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2361U -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12361U KR19980012361U KR2019960025906U KR19960025906U KR19980012361U KR 19980012361 U KR19980012361 U KR 19980012361U KR 2019960025906 U KR2019960025906 U KR 2019960025906U KR 19960025906 U KR19960025906 U KR 19960025906U KR 19980012361 U KR19980012361 U KR 1998001236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per bracket
- dash
- mounting structure
- wiper
- bracket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대쉬부에 분리되어 취부되었던 와이퍼브라켓트의 구조를 대쉬판넬에 용접부위를 이루는 플랜지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서 안정된 취부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의 대쉬맴버(21)와 하부의 대쉬판넬(22)로 이루어지는 대쉬부(20)의 저면에 단부에 플랜지(33)가 형성된 하나의 일체화된 와이퍼브라켓트(30)를 용접하여 취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대쉬부에 분리되어 취부되었던 와이퍼브라켓트의 구조를 대쉬판넬에 용접부위를 이루는 플랜지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서 안정된 취부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브라켓트는 자동차의 전면유리를 딱는 와이퍼가 고정되는 부품으로 대쉬판넬에 고정되어 와이퍼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와이퍼브라켓트의 종래 취부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부의 대쉬맴버(21)와 하부의 대쉬판넬(22)로 이루어지는 대쉬부(20)의 저면에 제 1 와이퍼브라켓트(31)를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 1 와이퍼브라켓트(31)에 제 2 와이퍼브라켓트(32)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 졌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와이퍼브라켓트(30)의 취부구조는 와이퍼브라켓트(30)가 제 1 와이퍼브라켓트(31)와 제 2 와이퍼브라켓트(32)로 분리된 상태에서 용접하는 취부된 상태를 이루므로 구조적 취약성을 내포하게 되고 또한 조립시에도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쉬판넬에 분리되어 취부되었던 와이퍼브라켓트의 구조를 대쉬판넬에 용접부위를 이루는 플랜지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서 안정된 취부강도를 유지할 수 잇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는 종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퍼브라켓트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쉬맴버20 : 대쉬부
21 : 대쉬맴버22 : 대쉬판넬
30 : 와이퍼브라켓트31 : 제 1 와이퍼브라켓트
32 : 제 2 와이퍼브라켓트33 : 플랜지
34 : 절곡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의 대쉬업맴버와 하부의 대쉬판넬로 이루어지는 대쉬부의 저면에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하나의 일체화된 와이퍼브라켓트를 용접하여 취부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퍼브라켓트를 나타낸 결합단면도로서, 상부의 대쉬맴버(21)와 하부의 대쉬판넬(22)이 폐단면을 이루면서 대쉬부(20)가 형성되고 이러한 대쉬부(20)의 저면에 와이퍼브라켓트(30)가 용접되어 설치된다.
상기 와이퍼브라켓트(30)의 단면구조는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일측이 절곡되어 와이퍼(도시않됨)가 고정되는 절곡부(34)를 이루고 또다른 일측에는 플랜지(33)가 절곡되어 대쉬부(30)의 저면에 위치하여 용접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나의 일체화된 와이퍼브라켓트(30)가 대쉬부(20)에 용접됨로서 안정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제작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자동차의 전체 조립라인상에서 하나의 부품이라도 단순화할 수 있다면 전체 생산량에서 많은 작업상의 차이가 발생한다고 본다면 본 고안의 효과는 더욱 증대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대쉬부에 분리되어 취부되었던 와이퍼브라켓트의 구조를 대쉬판넬에 용접부위를 이루는 플랜지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서 안정된 취부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 상부의 대쉬맨버와 하부의 대쉬판넬로 이루어지는 대쉬부의 저면에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하나의 일체화된 와이퍼브라켓트를 용접하여 취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5906U KR19980012361U (ko) | 1996-08-27 | 1996-08-27 |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5906U KR19980012361U (ko) | 1996-08-27 | 1996-08-27 |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2361U true KR19980012361U (ko) | 1998-05-25 |
Family
ID=5397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25906U KR19980012361U (ko) | 1996-08-27 | 1996-08-27 |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12361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20543A (zh) * | 2022-07-20 | 2022-11-11 |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 一种雨刮器支撑结构 |
-
1996
- 1996-08-27 KR KR2019960025906U patent/KR1998001236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20543A (zh) * | 2022-07-20 | 2022-11-11 |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 一种雨刮器支撑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80012361U (ko) |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 | |
KR19980046552A (ko) | 자동차용 카울 톱패널 구조 | |
KR0126085B1 (ko) | 차량카울부의 취부구조 | |
KR200212726Y1 (ko) | 하이드로 포밍 타입 프론트 서브프레임구조 | |
KR0114630Y1 (ko) | 자동차의 프론트판넬 취부구조 | |
KR0127073B1 (ko) |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 |
KR200141685Y1 (ko) | 차량용 도어윈도우 글래스 채널의 장착구조 | |
KR100345546B1 (ko) | 선루프(sunroof)설치구조 | |
KR0136350Y1 (ko) | 후드 개방 레버 고정브라켓 설치구조 | |
KR19980038139A (ko) | 자동차의 선루프 취부구조 | |
KR100324378B1 (ko) | 자동차용 루프몰딩의 후단부 고정구조 | |
KR0140677Y1 (ko) | 자동차용 후드 힌지 | |
KR0120096Y1 (ko) | 메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 |
KR0127072B1 (ko) |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 |
KR100373912B1 (ko) | 인스트루먼트패널 어셈블리의 취부구조 | |
KR200198934Y1 (ko) | 자동차용 카울 상부 커버 조립 구조 | |
KR100262163B1 (ko) |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 |
KR200178103Y1 (ko) | 선루프의 보강 링부재와 리어 로워 보강부재의 조립구조 | |
KR19980045436U (ko) |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로워 서포트 센터 멤버 형상구조 | |
KR0160026B1 (ko) | 자동차의 프론트 지지판넬 장착브라켓구조 | |
KR19990043284A (ko) | 버스의 타이어 휀더 구조 | |
KR19980027201U (ko) | 차량용 리어헤더 어셈블리 | |
KR19990053355A (ko) | 자동차용 티-바 고정구조 | |
KR19980029235U (ko) | 자동차 백도어의 핸들부 보강구조 | |
KR19980047658U (ko) | 자동차 리어범퍼의 취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827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