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4912B1 -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4912B1
KR102684912B1 KR1020230125063A KR20230125063A KR102684912B1 KR 102684912 B1 KR102684912 B1 KR 102684912B1 KR 1020230125063 A KR1020230125063 A KR 1020230125063A KR 20230125063 A KR20230125063 A KR 20230125063A KR 102684912 B1 KR102684912 B1 KR 10268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nonionic surfactant
surfactant
dispersed phase
partic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웅
장선행
최다예
은소희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2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4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49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상; 및 연속상을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로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에 관한 것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의 계면활성제 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여, 분산상 입자의 완결성을 향상시키고,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간의 조합을 통하여 계면을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서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및 안쪽 계면에서 계면의 경계를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밀도가 높으며,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의 분산상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face emulsification ability-reinforced composite emulsion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emulsifier for ultra-high-density nano particles and a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ultra-high-density nano particles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상; 및 연속상을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로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에 관한 것이다.
유화(Emulsification)란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 중에서 한 액체가 미세한 입자 형태로 다른 액체에 분산된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상태의 혼합물을 에멀젼(Emulsion)이라 한다.
분산 형태에 따라 수중유형(친수성 유화, Oil in Water, O/W형), 유중수형(친유성 유화, Water in Oil, W/O형), 다중형(다중유화, Multiple emulsion, O/W/O형 또는 W/O/W형) 등으로 나뉜다.
에멀젼에서 입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수 nm 내지 수십 ㎛의 크기 분포를 가지는데, 수 ㎛ 내지 수십 ㎛의 크기 분포를 가지는 마이크로 에멀젼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 상태이며, 응집(Flocculation), 침강(Sedimentation), 크리밍(Creaming), 입자성장(Ostwald ripening) 및 유착(Coalescence)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로 분리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안정성이 낮다.
분산상의 입자의 평균 직경이 20 내지 500 nm인 액-액 분산계를 나노 에멀젼(nano emulsion)이라고 하며, 분산상의 입자의 크기가 나노 크기로 작아지면 입자간의 브라운 운동에 의해 동적(Kinetic) 측면에서 에멀젼의 안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입자 크기가 작아 피부에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노기술은 화장품 시장에서 매우 잠재력 있는 기술로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다. 화장품 제조 분야에서는 효능성분을 피부 속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체의 크기를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간 크기보다 작게 제어함으로써 유효물질 전달성능을 향상시키는 위해 나노기술을 응용하고 있다. 또한, 구조체 형태를 피부 지질구조와 유사한 다중층 액정막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공기, 수분, 빛, 온도 등의 외부환경에 약한 효능성분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피부 전달효과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노 에멀젼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화기 내에서 초고압으로 조정하여 강력한 전단력을 부여하는 고압유화 방법, 또는 물, 오일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3 성분계로 구성되는 조성물 중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친수기인 에틸렌옥사이드와 물의 수소결합이 감소하여 친수성 성질이 줄어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전상 온도 유화법 등이 나노 에멀젼 제조 기술에 접목되고 있다.
에멀젼 제제에는 유화제 사용이 필수적이며, 또한 적당한 점도를 유지하고 유상 성분과 수상 성분들이 서로 결합하여 합일, 응집 등의 분리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유화제의 선택과 함량 조절 또한 무엇보다 중요하며, 입자의 크기가 작은 나노 에멀젼의 안정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화제의 선택과 함량 조절은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분산상 입자의 크기 및 에멀젼 제제의 안정성을 구현하는 기술은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또한, 최근에는 화장품 원료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인하여 천연물에서 유래하면서 동시에 여러가지 효능을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물질에 대한 연구 및 제품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천연 성분의 유화제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유화제의 조합을 통하여 분산상 입자가 나노 크기로 작고 균일하며, 밀도가 높고, 안정한 에멀젼 제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827486
일 양상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상; 및 연속상을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로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에멀젼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에멀젼 제제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상; 및 연속상을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로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세테아릴밀짚글라이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은 서로 섞이지 않는 두가지 이상의 물질, 액체 또는 액체상이 유화 현상을 통하여 형성된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멀젼 제제는 서로 섞이지 않는 두가지 이상의 물질, 액체 또는 액체상이 유화제(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유화 보조제 등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분산상으로서 하나 이상의 연속상에 분산되어 포함되는 제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화는 서로 섞이지 않는 두 가지 이상의 물질, 액체 또는 액체상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 액체 또는 액체상이 미세한 입자(분산상의 입자) 형태로 다른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 액체 또는 액체상(연속상)에 분산된 현상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화는 2개 이상의 물질, 액체 또는 액체상의 계면 장력의 감소로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계면은 2개 이상의 물질, 액체 또는 액체상의 경계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의 계면활성제 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여, 분산상 입자의 완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간의 조합을 통하여 계면을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서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및 안쪽 계면에서 계면의 경계를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접근할 때,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인접하는 면이 부분적인 양전하로 대전되어 음이온 계면활성제와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으로 인력이 작용하여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의 계면활성제 간의 물리적 결합 거리를 조절하여, 분산상 입자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하도록 하여 분산상 입자의 완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에서 상기 제1 계면활성제 간의 조합을 통하여 계면의 경계를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서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및 안쪽 계면에서 계면의 경계를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고,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고,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깥쪽 및 안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화능은 서로 섞이지 않는 두가지 이상의 물질, 액체 또는 액체상을 섞이도록 하며, 하나 이상의 분산상으로서 하나 이상의 연속상에 분리되지 않고 분산되어 함유되도록 하는 성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바깥쪽 계면의 유화능 강화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접근할 때,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인접하는 면이 부분적인 양전하로 대전되어 음이온 계면활성제와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으로 인력이 작용하여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의 계면활성제 간의 물리적 결합 거리를 조절하여, 분산상 입자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하도록 하여 분산상 입자의 완결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계면에 위치하는 유화제의 바깥쪽(예를 들면, 연속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의 물리적 결합거리를 가깝게 하여 치밀도를 높이는 것일 수 있다. 치밀도를 높임으로써, 밀도가 높으며,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의 분산상 입자를 안정성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쪽 계면의 유화능 강화는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에서 상기 제1 계면활성제 간의 조합을 통하여 계면의 경계를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계면에 위치하는 유화제의 안쪽(예를 들면, 분산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에서 계면을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하여 치밀도를 높이는 것일 수 있다. 치밀도를 높임으로써, 밀도가 높으며,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의 분산상 입자를 안정성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깥쪽 및 안쪽 계면의 유화능 강화는 상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화제로서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및 안쪽 계면에서 계면의 경계를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계면의 바깥쪽(예를 들면, 연속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 및 안쪽(예를 들면, 분산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에서 계면을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하여 치밀도를 높이는 것일 수 있다. 치밀도를 높임으로써, 밀도가 높으며,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의 분산상 입자를 안정성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화능 강화는 분산상 입자가 보다 작은 크기에서도 연속상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화된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유화능 강화에 따라 분산상 입자의 크기는 35 nm 내지 100 nm일 수 있다.
상기 계면의 유화능 강화는 계면의 경계를 완화하여 상기 유화능 강화 효과를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제제는 수중유형 에멀젼(O/W(oil-in-water) 에멀젼) 제제, 유중수형 에멀젼(W/O(water-in-oil) 에멀젼) 제제, 또는 다중형 에멀젼(W/O/W(water-in-oil-in-water) 에멀젼, O/W/O(oil-in-water-in-oil) 에멀젼 또는 다중에멀젼)일 수 있다.
수중유형 에멀젼에서, 상기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에는 수성 성분이, 안쪽에는 유성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유중수형 에멀젼에서 상기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에는 유성 성분이, 안쪽에는 수성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다중형 에멀젼에서, 상기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에는 수성 또는 유성 성분이, 안쪽에는 유성 또는 수성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제제는,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멀젼 제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상; 및 연속상을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로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세테아릴밀짚글라이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의 바깥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고,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의 안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고,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의 바깥쪽 및 안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의 계면에 위치하는 유화제의 바깥쪽(예를 들면, 연속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의 치밀도를 높임으로써,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의 계면에 위치하는 유화제의 안쪽(예를 들면, 분산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의 치밀도를 높임으로써, 상기 제2 비이온성 계활성제는 유화제로서 분산상의 계면의 바깥쪽(예를 들면, 연속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 및 안쪽(예를 들면, 분산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의 치밀도를 높임으로써, 밀도가 높으며,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의 분산상 입자를 안정성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제제는,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상에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진공 하에서 유화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2 이상의 액체에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투여하고 고온진공유화 단계를 통하여 초고농축입자인 분산상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다시 2차 농축하는 단계를 통하여 입자의 크기가 더 작고, 밀도가 상승한 분산상의 초고밀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액체는 상기 고온진공유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투여되고 1차 농축하는 단계를 거쳐 고농축된 액체일 수 있다.
상기 1차 농축하는 단계, 고온진공유화 단계, 2차 농축하는 단계는, 이하 에멀젼 제조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 입자의 직경은 35 내지 100n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상 입자의 직경은 35 내지 100nm, 50 내지 55nm, 35 내지 90nm, 35 내지 80nm, 35 내지 60nm, 35 내지 55nm, 40 내지 90nm, 40 내지 80nm, 40 내지 60nm, 40 내지 55nm, 45 내지 100nm, 45 내지 90nm, 45 내지 80nm, 45 내지 70nm, 45 내지 65nm, 45 내지 60nm, 45 내지 55nm, 50 내지 70nm, 70 내지 100nm, 45 내지 60nm, 65 내지 90nm, 35 내지 90nm, 35 내지 70nm, 50 내지 90nm, 50 내지 80nm, 50 내지 70nm, 50 내지 65nm, 50 내지 60nm, 55 내지 100nm, 55 내지 65nm, 55 내지 60nm, 55 내지 50nm, 60 내지 100nm, 60 내지 90nm, 60 내지 70nm, 60 내지 65nm, 65 내지 100nm, 65 내지 80nm, 65 내지 70nm, 70 내지 90nm 또는 70 내지 80nm 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에멀젼 제제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의 바깥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고,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의 안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는 것이며,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서 분산상의 바깥쪽 및 안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2개 이상의 물질, 액체, 액체상 또는 연속적인 상의 경계면을 완화하여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를 섞이도록 하며, 하나 이상의 분산상으로서 하나 이상의 연속상에 분리되지 않고 분산되어 함유되도록 하는 또는 유화되도록 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누화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한 분자 내에 산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음이온 작용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사코시네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및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로, 소듐메칠코코일타우레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타우레이트,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사코시네이트 및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 0.1 내지 0.4 중량%, 0.01 내지 0.7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4 중량%, 0.01 내지 0.3 중량%, 0.01 내지 0.2 중량%, 0.01 내지 0.1 중량%, 0.05 내지 1 중량%, 0.05 내지 0.7 중량%, 0.05 내지 0.5 중량%, 0.05 내지 0.4 중량%, 0.05 내지 0.3 중량%, 0.05 내지 0.2 중량%, 0.05 내지 0.1 중량%, 0.1 내지 1 중량%, 0.1 내지 0.7 중량%, 0.1 내지 0.5 중량%, 0.1 내지 0.3 중량%, 0.1 내지 0.2 중량%, 0.2 중량%, 0.2 내지 1 중량%, 0.2 내지 0.7 중량%, 0.2 내지 0.5 중량%, 0.2 내지 0.4 중량%, 0.2 내지 0.3 중량%, 0.2 중량%, 0.2 내지 1 중량%, 0.2 내지 0.7 중량%, 0.2 내지 0.5 중량%, 0.2 내지 0.4 중량%, 0.2 내지 0.3 중량%, 0.3 중량%, 0.3 내지 1 중량%, 0.3 내지 0.5 중량%, 0.3 내지 0.4 중량%, 0.4 중량%, 0.4 내지 1 중량%, 0.4 내지 0.5 중량%, 0.5 내지 1 중량% 또는 0.5 내지 0.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한 분자 내에 산 및 염기의 양쪽으로 작용할 수 있는 양이온 작용기 및 음이온 작용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코-베타인,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및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코코-베타인 및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0.5 중량%, 0.03 내지 0.1 중량%, 0.01 내지 0.3 중량%, 0.01 내지 0.1 중량%, 0.01 내지 0.05 중량%, 0.02 내지 0.5 중량%, 0.02 내지 0.3 중량%, 0.02 내지 0.1 중량%, 0.02 내지 0.05 중량%, 0.03 내지 0.5 중량%, 0.03 내지 0.3 중량%, 0.03 내지 0.05 중량%, 0.05 중량%, 0.05 내지 0.5 중량%, 0.05 내지 0.3 중량%, 0.05 내지 0.1 중량%, 0.1 내지 0.5 중량%, 0.1 내지 0.3 중량%, 0.2 내지 0.5 중량%, 0.2 내지 0.3 중량% 또는 0.3 내지 0.5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자 내 이온으로 해리되지 않는 친수성 작용기 및 소수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외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세테아릴밀짚글라이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 내 분산상 안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의 계면에 위치하는 유화제의 안쪽(예를 들면, 분산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의 치밀도를 높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 내 유화제로서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 내 분산상 바깥쪽 및 안쪽 계면의 유화능을 강화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의 계면의 바깥쪽(예를 들면, 연속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 및 안쪽(예를 들면, 분산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의 치밀도를 높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투입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외에, 에멀젼 제제의 유화제 또는 유화성분으로 투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조에 있어 수상부 또는 유상부 제조단계에 투입되거나 상기 고온진공유화 단계에서 투입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조에 있어 수상부 또는 유상부 제조단계에 투입되거나, 상기 고온진공유화 단계 이전에 1차 농축하는 단계에 투입되는 것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상 및 연속상을 유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투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2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테아릴밀짚글라이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데실글루코사이드 및 코코-글루코사이드,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코카마이드메칠엠이에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피이지-20스테아레이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세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바틸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C14-22 알코올, 부틸 글루코사이드,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 C12-18 알킬 글루코사이드,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 옥틸도데실 글루코사이드,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옥틸도데세스-16,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디에틸렌글라이콜 모노라우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2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세테아릴밀짚글라이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0.5 중량%, 0.05 내지 0.2 중량%, 0.01 내지 0.3 중량%, 0.01 내지 0.2 중량%, 0.01 내지 0.1 중량%, 0.02 내지 0.5 중량%, 0.02 내지 0.3 중량%, 0.02 내지 0.2 중량%, 0.02 내지 0.1 중량%, 0.03 내지 0.5 중량%, 0.03 내지 0.3 중량%, 0.03 내지 0.2 중량%, 0.03 내지 0.1 중량%, 0.05 중량%, 0.05 내지 0.5 중량%, 0.05 내지 0.3 중량%, 0.05 내지 0.1 중량%, 0.1 중량%, 0.1 내지 0.5 중량%, 0.1 내지 0.3 중량%, 0.1 내지 0.2 중량%, 0.2 내지 0.5 중량%, 0.2 내지 0.3 중량% 또는 0.3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유화제는 에멀젼 제제 총 중량 대비 0.005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제제 총 중량 대비 0.005 내지 1 중량%, 0.005 내지 0.7 중량%, 0.005 내지 0.5 중량%, 0.005 내지 0.35 중량%, 0.005 내지 0.3 중량%. 0.005 내지 0.25 중량%, 0.005 내지 0.2 중량%, 0.005 내지 0.1 중량% 0.01 내지 1 중량%, 0.01 내지 0.25 중량%, 0.01 내지 0.7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4 중량%, 0.01 내지 0.35 중량%, 0.01 내지 0.3 중량%, 0.01 내지 0.2 중량%, 0.01 내지 0.1 중량%, 0.05 내지 1 중량%, 0.05 내지 0.7 중량%, 0.05 내지 0.5 중량%, 0.05 내지 0.4 중량%, 0.05 내지 0.35 중량%, 0.05 내지 0.3 중량%, 0.05 내지 0.25 중량%, 0.05 내지 0.2 중량%, 0.05 내지 0.1 중량%, 0.07 내지 1 중량%, 0.07 내지 0.7 중량%, 0.07 내지 0.5 중량%, 0.07 내지 0.4 중량%, 0.07 내지 0.3 중량%, 0.07 내지 0.25 중량%, 0.07 내지 0.2 중량%, 0.07 내지 0.1 중량%, 0.1 내지 1 중량%, 0.1 내지 0.7 중량%, 0.1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35 중량%, 0.1 내지 0.3 중량%, 0.01 내지 0.25 중량%, 0.1 내지 0.2 중량%, 0.25 중량%, 0.2 내지 1 중량%, 0.2 내지 0.7 중량%, 0.2 내지 0.5 중량%, 0.2 내지 0.4 중량%, 0.2 내지 0.3 중량%, 0.2 내지 0.25 중량%, 0.3 중량%, 0.3 내지 1 중량%, 0.3 내지 0.5 중량%, 0.3 내지 0.4 중량%, 0.4 중량%, 0.4 내지 1 중량%, 0.4 내지 0.5 중량%, 0.5 내지 1 중량% 또는 0.5 내지 0.7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유화제는 에멀젼 제제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천연 유화제는 4 : 0.5 내지 2 : 1 내지 3 : 0.2 내지 5의 중량비로 상기 에멀젼 제제 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천연 유화제는 4 : 0.5 내지 2 : 1 내지 3 : 0.2 내지 5의 중량비, 4 : 1 : 2 : 2의 중량비, 4 : 0.5 : 2: 2의 중량비, 4 : 2 : 2 : 2의 중량비, 4 : 1 : 1 : 2의 중량비, 4 : 1 : 3 : 2의 중량비, 4 : 1 : 2 : 0.2의 중량비, 4 : 1 : 2 : 5의 중량비, 4 : 0.5 내지 1 : 1 내지 3 : 0.2 내지 5의 중량비, 4 : 0.5 내지 1 : 1 내지 3 : 0.25 내지 4의 중량비, 4 : 0.5 내지 1 : 1 내지 3 : 1.5 내지 3의 중량비, 4 : 0.5 내지 1 : 1 내지 2 : 0.2 내지 5의 중량비, 4 : 0.5 내지 1 : 1 내지 2 : 0.25 내지 4의 중량비, 4 : 0.5 내지 1 : 1 내지 2 : 1.5 내지 3의 중량비, 4 : 0.5 내지 1 : 2 내지 3 : 0.2 내지 5의 중량비, 4 : 0.5 내지 1 : 2 내지 3 : 0.25 내지 4의 중량비, 4 : 0.5 내지 1 : 2 내지 3 : 1.5 내지 3의 중량비, 4 : 1 내지 2 : 1 내지 3 : 0.2 내지 5의 중량비, 4 : 1 내지 2 : 1 내지 3 : 0.25 내지 4의 중량비, 4 : 1 내지 2 : 1 내지 3 : 1.5 내지 3의 중량비, 4 : 1 내지 2 : 1 내지 2 : 0.2 내지 5의 중량비, 4 : 1 내지 2 : 1 내지 2 : 0.25 내지 4의 중량비, 4 : 1 내지 2 : 1 내지 2 : 1.5 내지 3의 중량비, 4 : 1 내지 2 : 2 내지 3 : 0.2 내지 5의 중량비, 4 : 1 내지 2 : 2 내지 3 : 0.25 내지 4의 중량비, 4 : 1 내지 2 : 2 내지 3 : 1.5 내지 3의 중량비, 4 : 0.5 내지 2 : 1 내지 2 : 0.2 내지 5의 중량비, 4 : 0.5 내지 2 : 1 내지 2 : 0.25 내지 4의 중량비, 4 : 0.5 내지 2 : 1 내지 2 : 1.5 내지 3의 중량비, 4 : 0.5 내지 2 : 2 내지 3 : 0.2 내지 5의 중량비, 4 : 0.5 내지 2 : 2 내지 3 : 0.25 내지 4 또는 4 : 0.5 내지 2 : 2 내지 3 : 1.5 내지 3의 중량비로 에멀젼 제제 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천연 유화제가 상기 중량비로 에멀젼 제제 내에 포함됨으로써, 밀도가 높으며,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의 분산상 입자를 안정성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상기 중량비보다 적게 포함된다면,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예를 들면, 연속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의 유화능 강화 효과가 미약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정도가 하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중유형 에멀젼 제제에서, 분산상 입자의 내부 유성 성분이 입자 외부로 토출되거나 고온장기안정성이 하락할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상기 중량비보다 많이 포함된다면, 유화제의 과량으로 인하여, 경시적으로 경도가 상승하거나 겔링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상기 중량비보다 적게 포함된다면,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예를 들면, 분산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의 유화능 강화 효과가 미약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정도가 하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중유형 에멀젼 제제에서, 분산상 입자의 내부 유성 성분이 입자 외부로 토출되거나 고온장기안정성이 하락할 수 있다.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상기 중량비보다 많이 포함된다면, 유화제의 과량으로 인하여, 경시적으로 경도가 상승하거나 겔링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천연 유화제가 상기 중량비보다 적게 포함된다면,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예를 들면, 연속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 또는 안쪽 계면(예를 들면, 분산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의 유화능 강화 효과가 미약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정도가 하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중유형 에멀젼 제제에서, 분산상 입자의 경시적 안전성이 저하되어, 내부 유성 성분이 입자 외부로 토출되거나 유성 성분이 분리될 수 있다. 천연 유화제가 상기 중량비보다 많이 포함된다면, 유화제의 과량으로 분산상 입자 형성이 방해되어, 내부 유성 성분이 입자 외부로 토출되거나 유성 성분이 분리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에멀젼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에멀젼 제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상 및 연속상을 유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고온 및 진공 하에서 유화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수상부를 준비하는 단계; 1차 농축하는 단계; 고온진공유화 단계; 및 2차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수상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수상부를 구성하는 성분(예를 들어, 정제수 등)을 혼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 유화조에 수상부를 구성하는 성분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각각의 성분을 용해 및 균일화할 수 있다. 이때 가열 온도는 60 내지 90℃, 구체적으로 70 내지 8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상부는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은 보습제 역할, 구체적으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및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상부는 폴리올을 0.01 내지 30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수상부가 폴리올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보습력이 저하될 수 있고, 폴리올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미끌거리고 끈적이는 사용감을 제공하는 등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증제는 점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하면서 조성물의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증제는 카보머(Carbomer), 폴록사머(Poloxamer), 잔탄검(Xanthan Gum),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폴리우레탄-11, 만난(Mannan), 젤란검(Gellan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캐롭검(Ceratonia Siliqua (Carob) Gum)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및 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VP 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수상부는 점증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수상부가 점증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점도가 적절히 형성되지 않거나 상 분리 현상이 나타나는 등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점증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뻑뻑하고 끈적이는 사용감을 제공하는 등 사용감이 저하되거나 유상부와 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1차 농축하는 단계는, 지질 및 양친매성 성분(예를 들어 계면활성제)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농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상부는 상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및 세테아릴밀짚글라이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농축하는 단계는, 유상부를 구성하는 성분을 혼합하여 유상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유상부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상부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온도 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유상 용해조에 유상부를 구성하는 성분(예를 들어, 지질, 양친매성 성분, 유화제)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각각의 성분을 용해 및 균일화할 수 있다. 이때 가열 온도는 60 내지 90℃구체적으로 70 내지 8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질은, 피부 구조를 이루는 성분과 유사한 성분으로서, 세포 간 지질과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조성물 및 조성물 내 유효 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투과 및 피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상기 지질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1 내지 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유상부가 지질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상 분리 현상이 나타나는 등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지질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과하게 경도가 형성되어 초미세입자가 형성 불가하거나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융점이 55℃이하인 저융점 지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융점 지질은,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Myristyl Myristate),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라우릴에스터(Hydrogenated Olive Oil Lauryl Esters), 야자씨버터(Astrocaryum murumuru seed butter) 및 시어버터(Shear But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저융점 지질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7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5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1 내지 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유상부가 저융점 지질을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할 경우 가장 적합한 경도, 점도 및 크기의 초미세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지질은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 및 합성 왁스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추가로 포함되는 지질은 50 내지 80℃의 범위의 융점을 갖는 왁스일 수 있다. 50 내지 80℃의 범위의 융점을 갖는 왁스는 초미세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유분감 및 보습 지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성 왁스는,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라이스 왁스(Rice Bran Wax), 면랍(Cotton Wax), 충랍(Chinese Insect Wax), 사탕수수 왁스, 호호바 왁스(Jojoba Wax), 시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선플라워 왁스(Sunflower Wax),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 오일 스테아릴에스터(Hydrogenated Olive Oil Stearyl Ester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물성 왁스는, 라놀린(Lanol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광물성 왁스는,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세레신 왁스(Ceresin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멀티 왁스(Multi Wax) 및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합성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POE(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왁스(POE Lanolin Alcohol Ether Wax), POE 라놀린 알코올 아세테이트 왁스(POE Lanolin Alcohol Acetate Wax), POE 콜레스테롤 에테르 왁스(POE Cholesterol Ether Wax),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왁스 및 PO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왁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상부에 포함되는 지질은 C10-C30의 고급 지방 알코올 및 C10-C30의 고급 지방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질은 C10-C30의 고급 지방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C10-C30의 고급 지방 알코올은 유상부에 대하여 높은 용해도를 갖기 때문에 유상부 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고, 유화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에 녹으면서 부드러운 도포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10-C30의 고급 지방 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아이소스테아릴알코올(Isostearyl Alcohol), 콜레스테롤(Cholesterol),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및 헥셀데칸올(Hexyldecanol)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C10-C30의 고급 지방산은, 라우릭애씨드(Lauric Acid),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Hydroxystearic Acid), 올레익애씨드(Oleic Acid), 베헤닉애씨드(Behenic Acid),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 및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성분은,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을 모두 갖고 있는 물질로서, 친수성 성분을 입자의 코어 외부로 배향되고 친유성 부분을 코어 내부로 배향되어 안정적인 초미세 입자를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양친매성 성분은 지질 코어를 갖는 초미세입자의 외부를 더욱 단단하게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친매성 성분은, 폴록사머235(Poloxamer 235), 폴록사머338(Poloxamer 338), 폴록사머407(Poloxamer 407), 폴록사머188(Poloxamer 188), 비스-(카복시세라마이드엔피), 폴록사머407(Bis-(Carboxy Ceramide NP) Poloxamer407) 및 폴리우레탄-15(Polyurethane-1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양친매성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유상부가 양친매성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입자 내 유효 성분의 밀도감이 낮아지거나 입자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양친매성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끈적이는 마무리감을 제공하며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화제는 조성물을 구성하는 물질들을 조성물 내에 안정적으로 분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상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테아릴밀짚글라이코사이드, 세테아릴올리베이트/솔비탄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Sorbitan Olivat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피이지-150스테아레이트(PEG-150 Stearate), 피이지-40다이스테아레이트(PEG-40 Distearate), 피이지-100다이스테아레이트(PEG-100Distearate), 피이지-150다이스테아레이트(PEG-150 Distearate),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솔비탄라우레이트(Sorbitan Laurate), 솔비탄팔미테이트(Cetearyl Olivate), 솔비탄라우레이트(Sorbitan Laurate), 솔비탄팔미테이트(Sorbitan Palmitate), 솔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솔비탄트라이올리에이트(Sorbitan Trioleate), 라우레스-4(Laureth-4), 라우레스-23(Laureth-23), 세테스-2(Ceteth-2), 세테스-10(Ceteth-10), 세테스-20(Ceteth-20), 스테아레스-2(Steareth-2), 스테아레스-10(Steareth-10), 스테아레스-20(Steareth-20), 올레스-2(Oleth-2), 올레스-10(Oleth-10), 올레스-20(Oleth-20),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Diisostearate) 및 폴리글리세릴-4올리에이트(Polyglyceryl-4 Ole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유화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 내지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유상부가 유화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수상부와 유상부의 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적절한 제형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유화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경도가 과하게 형성되어 초미세입자가 형성되지 않거나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일은 유상부의 베이스가 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상부는 오일로서 마카다미아씨오일, 코코넛야자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카다미아씨오일, 코코넛야자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은 상기 천연 유화제의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스테르계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ethylhexylstearate), 아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 헥실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데실코코에이트(Decyl Cocoate),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ethylhexanoate), 트라이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다이세테아릴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식물성 오일은, 캐스터 오일(Castor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호호바 오일(Jojoba Oil), 아보카도 오일(Persea Gratissima(Avocado) Oil), 마카다미아씨 오일(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및 메도우폼씨 오일(Meadowfoam Seed Oil)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수 있고, 탄화수소계 오일은, 폴리부텐(Poly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미네랄오일(Mineral Oil), 하이드로제네이티 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및 스쿠알란(Squalan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오일은, 메틸페닐폴리실록산(Methylphenyl Polysiloxane),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메틸트라이메티콘(Methyl Trimethicone),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페닐트라이메티콘(Phenyl trimethicone) 및 다이메티콘(Dimethicon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7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유상부가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보습력이 저하될 수있고,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사용감이 저하되거나 수상부와 유상부의 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이후 상기 유상부를 압축하는 단계에서는, 유상부를 구성하는 성분을 혼합하여 균일하게 용해된 유상부에 압력을 처리하여 유상부를 1차 농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상부의 1차 농축은 고압형 유화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고압형 유화기로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압 유화를 위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상부의 1차 농축은, 40 내지 60℃의 온도 및 500 내지 900bar의 압력 조건에서, 구체적으로 50 내지 60℃의 온도 및 700 내지 900bar의 압력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1차 농축이 수행될 경우 유효 성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효 성분의 역가 하락, 산패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상부를 적절하게 농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상부를 압축하는 단계의 반복 횟수는 유상부의 농축정도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상부를 압축하는 단계는 1회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2회 이상 반복될 수도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다음으로, 상기 고온진공유화하는 단계는, 상기 준비된 수상부와 1차 농축된 유상부 및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제1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혼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상부가 수용된 진공 유화조에 1차 농축된 유상부 및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제1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1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수상부와 유상부를 유화할 수 있다. 이때, 수상부와 유상부의 고온진공유화는 60 내지 90℃의 온도(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 ℃의 온도), 0.05MPa 내지 0.15MPa(바람직하게는, 0.06MPa 내지 0.09MPa) 및 4,000 내지 7,000rpm의 조건을 유지하며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수상부를 준비하는 단계, 1차 농축하는 단계 또는 고온진공유화 단계에서는, 기타 부가 성분이 첨가될 수 있다. 부가 성분은, 예를 들어 안정화제, 점증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안료, 향료 및 방부제 등의 기능성 성분이나 보습,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장벽 개선, 피부 재생에 효과가 있는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효성분은 에틸헥실글리세린,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유도체, 콜라겐(Collagen), 세라마이드(Ceramide), 펩타이드(Peptide), 아데노신(Adenosine), 알부틴(Arbutin),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콘드로이틴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 구아이아줄렌(Guaiazulene), 코엔자임 Q10(Coenzyme Q10), 유용성감초추출물(Oil SolubleLicorice(Glycyrrhiza) Extract),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Hydroxydecyl Ubiquinone), 베타인(Betaine), 알란토인(Allantoin), 우레아(Urea),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아데노신(Adenosine) 및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부가 성분이 지용성 성분일 경우 부가 성분은 유상부에 먼저 혼합된 후 수상부와 혼합 및 유화되어 지질 코어에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부가 성분이 수용성 성분일 경우 부가 성분은 수상부에 먼저 혼합된 후 유상부와 혼합 및 유화되어 지질 코어에 안정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부가 성분은 유상부와 수상부가 혼합된 뒤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고온진공유화하는 단계에서는, 수상부에 유화된 분산상 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자의 내부에 지질, 기능성 성분, 피부 영양 성분 등을 포함하는 유효 성분이 담지된 상태의 유화된 분산상 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유화 이전에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1차 농축함에 따라, 입자의 동일한 부피 내 더 많은 양의 물질이 채워져 유효 성분이 입자 내 고밀도로 농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1차 농축 후 고온진공유화단계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의 계면활성제 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여, 입자의 완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간의 조합을 통하여 계면을 완화하여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밀도가 보다 높으며,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의 분산상 입자를 안정성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고온진공 유화 단계 이후에, 유화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냉각시켜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패들(Paddle)을 이용하여 유화된 혼합물을 교반함으로써 혼합물을 안정화할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하는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유화 입자를 조성물 내에 보다 균일하고 조밀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고온진공 유화 단계 이후, 상기 2차 농축하는 단계는, 유화된 혼합물을 농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온진공유화된 혼합물을 투입하고 압력을 처리하여 혼합물을 2차 농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물의 2차 농축은 고압형 유화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고압형 유화기로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를 사용할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압 유화를 위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농축하는 단계에서는, 고온진공유화 단계에서 생성된 유화된 분산상 입자가 분할되어 나노 크기의 초고밀도 나노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상부를 1차 농축하고 수상부와 함께 상기 고온 진공 상태에서 유화함에 따라 유효 성분이 고밀도로 담지된 상태의 분산상 입자를 2차 농축함으로써, 분산상 입자를 한 번 더 쪼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고밀도 나노입자는 35 내지 100nm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2차 농축하는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모공의 약 0.001 내지 0.01크기의 단단한 캡슐형 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우 미세한 사이즈로 형성된 입자는, 내부에 유효 성분이 고밀도로 담지되어 있어 입자의 밀도가 높고 단단하며 안정성이 매우 높아, 유효 성분을 체내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달 과정에서의 유효 성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농축하는 단계는, 60 내지 80℃의 온도 및 1,200 내지 1,600bar의 압력 조건에서, 구체적으로 65 내지 75℃의 온도 및 1,300 내지 1,500bar의 압력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2차 농축이 수행될 경우 충분히 쪼개진 상태의 입자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농축하는 단계의 반복 횟수는 쪼개진 입자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농축하는 단계는 2회 또는 3회 반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1회 수행되거나 4회 이상 반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농축하는 단계 이후에, 2차 농축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냉각시켜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 내지 45℃의 온도에서 패들(Paddle)을 이용하여 2차 농축된 혼합물을 교반함으로써 혼합물을 안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하는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고밀도 초미세입자를 조성물 내에 보다 균일하고 조밀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1차 농축한 뒤, 1차 농축된 유상부와 수상부를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고온진공유화시키고 2차 농축하는 이중 농축 시스템을 이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즉, 이중 농축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은, 총 1번의 농축이 수행된 경우에 비하여 또는 총 2번의 농축이 수행된 경우에 비하여, 유화과정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상기 고온 및 진공 조건에서 유화함으로써, 동일한 부피 내에 더 많은 양의 물질을 채울 수 있어 매우 밀도감이 높은 입자를 포함하는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의 분산상의 초고밀도 나노입자 조성물을 안정성 높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 내에 지질, 기능성 성분, 피부 미용 성분 등과 같은 유효 성분이 고밀도로 담지되어 있어 제형의 탄력성이 향상되고, 입자가 단단하기 때문에 입자의 안정성이 우수한 초고밀도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총 1번 또는 총 2번의 농축이 수행된 경우에 비하여, 입자 크기를 매우 미세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피부 투과율이 매우 우수하고 전달 과정에서 유효 성분의 손실이 방지되기 때문에 유효 성분의 전달 효율이 극대화되는 초고밀도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초고밀도 나노입자 조성물은, 입자 내에 유효 성분이 초고밀도로 촘촘하게 함유되고, 35 내지 100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자는 모공의 약 0.001 내지 0.01 크기의 미세한 사이즈로 구성되기 때문에 우수한 피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초고밀도 나노입자 조성물이 상기 이중 농축 및 고온진공유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2 이상의 액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2 이상의 액체에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투여하고 상기 고온진공유화 단계를 통하여 초고농축입자인 분산상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다시 상기 2차 농축하는 단계를 통하여 입자의 크기가 더 작고, 밀도가 상승한 분산상의 초고밀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액체는 상기 고온진공유화 단계 이전에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투여되고 상기 1차 농축하는 단계를 거쳐 고농축된 액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을 통하여, 분산상 입자의 크기가 축소되고 밀도가 상승한 에멀젼 제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2 이상의 액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액체에 상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투여된 후 1차 농축하는 단계를 거치고, 상기 고온진공유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2 이상의 액체에 투여함으로써, 밀도가 높으며,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의 분산상의 초고밀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를 안정성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역할, 효과, 성분, 제제 총 중량 대비 중량%, 중량비는 상기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에멀젼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초고밀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초고밀도 나노입자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 제형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액, 로션, 크림, 페이스트, 용액, 현탁액, 오일, 왁스, 팩,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밀크로션, 에센스, 아이 크림, 선로션, 선크림,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유탁액 파운데이션, 팩, 스틱상 제품 또는 밤(Balm) 타입 제품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점증제, 분산제,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안정화제, 중성화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살균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감미료, 비타민, 냉감제, 제한제,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기능성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크림 또는 젤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 제형인 경우에는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현탁액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으로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에멀젼 제제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피부는 얼굴, 손, 팔, 다리, 발, 가슴, 배, 등, 엉덩이, 및 두피를 포함하는 신체의 모든 피부 부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의 계면활성제 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여, 분산상 입자의 완결성을 향상시키고,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간의 조합을 통하여 계면을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서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및 안쪽 계면에서 계면의 경계를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밀도가 높으며,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의 분산상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를 제공한다.
도 1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의 계면활성제 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여, 입자의 완결성을 향상시키고,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간의 조합을 통하여 계면을 완화하여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분산상 입자 직경의 중간값 및 평균값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분산상 입자의 직경 분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실험예 1. 에멀젼 제형 제조 및 안정성 평가
1.1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 제조
하기 표 1에 개시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7을 각각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및 표 2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로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7의 제조는 수상부를 준비하는 단계; 1차 농축하는 단계; 고온진공유화 단계; 및 2차 농축하는 단계로 진행되었다.
상기 수상부 준비 단계에서는 정제수,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를 온도 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유화조에 혼합한 후 60 내지 9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각각의 성분을 용해 및 균일화하였다.
상기 1차 농축하는 단계에서는, 유화제(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유화 보조제(고급 알코올)를 온도 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유상 유화조에 혼합한 후 60 내지 9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각각의 성분을 용해 및 균일화하여 유상부를 준비하였고, 준비된 유상부를 40 내지 60℃의 온도 및 500 내지 900bar의 압력 조건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고온진공유화 단계에서는, 상기 수상부가 수용된 진공유화조에 상기 1차 농축된 유상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제1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60 내지 90℃의 온도(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 ℃의 온도), 0.05MPa 내지 0.15MPa(바람직하게는, 0.06MPa 내지 0.09MPa)의 진공 및 4,000 내지 7,000rpm의 조건에서 고온진공 유화하였다.
상기 2차 농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유화된 화합물을 60 내지 80℃의 온도 및 1,200 내지 1,600bar의 압력 조건에서 농축한 후, 35℃의 온도까지 냉각하여 초고밀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역할 성분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0.2 0.2 0.2 0.2
양쪽성 계면활성제 코코-베타인 0.05 0.025 0.1 0.05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0.1 0.1 0.1 0.05
천연 유화제(제 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0.1 0.1 0.1 0.1
비율 4 : 1 : 2 : 2 4 : 0.5 : 2 : 2 4 : 2 : 2 : 2 4 : 1 : 1 : 2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 3 3 3 3
유화 보조제 (고급알코올) 세타아릴알코올 1.5 1.5 1.5 1.5
유상-보습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 10 10 10
수상-보습제 글리세린 15 15 15 15
점증제 카보머 0.1 0.1 0.1 0.1
잔탄검 0.05 0.05 0.05 0.05
방부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 0.3 0.3 0.3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역할 성분명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0.2 0.2 0.2
양쪽성 계면활성제 코코-베타인 0.05 0.05 0.05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0.15 0.1 0.1
천연 유화제(제 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0.1 0.01 0.25
비율 4 : 1 : 3 : 2 4 : 1 : 2 : 0.2 4 : 1 : 2 : 5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 3 3 3
유화 보조제 (고급알코올) 세타아릴알코올 1.5 1.5 1.5
유상-보습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 10 10
수상-보습제 글리세린 15 15 15
점증제 카보머 0.1 0.1 0.1
잔탄검 0.05 0.05 0.05
방부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 0.3 0.3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1.2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의 안전성 평가
상기 실험예 1.1 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7의 에멀젼 분산상의 초고밀도 나노입자의 크기 및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입자 크기(직경)는 Dynamic lightscattering(DLS)을 이용하여 입자 크기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표 3,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HORIBA 사의 나노입자 분석장치(Particle Size Analyzer, SZ-100)를 이용하여, ISO 22412 : 2017의 측정 방법을 통하여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
안정성의 경우, 육안으로 평가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입자 크기
(직경, nm)
55-70 70-100 45-60 65-90 65-90 65-90 70-100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안정성
※ 제형 안정도에 대한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나노 입자 형성, 균일한 입자 분포;
×: 나노 입자 미형성, 층분리 현상, 겔링 현상, 오일 토출.
도 1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의 계면활성제 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여, 입자의 완결성을 향상시키고,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간의 조합을 통하여 계면을 완화하여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분산상 입자 직경의 중간값 및 평균값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분산상 입자의 직경 분포를 나타낸다.
상기 표 3, 표 4,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의 계면활성제 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여, 입자의 완결성을 향상시키고,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간의 조합을 통하여 계면을 완화하여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화제로서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및 안쪽 계면에서 계면의 경계를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실시예 1 내지 7 모두에서 나노 크기의 균일한 분포를 갖는 분산상 초고밀도 나노입자가 안정성 높게 형성되었다.
실험예 2. 유화제 포함 여부에 따른 에멀젼 제형 제조 및 안전성 평가
2.1 유화제 포함 여부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 제조
하기 표 5에 개시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을 각각 제조하였다. 하기 표 5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로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험예 1.1 과 같으며, 다만, 상기 고온진공유화 단계에서, 비교예 1의 경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2의 경우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3의 경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4의 경우 천연 유화제를 투입하지 않았다.
역할 성분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0.2 미포함 0.17 0.17 0.17
양쪽성 계면활성제 코코-베타인 0.05 0.17 미포함 0.17 0.17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0.1 0.17 0.17 미포함 0.17
천연 유화제(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0.1 0.1 0.1 0.1 미포함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 3 3 3 3 3
유화 보조제 (고급알코올) 세타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유상-보습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 10 10 10 10
수상-보습제 글리세린 15 15 15 15 15
점증제 카보머 0.1 0.1 0.1 0.1 0.1
잔탄검 0.05 0.05 0.05 0.05 0.05
방부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 0.3 0.3 0.3 0.3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2 유화제 포함 여부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의 안정성 평가
상기 실험예 2.1 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안정성의 경우, 육안으로 확인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안정성 × × × ×
※ 제형 안정도에 대한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나노 입자 형성, 균일한 입자 분포;
×: 나노 입자 미형성, 층분리 현상, 겔링 현상 또는 오일 토출.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불안정한 에멀젼 제형이 형성되었다. 비교예 1의 경우, 분산상 입자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비교예 2의 경우 제제의 유상부와 수상부의 층분리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경우 오일이 토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 구체예에 따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천연 유화제가 유화제로써 사용될 때, 안정하고 밀도가 높으며, 35 내지 100nm의 균일한 분산상의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이 형성됨을 의미한다.
실험예 3. 유화제 비율에 따른 에멀젼 제형 제조 및 안전성 평가
3.1 유화제 비율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 제조
하기 표 7 및 표 8에 개시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4 내지 6을 각각 제조하였다. 하기 표 7 및 표 8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로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험예 1.1 과 같으며, 다만, 상기 고온진공유화 단계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제형 내 중량비를 달리하였다.
역할 성분명 실시예1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0.2 0.2 0.2 0.2
양쪽성 계면활성제 코코-베타인 0.05 0.005 0.15 0.05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0.1 0.1 0.1 0.005
천연 유화제(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0.1 0.1 0.1 0.1
비율 4 : 1 : 2 : 2 4 : 0.1 : 2 : 2 4 : 3 : 2 : 2 4 : 1 : 0.1 : 2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 3 3 3 3
유화 보조제 (고급알코올) 세타아릴알코올 1.5 1.5 1.5 1.5
유상-보습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 10 10 10
수상-보습제 글리세린 15 15 15 15
점증제 카보머 0.1 0.1 0.1 0.1
잔탄검 0.05 0.05 0.05 0.05
방부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 0.3 0.3 0.3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역할 성분명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0.2 0.2 0.2 0.2
양쪽성 계면활성제 코코-베타인 0.05 0.05 0.05 0.05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0.2 0.1 0.1 0.1
천연 유화제(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 0.1 0.005 0.35 0.5
비율 4 : 1 : 4 : 2 4 : 1 : 2 : 0.1 4 : 1 : 2 : 7 4 : 1 : 2 : 10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 3 3 3 3
유화 보조제 (고급알코올) 세타아릴알코올 1.5 1.5 1.5 1.5
유상-보습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 10 10 10
수상-보습제 글리세린 15 15 15 15
점증제 카보머 0.1 0.1 0.1 0.1
잔탄검 0.05 0.05 0.05 0.05
방부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 0.3 0.3 0.3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3.2 유화제 비율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의 안전성 평가
상기 실험예 3.1 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5 내지 11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안정성의 경우, 육안으로 확인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안정성 × × × × × × ×
※ 제형 안정도에 대한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나노 입자 형성, 균일한 입자 분포;
×: 나노 입자 미형성, 층분리 현상, 겔링 현상 또는 오일 토출.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5 내지 11의 경우, 불안정한 에멀젼 제형이 형성되었다. 비교예 5의 경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계면(연속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의 계면활성제 간의 물리적 거리를 조절하여, 입자의 완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약하여 유상 입자의 내부 오일이 토출되었으며, 비교예 6의 경우 유화제 과량으로 인하여 경시적으로 경도가 상승하였으며, 비교예 7의 경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분산상 입자의 안쪽 계면(분산상 성분과 접하는 부분)에서 계면활성제 간의 조합을 통하여 계면을 완화하여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약하여 고온에서 장기 안정도가 낮았으며, 비교예 8의 경우 유화제의 과량으로 겔링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비교예 9의 경우 천연 유화제의 분산상 입자의 바깥쪽 및 안쪽 계면에서 계면의 경계를 완화하여 분산상 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약하여 분산상 입자의 경시적 안전성이 저하되어, 내부 유성 성분이 입자 외부로 토출 및 유성 성분이 분리 되었으며, 비교예 10 및 비교예 11의 경우 유화제의 과량으로 분산상 입자 형성이 방해되어, 내부 유성 성분이 입자 외부로 토출 및 유성 성분이 분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 구체예에 따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로서 천연 유화제가 유화제로써 사용되며, 4 : 0.5 내지 2 : 1 내지 3 : 0.2 내지 5의 중량비로 제형 내 함유될 때, 안정하고 밀도가 높으며, 35 내지 100nm의 균일한 분산상의 초고밀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이 형성됨을 의미한다.

Claims (12)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상; 및
    연속상을 포함하는 에멀젼 제제로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천연 유화제는 4 : 0.5 내지 2 : 1 내지 3 : 0.2 내지 5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코-베타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2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 유화제는 칸디다 봄비콜라/글루코오스/메틸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을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 유화제는 에멀젼 제제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0.3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의 입자의 직경은 35 내지 100nm인 것인, 에멀젼 제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코코일사코시네이트 및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제제는 상기 제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상에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제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진공 하에서 유화하여 제조된 것인, 에멀젼 제제.
  11.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의 에멀젼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삭제
KR1020230125063A 2023-09-19 2023-09-19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684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063A KR102684912B1 (ko) 2023-09-19 2023-09-19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063A KR102684912B1 (ko) 2023-09-19 2023-09-19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4912B1 true KR102684912B1 (ko) 2024-07-17

Family

ID=9217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063A Active KR102684912B1 (ko) 2023-09-19 2023-09-19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49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4840A (ja) * 2014-03-14 2015-10-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ラミド分散組成物
KR20160136319A (ko) * 2014-04-01 2016-11-29 로레알 나노- 또는 마이크로-에멀션 형태의 조성물
KR101827486B1 (ko) 2018-01-02 2018-02-09 한국콜마주식회사 산소버블이 안정화된 크림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4840A (ja) * 2014-03-14 2015-10-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ラミド分散組成物
KR20160136319A (ko) * 2014-04-01 2016-11-29 로레알 나노- 또는 마이크로-에멀션 형태의 조성물
KR101827486B1 (ko) 2018-01-02 2018-02-09 한국콜마주식회사 산소버블이 안정화된 크림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0007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high content of ceramid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2928187B2 (ja) 超微細な泡立性の水中油形エマルションを含有する加圧装置
JP4397286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90713B1 (ko)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1705A (ko)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9132091B2 (en) Oil-in-water type nano-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989750B1 (ko) 발효 당지질과 오일을 포함하는 구상다중액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16899B1 (ko) 안정한 농축형 및 희석형 수중유형 에멀젼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JP2012017318A (ja) 液晶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EP2805707A1 (en) Liquid cosmetic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10220234A1 (en)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High Content Oils Are Stabilized
JP5827079B2 (ja) 粉体含有皮膚外用剤
KR102589703B1 (ko)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3483A (ko) 화장품용 천연 계면활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32795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2617410A1 (en) Oil-in-water type cosmetic
JP2005187465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乳化された皮膚外用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エステル塩の安定化方法
KR102684912B1 (ko) 천연 유화제를 포함하는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594661B2 (ja) 油溶性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を含有した乳化組成物
JP200629076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US20210205203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high content of ceramid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4327802A1 (en) Cosmetic
JP5641665B2 (ja) 皮膚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9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6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