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39518A - 후드와 같은 마감 패널을 위한 이중 풀 래치 - Google Patents

후드와 같은 마감 패널을 위한 이중 풀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518A
KR20140139518A KR1020147027108A KR20147027108A KR20140139518A KR 20140139518 A KR20140139518 A KR 20140139518A KR 1020147027108 A KR1020147027108 A KR 1020147027108A KR 20147027108 A KR20147027108 A KR 20147027108A KR 20140139518 A KR20140139518 A KR 20140139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wl
release lever
lockout
pole
ratch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조셉 페리
존 클라크
존 로버트 스캇 미첼
일리아 메이만
Original Assignee
마그나 클로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0814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13951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그나 클로져 인크. filed Critical 마그나 클로져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13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51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14Hood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Leve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일 태양에서, 차량용 마감 패널을 위한 래치가 제공되고, 래칫, 폴, 해제 레버 및 연장 부재를 포함한다. 래칫은 일차 폐쇄 위치, 이차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폴은 일차 로킹 위치, 이차 로킹 위치 및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해제 레버는 홈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폴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는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선택된 양의 도달 범위를 갖는다.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연장 부재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해제 레버의 도달 범위를 연장시키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Description

후드와 같은 마감 패널을 위한 이중 풀 래치{DOUBLE PULL LATCH FOR CLOSURE PANEL SUCH AS HOOD}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내용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2012년 3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605,310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본 개시는 마감 패널(closure panel)을 위한 래치(latch)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후드 래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후드 등을 위한 래치는 전형적으로 두 단계로 작동된다. 제1 단계 중, 래치를 일차 폐쇄 위치로부터 이차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손잡이가 차량 내부에서 작동된다. 래치를 완전히 해제시키기 위해, 차량 탑승자는 전형적으로 차량에서 나와 후드 아래에 있는 레버를 작동시켜야 한다. 이는 몇몇 상황에서 불편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차량용 마감 패널을 위한 래치가 제공되고, 래칫(ratchet), 폴(pawl), 해제 레버 및 연장 부재를 포함한다. 래칫은 일차 폐쇄 위치, 이차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폴은 일차 로킹 위치, 이차 로킹 위치 및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일차 로킹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해제 레버는 홈(home)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홈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폴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선택된 양의 도달 범위(reach)를 갖는다.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연장 부재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해제 레버의 도달 범위를 연장시키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다른 태양에서, 차량용 마감 패널을 위한 래치가 제공되고, 래칫, 폴, 해제 레버 및 이중 풀 레버(double pull lever)를 포함한다. 래칫은 일차 폐쇄 위치, 이차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폴은 일차 로킹 위치, 이차 로킹 위치 및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일차 로킹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해제 레버는 홈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홈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이중 풀 레버는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중 풀 레버가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로의 이동이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킨다. 이중 풀 레버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로의 이동이 폴을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킨다. 폴이 해제 레버에 의해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될 때, 이중 풀 레버는 작동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된다.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를 향한 이동이 이중 풀 레버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 다른 태양에서, 차량용 마감 패널을 위한 래치가 제공되고, 래칫, 폴, 해제 레버 및 폴 로크아웃 부재(pawl lockout member)를 포함한다. 래칫은 일차 폐쇄 위치, 이차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폴은 일차 로킹 위치, 이차 로킹 위치 및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일차 로킹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해제 레버는 홈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홈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로의 제1 이동이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킨다.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로의 제2 이동이 폴을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킨다. 폴 로크아웃 부재는 로크아웃 위치와 비-로크아웃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로크아웃 위치에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을 로킹해제 위치로 유지시킨다. 비-로크아웃 위치에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의 일차 로킹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폴 로크아웃 레버가 비-로크아웃 위치에 있는 경우, 폴은 해제 레버를 작동시킴으로써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일차 로킹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의 작동은 폴을 로킹해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고, 폴 로크아웃 레버가 폴을 로크아웃하게 하여, 폴이 로킹해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래칫이 개방 위치에 도달할 때, 폴 로크아웃 레버는 폴을 해제시켜, 폴이 래칫과 맞물려 그것을 이차 또는 일차 폐쇄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허용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차량용 마감 패널을 위한 래치가 제공된다. 래치는 하우징과, 래칫 - 상기 래칫은 래칫이 스트라이커(striker)를 하우징의 피시마우스(fishmouth) 내에서 제1 깊이로 유지시키는 일차 폐쇄 위치, 래칫이 스트라이커를 하우징의 피시마우스 내에서 제2 깊이로 유지시키는 이차 폐쇄 위치, 및 래칫이 래치로부터 스트라이커의 해제를 허용하도록 위치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해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됨 - 을 포함한다. 래칫은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래치는 또한 폴 - 상기 폴은 폴이 래칫을 일차 폐쇄 위치로 유지시키는 일차 로킹 위치, 폴이 래칫을 이차 폐쇄 위치로 유지시키는 이차 로킹 위치, 및 폴이 래칫이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해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됨 - 을 포함한다. 폴은 일차 로킹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래치는 또한 홈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해제 레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을 위해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해제 레버를 포함한다. 해제 레버는 홈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래치는 또한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해 해제 레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 부재를 포함한다. 폴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연장 부재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되어,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선택된 양의 도달 범위를 해제 레버에 제공한다.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연장 부재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해제 레버의 도달 범위를 연장시키도록 연장 부재가 해제 레버와 폴 사이에 위치되는 작동 위치로 연장 부재 편향 부재의 편향 하에서 이동가능하다.
이제 전술한 태양 및 다른 태양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내의 래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차 폐쇄 위치에 있는,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해제 레버의 작동을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래칫의 이차 폐쇄 위치로의 이동을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이차 폐쇄 위치에 있는 래칫과 함께 해제 레버의 해제를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해제 레버의 제2 작동 중 해제 레버의 초기 이동량을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해제 레버의 제2 작동의 완료를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래칫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개방 위치로의 래칫과 함께 해제 레버의 해제를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일차 폐쇄 위치에 있는, 선택적 폴 로크아웃 부재를 포함한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이차 로킹 위치에 있는 폴과 이차 폐쇄 위치를 향한 래칫의 이동을 도시한, 도 11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로킹해제 위치를 향한 폴의 이동을 도시한, 도 11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폴 로크아웃 부재의 로크아웃 위치로의 이동을 도시한, 도 11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래칫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도시한, 도 11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폴의 리셋 위치로의 이동을 도시한, 도 11에 도시된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래치를 위한 대안적인 구성의 평면도이다.
스트라이커(22)가 있는 후드(13)를 구비하는 차량(11)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한다. 스트라이커(22)는 차량(10)의 차체(15에 도시됨) 상에 장착되는 래치(10)에 의해 포획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래치(10)는 래칫(12), 폴(14), 해제 레버(16), 이중 풀 레버(18) 및 하우징(20)(그 일부가 명확함을 위해 생략됨)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도면은 분해도이며, 따라서 래치의 요소는 그 설치 위치에서 도 2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12)은 하우징(2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도 3에 도시된 일차 폐쇄 위치, 도 6에 도시된 이차 폐쇄 위치, 및 도 9에 도시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래칫(12)의 선회 운동은 하우징(20)에 장착되는 핀(25)(도 3)을 중심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일차 및 이차 폐쇄 위치에서, 래칫(12)은 차량 후드(13) 또는 다른 마감 패널 상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22)의 래치(10)로부터의 후퇴를 방지한다. 일차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래칫(12)은 스트라이커(22)를 하우징(20)의 피시마우스(fishmouth)(23에 도시됨) 내로 이차 폐쇄 위치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깊이 유지시킨다. 따라서, 일차 폐쇄 위치에서, 래칫(12)은 스트라이커(22)를 하우징(20)의 피시마우스(23) 내에서 제1 깊이로 유지시키고, 이차 폐쇄 위치에서, 래칫(12)은 스트라이커(22)를 하우징(20)의 피사마우스(23) 내에서 제2 깊이로 유지시킨다.
래칫(12)은 래칫 편향 부재(24)(도 2)에 의해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래칫 편향 부재(24)는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은 핀(25) 주위로 연장될 수 있고, 핀(25) 내의 슬롯(25a)(도 3) 내에 고정되는 제1 단부(24a)(도 2)와, 래칫(12) 상의 맞물림 부재(12a)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제2 단부(24b)를 구비할 수 있다.
폴(14)은 하우징(2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차 로킹 위치(도 3), 이차 로킹 위치(도 6) 및 로킹해제 위치(도 9)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폴(14)의 선회 운동은 폴 축으로 지칭될 수 있는 축(A)(도 4에 도시됨)을 한정하는 핀(27)(도 3)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차 로킹 위치(도 3)에서, 폴(14) 상의 폴 로킹 표면(31)이 래칫(12) 상의 일차 로킹 표면(30)과 맞물려 래칫(12)을 일차 폐쇄 위치로 유지시킨다. 이차 로킹 위치(도 6)에서, 폴 로킹 표면(31)은 래칫(12) 상의 이차 로킹 표면(32)과 맞물려 래칫(12)을 이차 폐쇄 위치로 유지시킨다. 로킹해제 위치(도 9)에서, 폴(14)은 래칫(12)이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폴(14)은 폴 편향 부재(26)(도 2)에 의해 일차 로킹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폴 편향 부재(26)는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은 핀(27) 주위로 연장될 수 있고, 하우징(20)의 일부인 플레이트(20b) 상의 이어(ear)(20a) 내의 구멍을 통해 고정되는 제1 단부(26a)와, 맞물림 탭(14a)과 맞물리는 제2 단부(26b)를 구비할 수 있다. 맞물림 탭(14a)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16)와 이중 풀 레버(18)에 의해 맞물릴 수 있도록 폴(14)의 일반 평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해제 암(14b)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된다.
해제 레버(16)는 하우징(2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도 3에 도시된 홈(home)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해제 레버(16)의 선회 운동은 그것을 중심으로 폴(14)이 선회하는 동일한 핀(27)(도 3)과 축(A)(도 4)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축(A)은 해제 레버 축(A)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해제 레버(16)의 작동(즉, 해제 레버(16)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은 아래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폴(14)의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의 또는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구동시킨다. 해제 레버(16)는 28에 도시된 해제 레버 편향 부재에 의해 홈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해제 레버 편향 부재(28)는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은 핀(27) 주위로 연장될 수 있고, 하우징(20)으로부터의 플레이트(20b) 상의 이어(20a) 내의 구멍을 통해 고정되는 제1 단부(28a)와, 해제 레버(16) 내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제2 단부(28b)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33)(도 1 및 도 3)이 해제 레버(16)를 차량의 객실(37에 도시됨) 내의 작동 손잡이(35)(도 1) 등에 연결할 수 있다. 손잡이(35)의 작동은 해제 레버(16)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중 풀 레버(18)는 해제 레버(16)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도 3에 도시된 비작동 위치와 도 7에 도시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비작동 위치에서, 이중 풀 레버(18)는 해제 레버(16)가 작동될 때 폴(14)의 이동을 구동시키지 않는다. 작동 위치에서, 이중 풀 레버(18)는 아래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16)가 작동될 때 폴(14)의 이동을 구동시킨다. 이중 풀 레버(18)는 이중 풀 레버 편향 부재(39)(도 2 및 도 3)에 의해 작동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이중 풀 레버 편향 부재(39)는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은 핀(27) 주위로 연장될 수 있고, 해제 레버(16) 내의 노치(16a) 내에 고정되는 제1 단부(39a)와, 이중 풀 레버(18) 내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제2 단부(39b)를 구비할 수 있다.
래치(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 폐쇄 위치에 위치될 때, 이중 풀 레버(18)는 2개의 특징부에 의해 비작동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된다. 하나의 특징부는 해제 레버(16)가 홈 위치에 있을 때 이중 풀 레버(18)와 맞물려 이중 풀 레버(18)를 비작동 위치로 유지시키는 하우징(20) 상의 이중 풀 레버 맞물림 표면(29)이다. 이중 풀 맞물림 표면(29)이 또한 해제 레버(16)에 대한 홈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정지 표면의 역할을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하우징(20) 상의 다른 곳의 다른 표면이 해제 레버 편향 부재(28)의 가압 하에서 해제 레버(1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중 풀 레버(18)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2 특징부는 폴(14) 그 자체 상의 해제 암(14b)이다. 폴(14)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폴(14) 상의 해제 암(14b)은 이중 풀 레버(18)가 폴(14)과 해제 레버(16) 사이에 들어가 해제 레버(16)로부터 폴(14)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래치(1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래치(10)는 도 3에 일차 폐쇄 위치로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폴(14)은 래칫(12) 상의 일차 로킹 표면(30)과 맞물려 래칫(12)을 일차 폐쇄 위치로 유지시킨다. 객실(37)(도 1) 내부의 차량 탑승자가 손잡이(35)를 잡아당기면, 이는 해제 레버(16)를 도 4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도 3에 도시된 도면에서) 구동시킨다.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 이중 풀 레버(18)는 비작동 위치에 있다. 그러나, 폴(14)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기 때문에, 폴(14)은 해제 레버(16)가 작동될 때 즉시 해제 레버(16)에 도달하고 그것과 맞물릴 수 있다. 해제 레버(16)의 작동은 폴(14)을 도 5에 도시된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킨다. 이는 래칫(12)이 래칫 편향 부재(24)의 편향 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 폐쇄 위치로부터 이차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16)에 대한 작동 위치는 하우징(20) 상의 해제 레버 제한 표면(41)에 의해 설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해제 레버 제한 표면(41)이 해제 레버(16)에 대한 작동 위치를 결정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해제 레버(16)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 결과, 해제 레버(16)가 손잡이(35)의 제1 작동시 폴(14)을 이차 로킹 위치를 넘어 직접 구동시킬 수 없다.
해제 레버(16)를 작동시킨 후, 차량 탑승자는 손잡이(35)를 해제시켜 해제 레버(16)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위치로 복귀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위치는 래치(10)에 대한 이차 폐쇄 위치이다. 이 위치에서, 래칫(12)은 래칫(12)의 이차 로킹 표면(32)과 폴(14)의 맞물림에 의해 이차 로킹 위치로 유지된다. 폴(14)의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의 이동 중(예컨대, 해제 레버(16)의 작동으로부터), 이중 풀 레버(18)는 작동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되는데, 왜냐하면 그러한 이동이 전술된 바와 같이 폴(14) 그 자체 상의 해제 암(14b)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이중 풀 레버(18)의 작동 위치로의 그러한 이동이 다른 수단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 가능하다.
해제 레버(16)가 홈 위치에 있을 때, 이중 풀 레버(18)는 폴(14)의 위치에 상관없이, 이중 풀 레버 맞물림 표면(29)에 의해 비작동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해제 레버(16)가 홈 위치로(도시된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해제 레버(16)는 이중 풀 레버(18)를 표면(29)과 맞물리게 한다. 해제 레버(16)를 해제 레버 편향 부재(28)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힘은 이중 풀 레버 편향 부재(39)로부터의 임의의 저항력을 극복하여, 이중 풀 레버(18)가 편향 부재(39)의 편향에 대항하여 비작동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래치를 완전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 래치(10)로부터 스트라이커(22)를 완전히 해제시키기 위해, 차량 탑승자는 다시 손잡이(35)를 사용하여 해제 레버(16)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6의 이차 로킹 위치에 있는 폴(14)이 더 이상 이중 풀 레버(18)의 작동 위치로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일단 해제 레버(16)의 도 6에 도시된 홈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이중 풀 레버(18)가 이중 풀 레버 맞물림 표면(29)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면(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풀 레버(18)는 편향 부재(39)의 편향 하에서 작동 위치로(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작동 위치에서, 이중 풀 레버(18)는 해제 레버(16)의 작동 위치(도 8)로의 이동이 폴(14)을 이차 로킹 위치(도 6 및 도 7)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도 8)로 이동하게 구동시키도록(이중 풀 레버(18)를 통해) 해제 레버(16)의 유효 도달 범위(effective reach)를 연장시킨다. 폴(14)의 로킹해제 위치로의 이동은 래칫 편향 부재(24)(도 2)의 편향 하에서 래칫(12)의 도 9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여, 스트라이커(22)가 래칫(12)으로부터 이탈되고 후드(13)(도 1)가 개방되도록 허용한다.
손잡이(35)의 해제시, 해제 레버(1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위치로 복귀되도록 허용된다. 도 10은 래치에 대한 개방 위치에 해당한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시 홈 위치로의 해제 레버(16)의 이동은 이중 풀 레버(18)를 다시 맞물림 표면(29)과 맞물리게 하며, 이는 이중 풀 레버(18)를 비작동 위치에 그리고 폴(14)의 경로 밖에 있게 한다. 또한, 폴(14)은 래칫(12) 상의 활주 표면(43)(도 10)과 맞물리게 폴 편향 부재(26)(도 3)에 의해 편향되도록 허용된다.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서, 래치(10)는 피시마우스(23) 내로의 스트라이커(22)의 도입시 다시 폐쇄될 준비가 되어 있다. 그러한 도입이 일어날 때(예컨대, 차량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후드(13)(도 1)를 닫을 때), 스트라이커(22)는 래칫(12)을 다시 도 6에 도시된 이차 폐쇄 위치로 그리고 궁극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일차 폐쇄 위치로 구동시킨다. 래칫(12)의 그러한 이동 중, 폴(14)은 폴 편향 부재(26)(도 2)의 편향 하에서 도 10에 도시된 로킹해제 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된 이차 로킹 위치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일차 로킹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이중 풀 레버(18)가 맞물림 표면(29)에 의해 비작동 위치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중 풀 레버(18)는 폴(14)의 도 3에 도시된 일차 로킹 위치로의 복귀를 허용한다.
래치(10)가 도 6에 도시된 이차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차량 탑승자는 그들이 후드(13)를 완전히 열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고, 후드(13)를 눌러 그것을 완전히 닫을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폴(14)의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일차 로킹 위치로의 이동은 이중 풀 레버(18)에 의해 허용되는데, 왜냐하면 이중 풀 레버(18)가 맞물림 표면(29)에 의해 비작동 위치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폴(14)이 폴(14)의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의 이동 중(그리고 래칫(12)의 일차 폐쇄 위치로부터 이차 폐쇄 위치로의 이동 중) 이중 풀 레버(18)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개시되었다. 대안적으로, 래칫(12) 그 자체가 래칫(12)의 일차 폐쇄 위치로부터 이차 폐쇄 위치로의 이동 중 폴(14)의 이동 동안 이중 풀 레버(18)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래칫(12)은 이중 풀 레버(18)의 작동 위치로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이중 풀 레버(18)와 맞물릴 수 있는 암을 구비할 수 있다. 암은 래칫(12)의 이차 폐쇄 위치로의 이동 중 이중 풀 레버(18)와 맞물리고 그것을 차단할 것이며, 이때 암은 이중 풀 레버(18)가 편향 부재(39)의 가압 하에서 폴(14) 상의 해제 암(14b)의 뒤에 놓이도록 허용하기 위해 이중 풀 레버(18)로부터 이탈될 것이다.
래치(10)의 사용은 탑승자가 차량 내부의 레버 또는 손잡이를 잡아당긴 다음에 차량에서 나와 후드 또는 다른 마감 패널로 가서, 탑승자의 손을 더럽힐 수 있고 달리 불편할 수 있는, 제2 레버를 그들의 손으로 수동으로 찾아 작동시킴으로써 후드 또는 다른 마감 패널을 해제시킬 필요를 없앤다.
또한, 이러한 래치(10)는 손잡이(35)를 한 번만 작동시킨 후 탑승자가 우발적으로 후드(13)를 완전히 여는 상황을 억제한다.
요소(18)가 이중 풀 레버로서 기술되었지만, 요소(18)는 또한 연장 부재로 지칭될 수 있고, 일 태양에서 다음과 같이 작동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폴(14)이 일차 로킹 위치(도 3)에 있을 때, 해제 레버(16)는 해제 레버(16)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14)을 일차 로킹 위치(도 3)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도 6)로 구동시키기 위한 선택된 양의 도달 범위를 갖는다. 폴(14)이 이차 로킹 위치(도 6)에 있을 때, 연장 부재(18)는 해제 레버(16)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14)을 이차 로킹 위치(도 6)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도 9)로 구동시키기 위해 해제 레버(16)의 도달 범위를 연장시키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요소(18)를 연장 부재로 지칭할 때, 편향 부재(39)는 연장 부재 편향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해제 레버(16)가 폴(14)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해제시킬 때 동일한 각거리(angular distance)를 이동하고, 폴(14)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해제시킬 때 이동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해제 레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 암(도 4에 MA로 도시됨)이 해제 레버(16)가 폴(14) 상의 해제 암(14b)과 직접 맞물려 폴(14)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이동시킬 때 해제 레버(16)가 이중 풀 레버(18)를 통해 해제 암(14b)과 맞물려 폴(14)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때와 대략 동일한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들 두 특징 각각은 손잡이(35)를 처음으로 잡아당길 때(래치(10)를 이차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손잡이(35)를 두 번째로 잡아당길 때(래치(1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와 유사한 래치(10)에 대한 느낌을 차량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래치(10)에 대한 일관된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사용자 경험은 래치(10)의 느낌이 손잡이 첫 번째 잡아당김과 두 번째 잡아당김 사이에서 매우 상이한 래치에 비해 개선된다.
로크아웃 레버(50)가 폴(14)의 이동과 간섭되지 않는 비-로크아웃 위치(도 11)와 로크아웃 레버(50)가 폴(14)의 이동과 간섭되는 로크아웃 위치(도 14)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선택적 폴 로크아웃 레버(50)를 갖춘 래치(10)를 도시한 도 11을 참조한다. 래치(10)는 또한 로크아웃 레버(50)를 로크아웃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위치되는 로크아웃 레버 편향 부재(51)를 포함한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래치(10)의 구성요소 중 일부는 도 2 내지 도 10의 그 상대 구성요소와 상이한 외양을 가질 수 있지만, 그들 부품에 의해 동일한 기능이 수행되고, 외양의 차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바를 제외하고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후드(13) 상의 적설 하중으로부터 후드(13)(도 1)를 누르는 중량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래칫(12)에 대한 래칫 편향 부재(24)(도 2)의 힘과 후드(13)(따라서 스트라이커(22))에 대한 후드 스프링의 힘은 래칫(12)을 이차 폐쇄 위치로 구동시키기에는 충분할 수 있지만, 래칫(12)을 이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구동시키기에는 세기가 불충분할 수 있다. 이의 한가지 이유는 래칫(12)에 가해지는 힘이 이차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보다 약하다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칫 편향 부재(24)로부터의 스프링력은 편향 부재(24)가 그 휴지 위치(그 중립 위치로도 지칭됨)를 향해 회전할 때 점차 약해진다. 따라서, 래칫(12)이 이차 폐쇄 위치에 있고, 폴(14)을 로킹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손잡이(35)가 두 번째로 잡아당겨질 때, 래칫(12)은 후드(13)(도 1) 상의 적설 하중으로 인해 눈에 띄게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래칫(12)은 여전히 이차 폐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래칫(12)이 여전히 이차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폴 로크아웃 레버(50)는 차량 탑승자가 차량(11) 내부의 손잡이(35)를 놓을 때 폴(14)이 래칫(12) 상의 이차 로킹 표면(32)과 다시 맞물리지 않게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후드(13)가 손잡이(35)의 작동시 들어올려지지 않았다 하더라도, 탑승자는 차량(11)에서 나와 후드(13)를 수동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탑승자가 손잡이(35)를 놓을 때 폴(14)이 제2 로킹 표면(32)과 다시 맞물리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으면, 폴(14)은 이차 로킹 위치로 복귀되고 만약 래칫(12)이 이차 로킹 위치를 떠나지 않았으면 래칫(12) 상의 이차 로킹 표면(32)과 맞물릴 수 있다.
래치(10)가 일차 페쇄 위치에 있을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로킹 표면(31)이 래칫(12) 상의 일차 로킹 표면(30)과 맞물려, 래칫(12)의 개방을 방지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폴 로크아웃 레버(50)는 비-로크아웃 위치에 있고, 폴(14) 상의 로크아웃 표면(52)과 맞물리지 않으며, 따라서 폴(14)의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의 그리고 그것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차량(11) 내의 손잡이(35)(도 1)가 잡아당겨질 때, 폴(14)은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된 이차 로킹 위치로 이동한다. 래칫(12)은 폴(14)이 래칫(12) 상의 이차 로킹 표면(32)과 맞물릴 때까지 회전한다(도 12에 도시된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도 12에서, 래칫(12)은 이차 폐쇄 위치를 향해 회전되어 도시된다. 폴(14)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폴 로크아웃 레버(50)는 비-로크아웃 위치로 유지되고, 로크아웃 표면(52)과 맞물리지 않으며, 따라서 여전히 폴(14)의 일차 로킹 위치로의 그리고 그것으로부터의 이동을 허용한다. 폴(14) 그 자체가 폴 로크아웃 부재(50)가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폴 로크아웃 레버(50)가 폴(14)을 로크아웃하는 위치로 도시된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지 못하도록 막는 폴(14) 상의 차단 표면(57)에 의해). 그러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재가 폴 로크아웃 레버(50)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35)(도 1)가 두 번째로 잡아당겨질 때, 폴(14)이 도 13에 도시된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된다. 폴(14)이 로킹해제 위치에 있고 비켜져 있는 상태에서, 로크아웃 레버(50)가 로크아웃 위치(도 14)로 이동하여, 탑승자가 손잡이(35)를 놓을 때 폴(14)이 로킹해제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이차 로킹 위치로 복귀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그 결과, 탑승자는 필요할 경우 차량(11)에서 나와 후드(13)를 수동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래칫(12)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이 도 15에 도시된다. 래칫(12)은 폴 로크아웃 레버(50) 상의 수용 표면(56)과 맞물릴 수 있는 폴 로크아웃 레버 불능화(disabling) 표면(54)을 그것 상에 구비한다. 래칫(12)이 이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폴 로크아웃 레버 불능화 표면(54)은 폴 로크아웃 레버(50)가 폴(14) 상의 로크아웃 표면(52)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폴 로크아웃 레버(50)와 맞물리고 그것을 구동시켜(도 15에 도시된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폴 로크아웃 부재(50)를 비-로크아웃 위치로 이동시켜, 폴(14)이 일차 로킹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제 폴 로크아웃 부재(50)로부터 벗어난 폴(14)은 폴(14)이 래칫(12) 상의 활주 표면(58)에 맞대어져 놓이는 리셋 위치로 이동한다. 일단 스트라이커(22)가 하우징(20)의 피시마우스(23) 내로 재도입되면, 스트라이커(22)는 래칫(12)을 일차 폐쇄 위치로 구동시키며, 이는 폴(14)이 일차 로킹 위치로 이동하도록 허용하여 래칫(12)을 일차 폐쇄 위치로 고정시켜서 스트라이커(22)(도 11)를 유지시킨다.
폴 로크아웃 레버의 사용이 래치(10)의 특정 구성에 도시되지만, 폴 로크아웃 레버는 눈, 얼음 또는 어떤 다른 중량 소스로부터 하중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차량의 후드 또는 다른 마감 패널을 위한 이중 풀 래치의 다른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해제 레버(16)를 작동 손잡이(35)(도 1)에 연결하는 케이블(33)은 이중 풀 레버(18)가 위치되는 단부에 대향하는 해제 레버(16)의 단부에서 해제 레버(16)에 작용한다. 케이블(33)이 이중 풀 레버(18)가 장착되는 해제 레버(16)의 동일한 단부에 연결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 17을 참조한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몇몇 구성요소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유사한 구성요소에 비해 약간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수행되는 기능은 본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위의 설명이 복수의 실시예를 구성하지만, 본 개시가 첨부 특허청구범위의 올바른 의미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추가로 수정되고 변경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Claims (32)

  1. 차량용 마감 패널을 위한 래치이며,
    일차 폐쇄 위치, 이차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래칫 - 상기 래칫은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일차 로킹 위치, 이차 로킹 위치 및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폴 - 상기 폴은 일차 로킹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홈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해제 레버 - 상기 해제 레버는 홈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및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이중 풀 레버 - 상기 이중 풀 레버가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로의 이동이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키고, 이중 풀 레버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로의 이동이 폴을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킴 -
    를 포함하고,
    폴이 해제 레버에 의해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될 때, 이중 풀 레버는 작동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되고,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를 향한 이동이 이중 풀 레버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폴이 해제 레버에 의해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될 때, 이중 풀 레버는 작동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되고,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를 향한 이동이 이중 풀 레버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래치.
  3. 제1항에 있어서,
    폴이 해제 레버에 의해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될 때, 이중 풀 레버는 작동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폴에 의해 방지되고,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를 향한 이동이 이중 풀 레버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래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중 풀 레버는 해제 레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래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제 레버가 홈 위치에 있을 때 이중 풀 레버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중 풀 레버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래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제 레버에 대한 작동 위치를 결정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해제 레버의 이동을 방지하는 해제 레버 제한 표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래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크아웃 위치와 비-로크아웃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폴 로크아웃 부재를 더 포함하고, 로크아웃 위치에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을 로킹해제 위치로 유지시키며, 비-로크아웃 위치에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의 일차 로킹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래치.
  8. 제7항에 있어서,
    폴이 일차 및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폴 로크아웃 부재는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래치.
  9. 제7항에 있어서,
    폴이 일차 및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폴 로크아웃 부재는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폴에 의해 방지되는 래치.
  10. 제8항에 있어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의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의 이동 중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로크아웃 위치로 이동되는 래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래칫의 이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 중 로크아웃 위치로부터 비-로크아웃 위치로 이동되는 래치.
  12. 제8항에 있어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의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의 이동 중 폴 로크아웃 부재 편향 부재에 의해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로크아웃 위치로 이동되고,
    폴 로크아웃 부재는 래칫의 이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 중 래칫에 의해 로크아웃 위치로부터 비-로크아웃 위치로 이동되는 래치.
  13. 제11항에 있어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래칫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래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선택된 양의 도달 범위를 갖고,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이중 풀 레버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해제 레버의 도달 범위를 연장시키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래치.
  15. 차량용 마감 패널을 위한 래치이며,
    일차 폐쇄 위치, 이차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래칫 - 상기 래칫은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일차 로킹 위치, 이차 로킹 위치 및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폴 - 상기 폴은 일차 로킹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홈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해제 레버 - 상기 해제 레버는 홈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및
    연장 부재 - 상기 폴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선택된 양의 도달 범위를 갖고,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연장 부재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해제 레버의 도달 범위를 연장시키는 위치로 이동가능함 -
    를 포함하는 래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폴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연장 부재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해제 레버의 도달 범위를 연장시켜 폴을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키는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되는 래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폴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연장 부재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해제 레버의 도달 범위를 연장시켜 폴을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키는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폴에 의해 방지되는 래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 부재는 해제 레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래치.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제 레버에 대한 작동 위치를 결정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해제 레버의 이동을 방지하는 해제 레버 제한 표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래치.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크아웃 위치와 비-로크아웃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폴 로크아웃 부재를 더 포함하고, 로크아웃 위치에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을 로킹해제 위치로 유지시키며, 비-로크아웃 위치에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의 일차 로킹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래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폴이 일차 및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폴 로크아웃 부재는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래치.
  22. 제20항에 있어서,
    폴이 일차 및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폴 로크아웃 부재는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폴에 의해 방지되는 래치.
  23. 제21항에 있어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의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의 이동 중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로크아웃 위치로 이동되는 래치.
  24. 제23항에 있어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래칫의 이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 중 로크아웃 위치로부터 비-로크아웃 위치로 이동되는 래치.
  25. 제21항에 있어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의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의 이동 중 폴 로크아웃 부재 편향 부재에 의해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로크아웃 위치로 이동되고,
    폴 로크아웃 부재는 래칫의 이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 중 래칫에 의해 로크아웃 위치로부터 비-로크아웃 위치로 이동되는 래치.
  26. 제24항에 있어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래칫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비-로크아웃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래치.
  27. 차량용 마감 패널을 위한 래치이며,
    일차 폐쇄 위치, 이차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래칫 - 상기 래칫은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일차 로킹 위치, 이차 로킹 위치 및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폴 - 상기 폴은 일차 로킹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홈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해제 레버 - 상기 해제 레버는 홈 위치를 향해 편향되고,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로의 제1 이동이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키며, 해제 레버의 작동 위치로의 제2 이동이 폴을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킴 - ; 및
    로크아웃 위치와 비-로크아웃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폴 로크아웃 부재 - 상기 로크아웃 위치에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을 로킹해제 위치로 유지시키고, 비-로크아웃 위치에서, 폴 로크아웃 부재는 폴의 일차 로킹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함 -
    를 포함하는 래치.
  28. 차량용 마감 패널을 위한 래치이며,
    하우징;
    래칫 - 상기 래칫은 래칫이 스트라이커를 하우징의 피시마우스 내에서 제1 깊이로 유지시키는 일차 폐쇄 위치, 래칫이 스트라이커를 하우징의 피시마우스 내에서 제2 깊이로 유지시키는 이차 폐쇄 위치, 및 래칫이 래치로부터 스트라이커의 해제를 허용하도록 위치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해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래칫은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폴 - 상기 폴은 폴이 래칫을 일차 폐쇄 위치로 유지시키는 일차 로킹 위치, 폴이 래칫을 이차 폐쇄 위치로 유지시키는 이차 로킹 위치, 및 폴이 래칫이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해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폴은 일차 로킹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홈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해제 레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을 위해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해제 레버 - 상기 해제 레버는 홈 위치를 향해 편향됨 - ; 및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해 해제 레버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 부재 - 상기 폴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연장 부재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되어,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선택된 양의 도달 범위를 해제 레버에 제공하고, 폴이 이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연장 부재는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해제 레버의 도달 범위를 연장시키도록 연장 부재가 해제 레버와 폴 사이에 위치되는 작동 위치로 연장 부재 편향 부재의 편향 하에서 이동가능함 -
    를 포함하는 래치.
  29. 제28항에 있어서,
    폴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위치로 구동시킬 때 홈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해제 레버의 이동 거리는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킬 때 홈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해제 레버의 이동 거리와 대략 동일한 래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해제 레버가 폴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킬 때 해제 레버 축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 암이 해제 레버가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킬 때 해제 레버 축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 암과 대략 동일한 래치.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제 레버는 폴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킬 때 폴과 직접 맞물리고, 해제 레버는 폴을 이차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해제 위치로 구동시킬 때 연장 부재를 통해 폴과 맞물리는 래치.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이 일차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연장 부재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되어, 해제 레버의 홈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중 폴을 일차 로킹 위치로부터 이차 로킹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선택된 양의 도달 범위를 해제 레버에 제공하는 래치.
KR1020147027108A 2012-03-01 2013-03-01 후드와 같은 마감 패널을 위한 이중 풀 래치 Withdrawn KR20140139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05310P 2012-03-01 2012-03-01
US61/605,310 2012-03-01
PCT/CA2013/000194 WO2013127002A1 (en) 2012-03-01 2013-03-01 Double pull latch for closure panel such as h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518A true KR20140139518A (ko) 2014-12-05

Family

ID=4908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108A Withdrawn KR20140139518A (ko) 2012-03-01 2013-03-01 후드와 같은 마감 패널을 위한 이중 풀 래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145154B2 (ko)
EP (1) EP2820214B1 (ko)
JP (1) JP2015510060A (ko)
KR (1) KR20140139518A (ko)
CN (1) CN104204387B (ko)
BR (1) BR112014021230A2 (ko)
WO (1) WO2013127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04387B (zh) * 2012-03-01 2016-05-25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用于例如引擎盖的封闭板的双拉闩锁
KR101495643B1 (ko) * 2013-04-04 2015-02-25 평화정공 주식회사 이중 해제기능이 구비된 후드래치
CN103590675B (zh) * 2013-11-30 2016-05-11 烟台三环锁业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罩盖锁的双拉开启结构
EP3080369A1 (en) 2013-12-12 2016-10-19 Tofas Turk Otomobil Fabrikasi Anonim Sirketi A hood opening system
US10731388B2 (en) 2014-09-17 2020-08-04 Magna Closures Inc. Latch with double pull for closure panel
US20160168883A1 (en) * 2014-12-15 2016-06-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uble pull action vehicle hood latch
US10378252B2 (en) * 2015-02-25 2019-08-13 Magna Closures S.P.A. Dual motor latch assembly with power cinch and power release having soft opening function
US10941592B2 (en) * 2015-05-21 2021-03-09 Magna Closures Inc. Latch with double actu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0590683B2 (en) * 2015-06-15 2020-03-17 Magna Closures Inc. Vehicle hood latch and method of unlatching a vehicle hood
CN106869633B (zh) * 2015-12-11 2020-06-26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具有过撞击止动特征的闩锁
DE102015122575A1 (de) * 2015-12-22 2017-07-13 Kiekert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Drehfalle und einer Vorraststellung und einer Hauptraststellung
JP6625917B2 (ja) * 2016-03-24 2019-12-25 株式会社Subaru 車両用フードロック装置
CN113463989B (zh) * 2016-04-08 2022-09-06 J·P·希瓦利埃 用于锁定可移动面板的锁定系统
KR101836620B1 (ko) * 2016-04-21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씬칭래치 조립체
CN106150233B (zh) * 2016-08-18 2018-06-05 无锡忻润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双拉开启式机盖锁
JP6764767B2 (ja) * 2016-11-17 2020-10-07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ロック装置
US10492321B2 (en) 2017-02-09 2019-11-2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elf-actuating latch for a rack mounted drive chassis
TWI614392B (zh) * 2017-04-20 2018-02-11 信昌機械廠股份有限公司 用於引擎蓋的雙拉式鎖扣機構
CN108798311A (zh) * 2017-04-28 2018-11-13 福州明芳汽车部件工业有限公司 用于引擎盖的双拉式锁扣机构
US10315706B2 (en) * 2017-06-06 2019-06-11 Valeo North America, Inc. Adjustable hood-stop for a motor vehicle
US11512504B2 (en) 2017-11-15 2022-11-29 Magna BÖCO GmbH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US11118381B2 (en) * 2018-03-07 2021-09-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pull latch assemblies for compartment closure assemblies of motor vehicles
DE102019111337A1 (de) 2018-05-04 2019-11-07 Magna BOCO GmbH Doppelzug-Verschlussverriegelung für vorderen Kofferraum mit Notfall-Lösen
US11572721B2 (en) 2019-01-17 2023-02-07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Latch assembly
CN112302440B (zh) * 2019-07-26 2022-06-07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用于闭合面板的双拉闭合闩锁组件
US11933082B2 (en) 2020-03-23 2024-03-19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Cinching latch assembly
US12054973B2 (en) 2020-10-02 2024-08-06 Magna Closures Inc. Double pull closure latch assembly for hood and frunk motor vehicle applications
CN116648552A (zh) * 2020-12-23 2023-08-25 普善金属制品工业与贸易公司 机动车辆锁
CN113250549B (zh) * 2021-05-13 2022-09-06 湖北航宇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二次开启的罩盖锁及其工作方法
USD980041S1 (en) * 2022-09-27 2023-03-07 Seven Sparta Corp. Hood latch for jeep wrangle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7092A (en) * 1928-12-13 1930-02-11 Arthur Ambrose Van Note Automobile hood fastener
US2924473A (en) * 1956-07-09 1960-02-09 Chicago Forging & Mfg Co Safety latch mechanism
GB907930A (en) * 1960-03-10 1962-10-10 Wilmot Breede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atching devices
IT1115555B (it) * 1977-09-12 1986-02-03 Mecanismes Comp Ind De Serratura particolarmente per porte di autoveicoli
US4875724A (en) * 1986-10-29 1989-10-24 Magna International Inc. Hood latch mechanism
US4929007A (en) * 1987-03-30 1990-05-29 Magna International Inc. Latch mechanism
DE19624640C1 (de) * 1996-06-20 1998-01-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Drehfalle, Sperrklinke und Blockiervorrichtung
US5738393A (en) 1996-11-08 1998-04-1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hood latch having remote actuator
US6848727B1 (en) * 1999-02-18 2005-02-01 Atoma International Corp Power door latch assembly
US6328353B1 (en) * 1999-06-16 2001-12-11 Atoma International Vehicle door latch assembly
CA2518725A1 (en) * 2003-02-21 2004-09-02 Magna Closures Inc. Hood latch assembly
GB0506023D0 (en) * 2005-03-24 2005-04-27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Power closure latch assembly
JP4720322B2 (ja) * 2005-07-05 2011-07-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ロックのセカンダリラッチ構造
DE102007003292B4 (de) 2007-01-23 2023-11-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einrichtung mit einem Schloss und einem verstellbaren Fangelement für eine Front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7008700B4 (de) 2007-02-20 2016-07-21 BÖCO Böddecker & Co.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DE102008057961A1 (de) 2008-11-19 2010-05-20 Kiekert Ag Schlosseinheit mit Mehrklinken-Gesperre
DE102009034904B4 (de) 2009-07-27 2019-07-11 Magna BÖCO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DE102009037037B4 (de) * 2009-08-13 2018-10-18 BÖCO Böddecker & Co.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EP3567196A1 (en) * 2010-02-05 2019-11-13 Magna Closures SpA Vehicular latch with double pawl arrangement
DE102010025355B4 (de) * 2010-06-28 2014-11-13 Audi Ag Schlos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62700A1 (de) 2010-12-09 2012-06-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oss mit einer Schlossfalle und einem Fangelement für eine Front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1003808A1 (de) * 2011-02-08 2012-08-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oss mit einem Fangelement an einer Schlossfalle für ein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CN104204387B (zh) * 2012-03-01 2016-05-25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用于例如引擎盖的封闭板的双拉闩锁
KR101372022B1 (ko) * 2012-08-24 2014-03-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2단 가이드 후드 래치 장치
KR101382913B1 (ko) * 2012-09-05 2014-04-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2단 링크 후드 래치 장치
US20140319848A1 (en) * 2013-04-29 2014-10-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atch assembly release effort control, and method thereof
EP3444418B1 (en) * 2013-11-22 2020-03-04 Gecom Corporation Vehicle hood latches
KR101560979B1 (ko) * 2014-05-30 2015-10-15 평화정공 주식회사 2단 해제용 후드래치
US10731388B2 (en) * 2014-09-17 2020-08-04 Magna Closures Inc. Latch with double pull for closure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0214A1 (en) 2015-01-07
EP2820214B1 (en) 2018-04-25
WO2013127002A1 (en) 2013-09-06
CN104204387A (zh) 2014-12-10
US10145154B2 (en) 2018-12-04
BR112014021230A2 (pt) 2019-09-24
CN104204387B (zh) 2016-05-25
US11933086B2 (en) 2024-03-19
JP2015510060A (ja) 2015-04-02
EP2820214A4 (en) 2017-01-04
US20190048625A1 (en) 2019-02-14
US20140361554A1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9518A (ko) 후드와 같은 마감 패널을 위한 이중 풀 래치
US9388610B2 (en) Door latch assembly of vehicle
US10890018B2 (en) Double pull hood latch with interlock device
US9115514B2 (en) Mechanically initiated speed-based latch device
US20120161456A1 (en) Locking device for an automobile
KR10142826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CN108999500A (zh) 具闩锁机构和带重置装置的外侧释放机构的闭合闩锁组件
US7204526B2 (en) Hood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US8109545B2 (en) Lock out mechanism for vehicle door outside handles
WO2016084805A1 (ja) 車両ドア作動装置
WO1998029628A1 (en) Door locking device
JP4659602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操作装置
WO2013170363A1 (en) Door latch with double lock
US11851917B2 (en) Dual pull latch assembly
CN107489321B (zh) 发动机罩锁、发动机罩锁止结构和车辆
US7159907B2 (en) Jam-resistant door latch assembly for vehicles
US20160069106A1 (en) Door lock mechanism for vehicle
JP5531410B2 (ja) 操作部材のロック装置を備えた施錠装置
WO2014195928A1 (en) Inside door handle with locking function using single cable
KR100836983B1 (ko) 차량 후드 오픈장치
CN112302440B (zh) 用于闭合面板的双拉闭合闩锁组件
JP7435220B2 (ja) 車両用フードロックシステム
JP7384338B2 (ja) フードロック装置
JP2007205056A (ja) ドアの開閉装置
JP2007198089A (ja) 鎌錠の自動施錠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