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715B1 -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6715B1 KR102316715B1 KR1020200028766A KR20200028766A KR102316715B1 KR 102316715 B1 KR102316715 B1 KR 102316715B1 KR 1020200028766 A KR1020200028766 A KR 1020200028766A KR 20200028766 A KR20200028766 A KR 20200028766A KR 102316715 B1 KR102316715 B1 KR 1023167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de
- switching element
- end connected
- secondary battery
- operating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30—Modifications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before switching
- H03K17/302—Modifications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before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6—Arrangements using end-cell switching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3—Modifications for switching at zero crossing
- H03K17/133—Modifications for switching at zero cross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45—Full bridges,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through the loa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가동 전압 인가 수단에 의해 가동 전압이 인가되는 노드에 해당하는 가동 전압 인가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가동 전압 인가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노드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기준 노드에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이차 전지의 양(+) 단자와 연결되는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 상기 제3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2 노드에 타단이 연결되고 일단이 이차 전지의 음(-) 단자와 연결되는 제4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인덕터, 상기 제4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의 충전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류 흐름을 보여주는 도 1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의 방전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류 흐름을 보여주는 도 1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의 충전 및 방전 모드에서의 스위칭 소자들에 대한 제어 신호 및 관련 노드에서의 전압의 파형도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위칭 소자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스위칭신호 발생수단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5 : 제어 수단 7 : 스위칭 신호 발생수단
L1 : 제1 인덕터 L2 : 제2 인덕터
C1 : 제1 커패시터 C2 : 제2 커패시터
S1 : 제1 스위칭 소자 S2 : 제2 스위칭 소자
S3 : 제3 스위칭 소자 S4 : 제4 스위칭 소자
D1 : 제1 다이오드 D2 : 제2 다이오드
D3 : 제3 다이오드 D4 : 제4 다이오드
Vin : 가동 전압 Nin : 가동 전압 인가 노드
Nr : 기준 노드 N1 : 제1 노드
N2 : 제2 노드 N3 : 제3 노드
N4 : 제4 노드
Claims (3)
-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에 있어서,
가동 전압 인가 수단(1)에 의해 가동 전압(Vin)이 인가되는 노드에 해당하는 가동 전압 인가 노드(Nin)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S1);
상기 가동 전압 인가 노드(Nin)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노드(N2)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스위칭 소자(S1)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S2);
상기 제1 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기준 노드(Nr)에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S3);
상기 제2 노드(N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준 노드(Nr)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칭 소자(S4);
상기 제1 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이차 전지(3)의 양(+) 단자와 연결되는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L1);
상기 제3 노드(N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준 노드(Nr)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C1);
상기 제2 노드(N2)에 타단이 연결되고 일단이 이차 전지(3)의 음(-) 단자와 연결되는 제4 노드(N4)에 연결되는 제2 인덕터(L2);
상기 제4 노드(N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준 노드(Nr)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하되,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가동 전압 인가 노드(Nin)에는 지속적으로 동일한 가동 전압(Vin)이 인가되되, 상기 제1 스위칭 소자(S1)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S4)만이 턴온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S2)와 제3 스위칭 소자(S3)는 턴오프되며,
상기 충전 모드에서, 충전 전류가 가동 전압 인가 노드(Nin) --> 제1 스위칭 소자(S1) --> 제1 노드(N1) --> 제1 인덕터(L1) --> 제3 노드(N3) --> 이차 전지(3)의 양(+) 단자 --> 이차 전지(3)의 음(-) 단자 --> 제4 노드(N4) --> 제2 인덕터(L2) --> 제2 노드(N2) --> 제4 스위칭 소자(S4) --> 기준 노드(Nr) --> 가동 전압 인가 수단(1)으로 형성되는 폐회로를 따라 흐르게 되고,
상기 이차 전지의 방전 모드인 경우에, 상기 가동 전압 인가 노드(Nin)에는 지속적으로 동일한 가동 전압(Vin)이 인가되되, 상기 제2 스위칭 소자(S2)와 상기 제3 스위칭 소자(S3)만이 턴온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S1)와 제4 스위칭 소자(S4)는 턴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S2)와 상기 제3 스위칭 소자(S3)는 방전 모드에서 온오프되지 않고 턴온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상기 방전 모드에서, 방전 전류가 가동 전압 인가 노드(Nin) --> 제2 스위칭 소자(S2) --> 제2 노드(N2) --> 제2 인덕터(L2) --> 제4 노드(N4) --> 이차 전지(3)의 음(-) 단자 --> 이차 전지(3)의 양(+) 단자 --> 제3 노드(N3) --> 제1 인덕터(L1) --> 제1 노드(N1) --> 제3 스위칭 소자(S3) --> 기준 노드(Nr) --> 가동 전압 인가 수단(1)으로 형성되는 폐회로를 따라 흐르게 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인덕터(L1)가 상기 이차 전지(3)의 양(+) 단자로 충전 전류를 안정적으로 흐르게 하고, 상기 이차 전지(3)는 상기 제1 커패시터(C1)에 병렬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이차 전지의 방전 모드에서, 상기 제2 인덕터(L2)가 상기 이차 전지(3)의 음(-) 단자로 방전 전류를 안정적으로 흐르게 하고, 상기 이차 전지(3)는 상기 제2 커패시터(C2)에 병렬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전압 인가 수단(1)은 상기 이차 전지(3)의 충전 모드 및 방전 모드에서 상기 가동 전압 인가 노드(Nin)에 동일한 가동 전압(Vin)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0924601.6A EP4120503A4 (en) | 2020-03-09 | 2020-03-09 | ZERO VOLTAGE DISCHARGE CIRCUIT DEVICE |
PCT/KR2020/003249 WO2021182648A1 (ko) | 2020-03-09 | 2020-03-09 |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
KR1020200028766A KR102316715B1 (ko) | 2020-03-09 | 2020-03-09 |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
US17/797,712 US20230101334A1 (en) | 2020-03-09 | 2020-03-09 | Zero-voltage discharge circui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8766A KR102316715B1 (ko) | 2020-03-09 | 2020-03-09 |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3714A KR20210113714A (ko) | 2021-09-17 |
KR102316715B1 true KR102316715B1 (ko) | 2021-10-25 |
Family
ID=77670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8766A Active KR102316715B1 (ko) | 2020-03-09 | 2020-03-09 |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01334A1 (ko) |
EP (1) | EP4120503A4 (ko) |
KR (1) | KR102316715B1 (ko) |
WO (1) | WO2021182648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0792B1 (ko) * | 2014-09-03 | 2015-10-19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배터리용 직류변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1137B1 (ko) * | 2010-02-17 | 2012-11-15 | 주식회사 엣셀 | 양방향 충전 시스템 |
KR101197078B1 (ko) | 2011-05-09 | 2012-11-07 |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 능동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
KR20120125767A (ko) * | 2011-05-09 | 2012-11-19 |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 풀브릿지 스위칭 회로를 구비한 이차전지의 충방전 회로 |
KR101220910B1 (ko) * | 2011-05-09 | 2013-02-05 |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 병렬형 능동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영전압 방전회로 |
KR101492398B1 (ko) * | 2013-06-13 | 2015-02-12 |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 배터리의 충전량을 변경시키는 충방전 장치 |
KR101558662B1 (ko) * | 2013-10-10 | 2015-10-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위칭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
JP6286793B2 (ja) * | 2014-01-24 | 2018-03-07 |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 Dc−dcコンバータ、二次電池充放電システム、およ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
CN208299693U (zh) * | 2018-05-29 | 2018-12-28 | 福建星云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全桥结构的开关电源 |
-
2020
- 2020-03-09 KR KR1020200028766A patent/KR102316715B1/ko active Active
- 2020-03-09 EP EP20924601.6A patent/EP4120503A4/en active Pending
- 2020-03-09 US US17/797,712 patent/US20230101334A1/en active Pending
- 2020-03-09 WO PCT/KR2020/003249 patent/WO2021182648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0792B1 (ko) * | 2014-09-03 | 2015-10-19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배터리용 직류변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82648A1 (ko) | 2021-09-16 |
EP4120503A1 (en) | 2023-01-18 |
KR20210113714A (ko) | 2021-09-17 |
US20230101334A1 (en) | 2023-03-30 |
EP4120503A4 (en) | 2023-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5858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bootstrapping a switch driver | |
CN105391281B (zh) | 含常导通晶体管和常关断晶体管的开关的系统和方法 | |
US848766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switch | |
CN104242612B (zh) | 用于驱动晶体管的方法和系统 | |
WO2015011949A1 (ja) | 半導体スイッチ回路 | |
CN110460226B (zh) | 开关电源装置 | |
US9584109B2 (en) | Voltage regulator and resonant gate driver thereof | |
US9397284B2 (en) | Piezoelectric circuit, piezoelectric driving circuit for the piezoelectric circuit, and piezoelectric driving method | |
KR102427763B1 (ko) | 펄스 전원 장치의 스위칭 회로 | |
US7088084B2 (en) | Power supply circuit capable of rapidly changing output voltages | |
KR102316715B1 (ko) |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 |
KR101197078B1 (ko) | 능동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 |
US7499293B2 (en) | High voltage pulse power circuit | |
US20130162234A1 (en) | Buck regulation of a boost regulator | |
US7586212B2 (en) | Multi-output power supply apparatus | |
KR102315046B1 (ko) | 영전압 방전 장치 | |
KR20120125768A (ko) | 병렬형 능동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영전압 방전회로 | |
KR20190108785A (ko) | 전원 변환기,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및 부하 구동 장치 | |
US9467122B2 (en) | Switching scheme to extend maximum input voltage range of a DC-to-DC voltage converter | |
JP5863725B2 (ja) | スイッチ制御のためのレベルコンバータ | |
JP2009159696A (ja)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US7915880B2 (en) | Step-up DC-DC converter | |
US20140300338A1 (en) | Circuits and methods for current to voltage conversion | |
CN102761260B (zh) | 以低压驱动的升压电路与相关方法 | |
WO2016158031A1 (ja) | 電圧バランス補正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