 에 기입방전이 발생한다. 데이터펄스 (Pd2) 는 접지레벨로 회복되고 시간 (b') 에서 다시 상승하여 픽셀 (Cb12) 을 점화한다. 이런 식으로, 선택된 픽셀이 필드 (1) 의 기입방전주기 (B) 에서 연속적으로 점화된다. 유지펄스 (Pc, Ps) 로 인하여 선택된 픽셀은 필드 (1) 의 유지방전주기 (C) 에서 계속하여 점화된다.
데이터펄스 (Pd1) 및 데이터펄스 (Pd2) 사이에서 충격계수가 교환된다. 필드 (2) 의 프라이밍 방전주기 (A) 에서 광전자방출전류가 또한 픽셀 (Ca11, Ca12, Cb11, Cb12) 에 흐른다. 주사전극 (Sc1) 상의 주사펄스 (Pw) 가 주사전극 (Sc1) 상에 활성 저 레벨로 머무르는 동안에, 데이터전극 (Db1) 상의 데이터펄스 (Pd2) 는 시간 (c) 에서 상승하여 기입방전이 픽셀 (Cb11) 에서 발생하고, 데이터전극 (Da1) 상의 데이터펄스 (Pd1) 는 시간 (d) 에서 상승하여 픽셀 (Ca11) 에서 기입방전이 발생한다. 시간 (d) 은 시간 (c) 로부터 Td 만큼 지연된다.
주사전극 (Sc1) 상의 주사펄스 (Pw) 는 접지레벨로 회복되고, 다음 주사전극 (Sc2) 상의 주사펄스 (Pw) 는 접지레벨로부터 하강한다. 드라이버부 (24b) 는 데이터펄스 (Pd1) 를 데이터라인 (Db1) 에 계속하여 공급하고, 시간 (c') 에서 기입방전이 픽셀 (Cb12) 에서 발생한다. 데이터펄스 (Pd1) 는 접지레벨로 회복되고, 시간 (d) 에서 다시 상승하여 픽셀 (Ca12) 을 점화한다. 이런 식으로, 선택된 픽셀이 필드 (2) 의 기입방전주기 (B) 에서 연속하여 점화된다. 유지펄스 (Pc, Ps) 로 인하여 선택된 픽셀은 필드 (2) 의 유지방전주기 (C) 에서 계속하여 점화된다.
앞의 기재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펄스 (Pd1) 및 데이터펄스 (Pd2) 사이에 시간 지연이 개입되고, 광전자방출전류의 정점치는 종래의 PDP 의 광전자방출전류의 정점치보다는 다소 감소된다. 더욱이, 충격계수가 데이터펄스 (Pd1) 및 데이터펄스 (Pd2) 사이에서 교환되어 드라이버부 (24a) 및 드라이버부 (24b) 사이에 부하를 평준화한다.
제 2 실시예
도 10 은 본발명을 구체화하는 또다른 펄스메모리구동형 교류 PDP 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제어기 (31) 가 PDP 에 합체된다. 다른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며, 상세한 설명 없이 제 1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제어기 (31) 는 두개의 펄스발생기 (32, 33) 를 구비한다. 펄스발생기 (32) 는 제 1 펄스신호 (PLS1) 및 제 2 펄스신호 (PLS2) 를 발생시키는데, 제 1 펄스신호 (PLS1) 및 제 2 펄스신호 (PLS2) 는 서로 충격계수가 다르다. 제 1 펄스신호 (PLS1) 는 주사주기와 동일한 펄스폭을 가지며, 제 2 펄스신호 (PLS2) 는 제 1 펄스신호 (PLS1) 로부터 지연된다. 데이터펄스 (Pd11, Pd12) 는, 이하에서 기재되는 것처럼, 제 1 펄스신호 (PLS1) 및 제 2 펄스신호 (PLS2) 로부터 만들어진다.
제어기 (31) 는 카운터 (34) 및 비교기 (35) 를 더 구비한다. 데이터클럭신호 (CLK) 및 이미지데이터신호 (IMG) 가 카운터 (34) 에 공급되고, 각각의 주사전극 (Sc1-Scj) 에 대하여 점화될 픽셀의 수를 결정한다. 카운터 (34) 는 점화될 픽셀의 수를 나타내는 제어데이터신호 (CTL1) 를 발생시키고, 이 제어데이터신호 (CTL1) 를 비교기 (35) 에 공급한다. 기준신호 (RF) 는 낮은 기입방전레벨 하에서 점화되는 픽셀의 최대수를 나타내며, 비교기 (35) 에 공급된다. 비교기 (35) 는 점화될 픽셀의 수가 최대수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점화될 픽셀의 수와 최대수를 비교한다. 비교기 (35) 는 비교결과를 나타내는 제어데이터신호 (CTL2) 를 발생시킨다.
제어기 (34) 는 필드판별기 (36) 및 선택기 (37, 38) 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펄스 (Pd11) 는 모든 필드 (1) 에서 펄스폭이 주사주기만큼 넓으며, 모든 필드 (2) 에서 데이터펄스 (Pd12) 로부터 지연된다. 반면에, 데이터펄스 (Pd12) 는 필드 (1) 에서 데이터펄스 (Pd11) 로부터 지연되며, 모든 필드 (2) 에서 펄스폭이 주사주기만큼 넓다. 필드판별기 (36) 는 현재 필드가 필드 (1) 인지 필드 (2) 인지를 판정하고, 현재 필드를 나타내는 제어데이터신호 (CTL3) 를 발생한다. 선택기 (37, 38) 는 드라이버부 (24a, 24b) 에 각각 접속되고, 제어데이터신호 (CTL2, CTL3) 에 응답하여 제 1 펄스신호 (PLS1) 및 제 2 펄스신호 (PLS2)를 드라이버부 (24a, 24b)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이미지데이터신호 (IMG), 데이터클럭신호 (CLK), 및 제 1 및 제 2 펄스신호 (PLS1, PLS2) 가 드라이버부 (24a, 24b) 에 공급되고, 드라이버부 (24a, 24b) 는 데이터펄스 (Pd11, Pd12) 를 발생시켜서 데이터펄스 (Pd11, Pd12) 를 연관된 데이터전극 (Da1-Dam, Db1-Dbn) 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점화될 픽셀의 수가 최대수보다 크다면, 선택기 (37, 38) 는 각각 제 1 펄스신호 (PLS1) 및 제 2 펄스신호 (PLS2) 를 필드 (1) 에서 드라이버부 (24a, 24b) 에 공급하고, 제 2 펄스신호 (PLS2) 및 제 1 펄스신호를 필드 (2) 에서 드라이버부 (24a, 24b) 에 각각 공급한다. 그러나, 점화될 픽셀의 수가 최대수 이하일 경우에는, 선택기 (37, 38) 가 모든 필드에서 제 1 펄스신호 (PLS1) 및 제 2 펄스신호 (PLS2) 를 드라이버부 (24a, 24b) 에 공급한다.
도 11 은 본발명에 따른 PDP 를 제어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프라이밍 방전주기 (A) 및 유지방전주기 (C) 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하의 기재는 기입방전주기 (B) 에 초점을 맞춘다. 도 7 에서 검은 상자로 표시된 픽셀이 점화된다고 가정된다. 주사전극 (Sc1) 상에서 점화될 픽셀의 수는 최대수보다 크며, 주사전극 (Sc2) 상에서 점화될 픽셀의 수는 최대수보다 작다.
주사전극 (Sc1) 상의 주사펄스 (Pw) 는 시간 (a) 에서 하강하고, 데이터라인 (Da1) 상의 데이터펄스 (Pd11) 는 동일한 타이밍에서 상승한다. 이 때에, 기입방전이 픽셀 (Ca11) 에서 일어난다. 데이터전극 (Db1) 상의 데이터펄스 (Pd12) 는 시간 (b) 에서 상승하고, 픽셀 (Cb11) 이 점화된다. 데이터펄스 (Pd11) 및 데이터펄스 (Pd12) 사이에 시간 지연 (Td) 이 개입된다.
제 1 펄스신호 (PLS1) 가 양 드라이버부 (24a, 24b) 에 인가되어, 이 드라이버부 (24a, 24b) 는 데이터펄스 (Pd11, Pd12) 를 주사펄스 (Pw) 만큼 넓게 접지레벨까지 하강함이 없이 데이터라인 (Da2, Db2) 에 인가한다. 주사전극 (Sc2) 상의 주사펄스 (Pw) 는 시간 (e) 에서 하강하며 픽셀 (Ca12, Cb12) 이 동시에 점화된다.
PDP는 필드 (2) 로 계속 진행한다. 주사전극 (Sc1) 상의 주사펄스 (Pw) 는 시간 (c) 에서 하강하며, 데이터라인 (Db1) 상의 데이터펄스 (Pd12) 는 동일한 타이밍에서 상승한다. 그후, 기입방전이 픽셀 (Cb11) 에서 발생한다. 데이터전극 (Da1) 상의 데이터펄스 (Pd11) 는 시간 (d) 에서 상승하며, 픽셀 (Ca11) 이 점화된다. 또한, 데이터펄스 (Pd11) 및 데이터펄스 (Pd12) 의 사이에 시간지연 (Td) 이 개입된다. 그러나, 데이터펄스 (Pd12) 는 데이터펄스 (Pd11) 보다 좀더 일찍 상승한다.
제 1 펄스신호 (PLS1) 가 양 드라이버부 (24a, 24b) 에 인가되며, 드라이버부 (24a, 24b) 는 데이터펄스 (Pd11, Pd12) 를, 접지레벨까지 하강됨이 없이, 주사펄스 (Pw) 만큼 넓게 데이터라인 (Da2, Db2) 에 인가한다. 주사전극 (Sc2) 상의 주사펄스 (Pw) 는 시간 (f) 에서 하강하며, 픽셀 (Ca12, Cb12) 이 필드 (1) 에서와 같이 동시에 점화되어진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점화될 픽셀들이 최대수보다 많으므로, 드라이버부 (24a, 24b) 에 제 1 펄스신호 (PLS1) 와 제 2 펄스신호 (PLS2) 가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그러나, 드라이버부 (24a, 24b) 사이에서 제 1 펄스신호 및 제 2 펄스신호 (PLS1, PLS2) 가 교환되어, 드라이버부 (24a, 24b) 사이에서 부하가 평준화된다.
더욱이, 주사전극 (Sc2) 상의 점화될 픽셀이 최대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데이터펄스 (Pd11, Pd12) 가 주사펄스와 폭이 같으며, 주사전극 (Sc1, Sc2) 간의 접지레벨까지 하강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력 소모가 저감되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여러가지 변화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해분야의 전문가는 명백히 알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데이터라인 또는 프레임은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때, 2 개 이상의 데이터펄스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서 그 2 개 이상의 그룹에 인가되며, 그 2 개 이상의 데이터펄스들간에 충격계수가 교환된다.
각각의 필드는 휘도를 Y×2z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하위 필드들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Y 는 상수이고, z 는 0 이상으로서 하위 필드들간 서로 다르다. 데이터펄스는 그 하위 필드들간에 서로 교환될 수도 있다.
홀수 전극 및 짝수 전극은 데이터전극 그룹 (DA, DB)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발명에 따르면, 데이터펄스의 순서를 바꿈으로써 정점 전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데이터전극용 드라이버로부터 불균형을 제거하는 교류 PDP 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6)

  1. 복수의 주사전극 (Sc1-Scj), 복수의 전극쌍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주사전극과 각각 쌍을 이루는 복수의 유지전극 (Su1-Suj), 복수의 데이터전극 그룹 (DA, DB) 으로 분할된 복수의 데이터전극 (Da1-Dam, Db1-Dbn), 및 상기 복수의 전극쌍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전극과 선택적으로 연관되고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점화되는 복수의 픽셀 (Ca11-Cbnj) 을 갖는 PDP 의 제어방법으로서,
    a) 상기 복수의 픽셀에 기입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소정 필드의 제 1 시기 (B) 에서 서로 지연되고 충격계수가 다른 복수의 데이터펄스 (Pd1/Pd2, Pd11/Pd12) 및 주사펄스 (Pw) 를 상기 복수의 데이터전극 그룹의 복수의 데이터전극으로는 선택적으로 그리고 상기 주사전극으로는 연속적으로 각각 공급하는 단계;
    b) 제 1 소정의 픽셀이 점화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 필드의 제 2 시기 (C) 에서 제 1 유지펄스 (Ps) 및 상기 제 1 유지펄스와 위상이 다른 제 2 유지펄스 (Pc) 를 상기 복수의 주사전극 및 상기 복수의 유지전극으로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픽셀에 상기 기입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또다른 필드의 상기 제 1 시기 (B) 에서 상기 주사펄스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를 상기 주사전극으로는 연속적으로 그리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전극 그룹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전극으로는 선택적으로 각각 공급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 2 소정의 픽셀이 점화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또다른 필드의 제 2 시기 (C) 에서 상기 제 1 유지펄스 및 상기 제 2 유지펄스를 상기 복수의 주사전극 및 상기 복수의 유지전극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는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로부터 충격계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 (Pd1, Pd11) 중 하나 및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 (Pd2, Pd12) 중 또다른 하나는 상기 주사펄스와 펄스폭이 동일하고,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 (Pd2, Pd12) 중 상기 또다른 하나 및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 (Pd1, Pd11) 중 상기 하나는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중 상기 하나 및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중 상기 또다른 하나보다 펄스폭이 작고 그로부터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전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 사이에 벽전위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프라이밍 방전펄스 (Pw) 및 소거펄스 (Pe) 를 상기 복수의 주사전극 및 상기 복수의 유지전극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 (Pd1, Pd11) 중 하나 및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 (Pd2, Pd12) 중 또다른 하나는 상기 주사펄스와 펄스폭이 동일하고,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 (Pd2, Pd12) 중 상기 또다른 하나 및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 (Pd1, Pd11) 중 상기 하나는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중 상기 하나 및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중 상기 또다른 하나보다 펄스폭이 작고 그로부터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a) 단계전에 소정의 수 이상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각 주사전극 상에 점화될 픽셀 (Ca11/Ca21/Cam-11/Cam1/Cb11/Cb21/Cbn-11/Cbn1, Ca12/Cb12) 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수는 데이터 펄스의 낮은 전위레벨 하에서 점화된 픽셀의 최대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점화될 상기 픽셀의 수가 상기 소정의 수 이하일 때, 상기 복수의 데이터전극에는 상기 a) 및 c) 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펄스 대신에 상기 주사펄스(Pw) 와 폭이 동일한 데이터 펄스 (Pd11, Pd12) 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 제어방법.
KR1019980000400A 1997-01-10 1998-01-09 데이터펄스의충격계수를주기적으로변화시키는드라이버를갖춘표면방전교류플라즈마표시패널의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75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03108 1997-01-10
JP9003108A JP2950270B2 (ja) 1997-01-10 1997-01-10 交流放電メモリ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436A true KR19980070436A (ko) 1998-10-26
KR100275982B1 KR100275982B1 (ko) 2000-12-15

Family

ID=1154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4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5982B1 (ko) 1997-01-10 1998-01-09 데이터펄스의충격계수를주기적으로변화시키는드라이버를갖춘표면방전교류플라즈마표시패널의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90630A (ko)
EP (1) EP0853306B1 (ko)
JP (1) JP2950270B2 (ko)
KR (1) KR100275982B1 (ko)
DE (1) DE69834061T2 (ko)
TW (1) TW3686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0592B2 (ja) * 1997-04-24 2005-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
US6340866B1 (en) * 1998-02-05 2002-01-22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843139B2 (ja) * 1998-06-30 2011-12-21 株式会社大宇エレクトロニクス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システムのアドレス電極駆動回路
US6271810B1 (en) * 1998-07-29 2001-08-07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using radio frequenc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 same
JP3606429B2 (ja) * 1999-02-19 2005-01-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523142B2 (ja) * 1999-03-16 2004-04-26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高周波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US6320326B1 (en) * 1999-04-08 2001-1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C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364696B1 (ko) * 1999-10-28 200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와 그 구동방법
JP3570496B2 (ja) * 1999-12-22 2004-09-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1272948A (ja) 2000-03-23 2001-10-05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1093236A2 (en) * 2000-05-30 2001-1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panel having sustain electrodes and sustain circuit
US6624588B2 (en) * 2001-06-22 2003-09-23 Pioneer Corporatio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20030097342A (ko) * 2002-06-20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471980B1 (ko) * 2002-06-28 2005-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격벽이 내장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 격벽의제조 방법
US9153168B2 (en) * 2002-07-09 2015-10-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deciding duty factor in driving light-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duty factor
JP4204553B2 (ja) * 2002-11-29 2009-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FR2857144A1 (fr) * 2003-07-03 2005-01-07 Thomson Plasma Procede de pilotage d'un panneau a plasma a declenchement matriciel echelonne
JP2005338421A (ja) * 2004-05-27 2005-12-08 Renesas Technology Corp 液晶表示駆動装置および液晶表示システム
KR100542239B1 (ko) 2004-08-03 2006-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820632B1 (ko) 2004-08-27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KR100774908B1 (ko) 2004-11-16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774875B1 (ko) * 2004-11-16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774909B1 (ko) * 2004-11-16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TWI319558B (en) 2004-11-19 2010-01-11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6154828A (ja) * 2004-12-01 2006-06-15 Lg Electronics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701947B1 (ko) * 2005-01-13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251624A (ja) 2005-03-14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977960B2 (ja) * 2005-04-11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29249B1 (ko) * 2005-09-26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29019B1 (ko) * 2005-11-07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793101B1 (ko) * 2006-01-04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08675A (ko) * 2006-05-08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93576B1 (ko) 2007-03-08 2008-0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20090078532A (ko) * 2008-01-15 2009-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6298A (en) * 1975-05-20 1977-02-01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Bistable matrix television display system
JP2642956B2 (ja) * 1988-07-20 1997-08-20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方法及びその回路
JP2687684B2 (ja) * 1990-06-08 1997-12-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088494B2 (ja) * 1991-07-26 2000-09-18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4039A (ja) * 1992-06-19 1994-01-14 Fujitsu Ltd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回路
JP3276406B2 (ja) * 1992-07-24 2002-04-22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
JPH0764508A (ja) * 1993-08-30 1995-03-10 Fujitsu General Ltd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684499A (en) * 1993-11-29 1997-11-04 Nec Corporatio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having improved operational margin
JPH07248744A (ja) * 1994-03-11 1995-09-26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
JPH07319424A (ja) * 1994-05-26 1995-12-08 Matsushita Electron Corp ガス放電型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885127B2 (ja) * 1995-04-10 1999-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回路
JP2953342B2 (ja) * 1995-04-28 1999-09-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364066B2 (ja) * 1995-10-02 2003-01-08 富士通株式会社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50270B2 (ja) 1999-09-20
EP0853306B1 (en) 2006-04-05
JPH10198304A (ja) 1998-07-31
DE69834061D1 (de) 2006-05-18
DE69834061T2 (de) 2007-03-08
TW368644B (en) 1999-09-01
EP0853306A1 (en) 1998-07-15
KR100275982B1 (ko) 2000-12-15
US5990630A (en) 199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982B1 (ko) 데이터펄스의충격계수를주기적으로변화시키는드라이버를갖춘표면방전교류플라즈마표시패널의제어방법
USRE44003E1 (en) Method for driving a gas-discharge panel
US6295040B1 (en) AC-type plasma display panel and its driving method
US6252568B1 (en) Drive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US7639213B2 (en) Driving circuit of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US6181305B1 (en) Method for driving an AC type surface discharge plasma display panel
JP200122882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158875B2 (ja) Ac型pdp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US7391389B1 (en) Plasma display panel device
KR200300411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3532317B2 (ja) Ac型pdpの駆動方法
US7382337B2 (en)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US20020089472A1 (en)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and circuit thereof
JP4093295B2 (ja) Pdpの駆動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20050017652A1 (en)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10098372A (ko) Ac형 pdp의 구동방법
KR1003385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방법
US7626563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which has an improved data puls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3489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JP200409388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3735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회로 제어장치 및방법
KR20000051586A (ko) 엘지에스이방식 피디피 및 그 구동방법
KR20000051585A (ko) 엘지에스이 방식 피디피 및 그 구동방법
JP200501042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20010073286A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