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2819B1 - 용광로용, 내마모성 인서트를 갖는 구리 냉각 판 - Google Patents

용광로용, 내마모성 인서트를 갖는 구리 냉각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819B1
KR102142819B1 KR1020197014222A KR20197014222A KR102142819B1 KR 102142819 B1 KR102142819 B1 KR 102142819B1 KR 1020197014222 A KR1020197014222 A KR 1020197014222A KR 20197014222 A KR20197014222 A KR 20197014222A KR 102142819 B1 KR102142819 B1 KR 102142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oling plate
furnace
protrusion
rib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590A (ko
Inventor
블랑코 이그나시오 에레로
Original Assignee
아르셀러미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러미탈 filed Critical 아르셀러미탈
Publication of KR20190072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8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4Cool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C21B7/106Cooling of the furnac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Electric arc furnaces ;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e.g. dust-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hearth-type furnaces
    • F27B3/24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1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 F27D2009/0013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the fluid being water
    • F27D2009/0016Water-sp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4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passing a waterbox
    • F27D2009/0043Insert type waterbox, e.g. cylindrical or fla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45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passing a block, e.g. metallic
    • F27D2009/0048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passing a block, e.g. metallic incorporating conduits for the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51Cooling of furnaces comprising use of studs to transfer heat or retain the liner
    • F27D2009/0054Cooling of furnaces comprising use of studs to transfer heat or retain the liner adapted to retain formed br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광로에서 사용하기 위한 냉각 판 (1) 에 관한 것이다. 이 냉각 판 (1) 은, 서로 반대편의 제 1 말단부들 (6) 을 가지며 서로 반대편의 제 2 말단부들 (7) 을 갖는 그루브들 (5) 에 의해 분리된, 서로 평행한 리브들 (4-1, 4-2) 을 포함하는 내면 (3) 을 갖는 구리 보디 (2) 를 포함한다. 이 리브들 (4-1) 중의 적어도 하나는, 그의 제 1 말단부들 (6) 사이에 위치되며 이 리브 (4-1) 의 내마모성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는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9)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8)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광로용, 내마모성 인서트를 갖는 구리 냉각 판
본 발명은 용광로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용광로에 고정되는 냉각 판 (또는 스테이브 (stave)) 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용광로는 일반적으로 냉각 판들 (또는 스테이브들) 로 부분적으로 덮인 내벽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냉각 판들 (또는 스테이브들) 은 서로 또한 평행한 그루브들에 의해 분리되고 서로 평행한 리브들을 포함하는 내면 (또는 고온 면) 을 갖는 보디를 포함한다. 이 리브들 및 그루브들은 내화 라이닝 (벽돌 또는 거나이팅 (guniting)) 또는 용광로 내부의 부착물 층의 정착을 허용하도록 배치된다.
양호한 열 전도율을 제공하기 위해, 보디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때, 구리는 내마모성 재료가 아니기 때문에 리브는 조기 침식을 겪고 있다.
이러한 조기 침식을 피하기 위해, 특허문헌 EP 228599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루브 베이스 및 리브의 측벽에 대한 그루브 내에 강 피이스를 도입함으로써 리브의 경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강 피이스는 리브의 양호한 보호를 허용하고, 또한 스테이브 변형과 열적으로 양립 가능하기 대문에 스테이브가 자유롭게 팽창하고 변형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적절히 냉각되지 않고, 가스에 의해 씻어 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반대편의 제 1 말단부들을 가지며 서로 반대편의 제 2 말단부들을 갖는 그루브들에 의해 분리되는 서로 평행한 리브들을 포함하는 내면을 갖는 구리 보디를 포함하는 용광로에서 사용하기 위한 냉각 판 (또는 스테이브) 에 관한 것이다.
이 냉각 판 (또는 스테이브) 은, 그의 리브들 중 적어도 하나가, 그의 제 1 말단부들 사이에 위치되며 이 리브의 내마모성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는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각 판 (또는 스테이브) 은 개별적으로 고려되는 또는 모든 가능한 기술적 조합에 따른 다음의 선택적 특징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 내마모성 재료는 금속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 내마모성 재료는 내마모성 강 또는 주철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 내마모성 세라믹은 탄화규소, 압출된 탄화규소, 또는 양호한 내박리성 및 높은 경도를 갖는 다른 내화 재료일 수 있고;
- 제 1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하우징은 인서트를 포함하는 슬롯일 수 있고;
- 제 2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하우징은 인서트를 한정하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일 수 있고;
- 그루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말단부들 사이에 연장되며 인접 리브들의 내마모성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는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 다층 돌출부는 높은 열 전도율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제 1 층, 및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되고 제 1 층 위에 놓인 제 2 층을 포함할 수 있고;
Figure 112019050541896-pct00001
제 1 층의 재료는 고전도율 금속 구리 및 구리 합금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Figure 112019050541896-pct00002
각각의 다층 돌출부는 단일 그루브와 연관될 수 있고;
o 다층 돌출부는,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에 개재되며 다층 돌출부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 제 3 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Figure 112019050541896-pct00003
제 3 층은 SiC 또는 압출된 SiC 와 같은, 양호한 내박리성 및 높은 경도를 갖는 세라믹으로 제조될 수 있고;
Figure 112019050541896-pct00004
변형예에서, 각각의 다층 돌출부의 제 1 층 및 제 2 층은 2 개의 인접 그루브들과 각각 연관될 수 있고;
o 각각의 다층 돌출부의 제 1 층은, 제 2 말단부들 사이에 연장되며 이 제 1 층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 다른 인서트를 포함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Figure 112019050541896-pct00005
다른 인서트는 세라믹 또는 내마모성 및/또는 내열 강으로 제조될 수 있고;
- 구리 보디의 내면은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높이들을 갖는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고;
- 그루브들은 더브테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소개한 것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냉각 판을 포함하는 용광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으로 일례로서 이하에 주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판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판의 제 2 실시형태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냉각 판의 변형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판의 제 3 실시형태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판의 제 4 실시형태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판의 제 5 실시형태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특히, 용광로에 사용될 수 있는 냉각 판 (또는 스테이브) (1) 을 제안하고 증가된 내마모성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판 (또는 스테이브) (1) 의 일 실시형태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냉각 판 (또는 스테이브) (1) 은 용광로의 내벽에 장착되도록 의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판 (또는 스테이브) (1) 은 서로 평행한 여러 개의 리브들 (4-j) 을 포함하는 내면 (또는 고온 면) (3) 을 갖는 구리 보디 (2) 를 포함한다. 이 리브들 (4-j) 은 서로 반대편의 2 개의 제 1 말단부들 (6) 을 가지며, 서로 반대편의 2 개의 제 2 말단부들 (7) 을 갖는 그루브들 (5) 에 의해 분리된다. 일단 냉각 판 (1) 이 용광로 내벽에 장착되면, 그의 리브들 (4-j) 및 그루브들 (5) 은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구리 보디 (2) 는, 그 내면 (3) 에 반대되며 용광로 내벽에 고정되는 외면 (14) 을 포함한다. 따라서, 내면 (3) 은 용광로 내부에 존재하는 매우 고온의 물질 및 가스와 접촉할 수 있는 보디 면이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들 (5) 은 선택적인 다층 돌출부 (10) (후술함) 를 포함하지 않을 때 공정 생성 부가물 층 (15) 의 정착을 최적화하기 위해 더브테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리브들 (4-j) 및 그루브들 (5) 은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도 1 의 비제한적인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 보디 (2) 의 내면 (3) 은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높이 h1 및 h2 를 갖는 리브들 (4-j)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은 내화 벽돌 (15) 의 정착의 최적화를 허용한다. 도 1 의 예에서, 제 1 리브들 (4-1) (j = 1) 은 제 1 높이 h1 을 갖고, 제 1 리브들 (4-1) 사이에 규정된 제 2 리브들 (4-2) (j = 2) 은 제 1 높이 (h1) 보다 작은 제 2 높이 (h2) 룰 갖는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6 의 다른 실시형태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리 보디 (2) 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리브들 (4-1)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 보디 (2) 는 바람직하게는 냉각 유체가 흐르는 내부 채널 (16) 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들 (4-j) 중 적어도 하나는, 그의 제 1 말단부들 (6) 사이에 위치되며 리브 (4-j) 의 내마모성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는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9)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8) 을 포함한다.
리브 인서트들 (9) 덕분에, 리브들 (4-j) 의 내마모성이 현저히 증가하여, 재료 (즉,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의 조기 침식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제 1 리브들 (4-1) 만이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9)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8) 을 포함한다. 이는 제 2 리브들 (4-2) 의 제 2 높이 (h2) 가 하우징(들) (8) 의 정의를 허용하기에는 너무 작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서트 (9) 의 내마모성 재료는 금속 또는 세라믹일 수 있다. 이 내마모성 금속은 예컨대 강 또는 주철, 바람직하게는 내화성 그레이드 (예컨대, 화학 조성이, 중량% 로 표현된 함량으로: 0,3% ≤ C ≤ 0,5%, 1% ≤ Si ≤ 2,5%, 12 ≤ Cr ≤ 14%, Mn ≤ 1%, Ni ≤ 1%, P ≤ 0,04%, S ≤ 0,03% 및 Mo ≤ 0,5% 를 포함하는 GX40CrSi13 와 같은 내열 주조 강) 또는 고온에서 작업할 수 있는 내마모성 강일 수 있다. 내마모성 세라믹은 예컨대 탄화규소 (SiC), 압출된 탄화규소 (더 높은 열전도율), 또는 양호한 내박리성 및 높은 경도를 갖는 다른 내화 재료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 (4-j) 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8) 을 포함할 때, 각각의 하우징 (8) 은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9) 를 포함하는 슬롯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예에서 그러하다. 리브 (4-j) 가 그의 제 1 말단부들 (6) 사이에, 가능하게는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제 1 말단부 (6) 로부터 반대편 말단부 (6) 까지, 연장되는 단 하나의 슬롯 (8), 또는 그의 제 1 말단부들 (6)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축선을 따라, 규정된 적어도 2 개의 슬롯들 (8) 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각각의 슬롯 (8) 은 차례로 위치된 하나 이상의 인서트들 (9) 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 (8) 은 기계가공, 예를 들어 드릴 비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각각의 하우징 (8) 은 인서트 (9) 를 한정하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일 수 있다. 리브 (4-j) 가 그의 제 1 말단부들 (6) 사이에 규정되는 단 하나의 나사 구멍 (8), 또는 그의 제 1 말단부들 (6)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축선을 따라, 규정되는 적어도 2 개의 나사 구멍들 (8) 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의 나사 구멍 (8) 은 기계가공, 예를 들어 드릴 비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볼트들 (9) 을 보호하고 그 수를 줄이기 위해 구멍들 (8) 은 냉각 채널들 (16) 앞에 설치되고, 따라서 볼트들 (9) 은 냉각 채널들 앞에 설치된다. 이 경우, 볼트들 (9) 은 (스레드를 통해) 구리와 잘 연결될 뿐만 아니라 잘 냉각된다.
게다가,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 보디 (2) 의 그루브들 (5)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 리브들 (4-j) 의 내마모성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는 내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 (12) 을 포함하며 또한 제 2 말단부들 (7) 사이에 연장되는 다층 돌출부 (10) 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마지막 옵션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리브 (4-j) 는, 그의 제 1 말단부들 (6) 사이에 위치되며 내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9)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8) 을 포함하며,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그루브 (5) 는 그의 제 2 말단부들 (7) 사이에 연장되며 내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 (12) 을 포함하는 다층 돌출부 (10) 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그루브 (5) 내에 위치된) 다층 돌출부 (10) 덕분에, 하강 부담에 의해 스테이브에 가해지는 속도 및 압력이 상당히 감소되어, 그 재료 (즉,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및 스테이브 보디의 조기 침식을 방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돌출부는 낮은 재료 이동 영역을 생성하여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각 층 (12) 의 내마모성 재료는 인서트 (9) 의 내마모성 재료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서트 (9) 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또는 세라믹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그루브 (5) 가 다층 돌출부 (10) 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때, 다층 돌출부 (10) 는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제 1 층 (11), 및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되고 제 1 층 (11) 위에 놓인 제 2 층 (12) 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예에서 그러하다. 이전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됨) 와는 달리, 이 실시형태는 어떠한 기계가공 단계 없이 종래의 냉각 판의 적응을 허용한다.
열적 부하는 주로 상향 유동하는 고온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유래하기 때문에, 높은 열 전도율을 갖는 제 1 층 (11) 은 다층 돌출부 (10) 의 가장 낮은 위치에 놓여 열 실드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이 제 1 층 (11) 의 재료는 높은 전도율 금속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일 수 있다. 제 2 층 (12) 은 내마모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조기 침식으로부터 제 1 층을 보호하기 위해 제 1 층 (11) 위에 놓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제 2 층 (12) 은 내마모성 강, 주철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다층 돌출부 (10) 는 단일 그루브 (5) 에 관련될 수 있다. 환언하면, 각각의 다층 돌출부 (10) 의 일부가 단일 그루브 (5) 내에 위치되는 한편, 이 다층 돌출부 (10) 의 나머지 부분은 이 단일 그루브 (5) 를 넘어 연장된다.
이 경우, 각 다층 돌출부 (10) 는, 제 1 층 (11) 과 제 2 층 (12) 사이에 개재되며 전체 돌출부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매우 높은 경도를 갖는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진 제 3 층 (13)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의 예에서, 각각의 제 3 층 (13) 은 관련 그루브 (5) 의 베이스를 한정하는 내면 (3) 의 일부와 접촉하는 반면, 도 5 의 예에서, 각각의 제 3 층 (13) 은 아래에 놓인 제 1 층 (11) 의 돌출 부분에 의해 관련 그루브 (5) 의 베이스를 한정하는 내면 (3) 의 일부로부터 분리된다. 도 4 에 도시된 대안은 전방 측으로부터 스테이브에 설치될 수 있는 반면, 도 5 에 도시된 대안은 단지 그루브 내부에 측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후자 변형예의 이점은 부서지기 쉬운 세라믹 피이스가 조각들로 부서지는 경우에 세트의 안정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 3 층 (13) 은 SiC 또는 압출 SiC 와 같은 고경도 세라믹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떨어지는 재료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열팽창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냉각 판 굽힘과는 독립적이기 때문에,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각각의 다층 돌출부 (10) 의 제 1 층 (11) 및 제 2 층 (12) 은 각각 2 개의 인접 그루브 (5) 와 관련될 수 있다. 환언하면, 다층 돌출부 (10) 의 제 1 층 (11) 의 일부는 제 1 그루브 (5) 내에 위치되는 반면, 이 제 1 층 (11) 의 나머지 부분은 이 제 1 그루브 (5) 를 넘어 연장되고, 이 다층 돌출부 (10) 의 제 2 층 (12) 의 일부는 제 1 그루브 (5) 근처에 위치되는 제 2 그루브 (5) 내에 위치되는 반면, 제 2 층 (12) 의 나머지 부분은 제 2 그루브 (5) 를 넘어 연장된다. 따라서, 하측 부분의 제 1 층 (11) 은 구리 보디 (2) 를 향해 열부하를 받는 반면, 상부의 제 2 층 (12) 은 마모로부터 관련 제 1 층 (11) 을 보호한다.
이 경우, 도 6 의 비제한적인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다층 돌출부 (10) 의 제 1 층 (11) 은, 제 2 말단부들 (7) 사이에 연장되며 다른 인서트 (18) 를 포함하는 슬롯 (17) 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 (11) 에 매립된 이 다른 인서트 (18) 는 이 제 1 층 (11) 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도 6 의 비제한적인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17) 이 형성된 (또는 기계가공된) 제 1 층 (11) 의 면은, 가스를 바깥쪽으로 보내기 위해 그리고 돌출부 (10) 가 형성된 "포켓들" 내로 부담이 원활하게 흐르는 것을 돕기 위해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다른 슬롯 (17), 따라서 연관된 다른 인서트 (18) 가 더브테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각각의 다른 인서트 (18) 는 세라믹, 예컨대 SiC 또는 강 (내마모성, 내열성, 쌍방의 조합) 으로 제조될 수 있다. 층 (11) 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구현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슬롯 (17) 은 인서트 (18) 를 한정하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일 수 있다.
냉각 판 (1) 이 또한 다층 돌출부 (10) 를 포함하는 경우, 이 다층 돌출부 (10) 가 위치되는 그루브 (5) 가 용광로의 형상 및/또는 치수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예에서, 다층 돌출부 (10) 는 3 개의 그루브 (5) 마다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다층 돌출부 (10) 는 2 개 또는 4 개 또는 심지어 5 개의 그루브 (5) 마다 위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판 (1) 이 다층 돌출부들 (10) 을 포함하는 경우, 이 다층 돌출부들 (10) 을 포함하거나 다층 돌출부들 (10) 에 매립된 그루브들 (5) 을 한정하는 리브들 (4-j) 은, 이들이 이 다층 돌출부들 (10) 에 의해 이미 보호되기 때문에, 인서트(들) (9) 를 포함하는 하우징(들) (8) 을 실제로 포함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다층 돌출부 (10) 의 근처에 위치되지 않는 리브들 (4-j) 만이 인서트(들) (9) 를 포함하는 하우징(들) (8) 을 포함한다.

Claims (18)

  1. 용광로용 냉각 판 (1) 으로서,
    상기 냉각 판 (1) 은, 서로 평행한 리브들 (4-j) 을 포함하는 내면 (3) 을 갖는 구리 보디 (2) 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들은 서로 반대편의 제 1 말단부들 (6) 을 가지며, 서로 반대편의 제 2 말단부들 (7) 을 갖는 그루브들 (5) 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리브들 (4-j)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말단부들 (6)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8)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은 리브 (4-j) 의 내마모성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는 내마모성 세라믹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9) 를 포함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 세라믹은 탄화규소 또는 압출된 탄화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우징 (8) 은 인서트 (9) 를 포함하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우징 (8) 은 상기 인서트 (9) 를 한정하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7.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들 (5)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 리브들 (4-j) 의 내마모성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는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층 (12) 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말단부들 (7) 사이에 연장되는 다층 돌출부 (10) 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돌출부 (10) 는 열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제 1 층 (11), 및 상기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제 1 층 (11) 위에 놓인 제 2 층 (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11) 의 상기 열 전도성 재료는 고전도율 금속 구리 및 구리 합금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10.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층 돌출부 (10) 의 일부는 단일 그루브 (5) 내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다층 돌출부 (10) 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단일 그루브 (5) 를 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층 돌출부 (10) 는, 상기 제 1 층 (11) 과 상기 제 2 층 (1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다층 돌출부 (10) 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 제 3 층 (1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 (13) 은 SiC 또는 압출된 SiC 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13.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층 돌출부 (10) 의 제 1 층 (11) 의 일부는 제 1 그루브 내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 제 1 층 (11) 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 1 그루브를 넘어 연장되고,
    상기 다층 돌출부 (10) 의 제 2 층 (12) 의 일부는 제 1 그루브에 인접한 제 2 그루브 내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 제 2 층 (12) 의 나머지 부분은 제 2 그루브를 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층 돌출부 (10) 의 상기 제 1 층 (11) 은, 상기 제 2 말단부들 (7)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제 1 층 (11) 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 다른 인서트 (18) 를 포함하는 슬롯 (1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인서트 (18) 는 세라믹 또는 내마모성 및/또는 내열 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16.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보디 (2) 의 상기 내면 (3) 은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높이들을 갖는 리브들 (4-j)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17.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들 (5) 은 더브테일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냉각 판 (1).
  18. 용광로로서,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냉각 판 (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KR1020197014222A 2016-12-30 2016-12-30 용광로용, 내마모성 인서트를 갖는 구리 냉각 판 Active KR102142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6/058114 WO2018122590A1 (en) 2016-12-30 2016-12-30 Copper cooling plate with wear resistant inserts, for a blast furn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590A KR20190072590A (ko) 2019-06-25
KR102142819B1 true KR102142819B1 (ko) 2020-08-10

Family

ID=5798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222A Active KR102142819B1 (ko) 2016-12-30 2016-12-30 용광로용, 내마모성 인서트를 갖는 구리 냉각 판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150020B2 (ko)
EP (1) EP3562963B1 (ko)
JP (1) JP2020514527A (ko)
KR (1) KR102142819B1 (ko)
CN (1) CN110073007B (ko)
BR (1) BR112019008071B1 (ko)
CA (1) CA3044353C (ko)
ES (1) ES2899790T3 (ko)
MX (1) MX2019007832A (ko)
PL (1) PL3562963T3 (ko)
RU (1) RU2718775C1 (ko)
UA (1) UA123845C2 (ko)
WO (1) WO2018122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562963T3 (pl) * 2016-12-30 2022-03-14 Arcelormittal Miedziana płyta chłodząca dla wielkiego pieca z odpornymi na ścieranie wkładkam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3712A (ja) * 2002-11-29 2003-07-03 Jfe Engineering Kk 竪型冶金炉用の炉体構造部材
KR101229273B1 (ko) * 2011-07-28 2013-02-04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열전도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로 냉각반 및 그 제조방법
JP2014227564A (ja) *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Ihi ステーブクーラーおよびこのステーブクーラーを備えた高炉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3871A1 (fr) * 1980-11-07 1982-05-14 Usinor Plaques de refroidissement pour hauts fourneaux
JPH10130707A (ja) 1996-10-24 1998-05-19 Nippon Steel Corp ステーブクーラー
JP3397113B2 (ja) * 1997-12-26 2003-04-14 日本鋼管株式会社 竪型冶金炉用の炉体構造部材
RU2151195C1 (ru) * 1999-02-01 2000-06-20 ОАО "Новолипец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Плитовый холодильник дл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печей и охлаждающий змеевик плитового холодильника
FI117768B (fi) 2000-11-01 2007-02-15 Outokumpu Technology Oyj Jäähdytyselementti
CN1194104C (zh) 2003-01-09 2005-03-23 孙健 高导热铜钢复合铸造高炉冷却壁
LU91454B1 (en) * 2008-06-06 2009-12-07 Wurth Paul Sa Cooling plat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LU91494B1 (en) 2008-11-04 2010-05-05 Wurth Paul Sa Cooling plat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and its method of manufacturing
LU91551B1 (en) 2009-04-14 2010-10-15 Wurth Paul Sa Cooling plat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CN102612567A (zh) 2009-11-19 2012-07-25 新日本制铁株式会社 立式冷却壁、高炉及高炉的运转方法
LU91633B1 (en) 2009-12-18 2011-06-20 Wurth Paul Sa Cooling stav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JP5093420B2 (ja) 2010-02-23 2012-12-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ステーブおよび高炉
JP5691786B2 (ja) 2011-04-19 2015-04-0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ステーブ
LU92346B1 (en) 2013-12-27 2015-06-29 Wurth Paul Sa Stave cooler for a metallurgical furna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 stave cooler
KR101585810B1 (ko) 2014-12-22 2016-01-15 주식회사 포스코 노의 냉각장치
CN110088304B (zh) * 2016-12-30 2024-04-30 安赛乐米塔尔公司 用于高炉的具有包含耐磨材料的多层突出部的铜冷却板
PL3562963T3 (pl) * 2016-12-30 2022-03-14 Arcelormittal Miedziana płyta chłodząca dla wielkiego pieca z odpornymi na ścieranie wkładkam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3712A (ja) * 2002-11-29 2003-07-03 Jfe Engineering Kk 竪型冶金炉用の炉体構造部材
KR101229273B1 (ko) * 2011-07-28 2013-02-04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열전도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로 냉각반 및 그 제조방법
JP2014227564A (ja) *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Ihi ステーブクーラーおよびこのステーブクーラーを備えた高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68814A1 (en) 2019-12-05
EP3562963B1 (en) 2021-11-17
CA3044353C (en) 2022-06-21
ES2899790T3 (es) 2022-03-14
RU2718775C1 (ru) 2020-04-14
US11150020B2 (en) 2021-10-19
CN110073007A (zh) 2019-07-30
JP2020514527A (ja) 2020-05-21
CN110073007B (zh) 2022-03-11
EP3562963A1 (en) 2019-11-06
MX2019007832A (es) 2019-09-06
WO2018122590A1 (en) 2018-07-05
BR112019008071A2 (pt) 2019-07-02
CA3044353A1 (en) 2018-07-05
KR20190072590A (ko) 2019-06-25
PL3562963T3 (pl) 2022-03-14
UA123845C2 (uk) 2021-06-09
BR112019008071B1 (pt)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7352B2 (en) Wear resistant composite material, its application in cooling elements for a metallurgical furn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691786B2 (ja) ステーブ
JP4482276B2 (ja) 冷却エレメント
US20050218569A1 (en) Cooling plate for metallurgic furnaces
JP2010058155A (ja) セラミック複合部材
JP4762172B2 (ja) 自溶炉の炉体水冷構造
KR102142819B1 (ko) 용광로용, 내마모성 인서트를 갖는 구리 냉각 판
KR102111898B1 (ko) 고로용 내마모성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돌출부들을 가진 구리 냉각 플레이트
JP7214814B2 (ja) 溶鉱炉のための、耐摩耗性インサートを有する銅の冷却プレート
CN214470084U (zh) 用于冶金炉的壁板保护系统及冶金炉壁板体
CN113631727A (zh) 高炉的炉壁冷却用冷却壁
RU2263150C1 (ru) Доменная печь
JPH05271730A (ja) 熱応力緩和型傾斜機能材料を備えたステーブク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