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499B1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8499B1 KR102188499B1 KR1020140087466A KR20140087466A KR102188499B1 KR 102188499 B1 KR102188499 B1 KR 102188499B1 KR 1020140087466 A KR1020140087466 A KR 1020140087466A KR 20140087466 A KR20140087466 A KR 20140087466A KR 102188499 B1 KR102188499 B1 KR 1021884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nano
- belonging
- light emitting
- emitt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1—Bodies having quantum effect structures or superlattices, e.g. tunnel junctions
- H10H20/812—Bodies having quantum effect structures or superlattices, e.g. tunnel junctions within the light-emitting regions, e.g. havin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1—Bodies having quantum effect structures or superlattices, e.g. tunnel junc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9—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 H10H20/821—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e.g. non-planar junc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2—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 H10H20/824—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2—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 H10H20/824—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 H10H20/825—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containing nitrogen, e.g. Ga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4—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comprising multipl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3—Bodies having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regions, e.g. multi-junction LEDs or light-emitting devices having photoluminescent regions within the bodi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7—Bodies characterised by the crystal structures or orientations, e.g. polycrystalline, amorphous or porous
- H10H20/818—Bodies characterised by the crystal structures or orientations, e.g. polycrystalline, amorphous or porous within the light-emitting region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2는 도1에 도시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X1-X1'로 절개하여 본 측단면도이다.
도3은 도2에 채용된 마스크의 개구 패턴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는 양자우물의 두께에 따른 방출파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6는 도5에 채용된 마스크의 개구 패턴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8a 내지 도8d는 실험예1(피치의 변화)에서 얻어진 나노 발광구조물의 평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9는 실험예1에서 얻어진 나노 발광구조물의 방출파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0는 실험예2(높이의 변화)에서 얻어진 나노 발광구조물의 PL 피크 파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1은 실험예3의 결과로서, 나노 코어의 직경 및 피치에 따른 활성층 두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2a 내지 도1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13a 및 도13b는 도12b에 채용된 절연막의 개구 형상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14a 및 도14b는 도12d 및 도12e의 공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열처리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15a 내지 도1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마스크 구조 변경)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16a 내지 도1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9 및 도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용된 백라이트 유닛의 예를 나타낸다.
도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용된 조명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가 채용된 헤드 램프의 예를 나타낸다.
파장 (㎚) |
인듐 조성 (mol%) |
QW 두께 (㎚) |
파장 (㎚) |
인듐 조성 (mol%) |
QW 두께 (㎚) |
430 | 14 | 3.85 | 480 | 25 | 2.25 |
430 | 15 | 3.05 | 480 | 26 | 2.05 |
430 | 16 | 2.55 | 480 | 27 | 1.85 |
430 | 17 | 2.2 | 480 | 28 | 1.7 |
430 | 18 | 1.9 | 480 | 29 | 1.6 |
430 | 19 | 1.75 | 480 | 30 | 1.5 |
430 | 20 | 1.55 | 540 | 27 | 5.5 |
430 | 21 | 1.45 | 540 | 28 | 4.1 |
430 | 22 | 1.35 | 540 | 29 | 3.45 |
430 | 23 | 1.25 | 540 | 30 | 3 |
430 | 24 | 1.15 | 540 | 31 | 2.7 |
430 | 25 | 1.1 | 540 | 32 | 2.45 |
430 | 26 | 1.05 | 540 | 33 | 2.3 |
430 | 27 | 1 | 540 | 34 | 2 |
480 | 20 | 4.75 | 540 | 35 | 2 |
480 | 21 | 3.75 | 605 | 33 | 7.5 |
480 | 22 | 3.15 | 605 | 34 | 5.1 |
480 | 23 | 2.8 | 605 | 35 | 4.2 |
480 | 24 | 2.5 | - | - | - |
QW 두께(㎚) | 인듐조성(%) | 파장(㎚) | 내부양자효율 | V | I |
1 | 35 | 450 | 43.3 | 3.73 | 326 |
1.5 | 28 | 450 | 49.1 | 3.76 | 340 |
2 | 25 | 450 | 51.5 | 3.74 | 328 |
3 | 22 | 450 | 52.5 | 3.79 | 338 |
4 | 21 | 451 | 51.6 | 3.77 | 332 |
5 | 20 | 449 | 50.8 | 3.73 | 320 |
6 | 19.5 | 449 | 50.1 | 3.82 | 345 |
7 | 19.4 | 449 | 44.2 | 3.76 | 329 |
구분 | 샘플1 | 샘플2 | 샘플3 | 샘플4 |
피치(㎚) | 2 | 2.3 | 2.8 | 3.3 |
활성층 성장후 두께(㎚) | 920 | 980 | 1030 | 1170 |
QW 두께(㎚) | 2.4 | 3.0 | 3.9 | 5.5 |
파장(㎚) | 488 | 493 | 522 | 531 |
구분 | 직경1 = 300㎚ | 직경2 = 500㎚ | 직경3 = 700㎚ | 직경4 = 800㎚ |
피치1 = 1.5㎛ | QW두께 = 2.4㎚ | QW두께 = 2.2㎚ | QW두께 = 2.3㎚ | QW두께 = 2.2㎚ |
피치2 = 2.3㎛ | QW두께 = 12㎚ | QW두께 = 10㎚ | QW두께 = 6.2㎚ | QW두께 = 5.5㎚ |
피치3 = 3.4㎛ | QW두께 = 20㎚ | QW두께 = 16㎚ | QW두께 = 8.3㎚ | QW두께 = 7.2㎚ |
구분 |
피치 비율 (P1:P2:P3) |
QW 두께 비율 (T1:T2:T3) |
그룹별 방출파장 피크 | ||
그룹1 | 그룹2 | 그룹3 | |||
샘플1 | 1:1.3:1.8 | 1:1.5:2 | 471 | 515 | 564 |
샘플2 | 1:1.64:2.36 | 1:1.5:2.25 | 463 | 49 | 547 |
샘플3 | 1:1.2:1.6 | 1:1.75:2.67 | 480 | 530 | 590 |
Claims (20)
-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일부 영역이 노출된 복수의 개구를 갖는 절연막; 및
상기 베이스층의 노출된 영역 각각에 형성되며,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와, 상기 나노 코어의 측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활성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갖는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은 동일한 성장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 2개 이상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갖는 n개의 그룹(n은 2 이상인 정수)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그룹에 해당하는 활성층의 양자우물 두께(Tn)는 하기 식(1) 및 (2)의 조건을 만족하며,
.....................(1)
T1 < T2 <....< Tn -1 < Tn .......................(2)
여기서, K는 비례상수이며, Dn와 Hn는 제n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직경과 높이를 나타내며, Pn는 제n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피치를 나타내고,
상기 각 그룹의 활성층은 서로 다른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각 그룹의 Dn, Hn 및 Pn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그룹은 제1 내지 제3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그룹의 활성층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조합되어 백색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방출파장은 430㎚ ∼ 480㎚ 범위이며,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방출파장은 480㎚ ∼ 540㎚ 범위이고, 상기 제3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방출파장은 540㎚ ∼ 60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양자우물 두께는 1㎚ ∼ 5㎚ 범위이며,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양자우물 두께는 1.5㎚ ∼ 5.5㎚ 범위이고, 상기 제3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양자우물 두께는 2㎚ ∼ 7.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의 나노 코어의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제2 및 제3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양자우물 두께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양자우물 두께보다 40%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양자우물 두께는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양자우물은 인듐(In)을 함유한 질화물막을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 그룹 간의 양자우물의 인듐 함량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피치의 상대적인 비율(P1:P2:P3)은 하기 식 (a) 및 (b-1) 내지 (b-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P1 < P2 < P3 .......................(a)
1 < P1 < 2.24 ......................(b-1)
1.2 < P2 < 2.35 .....................(b-2)
1.4 < P3 < 2.74 ......................(b-3)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의 나노 코어의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제2 및 제3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피치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피치보다 20% 이상인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피치는 0.5㎛ ∼ 2.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나노 코어는 다른 그룹의 나노 코어의 크기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직경(Dn)과 높이(Hn)의 곱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은 하기 식 (c) 및 (d) 중 적어도 하나와, 그리고 (e-1) 내지 (e-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D1 > D2 > D3 .......................(c)
H1 > H2 > H3 .......................(d)
0.2 < D1×H1 < 1 .......................(e-1)
0.18 < D2×H2 < 0.67 ...................(e-2)
0.13 < D3×H3 < 0.5 ....................(e-3)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의 나노 코어 피치는 동일하며,
상기 제2 및 제3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직경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직경보다 40% 이하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룹의 나노 코어 피치는 동일하며,
상기 제2 및 제3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높이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높이보다 40% 이하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는 서로 동일한 높이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3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피치는 1.5㎛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그룹은 제1 및 제2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방출파장은 430㎚ ∼ 470㎚ 범위이며,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방출파장은 560㎚ ∼ 59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일부 영역이 노출된 복수의 개구를 갖는 절연막; 및
상기 베이스층의 노출된 영역 각각에 형성되며, 제1 도전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나노 코어와, 상기 나노 코어의 측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활성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갖는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나노 발광구조물은 동일한 성장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 2개 이상의 나노 발광구조물을 갖는 제1 내지 제3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그룹에 속하는 활성층의 양자우물은 서로 다른 광을 방출하며, 상기 그룹에 해당하는 활성층의 양자우물 두께(T1, T2, T3)는 하기 식(1)을 만족하고,
T1 < T2 < T3 .......................(1)
상기 각 그룹에 속하는 나노 코어의 피치의 상대적 비율(P1:P2:P3)은 하기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P1 < P2 < P3 .......................(a)
1 < P1 < 2.24 ......................(b-1)
1.2 < P2 < 2.35 .....................(b-2)
1.4 < P3 < 2.74 ......................(b-3)
- 제1 및 제2 전극구조를 갖는 패키지 기판; 및
상기 패키지 기판에 탑재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상기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외부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외부 접속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7466A KR102188499B1 (ko) | 2014-07-11 | 2014-07-11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US14/752,814 US9461199B2 (en) | 2014-07-11 | 2015-06-26 |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7466A KR102188499B1 (ko) | 2014-07-11 | 2014-07-11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8028A KR20160008028A (ko) | 2016-01-21 |
KR102188499B1 true KR102188499B1 (ko) | 2020-12-09 |
Family
ID=5506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7466A Active KR102188499B1 (ko) | 2014-07-11 | 2014-07-11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461199B2 (ko) |
KR (1) | KR1021884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7771B1 (ko) | 2014-08-25 | 2021-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KR102244218B1 (ko) | 2014-10-01 | 2021-04-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
KR102237149B1 (ko) * | 2014-11-18 | 2021-04-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
FR3048845A1 (fr) * | 2016-03-11 | 2017-09-15 | Valeo Vision |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
DE102016104616B4 (de) * | 2016-03-14 | 2021-09-23 |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Halbleiterlichtquelle |
FR3053434B1 (fr) * | 2016-06-30 | 2019-06-28 | Valeo Vision | Module d'emission de lumiere blanche a spectre enrichi |
FR3053764A1 (fr) * | 2016-07-05 | 2018-01-12 | Valeo Vision | Dispositif lumineux indicateur de direc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
FR3061607B1 (fr) * | 2016-12-29 | 2019-05-31 | Aledia | Dispositif optoelectronique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
US10290768B2 (en) * | 2017-09-14 | 2019-05-14 | Globalfoundries Inc. | Nanowire formation methods |
PL3460858T3 (pl) | 2017-09-20 | 2020-11-16 | Instytut Technologii Materialów Elektronicznych | Sposób wytwarzania kolumnowych struktur elektroluminescencyjnych UV i struktury wytworzone tym sposobem |
JP7052287B2 (ja) * | 2017-10-25 | 2022-04-12 | ウシオ電機株式会社 | 半導体発光装置 |
FR3076171B1 (fr) * | 2017-12-22 | 2021-10-29 | Valeo Vision | Calibration d'un module lumineux a elements electroluminescents |
KR102532278B1 (ko) * | 2018-06-14 | 2023-05-15 | 주식회사 소프트에피 | 반도체 발광소자용 웨이퍼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
KR102110446B1 (ko) * | 2019-02-20 | 2020-05-13 | 한국세라믹기술원 | 나노와이어 백색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US11637219B2 (en) | 2019-04-12 | 2023-04-25 | Google Llc | Monolithic integration of different light emitting structures on a same substrate |
KR102200782B1 (ko) * | 2019-06-17 | 2021-01-08 | 한국세라믹기술원 | 단일 박막 증착에 의해 제조된 다중 파장 나노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KR20210099681A (ko) | 2020-02-04 | 2021-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9053B1 (ko) | 2011-11-09 | 2013-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나노 로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72608B1 (en) | 1996-08-27 | 2002-04-16 | Seiko Epson Corporation | Separating method, method for transferring thin film device, thin film device, thin film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transferring method |
USRE38466E1 (en) | 1996-11-12 | 2004-03-16 | Seiko Epson Corporation | Manufacturing method of active matrix substrate, active matrix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US7208725B2 (en) | 1998-11-25 | 2007-04-24 |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 Optoelectronic component with encapsulant |
JP3906654B2 (ja) | 2000-07-18 | 2007-04-18 | ソニー株式会社 |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装置 |
KR20040029301A (ko) | 2001-08-22 | 2004-04-06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질화물 반도체소자 및 질화물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
JP2003218034A (ja) | 2002-01-17 | 2003-07-31 | Sony Corp | 選択成長方法、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JP3815335B2 (ja) | 2002-01-18 | 2006-08-30 | ソニー株式会社 |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0499129B1 (ko) | 2002-09-02 | 2005-07-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US7002182B2 (en) | 2002-09-06 | 2006-02-21 | Sony Corporatio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tegral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unit image display unit and illuminating unit |
KR100714639B1 (ko) | 2003-10-21 | 2007-05-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발광 소자 |
KR100506740B1 (ko) | 2003-12-23 | 2005-08-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0664985B1 (ko) | 2004-10-26 | 2007-01-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
KR100665222B1 (ko) | 2005-07-26 | 2007-01-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확산재료를 이용한 엘이디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
KR100661614B1 (ko) | 2005-10-07 | 2006-12-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0723247B1 (ko) | 2006-01-10 | 2007-05-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칩코팅형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0735325B1 (ko) | 2006-04-17 | 2007-07-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0930171B1 (ko) | 2006-12-05 | 2009-12-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백색 발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백색 광원 모듈 |
KR100855065B1 (ko) | 2007-04-24 | 2008-08-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KR100982980B1 (ko) | 2007-05-15 | 2010-09-17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면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lcd 백라이트 유닛 |
KR101164026B1 (ko) | 2007-07-12 | 2012-07-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0891761B1 (ko) | 2007-10-19 | 2009-04-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소자,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발광소자 패키지 |
KR101332794B1 (ko) | 2008-08-05 | 2013-1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발광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발광 시스템, 상기 발광 장치 및발광 시스템의 제조 방법 |
KR20100030470A (ko) | 2008-09-10 | 2010-03-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양한 색 온도의 백색광을 제공할 수 있는 발광 장치 및 발광 시스템 |
KR101530876B1 (ko) | 2008-09-16 | 2015-06-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발광량이 증가된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상기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
US8008683B2 (en) | 2008-10-22 | 2011-08-30 | Samsung Led Co., Ltd.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KR20100133157A (ko) | 2009-06-11 | 2010-12-21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JP4927223B2 (ja) | 2010-09-01 | 2012-05-09 | シャープ株式会社 | 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発光装置の製造方法、照明装置、バックライト並びに表示装置 |
KR101710159B1 (ko) | 2010-09-14 | 2017-03-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Ⅲ족 질화물 나노로드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KR20120079310A (ko) | 2011-01-04 | 2012-07-12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나노로드형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20120083084A (ko) | 2011-01-17 | 2012-07-25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나노 로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KR101335945B1 (ko) | 2011-08-30 | 2013-12-04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반도체 발광소자 |
KR101913712B1 (ko) | 2011-12-14 | 2018-12-2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 소자 |
KR101898679B1 (ko) * | 2012-12-14 | 2018-10-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나노구조 발광소자 |
KR102244218B1 (ko) * | 2014-10-01 | 2021-04-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
-
2014
- 2014-07-11 KR KR1020140087466A patent/KR102188499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06-26 US US14/752,814 patent/US946119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9053B1 (ko) | 2011-11-09 | 2013-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나노 로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013362A1 (en) | 2016-01-14 |
KR20160008028A (ko) | 2016-01-21 |
US9461199B2 (en) | 2016-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8499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2188497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1603207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 |
KR101554032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2022266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 |
KR102227771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2337405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2075985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2227770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1544772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 |
KR102188496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2244218B1 (ko) |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