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0308B1 -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308B1
KR101270308B1 KR1020110059277A KR20110059277A KR101270308B1 KR 101270308 B1 KR101270308 B1 KR 101270308B1 KR 1020110059277 A KR1020110059277 A KR 1020110059277A KR 20110059277 A KR20110059277 A KR 20110059277A KR 101270308 B1 KR101270308 B1 KR 10127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orous
puff
cosmetic
impregn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465A (ko
Inventor
윤전윤
김희진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30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20~50 kg/㎥의 밀도를 가지는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을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 화장용 퍼프는 저점도의 리퀴드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여도 퍼프가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화장용 퍼프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함침시키면서 균일하게 배출할 수 있는 우수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화장용 퍼프는 저점도의 리퀴드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가벼운 느낌과 촉촉한 수분감을 부여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점도의 리퀴드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이 포함되어져 외부의 일정한 압력에도 충분한 탄성을 가지는 젤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화장료의 분리 및 무기산화물의 침강을 방지하여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THE POROUS PUFF FOR MAKE-UP AND COSMETIC COMPOSITION IMPREGANTED IN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상기 다공성 화장료 퍼프에 함침된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조 화장료 조성물중 파운데이션은 피부의 결점을 은폐하여 주고, 자연스러운 피부톤의 메이크업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색조 화장료이며, 크게 형태에 따라 파우더 파운데이션, 고형 파운데이션, 유성 파운데이션, 유화형 파운데이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파우더 파운데이션은 아름다운 마무리 화장과 피부색 보정을 위하여 착색 안료와 백색안료가 고형 백분보다 많이 배합되며, 착색안료와 무기안료가 경우에 따라 다른 비율로 배합된다. 적당히 윤을 내기 위하여 운모 티탄계의 펄안료 등도 사용되지만 다른 파운데이션에 비해 사용감이 건조하며, 피지에 의해 뭉칠 수 있으며, 화장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형 파운데이션은 물을 머금은 해면이나 스펀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청량 감 때문에 여름에 많이 이용된다. 젖은 스펀지로 사용한 경우, 크리미한 감촉을 내기 위하여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데, 이때 물과 섞여서 사용할 때에는 유화상태가 된다. 사용 감촉이 산뜻하고, 얇게 발라져서 상쾌한 마무리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물에 젖은 스펀지를 이용함으로 2차 오염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을 유발 할 수 있고, 피지 컨트롤 능력이 떨어진다.
유성 파운데이션은 콤팩트 타입과 스틱 타입으로 분류되며, 에몰리언트 효과가 높기 때문에 동절기에 주로 이용된다. 피부에 잘 펴발리고 부착성이 좋아서 화장이 잘 지워지지 않고 커버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나, 사용감이 무겁고 답답하다.
그리고 유화형 파운데이션은 촉촉한 사용감과 우수한 트리트먼트 기능으로, 파운데이션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점도의 리퀴드 타입과 달리 저점도의 리퀴드 타입은 가벼운 느낌과 촉촉한 수분감을 부여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낸다.
이들 유화형 파운데이션은 튜브나 펌프, 자(jar)타입 용기에 내용물을 담아 사용하고 있으나 휴대성이 떨어지고 소비자가 원하는 양을 정량적으로 토출하기 어려우며 손으로 직접 피부에 도포해야하므로 화장료가 손에 묻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고체형 파운데이션이나 유성 파운데이션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팩트 타입의 용기에 담기에는 상기 유화형 파운데이션의 점도가 매우 낮아 용기에 저장 자체가 어려워 팩트 타입의 제품에는 적용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발포형 탄성폼에 리퀴드 타입의 색조화장료를 함침하여 팩트 타입의 용기에 적용한 제품이 있으나 발포형 탄성폼은 색조화장료에 포함된 성분들에 의해 변성이 되거나 내용물의 토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실리콘 오일이나 극성이 높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같은 활성물질과 반응하여 퍼프가 부풀어 오르거나 녹아서 찢어지는 현상 등과 같이 내구성이 저하되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또한 발포 폼의 기공 사이즈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량과 안정성이 불균일하거나 큰 경우에는 함침된 내용물의 저장성이 떨어져 흘러내리고 너무 작은 경우에는 함침이 되지 않는다. 발포 폼의 탄성경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나 손으로 누를 시 일정한 압력에서 내용물의 토출이 어려우며 너무 낮은 경우에는 과량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의 변형이 없고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다공성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공성 화장용 퍼프는 20~50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화장용 퍼프는 20~100ppi의 기공사이즈를 갖는 오픈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화장용 퍼프는 25~50%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20~50 kg/㎥의 밀도를 가지는 다공성 화장용 퍼프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을 0.5~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은 사이클로펜타실로산/폴리실리콘-11/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및 비닐디메치콘/라우릴 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스쿠알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성성분 30.0~50.0 중량%, 유화제 1.0~5.0 중량%, 유성성분 20.0~50.0 중량%, 안료 1.0~20.0 중량%, 및 자외선 차단제 5.0~3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3000~120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공성 화장용 퍼프는 저점도의 리퀴드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여도 퍼프가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화장용 퍼프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함침시키면서 균일하게 배출할 수 있는 우수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화장용 퍼프는 저점도의 리퀴드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가벼운 느낌과 촉촉한 수분감을 부여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점도의 리퀴드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성분이 포함되어져 외부의 일정한 압력에도 충분한 탄성을 가지는 젤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화장료의 분리 및 무기산화물의 침강을 방지하여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기 전과 후의 화장용 퍼프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화장용 퍼프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20~50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다공성 탄성 퍼프는 20~50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45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탄성 퍼프의 밀도가 20 kg/㎥ 미만일 경우 퍼프의 질감이 거칠어 사용감이 좋지 못하며 50 kg/㎥ 초과인 경우 기공내에 포함된 화장료의 토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을 0.5~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상기 다공성 화장용 퍼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더라도 유연한 탄성을 가지는 젤 매트릭스를 형성시켜 지속적인 사용에도 제형의 안정성 및 무기 산화물의 침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은 사이클로펜타실로산/폴리실리콘-11/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및 비닐디메치콘/라우릴 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스쿠알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젤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어려워 다공성 퍼프에 함침될때 일정압력에 의해 제형의 분리 및 무기산화물의 침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피부에 도포시 내용물이 충분히 묻어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증가하여 다공성 퍼프에 함침되지 않거나 함침되더라도 화장료의 토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성성분 30.0~50.0 중량%, 유화제 1.0~5.0 중량%, 유성성분 20.0~50.0 중량%, 안료 1.0~20.0 중량%, 및 자외선 차단제 5.0~3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수성성분은 정제수,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성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에 영향을 미치며, 30.0 중량% 미만이거나 50.0 중량% 초과일 경우 제형의 안정도가 떨어지거나 퍼프에 화장료 조성물이 제대로 함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0디메치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제형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며, 유화제가 1.0 중량% 미만이거나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의 안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성성분은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아보카도유, 동백기름, 라우릴알코올, 로진, 면실유, 밍크유, 바세린,비타민 A유, 올리브유, 팔미틴산이소프로필, 피마자유, 젖산미리스틸,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 옥틸도데칸올, 월견초유, 초산토코페롤, 옥틸팔미테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호호바유, 메칠폴리실록산, 메칠페닐폴리실록산, 및 사이크로메치콘 등의 식물성 오일, 합성 에스테르, 탄화수소, 및 실리콘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성분은 안료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성성분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안료의 분산이 어렵고 점도가 높아질 수 있고, 50 중량% 초과일 경우 제형의 안정도와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실리카, 폴리메칠메타아크릴레이트, 칼슘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및 산화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커버력, 색상 표현력등이 떨어질 수 있고, 20 중량% 초과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사용감이 좋지 못하고 유화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및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5.0~3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의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다공성 탄성 퍼프는 20~50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45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탄성 퍼프의 밀도가 20 kg/㎥ 미만일 경우 퍼프의 질감이 거칠어 사용감이 좋지 못하며 50 kg/㎥ 초과인 경우 기공 내에 포함된 화장료의 토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안정제는 소듐클로라이드 및 마그네슘설페이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안정제는 W/O 또는 W/S 타입의 계면 막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상의 수상 성분이 어떠한 외부 환경에서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면 유사한 기능으로 무기 점증제인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수소결합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무기 점증제가 수상 성분을 고르게 잡아주어 제형 안정성을 좋게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3000~120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3000 CPS 미만일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용 퍼프 내에 함침되기 어렵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12000 CPS 초과일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화장용 퍼프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폴리에테르 우레탄 폼과 폴리에스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폼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우레탄 폼은 우수한 탄성력을 가지고,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높으며, 산과 알칼리에 강하여 O/W형 저점도 색조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하다.
상기 폴리에스터 우레탄 폼은 폴리에테르 우레탄 폼에 비하여 인장강도, 경도, 신율이 높고 난연성이 우수하고, 내화학,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쉽게 산화에 강한 반면 가수분해하는 성질이 있다. W/O 또는 W/S타입의 저점도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외상의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 상이 내상의 수상 성분을 감싸고 있어 상기 폴리에스터 우레탄 폼을 변형시킬 염려가 적어 화장료를 함침시키기에 적합할 수 있다.
또 다른 다공성 탄성 퍼프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폴리머(NBR)는 발포된 기공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과량의 무기 안료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시 함침 속도가 느리고 함침 후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도 내용물이 잘 빠져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극성이 높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오일이 함유되는 경우 탄성 퍼프와 반응하여 팽윤되거나 부서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오픈셀 구조의 다공성 탄성 퍼프는 20~100 ppi의 기공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80 ppi의 기공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탄성 퍼프의 기공 크기가 20 ppi미만인 경우에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후 흐를 수 있어 화장료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100 ppi초과인 경우에는 화장료의 함침이 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다공성 우레탄 퍼프는 25~50%의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45%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우레탄 퍼프의 탄성이 25% 미만일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과도하게 토출되고 퍼프의 지지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우레탄 퍼프의 탄성이 50%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공성 우레탄 퍼프에서 화장료의 토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1
아래 표 1과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저점도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유상성분 자외선 차단제 1.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0 3.0 3.0 3.0 3.0
유성 성분 2.에스터 오일 7.0 7.0 7.0 7.0 7.0
3.실리콘 유화제 3.0 3.0 3.0 3.0 3.0
4.실리콘 오일 25.0 25.0 25.0 25.0 25.0
무기 점증제 5.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8 0.8 0.8 0.8 0.8
6.무기 분체 19.0 19.0 19.0 19.0 19.0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7.싸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 0.5 1.0 2.0 -
8.사이클로펜타실록산/폴리실리콘-11/디메치콘 - - - - 2.0
수상성분 9.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유화 안정제 10.소듐 클로라이드 0.5 0.5 0.5 0.5 0.5
보습제 11.1,3-부틸렌글리콜 6.0 6.0 6.0 6.0 6.0
방부제 12.페녹시 에탄올 0.3 0.3 0.3 0.3 0.3
13.향료 0.4 0.4 0.4 0.4 0.4
(1)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스터 오일, 및실리콘 유화제를 균일하게 혼합시켜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2) 실리콘 오일과 무기 점증제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상기 혼합물에 넣은 후 혼합, 분산시켰다.
(3) 상기 실리콘 오일과 무기 점증제가 포함된 혼합물에 무기 분체 및 향료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유상성분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4) 별도의 용기에 수상 성분들을 혼합하여 수상성분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5) 상기 수상성분 혼합물을 상기 유상성분 혼합물에 천천히 투입하고 울트라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켜 저점도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실시예 2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다공성 우레탄 퍼프를 제조하였다.
(1) 물, 아민 촉매, 및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20분 동안 충분히 믹싱하여 아민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2)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스터 폴리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폴리올과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하였다.
(3) 상기 폴리올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에 상기 아민 혼합물을 첨가하여 24~26℃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3,500 RPM으로 혼합하고, 발포하였다.
(3) 송풍설비를 가동하여 상기 발포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의해 만들어진 다공성 우레탄 퍼프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켜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시험예 1. 다공성 우레탄 퍼프의 변형 안정도 실험
다공성 우레탄 퍼프에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구성 원료에 포함되는 에스터 오일,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휘발성 실리콘 오일 각각을 함침시켜 80℃에서 20분간 유지한 후 다공성 우레탄 퍼프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상기 다공성 우레탄 퍼프의 변형 결과를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폴리에테르 우레탄폼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폼 NBR 폼
에스터 오일 5% 0% 9.5%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9.0% 0% 42.8%
휘발성 실리콘 오일 0% 0% 0%
상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 및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함침된 상기 폴리에테르 폼, 폴리에스테르 폼, NBR 폼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폼이 가장 변형이 없고 저장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에테르 폼은 에스터 오일과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서 약간 변형되었으며 NBR 폼이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서 가장 심한 변형을 일으켰다.
시험예 2. 다공성 탄성 우레탄 퍼프의 내수성 실험
다공성 탄성 우레탄 퍼프가 가수분해되는 특성을 평가하고자 10%농도의 가성소다, 염산, 및 질산에 폴리에테르 폼과 폴리에스터 폼을 7일간 상온에서 함침시킨 후 상기 함침된 폴리에테르 폼과 상기 폴리에스터 폼을 자연건조하였다.
상기 우레탄 폼들의 인장시편에 인장력을 가하여 힘을 증가시킬 때 파단점에서의 하중을 인장시편의 파단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측정하여 파단점에서 인장시편이 늘어난 총 길이에서 인장시편의 원래 길이를 뺀 다음 이 값을 원래의 인장시편 길이를 나눈 백분율 값인 신율을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폴리에테르 우레탄 폼 폴리에스터 우레탄 폼
10% 가성소다 100 % 붕괴
10% 염산 94 % 붕괴
10% 질산 85 % 붕괴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에테르 폼의 경우 가수분해에 대하여 안정적이나 폴리에스터 폼은 붕괴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다공성 탄성 우레탄 퍼프의 저장 안정성 실험
다공성 탄성 우레탄 퍼프의 저장 안정성에 대한 특성을 평가하고자 표 1의 조성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에 상기 우레탄 퍼프를 함침시켜 화장품 용기에 담았다. 상기 화장품 용기를 90도로 기울여 내용물이 흘러나오는지 여부 및 상기 화장품 용기를 1미터 높이에서 낙하하였을 때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기공 사이즈(ppi) 90도 정치 1미터 낙하
20 흘러나옴 많이 흘러나옴
45 양호 약간 흘러나옴
60 양호 양호
80 양호 양호
100 함침안됨 함침안됨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공의 사이즈가 20ppi인 경우 90도로 기울여 놓으면 용기에 담긴 화장료 조성물이 흘러나오며, 낙하시에도 화장료 조성물이 흘러나와 저장 안정성이 좋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00 ppi의 경우 내용물의 함침이 매우 어려워 평가가 불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퍼프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 및 선호도 실험
다공성 탄성 우레탄 퍼프가 함침된 저점도 화장료를 손이나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할때 일반인의 선호도 및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일주일간 화장하도록 한 후 평가하였다.
아래 표 5 및 표 6은 상기 다공성 탄성 우레탄 퍼프의 밀도 및 탄성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 및 일반인의 선호도를 나타낸 표이다.
토출량 선호도

밀도
(kg/㎥)
10 3.5 5
25 1.8 10
45 0 80
60 -2.1 5
100 -3.0 0
많은 정도: 1~5, 0: 양호함, 적은 정도: -1~-5 100
토출량 선호도

반발탄성
(%)
10 4.2 5
30 0 95
50 -2.3 0
70 -4.7 0
많은 정도: 1~5, 0: 양호함, 적은 정도: -1~-5 100
상기 표 6에 나타난 탄성은 JIS K 6401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밀도는 45 kg/㎥, 탄성은 30% 일때 토출량이 가장 적당하며 우수한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5. 다공성 우레탄 퍼프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의 반복 압력에 따른 저장 안정성 실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우레탄 퍼프를 손이나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누를때 제형의 분리 및 무기 산화물 분체의 분리 정도를 평가하고자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라 만들어진 저점도 리퀴드타입 화장료를 직경 42mm, 두께6.5mm의 다공성 우레탄 퍼프에 각각 6g을 함침시킨 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4주일간 매일 반복하여 실험 후 아래 표 7과 같이 화장료의 분리 및 무기 산화물 분체의 침강 정도를 육안관찰하고, 수분감을 비교 평가하였다.
1. 화장료가 함침된 다공성 우레탄 퍼프를 동일한 압으로 10회 반복하여 누른다.
2. 25℃ 항온조에서 24시간 보관한다.
3. 보관된 시료를 꺼내어 동일한 압력으로 10회 반복하여 누른다.
4. 25℃ 항온조에서 24시간 보관한다.
아래 표 7은 상기 다공성 우레탄 퍼프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의 반복 압력에 따른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 표이다.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안정성
1일
3일
5일
7일
2주일 X
3주일 X X
4주일 X X

사용감
1일 5 5 5 5 4
3일 5 5 5 5 4
5일 4 5 5 5 4
7일 3 4 5 5 4
2주일 1 4 5 5 4
3주일 1 2 4 4 3
4주일 1 2 3 4 3
안정성 평가 기준 (○ : 양호, △ : 불안정, X : 분리)
사용감 평가 기준 ( 1~5점으로 나타내며, 5점이 가장 우수)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 반복적인 압력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우레탄 퍼프가 7일째부터 불안정함을 나타내었으며 2주일째는 조성물의 분리 및 무기 산화물 분체의 침강이 일어났다.
또한 수분감이 저하되어 파우더리한 느낌이 강해지고 사용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이 포함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반복적인 압력을 가해도 화장료 조성물 내에 포함된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이 적당한 탄성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무기 산화물 분체의 침강을 방지하고 우수한 저장 안정성 경향을 보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잇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공성 화장용 퍼프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퍼프는 20 ~ 50 kg/㎥의 밀도를 갖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을 0.5 ~ 5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젤 성분은 사이클로펜타실로산/폴리실리콘-11/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및 비닐디메치콘/라우릴 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스쿠알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성성분 30.0~50.0 중량%, 유화제 1.0~5.0 중량%, 유성성분 20.0~50.0 중량%, 안료 1.0~20.0 중량%, 및 자외선 차단제 5.0~3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3000~120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59277A 2011-06-17 2011-06-17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127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277A KR101270308B1 (ko) 2011-06-17 2011-06-17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277A KR101270308B1 (ko) 2011-06-17 2011-06-17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465A KR20120139465A (ko) 2012-12-27
KR101270308B1 true KR101270308B1 (ko) 2013-06-04

Family

ID=4790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277A Active KR101270308B1 (ko) 2011-06-17 2011-06-17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3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413A1 (ko) * 2015-05-18 2016-1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지닌 탄력망 화장품
WO2018152696A1 (en) * 2017-02-22 2018-08-30 L'oreal Multiple-compartment storing and packaging device
CN109640941A (zh) * 2016-06-13 2019-04-16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无气味且高度稳定的化妆品组合物
KR20190062947A (ko) * 2017-11-29 2019-06-07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89B1 (ko) * 2013-08-27 2019-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00300B1 (ko) * 2013-08-27 2019-07-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630841B1 (ko) 2014-07-31 2016-06-16 한국콜마주식회사 다공성 폼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323104B1 (ko) * 2015-06-30 2021-11-10 (주)아모레퍼시픽 스펀지형태의 도포부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품
KR102529579B1 (ko) * 2015-09-30 2023-05-09 (주)아모레퍼시픽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917217B1 (ko) * 2016-03-14 2018-1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WO2019017737A1 (ko) * 2017-07-20 2019-01-24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JP2019208745A (ja) * 2018-06-01 2019-12-12 ジェイエルコンビ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化粧用パフ
KR102168965B1 (ko) 2019-12-16 2020-10-22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퍼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457A (ja) * 2001-07-06 2003-01-15 Pola Chem Ind Inc 含浸化粧料
KR200375837Y1 (ko) * 2004-11-22 2005-03-11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용 저반발 퍼프
US20060019571A1 (en) 2004-07-09 2006-01-26 Rainer Lange Absorbent personal care and/or cleansing product for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applica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absorbent sheet
KR20090100643A (ko) * 2008-03-20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457A (ja) * 2001-07-06 2003-01-15 Pola Chem Ind Inc 含浸化粧料
US20060019571A1 (en) 2004-07-09 2006-01-26 Rainer Lange Absorbent personal care and/or cleansing product for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applica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absorbent sheet
KR200375837Y1 (ko) * 2004-11-22 2005-03-11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용 저반발 퍼프
KR20090100643A (ko) * 2008-03-20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413A1 (ko) * 2015-05-18 2016-1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지닌 탄력망 화장품
CN109640941A (zh) * 2016-06-13 2019-04-16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无气味且高度稳定的化妆品组合物
WO2018152696A1 (en) * 2017-02-22 2018-08-30 L'oreal Multiple-compartment storing and packaging device
KR20190062947A (ko) * 2017-11-29 2019-06-07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3836B1 (ko) 2017-11-29 2022-11-04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465A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08B1 (ko)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KR101257628B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BE1004871A4 (fr) Utilisation, dans la preparation de poudres pour le maquillage ou les soins du corps ou du visage, d'un materiau synthetique thermoplastique sous la forme de microspheres creuses de faible densite, et compositions sous forme de poudre non compactee en contenant un tel materiau.
KR101158281B1 (ko) 수분 순간 방출형 고함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432384A2 (de) Selbstschäumende, schaumförmige, nachschäumende oder schäumbar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eungen mit einem gehalt an wachsen bzw. bei raumtemperatur festen und/oder halbfesten lipiden
EP3449896B1 (en) Oil-in-water solid cosmetic
EP2694162B1 (de) Aerosolzubereitungen mit silikon gums und speziellen kohlenwasserstoff-gemischen
TW201249470A (en) Solid cosmetic
KR102587335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2042159B1 (en) Agent for improving fine wrinkles
JP6026237B2 (ja) 固形粉末化粧料
US20040005340A1 (en) Aqueous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orous silica particles and at least one humectant
JP6799490B2 (ja) エアゾール型化粧料
DE102005047370A1 (de) Schweißhemmendes Aerosol-Produkt
KR20190037454A (ko) 프라이밍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023162A1 (en) Emulsifying composition comprising a water-in-oil emulsifier and a cyclodextrin of selected particle size, capable of providing an oil-in-water emulsion with improved sensory effects for cosmetic use
CN114845690B (zh) 粉末固体化妆品的制造方法
JP7456866B2 (ja) エアゾール化粧料
JP3665800B2 (ja) ゲル状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20190033741A (ko) 유화 분리 방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침시킨 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6163340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その使用方法
JP6794096B2 (ja) 粉末化粧料
KR20170007589A (ko)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6772A (ko) 팩용 조성물
KR102032785B1 (ko) 불소계 오일상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