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59817B1 - 마스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마스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817B1
KR102359817B1 KR1020200014693A KR20200014693A KR102359817B1 KR 102359817 B1 KR102359817 B1 KR 102359817B1 KR 1020200014693 A KR1020200014693 A KR 1020200014693A KR 20200014693 A KR20200014693 A KR 20200014693A KR 102359817 B1 KR102359817 B1 KR 102359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protrusion
carriage
central portion
disp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843A (ko
Inventor
나기업
강동연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81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8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캐리지와 운전석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트 바디를 포함하는 마스트 어셈블리는, 상기 마스트 바디에 지지되며 상기 캐리지 보다 상기 마스트 바디와 인접한 일영역이 상기 마스트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 바디와 인접한 일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제2 일단 돌출부와 상기 캐리지와 인접한 타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제2 타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트와 상기 제1 마스트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마스트, 그리고 상기 마스트 바디와 인접한 일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제3 일단 돌출부와 상기 제3 일단 돌출부와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3 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중심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일단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마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트 어셈블리{MAST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차량의 포크 및 이가 설치되는 캐리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마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트 어셈블리는 캐리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마스트 어셈블리는 복수의 마스트들이 서로 신축되며 캐리지 및 포크의 높이 조절을 안내하여 포크 상에 위치하는 하물을 원하는 곳에 적재 또는 하역하도록 한다.
종래의 마스트 어셈블리는 복수의 마스트들이 서로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배치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마스트의 전체의 폭만큼 운전석 내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
복수의 마스트가 2개인 2단 마스트의 경우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은 해소할 수 있으나, 포크 및 캐리지의 높이 조절을 안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3단 이상의 마스트가 배치된 경우 마스트의 폭이 커져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석에 탑승한 작업자의 시야를 향상시키는 마스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캐리지와 운전석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트 바디를 포함하는 마스트 어셈블리는, 상기 마스트 바디에 지지되며 상기 캐리지 보다 상기 마스트 바디와 인접한 일영역이 상기 마스트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 바디와 인접한 일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제2 일단 돌출부와 상기 캐리지와 인접한 타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제2 타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트와 상기 제1 마스트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마스트, 그리고 상기 마스트 바디와 인접한 일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제3 일단 돌출부와 상기 제3 일단 돌출부와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3 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중심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일단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마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마스트의 타단은 상기 제2 타단 돌출부 보다 상기 캐리지와 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스트는, 상기 제1 돌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단이 연장 형성된 제1 일단부와, 상기 캐리지와 인접한 타단이 상기 마스트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타단 돌출부, 및 상기 제1 일단부와 상기 제1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 타단 돌출부를 연결하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중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마스트는 상기 제3 중심부와 연결되는 타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3 타단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스트는 상기 제2 일단 돌출부와 상기 제2 타단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중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단 돌출부는 상기 제1 중심부와 상기 제2 중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스트는 상기 제1 돌출부 중 상기 제3 일단 돌출부와 상기 제3 중심부와 연결되는 영역과 인접한 일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 상에 상기 경사 영역과 연결되는 영역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트 어셈블리는 운전석에 탑승한 작업자의 시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는 컴팩트한 설치구조 및 강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산업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왼쪽에 도시된 왼쪽 마스트는 도 1의 상부 평면도를 나타내며, 오른쪽에 도시된 오른쪽 마스트는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의 일부영역이 삭제된 형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제1 마스트와 제2 마스트 그리고 제3 마스트를 포함하는 A영역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B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101)를 설명한다.
마스트 어셈블리(10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30)과 캐리지(2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산업차량(10)은 마스트 어셈블리(101)와 운전석(30) 그리고 캐리지(20)를 포함한다. 운전석(30)은 작업자가 탑승하며 산업차량(10)을 조작하는 공간인다. 또한, 캐리지(20)는 포크를 지지하며, 한 쌍의 포크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하물이 올려진 포크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트 어셈블리(101)는 캐리지(20)가 운전석(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마스트 어셈블리(10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20)와 운전석(30)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트 바디(100)를 포함한다. 마스트 바디(100)는 마스트 어셈블리(101)가 운전석(30) 또는 차체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 역할을 한다.
마스트 바디(100)는 운전석(3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바디(120)와 메인 바디(120)의 양단과 연결되며 캐리지(20)를 향해 돌출 형성된 보조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 바디(120)는 캐리지(20)의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보조 바디(110)는 캐리지(20)를 향해 캐리지(20)의 폭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바디(120)와 보조 바디(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운전석(30)의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보조 바디(110)와 일단이 메인 바디(120)의 양단과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메인 바디(120)와 수직한 방향으로 캐리지(20)를 향해 연장 배치된 보조 바디(110)가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마스트 어셈블리(101)는, 제1 마스트(210)와 제2 마스트(220) 그리고 제3 마스트(230)의 단면을 나타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13)를 포함하는 제1 마스트(210)와, 제2 일단 돌출부(221)와 제2 타단 돌출부(222)를 포함하는 제2 마스트(220), 그리고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제3 중심부(234)를 포함하는 제3 마스트(230)를 포함한다.
제1 마스트(210)는 마스트 바디(100)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제1 마스트(210)는 보조 바디(110)에 지지된다. 제1 마스트(210)는 운전석(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캐리지(20)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즉, 제1 마스트(210)는 운전석(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13)는 캐리지(20) 보다 마스트 바디(100)와 인접한 일영역이 마스트 바디(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13)는 보조 바디(110)에 지지된 제1 마스트(210) 중 캐리지(20) 보다 메인 바디(1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일영역이 보조 바디(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213)의 돌출방향은 메인 바디(120)와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213)는 제1 마스트(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마스트(210)는 마스트 어셈블리(101) 중 마스트 바디(100)에 지지되는 최외각 마스트일 수 있다.
제2 마스트(220)는 제2 일단 돌출부(221)와 제2 타단 돌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마스트(220)는 제1 마스트(210)와 제1 마스트(210)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마스트(220)는 메인 바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마스트(21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일단 돌출부(221)는 마스트 바디(100)와 인접한 일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일단 돌출부(221)는 캐리지(20) 보다 메인 바디(1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2 마스트(220)의 일단이 메인 바디(120)와 나란한 방향의 폭 방향으로 일단의 양측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타단 돌출부(222)는 캐리지(20)와 인접한 타단이 폭 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타단 돌출부(222)는 메인 바디(120) 보다 캐리지(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2 마스트(220)의 타단이 메인 바디(120)와 나란한 방향의 폭 방향으로 타단의 양측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마스트(230)는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제3 중심부(234)를 포함한다. 제3 일단 돌출부(231)는 캐리지(20) 보다 마스트 바디(100)와 인접한 일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일단 돌출부(231)는 캐리지(20) 보다 메인 바디(1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3 마스트(230)의 일단이 메인 바디(120)와 나란한 방향의 폭 방향으로 일단의 양측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중심부(234)는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중심부(234)는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연결되며, 메인 바디(120)와 캐리지(20) 사이에 보조 바디(110)와 나란한 방향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마스트(230)의 제3 중심부(234)는 제1 돌출부(213)와 제2 일단 돌출부(221)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3 마스트(230)의 제3 일단 돌출부(231)는 제1 돌출부(213)와 제2 일단 돌출부(221) 보다 상대적으로 메인 바디(1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중심부(234)는 제2 일단 돌출부(221) 중 제1 돌출부(213)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영역의 돌출부와 제1 돌출부(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일단 돌출부(231)의 양측 돌출부 중 일측은 제1 돌출부(213)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3 일단 돌출부(231)의 양측 돌출부 중 타측은 제2 일단 돌출부(221) 중 제1 돌출부(213)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영역의 돌출부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마스트(230)의 일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연결되는 제3 중심부(234)가 제1 돌출부(213)와 제2 일단 돌출부(221)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제3 마스트(230)의 설치영역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차량(10)은 종래에 비해 제3 마스트(230)의 설치영역이 불필요하여, 운전석(30) 내에 탑승한 작업자의 시야가 종래의 마스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산업차량에 비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213)가 보조 바디(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어, 제1 마스트(2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마스트(230)의 타단은 제2 마스트(220)의 제2 타단 돌출부(222) 보다 캐리지(20)와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마스트(230) 중 메인 바디(120) 보다 캐리지(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3 마스트(230)의 타단은 제2 타단 돌출부(222) 보다 캐리지(20)와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마스트(230)의 타단 보다 제2 타단 돌출부(222)가 캐리지(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마스트(230)는 제1 마스트(210)와 제2 마스트(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어, 제3 마스트(230)의 설치공간이 별도로 불필요하여 운전석(30) 내에 탑승한 작업자가 마스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야방해로 인한 불편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101)의 제1 마스트(210)는 제1 일단부(211)와 제1 타단 돌출부(212) 그리고 제1 중심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일단부(211)는 제1 돌출부(21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마스트(210)의 일단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마스트(210)의 제1 일단부(211)는 제1 마스트(210)의 메인 바디(120)와 가장 인접한 일단이 메인 바디(120)를 향해 보조 바디(110)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일단부(211)는 제1 돌출부(213) 보다 메인 바디(1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타단 돌출부(212)는 캐리지(20)와 인접한 타단이 마스트 바디(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타단 돌출부(212)는 메인 바디(120) 보다 캐리지(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1 마스트(210)의 타단이 보조 바디(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타단 돌출부(222)는 제1 돌출부(213)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심부(214)는 제1 일단부(211)와 제1 돌출부(213) 그리고 제1 타단 돌출부(212)를 연결하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일단부(211)와 제1 타단 돌출부(212) 사이에 제1 돌출부(213)가 배치되고, 제1 중심부(214)는 제1 일단부(211) 부다 제1 돌출부(213) 그리고 제1 타단 돌출부(212)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일단부(211)와 제1 타단 돌출부(212) 사이의 제1 중심부(214)의 일영역이 마스트 바디(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제1 돌출부(213)일 수 있다.
제1 타단 돌출부(212)와 제1 돌출부(213)는 제1 마스트(210)의 폭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며, 제3 마스트(230)와의 폭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101)의 제3 마스트(230)는 제3 타단 돌출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타단 돌출부(232)는 캐리지(20)와 인접한 제3 마스트(230)의 타단의 양측이 폭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타단 돌출부(232)는 메인 바디(120) 보다 캐리지(2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3 마스트(230)의 타단의 양측이 제1 마스트(210) 및 제2 마스트(220)를 향해 폭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타단 돌출부(232)는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제3 중심부(234)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3 마스트(230)는 단면이 약"I"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101)의 제2 마스트(220)는 제2 중심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심부(224)는 제2 마스트(220)의 제2 일단 돌출부(221)와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중심부(224)는 제3 중심부(234) 또는 제1 중심부(214)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중심부(224)는 제2 일단 돌출부(221)와 제2 타단 돌출부(222)를 연결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일단 돌출부(221)와 연결되는 제2 중심부(224)의 일단과 제2 타단 돌출부(222)와 연결되는 제2 중심부(224)의 타단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중심부(224)의 중심부 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폭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일단 돌출부(221)와 제2 타단 돌출부(222)와 연결되는 제2 중심부(224)의 강도 및 제2 마스트(220)의 전체적인 강도 향상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부의 형상은 제3 마스트(230)의 제3 중심부(234)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마스트(220)는 제3 마스트(230)와 동일한 단면이 약"I"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타단 돌출부(232)는 제1 중심부(214)와 제2 중심부(2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타단 돌출부(232)는 제1 중심부(214)와 제2 중심부(224) 사이에 배치되어, 제3 마스트(230)의 제3 타단 돌출부(232)가 제1 타단 돌출부(212)와 제2 타단 돌출부(222) 보다 캐리지(20)와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타단 돌출부(232)의 양측 돌출부 중 일측은 제1 타단 돌출부(212)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3 타단 돌출부(232)의 양측 돌출부 중 타측은 제2 타단 돌출부(222) 중 제1 타단 돌출부(212)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영역의 돌출부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중심부(214)와 제2 중심부(224) 사이의 이격된 공간 상에 제3 타단 돌출부(23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타단 돌출부(212)와 제2 타단 돌출부(222) 중 제1 타단 돌출부(212)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영역의 돌출부는 서로 일영역이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마스트(230) 중 제3 타단 돌출부(232)가 제1 중심부(214)와 제2 중심부(2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어, 제3 마스트(230)가 컴팩하게 설치될 수 있어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101)의 제1 마스트(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영역(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영역(215)은 제1 돌출부(213) 중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제3 중심부(234)와 연결되는 영역과 인접한 일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 영역(215)은 제1 돌출부(213) 중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제3 중심부(234)가 연결되는 영역과 마주하는 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제3 중심부(234)가 연결되는 영역과 마주하는 제1 돌출부(213)의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제3 중심부(234)가 연결되는 영역과 마주하는 제1 돌출부(213)의 모서리에 Chamfer형의 경사 영역(21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213)에 경사 영역(215)이 형성되어 있어,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제3 중심부(234)가 연결되는 영역과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213)에는 경사 영역(215)이 형성되어 있어, 제3 마스트(230)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 제1 돌출부(213)와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제3 중심부(234)가 연결되는 영역 사이의 간섭 및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101)의 제1 마스트(2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 영역(2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 영역(216)은 경사 영역(215)과 연결되는 제1 돌출부(2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13) 상에 형성된 경사 영역(215)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제1 돌출부(213)와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곡면 영역(216)은 경사 영역(215)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일단 돌출부(231)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돌출부(213)의 일면과 경사 영역(215) 중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일단 사이는 곡면으로 부드럽게(Smooth)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중심부(234)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돌출부(213)의 다른 일면과 경사 영역(215) 중 제3 중심부(234)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타단 사이는 곡면으로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곡면 영역(216)은 경사 영역(215)이 형성되는 제1 돌출부(213)와 이웃하는 면 사이의 연결을 매끄럽게 하여 제3 마스트(230)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 제1 돌출부(213)와 제3 일단 돌출부(231)와 제3 중심부(234)가 연결되는 영역 사이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101)의 동작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101)는 제1 베어링(51)과 제2 베어링(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어링(51)은 제3 마스트(230)와 제1 마스트(210) 사이에 배치되어, 제3 마스트(230)가 제1 마스트(21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 베어링(51)은 제1 마스트(210)의 높이방향으로 제3 마스트(230)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도록 제3 마스트(2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베어링(52)은 제2 마스트(220)와 제3 마스트(23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마스트(220)가 제2 마스트(220)의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제2 베어링(52)은 제3 마스트(230)의 높이방향으로 제2 마스트(220)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도록 제2 마스트(2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2 상부 평면도 상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13)는 제1 베어링(51)의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제1 마스트(2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나 제1 마스트(21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마스트(210)의 높이방향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제1 돌출부(213)의 제1 마스트(210)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일부 절단하여 제1 베어링(51)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상부 평면도 상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타단 돌출부(232) 중 제2 마스트(220)의 제2 타단 돌출부(222)와 나란한 제3 타단 돌출부(232)의 타단은 제2 베어링(52)의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제3 마스트(230)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나 제3 마스트(23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3 마스트(230)의 높이방향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제3 타단 돌출부(232) 중 제3 타단 돌출부(232)의 타단은 제3 마스트(230)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일부 절단하여 제2 베어링(52)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20)를 지지하는 일단에는 캐리지 베어링이 설치되어 제2 마스트(220)의 높이방향으로 캐리지(20)가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캐리지 베어링은 캐리지(20) 지지부와 제2 마스트(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어셈블리(101)는 상술한 제1 마스트(210)와 제2 마스트(220)와 제3 마스트(230)와 제1 베어링(51)과 제2 베어링(52) 그리고 캐리지 베어링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메인 바디(120)의 수직한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마스트(230)와 제2 마스트(220) 그리고 캐리지(20)의 높이 조절은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마스트(210)와 제2 마스트(220) 그리고 제3 마스트(230)의 폭의 길이만큼 운전석(30) 내의 위치하는 작업자의 시야는 가려지게 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마스트(230)가 제1 마스트(210)와 제2 마스트(220) 사이의 공간상에 컴팩트하게 설치되어 종래에 비해 제3 마스트를 삭제한 경우와 비슷한 시야를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산업차량 20: 캐리지
30: 운전석
100: 마스트 바디 101: 마스트 어셈블리
210: 제1 마스트 211: 제1 일단부
212: 제1 타단 돌출부 213: 제1 돌출부
214: 제1 중심부 215: 경사 영역
216: 곡면 영역
220: 제2 마스트 221: 제2 일단 돌출부
222: 제2 타단 돌출부 224: 제2 중심부
230: 제3 마스트 231: 제3 일단 돌출부
232: 제3 타단 돌출부 234: 제3 중심부

Claims (6)

  1. 캐리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캐리지와 운전석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트 바디를 포함하는 마스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바디에 지지되며, 상기 캐리지 보다 상기 마스트 바디와 인접한 일영역이 상기 마스트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마스트;
    상기 마스트 바디와 인접한 일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제2 일단 돌출부와 상기 캐리지와 인접한 타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제2 타단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트와 상기 제1 마스트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마스트; 및
    상기 마스트 바디와 인접한 일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제3 일단 돌출부와 상기 제3 일단 돌출부와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3 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중심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일단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트는,
    상기 제1 돌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단이 연장 형성된 제1 일단부;
    상기 캐리지와 인접한 타단이 상기 마스트 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타단 돌출부; 및
    상기 제1 일단부와 상기 제1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 타단 돌출부를 연결하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중심부
    를 더 포함하는 마스트 어셈블리.
  2. 제1항에서,
    상기 제3 마스트의 타단은 상기 제2 타단 돌출부 보다 상기 캐리지와 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트 어셈블리.
  3. 삭제
  4. 제2항에서,
    상기 제3 마스트는 상기 제3 중심부와 연결되는 타단이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3 타단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스트는 상기 제2 일단 돌출부와 상기 제2 타단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중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타단 돌출부는 상기 제1 중심부와 상기 제2 중심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트 어셈블리.
  5. 제1항에서,
    상기 제1 마스트는 상기 제1 돌출부 중 상기 제3 일단 돌출부와 상기 제3 중심부와 연결되는 영역과 인접한 일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영역을 더 포함하는 마스트 어셈블리.
  6. 제5항에서,
    상기 제1 돌출부 상에 상기 경사 영역과 연결되는 영역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트 어셈블리.
KR1020200014693A 2020-02-07 2020-02-07 마스트 어셈블리 Active KR102359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93A KR102359817B1 (ko) 2020-02-07 2020-02-07 마스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93A KR102359817B1 (ko) 2020-02-07 2020-02-07 마스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43A KR20210100843A (ko) 2021-08-18
KR102359817B1 true KR102359817B1 (ko) 2022-02-08

Family

ID=7746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693A Active KR102359817B1 (ko) 2020-02-07 2020-02-07 마스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8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8050A1 (de) 1994-08-01 1996-02-15 Murata Machinery Ltd Schlittenhebevorrichtung
US20090292427A1 (en) 2008-05-26 2009-11-26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load weight measuring device for a multi-stage mast forklift truck
WO2014120735A1 (en) * 2013-02-04 2014-08-0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ast assembly with improved operator visibility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20170073203A1 (en) * 2015-09-16 2017-03-16 Hyster-Yale Materials Handling Group, Inc. Forklift trucks and masts therefo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4050A (en) * 1997-05-29 1999-11-16 The Raymond Corporation Carriage suspension for lift truck
US7096999B2 (en) * 2003-08-05 2006-08-29 The Raymond Corporation Mast construction for a lift tru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8050A1 (de) 1994-08-01 1996-02-15 Murata Machinery Ltd Schlittenhebevorrichtung
US20090292427A1 (en) 2008-05-26 2009-11-26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load weight measuring device for a multi-stage mast forklift truck
WO2014120735A1 (en) * 2013-02-04 2014-08-0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ast assembly with improved operator visibility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20170073203A1 (en) * 2015-09-16 2017-03-16 Hyster-Yale Materials Handling Group, Inc. Forklift trucks and masts theref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43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8115B2 (en) Chassis platform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11203853B2 (en) Cabin assembly for construction equipment
EP1707478B1 (en) Overhead guard of industrial vehicle
CN101357729B (zh) 电梯轿厢
US20140219758A1 (en) Reach assembly with improved operator visibility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KR102359817B1 (ko) 마스트 어셈블리
JP4721043B2 (ja) スライドドアのハーネスガイド
JP2020199928A (ja)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JP2018118697A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CN102464028B (zh) 发动机室构造
JP6187096B2 (ja) 車両後部構造
JP4526071B2 (ja) ハイルーフ仕様キャブのメタル構造
JP2007203893A (ja) 車体側部構造
KR20000022656A (ko)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장치
KR200159162Y1 (ko)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JP6072588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ヘッドガード
JP5536257B1 (ja) 荷役車両
JP3355965B2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マスト装置
JP6520758B2 (ja) カウルトップパネル
JP2018090080A (ja) フェンダーブラケット
KR20170134714A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US20030057027A1 (en) Mast for a fork lift
KR200188457Y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서포트컴플 구조
JP4390041B2 (ja) 車体カウルトップ構造
US10358328B2 (en) Lifting mast of a lifting frame of an industrial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10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