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7492B1 -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492B1
KR102377492B1 KR1020190008988A KR20190008988A KR102377492B1 KR 102377492 B1 KR102377492 B1 KR 102377492B1 KR 1020190008988 A KR1020190008988 A KR 1020190008988A KR 20190008988 A KR20190008988 A KR 20190008988A KR 102377492 B1 KR102377492 B1 KR 10237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layer
cosmetic composition
impregnating
node
cosm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301A (ko
Inventor
김형상
이창수
안구섭
정혜진
이여울
이은두
계성봉
박다정
이경림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1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4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와 이를 이용한 화장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는 화장료 조성물의 담지력과 토출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용 소재 외부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처음과 동등한 정도의 화장료 조성물 토출력을 보일 수 있다. 또한, 물리적 힘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반복되는 압력에 의한 모양 변형 및 그로 인한 기능 저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MATERIAL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본 명세서에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와 이를 이용한 화장품이 개시된다.
액상 화장품은 도포시 발림성은 용이하나 화장용기에 충전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보관성 및 휴대성이 떨어지고, 특히 사용후에 손에 묻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퍼프 또는 팩트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나, 폴리우레탄 폼(KR 10-1257628 B1) 함침재를 포함한 지금까지 연구된 제품들은 화장료 조성물이 너무 쉽게 토출되거나, 외압을 가했을 때 토출되지 못하고 잔류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이 많아서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장료가 담체의 측면으로 유출되는 문제점, 담체가 쉽게 변형(늘어짐, 뒤틀림)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KR 10-1257628 B1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 담지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하여 사용하여도 기계적 물성 손실이 적은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에 의한 복원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이 일정한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 표면층; 제2 표면층; 및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층과, 상기 제2 표면층은 각각 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면층과 상기 제2 표면층은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드(node)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복수의 원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층의 원사는 상기 제1 표면층의 제1 노드로부터 제2 표면층의 제2 노드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제1 표면층의 상기 제1 노드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에위치하는 제2 표면층의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는 화장료 조성물의 담지력과 토출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용 소재 외부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처음과 동등한 정도의 화장료 조성물 토출력을 보일 수 있다. 또한, 물리적 힘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반복되는 압력에 의한 모양 변형 및 그로 인한 기능 저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의 단면을 보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함침용 소재를 4층 적층하여 제조한 함침용 소재의 단면을 보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함침용 소재의 정면 사진이다.
도 4는, 검정색의 퍼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함침용 소재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퍼프에 찍어바른 후, 퍼프의 외관을 보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함침용 소재(도 5a)와, 지지층이 직선구조인 함침용 소재(도 5b)에 화장료를 함침시켰을시 함침 소재의 변형을 보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material)로서, 상기 소재는, 제1 표면층; 제2 표면층; 및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층과, 상기 제2 표면층은 각각 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면층과 상기 제2 표면층은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드(node)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복수의 원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층의 원사는 상기 제1 표면층의 제1 노드로부터 제2 표면층의 제2 노드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제1 표면층의 상기 제1 노드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제2 표면층의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와 같은 표현은 구성을 구분하기 위하여 임의로 번호를 붙인 것으로서, 각 구성의 순서나 위치를 한정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상기 직물은,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짜여진 천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노드(node)란 원사가 모여서 형성된 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원사의 직경은 30~9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4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70㎛, 가장 바람직하게는 55~65 ㎛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원사는 모노 필라멘트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노 필라멘트로 구성된 멀티 필라멘트일 수도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노드는 약 0.05mm~10mm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노드는, 바람직하게는 0.1~7mm, 더욱 바람직하게 0.3~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6~3.6mm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드간의 간격은 노드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측정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상기 원사는, 제1 노드에서 제2 노드까지 연장되는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제1 노드에서 출발하여, 제2 노드에는 닿지 않는 원사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제1 표면층의 상기 제1 노드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제2 표면층의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제1 노드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제2 표면층의 지점으로부터 0~15mm 반경 이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노드에서 연장된 복수개의 원사는, 제1 노드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제2 표면층의 지점으로부터 0~15mm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제2 노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0'은, 제1 노드와 제2노드가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는 제1 표면층에서 연장된 복수의 원사가 제2 표면층 상의,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복수의 노드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함침용 소재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력도 우수하다.
일 측면에서 상기 노드의 원사는, 제1 표면층에서 제2 표면층 방향으로 또는 제2 표면층에서 제1 표면층 방향으로, 제1 표면층 또는 제2 표면층을 기준으로, 20~160도(°) 기울어져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45~135°기울어져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표면층의 제1 노드의 원사가 제1 노드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동일한 제2 노드로 연장되는 구조는, 당해 노드에만 외부의 힘이 집중되어,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를 반복 사용시 쉽게 구조가 변형되는 동시에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원사로 구성된 다발 간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인해 소재를 원사의 연장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세울 때, 함침된 화장료가 쉽게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다.
상기 함침 소재는, 제1 표면층, 제2 표면층 및 지지층을 뽑아내는 노즐에 원사를 투입하고,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을 먼저 직물 짜임으로 제조하고, 지지층의 원사가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의 노드사이로 이동하여, 일체형의 구조를 제조 한 후, 열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에 의해 소재에 탄력을 부여하거나, 원단의 폭과 길이를 늘려줌으로써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열처리에 의해 소재의 두께는 예컨대, 4.5T에서 2.5~4.5T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150~220℃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0~2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19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는, 1000~2500rpm의 열풍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00~2200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2000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1800rpm의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직물의 소재는, 천연 섬유, 인조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물은,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폴리아미드 직물, 2 종이상의 사(絲)로 짜여진 직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상기 원사의 소재는 천연 섬유, 인조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사는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 직물, 폴리아미드 직물, 2종 이상의 사(絲)로 짜여진 원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섬유는 면화, 케이폭면, 코이어, 마닐라삼, 사이잘삼, 아마, 저마, 대마, 케나프, 아바카, 사이설삼, 카폭, 모시풀, 황마, 삼, 양모, 산양모, 캐시미어, 낙타모, 낙타털, 알파카, 모섬유, 가잠견, 야잠견, 석면,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인조섬유는 폴리노직 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레이온, 아세테이트, 트라이아세테이트,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비닐리덴계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카제인 섬유, 알긴산 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 고무 섬유, 나일론,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표면층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표면층에 존재하는 홀의 면적과, 제2 표면층에 존재하는 홀의 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의 밀도는 0.00001~0.005 g/mm3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005~0.001 g/mm3,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0.0005 g/mm3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2~0.0004g/mm3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점도가 10,000~70,000cP일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00~60,000cP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50,000 cP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0~40,000cP 일 수 있다.
상기 함침용 소재는, 흡수성이 뛰어나,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을 소재로 직접적으로 주입하지 않고서도,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용 소재의 흡수력에 기반하여 함침용 소재 내에 효과적으로 함침될 수 있다.
상기 함침용 소재에는 제1표면층 또는 제2표면층에 추가 막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실리콘, 큐프라, 텐셀 등의 방수원단을 도입하여 방수기능을 추가할 수 있고, 향균원단 또는 항균성을 띠는 부직포를 추가하여 향균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층의 원사의 밀도는, 표면층의 총 면적을 기준으로, 3~14개/mm2일 수 있다. 상기 원사의 밀도는 제1 표면층 또는 제2 표면층 중 하나의 표면층을 기준으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함침용 소재는, 상기 함침용 소재가 복수 개 적층된 다층 구조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함침용 소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화장품이다. 일 측면에서, 화장품은 로션, 젤, 크림,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에센스, 베이스,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자외선차단제, 스킨커버, 블러셔, 치크(cheek), 컨실러,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립틴트, 또는 액상립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로션은, 제한되지 않고, 밀크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또는 스킨 로션일 수 있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선밀크, 또는 선크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컨대, 본 발명의 화장품은, 쿠션 팩트, 쿠션 화장품 또는 쿠션 파운데이션이라는 이름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제조예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하기 제조예와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제조예] 화장료 함침용 소재의 제조
함침 소재는, 제1 표면층, 제2 표면층 및 지지층을 뽑아내는 노즐에 원사를 투입하고,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을 먼저 직물 짜임으로 제조하고, 지지층의 원사가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의 노드사이로 이동하여, 일체형의 구조를 제조 한 후, 열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열처리는 190도씨(℃)의 1800rpm의 열풍을 쐬어 실행하였고, 열처리 결과, 소재의 두께가 4.5T에서 3.5T로 변형되었다.
[실험예 1] 파열강도 측정
상기 제조예의 함침용 소재(소재 1이라고 함), 중간층의 원사가 제1 표면층에서 제2표면층으로 직선으로 연결된 구조의 함침용 소재(단, 원사의 밀도는 제조예의 함침용 소재와 동일함, 소재 2이라고 함), 중간층이 망상구조인 우레탄폼 스펀지(소재 3)를 이용하여, KS K ISO 13938에 의해 파열강도를 측정하였다.
샘플 소재 1 소재 2 소재 3
파열강도(kPa) 1192 270 232
그 결과, 본 발명의 함침용 소재가, 중간층이 직선으로 연결된 구조(소재 2)나, 중간층이 망상구조인 우레탄으로 제조된 소재(소재 3)에 비하여 파열 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마모도 테스트
실험예 1의 소재 1~3에 대하여, KS K ISO12947-2(2014, 마틴데일 마모도)와 스낵성 실험(KS K 0561:2016, D-2법)에 의해 내마모성을 측정하였다.
스낵성 실험은, 뾰족한 물체로 잡아당겼을 때, 올 뜯김(올 빠짐)에 대한 테스트로써, 결과값은 1~5등급으로 분류되고, 5급에 가까울수록 올 뜯김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한다.
샘플 소재 1 소재 2 소재 3
마틴데일 마모도 20,000회 이상 17,000회 16,000회
스낵성 4등급 2등급 측정불가
그 결과, 본 발명의 함침용 소재가, 중간층이 직선으로 연결된 구조(소재 2)나 망상구조의 우레탄 폼 소재(소재 3)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함침용 소재의 외력에 대한 저항력 테스트(회귀력 테스트)
소재 1에 대하여 KS K 0642(2013. 8.16. D법)에 의거하여 신장회복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원발명의 소재는 웨일방향의 신장회복률이 93.1%, 코스 방향의 신장회복률이 94%로서,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받더라도 원형으로의 회귀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화장료 조성물 흡수력 테스트
실험예 1 및 2를 통해 물리특성이 다른 소재에 비하여 열등한 소재 2를 제외하고, 본원발명의 함침용 소재와 일반적으로 함침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우레탄 폼 소재(소재 3)에 대하여 흡수성과 발수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흡수성은 KS K 0642(2015, A법)과, KS K 0642(2016, B법)에 의거하여 흡수량 및 흡수 거리에 대하여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발수성은 KS K ISO 4920(2014)에 의거하여 테스트하였다.
KS K 0642(2016, B법)은, 시편에 증류수를 떨어뜨린 후 퍼지기 시작하는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흡수거리 측정은, 증류수, 사이클로펜타실록산으로 조성된 화장료와, 증류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PEG-10 디메치콘이 혼합된 화장료에 대하여 각각 실험하였다.
KS K ISO 4920에 의해 측정된 발수도는, 0~5등급으로 나뉘고, 0등급에 가까울수록 시편에 액체가 다량 흡수되어 시편의 표면이 완전이 습윤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발수도가 높을수록 화장료 조성물의 흡수력과 담지력이 열등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샘플 소재 1 소재 3
KS K 0642(2015, A법) 0 측정불가(1시간 경과후에도 화장료가 전혀 퍼지지 않음)
KS K 0642(2015, B법) 증류수 웨일방향 55mm
코스방향 36mm
모든 방향 0mm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웨일방향 48mm
코스방향 30mm
모든 방향 0mm
정제수+사이클로펜타실록+PEG-10 디메치콘 웨일방향 44mm코스방향 21mm 모든 방향 0mm
KS K ISO 4920 0 ISO 4
그 결과, 본 발명의 함침용 소재가 화장료 조성물의 흡수력이 우수하여 화장료의 담지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토출 적정성 평가
토출 적정성은 함침용 소재에 함침되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퍼프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때, 퍼프에 적정량이 균일하게 묻어나는지 여부로 평가하였다. 소재 1~4의 함침용 소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동량(3.3g) 함침시킨 후, 여성 실험자 20명에 대하여 3가지 함침용 소재에 대하여 3번씩 반복 실험을 하고, 토출 적정성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균일하게 도포되는지 여부는 1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고, 도포의 균일성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또한, 적정량이 도포되는지 여부는 1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고, 지나치게 소량 도포되거나 과량 도포되는 등 도포량이 부적절한 경우 1점을 부여하고, 도포량이 적정할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샘플 소재 1 소재 2 소재 3
도포의 균일성 9 5 5.5
적정량 도포 여부 9.5 3 5
그 결과, 소재 1은 적정한 외력만으로도 화장료 조성물이 퍼프 상에 균일하게 도포(도 4)되었으나, 소재 2와 3은 작은 외력만으로도 과량이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퍼프의 중심부에 편향되어 도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퍼프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하여 과한 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험예 6] 내구성 평가
20명의 여성 시험자에 대하여, 소재 1과, 소재 2의 함침용 소재를 사용 후(퍼프를 이용하여 도포), 함침용 소재의 외관 변형여부를 확인하였다. 소재의 외관은, 함침용 소재의 원상회복력을 보이는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함침용 소재는 2000회 이상 사용하여도, 처음과 거의 유사한 형태를 유지하는데 반하여, 소재 2는, 1000회 정도의 사용시, 소재의 측면이 터지는 등의 소재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본원발명의 함침용 소재는 내구성이 우수하였고, 그에 반해 중간층이 직선으로 연결된 함침용 소재는 내구성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Claims (9)

  1.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material)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을 포함하며,
    상기 소재는, 제1 표면층; 제2 표면층; 및 제1 표면층과 제2 표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층과, 상기 제2 표면층은 각각 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면층과 상기 제2 표면층은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드(node)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은 복수의 원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층의 원사는 상기 제1 표면층의 제1 노드로부터 제2 표면층의 제2 노드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제1 표면층의 상기 제1 노드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제2 표면층의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원사는 복수의 제2 노드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소재는, 천연 섬유, 인조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의 소재는, 천연 섬유, 인조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층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홀(hole)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의 밀도는 0.0001~0.0005g/mm3인,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점도가 10,000~70,000cP,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원사의 밀도는, 표면층의 총 면적을 기준으로 3~14개/mm2인,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함침용 소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화장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로션, 크림,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에센스, 베이스,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자외선차단제, 스킨커버, 블러셔, 치크(cheek), 컨실러,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립틴트, 또는 액상립제품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90008988A 2017-07-20 2019-01-24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Active KR102377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196 2017-07-20
KR20170092196 2017-07-20
KR1020180084968A KR101943840B1 (ko) 2017-07-20 2018-07-20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68A Division KR101943840B1 (ko) 2017-07-20 2018-07-20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301A KR20190011301A (ko) 2019-02-01
KR102377492B1 true KR102377492B1 (ko) 2022-03-23

Family

ID=6501603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69A Active KR102085883B1 (ko) 2017-07-20 2018-07-20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KR1020180084968A Active KR101943840B1 (ko) 2017-07-20 2018-07-20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KR1020180085056A Active KR101945001B1 (ko) 2017-07-20 2018-07-20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90008988A Active KR102377492B1 (ko) 2017-07-20 2019-01-24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69A Active KR102085883B1 (ko) 2017-07-20 2018-07-20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KR1020180084968A Active KR101943840B1 (ko) 2017-07-20 2018-07-20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KR1020180085056A Active KR101945001B1 (ko) 2017-07-20 2018-07-20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40428A1 (ko)
JP (4) JP3224174U (ko)
KR (4) KR102085883B1 (ko)
CN (4) CN210841936U (ko)
TW (3) TWM581838U (ko)
WO (3) WO2019017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3840A (zh) * 2019-03-21 2020-09-29 高丽化妆用具有限公司 具有化妆料储存空间的化妆料载体
WO2021039127A1 (ja) * 2019-08-30 2021-03-04 株式会社タイキ 化粧料含浸用担体
CN114269199B (zh) * 2019-10-22 2025-04-08 株式会社黛怡茜 化妆品、液体化妆料用的垫以及液体化妆料含浸体
CN113491637B (zh) * 2020-04-03 2023-06-16 新生活化妆品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15316775A (zh) * 2022-07-05 2022-11-11 浙江雅颜生物科技有限公司 化妆品材料浸渍化妆产品及其制造方法
JP2025026414A (ja) * 2023-08-10 2025-02-21 花王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組成物
CN221533095U (zh) * 2023-09-25 2024-08-16 上海绵花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包覆式内芯及应用该包覆式内芯的气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8Y1 (ko) * 2005-08-24 2005-11-01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JP2005312765A (ja) * 2004-04-30 2005-11-10 Wa Ki Ltd クッション材
JP2010241758A (ja) * 2009-04-08 2010-10-28 Kao Corp 身体用ウエットシート化粧料
KR101323495B1 (ko) * 2012-06-08 2013-10-31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KR101368622B1 (ko) * 2012-10-04 2014-03-04 최재준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412A (ja) * 1993-05-07 1994-11-15 Marusan Sangyo Kk 化粧用パフの製造方法
JP2005021202A (ja) * 2003-06-30 2005-01-27 Unitika Tsusho Ltd 化粧用パフ
JP3999183B2 (ja) 2003-09-26 2007-10-31 憲司 中村 化粧用パフの製造方法
KR100549515B1 (ko) * 2004-01-02 2006-02-08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JP3782813B2 (ja) 2004-06-14 2006-06-07 株式会社白元 化粧用パッティング材
JP4592516B2 (ja) * 2005-06-29 2010-12-01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体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US20070138204A1 (en) * 2005-12-15 2007-06-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licator that is used to apply one or more materials to a surface
JP2008174864A (ja) 2007-01-18 2008-07-31 Kenji Nakamura 化粧綿
JP2008184711A (ja) 2007-01-30 2008-08-14 Asahi Kasei Home Products Kk クリーナー
JP2008183218A (ja) * 2007-01-30 2008-08-14 Asahi Kasei Home Products Kk クリーナー
FR2926821B1 (fr) * 2008-01-29 2010-04-02 Deschamps A & Fils Ets Structure tissee et panneau ou recipient comportant une telle structure
JP2009247805A (ja) 2008-04-10 2009-10-29 Asahi Kasei Home Products Kk クリーナー
DE102009025466A1 (de) * 2009-06-12 2010-12-16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biegeweichen Schnittkantenversiegelung von Abstandsgewirken
KR101257628B1 (ko) 2011-03-24 2013-04-2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270308B1 (ko) * 2011-06-17 2013-06-04 한국콜마주식회사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EP3782523B1 (en) * 2012-10-05 2025-02-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cleaning article
FR3004900B1 (fr) * 2013-04-29 2015-05-22 Oreal Dispositif d'applic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sur une surface corporelle, et procede de realisation associe
DE102013016501A1 (de) * 2013-10-02 2015-04-02 Jürgen Keppel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Abstandstextilien
KR101619128B1 (ko) * 2014-07-15 2016-05-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60110034A (ko) * 2015-03-09 2016-09-21 노예우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KR102399487B1 (ko) * 2015-04-06 2022-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609348B1 (ko) * 2015-10-21 2016-04-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70010458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함침 장치
US20180207066A1 (en) * 2015-07-30 2018-07-26 L'oreal Impregnated cosmetic article with fibers and screen net
JP6614679B2 (ja) * 2015-08-21 2019-12-04 株式会社タイキ 化粧品
KR101986296B1 (ko) * 2016-11-01 2019-09-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207041681U (zh) * 2016-12-02 2018-02-27 西安丁子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功能面膜
KR101805020B1 (ko) * 2017-01-19 2017-12-06 유군일 부직포형 함침재 제조방법
KR101906804B1 (ko) * 2017-05-04 2018-10-11 코스맥스 주식회사 액상 화장료 함침용 3차원 직물 함침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FR3068579B1 (fr) * 2017-07-07 2021-10-29 Oreal Article cosmetique
CN111263600B (zh) * 2017-10-20 2023-06-30 欧莱雅 美容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765A (ja) * 2004-04-30 2005-11-10 Wa Ki Ltd クッション材
KR200400088Y1 (ko) * 2005-08-24 2005-11-01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JP2010241758A (ja) * 2009-04-08 2010-10-28 Kao Corp 身体用ウエットシート化粧料
KR101323495B1 (ko) * 2012-06-08 2013-10-31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KR101368622B1 (ko) * 2012-10-04 2014-03-04 최재준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840B1 (ko) 2019-01-31
JP7016831B2 (ja) 2022-02-07
CN211407953U (zh) 2020-09-04
JP3227540U (ja) 2020-09-03
TWI686151B (zh) 2020-03-01
KR20190010496A (ko) 2019-01-30
JP2020011045A (ja) 2020-01-23
KR20190010495A (ko) 2019-01-30
CN210055027U (zh) 2020-02-14
WO2019017738A1 (ko) 2019-01-24
JP3224174U (ja) 2019-12-05
CN210841936U (zh) 2020-06-26
JP3227541U (ja) 2020-09-03
CN110731598A (zh) 2020-01-31
TWM593769U (zh) 2020-04-21
CN110731598B (zh) 2022-04-05
KR20190010501A (ko) 2019-01-30
TWM581838U (zh) 2019-08-11
TW202007306A (zh) 2020-02-16
KR20190011301A (ko) 2019-02-01
KR101945001B1 (ko) 2019-02-01
WO2019017742A1 (ko) 2019-01-24
US20230240428A1 (en) 2023-08-03
WO2019017737A1 (ko) 2019-01-24
KR102085883B1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492B1 (ko)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KR102324871B1 (ko)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JP6338613B2 (ja) 低粘度化粧料を含む化粧品
ES2239166T3 (es) Proceso para la fabricacion de productos de fibra de relleno que comprenden fibras discontinuas de tereftalato de polimetileno.
US4065599A (en) Spherical object useful as filler material
CN105814249B (zh) 保液片及面膜
CN1530060A (zh) 可膨胀的皮肤清洁工具
JP6385191B2 (ja) 薬液含浸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CN107475898A (zh) 一种水刺吸附护理材料及制作方法
KR101609348B1 (ko)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10012734A2 (en) Cosmetic product application device comprising kapok fibres and associated method
CN109068833A (zh) 用于面膜片的非织造片材
HK30065417A2 (zh) 化妆料组合物浸渍用材料
CN105671721A (zh) 一种羽绒制成的花式纱线及其双面绒裘片材
WO2019131793A1 (ja) 化粧料含浸用弾性体
US3923942A (en) Filler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RU2521302C2 (ru) Изделие для чистки кожи
JP2020143408A (ja) 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JPS5915539A (ja) 立毛製品の製造方法
JPWO2018092736A1 (ja) ナイロン混繊交絡糸、織編物、ナイロン混繊交絡糸の製造方法、及び積層生地
JP3097317B2 (ja) 立毛シート状物
CN109475215A (zh) 化妆品
DE102014015152A1 (de) Lederaustauschmaterial
KR101030314B1 (ko) 인공피혁
JPS591749A (ja) 保温性に富む立毛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72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8496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90124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