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9162Y1 -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162Y1
KR200159162Y1 KR2019970043025U KR19970043025U KR200159162Y1 KR 200159162 Y1 KR200159162 Y1 KR 200159162Y1 KR 2019970043025 U KR2019970043025 U KR 2019970043025U KR 19970043025 U KR19970043025 U KR 19970043025U KR 200159162 Y1 KR200159162 Y1 KR 200159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ast assembly
rich
mast
type forkli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70043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1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16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트 조립체가 리치레그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리치타입의 지게차에서 마스트 조립체의 전후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차체(10)와; 차체(10)로부터 전방을 향해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리치레그(100)와; 상기 각각의 리치레그(100)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30)와; 상기 리치레그(100)의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트 베이스(34)가 하부에 갖추어진 마스트 조립체(30)와; 마스트 베이스(34)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바(130)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마스트 조립체(30)를 가이드 바(130)에 지지시키는 슬라이더(200)로 이루어진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본 고안은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조립체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트 조립체가 리치레그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리치타입의 지게차에서 마스트 조립체의 전후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마스트 조립체가 고정된 위치에서 승강만을 이루도록 하는 표준형지게차와, 이와는 달리 마스트 조립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창고 등의 물류처리작업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리치타입 지게차가 있다.
이러한 리치타입 지게차는 마스트 조립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시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작아야 한다.
도 1에는 이러한 리치타입 지게차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차체(10)의 전방 하부에 전방을 향해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리치레그(12)를 갖추고 있어 마스트 조립체(30)가 리치레그(12)에 각각 설치된 리치레일(14)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리치레그(12)의 전방에는 로드휠(16)이 장착되고, 차체(10)의 저면에는 구동과 함께 조향을 수행하는 구동휠(18)이 제공되어 차량의 이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리치레그(12) 사이에는 상기 마스트 조립체(30)의 전후진을 수행하는 리치실린더(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따르면, 마스트 조립체(30)는 한 쌍의 리치레그(12)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트 베이스(34)에 의해 지지되며, 이 마스트 베이스(34)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리치레일((14)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롤러(36)가 각각 제공되어 수직부하에 대해 견디며 전후진 동작을 손쉽게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A - 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서, 여기서는 양측이 대칭적인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일측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마스트 베이스(34)의 양측에는 리치레일(14)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되는 패드(40) 및 리치레그(12)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되는 패드(50)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이들 패드(40)(50)는 볼트(42)(52)에 의해 마스트 베이스(34)에 고정되며 쉼(44)에 의해 돌출길이가 조정되는 것으로 마스트 조립체(30)의 측방향 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종래의 리치타입 지게차는 롤러(36)의 조립 및 구름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리치레일(14)이 충분한 유격을 갖어야 하며, 아울러 마스트 조립체(30)의 전후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리치레그(12) 및 리치레일(14)과 패드(40)(50)사이에 최소한의 유격을 형성하여야 한다. 물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패드(40)(50)는 복수의 쉼(44)에 의해 리치레일(14)과의 유격이 조정되어지나 이것은 이동을 허용하는 범위이내이므로 마스트 조립체의 측방향 유동을 줄일 수 있으나 유동이 전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는 없는 것이다.
또한, 마스트 조립체(30)는 전후 이동 및 정지는 리치실린더(20)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이동개시 또는 정지동작시에 마스트 조립체(30)자체의 하중 및 하물의 하중에 따른 관성에 의해 마스트조립체(30)전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흔들리게 되므로 작업의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를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하나의 리치실린더로 마스트 조립체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한 패드의 유격 및 롤러의 유격으로 인해 마스트조립체의 양단이 일정하게 전진 또는 후퇴하지 못하고 불일치하게 되어 마스트 조립체(30)의 방향이 뒤틀어지는 이른바 터닝(turnning)현상이 유발되어 더욱 마스트 조립체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수반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스트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터닝현상의 방지 및 마스트 조립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치타입 지게차의 외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를 보인 요부확대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조립체 가이드 장치를 보인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B - B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차체 40, 50: 패드
100: 리치레그
110: 가이드홈 120: 절개부
130: 가이드바 200: 슬라이더
210: 고정부 220: 가이드부
222:가이드홀 230: 가이드부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체와; 차체로부터 전방을 향해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리치레그와; 상기 각각의 리치레그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와; 상기 리치레그의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트 베이스가 하부에 갖추어진 마스트 조립체와; 마스트 베이스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바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마스트 조립체를 가이드 바에 지지시키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진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가 채용된 지게차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차체(10)의 전방 하부에 전방을 향해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리치레그(100)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리치레그(100)에는 리치레그(100)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30)가 제공된다.
상기 리치레그(100)의 사이에는 마스트 조립체(30)가 배치되고, 이 마스트 조립체(30)는 리치레그(100)사이에 위치하는 마스트 베이스(34)에 의해 지지된다. 마스트 베이스(34)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바(130)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마스트 조립체(30)를 가이드 바(130)에 지지시키는 슬라이더(200)가 볼트(212)고정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마스트 베이스(34)의 양측 전후방에 간격을 두고 동축상에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B - B선을 따라 절취한 도 5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슬라이더(200)는 마스트조립체(30)에 체결되는 고정부(210)와, 이 고정부(210)와는 단차를 두고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바(130)의 관통을 허용하는 가이드홀(222)을 갖는 가이드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바(130)와 가이드홀(222)사이에는 마스트 조립체(30)의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 하도록 가이드부쉬(230)가 개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치레그(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210)를 수용 안내하는 가이드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110)에는 가이드홀(222)과 가이드바(130)와의 결합을 허용하도록 절개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절개부(120)는 리치레그(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어 슬라이더(200)의 가이드부(220)가 전후방향의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200)의 고정부(210)의 상면 및 하면 그리고 외측면은 가이드홈(110)을 형성하는 면들 각각에 대해 소정의 유격을 보유하여 마스트 조립체(30)의 전후 이동시 마찰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본고안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마스트 베이스(34)의 상부에 볼트(42)(52)고정되어 리치레그(100)와 마스트 조립체(30)의 측방향 유동을 제한하는 패드(40)(5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리치실린더(20)의 작동에 의해 마스트 조립체(30)가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더(200)가 가이드바(13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마스트 조립체(30)의 이동개시 및 정지시에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한 전후방향의 유동이 최소화하게 된다. 즉, 마스트 조립체(30)의 전후방향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가이드바(130)상의 두 개소에 설치되는 슬라이더(200)중 전방측의 슬라이더(200)가 관성력의 작용방향에 따라 상부로 들리거나 또는 하부로 내려가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때 가이드바(130)는 미량의 휨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슬라이더(200)가 상부로 올라가는 힘이 발생될 경우에는 가이드부(220)의 상부와 절개부(120)사이의 유격이 없어지며 하중을 지탱하게 되고, 반대로 하부로 내려가는 힘이 발생될 경우에는 슬라이더(200)의 고정부(210)가 가이드홈(110)과의 사이에 유지하던 유격이 없어지며 그 하중을 지탱하게 되므로 마스트 조립체(30)의 유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가이드바(130)의 변형은 탄성한도 이내에서 일어나는 것이고, 이러한 작용은 관성력이 유발되는 초기에만 일어나는 것으로 관성력이 제거되면 가이드바(130)는 즉시 탄성복귀하여 마스트 조립체(30)의 안정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는 리치레그에 각각 가이드바를 설치하고, 마스트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제공하여 마스트조립체가 가이드바를 따라 전후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좌우 방향은 물론 전후 방향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마스트조립체 및 하물의 관성력을 가이드바를 통해 차체로 분포시켜 터닝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트 조립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차체(10)와; 차체(10)로부터 전방을 향해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리치레그(100)와;
    상기 각각의 리치레그(100)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30)와;
    상기 리치레그(100)의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트 베이스(34)가 하부에 갖추어진 마스트 조립체(30)와;
    마스트 베이스(34)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바(130)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마스트 조립체(30)를 가이드 바(130)에 지지시키는 슬라이더(200)로 이루어진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0)는 마스트 베이스(34)의 양측 전후방에 간격을 두고 동축상에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 마스트조립체(30)에 체결되는 고정부(210)와, 이 고정부(210)와는 단차를 두고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바(130)의 관통을 허용하는 가이드홀(222)을 갖는 가이드부(2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치레그(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210)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10)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10)에는 가이드홀(222)과 가이드바(130)와의 결합 및 가이드부(220)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절개부(12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바(130)와 가이드홀(222)사이에는 가이드부쉬(230)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KR2019970043025U 1997-12-30 1997-12-30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159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025U KR200159162Y1 (ko) 1997-12-30 1997-12-30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025U KR200159162Y1 (ko) 1997-12-30 1997-12-30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9162Y1 true KR200159162Y1 (ko) 1999-10-15

Family

ID=1951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025U Expired - Fee Related KR200159162Y1 (ko) 1997-12-30 1997-12-30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1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646B1 (ko) 2008-12-17 2014-11-05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마스트 흔들림 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646B1 (ko) 2008-12-17 2014-11-05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마스트 흔들림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7997A (en) Side shifting attachment for fork lift trucks
US5123797A (en) Transport carriage for operating table platforms
KR200159162Y1 (ko) 리치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가이드 장치
SE9202796L (sv) Lyftdon
CA1327728C (en) Automotive carrier type conveying apparatus
JP5430103B2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
EP0091900A4 (en) ASSEMBLING A LIFTING POLE.
KR20050072148A (ko)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EP1369375B1 (en) Lift truck with guide wheels
EP0581234B1 (en) Handling apparatus for automatic warehousing arrangement
KR0117556Y1 (ko) 드롭리프터
US5752583A (en) Industrial truck with a lifting framework
JPH06271293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マスト装置
JP2717324B2 (ja) 直動形ガイド装置
JP2720735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キャリッジ構造
JP2742305B2 (ja) フオークリフトのマスト装置
JP5536257B1 (ja) 荷役車両
JPS6218639Y2 (ko)
JPH06336399A (ja)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スタビライザ装置
JP4215242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3355965B2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マスト装置
KR101458646B1 (ko) 지게차의 마스트 흔들림 방지구조
JPH0420880Y2 (ko)
JPH10217828A (ja) 伸縮ステップを備えたトラック
FI57390C (fi) Kuggstaongsdriven hi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7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