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23537A -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537A
KR20180023537A KR1020160109068A KR20160109068A KR20180023537A KR 20180023537 A KR20180023537 A KR 20180023537A KR 1020160109068 A KR1020160109068 A KR 1020160109068A KR 20160109068 A KR20160109068 A KR 20160109068A KR 20180023537 A KR20180023537 A KR 20180023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ceramide
weight
type emul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미령
박성일
강병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0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537A/ko
Publication of KR2018002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53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마이드,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글리세린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를 다량 포함하면서도 사용감 및 안정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및 사용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OIL-IN-WATER TYPE EMULSION COMPOSITION CONTAINING HIGH CONTENT OF CERAMID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적용 가능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조직학적으로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subcutis)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가장 외층인 표피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피부노화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피부미용 면에서도 가장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표피의 제일 상층부인 각질층은 각질세포와 피부지질로 구성되며 표피장벽(epidermal barrier)으로서 각질의 세포분열과 분화를 조절하여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수분 증발 및 손실을 억제하여 피부의 건조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지질 중에서도 표피장벽 기능을 담당하는 주된 지질은 표피의 각화세포(keratinocytes)가 분화되면서 생성되는 지질로서, 이 지질은 분화한 각질세포(corneocytes)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어서 세포간의 결합력을 부여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지질은 주로 세라마이드(40~65%), 콜레스테롤(25%) 및 지방산(10%) 등이 7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각질세포 간 지질의 주요 성분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세라마이드는 스핑고 지질의 일종이며, 그 역할 또한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신 또는 파이토스핑고신에 지방산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각질층의 구조 형성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데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인체의 피부는 다양한 세라마이드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세라마이드는 상대적으로 적은 친수기를 지니고 있어 피부에서 강한 소수성 상호작용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구조적 특징 때문에 인체로부터 수분손실을 막고, 외부로부터 유해성분의 피부를 통한 유입을 차단하여 고유의 피부 장벽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세라마이드는 피부 표면에서 파이토스핑고신으로 분해됨으로서 외부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장벽으로 작용하며 염증의 조절과 상처 회복에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최근 세라마이드 관련 대사산물(metabolite)이 세포대사를 조절하는 신호전달자로서의 역할이 알려지면서, 피부 생리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세라마이드는 물과 오일 모두에 용해가 어려우며 분자사슬간의 높은 소수성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응집 현상이 발생하고 결국은 분리되어 석출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세라마이드를 다량의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 등과 혼합하여 액정 구조를 형성하거나 제조방법을 변경함으로써 세라마이드의 함량 및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제품 내에서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을 정도의 농도로 제제화하기 어렵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10382호는 수상부 내에 세라마이드와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투입하여 세라마이드 액정 입자를 형성함으로써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안정화시킨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00371호는 인라인 믹서를 이용하여 세라마이드를 비롯한 난용성 물질을 과량으로 포함하는 난용성 화장품의 수용액 분산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들은 세라마이드의 함량과 안정성을 어느 정도 개선하였으나, 그 효과가 충분치 않고 공정이 까다롭다. 따라서, 다량의 세라마이드를 간단한 공정을 통해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며 우수한 사용감 및 경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10382호(2015.01.28), 세라마이드 액정에 의한 크리스탈 외관을 가지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00371호(2015.01.02), 난용성 화장품의 수용액 분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수상부에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안정성 및 사용감을 나타내며 여러 형태의 제형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면서도 우수한 안정성 및 사용감을 가지며 제형의 다양화가 가능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글리세린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리포펩타이드 화합물은 바실러스(Bacillus) 속 미생물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리포펩타이드 화합물은 나트륨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세라마이드 0.1 내지 20 중량%, 오일 10 내지 30 중량% 및 유화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0.1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50 중량% 및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수상부 내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및 글리세린을 포함함으로써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겔화 또는 석출을 방지하여 안정성 및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a) 제조 직후 및 (b) 한달 후 광학 현미경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a) 제조 직후 및 (b) 한달 후 광학 현미경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a)제조 직후 및 (b) 1일 후 광학 현미경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안정화할 수 있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피부 각질층은 피부 장벽 기능의 가장 중요한 구조로서 각질 세포와 지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각질층은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등의 환경적 요인 및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하여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되어 각질층의 수분 부족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어지며, 칙칙해 보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나아가 피지샘과 땀샘의 기능이 저하되어 배출되는 피지와 땀의 양이 줄어들어 천연 보호막이 생성되지 못하고 피부 수화에 대한 보호력을 잃게 되어 피부는 더욱 건조해지게 된다. 이러한 피부의 보습 기능 저하는 피부의 탄력 저하의 원인이 되고,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따라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수분량, 즉 피부 보습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세라마이드는 피부의 각질층을 구성하는 지질 성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이다. 이러한 세라마이드는 상대적으로 적은 친수기를 가지는 구조적 특이성으로 인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함과 동시에 수분과 결합되어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는 기능이 뛰어나 피부 보습, 보호 및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세라마이드는 난용성으로 유화를 통해 분산하더라도 매우 제한적인 농도 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세라마이드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유화 입자 크기를 작게 하여 분산시키는 경우에도 세라마이드의 안정성은 크게 개선되지 않으며 겔화(gelation)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유화 입자의 크기가 작게 되면 입자 간의 표면 에너지가 크게 되어 인력이 크게 작용한다. 이때 세라마이드 분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기회가 많아지게 되기 때문에 오일 상에 완벽하게 분산되지 않은 세라마이드가 계면으로 이동하며 이들 간 합일 현상으로 인해 겔화를 야기한다. 이로 인해 석출이 발생하며 제품화시 떠짐성,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및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우수한 경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제형을 구현할 수 있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글리세린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수상부(외상)에 유상부(내상)가 비연속적으로 분산되어 있다. 이때 외상이 물이기 때문에 유분을 배합하면서도 상대적으로 가벼운 사용감이 수득되고, 유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저점성의 에멀젼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유상부는 풍부한 영양감을 제공하고 보습력을 유지하기 위해 세라마이드,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신과 지방산으로 구성된 지질 분자로 세포막, 세포간 지질에 고농도로 존재하여 여러 가지 신호 전달 분자로 기능하며, 피부 장벽 강화, 수분 증발 억제, 피부 재생, 피부 염증 억제, 피부 기능 정상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크게 7종류가 있고, 천연 세라마이드 또는 유사 세라마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직접 추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세라마이드는 C18 세라마이드(N-stearoyl-sphingenine), C2 세라마이드(N-acetyl-sphingenine) 등이 있다.
상기 유사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3A, 세라마이드 3B,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6-Ⅱ, 세라마이드 PC-9S, 세라마이드 PC-9SP, 세라마이드 PC-102 (Hydroxypropyl Bislauramide MEA), 세라마이드 PC-104 (Hydroxypropyl Bispalmitamide MEA), 세라마이드 PC-108 (Hydroxypropyl Bisstearamide MEA)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전체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보습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용해가 어렵고 저온에서 석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제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세라마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계면활성제, 콜레스테롤 등이 첨가되어 안정화를 유도하였으나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였고 흐름성이 낮아 크림 제형으로 주로 사용되며 통상 1 중량% 미만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를 최대 20 중량%까지 함유하면서도 우수한 안정성 및 흐름성을 나타내어 여러 제형으로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오일은 전술한 세라마이드를 충분히 용해시키고 계면막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은 폴리데센(Polydecene), 폴리부텐(Poly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mal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세틸 2-에틸 헥사노에이트(Cetyl 2-ethyl hexanoat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디세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시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디메치콘(Dimethicone), 시클로 메치콘(Cyclomethicone), 페닐 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스쿠알란(Squalane), 타마누 오일(Tamanu oil), 마카다미아넛 오일(Macadamia nut oil), 해바라기 씨 오일(Sunflower seed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달맞이 꽃 오일(Evening primrose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살구씨 오일(Apricot oil), 참깨 오일(Sesa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로즈우드 오일(Rosewood oil), 베르가못 오일(Bergamot oil), 동백 오일(Camellia oil), 티트리 오일(Tea tree oil) 및 호호바 오일(Jojoba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은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세틸 2-에틸 헥사노에이트(Cetyl 2-ethyl hexanoate),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시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디메치콘(Dimethicone), 스쿠알란(Squalane) 및 아르간 오일(Argan oil)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전체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세라마이드를 충분히 용해시키기 어려우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유상 성분들이 효과적으로 유화 입자를 형성하기가 어려워 제형의 분산과 장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수상부와 유상부 사이의 계면장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고 화장품 분야에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형성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화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및 PEG/PPG-18/18 디메치콘(PEG/PPG-18/18 Dimethicone), 글리콜 스테아레이트(Glycol Stearate),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글리세릴 올레이트(Glyceryl Oleate),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stea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PEG-30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PEG-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 PEG.PP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라우릴 PEG.PPG-18.18 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PPG-26-부테트-26(PPG-26-Buteth-26) 및 PEG-40 경화피마자유(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PEG-30 경화피마자유(PEG-30 Hydrogenated Castor Oil), 세테아레스-12(CETEARETH-12), PEG-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EG-60 Glyceryl Isostearate),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Pentastearate) , 스테아릴젖산나트륨(Sodium Stearoyl Lactylate), 메톡시 PEG-114/폴리엡실론 카프롤락톤(Methoxy PEG-114/Polyepsilon Caprolactone),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Stearate), 이눌린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rbamate),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Sorbitan Olivate), PEG-60 경화피마자유(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PEG-5 평지씨 스테롤(PEG-5 Rapeseed Sterol), 수크로오스 폴리스테아레이트/경화 폴리이소부틴(Sucrose Polystearate/Hydrogenated Polyisobutene), C12-20 알킬 글루코시드(C12-20 Alkyl Glucoside), 경화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아라키딜 글루코시드(Arachidyl Glucoside), 올리브유 PEG-8 에스테르류(Olive Oil PEG-8 Esters) 및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전체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에멀젼이 형성되지 않거나 조성물의 안정도가 저하되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유화제 자체의 끈적임과 이취가 심하게 발생되어 사용감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상부는 상기 조성 이외에 다양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왁스,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등이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르나우바왁스(Carnauba wax), 칸델리나왁스(Candelilla wax), 비즈왁스(Beeswax), 라놀린(lanolin),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세레신왁스(Ceresin wax), 파라핀왁스(Paraffin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페트롤라툼(Petrolatum), 무루무루씨 버터(Murumuru seed butter), 망고 버터(Mango butter), 쉐어 버터(Shea butter), 코코아버터(Cocoa butter), 아몬드 버터(Almond butter), 피스타치오 버터(Pistachio butter), 아보카도 버터(Avocado butter), 알로에 버터(Aloe butter), 콩 버터(Soy butter), 밀 버터(Wheat berm butter), 쿠푸아수 버터(Cupuacu butter), 호호바 버터(Jojoba butter), 포도씨 버터(Grape seed butter), 마 버터(Hemp butter)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 및 고급 지방산은 일반적으로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급 알코올은 C14-22 알코올로, 예를 들어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베헤닐 알콜(Behenyl acohol),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 세토스테아릴 알코올(Cetostearyl Alcohol), 아라키딜 알코올(Arachidyl Alcoho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올레산, 리놀레산, γ-리놀렌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수상부는 수분감과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하며, 전술한 유상부를 포함하는 유화 입자가 비연속적으로 분산되어 있다. 상기 수상부는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글리세린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리포펩타이드(Lipopeptide) 화합물은 바이오 계면활성제로서 생물 유래의 양친매성 물질이다. 이러한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천연 물질로 합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생분해가 잘 되며, 독성이 낮아 인체에 무해하고, 극한의 조건에서도 활성을 유지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포펩타이드 화합물은 후술하는 글리세린과 함께 유상부 내 세라마이드와 수소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안정화시킨다. 이를 통해 세라마이드의 계면 이동성을 낮아져 겔화되어 최종적으로 상분리 또는 석출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제품의 경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리포펩타이드 화합물은 바실러스(Bacillus)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통해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바실러스(Bacillus) 속 미생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IAM 1213 균주, IAM 1069 균주, IAM 1259 균주, IAM 1260 균주, IFO 3035 균주, ATCC 21332 균주 등일 수 있다.
상기 리포펩타이드 화합물은 지질에 친수기로 펩타이드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서팩틴(Surfactin)이다. 상기 서팩틴은 무기염 또는 유기염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기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 금속; 및 서팩틴과 함께 염을 형성하는 금속을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염의 예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라이신, 아르기닌, 콜린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포펩타이드 화합물은 나트륨 서팩틴(Sodium Surfactin)일 수 있다. 상기 나트륨 서팩틴의 시판품으로는 아미노펙트(Aminofect, 쇼와덴코사 제조)를 들 수 있다.
상기 리포펩타이드 화합물은 전체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리포펩타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세라마이드의 안정성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 또는 화장품 품질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전술한 리포펩타이드 화합물과 함께 수소 결합하여 세라마이드의 안정성 향상 및 제형의 다양화를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직접 합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전체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세라마이드의 안정도가 향상되고 시간 경과에 따른 겔화 또는 침전의 발생이 억제되어 화장품의 품질 및 효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으며 여러 형태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와 글리세린은 1:2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20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가 상기 범위 를 벗어나는 경우 세라마이드의 유동도 저하 효과가 부족하거나 제형화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고, 전체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잔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전술한 조성 이외에 증점제,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사용시 적절한 점도를 부여하여 사용감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카보머, 젤라틴, 젤란검, 구아검, 잔탄검, 로커스트콩검, 알긴산, 아라비안검, 카라기난, 한천, 펙틴, 레오직,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하이드록시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에틸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린, 아미노산, 유산 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크실로글루칸, 모과씨, 카라기난, 펙틴, 만난, 카드란, 갈락탄, 델만탄황산, 글리코켄,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님산, 히알론산, 헤파란황산, 히알론산나트륨, 콜라겐, 뮤코다당류, 콘드로이틴황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용매 또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유용성 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로는 색소, 향료, 방부제, 수용성/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일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인 수중유형 형태의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글리세린,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2) 세라마이드,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4) 냉각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한다.
상기 1) 내지 4) 단계의 혼합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온도 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교반기 내에서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교반 및 열을 가하는 방식이 이루어진다.
일례로, 수상부는 실온에서 수행하고, 유상부는 5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로 가열하여 오일에 다른 성분가 충분히 용해될 수 있도록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교반은 교반기 내에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며 교반 속도 및 시간은 사용하는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례로, 1000 내지 5000 rpm,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 rpm 의 속도로 3 내지 1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한다. 이후 25 내지 30 ℃로 냉각을 통해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9.0 중량%로 사용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화장품학 분야에서 허용 가능한 담체, 매질 또는 기제를 포함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성과 함께 구현 가능한 점도 범위 50 내지 2000 cps로 폭넓기 때문에 공지된 바의 어떠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연고, 파우더, 비누, 클렌징, 패치, 팩,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젤, 팩, 패치, 마스크, 미스트 등의 스킨 케어 제품,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마스카라,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제품,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포인트 메이크업 리무버 등의 메이크업 제거 제품, 비누, 클렌징 폼, 바디 워시 등의 세정 제품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카보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데센,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소르비단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세테아릴 알코올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클렌징인 경우에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비누, 바디워시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아래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교반기에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투입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별도의 혼합기에 유상부의 각 성분들을 투입하고 80 ℃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유상부를 상기 제조된 수상부에 투입하여 70 ℃에서 3000 rpm 조건에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 분간 교반하였다. 이에 증점제를 첨가한 후 호모게나이저로 3000 rpm에서 3 분간 교반한 다음, 25 ℃로 냉각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실시예 1은 유액 제형이며, 실시예 2는 크림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유상부 세라마이드 2 10 2 2 2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1 0.5 0.5 0.5
PEG-100 스테아레이트 0.5 1 0.5 0.5 0.5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0.5 1 0.5 0.5 0.5
세틸 2-에틸 헥사노에이트 5 5 5 5 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 5 5 5 5
스쿠알란 5 7 5 5 5
디메치콘 2 2 2 2 2
수상부 페녹시에탄올 0.5 0.5 0.5 0.5 0.5
프로판디올 5 5 5 5 5
글리세린 20 20 - - 20
나트륨 서팩틴 1 1 - 1 -
잔탄검 0.5 1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실험예 1. 경시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 직후, 상온, 45 ℃ 및 -4 ℃의 항온조에서 한달 동안 보관하면서 각각의 조성물의 상태를 광학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를 도 1 내지 3 및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상온 안정 안정 겔화,상분리 겔화,상분리 겔화,상분리
45 안정 안정 겔화,상분리 겔화,상분리 겔화,상분리
-4 안정 안정 겔화,상분리 겔화,상분리 겔화,상분리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상온, 45 ℃ 및 -4 ℃ 조건에서 한달 이상 관찰한 결과, 세라마이드 함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안정도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은 겔화와 상분리가 모두 발생하여 안정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1 내지 3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는 제조 직후 유화 입자의 크기가 미세하고 균일하고 한달 이후에도 입자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정성이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2는 제조 직후에도 유화 입자의 크기가 크고 불균일하며 1일 이후부터 입자 크기 변화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떠짐성, 발림성의 사용감과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관능평가는 30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그룹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조성물을 매일 2회씩 4 주간 사용한 후 각 항목을 아래 기준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 항목당 총점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기준>
X : 저조함 / : 보통 / : 우수함 / : 매우 우수함
평가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떠짐성 X
발림성 X
피부 개선 효과
상기 표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이 비교예 1 대비 떠짐성,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피부 개선 효과 또한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증가하여도 우수한 안정성 및 사용감을 나타내며 제형의 다양화가 가능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세라마이드,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글리세린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펩타이드 화합물은 바실러스(Bacillus) 속 미생물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펩타이드 화합물은 나트륨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 기준으로,
    세라마이드 0.1 내지 20 중량%, 오일 10 내지 30 중량% 및 유화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리포펩타이드 화합물 0.1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50 중량% 및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연고, 파우더, 비누, 클렌징, 패치, 팩,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09068A 2016-08-26 2016-08-26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eased KR20180023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068A KR20180023537A (ko) 2016-08-26 2016-08-26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068A KR20180023537A (ko) 2016-08-26 2016-08-26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537A true KR20180023537A (ko) 2018-03-07

Family

ID=6168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068A Ceased KR20180023537A (ko) 2016-08-26 2016-08-26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353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161B1 (ko) * 2019-03-18 2019-05-10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식물성천연왁스를 이용하여 피부결 개선 및 보습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7160B1 (ko) 2019-03-18 2019-05-10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식물성천연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보습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94560A1 (ko) * 2018-04-03 2019-10-10 선진뷰티사이언스 주식회사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17561A (ko) * 2021-02-17 2022-08-24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함량의 세라마이드 엔피 분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틱 형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300411A (zh) * 2022-08-25 2022-11-08 江苏瑞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仿生功能膜技术的高促渗型纳乳及其制备和应用
CN116407456A (zh) * 2023-04-06 2023-07-11 株式会社资生堂 化妆品组合物
WO2024262462A1 (ja) * 2023-06-19 2024-12-26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560A1 (ko) * 2018-04-03 2019-10-10 선진뷰티사이언스 주식회사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US11833235B2 (en) 2018-04-03 2023-12-05 Sunjin Beauty Science Co., Ltd. Cosmetic agent comprising insoluble sub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77161B1 (ko) * 2019-03-18 2019-05-10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식물성천연왁스를 이용하여 피부결 개선 및 보습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7160B1 (ko) 2019-03-18 2019-05-10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식물성천연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보습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150680A (zh) * 2019-03-18 2020-05-15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一种由植物天然油组成的具有优异保湿效果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150680B (zh) * 2019-03-18 2022-05-31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一种由植物天然油组成的具有优异保湿效果的化妆品组合物的制备方法
KR20220117561A (ko) * 2021-02-17 2022-08-24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함량의 세라마이드 엔피 분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틱 형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300411A (zh) * 2022-08-25 2022-11-08 江苏瑞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仿生功能膜技术的高促渗型纳乳及其制备和应用
CN115300411B (zh) * 2022-08-25 2024-04-19 江苏瑞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仿生功能膜技术的高促渗型纳乳及其制备和应用
CN116407456A (zh) * 2023-04-06 2023-07-11 株式会社资生堂 化妆品组合物
WO2024262462A1 (ja) * 2023-06-19 2024-12-26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9446A1 (en) Oil-in-wateroil-in-water type emulsion having excellent stability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9242B1 (ko) 4-(3-에톡시-4-히드록시페닐)-2-부탄온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867847B1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A2624356A1 (en) Skincare products
KR101490713B1 (ko)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US9827194B2 (en) Surfactant-free oil-in-water type emulsion,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its uses
EP2174646B1 (en) Reverse vesicle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777658B1 (ko) 천연 스크럽 원료를 고함량 함유하는 안정한 폴리올중유형 조성물
KR101841204B1 (ko)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6356457B2 (ja) セラミド配合外用剤組成物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5625A (ko)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8632A (ko)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28359B1 (ko) 스몰 리포좀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보습용 다기능성 화장품
KR102777610B1 (ko)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23954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10265268A (ja) 皮膚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60529A (ko)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I725031B (zh) 具有高劑型穩定性的化妝品組合物
KR20150081932A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2040A (ko) 디팔미토하이드록시프롤린을 포함하는 나노 전달체 함유 화장료 조성물
JP4832000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8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