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6755B1 - 개선된 열안정성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 - Google Patents

개선된 열안정성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755B1
KR102486755B1 KR1020177017774A KR20177017774A KR102486755B1 KR 102486755 B1 KR102486755 B1 KR 102486755B1 KR 1020177017774 A KR1020177017774 A KR 1020177017774A KR 20177017774 A KR20177017774 A KR 20177017774A KR 102486755 B1 KR102486755 B1 KR 102486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metal
metal phosphate
cathode
volume fraction
siz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907A (ko
Inventor
마에다 히데아키
다오진 행
샹양 타이
징 진
춘후 후앙
Original Assignee
지앙수 헹트론 나노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앙수 헹트론 나노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앙수 헹트론 나노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7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7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측면은, 개선된 열적 안정성을 갖는, 캐소드 물질 및 상기 캐소드 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리튬 금속 산화물과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된 캐소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여기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5 내지 10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포함한다는 발견에 근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술된 2차 입자 범위를 갖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캐소드가 연기 또는 발화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침상 관통 시험에 합격할 수 있는 캐소드 물질의 제공을 돕는다. 또한 캐소드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캐소드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열안정성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LITHIUM ION BATTERY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본 발명은 개선된 리튬 이온 배터리(LIB) 및 LIB를 제조하기 위한 캐소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리튬 금속 산화물 캐소드 물질로 구성된 리튬 이온 배터리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보다 큰 사이클 수명, 안전성 및 방전 용량(rate capability)과 같은 개선된 배터리 특성이 달성될 수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수십년에 걸쳐 휴대용 전자 장비에서 그리고 보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는 최초로 리튬 코발트 산화물 캐소드를 이용하였다. 비용, 독성 문제 및 제한된 에너지 용량으로 인해, 다른 캐소드 물질이 개발되었거나 개발되고 있다.
개발되고,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한 부류의 물질은 니켈, 망간 및 코발트 중 2종 이상으로 구성된 리튬 금속 산화물이다. 이러한 물질은 일반적으로 단일 능면체상을 갖는 층상 구조를 나타내고, 여기서 초기 높은 비전하 용량(약 170 mAh/g)은 Li/Li+에 대해 약 4.2 볼트(V)의 전압으로 충전시 달성되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물질은 짧은 사이클 수명 및 화재시 일어나는 특정 조건 하에서의 산소 생성과 관련된 안전성 문제를 겪고 있다.
Li/Li+는 관례상 0 V로 정의되는 리튬 기준 전극의 산화환원 전위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Li 금속 이외에 애노드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전압은 이러한 다른 애노드와 Li 금속 사이의 전위차만큼 감소될 것이다. 예시적으로, 완전하게 충전된 흑연 애노드는 Li/Li+에 대해 약 0.1 V의 전위를 가진다. 따라서, 흑연 애노드를 갖는 배터리에서의 캐소드를 Li/Li+에 대해 4.25 V로 충전하는 경우, 전지 전압은 대략 4.15 V일 것이다.
사이클 수명은 일반적으로 초기 비용량(specific capacity)의 80%인 비용량에 도달되기 이전에서의 사이클(충전-방전)의 수로서 취해진다. 이러한 물질에 대한 각각의 사이클은 통상적으로 상술된 4.2 V 내지 2 V이다. 이러한 배터리는 또한 동일한 물질로 제조될지라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전지로부터 다른 것 간에 성능의 불일치를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기술분야는 수많은 코팅, 도펀트뿐 아니라 다른 더 안정한 캐소드 물질, 예컨대 리튬 철 포스페이트의 블렌딩을 기술하고 있다. 그 예는 미국특허 공개번호 2004/0005265; 2004/0096743; 2006/0194112; 및 2009/0305132; WO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8/088180; 2008/091074; 2009/057834; 및 2013/016426 및 일본특허번호 9035715A1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불행하게도, 이들이 니켈, 망간, 코발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리튬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캐소드 물질을 함유하는 LIB의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사이클 수명, 배터리 용량, 또는 높은 방전 속도에서의 용량은 개선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LIB의 안전성을 개선하면서도 보다 균일한 성능, 개선된 사이클 수명 및 보다 빠른 충전/방전 속도에서의 더 큰 에너지 용량 보유력을 야기하는 니켈, 망간, 코발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리튬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캐소드를 갖는 LIB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측면은 개선된 열안정성을 갖는 캐소드 물질, 및 이에 따른 LIBS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캐소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하고, 여기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5 내지 100%인 0.1 내지 3 마이크로미터(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인용된 2차 입자 범위를 갖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캐소드가 연기 또는 발화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침상 관통 시험(nail penetration test)에 합격할 수 있는 캐소드 물질의 제공을 보조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예컨대 LixNiyMnzCo1-y-zO2의 화학식(여기서 x=0.9 내지 -1.1, y=0.05≤y≤0.95, 및 z=0.05 내지 0.95임)을 갖는 리튬 니켈 망간 코트 산화물(LNMCO)은 에너지 저장 응용분야, 예컨대 전기 자동차에 대한 LIB 응용분야에서 사용하는데 점점 매력적인 것이 되고 있다. LNMCO는 일반적으로 스피넬 유형 리튬 망간 산화물(LiMn2O4) 및 올리빈 유형 리튬 전이 금속 포스페이트(LiMPO4)보다 더 큰 용량 및 높은 프레스 밀도(press density)를 가진다. 따라서, LNMCO는 보다 친환경적이고 또한 더 나은 비용 효용을 제공하면서도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과 비슷한 용량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LNMCO 및 다른 리튬 금속 산화물의 열안정성은 LIB에서의 이러한 물질의 사용에 대한 극복 과제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구현예는 (a) 용매 중에 리튬 금속 산화물과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혼합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5 내지 10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포함하는 단계; (b) 금속 포일 상에 단계 (a)의 혼합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c) 용매를 제거하여 캐소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소드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또한 전도성 기재, 예컨대 금속 포일 상에 캐소드 물질을 침착시키는 단계; 캐소드 물질을 프레싱하는 단계; 및 에너지 저장 장치, 예컨대 리튬 이온 배터리에 캐소드를 형성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용매 중에 리튬 금속 산화물 및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캐소드 물질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5 내지 10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가진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구현예가 개선된 열안정성 및 안전성을 갖는 캐소드를 제공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또한 LNMCO를 포함하는 캐소드의 열안정성은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5 내지 10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포함하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사용하여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적어도 20%인 0.1 내지 3 μm 또는 그 미만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포함할 수 있고,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적어도 5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0.1 μm 초과, 그리고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또는 3.5 이하, 0.1 내지 3 μm인 D50 입자 분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0.1 내지 3.1 μm인 D50을 가진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화학식 I, Li1+aMnbFecM1-b-cPO4를 갖고, 여기서
a는 0.0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0 내지 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12의 수이고;
b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9,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의 수이고;
c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9,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의 수이고;
(1-b-c)는 0.0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0 내지 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 내지 0.12이고, M은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코발트, 티탄, 지르코늄, 몰리브데늄, 바나듐, 니오븀, 니켈, 스칸듐, 크롬, 구리, 아연, 베릴륨, 란타넘 및 알루미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이온이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산화물은 화학식 III, LixNiyMnzCo(2-x-y-z)DwO2를 갖고, 여기서
x는 0.9 내지 1.15, 바람직하게는 0.95 내지 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98 내지 1.08의 수이고;
y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95,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95의 수이고;
z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7의 수이고;
(2-x-y-z)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7이고;
w는 0 내지 0.4,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3이고, 여기서 D는 B, Al, Ti, Mg, Nb, Si, Fe, V, Cr, Cu, Zn, Ga 및 W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Al, Ti, Mg, 및 N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산화물은 화학식 IIIa, LixNiyMnzCo(2-x-y-z)O2를 갖고, 여기서
x는 0.9 내지 1.15, 바람직하게는 0.95 내지 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98 내지 1.08의 수이고;
y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95,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95의 수이고;
z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7의 수이고;
(2-x-y-z)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7이다.
다른 측면은 제1 및 제2 면을 갖는 금속 포일 및 포일의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코팅되는 캐소드 물질을 포함하는 캐소드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캐소드 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양은 혼합물의 5 중량% 내지 90 중량%이고, 여기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적어도 25%, 그리고 적어도 30% 또는 그 이상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측면은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캐소드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현재 놀랍게도 리튬 금속 산화물, 예컨대 LNMCO, 및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캐소드 물질의 열안정성 및 안전성을 발견하였고, 여기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5 내지 10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측면에 사용될 수 있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일반적으로 리튬의 삽입 및 추출이 가능한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 5910382; 6514640; 5871866; 6632566; 7217474; 6528033; 6716372; 6749967, 6746799; 6811924; 6814764; 7029795; 7087346; 6855273; 7601318; 7338734; 및 2010/0327223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금속의 대부분이 Mn인 것이고, 이는 예를 들면 리튬 철 포스페이트에서 철보다 더 높은 산화환원 전위를 가진다. 더 높은 산화환원 전위의 Mn은 리튬 금속 산화물과 혼합되는 경우 고르거나 균일한 방전 곡선을 갖는 LIB를 실현함에 있어서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것이다:
[화학식 I]
Li1+aMnbFecM1-b-cPO4
상기 식에서,
a는 0.0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0 내지 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12의 수이고;
b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9,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의 수이고;
c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9,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의 수이고;
(1-b-c)는 0.0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0 내지 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 내지 0.12이다.
M은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코발트, 티탄, 지르코늄, 몰리브데늄, 바나듐, 니오븀, 니켈, 스칸듐, 크롬, 구리, 아연, 베릴륨, 란타넘 및 알루미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이온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올리빈 구조를 가진다. M은 마그네슘, 코발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정 포스페이트 물질은 높은 Mn 농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사이클 수명을 개선할 뿐 아니라 높은 철 함유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에서처럼 배터리의 전압 방전 프로파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적인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II]
LiaMnbFecMdPO4
상기 식에서,
a는 0.85 내지 1.15의 수이고;
b는 0.51 내지 0.95이고;
c는 0.05 내지 0.49이고;
d는 0.000 내지 0.1이고;
M은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코발트, 티탄, 지르코늄, 몰리브데늄, 바나듐, 니오븀, 니켈, 스칸듐, 크롬, 구리, 아연, 베릴륨, 란타넘 및 알루미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이온이다.
일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화학식 II, LiaMnbFecMdPO4를 갖는 것일 수 있고, 여기서
a는 0.85 내지 1.15의 수이고;
b는 0.65 내지 0.95이고;
c는 0.049 내지 0.349이고;
d는 0.001 내지 0.1이고;
2.75 ≤ (a + 2b + 2c + dV) ≤ 3.10이고, 여기서 V는 M의 원자가이고, M은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코발트, 티탄, 지르코늄, 몰리브데늄, 바나듐, 니오븀, 니켈, 스칸듐, 크롬, 구리, 아연, 베릴륨, 란타넘 및 알루미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이온이고, 추가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올리빈 구조를 가진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5 내지 100%인 0.1 μm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0.1 μm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은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10 내지 90%,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이다.
일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적어도 5%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가진다. 예를 들면,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 20%, 적어도 22%, 적어도 24%, 적어도 26%, 적어도 28%, 적어도 30%, 적어도 32%, 적어도 34%, 적어도 36%, 적어도 38%, 적어도 40%, 적어도 42%, 적어도 44%, 적어도 46%, 적어도 48%, 적어도 5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포함한다.
또한,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은 2차 입자의 입자 분포와 관련하여 특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일반적으로 0.1 μm 내지 3.5 μm의 중앙(D50) 2차 입자 크기를 가진다. 입자 크기 분포는 D10, D50, 및 D90 입자 크기로 주어진다. D10은 수치에 의해 주어진 분포에 있어서 입자의 10%가 더 작은 크기이고, D50은 입자의 50%가 더 작은 크기이고, D90은 입자의 90%가 더 작은 입자 크기이다. D10은 통상적으로 0.1, 0.2, 0.3, 0.4, 0.5, 0.6, 0.7, 0.8, 0.9, 또는 1.0 μm 이하이다. D50은 적어도 0.1 μm이고, 통상적으로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또는 3.5 μm 이하이다. D90은 통상적으로 7, 8, 9, 10, 11, 12, 13, 14, 또는 15 μm 이하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2차 입자"는 응집되어 약 0.1 μm 이상의 크기를 갖는 더 큰 입자를 형성하는 나노크기 1차 입자와 관련된다. 따라서, 2차 입자는 나노크기 입자의 응집과 관련되고, 이에 따라 0.1 μm 미만의 크기를 갖는 1차 입자가 배제된다.
입자 크기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자 크기는 레이저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2종 이상의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중 하나는 논의되는 바와 같은 요구되는 입자 크기를 충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구현예에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2종 이상의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제1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5 내지 10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갖고, 적어도 제2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0% 또는 실질적으로 거의 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갖고, 단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은 5 내지 100%인 0.1 내지 3 μm 또는 그 미만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은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 20%, 적어도 22%, 적어도 24%, 적어도 26%, 적어도 28%, 또는 적어도 30%, 또는 그 이상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가진다.
리튬 금속 산화물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LIB 중에 리튬의 삽입 및 추출이 가능한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리튬 금속 산화물의 예는 미국특허번호 5858324; 6368749; 6964828; 및 유럽특허번호 0782206; 1296391; 0813256; 1295851; 0849817; 0872450; 및 0918041 및 일본특허번호 11-307094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금속 산화물은 단일 상을 나타내는 O3 구조로서도 언급되는 Rm3 유형의 층상 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리튬 금속 산화물은 미국특허번호 6964828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리튬 금속 산화물은 하기 화학식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III]
LixNiyMnzCo(2-x-y-z)DwO2
상기 식에서,
x는 0.9 내지 1.15, 바람직하게는 0.95 내지 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98 내지 1.08의 수이고;
y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95,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95의 수이고;
z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7의 수이고;
(2-x-y-z)는 0.05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7이고;
w는 0 내지 0.4,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3이다. D는 Al, Ti, Mg, Nb, 또는 도핑 성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금속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D는 B, Al, Ti, Mg, Nb, Si, Fe, V, Cr, Cu, Zn, Ga 및 W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리튬 금속 산화물은 화학식 IIIa, LixNiyMnzCo(2-x-y-z)O2를 갖고, 여기서 x, y, 및 z는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바람직한 리튬 금속 산화물은 또한 하기 화학식을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IV]
LixCoYMnZ(D)wNi1-(y+z+d)O2
상기 식에서,
D는 Co, Mn 또는 Ni 이외의 금속을 의미하고;
x는 0 초과 내지 1.2이고;
y는 0.1 내지 0.5이고;
z는 0.05 내지 0.4이고;
w는 0 내지 0.4이고;
b+c+d는 0.15 내지 0.5이다.
D는 바람직하게는 B, Al, Si, Fe, V, Cr, Cu, Zn, Ga 및 W이다. 바람직하게는 "x"는 1.1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미만이다. 이러한 캐소드 물질로부터 제조된 LIB는 방전 상태로 조립되는 것으로 이해된다(즉, 리튬은 리튬 금속 산화물 "x ~ 1"로 존재하고, 이후 최초 시간 동안 LIB의 충전시 애노드로 추출되거나 삽입된다). 1종 초과의 리튬 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리튬 금속 산화물은 화학물질, 1차 입자 크기 등에서 상이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리튬 금속 산화물의 추가적인 예는 LiCoO2이다.
활성 캐소드 물질에서의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중량 백분율 양은 일반적으로 캐소드 물질의 총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0 중량%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캐소드 물질에서의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양은 캐소드 물질의 총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50 중량%이다.
활성 캐소드 물질에서의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중량 백분율 양은 일반적으로 캐소드 물질의 총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95 중량%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캐소드 물질에서의 리튬 금속 산화물의 양은 캐소드 물질의 총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30 중량% 내지 9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내지 85 중량%이다.
특정 금속에 의존하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유리하게는 그 위에 전자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코팅은 일반적으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상기 코팅의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가능한 적은 코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양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8%, 5% 또는 심지어 3%이다. 통상적으로, 코팅은 탄소질이고, 흑연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탄소 코팅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과 같은 유기 화합물의 침탄법으로부터 생성된 것일 수 있고, 그 예는 페놀, 포름알데히드, 당(예를 들면, 락토오스, 글루코오스 및 프룩토오스), 전분, 및 셀룰로오스이다.
일 구현예에서,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되도록 용매 중에 리튬 금속 산화물과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용매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용매 및 낮은 수분 함량(예를 들면, 5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50, 10 또는 심지어 1 ppm 미만)을 갖는 극성 및 비극성 유기 용매일 수 있다. 유용한 용매의 양은 유기 용매, 예컨대 n-메틸 피롤리돈(NMP) 및 아세톤 및 극성 용매, 예컨대 물 및 문헌 [Jin Chong, et al., Journal of Power Sources 196 (2011) pp. 7707 - 7714]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고형물(리튬 금속 산화물 및 포스페이트)의 양은 임의의 유용한 양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그 양은 용매의 10 부피% 내지 90 부피%이고, 적어도 20% 또는 30% 내지 최대 80% 또는 70%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배플이 있거나 없는 간단한 패들 믹서와 같은 저전단 혼합 기술의 조건 하에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단 속도는 최대 약 5000 sec-1이고, 일반적으로 약 1 sec-1 내지 약 1000 sec-1이다. 포일 상에 슬러리를 캐스팅하기에 유용한 다른 공지된 첨가제, 예컨대 적합한 분산제, 윤활제, 바인더 및 수분 제거제가 이용될 수 있다.
혼합은 원하는 결과가 달성되도록 리튬 금속 산화물 및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충분하게 분산되게 하는 시간 동안 실시된다. 통상적으로 그 시간은 수분 내지 실시가능한 임의의 시간, 예컨대 수일 또는 수시간일 수 있다.
혼합물은 이후 배터리에서 전극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금속 포일, 예컨대 알루미늄, 탄소 코팅 알루미늄, 에칭된 알루미늄, 니켈, 구리, 금, 은, 백금, 및 상술한 것의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물 상에 코팅될 수 있고, 문헌 [Hsien-Chang Wu et. al., Journal of Power Sources 197 (2012) pp. 301 - 304]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슬러리의 코팅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과 같은 임의의 유용한 기술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은 원하는 간격으로의 닥터 블레이드 캐스팅이다.
용매는 이후 캐소드를 형성하기 위해 제거된다. 제거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 예컨대 정지 또는 유동 공기 또는 다른 적합한 분위기, 예컨대 건조 공기, 불활성 분위기(질소 또는 불활성 가스, 예컨대 희유 가스) 또는 진공 하에 가열하거나 가열하지 않는 증발일 수 있다. 가열이 이용되는 경우, 온도는 이용되는 특정 용매에 대해 유용한 임의의 것이고, 30℃ 내지 500℃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이다. 시간은 수분 내지 수일 또는 수시간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시간일 수 있다. 가열은 저항, 대류, 마이크로파, 유도 또는 임의의 공지된 가열 방법과 같은 임의의 유용한 가열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용매가 제거된 이후, 캐소드는 추가로 프레싱된다. 수많은 경우에서의 이러한 프레싱은 금속 포일 상에의 리튬 금속 산화물/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코팅의 밀도를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한 본 기술분야의 캘린더링으로 지칭된다. 통상적으로, 캘린더링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캐소드를 구현하기 위한 설정 간격을 갖는 롤 프레스에 캐소드를 통과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캐소드는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또는 코팅의 거동에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수회 롤 프레스를 통과할 수 있다. 프레싱을 실시하는 경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2차 입자를 단지 변형시키고, 임의의 상당한 변화, 예컨대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2차 입자의 파쇄를 겪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는 최대 약 500 MPa이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250, 180, 170 또는 160 MPa 내지 적어도 약 10 MPa일 수 있는 일부 저압인 압력에 상응한다. 유사하게는, 압력은 임의의 전기 전도성 코팅이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파쇄시킬 정도로 크지 않고, 또한 코팅의 밀도가 너무 높아서, 예를 들면, 배터리에 이용되는 전해질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충분하게 캐소드를 습윤시키는 데 있어서의 곤란성을 가질 정도로 높아서는 안된다.
통상적으로, 코팅은 이론적 밀도(60% 내지 15% 다공성)의 40% 내지 85%인 % 이론적 밀도를 가진다. 이론적 밀도는 적어도 45%, 50% 또는 심지어 55% 내지 80%, 75% 또는 심지어 7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캐소드는 개선된 LIB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고, 이러한 LIB를 제조하는 경우, 적합한 애노드 물질은, 예를 들면 탄소질 물질, 예컨대 천연 또는 인조 흑연, 탄화된 피치, 탄소 섬유, 흑연화된 중간상 미소구체(graphitized mesophase microsphere), 퍼니스 블랙, 아세틸렌 블랙, 및 다양한 다른 흑연화된 물질을 포함한다. 적합한 탄소질 애노드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 7,169,511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애노드 물질은 리튬 금속, 리튬 합금, 다른 리튬 화합물, 예컨대 리튬 티타네이트 및 금속 산화물, 예컨대 TiO2, SnO2 및 SiO2뿐만 아니라 Si, Sn, 또는 Sb와 같은 물질을 포함한다. 애노드는 하나 이상의 적합한 애노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LIB의 세퍼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비전도성 물질이다. 이는 작동 조건 하에 전해질 용액 또는 전해질 용액의 임의의 성분과 반응성이거나 가용성이지 않아야 하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리튬 이온 수송이 가능해야 한다. 폴리머성 세퍼레이터가 일반적으로 적합하다. 세퍼레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적합한 폴리머의 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설폰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전해질 용액은 적어도 0.1 몰/리터(0.1 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 몰/리터(0.5 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75 몰/리터(0.75 M), 바람직하게는 최대 3 몰/리터(3.0 M),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몰/리터(1.5 M)의 리튬염 농도를 가진다. 리튬염은 배터리 사용을 위해 적합한 것일 수 있고, 이는 리튬염, 예컨대 LiAsF6, LiPF6, LiPF4(C2O4), LiPF2(C2O4)2, LiBF4, LiB(C2O4)2, LiBF2(C2O4), LiClO4, LiBrO4, LiIO4, LiB(C6H5)4, LiCH3SO3, LiN(SO2C2F5)2, 및 LiCF3SO3을 포함한다. 배터리 전해질 용액에서의 용매는, 예를 들면 사이클릭 알킬렌 카보네이트, 예컨대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알킬 카보네이트, 예컨대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또는 메틸에틸 카보네이트, 다양한 알킬 에테르; 다양한 사이클릭 에스테르; 다양한 모노니트릴; 디니트릴, 예컨대 글루타로니트릴;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 설폰뿐 아니라 이의 유도체; 다양한 설포란, 최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양한 유기 에스테르 및 에테르 에스테르 등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캐소드 및 전지를 제조하여 본 발명의 캐소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지의 열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열 시험을 시행하였다.
전지에 사용되는 물질은 하기에서 확인된다. 모든 백분율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 백분율이다. 모든 물리적 특성 및 조성 값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근사치이다.
"LMO-1": 화학식 LiNi0 . 5Mn0 . 3Co0 . 2O2를 갖고, 10.41 μm의 D50 입자 분포를 갖는 Daejeon Energy Materials Co.로부터 이용가능한 리튬 금속 산화물.
"LMO-2": 화학식 LiNi1 / 3Mn1 / 3Co1 / 3O2를 갖는 Xiamen Wuye Co.로부터 이용가능한 리튬 금속 산화물.
"LMFP-1": 화학식 LiMnFePO4를 갖고, 각각 0.984 μm, 3.056 μm, 및 7.074 μm의 D10, D50, 및 D90을 갖는 Dow Chemical로부터 이용가능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은 49.8%이다.
"LMFP-2": 화학식 LiMnFePO4를 갖고, 각각 5.536 μm, 9.9947 μm, 및 17.28 μm의 D10, D50, 및 D90을 갖는 Dow Chemical로부터 이용가능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3 μm 미만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은 0%이다.
"CA": TIMCAL로부터의 상표명 SUPER PTM Li 하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전도성 탄소 첨가제.
"PVDF": 상표명 SOLEF® 5130 PVDF 하에 Solvay Specialty Polymers로부터 이용가능한 바인더로서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NMP": J&K Chemical로부터 이용가능한 N-메틸피롤리돈(98.5% 무수).
"전해질-1": China Energy Lithium Co., Ltd로부터 이용가능한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카보네이트의 1:3 중량비의 혼합물 중의 1 몰 LiPF6 용액의 전해질 용액.
"전해질-2": BASF로부터 이용가능한 상품명 TK032 하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전해질 용액.
하기 모든 실시예에서, 입자 크기는 Beckman Coulter LS 13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활성 캐소드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LMO-1을 하기와 같은 LMFP-1과 블렌딩하였다. LMO-1 및 LMFP-1을 활성 캐소드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80:20의 비로 컵에서 수동으로 블렌딩하였다. 생성된 활성 캐소드 물질을 바인더(PVDF), 전도성 탄소(CA) 및 용매(NMP)와 혼합하여 활성 캐소드 물질의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Shezhen Fulaishun Electronic Material Co로부터 이용가능한 알루미늄 포일(20 μm 두께) 상에 코팅하였다. 코팅 후, 80℃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여 NMP를 제거하였고, 이후 10시간 동안 130℃에서 추가로 진공 건조하였다. 캐소드 웨이퍼를 건조된 캐소드로부터 12 mm 직경 샘플을 절단하여 제조하였다. 캐소드 웨이퍼를 CR2016 코일 전지에 통합시켰다. 각 경우에서의 애노드는 (반전지의 경우에서) 리튬 및 (완전 전지의 경우에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흑연(Jiangi Zicheng, Co.로부터 구한 FT-1 분말)이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세퍼레이터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카보네이트의 1:3 중량비의 혼합물 중의 1 몰 LiPF6 용액의 전해질(전해질-1)과 함께 사용된다.
코인 반전지는 정전류(1/10C-방전)를 사용하여 4.3 V로 충전되었고, 이후 4.3 V의 정전압에서 C/100의 전류로 유지하였다. 전지를 이후 0.1C로 2.8 V까지 방전시켰다. 충전/방전 사이클을 2회 반복하였고, 마지막으로 전지를 0.1C 정전류로 4.3 V까지 충전하였고, 4.3 V의 정전압에서 C/100의 전류로 유지하였다.
충전된 캐소드(4.3 V)의 열적 거동(DSC)을 평가하였다. 완전 충전된 전지를 글로브 박스 내에서 분리하였다. 캐소드 웨이퍼를 꺼내어 디-메틸 카보네이트(DMC)로 3회 세정하였고, 24시간 동안 글로브 박스에서 건조시켰다. 1.5 mg의 캐소드 분말을 건조된 웨이퍼로부터 제거하였고, 스테인리스-스틸 고압 DSC 전지에 배치하고, 1.5mg의 전해질-1로 완전 충전하였다. 전지를 이후 DSC 시험을 위해 밀폐 밀봉시켰다.
DSC를 5℃/min의 승온 속도로 실온 내지 최대 350℃까지 실시하였다. 피크 열 방출 온도 및 총 열 방출은 하기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활성 캐소드 물질을 포함하는 파우치 전지를 제조하였다.
93 중량%의 활성 물질, 4 중량%의 (PVDF) 바인더, 및 전도성 첨가제로서의 3 중량%의 CA를 포함하는 캐소드 물질을 Al 포일(20 μm 두께) 상에 NMP 중의 캐소드 물질의 슬러리를 코팅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용매를 2.5분 동안 80℃, 2.5분 동안 95℃, 및 2.5분 동안 9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건조된 캐소드를 이후 12시간 동안 120℃에서 추가적 진공 건조시켰다. 캐소드를 이후 약 3 g/cm3의 밀도로 125 내지 130 ton의 인가된 압력으로 롤 프레스로 프레싱하였다. 프레싱된 캐소드를 다시 12시간 동안 120℃에서 진공 건조하였다. 캐소드를 이후 절단하고, 10 Ahr, 20 Ahr, 30 Ahr 및 40 Ahr 파우치 전지 내로 조립하였다. 애노드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흑연(Jiangi Zicheng, Co.로부터 이용가능한 FT-1 분말)이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세퍼레이터를 BASF로부터 이용가능한 전해질(전해질-2), TK032와 함께 사용한다.
제작된 파우치 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Arbin 시험 스테이션 상에서 실시하였다. 그 과정은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0.3C에서의 특정 방전 용량은 하기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1) 38℃에서의 휴지(rest) 24시간.
2) 1차 충전: 0.02C 8시간, 0.1C 1시간, 0.5C에서 4.2 V까지, C/20 컷(cut).
3) 1차 방전: 0.5C에서 3.0 V까지.
4) 2차 충전: 0.5C에서 4.2 V까지, C/20 컷, 6시간 동안 80℃에서의 에이징.
5) 2차 방전: 0.5C에서 3.0 V까지.
6) 3차 충전: 0.3C에서 4.2 V까지, C/20 컷.
7) 3차 방전: 0.3C에서 3.0 V까지.
8) 4차 충전: 0.3C에서 4.2 V까지, C/20 컷.
9) 4차 방전: 0.3C에서 3.0 V까지.
10) 5차 충전: 0.5C 1시간, 종료.
EC 시험 이후 파우치 전지를 1C에서 3.0 V로 방전시켰고, 이후 1C 정전류에서 4.2 V 전압까지, 그리고 C/20의 전류로 정전압까지 충전하였다. 충전된 파우치를 이후 침상 시험을 하여 본 발명의 캐소드 물질의 열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침상 관통을 3 mm 직경의 침상 및 80 mm/sec의 관통 속도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20 Ahr 및 30 Ahr의 모든 시험된 파우치 전지는 연기 또는 발화 없이 관통하였다. 소입자 크기 LMFP의 존재는 놀랍게도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열안정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 반전지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고, 단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1:1 비로 LMFP-1 및 LMFP-2의 블렌드로 구성되었다. 생성된 캐소드 물질은 80:10:10의 LMO:LMFP-1:LMFP-2에 대해 총 중량비를 가졌다. LMFP-1 및 LMFP-2의 혼합물은 각각 1.658 μm, 5.882 μm, 및 14.13 μm의 D10, D50, 및 D90의 입자 분포를 가졌다. 3 μ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은 24.9%였다.
캐소드의 열 특성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캐소드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고, 단 LMO-2를 LMO-1 대신 사용하였다. LMO-2의 입자 크기 분포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LMO-2는 10.14 μm의 D50을 가졌다. 80:20 중량비로 컵에서 수동으로 LMO-2를 LMFP-1과 혼합하여 활성 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의 캐소드를 포함하는 파우치 전지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실험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10 Ahr, 20 Ahr, 30 Ahr 및 40 Ahr 파우치 전지를 제작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및 침상 관통 시험을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동일한 과정 및 조건에 따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20 Ahr 및 30 Ahr의 모든 시험되는 파우치 전지는 연기 또는 발화 없이 합격되었다. 2개의 40 Ahr 전지를 제조하였고, 이 중 하나는 시험에 합격되고 다른 하나는 연기가 발생되었다. 40 Ahr 전지 중 하나가 연기가 발생되었지만, 모든 시험은 3 μ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가 놀랍게도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열안정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시험 결과는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비교 실시예 1
본 비교 실시예에서, LMO-2 및 LMFP-2를 사용하여 캐소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상기 재료를 80:20 비로 블렌딩하였다. 블렌딩은 컵에서 수동으로 실시하였다.
LMFP-2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본 발명의 실시에 1에서와 같이 측정하였다. LMFP-2는 각각 5.536 μm, 9.947 μm 및 17.28 μm의 입자 크기 분포 D10, D50 및 D90을 가졌다. LMFP-2에서의 3 μm 미만의 입자의 체적 분율은 0%이다.
열적 특성을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실험 과정으로 평가하였고, 하기 표 1에 요약된다.
비교 실시예 1의 캐소드를 포함하는 파우치 전지를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실험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10 Ahr, 20 Ahr 및 30 Ahr 파우치 전지를 제작하였다. 전기 화학적 특성 평가 및 침상 관통 시험을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 및 조건에 따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3에 요약되어 있다.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2개의 20 Ahr 파우치 전지에 대해, 하나는 연기가 발생되었고, 다른 하나는 발화가 발생되었다. 하나의 30 Ahr 파우치 전지를 시험하였고, 이는 발화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성분에 대해 더 작은 입자 분포(예를 들면, 3 μm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5 내지 100% 체적 분율)를 갖는 캐소드 물질이 LIB에서의 열안정성 및 안전성에 있어서의 개선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 실시예 2
본 비교 실시예에서, 80:20 중량비로 컵에서 LMO-2 및 LMFP-2를 수동으로 혼합함으로써 활성 전극 물질을 제조하였다. 모든 다른 성분, 백분율 및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비교 실시예 2의 캐소드를 포함하는 파우치 전지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 기재된 것과 동일한 실험 과정으로 제조하였다. 10 Ahr, 20 Ahr 및 30 Ahr 파우치 전지를 제작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및 침상 관통 시험을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 및 조건에 따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3에 요약되어 있다.
제조된 2개의 20 Ahr 파우치 전지에 대해, 하나는 연기가 발생되고, 다른 하나는 발화가 발생되었다. 하나의 30 Ahr 파우치 전지를 시험하였고, 이는 발화가 발생되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3 μm 미만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결여는 좋지 않은 열안정성 및 안전성을 갖는 LIB를 초래하였다.
[표 1] 입자 크기 분포 및 열적 (DSC) 데이터
Figure 112017061825789-pct00001
[표 2] 캐소드 물질의 방전 용량 및 프레스 밀도
Figure 112017061825789-pct00002
[표 3] 침상 관통 성능
Figure 112017061825789-pct00003

Claims (22)

  1. (a) 용매 중에, 캐소드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0 중량%의 리튬 금속 산화물과 10 내지 50 중량%의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혼합물을 금속 포일 상에 코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용매를 제거하여 캐소드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5 내지 10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갖고,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D50은 3.5 μm 이하이고,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은 하기 화학식 III 및 IIIa 중 하나를 갖고,
    [화학식 III]
    LixNiyMnzCo(2-x-y-z)DwO2
    [화학식 IIIa]
    LixNiyMnzCo(2-x-y-z)O2
    [상기 식에서,
    x는 0.9 내지 1.15의 수이고;
    y는 0.05 내지 0.95의 수이고;
    z는 0.05 내지 0.95의 수이고;
    (2-x-y-z)는 0.05 내지 0.95이고;
    w는 0 내지 0.4이고, D는, 존재하는 경우, B, Al, Ti, Mg, Nb, Si, Fe, V, Cr, Cu, Zn, Ga 및 W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하기 화학식 I을 나타내는,
    [화학식 I]
    Li1+aMnbFecM1-b-cPO4
    [상기 식에서,
    a는 0.0 내지 0.2의 수이고;
    b는 0.51 내지 0.95의 수이고;
    c는 0.05 내지 0.49의 수이고;
    (1-b-c)는 0.0 내지 0.2이고;
    M은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코발트, 티탄, 지르코늄, 몰리브데늄, 바나듐, 니오븀, 니켈, 스칸듐, 크롬, 구리, 아연, 베릴륨, 란타넘 및 알루미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이온이다],
    캐소드의 형성 방법.
  2. 용매 중에 리튬 금속 산화물 및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캐소드 물질로서,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5 내지 10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가지며, 상기 캐소드 물질은 캐소드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0 중량%의 리튬 금속 산화물과 10 내지 50 중량%의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D50은 3.5 μm 이하이고,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은 하기 화학식 III 및 IIIa 중 하나를 갖고,
    [화학식 III]
    LixNiyMnzCo(2-x-y-z)DwO2
    [화학식 IIIa]
    LixNiyMnzCo(2-x-y-z)O2
    [상기 식에서,
    x는 0.9 내지 1.15의 수이고;
    y는 0.05 내지 0.95의 수이고;
    z는 0.05 내지 0.95의 수이고;
    (2-x-y-z)는 0.05 내지 0.95이고;
    w는 0 내지 0.4이고, D는, 존재하는 경우, B, Al, Ti, Mg, Nb, Si, Fe, V, Cr, Cu, Zn, Ga 및 W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하기 화학식 I을 나타내는,
    [화학식 I]
    Li1+aMnbFecM1-b-cPO4
    [상기 식에서,
    a는 0.0 내지 0.2의 수이고;
    b는 0.51 내지 0.95의 수이고;
    c는 0.05 내지 0.49의 수이고;
    (1-b-c)는 0.0 내지 0.2이고;
    M은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코발트, 티탄, 지르코늄, 몰리브데늄, 바나듐, 니오븀, 니켈, 스칸듐, 크롬, 구리, 아연, 베릴륨, 란타넘 및 알루미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이온이다],
    캐소드 물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은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20% 이상인, 캐소드 물질.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2종의 상이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제1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20% 이상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갖고,
    제2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갖고,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은 20% 이상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총괄적 체적 분율을 갖는,
    캐소드 물질.
  7. 삭제
  8. 제2항,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소드 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은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20% 이상인, 캐소드의 형성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2종의 상이한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총 함량 기준으로,
    제1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20% 이상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갖고,
    제2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는 0%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체적 분율을 갖고,
    상기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은 20% 이상인 0.1 내지 3 μm의 크기를 갖는 2차 입자의 총괄적 체적 분율을 갖는,
    캐소드의 형성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77017774A 2014-12-18 2014-12-18 개선된 열안정성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 Active KR102486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94280 WO2016095177A1 (en) 2014-12-18 2014-12-18 Lithium ion battery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907A KR20170095907A (ko) 2017-08-23
KR102486755B1 true KR102486755B1 (ko) 2023-01-11

Family

ID=5612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774A Active KR102486755B1 (ko) 2014-12-18 2014-12-18 개선된 열안정성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51419B2 (ko)
EP (1) EP3235028B1 (ko)
JP (1) JP6813487B2 (ko)
KR (1) KR102486755B1 (ko)
CN (1) CN107004856B (ko)
ES (1) ES2872008T3 (ko)
WO (1) WO2016095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3485A1 (en) 2014-04-01 2015-10-08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Electrode materials for group ii cation-based batteries
DE112020000220T5 (de) 2019-01-07 2021-08-26 A123 Systems, LLC Missbrauchstolerante lithium-ionen-batteriekathodenmischungen mit symbiotischen leistungsvorteilen
US20240186494A1 (en) * 2021-08-31 2024-06-06 The Furukawa Battery Co., Ltd. Posi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FR3152925A1 (fr) * 2023-09-12 2025-03-14 Saft Composition d’electrodes positives comprenant un melange de matieres actives de type phosphate lithie de manganese et de f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072A (ja) 2000-11-09 2002-05-24 Sony Corp 正極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JP2012190786A (ja) 2011-03-09 2012-10-04 Samsung Sdi Co Ltd 正極活物質、並びにそれを採用した正極及びリチウム電池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3437B2 (ja) 1995-07-24 2004-07-14 ソニー株式会社 正極活物質及びこの正極活物質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3897387B2 (ja) 1995-12-29 2007-03-22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US5910382A (en) 1996-04-23 1999-06-08 Board Of Regents, University Of Texas Systems Cathode materials for secondary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US6514640B1 (en) 1996-04-23 2003-02-0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athode materials for secondary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3846601B2 (ja) 1996-06-13 2006-11-15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チウム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前記活物質を備えた電池
TW363940B (en) 1996-08-12 1999-07-11 Toda Kogyo Corp A lithium-nickle-cobalt compound oxide, process thereof and anode active substance for storage battery
US5871866A (en) 1996-09-23 1999-02-16 Valence Technology, Inc. Lithium-containing phosphate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EP0849817A3 (en) 1996-12-20 1999-03-24 Japan Storage Battery Company Limited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040090A (en) 1997-04-15 2000-03-21 Sanyo Electric Co., Ltd.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use i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5858324A (en) 1997-04-17 1999-01-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thium based compounds useful as electrode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H11307094A (ja) 1998-04-20 1999-11-05 Chuo Denki Kogyo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リチウム二次電池
EP1094533A1 (en) 1999-04-06 2001-04-25 Sony Corporation Active material of positive plat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method for producing active material of positive material
CA2270771A1 (fr) 1999-04-30 2000-10-30 Hydro-Quebec Nouveaux materiaux d'electrode presentant une conductivite de surface elevee
JP3649953B2 (ja) 1999-06-23 2005-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活物質、電極、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活物質の製造方法
US6528033B1 (en) 2000-01-18 2003-03-04 Valence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lithium-containing materials
JP3959929B2 (ja) 2000-04-25 2007-08-15 ソニー株式会社 正極及び非水電解質電池
TW525313B (en) 2000-04-25 2003-03-21 Sony Corp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electrolyte cell
CA2320661A1 (fr) 2000-09-26 2002-03-26 Hydro-Quebec Nouveau procede de synthese de materiaux limpo4 a structure olivine
JP4491946B2 (ja) 2000-09-29 2010-06-30 ソニー株式会社 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US6814764B2 (en) 2000-10-06 2004-11-09 Sony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cath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non-aqueous electrolyte cell
JP4137635B2 (ja) 2000-11-16 2008-08-2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正極活物質および非水二次電池
KR100489509B1 (ko) 2001-03-22 2005-05-1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양극활물질 및 이것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질(非水電解質)이차전지
US6964828B2 (en) 2001-04-27 2005-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thode compositions for lithium-ion batteries
CA2471455C (en) 2001-12-21 2014-08-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ductive lithium storage electrode
US6815122B2 (en) 2002-03-06 2004-11-09 Valence Technology, Inc. Alkali transition metal phosphates and related electrode active materials
JP3632686B2 (ja) 2002-08-27 2005-03-23 ソニー株式会社 正極活物質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AU2003280566A1 (en) 2002-10-22 2004-05-1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US7041239B2 (en) 2003-04-03 2006-05-09 Valence Technology, Inc. Electrodes comprising mixed active particles
DE602005018543D1 (de) 2004-12-28 2010-02-04 Boston Power Inc Lithiumionen-sekundärbatterie
CA2506104A1 (en) 2005-05-06 2006-11-06 Michel Gauthier Surface modified redox compounds and composite electrode obtain from them
JP5875210B2 (ja) 2005-05-17 2016-03-02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二次電池
EP2108203B1 (en) 2007-01-18 2014-03-12 LG Chemical Limited Cath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01578724A (zh) 2007-01-24 2009-11-11 株式会社Lg化学 具有改进的安全性的蓄电池
ITTO20070261A1 (it) 2007-04-13 2008-10-14 Bridgestone Corp Mescola adesiva a base acquosa per la produzione di pneumatici
KR100889622B1 (ko) 2007-10-29 2009-03-20 대정이엠(주) 안전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20090155689A1 (en) 2007-12-14 2009-06-18 Karim Zaghib Lithium iron phosphate cathode materials with enhanced energy density and power performance
KR101215416B1 (ko) 2008-03-26 2012-12-26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리튬 배터리용 캐쏘드 물질
JP5381024B2 (ja) 2008-11-06 2014-01-08 株式会社Gsユアサ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WO2011102497A1 (ja) * 2010-02-22 2011-08-25 住友化学株式会社 電極合剤、電極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253319B1 (ko) * 2010-09-10 2013-04-10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3828099B (zh) 2011-07-25 2018-04-20 A123系统有限责任公司 掺混的阴极材料
JP2013048053A (ja) 2011-08-29 2013-03-07 Sony Corp 活物質、電極、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JP2013084566A (ja) 2011-09-30 2013-05-09 Fuji Heavy Ind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807749B2 (ja) 2011-12-08 2015-11-10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正極、非水電解液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CN104067421A (zh) * 2012-05-31 2014-09-24 三菱综合材料株式会社 锂离子二次电池的电极及使用该电极的锂离子二次电池
KR101994260B1 (ko) 2012-10-15 2019-06-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US9911970B2 (en) * 2013-07-09 2018-03-0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Lithium ion batteries
WO2016048862A1 (en) * 2014-09-23 2016-03-3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Lithium metal oxide containing batteries having improved rate capabi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072A (ja) 2000-11-09 2002-05-24 Sony Corp 正極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JP2012190786A (ja) 2011-03-09 2012-10-04 Samsung Sdi Co Ltd 正極活物質、並びにそれを採用した正極及びリチウム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0737A (ja) 2018-01-11
WO2016095177A1 (en) 2016-06-23
US11251419B2 (en) 2022-02-15
ES2872008T3 (es) 2021-11-02
CN107004856A (zh) 2017-08-01
US20170352876A1 (en) 2017-12-07
EP3235028B1 (en) 2021-05-12
EP3235028A1 (en) 2017-10-25
KR20170095907A (ko) 2017-08-23
CN107004856B (zh) 2021-06-04
EP3235028A4 (en) 2018-06-27
JP6813487B2 (ja)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3743B2 (ja) カソードを形成する方法
KR100916088B1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48037B1 (ko) 전기화학 성능이 우수한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607024B1 (ko) 리튬 이차전지
JP5890886B1 (ja) リン酸マンガン鉄リチウム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4264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31150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조성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 전지
US20130071737A1 (en) Lithium iron titanium phosphate composites for lithium batteries
JP6477690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3128589B1 (en) Binder composition for use i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use i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KR20150134735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8349286B2 (en) Lithium-transition metal complex compounds having Nth order hierarchical structur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comprising the same
KR102283794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486755B1 (ko) 개선된 열안정성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
KR10172399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8530093B2 (en) Electrod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which includes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electrode
CN101820082A (zh) 一种电解液及锂离子二次电池
JP2009129632A (ja) 非水電解質電池
KR10230356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7143593B2 (ja)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WO2022054781A1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50095128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8540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04103464A (ja) 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KR20130080337A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것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6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3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