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763B1 - 펄스 전원 장치의 스위칭 회로 - Google Patents
펄스 전원 장치의 스위칭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7763B1 KR102427763B1 KR1020160084301A KR20160084301A KR102427763B1 KR 102427763 B1 KR102427763 B1 KR 102427763B1 KR 1020160084301 A KR1020160084301 A KR 1020160084301A KR 20160084301 A KR20160084301 A KR 20160084301A KR 102427763 B1 KR102427763 B1 KR 1024277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acitor
- switching
- node
- semiconductor switch
- switch el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H01F2038/305—Constructions with toroidal magnetic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회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회로 전체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스위칭 모듈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200: 스위칭 회로 210: 제어기
220-1~220-M : 스위칭 모듈 221: 콘트롤 변압기
221a-1-1 ~ 221a-N-M: 1차측 권선
221b-1-1 ~ 221b-N-M: 2차측 권선
222-1-1 ~ 222-N-M : 드라이브 회로
S1-1 ~ SN-M: 반도체 스위치 소자
Claims (12)
- 삭제
- 전원 공급 장치와 부하 사이에서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상호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스위칭 모듈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칭 모듈 각각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회로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콘트롤 변압기의 1차측 권선을 통해서 펄스 제어 신호(구동 펄스)를 전달받아 내부의 제 1 커패시터(C1)를 충전시키고,
상기 1차측 권선에 구동 펄스가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1차측 권선에 유기되는 스파이크 전압에 의해서, 상기 드라이브 회로에 연결된 반도체 스위치 소자에 연결된 제 2 커패시터(C2)를 충전시켜 상기 제 2 커패시터(C2)의 충전 전압으로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턴 온 시키면서, 상기 제 1 커패시터(C1)의 방전을 개시하며,
상기 제 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이 사전에 정의된 레벨까지 방전되면 상기 제 2 커패시터(C2)를 방전시켜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회로는 상기 제 2 커패시터(C2)의 양단에 연결된 드라이브 스위칭 소자가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 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이 사전에 정의된 레벨까지 방전되면 턴 온되어 상기 제 2 커패시터(C2)를 방전시킴으로써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턴 오프시키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1 커패시터(C1)가 사전에 정의된 레벨 이상으로 충전되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
동일한 스위칭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1차측 권선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 전원 공급 장치와 부하 사이에서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상호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스위칭 모듈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칭 모듈 각각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회로는
드레인이 제 1 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제 2 노드에 연결되며, 소오스가 제 3 노드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스위칭 소자;
일단이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3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 2 커패시터(C2);
일단이 상기 제 1 노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 2 저항(R2);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3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브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 1 커패시터(C1);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3 노드 사이에 상기 제 1 커패시터(C1)와 병렬로 연결된 제 1 저항(R1);
상기 제어기로부터 펄스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1차측 권선 및 상기 1차측 권선에 대응되고, 일단이 상기 제 3 노드에 연결되는 2차측 권선을 포함하는 콘트롤 변압기;
상기 2차측 권선의 타단과 상기 제 1 노드 사이에, 상기 제 1 노드 방향이 순방향이 되도록 설치된 제 1 다이오드(D1); 및
상기 2차측 권선의 타단과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 상기 제 2 노드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설치된 제 2 다이오드(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로부터 1차측 권선에 펄스 제어 신호(구동 펄스)가 인가되면, 상기 1차측 권선에 대응되는 2차측 권선에 구동 펄스가 전달되고, 상기 2차측 권선, 상기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커패시터(C1) 및 상기 제 2 다이오드(D2)를 따라서 폐루프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패시터(C1)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권선에 구동 펄스가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1차측 권선에 유기되는 스파이크 전압에 의해서, 상기 2차측 권선, 상기 제 1 다이오드, 상기 제 2 저항 및 상기 제 2 커패시터(C2)를 따라서 폐루프가 형성되어 제 2 커패시터(C2)가 충전되고, 상기 제 2 커패시터(C2)의 충전 전압으로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가 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턴 온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 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은 제 1 저항(R1)을 통해서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이 사전에 정의된 레벨까지 방전되면, 상기 드라이브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고, 상기 드라이브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2 커패시터(C2) 및 상기 제 2 저항(R2)이 폐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제 2 커패시터(C2)의 충전 전압이 상기 제 2 저항(R2)을 통해서 방전되어, 상기 반도체 스위치 소자가 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 제 5 항에 있어서,
동일한 스위칭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1차측 권선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변압기는 토로이달 코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4301A KR102427763B1 (ko) | 2016-07-04 | 2016-07-04 | 펄스 전원 장치의 스위칭 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4301A KR102427763B1 (ko) | 2016-07-04 | 2016-07-04 | 펄스 전원 장치의 스위칭 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4566A KR20180004566A (ko) | 2018-01-12 |
KR102427763B1 true KR102427763B1 (ko) | 2022-07-29 |
Family
ID=6100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4301A Active KR102427763B1 (ko) | 2016-07-04 | 2016-07-04 | 펄스 전원 장치의 스위칭 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77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0924B1 (ko) | 2022-08-29 | 2023-08-28 | 한국전기연구원 | 스위치, 펄스 발생 장치 및 펄스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7958B1 (ko) * | 2019-04-16 | 2020-04-0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양극성 펄스 전원 장치 |
KR102616237B1 (ko) * | 2019-05-02 | 2023-12-19 | 한국전기연구원 | 펄스 전원 장치 |
DE102019111996B3 (de) * | 2019-05-08 | 2020-07-09 | Webasto SE | Vorrichtung zur Ansteuerung von Halbleiter-Leistungsschaltern im Hochvoltbereich |
KR102448125B1 (ko) * | 2021-04-02 | 2022-09-2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전압 펄스 전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2014B1 (ko) * | 2011-11-22 | 2013-04-08 | 주식회사 브이씨텍 | 대전류용 병렬 스위치 배열을 갖는 인버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2740B1 (ko) * | 2009-07-03 | 2012-08-14 | 한국전기연구원 | 펄스전원장치의 반도체 스위치 구동회로 |
-
2016
- 2016-07-04 KR KR1020160084301A patent/KR10242776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2014B1 (ko) * | 2011-11-22 | 2013-04-08 | 주식회사 브이씨텍 | 대전류용 병렬 스위치 배열을 갖는 인버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0924B1 (ko) | 2022-08-29 | 2023-08-28 | 한국전기연구원 | 스위치, 펄스 발생 장치 및 펄스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4566A (ko) | 2018-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7763B1 (ko) | 펄스 전원 장치의 스위칭 회로 | |
US10483859B2 (en) | AC/DC converter including a bidirectional switch | |
US9496862B2 (en) | Circuit arrangement for actuating a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 | |
JP6198828B2 (ja) | 半導体スイッチ回路 | |
WO2019069647A1 (ja) | スイッチの駆動回路 | |
US10404180B2 (en) | Driver circuit for switch | |
EP2846608A1 (en) |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a converter for supplying current to a light emitting means | |
US9806624B2 (en) | System for information feedback through isolation in power converters | |
US20110242723A1 (en) | Relay driver circuit | |
US7072196B1 (en) | Multi-stage high voltage solid state switch | |
CN110752739B (zh) | 功率设备驱动装置 | |
US20150372675A1 (en) | Method of switching a semiconductor device | |
KR102220899B1 (ko) | 게이트 구동부 및 그의 구동방법 | |
EP4120567B1 (en) | Cascaded gate driver outputs for power conversion circuits | |
KR20120125767A (ko) | 풀브릿지 스위칭 회로를 구비한 이차전지의 충방전 회로 | |
KR102573440B1 (ko) |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한 펄스 전원 장치 및 이의 고속 게이트 제어 방법 | |
US10644688B2 (en) | Biasing circuit for switch | |
EP2975420A1 (en) | Synthetic test circuit | |
KR100581490B1 (ko) | 고압 스위칭 시스템의 구동 시스템 | |
US20180340972A1 (en) | Pulse current application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290007B1 (ko) | 방전 회로가 포함된 게이트 드라이버 | |
EP2724453A1 (en) | Power supply for controlling a power switch | |
KR102316715B1 (ko) | 싸이클러용 영전압 방전회로 장치 | |
TW201916559A (zh) | 用於對直流-直流轉換器的死區時間進行控制的控制電路 | |
US20080258564A1 (en) |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switch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