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4704B1 - 로터리 래치 및 프리 래칭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를 가진 차량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 래치 및 프리 래칭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를 가진 차량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4704B1
KR102704704B1 KR1020187020446A KR20187020446A KR102704704B1 KR 102704704 B1 KR102704704 B1 KR 102704704B1 KR 1020187020446 A KR1020187020446 A KR 1020187020446A KR 20187020446 A KR20187020446 A KR 20187020446A KR 102704704 B1 KR102704704 B1 KR 10270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latch
safety device
pawl
spring
latching 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036A (ko
Inventor
홀게르 쉬퍼
미카엘 숄츠
토마스 쉐넨베르크
외머 이난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9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47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86A single spring working on more than on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록 홀더(2; 102; 202), 폴(3; 103; 203) 및 로터리 래치(4; 104; 204)를 구비한 차랑용 안전 장치(1; 101; 201)로서, 로터리 래치(4; 104; 204)는 로드 암(5; 105; 205), 캐치 암(6; 106; 206), 개방 회전 방향(7; 107; 207), 폐쇄 회전 방향(8; 108; 208), 프리 래칭 위치 및 메인 래칭 위치를 가지되, 폴(3; 103; 203)은 프리 래칭 위치에서 캐치 암(6; 106; 206) 상에 래치되어 있고 메인 래칭 위치에서 로드 암(5; 105; 205) 상에 래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1; 101; 20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터리 래치 및 프리 래칭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를 가진 차량용 안전 장치
본 발명은 록 홀더(lock holder), 폴(pawl) 및 로터리 래치(rotary latch)를 구비하되, 로터리 래치는 로드 암(load arm), 캐치 암(catch arm), 개방 회전 방향, 폐쇄 회전 방향, 프리 래칭 위치(pre-latching position) 및 메인 라쳇 위치(main ratchet position)를 가진 차량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안전 장치가 DE 10 2007 045 716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로드 암, 캐치 암 및 라쳇 위치를 가진 로터리 래치가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서 폴은 로드 암 상에서 로터리 래치의 라쳇 위치에 있는 로터리 래치를 둘러싼다. 또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안전 장치가 DE 20 2008 000 560 U1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설명된 후드 록(hood lock)은 프리 래칭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를 가진 로터리 래치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폴은 프리 래칭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의 캐치 암에 라쳇팅(ratcheting)된다. DE 100 29 103 A1은 일반적인 의미에 따른 안전 장치를 개시하는데, 이 안전 장치에서 폴이 또한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에서, 그리고 메인 라쳇 위치에서도 로터리 래치의 캐치 암 상에 라쳇팅된다. DE 199 37 405 B4에서, 안전 장치가 일반적인 의미에 따라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단순한 폴을 대신하여 로터리 래치의 캐치 암의 외측 둘레 상에 있는 로터리 래치의 메인 라쳇 위치와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에서 라쳇된 라쳇 폴이 로터리 래치의 캐치 암의 외측 둘레 상에 제공된다.
DE 20 2008 000 560 U1 및 DE 199 29 103 A1에 따른 앞서 언급한 안전 장치들의 단점은, 폴을 로터리 래치의 피벗 지점을 향해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에서 각각 라쳇팅하기 위해 로터리 래치의 캐치 암의 외측 둘레 상의 제1 및 제2 라쳇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상당한 소재 사용이 제공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원하지 않은 개방에 대항한 확실한 고정의 경우에 폴의 하중이 프리 래칫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 모두에서 가능한 한 낮다는 점에서, 로터리 래치의 피벗 지점으로의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각각의 라쳇 영역들의 위치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로터리 래치의 프리 라쳇 위치 및 메인 라쳇 위치를 이행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소재 비용은 안전 장치의 전체 중량에 나쁜 영향을 가질 수 있다. DE 199 37 405 B4에 따라 폴 및 추가적인 라쳇 폴을 가진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치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의 이행은 추가적인 구성품, 따라서 안전 장치의 증가된 전체 중량이라는 단점을 가진다. 안전 장치의 증가된 전체 중량은 안전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연료 소모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 장치의 전체 중량이 감소되는 일반적인 의미에 따른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특허청구범위 1의 특징들을 구비한 안전 장치 및 특허청구범위 10의 특징들을 구비한 절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편리한 다른 구성을 가진 유리한 디자인들이 나머지 특허청구범위들, 발명의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도출된다. 특히, 독립 청구항 및 종속 청구항들로부터의 하나 또는 몇 가지 특성들이 또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의 하나 또는 몇 가지 특성들에 의해 보충되거나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각의 서로 다른 구성들로부터의 하나 또는 몇 가지 특성들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과 결부될 수도 있다.
이전에 알려져 있는 안전 장치에 비하여 비교적 더 가벼운 전체 중량을 가진 안전 장치를 만들기 위해, 록 홀더, 폴 및 로터리 래치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 장치가 제안되는데, 여기서 로터리 래치는 로드 암, 캐치 암, 개방 회전 방향, 폐쇄 회전 방향, 프리 래칭 위치 및 메인 라쳇 위치를 구비하며, 폴은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에서 캐치 암 상에 그리고 메인 라쳇 위치에서 로드 암 상에 라쳇된다.
로터리 래치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안전 장치는 볼팅 위치(bolting position)를 가지는데, 여기서 로드 암은 개방 회전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를 차단한다. 메인 라쳇 위치에서, 스톱(stop)은 바람직하게는 폐쇄 회전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데, 여기서 이 스톱과 로터리 래치 사이에 로터리 래치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약간의 여유가 제공될 수 있다. 안전 장치의 볼팅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안전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내부로부터만 볼트 해제(unbolt)되거나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볼트 해제될 수 있다. 특히, 안전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안전 장치가 제공되는 전방 후드 주변의 영역에서 볼팅 위치에서 수동으로 헐거워질 수 없다.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에서, 록 홀더는 볼팅 위치로부터 볼트 해제되며 로드 암에 의해 개방 움직임 방향으로 차단된다.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에서, 안전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후드 주변의 영역에서 수동으로 헐거워질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헐거워진 안전 장치가 록 홀더의 움직임을 개방 움직임 방향으로 차단 해제한다.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는, 폐쇄시에 로터리 래치의 메인 라쳇 위치가 달성되지 않는 경우에, 안전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방 후드, 도어 또는 플랩(flap)을 구속하는 데에 기여한다. 또한,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는 안전 장치의 개방 동안 안전 장치의 볼팅 위치와 록 홀더가 개방 움직임 방향으로 차단 해제되는 안전 장치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중간 위치를 제공하는 데에 기여한다. 안전 장치의 이런 중간 위치는, 안전 장치의 우연한 볼트 해제의 경우에 록 홀더가 개방 움직임 방향으로 차단 해제되지 않지만, 록 홀더의 차단은 추가적인 수동 작동에 의해 헐거워질 필요가 있는 정도로 안전 수준을 증대시킨다.
캐치 암과 로드 암은 로터리 래치의 폐쇄 과정에서 록 홀더를 수용하는 로터리 래치의 포크 형상 송입 부분을 형성한다. 캐치 암과 로드 암은 각각 헤드 영역을 가지는데, 여기서 두 헤드 영역들은 유리하게는 로터리 래치의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로터리 래치의 영역들이다. 헤드 영역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캐치 암 또는 로드 암의 각 단부로부터 로터리 래치의 회전축으로 캐치 암 또는 로드 암의 1/5까지 연장된다.
로드 암과 캐치 암은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래치의 폐쇄 움직임 동안 송입 부분 내에서 록 홀더의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구성은 개방 회전 방향의 방향으로 라쳇팅면(racheting surface)을 가진 접선 굴곡(tangent bending)을 가진 캐치 암의 헤드 영역을 제공한다. 폴의 라쳇 노즈(ratchet nose)는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에서 라쳇팅면 상에 놓이며 캐치 암의 접선 굴곡을 둘러싸는데, 이에 의해 폴이 안전 장치의 폴 스프링에 의해 잠금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며 잠금 위치를 취한다. 또한, 이 구성과 조합되어 무엇보다도, 로드 암의 헤드 영역이 개방 회전 방향의 방향으로 라쳇면(ratchet surface)을 가진 접선 굴곡을 가지는 다른 디자인이 제공될 수 있다. 로터리 래치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폴의 라쳇 노즈는 라쳇면에 접하여 놓이는데, 여기서 라쳇 노즈는 로드 암의 접선 굴곡을 둘러싸고, 폴은 잠긴 위치를 취한다.
특히, 이들 두 구성들의 조합은 폴이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 및 메인 라쳇 위치 모두에서 송입 부분의 개구의 영역에 직접 라쳇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폴은 개방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안전 장치의 로터리 래치 스프링은 로터리 래치 상에 개방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며 각각의 라쳇면들을 폴의 라쳇 노즈에 대항하여 개방 회전 방향으로 압박한다. 로터리 래치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레그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로터리 래치는 프리 래칭 위치로부터 그리고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잠금 방향에 대항한 폴의 회전에 의해 헐거워질 수 있다. 로터리 래치가 폴의 라쳇 노즈 상으로 개방 회전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자마자 폴은 해제 위치에 위치된다. 로터리 래치 스프링은 해제 위치에서 개방 회전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를 구동할 수 있으며, 및/또는 록 홀더를 로터리 래치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캐치 암과 로드 암의 각각의 헤드 영역들이 로터리 래치의 피벗 축으로부터 가장 먼 로터리 래치의 영역들을 이루며, 폴은 캐치 암의 굴곡 접선부(bending tangent) 상에서 프리 래칭 위치에 또는 로드 암의 굴곡 접선부 상의 메인 라쳇 위치에 라쳇팅되기 때문에, 폴의 가능한 가장 큰 토크 효과가 예컨대 사고 발생의 경우에 프리 래칭 위치 및 메인 라쳇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의 개방 회전 모멘트에 대항하여 제공된다.
폴이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 모두에서 송입 부분의 개구의 영역에 직접 라쳇팅되지 않는 최신 기술에서 설명된 안전 장치들과 비교하여, 이것은 로터리 래치가 폴의 라쳇 노즈를 각각 수용하는 라쳇면을 형성하기 위해 송입 부분의 개구로부터 먼 영역으로 연장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캐치 암의 외측 윤곽은 따라서 송입 부분의 내측 윤곽에 뚜렷이 평행하게 이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이것은 안전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이다. 이것은 로터리 래치의 중량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안전 장치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는데, 이에 의해 안전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차량의 연료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폴 스프링과 로터리 래치 스프링은 각각 스프링 강도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폴 스프링의 스프링 강도는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로터리 래치의 고정 해제 동안 프리 래칭 위치로의 로터리 래치의 라쳇팅이 보장되도록 로터리 래치 스프링의 스프링 강도에 맞추어 조정된다. 폴 스프링의 스프링 강도는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의 로터리 래치의 고정 해제 동안 폴이 로터리 래치보다 더 큰 회전 가속도를 가지고 프리 래칭 위치로의 로터리 래치의 라쳇이 보장되도록, 로터리 래치 스프링의 스프링 강도, 폴의 회전축 둘레로의 폴의 질량 관성 모멘트, 로터리 래치의 회전축 둘레의 로터리 래치의 질량 관성 모멘트 및 록 홀더에 의해 로러티 래치에 작용하는 전방 후드의 중량 힘에 특정한 우선권을 가지고 조정된다. 폴 스프링의 스프링 강도의 이런 조정은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의 로터리 래치의 고정 해제 이후에, 로터리 래치가 프리 래칭 위치에 도달하는 것보다 폴이 잠긴 위치에 더 신속히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의 로터리 래치의 고정 해제의 경우에 프리 래칭 위치로의 라쳇을 보장한다.
다른 구성 및 앞선 구성들의 조합의 관점에서, 안전 장치가 로터리 래치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로터리 래치의 개방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동안, 지연 메커니즘은 프리 래칭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의 라쳇팅을 보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더 긴 시간이 활용가능한데, 이 시간 내에 폴이 로터리 래치가 프리 래칭 위치를 취하기 전에 잠금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 변형예의 장점은 폴 스프링의 스프링 강도의 로터리 래치 스프링의 스프링 강도에 맞춘 조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에의 라쳇팅이 로터리 래치의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개방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동안 보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폴 스프링은 따라서 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또한 안전 장치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킨다. 지연 메커니즘은 예컨대 로터리 래치가 프리 래칭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감속시키는 마찰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변형예의 범위 내에서, 지연 메커니즘은 로터리 래치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면(stop surface)을 구비한다. 정지면은 예컨대 폴의 붐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캐치 암의 굴곡 접선부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동일하게, 캐치 암 상에, 바람직하게는 캐치 암의 굴곡 접선부 상에 정지면이 배치될 수 있으며 폴의 붐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폴의 해제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의 피벗 축으로부터 가장 먼 캐치 암의 지점의 궤적은 붐을 가로지르는 것, 즉 붐이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프리 래칭 위치로의 로터리 래치의 회전 동안 캐치 암을 로터리 래치의 메인 라쳇 위치와 프리 래칭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로터리 래치가 중간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면, 이것은 캐치 암이 폴의 라쳇 노즈를 통과할 수 있기 전에 해제 위치로부터 잠긴 위치의 도달까지 폴 스프링에 의해 구동되는 폴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안전 장치의 유리한 일 구성은 폴이 제1 활성면을 가지고 캐치 암이 대응면을 가지며, 프리 래칭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폐쇄 회전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의 회전 동안 제1 활성면이 캐치 암의 대응면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계획한다. 캐치 암의 대응면은 바람직하게는 폐쇄 회전 방향으로의 로터리 래치의 회전 동안 활성면을 충격하며 폴을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동일하게 유리하게, 로드 암이 대응면을 가지고 메인 라쳇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로터리 래치의 폐쇄 동안 제1 활성면이 로드 암의 대응면과 상호 작용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캐치 암의 대응면은 바람직하게는 폐쇄 회전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의 회전 동안 활성면을 충격하며 폴을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른 형태에서, 폴은 메인 라쳇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로터리 래치의 폐쇄 동안 로드 암의 대응면과 상호 작용하는 제2 활성면을 가진다. 제1 활성면의 구배는 바람직하게는 제2 활성면의 구배와는 다른데, 여기서 제2 활성면 상에서 로드 암의 대응면의 글라이딩 동안 폴에 대한 관계에서 로드 암의 상대적인 속도와 비교하여, 캐치 암의 대응면의 제1 활성면에 대한 글라이딩 동안 캐치 암의 서로 다른 상대 속도가 폴에 대한 관계에서 초래된다.
유리한 다른 형태는 로터리 래치 스프링이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을 계획한다. 이것은 특히 로터리 래치 스프링이 레그 스프링으로 구현된 안전 장치에 비하여 안전 장치의 더 좁은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으로서 로터리 래치 스프링의 구성은 특히 로터리 래치와 로터리 래치 스프링의 공통 피벗 축 상에서의 공동 수용을 단순화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이 공동 수용은 안전 장치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특히 레그 스프링과 비교하여 스파이럴 스프링으로서의 로터리 래치 스프링의 더 좁은 디자인은, 베어링들이 통합 피벗 축에 대해 베어링 쌍으로서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피벗 축이 더 짧아질 수 있고 피벗 축의 더 높은 베어링 하중이 하나 이상의 구성품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로터리 래치 스프링이 적어도 한 부분을 구비한 레그를 가지는 것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이 부분은 메인 라쳇 위치에서 거의 수평한 배열을 가지며 록 홀더에 접하여 놓인다. 이 배열은 그 부분의 시작과 끝 사이에서 연결 라인에 의해 특정되는데, 여기서 그 부분은 레그를 따라 연장된다.
메인 라쳇 위치에서 레그의 부분의 거의 수평한 배열은, 특히 차량에 장착되는 안전 장치의 상태와 관련되어 있다. 장착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수평한 라인이 차량의 차량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거의 평행하다는 것은 연결 라인이 차량 길이방향 축에 대해 적어도 20도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15도보다 작은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뜻한다. 특히 유리하게는, 레그의 수평 부분은 로터리 래치 스프링의 코일을 경계짓는다. 메인 라쳇 위치에서 레그의 부분의 거의 수평한 배열은 레그의 초기 회전 동안 레그로부터 록 홀더로 거의 수직하게, 특히 상방으로 배열된 차량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법선력(normal force)을 초래할 수 있으며, 래치 홀더를 통해 전달되는 중량 힘에 대항하는 법선력의 거의 전부를 작용시킨다. 이것은 로터리 래치 스프링이 로터리 래치를 개방 회전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록 홀더를 배출하기 위해 더 작은 크기로 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장치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는데, 여기서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가진다. 제1 단계에서, 폴은 잠금 위치로부터 편향된다. 이 편향은 폴이 해제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일어난다. 폴의 편향은 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로터리 래치가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개방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것은 로터리 래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다. 로터리 래치는 제3 단계에서 지연된다. 이것은 폐쇄 회전 방향으로의 로터리 래치의 감속에 의해, 및/또는 유리하게는 폴 붐의 정지면 상에서 로터리 래치의 정지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폴의 편향 이후에, 폴은 제4 단계에서 잠긴 위치의 방향으로 움직여진다. 폴은 바람직하게는 폴 스프링에 의해 구동된다. 로터리 래치의 라쳇팅은 제5 단계에서 프리 래칭 위치에서 제공된다. 이것은 특히 로터리 래치가 프리 래칭 위치를 취하기 전에 잠긴 위치에 도달하는 폴에 의해 가능해진다. 여기서 언급되는 절차의 개별적인 단계들의 순서는 바람직한 순서일 뿐이다. 잠긴 위치의 방향으로 폴의 초기 움직임 이후로 로터리 래치가 지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설명된 기술적 특성들과 함께 그 내용이 또한 완전히 본원의 원래의 개시의 객체가 되는 '로터리 래치 및 배출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안전 장치(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th a rotary latch and an ejection spring)'라는 제하의 동일한 출원인의 유사한 다른 특허 출원에서, 안전 장치는 배출 스프링의 레그의 인접성의 변화(change of adjacency)로 설명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유사한 다른 특허 출원에 설명된 기술적인 특성들은 록 홀더로부터 로터리 래치로의 레그의 인접성의 변화와, 록 홀더의 상대적인 스트로크 부분의 증가와, 본원의 원래의 개시에 대해 록 홀더의 상대적인 스트로크 부분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특히 배출 스프링으로서 로터리 래치 스프링의 구성과 배출 스프링의 레그의 기하학적 구성에 영향을 준다.
그 설명된 기술적인 특성들과 함께 그 내용이 또한 본원의 원래의 개시의 객체가 되는 '로터리 래치 및 보호 레이어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 장치(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th a rotary latch and a protective layer)'라는 제하의 동일한 출원인의 다른 유사한 특허 출원에서, 안전 장치는 폐쇄 회전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를 차단하는 차단 요소로 설명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안전 장치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유사한 다른 특허 출원에서 설명된 기술적인 특성들은 본원의 원래의 개시에 속한다. 이것은 특히 차단 요소의 구성 및 폴과 함께 차단 요소와 로터리 래치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특성들 및 상세들은, 도면들을 기초로 한 적어도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귀결되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f 및 도 2a는 개방 절차에서 안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폐쇄 절차에서 도 1에 따른 안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록 홀더 상에 배치된 프론트 후드를 가진 도 1a에 따른 안전 장치이다.
도 4는 다른 안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안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안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f 및 도 2a는 개방 절차에서 차량용 안전 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는 록 홀더(2), 폴(3) 및 로터리 래치(4)를 가진 안전 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로터리 래치(4)는 로드 암(5), 캐치 암(6), 개방 회전 방향(7), 폐쇄 회전 방향(8), 프리 래칭 위치 및 메인 라쳇 위치를 구비하는데, 도 1a에서 로터리 래치(4) 메인 라쳇 위치에 있다. 또한, 안전 장치(1)는 로터리 래치의 폐쇄 방향(8)으로 긴장되어 있으며 개방 회전 방향(7)으로 로터리 래치(4)에 대해 작용하는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을 구비한다.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은 고정 단부(36)를 구비하는데, 이는 안전 장치(1)의 정적 지지부(37) 상에 지지된다. 고정 단부(36)는 유리하게는 베어링 소켓(bearing socket, 38)으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고정 단부(36)가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의 피벗축(34)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베어링 소켓(38)을 둘러싼다.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은 도 1a에 나타낸 메인 라쳇 위치에서 록 홀더에 접하여 놓이는 거의 수평한 부분을 가지는 레그(leg)를 구비한다. 특히 유리하게는, 레그의 수평 부분은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의 코일을 경계짓는다. 도 1a는 또한 메인 라쳇 위치에서 레그의 부분이 도 1a의 이미지 평면에서 수평선과 대략 12도의 각도를 가지는 것, 즉 거의 수평하게 정렬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폴(3)은 잠금 회전 방향(11)으로 폴(3)에 대해 작용하는 폴 스프링(10)을 구비한다. 또한 폴(3)은 도 1a에 나타낸 로터리 래치(4)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개방 회전 방향(7)으로의 회전에 대항하여 로터리 래치(4)를 잠그는 라쳇 노즈(ratchet nose, 12)를 구비한다.
캐치 암(6)과 로드 암(5)은, 록 홀더(2)를 수용하는 로터리 래치(4)의 포크(fork) 형상 송입 부분(13)을 형성한다. 로드 암(5)과 캐치 암(6)은 로터리 래치(4)의 폐쇄 동작 및 개방 동작 중에 송입 부분(13) 내에서 록 홀더(2)의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치 암(6)은 로터리 래치(4)의 개방 회전 방향(7)의 방향으로 굴곡 접선부(15)를 구비한 헤드 영역(14)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굴곡 접선부(15)가 프리 라쳇(16)을 형성한다. 도 1e에 나타낸 로터리 래치(4)의 프리 래칭 위치에서, 폴(12)은 프리 라쳇(16)을 둘러싸는데, 여기서 라쳇 노즈(12)는 로터리 래치(4)가 개방 회전 방향(7)으로 회전하는 것을 고정한다. 또한, 로드 암(5)은 로터리 래치(4)의 개방 회전 방향(7)의 방향으로 굴곡 접촉면(18)을 가진 헤드 영역(17)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굴곡 접선부(18)가 메인 라쳇(19)을 형성한다. 도 1a에 나타낸 로터리 래치(4)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폴(12)은 메인 라쳇(19)을 둘러싼다. 로터리 래치(4)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은 추가적으로 록 홀더(2)에 의해 개방 회전 방향(7)의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4)에 대해 작용하는데, 이로써 메인 라쳇(19)이 폴(3)의 라쳇 노즈(12)에 대해 압박되며 따라서 라쳇 노즈(12)의 접촉면 상에 압력이 생성되는데, 이는 도 1a에 나타낸 잠긴 위치에서 폴 스프링(10)에 의해 작용하는 힘에 대해 폴을 추가적으로 지지한다.
로터리 래치(4)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폴(3)로부터 시작하여 라쳇 노즈(12) 및 메인 라쳇(19)을 통해, 유지력(retaining force)이 로드 암(5)에 대해 작용하는데, 이는 긴장된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의 토크를 상쇄하며, 이로써 로터리 래치(4)의 피벗축(20)까지의 메인 라쳇(19)의 거리가 유지력의 지렛대 팔을 형성한다. 동일하게, 로터리 래치의 프리 래칭 위치에서 폴(3)에 의해 캐치 암(6)에 대해 작용하는 유지력의 지렛대 팔이 피벗축(20)까지의 프리 라쳇(16)의 거리에 의해 형성된다.
로드 암(5)의 헤드 영역(17)과 캐치 암(6)의 헤드 영역(14)은 도면들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로터리 래치(4)의 피벗축(20)으로부터 가장 먼 로터리 래치(4)의 영역들을 구성하여서, 가능한 한 가장 긴 지렛대 팔들이 로터리 래치(4)의 메인 라쳇 위치 또는 프리 래칭 위치에서 유지력들을 위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피벗축(20)까지의 프리 라쳇(16) 및 메인 라쳇(1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래치(4)의 외측 둘레 상에, 특히 캐치 암(6)의 영역에서 피벗축(20)까지의 비교적 유사한 거리에서 프리 라쳇 또는 메인 라쳇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재료가 생략될 수 있다.
로터리 래치(4)는 프리 래칭 위치로부터 그리고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잠금 회전 방향(11)을 거스르는 폴(3)의 회전에 의해 헐거워질 수 있다. 로터리 래치(4)의 로드 암(5) 또는 캐치 암(6)이 폴의 라쳇 노즈(12) 상에서 개방 회전 방향(7)으로 통과될 수 있다면, 폴(3)은 해제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로터리 래치(4)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특히 유리하게는 폴(3)의 작동이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잠긴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트리거링될 수 있다. 도 1b는 로드 암(5)의 굴곡 접선부(18)가 라쳇 노즈(12) 상에서 통과될 수 있는 해제 위치에서 폴(3)을 나타내고 있다. 폴(3)의 해제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은 록 홀더(2)를 상방으로 촉진하는데, 이에 의해 록 홀더(2)가 로터리 래치(4)의 로드 암(5) 상에 직접 접하여 놓이고 그 상방으로의 동작에 의해 로터리 래치(4)를 개방 회전 방향(7)으로 회전시킨다. 전기 드라이브가 폴(3)을 잠긴 위치로부터 잠깐 동안 움직이게 하고 폴(3)이 해제 위치에 도달한 직후에 폴(3)에 대한 전기 드라이브의 작용이 취소되는 특별한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
로터리 래치(4)의 고정 해제 동안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프리 래칭 위치로의 라쳇팅이 보장되도록, 폴 스프링(10)의 스프링 강도가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의 스프링 강도에 맞추어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폴 스프링(10)의 스프링 강도의 이러한 조정은 특히, 캐치 암(6)이 라쳇 노즈(12)를 지나칠 수 있기 전에 폴(3)이 시기적절한 방식으로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되돌아 움직이도록 하는 폴 상의 피벗 촉진을 가하는 폴 스프링(10)을 제공한다.
폴 스프링(10)의 스프링 강도의 이 조정에 더하여 또는 이를 대체하여, 안전 장치(1)는 지연 메커니즘(21)을 구비할 수 있다. 지연 메커니즘(21)은 도 1c에 나타나 있으며 폴(3)의 붐(23)의 한 단부 및 캐치 암(6)의 굴곡 접선부(15)의 쐐기 형상 단부(24)에 있는 정지면(22)으로서 형성된다.
지연 메커니즘(21)은, 폴(3)의 해제 위치에서 그리고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개방 회전 방향(7)으로의 로터리 래치(4)의 회전동안 쐐기 형상 단부(24)의 끝단의 궤적(35)이 붐(23)의 정지면(22)을 가로지르도록 구성된다. 정지면(22)에 대한 쐐기 형상 단부(24)의 충돌 동안, 개방 회전 방향(7)으로의 로터리 래치(4)의 회전이 정지된다. 로터리 래치(4)를 정지시킴으로써, 캐치 암(6)의 굴곡 접선부(15)가 라쳇 노즈(12)를 지나치기 전에 폴 스프링(10)이 폴(3)을 잠금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터리 래치(4)가 지연 메커니즘(21)에 의해 정지되지 않는 변형예와 비교하여, 로터리 래치(4)의 정지에 의해 폴(3)을 해제 위치로부터 잠긴 위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이 활용 가능함에 따라 폴 스프링(10)이 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d는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의 레그가 록 홀더(2) 및 캐치 암(6) 상에 배치된 볼트(25) 양쪽에 접하여 놓이는, 메인 라쳇 위치와 프리 래칭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4)를 나타내고 있다. 로터리 래치(4)가 이 중간 위치에 도달한 후,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은 볼트(25)에 의해 개방 회전 방향(7)으로 직접 로터리 래치(4) 상에 작용한다.
도 1e는 라쳇 노즈(12)가 캐치 암(6)의 헤드 영역(14)의 굴곡 접선부(15)를 둘러싸고 있는 프리 래칭 위치레서 로터리 래치(4)를 나타내고 있다. 프리 래칭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4)의 개방 회전 방향(7)으로의 회전은 폴(3)에 의해 차단된다. 로터리 래치(4)는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긴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폴(3)의 회전에 의해 프리 래칭 위치로부터 헐거워질 수 있다. 로터리 래치(4)의 도 1f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폴 스프링(9)은 개방 회전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4)를 로터리 래치(4)의 개방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데, 이에 의해 록 홀더(2)가 더 상승된다. 로터리 래치(4)의 개방 위치는 도 2a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 1a 내지 도 1f 및 도 2a에 나타낸 안전 장치의 개방 절차에 따르면, 폴 스프링(10)이 폴(3)을 잠긴 위치로 되돌아 움직이게 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안전 장치(1)의 폐쇄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에 나타낸 로터리 래치(4)의 개방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록 홀더(2)가 캐치 암(6)에 의해 로터리 래치(4)를 폐쇄 회전 방향(8)으로 움직이게 한다. 프리 래칭 위치의 방향으로 개방 위치로부터의 로터리 래치(4)의 작동 동안, 캐치 암(6)의 헤드 영역(14)의 굴곡 접선부(15)는 폴(3)의 제1 활성면(41) 상에 충돌한다. 제1 활성면(41)은 라쳇 노즈(12)의 배면을 따라 라쳇 노즈(12)의 끝단으로 연장된다. 제1 활성면(41)에 대한 굴곡 접선부(15)의 충돌 이후에, 캐치 암(6)은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잠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폴(3)을 이동시키는데, 이에 의해 캐치 암(6)이 라쳇 노즈(12)를 통과할 수 있다.
도 2c는 캐치 암(6)이 라쳇 노즈(12)를 지나치고 폴(3)이 폴 스프링(10)에 의해 잠긴 위치로 움직여진 후에 프리 래칭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4)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위치는 예컨대 안전 장치(1)의 설치된 상태에서 록 홀더(2)가 부착되는 프론트 후드(front hood)가 충분한 힘으로 눌려지지 않은 경우 로터리 래치(4)가 메인 라쳇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안전 장치(1)의 폐쇄 절차 동안 프리 래칭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4)의 라쳇팅은 로터리 래치(4)가 개방 위치에 다시 도달하고 프론트 후드가 로터리 래치(4)로부터 다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c에 나타낸 로터리 래치(4)의 프리 래칭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록 홀더(2)가 일단 다시 눌려지면, 굴곡 접선부(18)는 로드 암(5)의 헤드 영역(17) 상에서 제1 활성면(41)에 대해 충돌하며, 로드 암(5)이 라쳇 노즈(12)를 통과할 수 있는 도 2d에 나타낸 해제 위치로 폴(3)을 회전시킨다. 로드 암(5)이 라쳇 노즈(12)를 통과한 후, 폴 스프링(10)은 라쳇 노즈(12)가 로드 암(5)의 헤드 영역(17)의 굴곡 접선부(18)를 둘러싸는 잠금 위치로 폴(3)을 움직이게 하며, 로터리 래치(4)는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라쳇 위치를 취한다.
도 1a 내지 도 1f 및 도 2a 내지 도 2e에 나타낸 안전 장치(1)의 실시예에서,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은 피벗축(34)을 가지는데, 이는 로터리 래치(4)의 피벗축(20)에 대해 변위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록 홀더(2)의 중앙 지점과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의 피벗축(34) 사이에서 연장되고, 로터리 래치 스프링(9)과 로터리 래치(4)가 공통된 피벗축을 가진 안전 장치에 비하여 변위된 피벗축들(23, 20)에 의해 확장된 지렛대 팔이 확장되어 있다. 다른 구성에서, 로터리 래치(4) 및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은 공통된 피벗 축을 가진다. 이것은 보다 컴팩트한 디자인 및 중량 저감의 장점을 가진다.
도 3은 예컨대 차량에 설치된 상태로 배치된 안전 장치(1)에서 제공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록 홀더(2) 상에 배치된 전방 후드(66)를 나타내고 있다. 이 안전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후드(66)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를 대체하여, 안전 장치(1)는 전방 후드(66)의 후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록 홀더(102), 폴(103), 로터리 래치(104)를 구비한 안전 장치(101)의 다른 구성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로터리 래치(104)는 프리 라쳇(112)을 가진 캐치 암(106), 메인 라쳇(113)을 가진 로드 암(105), 개방 회전 방향(107), 폐쇄 회전 방향(108), 프리 래칭 위치 및 메인 라쳇 위치를 구비하며, 도 4에서 메인 라쳇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록 홀더(102)를 제외하고, 안전 장치(101)의 거의 모든 부품들이 바람직하게는 록 케이스(67) 상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록 케이스(67)는 안전 장치(101)의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이것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안전 장치(1)에도 적용된다. 안전 장치(101)는 또한 록 홀더(102)를 튀어나오게 하기 위해 레그(127)를 가진 로터리 래치 스프링(109)를 더 구비하는데, 이는 개방 회전 방향(107)으로 로터리 래치(104)에 대해 작용한다. 폴(103)은 폐쇄 회전 방향(111)으로 폴(103)에 대해 작용하는 폴 스프링(110)을 구비한다. 로터리 래치(104)의 프리 래칭 위치에서, 폴(103)은 프리 라쳇을 둘러싸고 따라서 캐치 암(106) 상에 라쳇된다. 로터리 래치(104)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폴(103)은 메인 라쳇(113)을 둘러싸며 따라서 로드 암(105) 상에 라쳇팅된다.
도 1a 내지 도 1f, 도 2a 내지 도 2f 및 도 3에 나타낸 안전 장치(1)의 구성과는 대조적으로, 록 홀더(102)가 로터리 래치 스프링(109)의 피벗축(134)과 로터리 래치(104)의 피벗축(120) 사이에서 로터리 래치(104)의 메인 라쳇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도 1a에 나타낸 구성과 비교하여 더 단순한 실시예라는 장점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는 또한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개방 회전 방향(107)으로 로터리 래치(104)의 움직임 동안 록 홀더(102)가 로터리 래치(104)에 의해 해제되는 개방 위치로 록 홀더(102) 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로터리 래치 스프링을 제공한다.
안전 장치(101)는 또한 차단 위치와 해제 위치를 가진 차단 요소(161)를 더 구비한다. 차단 요소(161)의 차단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104)는 폐쇄 회전 방향(108)으로 차단된다. 차단 요소(161)의 해제 위치에서, 로터리 대치(104)는 폐쇄 회전 방향(108)으로 차단 요소(161)로부터 해제되며 록 홀더(102)의 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해제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의 차단 요소(161)의 움직임은 폴(103)에 의해 제어된다. 안전 장치(101)는 또한 차단 스프링 요소(163)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차단 스프링 요소(163)은 예컨대 피벗 스프링 또는 폴(103)과 차단 요소(161) 사이의 탄성 연결 요소일 수 있으며, 폴(103)에 의한 차단 요소(161)의 간접적인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안전 장치(101)는 태핏(tappet, 164)을 구비하는데, 이에 의해 차단 요소(161)가 폴(103)에 의해 잠금 회전 방향(111)을 거슬러 구동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의 가능성 있는 변형예는 도 1a에 나타낸 실시예의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의 레그와 유사한 곡선 부분을 구비한 레그(127)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해당 부분의 곡률이 바람직하게는 레그를 따라 바뀔 수 있고, 특히 로터리 래치 스프링(109)의 피벗 축(134)에 대해 교번하여 오목하고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안전 장치(101)는 폴(103)의 붐과 상호 작용하는 트리거링 레버(68)를 구비한다. 잠금 회전 방향(111)으로의 트리거링 레버(68)의 회전은 폴(103)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의 잠금 회전 방향(111)과 대조적인 폴(103)의 회전을 야기한다. 트리거링 레버(68)는 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로터리 래치(104)를 전기적으로 헐거워지게 작동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프리 래칭 위치로부터 로터리 래치(104)를 수동으로 헐거워지게 작동될 수 있다.
도 5는 록 홀더(202), 폴(203) 및 로터리 래치(204)를 가진 안전 장치(201)의 다른 구성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로터리 래치(204)는 프리 라쳇(212)을 가진 캐치 암(206), 메인 라쳇(213)을 가진 로드 암(205), 개방 회전 방향(207), 폐쇄 회전 방향(208), 프리 래칭 위치 및 메인 라쳇 위치를 가지며, 메인 라쳇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록 홀더(202)와는 별개로, 안전 장치9201)의 거의 모든 부분들이 바람직하게는 록 케이스(167) 상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록 케이스(167)는 안전 장치(201)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 내에 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안전 장치(201)는 또한 록 홀더(202)를 튀어나오게 하기 위해 레그(227)를 가진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을 더 구비하는데, 이것은 로터리 래치(204) 상에 개방 회전 방향(207)으로 작용한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폴 스프링은 잠금 회전 방향(211)에서 폴(203) 상에 작용할 수 있다. 로터리 래치(204)의 프리 래칭 위치에서, 폴(203)은 프리 라쳇(112)을 둘러싸며 따라서 캐치 암(206) 상에 라쳇된다. 로터리 래치(204)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폴(203)은 메인 라쳇(113)을 둘러싸며 따라 로드 암(205) 상에 라쳇된다.
도 1a 내지 도 1f, 도 2a 내지 도 2f 및 도 3에 나타낸 안전 장치(1)의 구성과 대조적으로, 로터리 래치(204)의 메인 라쳇 위치에서 록 홀더(202)는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의 피벗 축(234)과 로터리 래치(204)의 피벗 축(220)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은 도 1a에 나타낸 구성과 비교하여 보다 단순한 실시예라는 장점을 가진다. 도 5에 나타낸 실시예는 또한 변형예로서 개방 회전 방향(207)으로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록 홀더(202)가 로터리 래치(204)에 의해 해제되는 개방 위치로 움직이는 로터리 래치(204)의 움직임 동안 록 홀더(202)에 직접 작용하는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을 제공한다.
안전 장치(201)는 또한 차단 위치와 해제 위치를 가지는 차단 요소(261)를 더 구비한다. 차단 요소(261)의 차단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204)는 폐쇄 회전 방향(208)으로 차단된다. 차단 요소(261)의 해제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204)는 폐쇄 회전 방향(208)으로 차단 요소(261)로부터 풀려나오며 록 홀더(202)의 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해제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의 차단 요소(261)의 움직임은 폴(203)에 의해 제어된다. 안전 장치(201)는 또한 차단 스프링 요소(263)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차단 스프링 요소(263)는 예를 들어 폴(203)과 차단 요소(261) 사이에서 피벗 스프링 또는 탄성 연결 요소일 수 있으며, 폴(203)에 의한 차단 요소(261)의 간접적인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가능성 있는 변형예는 도 1a에 나타낸 실시예의 로터리 래치 스프링(9)의 레그와 유사한 곡선 부분을 구비한 레그(227)를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서 해당 부분의 곡률은 바람직하게는 레그를 따라 변화하며, 특히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의 피벗 축(234)에 대해 번갈아 오목하고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도 5에 나타낸 폴(203)의 구성에서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과 차단 요소(261)는 공통 피벗 축(234) 둘레에 장착되는데, 이는 안전 장치(201)의 보다 컴팩트한 디자인과 도 4에 나타낸 로터리 래치 스프링(109)의 피벗 축(134)의 절감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중량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안전 장치(1) 및 안전 장치(101)와 대조적으로, 도 5에 나타낸 안전 장치(201)는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으로서 스파이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로터리 래치 스프링들(9 및 109)이 각각 레그 스프링들로 구현되어 있는 안전 장치(1 및 101)에 비하여 안전 장치(201)의 보다 좁은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안전 장치(201)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이 대략 폴(203)과 차단 요소(261)가 함께 가지는 너비와 같은 너비를 가지는 것이 명확하다. 스파이럴 스프링으로서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의 구성은 특히 공통 피벗 축(234) 상에서의 폴(203),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 및 차단 요소(261)의 공통된 수용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베어링들이 조인트 피벗 축(234)을 위한 베어링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피벗 축(234)이 보다 짧을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성품을 수용하기 위해 피벗 축(234)의 더 높은 베어링 하중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레그 스프링과 비교하여 특히 스파이럴 스프링으로서 특히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의 보다 좁은 디자인이 유리하다.
도 5는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의 내측 단부(228)가 연결 요소(263)에 대하여 놓여 있고 이것에 대해 지지된다. 연결 요소(263)는 유리하게는 내측 단부(228)를 폴(203) 및 차단 요소(261)와 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단부(228)와 폴(203) 사이의 형상 맞춤 연결이 제공된다. 내측 단부(228)와 폴(203) 사이의 연결에 의해 폴(203)과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은 바람직하게 상호 지지되는데, 이에 의해 폴(203)과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폴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품들이 절감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중량 및 필요한 안전 장치(201)의 구조적인 공간이 절감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구성과 조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는 록 케이스(167) 상에 지지되고 있는 연결 요소(263)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 요소(263)는 바람직하게는 차단 요소(261)를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 또는 폴(203)과 탄성적으로, 그리고 압력 맞춤 방식으로 연결한다. 이 구성에서, 연결 요소(263)는 또한 안전 장치(101)의 차단 스프링 요소(163)의 기능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요소(263)는 한편으로는 폴(203)을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에 대해 지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단 스프링 요소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결 요소(263)는 폴(203)과 로터리 래치 스프링(209)을 제1 단부 상에 수용하고 차단 요소(261)를 제2 단부 상에 수용할 수 있으며 두 단부들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장치(201)는 폴(203)의 붐과 상호 작용하는 트리거링 레버(168)를 구비한다. 트리거링 레버(168)의 잠금 회전 방향(211)으로의 회전은 폴(203)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잠금 회전 방향(211)과 대조적인 폴(203)의 회전을 초래한다. 트리거링 레버(168)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로터리 래치(204)를 헐거워지도록 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프리 래칭 위치로부터 로터리 래치(204)를 헐거워지도록 하기 위해 수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Claims (10)

  1. 록 홀더(2; 102; 202), 폴(3; 103; 203) 및 로터리 래치(4; 104; 204)를 구비한 차랑용 안전 장치(1; 101; 201)로서, 로터리 래치(4; 104; 204)는 로드 암(5; 105; 205), 캐치 암(6; 106; 206), 개방 회전 방향(7; 107; 207), 폐쇄 회전 방향(8; 108; 208), 프리 래칭 위치 및 메인 래칭 위치를 가지되, 폴(3; 103; 203)은 프리 래칭 위치에서 캐치 암(6; 106; 206) 상에 래치되어 있고 메인 래칭 위치에서 로드 암(5; 105; 205) 상에 래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 장치(1; 101; 201)는 스프링 강도를 가진 로터리 래치 스프링을 구비하되, 로터리 래치 스프링(9; 109; 209)은 개방 회전 방향(7; 107; 207)으로 로터리 래치(4; 104; 204) 상에 작용하며, 로터리 래치 스프링(9; 109; 209)은 적어도 한 부분을 가지는 레그를 구비하되, 상기 부분은 메인 라쳇 위치에 있는 부분에서 거의 수평한 배열을 가지며 록 홀더(2; 102; 202)에 접하여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1; 101; 201).
  2. 제1항에 있어서, 안전 장치(1; 101; 201)는 스프링 강도를 가진 폴 스프링(10; 110)을 구비하되, 폴 스프링(10; 110)은 폐쇄 회전 방향(11; 111; 211)으로 폴(3; 103; 203) 상에 작용하며,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로터리 래치(4; 104; 204)의 고정 해제의 경우에 로터리 래치(4; 104; 204)를 프리 래칭 위치로 라쳇팅하는 것이 보장되도록 로터리 래치 스프링(9; 109; 209)의 스프링 강도에 맞추어 조정되는 폴 스프링(10; 110)의 스프링 강도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1; 101; 20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전 장치(1; 101; 201)는 로터리 래치(4; 104; 204)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메커니즘(21)을 구비하되, 지연 메커니즘(21)은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개방 회전 방향(7; 107; 207)으로의 회전 래치(4; 104; 204)의 회전 동안 프리 래칭 위치로의 로터리 래치(4; 104; 204)의 라쳇팅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1; 101; 20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메커니즘(21)은 로터리 래치(4; 104; 204)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면(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1; 101; 20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3; 103; 203)은 제1 활성면(41)을 구비하고 캐치 암(6; 106; 206)은 대응면을 구비하며, 프리 래칭 위치에 이르기까지 폐쇄 회전 방향(8; 108; 208)으로의 로터리 래치(4; 104; 204)의 회전 동안 제1 활성면(41)은 캐치 암(6; 106; 206)의 대응면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1; 101; 201).
  6. 제5항에 있어서, 로드 암(5: 105; 205)은 대응면을 구비하며, 메인 라쳇 위치에 이르기까지 로터리 래치(4; 104; 204)의 폐쇄 동안 상기 제1 활성면(41)은 캐치 암(5: 105; 205)의 대응면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1; 101; 20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3; 103; 203)은, 메인 라쳇 위치에 이르기까지 로터리 래치(4; 104; 204)의 폐쇄 동안 로드 암(5; 105; 205)의 대응면과 상호 작용하는 제2 활성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1; 101; 201).
  8. 제2항에 있어서, 로터리 래치 스프링(9; 109; 209)은 스파이럴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1; 101; 201).
  9. 삭제
  10. 제1항에 따른 안전 장치(1; 101; 201)의 개방 방법으로서,
    - 잠금 위치로부터 폴(3; 103; 203)을 편향시키는 단계;
    - 메인 라쳇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개방 회전 방향(7; 107; 207)으로 로터리 래치(4; 104; 204)를 회전시키는 단계;
    - 로터리 래치(4; 104; 204)를 지연시키는 단계;
    - 잠금 위치의 방향으로 폴(3; 103; 203)을 움직이는 단계;
    - 프리 래칭 위치에 로터리 래치(4; 104; 204)를 라쳇팅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안전 장치(1; 101; 201)의 개방 방법.
KR1020187020446A 2015-12-22 2016-11-24 로터리 래치 및 프리 래칭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를 가진 차량용 안전 장치 Active KR102704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22575.1 2015-12-22
DE102015122575.1A DE102015122575A1 (de) 2015-12-22 2015-12-22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Drehfalle und einer Vorraststellung und einer Hauptraststellung
PCT/DE2016/100547 WO2017108021A1 (de) 2015-12-22 2016-11-24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drehfalle und einer vorraststellung und einer hauptrast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036A KR20180095036A (ko) 2018-08-24
KR102704704B1 true KR102704704B1 (ko) 2024-09-10

Family

ID=5754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446A Active KR102704704B1 (ko) 2015-12-22 2016-11-24 로터리 래치 및 프리 래칭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를 가진 차량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14995B2 (ko)
EP (1) EP3394371B1 (ko)
JP (1) JP2019505703A (ko)
KR (1) KR102704704B1 (ko)
CN (1) CN108474227B (ko)
DE (1) DE102015122575A1 (ko)
WO (1) WO2017108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8265A1 (de) * 2017-04-19 2018-10-25 Kiekert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CN111364862B (zh) * 2018-12-26 2022-06-1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前机舱盖锁和车辆
FR3102498B1 (fr) * 2019-10-29 2021-12-10 U Shin France Serrure pour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DE102020108310A1 (de) * 2020-03-25 2021-09-30 Kiekert Aktiengesellschaft Haubenschloss - Zwangsmitnahme SPK durch DRF bei Doppelhub
JP7552972B2 (ja) * 2020-11-02 2024-09-1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ロック装置
CN112664075A (zh) * 2020-12-31 2021-04-16 镇江仕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罩盖
JP7319317B2 (ja) 2021-03-29 2023-08-01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車両用ロック装置
JP7319318B2 (ja) * 2021-03-29 2023-08-01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車両用ロック装置
DE102022105230B3 (de) 2022-03-07 2023-06-29 Audi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zum Freigeben und/oder Arretieren eines Schließbolze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5361A1 (en) * 2004-03-06 2005-09-22 Fisher Sidney E Actuator assembly
KR101299924B1 (ko) * 2012-10-22 2013-08-27 주식회사 리한도어 차량용 도어래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15555B (it) * 1977-09-12 1986-02-03 Mecanismes Comp Ind De Serratura particolarmente per porte di autoveicoli
DE3126810C2 (de) * 1981-07-08 1985-06-05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Gabelfalle und Sperrklinke
DE3839568C3 (de) 1988-11-24 1999-03-18 Ewald Witte Gmbh & Co Kg Verschluß für Türen oder Klappen
DE4131891A1 (de) * 1991-09-25 1993-04-01 Bosch Gmbh Robert Sperrvorrichtung fuer tueren eines kraftfahrzeugs
DE19902561C5 (de) * 1999-01-22 2009-02-19 Witte-Velbert Gmbh & Co. Kg Verschluß mit Sperrklinke und Drehfalle
DE19929103B4 (de) 1999-06-24 2006-12-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schluss für Türen, Hauben, Klappen od.dgl., insbesondere Heckverschluss eines Fahrzeugs
DE19937405B4 (de) 1999-08-07 2011-06-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schluß für eine klappbare Haube eines Kraftfahrzeugs
FR2906291B1 (fr) 2006-09-26 2008-12-19 Coutier Moulage Gen Ind Serrure motorisee a double came pour un volet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ou analogue.
DE202008000560U1 (de) 2008-01-14 2008-03-20 Wagon Automotive Gmbh Haubenschloss zur Sicherung einer Haube
DE102009037037B4 (de) * 2009-08-13 2018-10-18 BÖCO Böddecker & Co.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DE102010062700A1 (de) * 2010-12-09 2012-06-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oss mit einer Schlossfalle und einem Fangelement für eine Front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1003808A1 (de) * 2011-02-08 2012-08-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oss mit einem Fangelement an einer Schlossfalle für ein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JP5930273B2 (ja) * 2011-12-02 2016-06-0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DE102011121542B4 (de) * 2011-12-17 2022-06-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 Klappe eines Fahrzeugs, Verfahren zum Betreiben
KR20140139518A (ko) * 2012-03-01 2014-12-05 마그나 클로져 인크. 후드와 같은 마감 패널을 위한 이중 풀 래치
DE102012004792A1 (de) * 2012-03-07 2013-09-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Notentriegelbares Verriegelungssystem, Fahrzeug dazu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Verriegelungssystems
JP6007745B2 (ja) * 2012-11-20 2016-10-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駆動装置
KR101560969B1 (ko) * 2014-03-11 2015-10-15 평화정공 주식회사 후드래치장치
DE102015122579A1 (de) * 2015-12-22 2017-06-22 Kiekert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Drehfalle und einer Schutzl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5361A1 (en) * 2004-03-06 2005-09-22 Fisher Sidney E Actuator assembly
KR101299924B1 (ko) * 2012-10-22 2013-08-27 주식회사 리한도어 차량용 도어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74227B (zh) 2020-10-13
WO2017108021A1 (de) 2017-06-29
KR20180095036A (ko) 2018-08-24
DE102015122575A1 (de) 2017-07-13
US11214995B2 (en) 2022-01-04
EP3394371A1 (de) 2018-10-31
EP3394371B1 (de) 2020-06-17
JP2019505703A (ja) 2019-02-28
CN108474227A (zh) 2018-08-31
US20190003217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04704B1 (ko) 로터리 래치 및 프리 래칭 위치와 메인 라쳇 위치를 가진 차량용 안전 장치
KR102541353B1 (ko) 로터리 래치 및 보호 위치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 장치
CN106460415B (zh) 用于机动车锁的致动装置
EP2795022B1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door handle
US9534424B2 (en) Actu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lock
CN205206529U (zh) 车门和用于车门的闩锁组件
US11162276B2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rotary latch and an ejection spring
EP2318628B1 (en) Handle with safety device for vehicles
JP5601837B2 (ja) 安全装置を備えた車両ハンドル
EP3067493B1 (en) Motor vehicle lock
JP2016510093A (ja) 自動車用のラッチ
US8814232B2 (en) Outer door handle for an automobile
US11041329B2 (en) Clos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hood
JP2016514223A (ja) 自動車用のラッチ
WO2008068259A1 (en) Vehicle handle with a security device
CN107109869B (zh) 用于机动车辆门的闩锁
US10577837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KR102055904B1 (ko) 셔터 또는 도어용 록
US20120067657A1 (en) Handle for a door leaf of an automobile
JP4651009B2 (ja) 対震錠止機構
JP2005061199A (ja) 対震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