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3569B1 - 개선된 조절 가능한 캡을 갖는 저작 과즙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조절 가능한 캡을 갖는 저작 과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569B1
KR102643569B1 KR1020227008652A KR20227008652A KR102643569B1 KR 102643569 B1 KR102643569 B1 KR 102643569B1 KR 1020227008652 A KR1020227008652 A KR 1020227008652A KR 20227008652 A KR20227008652 A KR 20227008652A KR 102643569 B1 KR102643569 B1 KR 10264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er
flexible ring
masticating
juicer
end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7620A (ko
Inventor
티모시 필즈
Original Assignee
그린필드 월드 트레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필드 월드 트레이드, 인크. filed Critical 그린필드 월드 트레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4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5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저작 과즙기(masticating juicer)는, 저작 과즙기 안으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에 대해 저작 과정을 수행하도록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오거(auger)를 포함하고, 저작 과정은 과즙과 펄프를 생성한다. 엔드 캡(end cap)이 드럼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오거의 축방향에 대해 드럼에 대해 조절 가능하다. 엔드 캡은 오거의 일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가요적인 링을 포함하고, 이 가요적인 링은 펄프가 가요적인 링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반응하여 구부려지도록 구성된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재료로 형성된다. 가요적인 링의 구부려짐에 의해, 펄프에 의해 발생된 배압을 수용하기 위해 오거와 가요적인 링 사이의 유동 단면적이 증가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조절 가능한 캡을 갖는 저작 과즙기
본 출원은 2019년 8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2/887,029의 이익을 주장한다. 그 가출원의 전체 개시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본 기술은 주방 기구, 특히, 펄프(pulp) 및 과즙 흐름을 최적화하는 조절 가능한 배압(back pressure)을 제공하는 저작 과즙기(masticating juicer)에 관한 것이다.
이 절은 본 개시에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정보는 종래 기술일 필요는 없다.
저작 과즙기는 비교적 느리게 회전하는(∼80RPM) 오거(auger) 시스템을 사용하여 과일 및 채소와 같은 식품을 압착하고 분해하며, 그리하여, 원심 분리 과즙 기계 보다 더 많은 과즙이 생기게 되며 또한 더 많은 영양분이 추출된다. 과일 또는 야채는 공급 도관 안으로 공급되고, 단단한 리브와 스크린을 갖는 콘을 통해 밀어 넣어지기 전에 저속 회전 오거에 의해 분해되며, 그 콘에서 과일과 야채는 더 분열되고 압착 된다. 과일 및 야채와 오거 시스템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과즙이 스크린을 통해 분리되고, 과즙으로서 방출되지 않은 과일과 야채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펄프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에, 과즙화 과정에 의해 생성된 펄프는 저작 과즙기의 엔드 캡 밖으로 밀려 나간다.
어떤 저작 과즙기는 엔드 캡 밖으로 나가는 펄프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이한 식품에 대한 조절 가능한 엔드 캡을 사용한다. 예컨대, 그러한 엔드 캡은 엔드 캡과 대응 오거의 축방향 단부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나사 연결부를 통해 조절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 틈의 축방향 조절의 결과로, 그 틈을 통과하는 유동 단면이 변하기 때문에 펄프에 가해지는 압축 압력이 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조절 가능한 엔드 캡을 풀면, 펄프가 엔드 캡 밖으로 압착되도록 증가하는 틈이 형성되며, 그리하여 과즙기에서 나가는 펄프에 더 작은 압력이 가해지며, 반면에, 조절 가능한 엔드 캡을 조이면, 펄프를 위한 감소하는 틈이 형성되며, 그리하여 펄프에는 더 큰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과즙 결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상이한 식품에 대해서는 상이한 틈 크기 및 대응하는 압축 압력이 요구된다. 조절 가능한 엔드 캡이 지나치게 느슨하게 됨으로 인해 틈이 너무 크도록 조절되면, 식품은 충분히 분해 및 압축됨이 없이 저작 과즙기를 너무 빨리 통과할 수 있고, 그리하여 과즙 과정에서 생기는 과즙의 양이 적게 된다. 반대로, 지나치게 조여짐으로 인해 틈이 너무 크도록 조절되면, 식품이 엔드 캡에서 나가려 할 때 잼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저작 과즙기의 모터가 바람직하지 않게 정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원하는 과즙 결과를 얻고 또한 저작 과즙기의 바람직하지 않은 정지를 방지하지 위해서는 조절 가능한 엔드 캡 밖으로 나가는 적절한 유동 단면적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저작 과즙기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다양한 상이한 식품의 상이한 특성을 보상하는 요구되는 과즙화 속도를 얻기 위해 저작 과즙기에서 나가는 펄프의 유동 단면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절 가능한 엔드 캡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기술은 저작 과즙기에 관련된 제조 물품, 시스템 및 공정을 포함하고, 그 저작 과즙기는, 과즙화 과정 동안에 발생된 압력을 보상하기 위해 저작 과즙기에서 나가는 펄프의 유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개선된 조절 가능한 엔드 캡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저작 과즙기는, 저작 과즙기 안으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에 대해 저작 과정을 수행하도록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오거(auger)를 포함하고, 그 저작 과정은 과즙과 펄프를 생성한다. 엔드 캡이 드럼의 일 단부에 결합된다. 엔드 캡은 오거의 일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가요적인 링을 포함한다. 엔드 캡은, 펄프가 가요적인 링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반응하여 구부려지도록 구성된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재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가요적인 링은 탄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중합체 재료는 실리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가요적인 링은 테이퍼형 부분을 포함한다. 테이퍼형 부분은, 오거의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때 오거의 축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테이퍼형 부분은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립(lip)을 포함하고, 이 립은 가요적인 링을 통과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펄프가 그 개구를 통과한다. 개구를 통과하는 유동 면적은 가요적인 링의 구부려짐 동안에 증가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테이퍼형 부분은 절두 원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테이퍼형 부분은 오거의 단부 쪽을 향하는 테이퍼형 표면을 포함한다. 테이퍼형 표면은 오거의 단부의 축방향 정렬 부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가요적인 링은 또한 원통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테이퍼형 부분은 그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이퍼형 부분은 오거의 단부 쪽에 배치되는 제1 단부에 인접하여 원통형 부분과 교차하고, 원통형 부분의 제2 단부는 엔드 캡의 강성적인 부분과 결합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오거의 단부와 가요적인 링 사이에 존재하는 틈이 가요적인 링의 구부려짐 동안에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가요적인 링은 이 가요적인 링의 구부려짐 동안에 엔드 캡의 강성적인 부분에 지탱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엔드 캡은, 가요적인 링과 오거의 단부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해 오거의 축방향에 대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엔드 캡 및 드럼은, 엔드 캡의 회전이 오거의 축방향에 대한 엔드 캡의 조절에 대응하도록 상호 협력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가요적인 링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V-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 V-형 단면의 뾰족한 부분은 오거의 단부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저작 과즙기는 저작 과즙기 안으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에 대해 저작 과정을 수행하도록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오거를 포함하고, 저작 과정은 과즙과 펄프를 생성한다. 엔드 캡이 드럼의 일 단부에 결합된다. 엔드 캡은 강성적인 부분 및 이 강성적인 부분에 결합되는 가요적인 링을 포함한다. 가요적인 링은 오거의 일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펄프가 엔드 캡을 통해 저작 과즙기에서 나갈 때 그 펄프가 가요적인 링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반응하여 오거의 단부와 가요적인 링 사이의 유동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오거의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구부려지도록 구성된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재료로 형성된다. 엔드 캡은 가요적인 링과 오거의 단부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해 오거의 축방향에 대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추가의 이용 가능 영역은 여기서 제공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 요약 내의 설명과 특정 예는 단지 실례를 들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여기서 설명되는 도면은 모든 가능한 구현예가 아닌 단지 선택된 실시 형태의 실례를 들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저작 과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 단면 선의 시각에서 본 저작 과즙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한 시각에서 본 저작 과즙기의 드럼, 오거 및 조절 가능한 엔드 캡 어셈블리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단독으로 있는 조절 가능한 엔드 캡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 단면 선의 시각에서 본 조절 가능한 엔드 캡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5의 조절 가능한 엔드 캡 어셈블리의 분해 측면 사시도이다.
이하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단지 본래 하나 이상의 발명의 주제, 제조 및 용도에 대한 예시이고, 본 명세서 또는 본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출원될 수 있는 다른 출원 또는 그로부터 허여된 특허에서 청구된 특정 발명의 범위, 적용 또는 용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개시된 방법에 대해, 주어진 단계의 순서는 본래 예시적인 것이고, 그래서, 어떤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여, 단계의 순서는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형 표현은 물품의 "적어도 하나"가 존재함을 의미하고, 가능하다면 복수의 그러한 물품이 존재할 수도 있다. 다르게 명백히 나타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설명에서의 모든 수치적 양은 "약"이라는 단어의 수식을 받는 것으로 이해되며, 그리고 모든 기하학적 및 공간적 기술어는 본 기술의 가장 넓은 범위를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라는 단어의 수식을 받는 것으로 이해된다. "약"은, 수치 값에 적용될 때, 측정치의 계산은 값의 어느 정도 약간의 부정확함(값의 정확함에 어느 정도 접근하여; 대략적으로 또는 그 값에 적절히 가까운; 거의)을 허용함을 나타낸다. 어떤 이유로, "약" 및/또는 "실질적으로"으로 제공되는 부정확함은 본 기술 분야에서 이 통상적인 의미로 다르게 이해되지 않는 다면,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약" 및/또는 "실질적으로"는, 적어도 그러한 파라미터를 측정하거나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생길 수 있는 변화를 나타낸다.
이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특허, 특허 출원 및 과학 문헌을 포함하여 모든 문헌은, 다른 명백한 지시가 없다면, 여기에 참조로 관련된다. 참조로 관련된 문헌과 이 상세한 설명 사이에 어떤 상충 또는 모호성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에, 본 상세한 설명이 지배한다.
포괄하는, 함유하는 또는 갖는과 같은 비한정적인 용어의 동의어로서 "포함하는" 이라는 개방형 용어는 본 기술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 청구하기 위해 여기서 사용되고 있지만, 실시 형태는 대안적으로 "∼로 이루어지는" 또는 "본질적으로 ∼로 이루어지는"과 같은 더 한정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추가적인 재료, 구성품 또는 공정이 본 출원에서 명확히 언급되어 있지 않더라도, 재료, 구성품 또는 공정 단계를 언급하는 주어진 실시 형태에 대해, 본 기술은 특히, 추가적인 재료, 구성품 또는 공정을 제외하고(∼로 이루어지는에 대해) 또한 실시 형태의 중요한 특성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재료, 구성품 또는 공정을 제외하고(본질적으로 ∼로 이루어지는에 대해), 그러한 재료, 구성품 또는 공정 단계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시 형태도 포함한다. 예컨대, 요소(D)는 여기서 배제되어 있는 것으로 명확히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요소(A, B, C)를 언급하는 조성 또는 공정의 언급은, 특히, 본 기술 분야에서 언급될 수 있는 요소(D)를 제외하고, A, B 및 C로 이루어지는 또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시 형태를 예상한다.
여기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모든 조성 백분율은, 다르게 특정되지 않는다면, 총 조성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범위의 개시는, 다르게 특정되지 않는다면, 끝점을 포함하고 전체 범위에 들어 있는 모든 개별적인 값 및 추가의 분할된 범위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A 내지 B"의 범위 또는 "약 A 내지 약 B"의 범위는 A 및 B를 포함한다. 특정 파라미터(예컨대, 양, 중량 퍼센트 등)에 대한 값 및 값의 범위의 개시는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값 및 값의 범위를 배제하지 않는다. 주어진 파라미터에 대한 2개 이상의 특정한 예시적인 값은 그 파라미터에 대해 청구될 수 있는 값의 범위에 대한 끝점을 규정할 수 있음을 생각한다. 예컨대, 파라미터(X)가 여기서 값(A)과 값(Z)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는 경우에, 파라미터(X)는 약 A 에서 약 Z까지의 값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유사하게, 어떤 파라미터에 대한 2개 이상의 값의 범위의 개시는(그러한 범위가 포개져 있든, 겹쳐져 있든 또는 개별적이든), 개시된 범위의 끝점을 사용하여 청구될 수 있는 값에 대한 범위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파라미터(X)가 여기서 1∼10 또는 2∼9 또는 3∼8의 범위 내의 값을 갖는다고 예시되는 경우에, 그 파라미터(X)는 1∼9, 1∼8, 1∼3, 1∼2, 2∼10, 2∼8, 2∼3, 3∼10, 3∼9 등을 포함하는 값의 다른 범위를 가질 수 있다고 또한 생각한다.
한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있다, "에 맞물린다", "에 연결된다" 또는 "에 결합된다"라고 할 때, 이는 직접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있거나, 맞물리거나,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고 또는 개재하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직접 있다", "에 직접 맞물린다", "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에 직접 결합된다"라고 할 때, 개재하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단어는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예컨대, "사이에 있는" 대 "직접 사이에 있는", "인접하는" 대 "직접 인접하는" 등).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물품 중의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 구성품, 영역, 층 및/또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여기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 구성품, 영역, 층 및/또는 부분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이들 용어는 한 요소, 구성품, 영역, 층 및/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제1", "제2" 및 다른 수치적 용어와 같은 용어가, 여기서 사용될 때, 문맥상 명확한 지시가 없다면 서열 또는 순서를 암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래에서 논의되는 제1 요소, 구성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교시에 서 벗어남이 없이 제2 요소, 구성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내측", "외측", "아래", "아래쪽", "하측", "위쪽", "상측" 등과 같은 공간적인 용어는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한 요소 또는 특징부의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에 대한 관계를 설명하도록 설명의 용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인 상대 용어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배향에 추가로, 사용 또는 작동 중인 장치의 다른 배향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있는 장치가 뒤집혀 있다면, 다른 요소 또는 특징부의 "아래쪽" 또는 "아래"에 있다라고 설명되는 요소는 그 다른 요소 또는 특징부의 "위쪽"에 배향될 것이다. 따라서, "아래쪽" 이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쪽과 아래쪽의 배향 둘 다를 포괄할 수 있다. 장치는 다른 식으로 배향될 수도 있고(90도 회전되거나 다른 배향으로), 여기서 사용되는 공간적인 상대 기술어는 그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저작 과즙기(10)를 도시하며, 이 과즙기는 간략히 하기 위해 이하 과즙기(10)라고 지칭된다. 과즙기(10)는 비교적 낮은 점도를 갖는 액화 물질 또는 부분적으로 액화된 물질을 형성하는 동안에 갈리거나, 걸쭉하게 되거나, 압착되거나, 으깨어지거나 또는 다른 식으로 분해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과일, 야채 또는 다른 적절한 식품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과즙기(10)의 작동으로 얻어지는 비교적 낮은 점도를 갖는 액화된 또는 부분적으로 액화된 물질을 대응하는 식품(들)의 과즙이라고 하며, 반면에, 과즙기(10)의 작동으로 얻어지는 비교적 더 높은 점도를 갖는 더 많은 고형 부산물을 대응하는 식품(들)의 펄프라고 한다. 다수의 상이한 식품들이 이용되는 경우, 과즙기(10)는 복수의 식품에 대한 과즙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또는 과즙기(10)는, 필요에 따라, 과즙기(10) 안으로 도입되는 각 식품에 대해 독립적인 단계로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과즙기(10)를 통과하는 과일, 야채 또는 이의 조합물을 설명되는 과즙화 과정을 통해 과즙과 펄프를 형성하기 위한 식품이라고 한다.
과즙기(10)는 일반적으로 주 하우징(12), 트레이(20), 플런저(24), 드럼(30), 오거(auger)(50), 스크린 콘(60), 및 신규한 가요적인 링(83)을 갖는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과즙기(10)의 다양한 상이한 구성품들은 서로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어, 과즙기(10)의 사용 후에 상이한 구성품들의 독립적인 청결화를 용이하게 해준다.
주 하우징(12)은 개구(13)를 규정하고, 이 개구 안에는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가 배치된다.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의 모터는, 오거(50)의 형태로 되어 있는 과즙기(10)의 회전자의 선택적인 회전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전기 회전 모터이다. 모터는 과즙기(10)의 정상적인 작동 동안에 요구되는 식품을 요구되는 과즙 생성물로 저작하기 위해 필요한 토크를 갖는 어떤 종류의 전기 회전 모터라도 될 수 있다.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는, 한 비한정적인 예로서 약 80 rpm과 같은 비교적 느린 회전 속도로 오거(5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과즙기(10)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과즙화되는 식품의 종류 또는 과즙기(10)의 요구되는 출력률에 따라 다양한 상이한 회전 속도에서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과즙기(10)는 필요에 따라 단일 회전 속도에서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의 기어는 모터의 회전 속도를 오거(50)의 요구되는 회전 속도로 변환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는, 필요에 따라, 파워 출구에 연결되는 전기 코드에 의해 동력 공급을 받거나 휴대용 배터리 유닛에 의해 동력 공급을 받을 수 있다.
트레이(20)는, 드럼(30) 안으로의 도입 전에 식품을 유지하기 위해 바닥 표면(21) 및 주변 테두리(22)를 포함한다. 드럼(30) 안으로 전달되기 전에 요구되는 식품을 트레이(20) 내부에 유지시키기 위해 바닥 표면(21)은 어떤 요구되는 표면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테두리(22)는 어떤 요구되는 높이라도 가질 수 있다. 식품 도입 개구(23)가 트레이(20)의 바닥 표면(21)에 형성되어 있어, 트레이(20) 내부에 배치되는 식품이 중력에 의해 떨어져 드럼(30) 안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과즙기(10)가 도 1 및 2에 나타나 있는 조립 구성으로 있을 때 드럼(30)은 트레이(20) 아래쪽에 배치된다. 드럼(30)은 드럼 본체(32)와 드럼 캡 어셈블리(70)의 상호 협력으로 형성되는 어셈블리로서 제공될 수 있다. 드럼(30)은 오거(50) 및 스크린 콘(60)을 그 내부에 수용하고, 주 하우징(12) 및 엔드 캡 어셈블리(70)에 결합되도록 더 구성된다.
드럼 본체(32)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인 오거 하우징(33)을 포함하고, 이 오거 하우징은 축방향으로 제1 단부(34)로부터 대향하는 제2 단부(35)까지 연장되어 있다. 오거 하우징(33)의 제1 단부(34)는, 드럼 본체(32)와 드럼(30)의 나머지를 주 하우징(1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특징부(36)를 포함한다. 드럼(30)이 주 하우징(1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주 하우징(12)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 구성품으로부터 분리될 때, 드럼(30)을 형성하는 구성품의 청결화가 용이하게 된다. 결합 특징부(36)는 주 하우징(12)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결합 특징부(17)에 드럼 본체(32)를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특징부(17, 36)는 각각의 드럼 본체(32) 및 주 하우징(12)에 형성되는 상보적인 나선형 탭(tab), 나사산 등일 수 있다. 결합 특징부(17, 36)는, 주 하우징(12)에 대한 드럼 본체(32)의 요구되는 위치가 얻어지도록 드럼 본체(32)가 주 하우징(12) 쪽으로 축방향으로 가압되고 그런 다음에 정지 주 하우징(12)에 대한 고정된 회전 각도로 회전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주 하우징(12)에 대한 드럼 본체(32)의 축방향 가압 및 이어지는 회전은 오거 하우징(33)의 축방향에 대해 그들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을 제공한다.
유지 링(18)이 결합 특징부(17, 36)의 이음부 주위에 배치되어,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주 하우징(12)에 대한 드럼 본체(32)의 축방향 및 회전 위치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결합 특징부(17)의 외주 표면은, 결합 특징부(17)의 나사산에 대한 유지 링(18)의 나사산의 회전 조임에 의해 유지 링(18)의 단부가 오거 하우징(33)의 반경 방향 외측 연장 단부에 축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유지 링(18)의 내주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외부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유지 링(18)은 과즙기(10)의 작동 동안에 드럼 분체(32)가 주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오거 하우징(33)은, 오거(50)와 스크린 콘(6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개구(37)를 규정한다. 주 본체(12) 쪽을 향하는 오거 하우징(33)의 제1 단부(34)는 축 구멍(38)을 포함하고, 오거 하우징(33) 내부에서 오거(50)의 선택적인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주 하우징(12)의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와의 작동 결합을 위해 오거(50)의 회전 축(53)이 그 축 구멍을 통해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축(53)은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의 대응하는 부분에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상보적인 형상으로 인해,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운동 및 토크가 오거(50)에 전달될 수 있다.
드럼 본체(32)는 오거 하우징(33)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주 하우징(12)에 결합될 때) 입구 도관(40) 및 오거 하우징(33)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마찬가지로, 주 하우징(12)에 결합될 때) 출구 도관(41)을 더 포함한다. 입구 도관(40)은 원통형이고, 트레이(20)의 식품 도입 개구(23)와 오거 하우징(33)의 개구(37)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여, 식품이 과즙기(10)를 통과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입구 도관(40)과 식품 도입 개구(23)는, 필요에 따라 입구 도관(40)을 식품 도입 개구(23) 안으로 제거 가능하게 압입하여 서로에 결합될 수 있다. 출구 도관(41)도 원통형이고, 개구(37) 내부에서 발생된 과즙이 과즙화 과정 후에 오거 하우징(33) 밖으로 유출될 수 있게 한다. 과즙이 과즙기(10)를 통과하는 식품으로부터 처리된 후에 중력을 통해 오거 하우징(33)에서 나갈 수 있는 한,출구 도관(41)은 대안적으로 오거 하우징(33)의 바닥 표면에 형성되는 어떤 형태의 개구로도 제공될 수 있다. 드럼 본체(32)의 오거 하우징(33), 입구 도관(40) 및 출구 도관(41)은 단일의 일체적인 또는 단체형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드럼 본체(32)를 형성하는 구성품은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나중에 서로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입구 도관(40)은, 식품을 입구 도관(40)을 통해 개구(37) 안으로 들어가게 할 때 과즙기(10)의 작동자의 손가락이 우발적으로 오거 하우징(33)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적합한 길이(드럼(30)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의 높이)를 포함한다. 입구 도관(40)은 오거 하우징(33) 안으로 도입되고 있는 식품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플런저(2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플런저(24)는 핸들(25), 이 핸들(25)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반경 방향 외측 연장 보호 플랜지(26), 및 핸들(25)의 반대편에 있는 플런저(24)의 단부에 있는 원추형 밀기 요소(27)를 포함한다. 핸들(25)은 작동자에 의해 잡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보호 플랜지(26)는 식품이 입구 도관을 통해 밀려들어 가는 동안에 작동자의 손의 일부분이 그 입구 도관(40)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다시 한번 방지한다. 밀기 요소(27)는, 입구 도관(40)을 통과하는 식품과 접촉하기 위해 입구 도관(40)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밀기 표면을 포함한다.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재료로 형성되는 환형 밀봉 요소(28)가 밀기 요소(27)의 원주 주위에 형성되는 환형 홈 내부에 배치된다. 밀봉 요소(28)는 플런저(24)가 입구 도관(40) 내부에서 움직이는 동안에 입구 도관(40)의 내주 표면과의 결합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거(50)는 그의 제1 단부(51)에서 제2 단부(52)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에 따라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오거(50)의 제1 단부(51)는, 주 하우징(12)의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와의 회전 결합을 위해 구성된 위에서 언급된 회전 축(53)을 형성한다. 오거(50)는, 그의 축방향으로 제1 단부(51)에서 제2 단부(52)까지 진행할 때, 회전축(53), 입구 부분(54), 압축 부분(55), 출구 부분(56), 및 오거(50)의 제2 단부(52)에 배치되는 끝 표면(57)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나선형인 나사산(58)이 입구 부분(54), 압축 부분(55) 및 출구 부분(56)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 식품을 분해 및/또는 압축시키고 또한 각 나사산(58)이 오거(50) 주위에 감겨 있음에 따른 각 나사산(58)의 경사로 인해 갈린 식품을 오거(50)의 축방향으로 제2 단부(52) 쪽으로 가게 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오거(50)의 상이한 부분(54, 55, 56)에 따라 각 나사산(58)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자르기/갈기/압축 작용에 따라 각 나사산(58)이 오거(50)의 축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각 나사산(58)의 피치가 변할 수 있다.
입구 부분(54)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에 대한 대응하는 각 나사산(58)의 최대화된 반경 방향 외측 연장을 포함하며, 그래서, 각 나사산(58)의 인접하는 권회부 사이에서 비교적 큰 반경 방향 개구를 형성하여, 오거(50)에 의해 수행되는 자르기/갈기/압축 과정의 시작 전에 식품이 더 쉽게 그에 수용될 수 있게 해준다. 압축 부분(55)은 구근형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이는 입구 부분(54)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타원형의 단축을 갖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단면 형상을 형성한다. 출구 부분(56)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입구 부분(54)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나사산(58)의 반경 방향 높이는 입구 부분(54)과 비교하여 압축 부분(55) 및 출구 부분(56) 내에서 오거(50)의 외주 표면에 대해 감소된다. 끝 표면(57)은 아치형이고, 오거(50)의 제2 단부(52)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반타원형인 단면 형상을 포함하며, 끝 표면(57)의 축방향 원위 부분이 오거(50)의 회전 축 상에 배치된다,
오거(50)는 스크린 콘(60) 내부에 수용되고, 스크린 콘은 오거(50) 주위의 오거 하우징(33) 내부에 수용되어, 일반적으로 스크린 콘(60)을 오거 하우징(33)의 내주 표면과 오거(50)의 외주 표면 사이에 위치시킨다. 스크린 콘(60)은, 축방향으로 그의 제1 단부(61)에서 제2 단부(62)까지 진행함에 따라, 입구 부분(54)에 대응하고 그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입구 부분(64), 압축 부분(55)에 대응하고 그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압축 부분(65), 출구 부분(56)에 대응하고 그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출구 부분(66), 및 출구 부분(56)으로부터 끝 표면(57)으로 가는 오거(50)의 천이부를 둘러싸는 단부 칼라(67)를 포함한다. 오거(50)의 각 나사산(58)은 그의 회전 축선에 대한 가변적인 반경 방향 높이를 포함하여, 각 나사산(58)의 각 권회부의 반경 방향 최외측 표면과 스크린 콘(60)의 각 부분(64, 65, 66)의 내주 표면 사이에 비교적 작은 반경 방향 틈을 형성한다.
입구 부분(64)은 원의 일부분과 유사한 아치형의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단면을 포함하고, 드럼(30)이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입구 부분(64)은 오거(50) 아래쪽의 위치에서 연장되어 있다. 입구 부분(64)은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크린 요소(68)를 형성한다. 제1 스크린 요소(68)는, 오거(50)의 입구 부분(54, 64)과 스크린 콘(60) 사이에 형성되는 과즙이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흘러, 스크린 콘(60) 바로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오거 하우징(33) 내부에 존재하는 개구(37)의 과즙 수집 영역(39)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과즙 수집 영역(39)은 출구 도관(41)에 열려 있다.
스크린 콘(60)의 압축 부분(65)은 실질적으로 원추형이고, 압축 부분(65)이 스크린 콘(60)의 제2 단부(62) 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압축 부분(65)은 스크린 콘(60)의 입구 부분(64)을 따라 배치되는 오거(50)의 각 대응하는 나사산(58) 쪽으로 돌출해 있는 복수의 반경 방향 내측 연장 리브(63)를 포함한다. 각 리브(63)는 오거(50)의 축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리브(63)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리브(63)는 식품의 축방향 이동 동안에 식품이 리브(63)를 지나가려고 할 때 그 식품을 분해시키는 데에 도움을 주며, 오거(50)의 외주 표면과 스크린 콘(60)의 내주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연속적으로 감소는 반경 방향 공간은, 식품이 오거(50)의 축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그 식품을 압축하고 그래서 압착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출구 부분(66)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스크린 요소(69)를 형성한다. 제2 스크린 요소(69)는, 유사하게, 오거(50)의 출구 부분(56, 66)과 스크린 콘(60) 사이에 형성되는 과즙이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흘러, 오거 하우징(33)의 과즙 수집 영역(39) 안으로 들어가 결국에는 출구 도관(41)을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 출구 부분(56, 66)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각 나사산(58)은, 오거(50)의 끝 표면(57) 및 스크린 콘(60)의 단부 칼라(67)를 넘어 식품을 축방향으로 밀기 위해 최대 피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오거(50)와 스크린 콘(60)은 다시 한번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그의 청결화가 쉽게 될 수 있다. 스크린 콘(60)은 오거(50) 위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에 그 어셈블리는 드럼 본체(32)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며, 또는 스크린 콘(60)이 오거(50) 위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전에, 오거(50)가 드럼 본체(32)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오거 하우징(33)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37)는 각 스크린 요소(68, 69)가 아래로 과즙 수집 영역(39) 쪽을 향하게 스크린 콘(60)을 위치시키도록 성형될 수 있다.
드럼 캡 어셈블리(70)는, 스크린 콘(60)의 단부 칼라(67) 및 오거(50)의 끝 표면(57)을 둘러싸도록 오거 하우징(33)의 제2 단부(35)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드럼 캡 어셈블리(70)는 제1 요소(71) 및 제2 요소(72)를 포함한다. 제1 요소(71)는 원통형의 대경 부분(73) 및 원통형의 소경 부분(74)을 포함하고, 이들 부분 사이의 천이부에는 어깨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75)의 반대편에 있는 대경 부분(73)의 단부는, 드럼 캡 어셈블리(70)를 오거 하우징(33)의 제2 단부(35)에 존재하는 상보적인 결합 특징부(38)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 특징부(76)를 포함한다. 상보적인 결합 특징부(38, 76)는, 결합 특징부(38) 안으로의 결합 특징부(76)의 축방향 삽입 및 오거 하우징(33)에 대한 드럼 캡 어셈블리(70)의 이어지는 회전을 포함하여 그들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는 상보적인 결합 특징부(17, 36)와 유사하다. 드럼 캡 어셈블리(70)가 오거 하우징(33)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한, 필요에 따라 상보적인 내부 나사산 및 외부 나사산과 같은 대안적인 상보적인 결합 특징부가 이용될 수 있다.
제2 요소(72)는 제1 요소(71)의 대경 부분(73)을 둘러싸고 오거 하우징(33)의 환형 제2 단부(35)와 직접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환형 가스켓(77)이 제2 요소(72)의 일 단부에 결합되며, 드럼 캡 어셈블리(70)가 오거 하우징(33)에 결합될 때 제2 요소(72)와 오거 하우징(33)의 제2 단부(35)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제1 요소(71)의 어깨부(75)도 드럼 캡 어셈블리(70)가 오거 하우징(33)에 결합될 때 스크린 콘(60)의 단부 칼라(67)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트레이(20), 플런저(24), 드럼 본체(32), 오거(50), 스크린 콘(60), 및 드럼캡 어셈블리(70)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상이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실질적으로 강성적인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과즙기(10)의 작동 동안에 과즙화 과정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드럼 본체(32)와 같은 어떤 요소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공될 수 있다.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은 드럼 캡 어셈블리(70), 더 구체적으로는 그의 제1 요소(71)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도 4∼6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은 내부 요소(81), 외부 요소(82) 및 가요적인 링(83)을 포함하는 어셈블리로서 나타나 있다.
내부 요소(81)는 원통형이고, 드럼 캡 어셈블리(70)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축방향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랜지 부분(84)을 포함한다. 내부 요소(81)의 외주 표면은 환형 O-링(8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환형 홈(85)을 포함하고, O-링(86)은, 드럼 캡 어셈블리(70)에 대한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의 축방향 위치에 무관하게 유지되는 제1 요소(71)의 소경 부분(74)의 내주 표면과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링 유지 칼라(87)가 내부 요소(81)의 내주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요적인 링(83)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링 수용 홈(88)을 형성한다. 링 유지 칼라(87)는, 내부 요소(82)의 원주 주위에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L-형인 단면을 포함한다. 링 유지 칼라(87)의 L-형 단면은 반경 방향 부분(89) 및 축방향 부분(90)으로 형성되고, 축방향 부분(90)은, 과즙기(10)가 조립 구성으로 있을 때 오거(50)의 끝 표면(57)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반경 방향 부분(89)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반경 방향 부분(89)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축방향 부분(90)의 끝 표면(91)은 실질적으로 원추형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외부 요소(82)는 원통형이고,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잠금 상보적 형상을 통해 내부 요소(81)의 플랜지 부분(84)에 결합되는 단부(92)를 포함한다. 환형 공간(93)이 내부 요소(81)와 외부 요소(82) 사이에 형성되고, 그 환형 공간은 드럼 캡 어셈블리(70)의 제1 요소(71)의 소경 부분(74)을 축방향으로 그리고 조절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요소(82)의 내주 표면은 내부 나사산(94)을 포함하고, 이 내부 나사산은, 제1 요소(71)의 소경 부분(74)의 외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나사산(95)(도 3)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내부 나사산(94)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나사산 부분으로서 제공되지만(도 4),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대안적인 구성도 이용될 수 있다. 상호 협력하는 나사산(94, 95)의 나선형으로 인해,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의 축방향 위치는 드럼 캡 어셈블리(70)에 대한 회전 위치에 달려 있다.
가요적인 링(83)은 환형이고,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재료로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재료는, 실온에서 힘을 받으면 구부려지거나 다른 식으로 변형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그 힘이 해제되면 그의 원래 형태로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재료를 말한다. 가요적인 링(83)을 형성하는 재료는, 과즙화 과정에서 발생된 펄프가 지나갈 때 찢어짐 또는 다른 식의 실패 없이 과즙기(10)의 작동 동안에 받는 압력을 견디기에 적절한 강도를 포함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가요적인 링(83)은 필요에 따라 실리콘 또는 다른 적절한 탄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가요적인 링(83)은 원통형 부분(96)과 테이퍼형 부분(97)을 포함하는 단일체(일체적인) 구조체로서 형성된다. 원통형 부분(96)과 테이퍼형 부분(97)은 상호 협력하여 실질적으로 V-형인 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그 V-형 단면의 뾰족한 부분은 오거(50)의 끝 표면(57)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V-형 단면은 오거(50)의 회전 축선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동연(co-extensive) 부분(96, 97)을 포함하는 가요적인 링(83) 전체는 한 비한정적인 예로서 적절한 몰딩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 부분(96)의 제1 단부(98)가 오거(50)의 끝 표면(57) 쪽을 향하는 테두리를 형성하고, 반대편에 배치되는 원통형 부분(96)의 제2 단부(99)는 내부 요소(81)의 링 수용 홈(88) 내부에 수용된다. 원통형 부분(96)은 오거(50)와 동일한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원통형 부분(96)의 중심 축선은 오거(50)의 회전 축선과 정렬된다. 원통형 부분(96)의 제1 단부(98)에 형성되는 테두리는 원통형 부분(96)의 나머지와 비교하여 감소된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부분(96)의 제1 단부(98)로 형성되는 테두리는 또한 오거(50) 쪽을 향하는 내부 요소(81)의 단부와 공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테두리는 내부 요소(81)의 단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그래서 가요적인 링(83)을 통과하는 펄프는 오거(50)의 끝 표면(57)의 반경 방향 최외측 부분과 가요적인 링(83)의 테두리 사이를 직접 통과하게 된다.
테이퍼형 부분(97)은 원통형 부분(96)의 제1 단부(98)에 있는 또는 그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테이퍼형 부분(97)과 실리더형 부분(96)은 교차한다. 테이퍼형 부분(97)은 오거(50)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고, 테이퍼형 부분(97)이 축방향으로 원통형 부분(96)의 제1 단부(98)로부터 그의 제2 단부(99)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테이퍼형 부분(97)의 테이퍼는 절두 원추의 형상을 갖는 테이퍼형 부분(97)을 형성하도록 일정할 수 있거나, 오거(50)의 아치형 끝 표면(57) 쪽을 향하고 또한 그 끝 표면의 볼록한 형상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하도록 아치형일 수 있거나, 또는 끝 표면(57) 쪽을 향하고 또한 그 끝 표면과는 다른 곡률을 갖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하도록 아치형일 수 있어, 테이퍼형 부분(97)의 반경 방향 내측 립(101)이 테이퍼형 부분(97)에 있어서 원통형 부분(96)과 교차하는 부분 보다 약간 더 큰 거리로 끝 표면(57)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립(101)은 가요적인 링(83)을 통과하는 중심 개구(102)를 형성하고, 과즙화 과정에 의해 발생된 펄프가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을 통과할 때 그 중심 개구를 통해 과즙기(10)에서 나갈 수 있다.
테이퍼형 부분(97)은 오거(50)의 끝 표면(57) 쪽을 향하는 제1 표면(103) 및 링 유지 칼라(87) 쪽을 향하는 대향하는 제2 표면(104)을 포함하고, 제1 표면(103)과 제2 표면(104) 각각은 테이퍼져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표면(103)의 곡률에 따라, 오거(50)의 끝 표면(57)과 제1 표면(103) 사이에 존재하는 축방향 틈은, 필요에 따라, 오거(50)의 반경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거나, 오거(50)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 5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작은 축방향 틈이 데이퍼형 부분(97)의 제2 표면(104)과 링 유지 칼라(87)의 끝 표면(91)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그 축방향 틈에 의해, 테이퍼형 부분(97)은 원통형 부분(96)의 제2 단부(99) 쪽의 방향으로 구부려질 수 있고, 테이퍼형 부분(97)의 립(101)은 끝 표면(91) 쪽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려지며, 이에 따라, 오거(50)의 중심 축선 쪽에서 데이퍼형 부분(97)의 제1 표면(103)과 오거(50)의 끝 표면(57) 사이에 존재하는 축방향 틈이 증가한다. 립(101)이 원통형 부분(96) 쪽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려짐으로 인해, 중심 개구(102)를 통과하는 유동 단면적이 또한 증가된다.
내부 요소(81)의 내주 표면과 외부 요소(82)의 단부(92)를 통해 형성된 개구가 상호 협력하여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을 통과하는 펄프 출구 개구(110)를 형성하며, 이 개구는 가요적인 링(83)을 통해 형성된 중심 개구(102)와 오거(50)의 회전 축선 각각과 정렬되고 그의 하류에 배치된다. 펄프 출구 개구(110)는 과즙화 공정 동안에 발생된 펄프가 오거(50)와 스크린 콘(60) 사이에서 일어나는 분해/갈기/압축 공정을 거친 후에 과즙기(10)에서 나가기 위한 경로를 형성한다.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은 외부 요소(82)에 결합되는 내부 요소(81)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고 설명되며, 내부 및 외부 요소(81, 82)는 대신에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가요적인 링(83)이 필요에 따라 결합되는 하나의 일체형 또는 단일체형 구조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가요적인 링(83)을 형성하는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재료와는 달리, 내부 요소(81), 외부 요소(82) 또는 내부 및 외부 요소(81, 82)를 포함하는 조합된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강성적인 재료(들), 예컨대 플라스틱, 금속 또는 이의 조합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링(83)은, 과즙기(10)에서 나가는 펄프에 의해 압력이 그에 가해지면, 내부 요소(81)를 형성하는 강성적인 재료에 지탱된다.
작동시에, 작업자는 먼저 과즙기(10)를 도 1 및 2에 나타나 있는 구성으로 조립하여, 과즙과 펄프로 형성될 대응하는 식품의 도입을 위해 과즙기(10)를 준비한다.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이 드럼 캡 어셈블리(70)에 대해 회전되어,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이 오거(50)의 끝 표면(57)에 대한 요구되는 축방향 위치로 움직이며, 그리하여, 오거(50)와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 사이에 존재하는 유동 단면, 특히, 오거(50)의 끝 표면(57)과 가요적인 링(83)의 테이퍼형 부분(97)의 제1 표면(103) 사이에 존재하는 유동 단면이 증가 또는 감소 된다.
그런 다음에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14)가 활성화되어 오거(50)가 스크린 콘(60) 및 드럼 본체(32)의 오거 하우징(33) 내부에서 요구되는 회전 속도로 회전된다. 그런 다음에 작동자는, 트레이의 식품 도입 개구(23) 안으로 선택적으로 도입되고 이어서 드럼 본체(32)의 입구 도관(40)을 통과하도록 과즙화될 필요가 있는 요구되는 식품을 트레이(20) 내부에 배치한다. 그런 다음에 식품은 오거 하우징(33) 내부에 형성된 개구(37) 안으로 떨어져 오거(50)의 입구 부분(54)을 따르고, 그 입구 부분에서 오거(50)의 나사산(58)이 저작 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작동자는 식품을 오거(50) 쪽으로 밀거나 또는 저작 과정을 더 촉진시키기 위해 플런저(24)를 이용할 수 있다.
오거(50)의 입구 부분(54)을 따라 형성된 과즙은 스크린 콘(60)의 제1 스크린 요소(68)를 통해 오거 하우징(33)의 과즙 수집 영역(39) 안으로 떨어진다. 그런 다음에 식품은 오거(50)의 각각의 압축 부분(55, 56) 및 각각의 출구 부분(56, 66)과 스크린 콘(60) 사이에서의 추가 저작을 위해 계속 오거(50)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새로 형성된 과즙은 제1 스크린 요소(68) 쪽으로 역류할 수 있거나 또는 스크린 콘(60)의 출구 부분(66) 내부에 존재하는 제2 스크린 요소(69)를 통해 아래쪽으로 가서 과즙 수집 영역(39)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과즙 수집 영역(39) 내부에 모인 과즙은 중력에 의해 출구 도관(41)을 통해 아래쪽으로 흘러, 출구 도관(41) 바로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과즙 수집 용기(115) 안으로 들어간다.
오거(50)와 스크린 콘(60) 사이에서 수행되는 저작 과정에 의해 펄프가 발생되고, 이 펄프는 스크린 요소(68, 69) 중의 하나를 통해 떨어지기 보다 축방향으로 오거(50)의 끝 표면(57) 쪽으로 계속 이동하게 된다. 과즙기(10) 안으로 도입되는 식품의 종류 및 조절 가능한 엔드 캡의 선택적인 회전을 통해 오거(50)와 그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 사이에 형성되는 축방향 틈에 따라, 펄프는 식품이 드럼(30)에 들어가는 속도와 상응하는 속도로 오거(50)의 끝 표면(57)과 가요적인 링(83)의 제1 표면(103)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 단면적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펄프는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에 압력을 가하기 시작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그러한 압력에 의해, 압력이 과즙기(10)의 작동 동안에 계속 증가함에 따라 오거(50)의 회전이 정지되는 위험이 있다. 그러나, 가요적인 링(83)의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특성으로 인해, 테이퍼형 부분(97)이 그러한 압력의 발생에 반응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부려짐으로써 이 압력이 극복되며, 그 결과, 유동 단면적이 증가되고 오거(50)의 끝 표면(57)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압력이 경감된다. 구체적으로, 테이퍼형 부분(97)의 구부려짐으로 인해, 중심 개구(102)를 형성하는 립(101)의 반경 방향 외측 확장으로 인해 테이퍼형 부분(97)을 통과하는 중심 개구(102)가 확장되면서, 끝 표면과 제1 표면 사이의 유동 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끝 표면(57)과 테이퍼형 부분(97)의 제1 표면(103) 사이에 존재하는 축방향 틈이 증가된다. 따라서, 펄프는 오거(50)와 가요적인 링(83) 사이를 더 자유롭게 흐를 수 있고, 그래서, 펄프가 오거(50)의 끝 표면(57)에 인접하여 축적되는 결과로 가요적인 링(83)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된다. 그러한 압력이 경감되면, 가요적인 링(83)의 테이퍼형 부분(97)은 그의 탄성의 결과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펄프가 가요적인 링(83)의 중심 개구(102)을 통과하면, 그 펄프는 펄프 출구 개구(110)를 통해 축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펄프 출구 개구(110)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펄프 수집 용기(116)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가요적인 링(83)의 사용에 의해, 펄프가 요구되는 방식으로 과즙기(10)에서 자유롭게 나갈 수 없을 때, 과즙기(10) 내부에 형성되는 배압이 연속적으로 그리고 반응적으로 수용됨으로써, 어떤 식품, 예컨대 셀러리 또는 개밀(wheat grass)과 같은 고섬유질 식품에 대한 과즙화 속도가 개선된다. 이 가요적인 링(83)은 또한 조절 가능한 엔드 캡(80)의 회전을 통해 작동자에 의해 선택되는 축방향 틈의 더 큰 공차를 허용하며, 그리하여, 주어진 용례에 대해 부적절한 축방향 틈이 선택되었을 때에도, 정지 또는 잼이 생기는 경우가 방지된다. 정지가 없음으로 해서, 드럼(30) 내부에 남아 있는 펄프는, 그러한 배압이 먼저 형성될 때에도 추가적인 과즙을 생성하기 위해 계속 저작될 수 있다. 따라서 과즙기(10)는 그의 과즙화 속도를 최대화하면서 과즙기(10)의 작동의 정지를 방지한다. 그러므로 가요적인 링(83)은, 오거(50)의 끝 표면(57)에 인접하여 모이는 펄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발생에 반응하여 구부려지거나 다른 식으로 변형될 수 없는 강성적인 재료를 오거(50)의 바로 하류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발전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제공되어, 본 개시는 철저하게 될 것이고 또한 당업자에게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것이다. 특정 구성품, 장치 및 방법의 예와 같은 많은 특정 상세점들이 주어져,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특정 상세점이 사용될 필요는 없고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어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잘 알려져 있는 공정, 잘 알려져 있는 장치 구조 및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어떤 실시 형태, 재료, 조성 및 방법의 동등한 변경, 수정 및 변화가 본 기술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실질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갖는다.

Claims (20)

  1. 저작 과즙기(masticating juicer)로서,
    저작 과즙기 안으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에 대해 저작 과정을 수행하도록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오거(auger) - 상기 저작 과정은 과즙과 펄프를 생성하고, 상기 오거는 상기 오거의 축 방향 단부에 형성된 끝 표면을 포함함함 -; 및
    상기 드럼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가요적인 링을 포함하는 엔드 캡(end cap)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적인 링은 상기 펄프가 상기 가요적인 링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반응하여 구부려지도록 구성된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엔드 캡은, 상기 가요적인 링과 상기 오거의 끝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축방향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오거의 축방향에 대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을 향하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가요적인 링 전체를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저작 과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적인 링은 탄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는, 저작 과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재료는 실리콘인, 저작 과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적인 링은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 쪽을 향하는 테이퍼형 제1 표면을 포함한 테이퍼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적인 링과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축방향 거리의 변화는 상기 가요적인 링의 상기 테이퍼형 제1 표면과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축방향 거리의 변화를 포함하는, 저작 과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부분의 상기 테이퍼형 제1 표면은, 상기 오거의 끝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때 상기 오거의 축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는, 저작 과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부분은 테이퍼져 있는 표면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립(lip)을 포함하고, 상기 립은 상기 가요적인 링을 통과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펄프가 그 개구를 통과하는, 저작 과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유동 면적은, 상기 오거의 끝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멀어지는 상기 가요적인 링의 상기 테이퍼형 부분의 테이퍼져 있는 표면의 구부려짐 동안에 증가하는, 저작 과즙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부분은 절두 원추 형상을 갖는, 저작 과즙기.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부분은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의 축방향 정렬 부분 및 마주보는 부분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저작 과즙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적인 링은 또한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형 부분은 그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저작 과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부분은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 쪽에 배치되는 제1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원통형 부분과 교차하는, 저작 과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분의 제2 단부는 상기 엔드 캡의 강성적인 부분과 결합하는, 저작 과즙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의 끝 표면과 가요적인 링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 존재하는 틈이 상기 가요적인 링의 구부려짐 동안에 증가하는, 저작 과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적인 링은 이 가요적인 링의 구부려짐 동안에 상기 엔드 캡의 강성적인 부분에 지탱되는, 저작 과즙기.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 및 드럼은, 엔드 캡의 회전이 오거의 축방향에 대한 엔드 캡의 조절에 대응하도록 상호 협력 나사산을 포함하는, 저작 과즙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적인 링은 상기 오거의 회전 축선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V-형 단면을 갖는, 저작 과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V-형 단면의 뾰족한 부분은 상기 오거의 단부 쪽에 배치되는, 저작 과즙기.
  20. 저작 과즙기로서,
    저작 과즙기 안으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에 대해 저작 과정을 수행하도록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오거 - 상기 저작 과정은 과즙과 펄프를 생성하고, 상기 오거는 상기 오거의 축 방향 단부에 형성된 끝 표면을 포함함 -; 및
    상기 드럼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강성적인 부분 및 이 강성적인 부분에 결합되는 가요적인 링을 포함하는 엔드 캡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적인 링은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펄프가 엔드 캡을 통해 저작 과즙기에서 나갈 때 그 펄프가 상기 가요적인 링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과 상기 가요적인 링 사이의 유동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구부려지도록 구성된 탄성적으로 가요적인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엔드 캡은 상기 가요적인 링과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오거의 상기 끝 표면을 향하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가요적인 링 전체를 변환하도록 상기 오거의 축방향에 대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엔드 캡은 상기 엔드 캡의 내주 표면에 형성된 내주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링 유지 칼라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적인 링은 상기 링 유지 칼라 내로 수용되는, 저작 과즙기.
KR1020227008652A 2019-08-15 2020-08-13 개선된 조절 가능한 캡을 갖는 저작 과즙기 Active KR102643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7029P 2019-08-15 2019-08-15
US62/887,029 2019-08-15
US16/992,514 2020-08-13
US16/992,514 US11452400B2 (en) 2019-08-15 2020-08-13 Masticating juicer with improved adjustable cap
PCT/US2020/046139 WO2021030566A1 (en) 2019-08-15 2020-08-13 Masticating juicer with improved adjustable c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620A KR20220047620A (ko) 2022-04-18
KR102643569B1 true KR102643569B1 (ko) 2024-03-06

Family

ID=7456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652A Active KR102643569B1 (ko) 2019-08-15 2020-08-13 개선된 조절 가능한 캡을 갖는 저작 과즙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452400B2 (ko)
EP (1) EP4013243A4 (ko)
JP (1) JP7414963B2 (ko)
KR (1) KR102643569B1 (ko)
CN (1) CN114554875B (ko)
AU (1) AU2020328570A1 (ko)
CA (1) CA3150853A1 (ko)
MX (1) MX2022001840A (ko)
SA (1) SA522431651B1 (ko)
WO (1) WO2021030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13507A (ja) * 2016-07-06 2019-05-30 広東美的生活電器制造有限公司Guangdong Midea Consumer Electrics Manufacturing Co., Ltd. スパイラルヘッド、粉砕コンポーネント及びフードプロセッサー
NL2031822B1 (nl) * 2022-05-10 2023-11-17 Chibumtech B V Persinrichting voor het onttrekken van sap uit fruit- en/of groenteproducten
USD1034035S1 (en) 2023-02-10 2024-07-09 Sharkninja Operating Llc Juice cup
USD1052358S1 (en) 2023-02-10 2024-11-26 Sharkninja Operating Llc Juicer motor housing
USD1047619S1 (en) 2023-02-10 2024-10-22 Sharkninja Operating Llc Juicer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80661A1 (en) * 2015-09-17 2017-03-23 Tsun-Wei LIN Food process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41190C (fi) * 1964-12-10 1969-09-10 Appelsiinien ja sentapaisten hedelmien puristin
JPS5716504Y2 (ko) * 1979-04-12 1982-04-06
AU681213B2 (en) * 1995-01-06 1997-08-21 Mun Hyon Lee Juice extractor
KR200274699Y1 (ko) * 2002-02-15 2002-05-04 김영기 착즙 분쇄기
KR100755440B1 (ko) *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US8474374B2 (en) * 2007-09-06 2013-07-02 Russell T. Trovinger Juicer with alternate cutters
KR101282315B1 (ko) 2011-06-14 2013-07-04 김영기 착즙기
KR101282313B1 (ko) * 2011-06-14 2013-07-04 김영기 착즙기
US20130074707A1 (en) 2011-09-27 2013-03-28 Greenfield World Trade, Inc. Horizontal juicer with compression strainer device
CN203447058U (zh) * 2013-06-21 2014-02-2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螺杆挤压式榨汁机
CN203539062U (zh) * 2013-11-22 2014-04-16 宁波凯普电子有限公司 带有榨汁调节装置的榨汁机
KR102457157B1 (ko) 2014-11-27 2022-10-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분쇄 분리기
CN204713930U (zh) * 2015-06-17 2015-10-21 哈尔滨圣达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圆桶式草料粉碎机的推运卸料装置
CN205338557U (zh) 2016-01-04 2016-06-2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排渣间隙可调的卧式榨汁机
CN105942830B (zh) * 2016-07-15 2018-03-02 郑光清 榨汁方法及榨汁机
US10645966B2 (en) * 2017-11-30 2020-05-12 Goodnature Products, Inc. Apparatus for grinding fo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80661A1 (en) * 2015-09-17 2017-03-23 Tsun-Wei LIN Food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2001840A (es) 2022-04-20
JP7414963B2 (ja) 2024-01-16
CN114554875B (zh) 2023-11-21
EP4013243A1 (en) 2022-06-22
WO2021030566A1 (en) 2021-02-18
AU2020328570A1 (en) 2022-03-10
KR20220047620A (ko) 2022-04-18
US20210045566A1 (en) 2021-02-18
SA522431651B1 (ar) 2024-01-04
EP4013243A4 (en) 2023-01-11
CN114554875A (zh) 2022-05-27
US11452400B2 (en) 2022-09-27
CA3150853A1 (en) 2021-02-18
JP2022545408A (ja)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569B1 (ko) 개선된 조절 가능한 캡을 갖는 저작 과즙기
CN204259745U (zh) 一种能将冰冻水果制作成冰淇淋的水果冰淇淋机
US20130074708A1 (en) Vertical juicer with compression strainer device
EP2739397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olive paste for oil extraction
EP2649913B1 (en) Multi-purpose juicer
WO2016078042A1 (zh) 一种能将冰冻水果制作成冰淇淋的水果冰淇淋机
CN102933123B (zh) 具有汁液提取螺杆组件的榨汁机
US20140033934A1 (en) Pre-triturating device of food processing machine and juicer with pre-triturating device
US11446890B2 (en) Food processor
EP3459408B1 (en) Squeezing threaded rod, squeezing component, and food processor
KR102513927B1 (ko) 압박에 의해 식품 쥬스를 준비하는 전기 기기
EP3223665B1 (en) Masticating separator
KR20200000717U (ko) 착즙기
KR200190676Y1 (ko) 착즙 겸용 분쇄기
US20190125117A1 (en) Spiral blade, grinding component and food processor
CN109310223A (zh) 食物处理设备及其主轴
CN104414424B (zh) 用于提取汁和/或浆并控制其排出的食物制备装置
KR100390034B1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CN104433759B (zh) 一种榨汁机
US20250072644A1 (en) Juicing module for a preparation vessel, kitchen appliance and gear unit
CN208926006U (zh) 一种精磨器组件及其静磨件
CN206761319U (zh) 用于食物加工机的螺旋推进器及食物加工机
CN108324075B (zh) 用于食物加工机的螺旋推进器及食物加工机
KR200475164Y1 (ko) 과일을 압착하여 배출시키는 과일압착기
CN206217212U (zh) 一种榨油部件及微型榨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6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