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7441B1 -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441B1
KR102517441B1 KR1020150161985A KR20150161985A KR102517441B1 KR 102517441 B1 KR102517441 B1 KR 102517441B1 KR 1020150161985 A KR1020150161985 A KR 1020150161985A KR 20150161985 A KR20150161985 A KR 20150161985A KR 102517441 B1 KR102517441 B1 KR 102517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iquid detergent
surfactant
detergent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146A (ko
Inventor
이승한
정재범
전현욱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6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4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4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한 계면활성제 및 화합물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메이크업 또는 색조 화장품과 같은 세정하기 어려운 화장에 대한 세정력이 향상된 분사형의 폼 타입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우수한 세정력, 헹굼의 용이성, 거품 생성 용이성 및 치밀한 기포, 마일드한 사용감의 구현이 가능하며, 저온 안정성 등의 상 안정성이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메이크업 클렌징력이 향상되어 더블 클렌징이 필요 없으며, 논가스 타입의 거품 펌프 내에서 막힘이 발생하지 않아 펌프 포머 용기 내에 적용이 용이하며, 조성물의 pH가 약산성 범위에 있어 피부 타입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Liquid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cleansing effect to be packed into foamer containers}
본 발명은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한 계면활성제 및 화합물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메이크업 또는 색조 화장품과 같은 세정하기 어려운 화장에 대한 세정력이 향상된 분사형의 폼 타입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제거는 간단하게 화장용 티슈나 화장솜을 이용해 먼저 닦아낸 다음 메이크업을 녹여낼 수 있는 메이크업 제거용 오일이나 클렌징 크림으로 2차 제거를 하고 최종적으로 비누나 클렌징 폼을 이용하여 세안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세정을 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수회에 걸쳐 단계적으로 세정을 해야 한다. 이러한 다단계에 걸친 메이크업 세정은 메이크업 오염에 대하여 세정력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피지나 세포간 지질을 과도하게 제거하여 피부 자극을 유발하며, 진한 아이메이크업이 유행하는 근래의 시점에서 해당 메이크업의 제거 시 클렌징이 눈에 들어올 경우 안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메이크업 제거에 초점을 맞춘 세안제도 최근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안제 역시 메이크업은 잘 지워지나 오일 성분이 많기 때문에 기포는 거의 나지 않아 사용감이 떨어지며 헹굼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메이크업을 지워내는 친유성의 성분이 친수성의 세안 성분과 상호 친화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세안용 계면활성제의 종류가 제한적이다. 이러한 제형은 세안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보다는 메이크업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워시 오프(wash-off)형 클렌징 제품이라고 봐도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거품이 잘 나지 않는 세안제는 사용자에게 있어 세안이 충분히 되지 않고 메이크업이 남아있는 듯한 인식을 갖기 쉽게 한다.
저자극의 메이크업 세정 및 세안을 위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세안제가 제안되고 있으나 거품의 풍성함과 거품의 조밀함이 부족하여 세안 시 거품의 만족도가 떨어지며 세정력이 불충한 측면이 있다.
세정을 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세정제들은 미리 거품을 만들어 사용을 해야 하고 메이크업이 많이 도포된 부위와 관계없이 세정하고자 하는 부위의 전면에 걸쳐서 세정을 하고 다시 세정이 잘 되지 않은 부분을 집중적으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논 가스 타입의 거품 토출 용기를 활용하여 쉽게 거품의 생성이 가능한 클렌저가 소개되어 지금까지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 토출 용기 내부의 다공질막을 통과시킴으로써 내용 조성물과 공기를 혼합해 거품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로서 주로 지방산 비누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지방산 비누를 이용할 경우, 메이크업 등의 제거하기 어려운 유성 및 실리콘 계열의 오염 물질의 제거력은 떨어지며, 피지 및 피부 유분층의 과도 세정으로 인한 사용 후 보습감이 부족하며, 저온 보존시의 고급 지방산의 석출에 의해 막힘이 생기기 쉬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N-아실아미노산염 등의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으나 저온 안정성 확보가 요구되고 있으며 논가스 포머 타입의 용기에 적용 시 거품의 풍성함과 거품의 질이 불충분하다.
따라서 논가스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로서 세정 시 거품의 질이 우수하며, 피부 자극성이 적으며, 메이크업과 같은 지우기 어려운 얼굴의 오염물질 제거가 용이하고, 헹굼 후의 개운한 감을 유지하면서, 조성물의 저온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고, 포머 용기에 충전한 경우 막힘을 일으키지 않아 양호한 거품을 토출할 수 있으며, 포머 용기의 펌프를 부드럽게 누를 수 있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공질막이 토출구에 설치되어 있는 논가스 타입의 거품 토출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제품 토출에 있어서 막힘이 없고, 메이크업과 같은 제거하기 어려운 얼굴의 오염 물질의 제거력이 우수하며, 크리미하고 안정된 거품이 얻어지고, 저온에서의 제형 안정성이 확보되고, 안 자극이 적고, 더블 클렌징이 불필요한 피부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B)양쪽성 계면활성제, (C)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소듐라우릴글라이코카복실레이트, (E)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및 (F)다가알코올을 포함하는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상기와 같이 특정한 종류의 계면활성제, 소듐라우릴글라이코카복실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등을 특정한 함량으로 포함하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세정력, 거품의 탄력 및 저온 안정성이 우수하고, 거품 토출에서 장애가 없으며, 피부 자극성이 적다는 놀라운 발견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B)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C)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A)/(B)+(C)=1.5~3.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A), (B), (C) 성분이 특정한 중량비로 포함될 때 세정력이 가장 우수하게 발휘된다. 상기 (A)/(B)+(C)가 1.5 미만일 경우에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부족으로 세정력이 불충분하며, 3 초과일 경우에는 주 계면활성제인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대비 보조 계면활성제인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부족하여, 주 계면활성제의 세정력을 보조하지 못하여 세정력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상기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아실기의 탄소수가 8~14 인 아실 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실 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급~3급의 아미노기와 카르복실산 또는 설폰산을 동일 분자 내에 함유하는 화합물과 지방산과의 아실화물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아실화제로 지방산 클로라이드를 이용한 송텐·바우만 반응(schotten baumann reaction) 등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1급~3급의 아미노기와 카르복실산 또는 설폰산을 동일 분자 내에 함유하는 화합물은 추출법이나 발효법으로 얻어진 천연의 산성 또는 중성 아미노산이나, 합성법이나 효소법으로 얻어진 합성의 산성 또는 중성 아미노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성 또는 중성 아미노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글루타민산, 아스파르트산, 글리신, 알라닌, 타우린, 메틸타우린, 사코신(N-메틸글리신) 및 β-알라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 L형, D형 또는 라세미형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들 중 어느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실 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실메틸타우린염, 아실타우린염, 아실 메틸-β-알라닌 또는 그 염, 아실-β-알라닌 또는 그 염, 아실 글루타민산 또는 그 염, 아실 글리신 또는 그 염, 아실 아스파르트산 또는 그 염, 및 아실 사르코신 또는 그 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세정 시의 거품의 지속성 및 세정 후의 매끈한 사용감을 얻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상기 아실 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아실메틸타우린염, 아실 메틸-β-알라닌 또는 그 염, 아실 글루타민산 또는 그 염, 아실 글리신 또는 그 염, 및 아실 아스파르트산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실 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아실 글루타민산 또는 그 염 또는 아실 아스파르트산 또는 그 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A)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글루타메이트를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총 중량 대비 10~30 중량%, 바람직하게 13~2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5~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세정 시의 거품의 지속성 및 세정 후의 매끈한 사용감이 가장 우수하다.
상기 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칸올 아민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예를 들어,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칸올 아민염은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 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 아민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거품의 지속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때문에)는 바람직하게 알칼리 금속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나트륨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아실기의 탄소수는 8~14일 수 있다. 상기 아실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 10~13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12일 수 있다. 상기 아실기의 탄소수가 8 미만일 경우에는 클렌징력이 감소하며, 14 초과일 경우에는 클렌징력, 거품의 탄력 및 지속성이 불충분하게 나타나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아실기의 탄소수는 12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20 중량%, 바람직하게 0.5~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가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클렌징력, 세정 후의 촉촉한 느낌, 거품의 탄력 및 지속성이 부족하며, 20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세척 후 촉촉한 느낌이 부족하고 헹굼이 느려져 세정 기능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B)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거품의 질 향상(거품의 조밀함, 거품의 크리미함 등) 및 저온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으로 세정제에 이용되는 화합물 가운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미다졸린형(아미드아민형), 아미드아미노산염, 카르보 베타인형(알킬 베타인, 알킬아미드 베타인) 및 설포베타인형 (알킬 설포베타인, 알킬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미다졸린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예를 들어, 스테아로일 아미드 아민 또는 야자유 알킬-N-하이드록시 에틸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보 베타인형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예를 들어, 알킬 베타인으로 라우릴 디메틸 아미노초산 베타인, 야자유 알킬디메틸 아미노초산 베타인 또는 스테아릴 디메틸아미노 초산 베타인 등; 및 알킬아미드 베타인으로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베타인 또는 라우린산 아미도프로필 초산 베타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포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예를 들어, 알킬 설포베타인으로 야자유 지방산 디메틸 설포 프로필 베타인 등; 또는 알킬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으로 라우릴 디메틸 아미노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 또는 라우릴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베타인 또는 라우릴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저온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 종 이상이 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4~15 중량%, 바람직하게 2~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에는 거품의 질 및 저온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접촉 시 마일드한 사용감을 줄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4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저온 안정성에 떨어지며, 1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헹굼 속도가 저하되고 기포의 질감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C)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어, 옥틸글루코시드, 노닐 글루코사이드, 디실 글루코사이드, 도데실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미리스틸 글루코사이드 및 팔미틸 글루코사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클렌징 효과 및 기포성이 불충분하며, 2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메이크업과의 친화성이 떨어져 사용성이 떨어지고,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헹굼이 느려져 기능면에 있어서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C)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5:1~1:1, 바람직하게 4:1~1:1, 더욱 바람직하게 3:1~1:1(양쪽성 계면활성제: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대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적을 경우에는 사용 후 뻣뻣한 사용감을 부여하고, 거품의 질감이 부족하여 사용감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분 (D)소듐라우릴글라이콜카복실레이트는 시판중인 상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품명 「Beaulight SHAA」(주식회사 산요 화성공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D)소듐라우릴글라이콜카복실레이트는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 바람직하게 0.3~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0.5~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 0.8~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듐라우릴글라이콜카복실레이트가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거품 형성이 잘 되지 않아 우수한 세안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탈지감이 강해져 사용 후 보습감을 얻을 수 없고 안 자극성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E)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은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에 산화 에틸렌을 부가 중합시킨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 2~12개, 더욱 바람직하게 4~12개, 가장 바람직하게 8~10개인 것,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 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 수는 메이크업 오염 제거 효과 및 수용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1몰 대비 산화 에틸렌을 1~50몰, 바람직하게 2~30몰, 더욱 바람직하게 4~10몰 부가하여 중합할 수 있다.
상기 (E)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은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5~10 중량%, 바람직하게 1~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1.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E)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메이크업 제거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으며,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거품의 풍성함을 저해해 세안 효과가 저하되고 안 자극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E)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함으로써, 현저하게 우수한 메이크업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E)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이외의 다른 비이온성 경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등을 이용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메이크업 제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F)다가 알코올은 포머 용기의 펌프의 막힘을 예방하고, 세정 후의 보습감을 부여하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예를 들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말티톨, 1,2-펜탄디올 및 1,2-헥산디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pH값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25℃에서 원액으로 4.5~9, 바람직하게 5~8.5, 더욱 바람직하게 5.5~7의 약산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pH가 4.5~9.0로 유지됨으로써 세정 후의 보습감이 향상되고, 피부 저자극성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1~20 중량%, (B)양쪽성 계면활성제 0.4~15 중량%, (C)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20 중량%, (D)소듐라우릴글라이코카복실레이트 0.1~10 중량%, (E)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0.5~10 중량% 및 (F)다가알코올을 포함하는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정한 중량비의 성분 조합을 포함하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력, 거품의 탄력 및 저온 안정성이 우수하고 거품 토출에서 장애가 없으며 피부 자극성이 약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조성물의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B)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C)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A)/(B)+(C)=1.5~3.0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세정력이 가장 우수하게 발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공기와 혼합해 발포 상태로 토출할 수 있는 포머 용기에 포함하는 액체 세정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거품형으로 토출시키는 포머 용기 충전용 세정제로서 적합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머 용기로는 예를 들어, 논가스형 거품 토출 용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논가스형 거품 토출 용기로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공기와 혼합해 발포 상태로 토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용기 몸통부를 손으로 압착함으로써 거품을 토출할 수 있는 스퀴즈 포머 용기 또는 노즐부를 압하함으로써 거품을 토출할 수 있는 펌프 포머 등을 들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머 용기는 예를 들어, 다린 펌프 또는 다이와 제관 등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머 용기는 논가스형 거품 토출 용기로서, 거품을 형성하기 위한 다공질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막체의 재질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 등의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포머 용기의 상기 다공질막체를 통과함으로써 발포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공질막체는 100 메쉬(mesh) 이상, 바람직하게 100~400 메쉬, 더욱 바람직하게 200~350 메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공질막체의 매수는 거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2~4매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우수한 세정력, 헹굼의 용이성, 거품 생성 용이성 및 치밀한 기포, 마일드한 사용감의 구현이 가능하며, 저온 안정성 등의 상 안정성이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메이크업 클렌징력이 향상되어 더블 클렌징이 필요 없으며, 논가스 타입의 거품 펌프 내에서 막힘이 발생하지 않아 펌프 포머 용기 내에 적용이 용이하며, 조성물의 pH가 약산성 범위에 있어 얼굴의 피부 pH와 유사하여 사용 후 피부 장벽에 자극을 주지 않아 피부 타입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모든 백분율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단위이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9의 조성물을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부틸렌글리콜 5 5 5 5
디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5 5 5 3 3 3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5 5 5 5 2 2 3 3
소듐코코일알라니네이트 5 5 3 5 3 3
하이드록시라우릴설테인 2 1 1 1 2 1 2 1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1 2 1 2 1 2 1 2
라우릴글루코사이드 1 1 2 1 1 1 1 1
도데카-1,2-디올초산에테르나트륨 0.5 1 0.5 1 0.5 1 0.5 1
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린 3 3 3 3 3 3 3 3
보존제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향료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시험평가 항목 및 결과
메이크업 세정력 3.5 3.5 3.6 3.4 3.6 3.7 3.3 3.5
거품의 탄력 90 90 90 90 90 90 90 90
저온안정성 OK OK OK OK OK OK OK OK
펌프의 막힘 O O O O O O O O
피부 자극 0.1 0.2 0.1 0.1 0.2 0.1 0.2 0.1
비교예
1 2 3 4 5 6 7 8 9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5
부틸렌글리콜 - - - 5 5 5 5 - -
디프로필렌글리콜 5 5 5 - - - 5 5 5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5 5 5 5 2 3 3 - -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2.5 5 5 1 3 2 3 - -
소듐코코일알라니네이트 4 2 5 3 - -
고급지방산염 - - - - - - -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0
하이드록시라우릴설테인 3 1 0.5 1 1 1 2 1 1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2 1 0.5 2 1 2 1 2 2
라우릴글루코사이드 1 1 2 1 1 1 1 1
도데카-1,2-디올초산에테르나트륨 0.5 0.5 0.5 1 - 1 0.5 1 1
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린 3 3 3 3 3 0.5 - 3 3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 - - - - - 3 - -
보존제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향료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적정
시험평가 항목 및 결과
메이크업 세정력 2.1 2.2 2.4 3.0 2.5 2.2 1.8 3.0 2.8
거품의 탄력 80 80 80 80 50 70 60 90 90
저온안정성 OK OK OK 석출 OK OK OK 석출 OK
펌프의 막힘 O O O O O O O X X
피부 자극 0.1 0.2 0.1 0.1 0.2 0.1 0.2 1.3 1.6
실험예 1: 메이크업 세정력 평가
메이크업 제거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립스틱 및 BB 크림을 하박부에 가로X세로 2cmX2cm의 면적으로 도포한다. 립스틱 및 BB크림을 도포한 후 15분 동안 상온에서 피부를 노출한 채 방치한다. 15분 경과한 시점에 메이크업이 도포한 피부에 흐르는 미온수에 5초 노출 시킨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 포함된 펌프(다린펌프 T2)를 1회 펌핑하여 메이크업 도포 부위에 거품을 올려놓고 적당한 힘을 가하여 약 25회 손가락을 이용하여 롤링한다. 흐르는 미온수에 도포 부위를 접촉 시킨 후 물에 헹구면서 5회 더 롤링한다. 가볍게 물기를 제거한 후 메이크업 제거력을 육안으로 비교 판단한다.
객관적인 비교 판단을 위하여 전문 패널리스트 20명에 의한 사용감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20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가의 평균점이 3.0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단, 평균점이 3.0 이상이어도 1점으로 평가하는 패널리스트가 1명 이상 있으면 불합격으로 했다.
4.0 점 : 메이크업이 확실히 제거되어 클렌징력을 충분히 실감할 수 있다.
3.0 점 : 메이크업의 대부분 제거되어 클렌징력을 실감할 수 있다.
2.0 점 : 메이크업이 일부 제거되지 않았으며 클렌징력을 별로 실감할 수 없다.
1.0 점 : 메이크업이 대부분 제거되지 않았으며 클렌징력을 실감할 수 없다.
실험예 2: 거품의 탄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세정제 조성물이 담긴 200ml 비커에 펌프 용기를 이용하여 10회 펌핑한 후 30분 경과 후와 경과 전의 거품 높이 변화를 판단하여, 초기 시점의 높이/30분 경과 후의 높이 x 100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평가한다. 30분 경과 시점에서 70 미만의 수치가 측정되면 거품의 탄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한다.
실험예 3: 저온 안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세정제 조성물을 투명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4℃ 항온기에서 4주 동안 보관 후 성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초기의 하나의 무색 투명한 상(phase)을 유지하면 통과(OK)이며, 상이 둘 이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석출 현상에 의하여 용액 하단부에 고형물이 가라앉거나 용액 내 부유하는 경우 불합격으로 판단한다.
실험예 4: 펌프의 막힘 여부 평가
세정제 조성물을 3단 mesh가 포함된 거품 형성 포머가 있는 용기에 넣고 경시에 따라 동일 간격으로 2회 펌핑하여 토출된 세정제의 양을 측정하여, 경시에 따른 세정제 토출량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펌프의 막힘을 측정한다. 7일 경과 시점에 2회 펌핑하여 토출된 양이 초기 펌핑하여 토출된 양 대비 80% 미만이면 불합격으로 판단한다.
실험예 5: 피부 자극성 평가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사용한 후 피부 자극성을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자극에 대한 실험은 각 조성물을 사용한 후 패널이 느끼는 자극감을 비교하는 것으로 따가움 및 가려움의 각 항목에 대해서 0-3점으로 채점 한 후 각 패널의 점수를 평균하여 최종 피부 자극감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2에 나타내었다. 평균이 1.5 이상이면 불합격으로 판단한다. [무자극: 0, 경자극: 1, 중자극: 2, 강자극: 3].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액상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험예 1~5의 평가 결과를 상기 표 1 및 표 2의 하단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8의 조성물은 메이크업 세정력, 거품의 탄력, 저온 안정성, 펌프의 막힘, 피부 자극 항목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은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 / (양쪽성 계면활성제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량 비율이 1.5 미만으로, 세정 후 메이크업이 피부에 잔존하고 있어 메이크업 세정력이 불충분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 / (양쪽성 계면활성제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량 비율이 3 초과인 경우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대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부족하여, 보조 계면활성제가 주 계면활성제의 세정력을 보조하지 못하여, 세정력이 열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 대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적어 사용 후 뻣뻣한 감촉을 부여하여 사용감이 떨어진다. 또한, 거품의 질감이 부족하여 포머 용기에서 도출된 후 사용감이 부족하다.
또한, 비교예 4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중 글루타메이트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부족하여 저온에서 석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5는 소듐라우릴글라이콜카복실레이트를 배합하지 않아 거품의 탄력이 열세하여 거품의 탄력 항목과 세정력 평가 결과 불합격이다.
또한, 비교예 6은 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린의 비율이 부족하기 때문에 세정력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비교예 7은 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린 대신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린을 3% 투입하였지만, 거품의 탄력이 열세하며 세정력 또한 열세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8은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지 않고 실시예에 배합된 함량만큼의 지방산염을 배합하여 펌프의 막힘이 발생한다.
또한, 비교예 9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지 않고 실시예에 배합된 함량만큼의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를 배합하여 피부의 자극이 발생한다.

Claims (14)

  1.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B)양쪽성 계면활성제, (C)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소듐라우릴글라이코카복실레이트, (E)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및 (F)다가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B)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C)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A)/(B)+(C)=1.5~3이며,
    상기 (E)폴리옥시에틸렌(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 중량%로 포함되는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글루타메이트를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총 중량 대비 10~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B)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4~1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B)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C)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5:1~1:1(양쪽성 계면활성제: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소듐라우릴글라이콜카복실레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pH는 4.5~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공기와 혼합해 발포 상태로 토출할 수 있는 포머 용기에 포함하는 액체 세정제 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머 용기는 거품을 형성하기 위한 다공질막체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질막체는 100~400 메쉬(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제 제품.
KR1020150161985A 2015-11-18 2015-11-18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Active KR102517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85A KR102517441B1 (ko) 2015-11-18 2015-11-18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85A KR102517441B1 (ko) 2015-11-18 2015-11-18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46A KR20170058146A (ko) 2017-05-26
KR102517441B1 true KR102517441B1 (ko) 2023-03-31

Family

ID=5905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985A Active KR102517441B1 (ko) 2015-11-18 2015-11-18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369B1 (ko) 2021-07-02 2022-01-03 한국콜마주식회사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 폼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776A (ja) * 2004-07-26 2006-02-09 L'oreal Sa 起泡性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2006183039A (ja) * 2004-11-30 2006-07-13 Lion Corp フォーマー容器入り洗浄剤組成物
WO2015111249A1 (ja)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マンダム クレンジング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776A (ja) * 2004-07-26 2006-02-09 L'oreal Sa 起泡性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2006183039A (ja) * 2004-11-30 2006-07-13 Lion Corp フォーマー容器入り洗浄剤組成物
WO2015111249A1 (ja)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マンダム クレンジング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46A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7058B2 (ja) 洗浄剤
JP5947121B2 (ja) ノンガス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JP5754644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96869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WO2016098649A1 (ja) 洗浄製品
JP7156083B2 (ja) 皮膚用洗浄剤組成物
JP6647852B2 (ja) 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KR102517441B1 (ko)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4112787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3048822A (ja) 洗浄剤組成物
KR102106386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2001278742A (ja) 皮膚洗浄剤
KR101336859B1 (ko) 저점성 유액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
JP5252768B2 (ja) クリーム状洗浄剤組成物
JP6860982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4830305B2 (ja) 弱酸性泡状洗浄剤組成物
JPH07309742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剤
JP6312581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4137247A (ja) 液状洗浄剤
JP5465911B2 (ja) 皮膚洗浄剤
JP7236328B2 (ja) 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JP7329368B2 (ja) フォーマー容器入り皮膚洗浄剤
JP2012162661A (ja) 洗浄剤組成物
JP2011168553A (ja) 皮膚洗浄料
JP3590529B2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