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53355A - 자동차용 티-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티-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3355A
KR19990053355A KR1019970072978A KR19970072978A KR19990053355A KR 19990053355 A KR19990053355 A KR 19990053355A KR 1019970072978 A KR1019970072978 A KR 1019970072978A KR 19970072978 A KR19970072978 A KR 19970072978A KR 19990053355 A KR19990053355 A KR 19990053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r
welded
floor pan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7007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3355A/ko
Publication of KR1999005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355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T-BAR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플로어판넬(10)의 터널부(11) 좌우 양측면에 용착되는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의 상단부를 절곡 연장형성하고, 상기 제1브라켓(20)의 상단부와 제2브라켓(30)의 상단부를 용착하며, 상기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에는 상단부에 T-BAR가 설치된 T-BAR브라켓(40)의 하단부가 볼트(50) 체결되는 것에 의해 T-BAR브라켓(40)이 지지 됨으로서, 차실의 내부에 T-BAR가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T-BAR브라켓(40)을 플로어판넬(10)의 터널부(11)에 고정되게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부품수가 저감되어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티-바 고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용 T-BAR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T-BAR에 설치된 T-BAR브라켓을 플로어판넬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T-BAR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T-BAR고정구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플로어판넬(10)의 중앙에 형성된 터널부(11) 좌우 양측면에 절곡 형성된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이 각각 취부하고, 상기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의 상단부에는 좌우 양측단부가 하부로 절곡형성된 브라켓(60)을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60)의 외측면에는 상부에 T-BAR가 설치된 T-BAR브라켓(40)의 하단부를 볼트(50) 체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T-BAR고정구조는 상부에 T-BAR가 설치된 T-BAR브라켓(40)이 플로어판넬(10)의 터널부(11) 좌우 양측면에 하단부가 용착된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과, 상기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의 상단부에 설치된 브라켓(60)의 외측면에 접하며 볼트(50) 체결되는 것에 의해 T-BAR가 브라켓(60)에 의한 지지를 받으며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T-BAR고정구조는 차량을 제작시 플로어판넬(10)의 터널부 좌우 양측면에 하단부가 용착되고 상단부에 브라켓(60)이 접하도록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을 각각 절곡 형성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좌우 양측면에 T-BAR브라켓(40)이 접하도록 좌우 양측단부가 하부로 절곡 형성된 브라켓(60)을 제작 및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차량을 제작시 부품수가 증가하고, 조립성이 증가하여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차량의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단부가 플로어판넬의 터널부 좌우 양측면에 용착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상단부를 절곡 연장형성하고, 상기 제1브라켓의 상단부와 제2브라켓의 상단부를 용착하며,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는 상단부에 T-BAR가 설치된 T-BAR브라켓의 하단부가 접하며 볼트체결 되어 T-BAR가 견고히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차량을 제작시 부품수가 저감되고, 조립성을 향상시켜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T-BAR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T-BAR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T-BAR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로어판넬 11 : 터널부
20 : 제1브라켓 30 : 제2브라켓
40 : T-BAR브라켓 50 : 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T-BAR고정구조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플로어판넬(10)의 터널부(11) 좌우 양측면에 용착되는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의 상단부를 절곡 연장형성하고, 상기 제1브라켓(20)의 상단부와 제2브라켓(30)의 상단부를 용착하며, 상기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에는 상단부에 T-BAR가 설치된 T-BAR브라켓(40)의 하단부가 볼트(50) 체결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의 선단부를 용착시킨고, 상기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의 하단부를 플로어판넬(10)의 중앙 터널부(11) 양측면에 각각 용착시키며, 상부에 T-BAR가 설치된 T-BAR브라켓(40)을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의 일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50)를 이용해 체결시켜 주는 것에 의해 차실 내부에 T-BAR가 고정되게 지지되며 설치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실의 내부에 T-BAR가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T-BAR브라켓(40)을 플로어판넬(10)의 터널부(11)에 고정되게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부품수가 저감되어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단부가 플로어판넬의 터널부 좌우 양측면에 용착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상단부를 절곡 연장형성하고, 상기 제1브라켓의 상단부와 제2브라켓의 상단부를 용착하며,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는 상단부에 T-BAR가 설치된 T-BAR브라켓의 하단부가 접하며 볼트체결 되어 T-BAR가 견고히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차량을 제작시 부품수가 저감되고, 조립성을 향상시켜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플로어판넬(10)의 터널부(11) 좌우 양측면에 용착되는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의 상단부를 절곡 연장형성하고, 상기 제1브라켓(20)의 상단부와 제2브라켓(30)의 상단부를 용착하며, 상기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에는 상단부에 T-BAR가 설치된 T-BAR브라켓(40)의 하단부가 볼트(50)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T-BAR고정구조.
KR1019970072978A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티-바 고정구조 KR19990053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978A KR19990053355A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티-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978A KR19990053355A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티-바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355A true KR19990053355A (ko) 1999-07-15

Family

ID=6609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978A KR19990053355A (ko) 1997-12-24 1997-12-24 자동차용 티-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33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53355A (ko) 자동차용 티-바 고정구조
KR200155528Y1 (ko) 자동차용 룸램프의 회전방지용 브라켓트 구조
KR0127073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100320822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0127072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0118461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드바의 구조
KR100345546B1 (ko) 선루프(sunroof)설치구조
KR200149882Y1 (ko) 자동차의 하부 차체
KR0137488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드바의 취부구조
KR100262163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200269875Y1 (ko) 자동차의리어범퍼스테이마운팅구조
JP3305201B2 (ja) 車両用はしごの取付け構造
KR200188442Y1 (ko) 자동차용 리어부 보강구조
KR200181788Y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힌지부 취부구조
KR19980012361U (ko) 자동차의 와이퍼브라켓트 취부구조
JPH0224899Y2 (ko)
KR0118294Y1 (ko) 자동차의 룸램프 취부구조
KR0114630Y1 (ko) 자동차의 프론트판넬 취부구조
KR970002214Y1 (ko) 자동차용 센터필라의 내부설치구조
KR100320846B1 (ko) 자동차용 쿼드런트패널부의 보강구조
KR20050048376A (ko) 캐리어의 마운팅 구조
KR0112685Y1 (ko) 자동차의 측면차체 하부 결합구조
KR19990053282A (ko) 자동차의 티-바 고정용 브라켓구조
KR19980037224A (ko) 자동차의 하부 차체 구조
KR19980031346A (ko) 차량용 토션빔 액슬타입의 연료탱크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