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0676Y1 - 착즙 겸용 분쇄기 - Google Patents

착즙 겸용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676Y1
KR200190676Y1 KR2019980004607U KR19980004607U KR200190676Y1 KR 200190676 Y1 KR200190676 Y1 KR 200190676Y1 KR 2019980004607 U KR2019980004607 U KR 2019980004607U KR 19980004607 U KR19980004607 U KR 19980004607U KR 200190676 Y1 KR200190676 Y1 KR 200190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blade
screw
grinding
screw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670U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2019980004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676Y1/ko
Priority to JP10361064A priority patent/JP3098005B2/ja
Publication of KR199900346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6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67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rotary pressing members, other than worms or screws, e.g. rollers, rings,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르고 연한 채소나 과일 등을 착즙할 때는 착즙율을 증가시키고 고기나 곡물들을 분쇄할 때는 분쇄입자 크기를 조절하기 편리하게 한 착즙 겸용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통상적인 조리물을 투입하여 즙을 내거나 분쇄하는 착즙 및 분쇄기에 있어서, 전방의 환돌부(19)에 접하여 방사형 압축날(7)과 미분쇄 스크류날(8), 분쇄스크류산(9), 이송스크류산(10)으로 다단계로 일체화 된 스크류봉체(3)를 드럼(2) 내부에 설치하고 스크류봉체(3)의 전면에는 내면에 등간격으로 삼각형분쇄날(12)을 형성하며 외면은 망으로 된 착즙통(4)을 끼워 넣은 후, 배출구(14)가 있는 압축관(15)의 단턱(16)에 고무링(17)을 끼워 결합캡(6a)에 내입하여서 된 배출캡(6)을, 내 전단에 방사형 압축날(20)이 있고 외둘레에 걸림턱(30)과 걸림홈(31a)이 있는 뚜껑(18)의 전면 걸림홈(31a)에 고정하며 일측 걸림턱(30)은 드럼(2)의 걸림홈(31)에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착즙 겸용 분쇄기
본 고안은 무르고 연한 채소나 과일 등을 착즙할 때는 착즙율을 증가시키고 고기나 곡물들을 분쇄할 때는 분쇄입자 크기를 조절하게 한 착즙 겸용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크류 방식 착즙기는 질긴 채소나 단단한 과일등 은 착즙이 잘 되었으나 무르고 연한 채소나 과일등은 착즙이 잘되지 않고 착즙률도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분쇄기로 사용할 때는 분쇄입자를 임의로 조절하는 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분쇄효과가 미흡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분쇄기 드럼에 환돌부에서 후방으로 방사형 압축날과 미분쇄스크류날 및 분쇄스크류산이 있는 스크류봉체를 내입하고 내면에는 스크류봉체의 방사형 압축날과 반대방향으로 압축날이 형성되고 이면은 배출캡의 조임 결합을 2단계로 조절하여 무르고 연한 과일의 착즙이 잘되게 하고 분쇄기로 사용할 때는 분쇄입자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크류봉체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스크류봉체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뚜껑부분 일부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쇄통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배출구가 밀폐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뚜껑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배출캡이 1단계로 조절되어 고정한 상태의 일부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배출캡이 1단계로 조절되어 고정한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배출캡이 2단계로 조절되어 고정한 상태의 일부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배출캡이 2단계로 조절되어 고정한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 스크류봉체 4: 착즙통 5: 분쇄통
6: 배출캡 6a: 결합캡 6b: 고정캡
7, 20: 방사형 압축날 8: 미분쇄 스크류날 9: 분쇄스크류산
10: 이송스크류산 11: 미세공 12: 삼각형분쇄날
13: 착즙망 14: 배출구 15: 압축관
16: 단턱 17: 고무링 18: 뚜껑
19: 환돌부 30, 30a: 걸림턱 31, 31a: 걸림홈
32: 작동기어 33: 상면 34: 하면
본 고안은 통상적인 조리물을 투입하여 즙을 내거나 분쇄하는 착즙 및 분쇄기에 있어서, 전방의 환돌부(19)에 접하여 방사형 압축날(7)과 미분쇄 스크류날(8), 분쇄스크류산(9), 이송스크류산(10)으로 다단계로 일체화 된 스크류봉체(3)의 각형축(23)을 드럼(2)과 결합되는 몸체(1)내의 작동기어(32)에 연동되게 드럼(2) 내부에 설치한다.
드럼(2) 내부에 설치한 스크류봉체(3)의 전면에는 내면에 등간격으로 삼각형분쇄날(12)을 형성하고 외면에 미세공(11)이 다 수개로 뚫린 착즙망(13)으로된 착즙통(4)을 끼워 넣는다.
착즙통(4)을 드럼(2)에 삽입시 드럼(2) 내부에 형성한 안내홈(41)에 착즙통(4)의 안내턱(40)을 끼워 넣어 삽입 고정하면 착즙통(4)이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로 있다.
이와같이 착즙통(4)이 스크류봉체(3)에 끼워질 때 스크류봉체(3)의 선단부 인 방사형 압축날(7)은 착즙통(4)의 선단을 벗어나 외부로 노출되어지게 결합된다.
이는 스크류봉체(3)의 회전시 방사형 압축날(7)이 뚜껑(18)의 내면에 형성된 방사형 압축날(20)과 상호 교차되면서 유입되는 찌꺼기를 중심부인 환돌부(19) 쪽으로 압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의 착즙통(4)을 기본으로 결합하면 본 고안을 착즙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즙통(4) 대신 외면이 밀폐된 분쇄통(5)을 결합하면 본 고안은 분쇄기로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차후로 다시 한다.
스크류봉체(3)의 전면이 씌워지게 결합하는 착즙통(4)을 드럼(2)에 끼워 넣은 다음 뚜껑(18)의 걸림턱(30)을 드럼(2)의 안내홈(41)에 삽입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켜주면 걸림턱(30)이 드럼(2)의 걸림홈(31)에 걸려 고정된다.
이렇게 뚜껑(18)이 드럼(2)에 결합된 후 에는 배출구(14)가 있는 압축관(15)의 단턱(16)에 고무링(17)을 끼워 결합캡(6a)에 내입하고 전방은 고정캡(6b)으로 고정한 배출캡(6)을, 뚜껑(18) 전면에 상면(33)과 하면(34)이 연결되게 형성시킨 걸림홈(31a)에 배출캡(6)의 걸림턱(30a)을 삽입 회전하여 고정한다.
뚜껑(18)의 전면에 다단계로 상면(33)과 하면(34)을 형성한 것은 배출캡(6)의 걸림턱(30a)이 하면(34)에 걸릴 때와 상면(33)에 걸릴 때와는 배출구의 압축관(15) 끝이 스크류봉채(3)의 환돌부(19)에 밀착시켜주는 힘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상면(33)에 걸릴때는 하면(34)에 걸릴 때 보다 착즙시에는 착즙 압력을 증가시켜 착즙력을 증가시키고 분쇄시에는 .분쇄 입자를 좀더 미세하게 분쇄하여 준다.
드럼(2)에 직접 체결되는 뚜껑(18)의 내 전단에 형성되는 방사형 압축날(20)은 스크류봉체(3) 전면의 방사형 압축날(7)과는 날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다.
이는 착즙시에나 분쇄시 뚜껑(18)의 방사형 압축날(20)과 스크류봉체(3)의 방사형 압축날(7)이 스크류봉체(3)의 회전시 상호 역으로 교차되게하여 착즙이나 분쇄를 할 때 배출구 쪽으로 압력을 높여주기 위함이다.
뚜껑(18)과 배출캡(6)의 결합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걸림턱(30a)과 걸림홈(31a) 대신 암 수로 된 나사 결합 방식으로 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미 설명 부호 “21”은 투입구 “22”는 유출구 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본체(1)에 장착되는 모우터(도시하지 않음)를 작동하여 작동기어(32)가 회전하면 이에 맞물려진 각축형(23)과 스크류봉체(3)를 회전하게 된다.
이때 드럼(2) 상단의 투입구(21)로 피착즙물을 투입하면 스크류봉체(3)의 나사 피치가 넓은 이송스크류산(10)에 유입되고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착즙통(4) 방향으로 이송된다.
피착즙물이 착즙통(4) 방향으로 밀려가면 착즙통(4) 내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삼각형 분쇄날(12)과 분쇄스크류산(9)이 서로 밀착되어 교차되면서 1차로 피착즙물이 분쇄 착즙되고 계속되는 진행으로 미분쇄스크류날(8)으로 유입되어 2차로 미분쇄 착즙 되며 즙은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착즙되는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착즙시 발생하는 피착즙물의 찌꺼기는 뚜껑(18) 내면의 방사형 압축날(20)과 스크류봉체(3) 전면의 방사형 압축날(7)의 교차에 의해 스크류봉체(3) 전방의 환돌부(19) 쪽으로 압송 되어진다.
이때 피착즙물이 적은 힘으로 유입될 때는 도 7처럼 압축관(15)의 단턱(16)에 내입된 고무링(17)의 팽창 탄성에 의하여 압축관(15) 끝이 스크류봉체(3)의 환돌부(19)에 밀착되어 밀폐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피착즙물의 유입 압력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고무링(17)이 수축되면서 도 8 처럼 배출구(14)가 열린다.
피착즙물을 짜는 과정에서 무르고 연한 채소나 과일은 배출 압력이 적게 발생하므로 무르고 연한 채소나 과일의 즙을 짤때에는 도 10 처럼 배출캡(6)의 걸림턱(30a)을 뚜껑(18)에 형성한 걸림홈(31a)의 하면(34)에 위치시키면 다소 적은 압력에도 피착즙물의 찌꺼기가 배출되므로 즙이 짜여지는 것이다.
찌꺼기가 배출되지 않고 착즙통(4) 내부에 쌓이게 되면 즙도 나오지 않고 더 이상 투입도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피착즙물을 짜는 과정에서 딱딱하고 질긴 착즙물을 짤 때에는 도 12처럼 배출캡(6)의 걸림턱(30a)을 뚜껑(18)에 형성한 걸림홈(31a)의 상면(33)에 위치시키면 압축관(15)의 내면 선단이 스크류봉체(3)의 환돌부(19)에 밀착되어 다소 많은 압력에 의해 피착즙물의 찌꺼기가 배출되므로 많은 즙이 짜여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착즙통(4)을 제거하고 도 6처럼 외주연이 막혀 있는 분쇄통(5)을 끼워 넣고 콩이나 쌀, 고추, 마늘과 같은 양념이나 곡물등 피분쇄물을 투입구(21)에 투입하면 스크류봉체(3)의 이송스크류산(10)에 의하여 분쇄통(5)으로 유입된다.
분쇄통(5)으로 유입되는 피분쇄물은 분쇄통(5) 내면에 만들어진 삼각형 분쇄날(12)과 스크류봉체(3) 전면의 분쇄스크류산(9)과 미분쇄 스크류날(8)의해 분쇄되어지나 드럼(2)의 유출구(22)로는 분쇄물이 내려가지 않는다.
이는 분쇄통(5)의 외면이 밀폐되어 있기 때문이다.
분쇄통(5)의 내면에서 분쇄된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전방으로 진행되어지면 전자의 피착즙물의 착즙시의 동작과 같이 뚜껑(18)에 결합되는 압축관(15)이 고무링(17)의 수축에 의해 전면으로 밀려나 스크류봉체(3) 전단의 환돌부(19)와 배출구(14)의 내면부분에 공간이 생기면서 분쇄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렇게 분쇄되는 피분쇄물의 분쇄입자 조정은 전자의 착즙물의 배출 강도 조절과 같이 배출캡(6)의 걸림턱(30a)을 뚜껑(18)의 전면에 형성한 걸림홈(31a)의 상면(33)과 하면(34)에 위치 됨에 따라 원하는 분쇄 입자를 만들 수 있다.
이와같이 분쇄함에 있어서, 착즙물이나 분쇄물의 배출 강도 조절에 사용하는 배출캡(6)의 걸림턱(30a)과 뚜껑(18)의 걸림홈(31a)부분을 제거하고 암 수 나사로 제작할 경우에도 이와 상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질긴 채소나 단단한 과일은 물론 부드럽고 연한 채소나 과일까지 효과적으로 즙을 추출할 수 있으며 분쇄기로 사용할 때에는 분쇄입자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어 사용 용도에 따라 유효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 인 것이다.

Claims (6)

  1. 통상적인 조리물을 투입하여 즙을 내거나 분쇄하는 착즙 및 분쇄기에 있어서, 전방의 환돌부(19)에 접하여 방사형 압축날(7)과 미분쇄 스크류날(8), 분쇄스크류산(9), 이송스크류산(10)으로 다단계로 일체화 된 스크류봉체(3)를 드럼(2) 내부에 설치하고, 스크류봉체(3)의 전면에는 내면에 등간격으로 삼각형분쇄날(12)을 형성하며 외면은 망으로 된 착즙통(4)을 끼워 넣은후 배출구(14)가 있는 압축관(15)의 단턱(16)에 고무링(17)을 끼워 결합캡(6b)에 내입 하여서 된 배출캡(6)을, 내 전단에 방사형 압축날(20)이 있고 외둘레에 걸림턱(30)이 있는 뚜껑(18)의 전방 걸림홈(31a)에 고정하며, 후방 걸림턱(30)은 드럼(2)의 걸림홈(31)에 결합하게 됨을 특징으로한 착즙 겸용 분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드럼(2)에 직접 체결되는 뚜껑(18)의 내 전단에 형성되는 방사형 압축날(20)은 스크류봉체(3) 전면의 방사형 압축날(7)과는 날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착즙 겸용 분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뚜껑(18) 전방에 상면(33)과 하면(34)이 연결되게 다단계로 형성시킨 걸림홈(31a)을 형성하여서 됨 을 특징으로 한 착즙 겸용 분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류봉체(3)가 전방의 환돌부(19)에 접하여 방사형 압축날(7)과 미분쇄 스크류날(8), 분쇄스크류산(9), 이송스크류산(10)으로 다단계로 일체화 됨을 특징으로 한 착즙 겸용 분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착즙통(4)을 제거하고 내면에 등간격으로 삼각형 분쇄날(12)이 형성되고 외주연이 막혀 있는 분쇄통(5)을 끼워 넣음을 특징으로 한 착즙 겸용 분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뚜껑(18)과 배출캡(6)의 결합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결림홈(31a)과 걸림턱(30a)을 암 수로 된 나사 결합 방식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 착즙 겸용 분쇄기.
KR2019980004607U 1998-01-14 1998-03-27 착즙 겸용 분쇄기 Expired - Lifetime KR200190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607U KR200190676Y1 (ko) 1998-01-14 1998-03-27 착즙 겸용 분쇄기
JP10361064A JP3098005B2 (ja) 1998-01-14 1998-12-18 作動圧力を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粉砕搾汁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448 1998-01-14
KR19980000448 1998-01-14
KR201998000448 1998-01-14
KR2019980004607U KR200190676Y1 (ko) 1998-01-14 1998-03-27 착즙 겸용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670U KR19990034670U (ko) 1999-08-25
KR200190676Y1 true KR200190676Y1 (ko) 2000-08-01

Family

ID=5794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607U Expired - Lifetime KR200190676Y1 (ko) 1998-01-14 1998-03-27 착즙 겸용 분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190676Y1 (ko)
TW (1) TW353599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169B1 (ko) * 2002-05-18 2004-06-04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맷돌형 착즙 겸 분쇄기 본체
KR100441832B1 (ko) * 2002-05-31 2004-07-30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KR100808063B1 (ko) 2005-07-01 2008-02-28 문 현 이 그물망과 스크루 결합부가 일체로 된 파쇄부 하우징을결합한 착유기
KR101767325B1 (ko) * 2015-12-31 2017-08-10 이광희 자동 공급 착즙기
US10285529B2 (en) 2013-05-27 2019-05-14 Jae-won Kim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KR20220020150A (ko) 2020-08-11 2022-02-18 천월순 가압장치를 구비한 착즙기
KR20240175474A (ko) 2023-06-13 2024-12-20 이옥희 4축 고액분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43B1 (ko) * 2000-12-30 2003-06-19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착즙기와 착즙기용 착즙통
KR20040007169A (ko) * 2002-07-13 2004-01-24 김정호 즙짜기 만능 분쇠기
KR101282313B1 (ko) 2011-06-14 2013-07-04 김영기 착즙기
KR101282314B1 (ko) * 2011-06-14 2013-07-10 김영기 착즙기
KR101485543B1 (ko) * 2014-04-15 2015-01-22 주식회사 홈니즈 빙수기
KR102141933B1 (ko) * 2018-06-22 2020-08-06 농업회사법인 크레이지피넛 주식회사 땅콩 단백질 추출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169B1 (ko) * 2002-05-18 2004-06-04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맷돌형 착즙 겸 분쇄기 본체
KR100441832B1 (ko) * 2002-05-31 2004-07-30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KR100808063B1 (ko) 2005-07-01 2008-02-28 문 현 이 그물망과 스크루 결합부가 일체로 된 파쇄부 하우징을결합한 착유기
US10285529B2 (en) 2013-05-27 2019-05-14 Jae-won Kim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KR101767325B1 (ko) * 2015-12-31 2017-08-10 이광희 자동 공급 착즙기
KR20220020150A (ko) 2020-08-11 2022-02-18 천월순 가압장치를 구비한 착즙기
KR20240175474A (ko) 2023-06-13 2024-12-20 이옥희 4축 고액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670U (ko) 1999-08-25
TW353599B (en) 199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0676Y1 (ko) 착즙 겸용 분쇄기
KR200274699Y1 (ko) 착즙 분쇄기
CN2430088Y (zh) 食物粉碎装置
KR200208880Y1 (ko) 즙 배출로가 형성된 착즙기
CN114554875B (zh) 具有改进的可调节盖的粉碎式榨汁机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30006742U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US3370527A (en) Apparatus for finishing citrus juices
KR20120012038A (ko) 조립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814928B1 (ko) 착즙 효율을 높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TWM515364U (zh) 食物料理機
KR102339701B1 (ko) 착즙기
CN220554455U (zh) 用于榨汁机的螺杆和榨汁机
KR200189288Y1 (ko) 녹즙기의 착즙장치
KR100390034B1 (ko) 착즙기와 착즙기용 캡
KR100433171B1 (ko) 맷돌형 만능 녹즙기
KR100441829B1 (ko) 맷돌형 착즙기
KR0121072Y1 (ko) 착즙 겸용 분쇄기
KR102382422B1 (ko) 착즙기
KR20200001877U (ko) 착즙기 망드럼 및 상기 망드럼을 포함하는 착즙기
KR200264100Y1 (ko) 착즙 분쇄기
KR200284158Y1 (ko) 고추씨 분리기
KR950009420Y1 (ko) 착즙기
KR200288605Y1 (ko)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32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2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02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2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5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5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0120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000518

Request date: 2000120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10223

Appeal identifier: 200010000197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209

Effective date: 20010223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10226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200010000197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10223

Request date: 20001209

U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010226

Patent event code: UJ20011S01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Decision date: 20020620

Appeal identifier: 2001200001594

Request date: 2001033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UJ200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010226

Patent event code: UJ20021S01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Decision date: 20020620

Request date: 2002050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02300000901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209

Effective date: 20010223

U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U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020614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00100001975

Decision date: 20010223

Request date: 2000120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330

Effective date: 2002062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330

Effective date: 20020620

UJ1202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UJ12021R01D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7

Appeal identifier: 200120000159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20620

Request date: 20010330

U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020627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UJ13021S01D

Request date: 20010330

Decision date: 20020620

Appeal identifier: 200120000159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J123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509

Effective date: 20020620

UJ1203 Withdrawal of action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060105

Patent event code: UJ12031R01D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Appeal identifier: 2002300000901

Decision date: 2002062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2050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