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5810B1 - 노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노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810B1
KR101585810B1 KR1020140186096A KR20140186096A KR101585810B1 KR 101585810 B1 KR101585810 B1 KR 101585810B1 KR 1020140186096 A KR1020140186096 A KR 1020140186096A KR 20140186096 A KR20140186096 A KR 20140186096A KR 101585810 B1 KR101585810 B1 KR 101585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refractory
stave body
stave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일
최광
조명호
남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810B1/ko
Priority to JP2015233091A priority patent/JP624065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8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C21B7/103Detection of leakages of the cool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노의 냉각장치는 노의 내측에 배치되고, 일면이 상기 노의 철피에 접촉 또는 대면하게 배치되는 스테이브몸체;와, 상기 스테이브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라인;과, 상기 스테이브몸체에서 돌출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스테이브몸체의 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브몸체를 덮어 보호하게 제공되는 내화물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화물부는, 복수개의 상기 부재가 상기 스테이브몸체의 외주방향으로 서로 접촉하게 구비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기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의 냉각장치{Apparatus for cooling furnace}
본 발명은 노, 특히 고온의 환경에 노출된 노의 철피를 냉각하기 위한 노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통상의 고로(1)는 연료인 코크스와 원료인 철광석으로 구성된 장입물이 상부에서 낙하되고, 하부로는 풍구(미도시)를 통해 열풍을 불어넣어 장입물을 녹여 용선을 생산하는 설비이다.
고로(1)의 풍구를 통해 미분탄 뿐 아니라 고온의 열풍 및 가스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고로(1)는 지속적인 고온 환경에의 노출에 의하여 열 손상에 매우 취약한 설비이다.
이와 같은 고로(1)를 냉각하기 위하여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고로(1)의 철피(2)의 내측으로는 냉각을 위한 스테이브(6)가 설치된다.
스테이브(6)는 고온의 환경으로부터 철피(2)를 보호하기 위한 냉각시스템으로서, 내부에는 고로 철피(2)를 관통하는 냉각수 배관(5)이 구비되어 냉각수에 의한 냉각이 실시된다. 또한, 스테이브(6)의 전면에는 요철부가 구비되고, 그 요철부에는 내화물(3)을 끼워넣는다.
그런데 고로(1)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장입물(4)이 고로 내부에서 내화물(3)을 포함한 스테이브(6)의 전면에 직접적인 접촉을 반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테이브(6)의 손상은 불가피하게 된다.
즉, 내화물(3)과 스테이브(6)의 dove-tail 구조상 장입물(4)과 반복되는 접촉, 장입물(4)의 하중에 의한 응력 집중으로 인하여 스테이브(6) 전면의 내화물(3)이 조기에 파손되어 탈락되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로(1)의 냉각시스템은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되고, 내화물(3)의 파손으로 인하여 그 냉각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면서 고로(1) 자체에 열손상이 가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손상된 고로 전체를 교체하거나, 부분적인 교체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고로 교체에 소모되는 비용이 막대하고, 교체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고로 휴지가 불가피하게 되면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3860호(1999.05.13.등록)
본 발명은 선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노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노의 수명을 연장하여 관련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스테이브를 활용한 노, 특히 노의 철피의 냉각 효율성을 개선하여 고로의 열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장입물에 의한 하중 또는 충돌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 내구성이 강한 냉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노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노의 냉각장치는 노의 내측에 배치되고, 일면이 상기 노의 철피에 접촉 또는 대면하게 배치되는 스테이브몸체;와, 상기 스테이브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라인;과, 상기 스테이브몸체에서 돌출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스테이브몸체의 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브몸체를 덮어 보호하게 제공되는 내화물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화물부는, 복수개의 상기 부재가 상기 스테이브몸체의 외주방향으로 서로 접촉하게 구비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기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화물부의 재질은, 제1재질 및 제2재질로 구비되되, 상기 제1재질은 상기 제2재질보다 내마모성과 열팽창율이 크고, 상기 제2재질은 상기 제1재질보다 열팽창율이 작으며, 하나의 상기 부재는 상기 제1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부재에 접촉하며 이웃하는 부재는 상기 제2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테이브몸체가 상기 노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고,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부; 및 일정높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홈부의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그리하여 모서리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화물부는,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홈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가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테이브몸체에 체결되되, 제1재질을 포함하는 제1내화물부재; 및 제2재질을 포함하는 제2내화물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제1내화물부재 및 상기 제2내화물부재는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브몸체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스테이브몸체에서 상기 노의 원주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재질은, 비 카본(Carbon)계열로 제공되고, 상기 제2재질은, 카본(Carbon)계열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스테이브몸체에서 상기 노의 원주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제1내화물부재 및 상기 제2내화물부재는, 상기 노의 원주방향 및 높이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브몸체의 전면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의 지속적인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업의 안정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입물에 의한 반복적인 하중 또는 충돌에도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냉각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부분적인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제조원가를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고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노의 냉각장치의 스테이브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노의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노의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한편, 하기에서 기술하는 노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전기로, 가열로 등 가열 대상물을 가열하고 수용하는 통상의 수단을 의미한다. 다만, 하기에서는 간결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노를 고로로 지칭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노의 냉각장치는 노, 특히 고로의 내측에 배치되고, 일면이 상기 고로의 철피에 접촉 또는 대면하게 배치되는 스테이브몸체(10)와, 상기 스테이브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라인(20)과, 상기 스테이브몸체에서 돌출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부(30)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스테이브몸체의 타면에 고정되되, 서로 다른 재질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브몸체를 보호하게 제공되는 내화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화물부는 도 5에 보이는 것처럼, 스테이브몸체(10)가 고로(1)의 내측을 향하는 면 전체를 덮도록 구비되어, 스테이브몸체(10)를 고온의 열기로부터 보호한다. 그리하여, 스테이브몸체(10)가 고로 철피(2)의 내측에 대면하여 장시간 손상없이 고로 철피(2)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내화물부는 고로 내부로 낙하하는 장입물과 1차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스테이브몸체(10)가 장입물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스테이브몸체(10)의 손상을 지연시켜 내부의 냉각라인(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라인(20)은 배관의 형태로 제공되어 그 내부에는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으나, 물 이외에도 적절한 냉각수단이 당업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로(1)의 내벽은 용융 철에 의해 야기되는 부식 및 열 응력에 의해 야기되는 취화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는데, 상기 내화물부에 의해 스테이브몸체(10)가 보호되고, 그 내부의 냉각라인(20)이 보호되면서 고로(1)의 효율적인 냉각이 장시간 지속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라인(20)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냉각함으로써, 고로(1)의 열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내화물부는 반복되는 장입물의 낙하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응력 집중으로 인해 스테이브몸체(10)로부터 탈락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화물부와 스테이브몸체(10)의 결합부를 라운드(round)지게 형성하여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즉,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스테이브몸체(10)에서 상기 고로(1)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결합부(30)는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부(31) 및 일정높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홈부는 도 3에 보이는 것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상기 결합돌부(31) 및 상기 결합홈부(32)의 모서리의 형상이다. 즉, 결합돌부 모서리(31a)와 결합홈부 모서리(32a)는 일정한 r값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r값은 본 발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 및 사용환경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모서리가 적정 r값을 갖는 라운드 형상을 갖게 되면, 상기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돌부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돌부에 결합된 내화물부가 어느 정도 손상되어 스테이브몸체(10)로부터 일부 탈락되더라도, 장입물에 노출된 결합홈부 및 결합돌부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에 충돌하는 장입물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고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테이브몸체(10)에서 연속적으로 구비된 결합홈부(32) 및 결합돌부(31)의 일부 영역이 장입물에 노출되더라도, 노출된 부분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되면서 결합돌부(31) 및 결합홈부(32) 전체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부(31) 및 상기 결합홈부(32)에 결합된 내화물부 전체가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내화물부는 도 5에 보이는 것처럼, 상기 결합돌부(31) 및 상기 결합홈부(32)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부(41)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체결부(41)는 상기 결합홈부(32)에 끼워맞춤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돌기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체결부(41)가 상기 결합홈부(3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내화물부와 스테이브몸체(10)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화물부는 다면체로 구비되고, 제1재질을 포함하는 제1내화물부재(42) 및 제2재질을 포함하는 제2내화물부재(43)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브몸체(1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제1내화물부재(42) 및 제2내화물부재(43)에 의해 스테이브몸체(10)의 전면이 덮이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제1내화물부재(42)를 구성하는 상기 제1재질은 카본(Carbon)계열을 제외한, 즉, 비카본계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내화물부재(43)를 구성하는 상기 제2재질은 카본계열로 구비된다.
카본은 열전도성이 높아서 냉각에 효과적이고, 높은 온도에서도 잘 깨지지 않으며, 일정 구조물에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속응력이 좋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카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제1재질을 카본이 아닌, 비카본계열로 구비하여 내화물의 강도를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일예로, 선술한 제1재질인 비카본계열은 탄화규소(Silicon Carbide) 또는 알루미나로 구비할 수 있고, 제2재질은 카본계열인 흑연(Graphite) 또는 탄소(Carbon)로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나,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하기에서는 제1재질을 탄화규소(Silicon Carbide)로, 제2재질을 흑연(Graphite) 또는 탄소(Carbon)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선술한 탄화규소, 흑연, 탄소 재질을 포함하는 내화물은 고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열로부터 고로 철피와 스테이브몸체(10)를 보호하게 된다.
탄화규소는 내마모성이 강한 장점이 있으나, 구속된 상태에서 온도가 계속 상승하여 160도 정도에 이르게 되면 열팽창되어 파손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제2재질인 흑연(Graphite) 또는 탄소(Carbon)를 포함하는 제2내화물부재(43)로 하여금 상기 제1내화물부재(42)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상호 엇갈리게 배치한 것이다.
즉. 흑연(Graphite) 또는 탄소(Carbon)는 열전도성이 좋으며 온도 상승에 따른 팽창과 수축에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강하나 열전도성이 낮으며 열팽창에 취약한 탄화규소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구조물에 구속된 상태에서, 구속된 상태를 오래 유지하기 어려운 탄화규소의 단점을, 구속된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흑연(Graphite) 또는 탄소(Carbon)가 보완해주면서 내화물은 뛰어난 냉각효율과 내구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결합홈부(32)에 제1내화물부재(42)를 고정하고, 제2내화물부재(43)로 하여금 제1내화물부재(42)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1내화물부재(42)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제2내화물부재(43)를 접촉시키면, 제2내화물부재(43)가 사방에서 제1내화물부재(42)를 구속하게 되므로 제1내화물부재(42)의 부족한 구속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내화물부재(42)와 제2내화물부재(43)를 고로 내부에 배치함에 있어서, 제1내화물부재(42)를 고로의 원주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하고, 제1내화물부재(42)의 직하부에 제2내화물부재(43)를 고로의 원주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이는 제1내화물부재(42) 및 제2내화물부재(43)의 배치방향, 배치영역 등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으나, 중요한 것은 제1내화물부재(42)와 제2내화물부재(43)가 상호 엇갈리는 순서로 배치되어 상호 접촉되게 구성함으로써 부족한 물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2내화물부재(43)는 제1내화물부재(42)와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탄화규소의 열팽창에 따른 구속 응력을 해소하고, 뛰어난 열전도성에 의해 내화물의 온도를 빠르게 낮추게 된다. 따라서, 내화물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온도 상승에 따른 내화물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내화물부재(42)와 상기 제2내화물부재(43)는 고로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면 된다. 즉, 도 4에 보이는 것처럼 하나의 결합홈부(32)에서 제1내화물부재(42)와 제2내화물부재(43)를 엇갈리게 배치하고, 그 직하부의 결합홈부(32)에서도 제1내화물부재(42)와 제2내화물부재(43)를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5에 보이는 것처럼, 제1내화물부재(42)를 하나의 결합홈부(32)에 모두 체결하고, 그 직하부의 결합홈부(32)에는 제2내화물부재(43)를 모두 체결하여, 이를 반복함으로써 고로 전면을 덮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1,2내화물부재(42,43)가 고로(1)의 내측을 향하여 전면이 고르게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내화물부재의 높이를 동일하게 맞추는 것이 좋다. 그래야, 장입물의 불규칙한 낙하에 의해 한 곳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스테이브몸체(10)의 재질을 냉각능력이 우수한 구리(Cu) 재질로 제작하면 고로(1)의 냉각에 더욱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테이브몸체(10)의 일측에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관(21)을 설치하고 스테이브몸체(10)의 내부를 흐르게 한 뒤, 냉각수 배출관(22)으로 다시 배출되게 구비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면 고로(1)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 고로 10 : 스테이브몸체
20 : 냉각라인 30 : 결합부

Claims (7)

  1. 노의 내측에 배치되고, 일면이 상기 노의 철피에 접촉 또는 대면하게 배치되는 스테이브몸체;
    상기 스테이브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라인;
    상기 스테이브몸체에서 돌출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스테이브몸체의 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브몸체를 덮어 보호하게 제공되는 내화물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화물부는,
    복수개의 상기 부재가 상기 스테이브몸체의 외주방향으로 서로 접촉하게 구비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기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비되는 노의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부의 재질은,
    제1재질 및 제2재질로 구비되되, 상기 제1재질은 상기 제2재질보다 내마모성과 열팽창율이 크고, 상기 제2재질은 상기 제1재질보다 열팽창율이 작으며,
    하나의 상기 부재는 상기 제1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부재에 접촉하며 이웃하는 부재는 상기 제2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의 냉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테이브몸체가 상기 노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고,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부; 및
    일정높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홈부의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의 냉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부는,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홈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가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테이브몸체에 체결되되,
    제1재질을 포함하는 제1내화물부재; 및
    제2재질을 포함하는 제2내화물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제1내화물부재 및 상기 제2내화물부재는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브몸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의 냉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스테이브몸체에서 상기 노의 원주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의 냉각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질은,
    비 카본(Carbon)계열로 제공되고,
    상기 제2재질은,
    카본(Carbon)계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의 냉각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스테이브몸체에서 상기 노의 원주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제1내화물부재 및 상기 제2내화물부재는,
    상기 노의 원주방향 및 높이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브몸체의 전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의 냉각장치.
KR1020140186096A 2014-12-22 2014-12-22 노의 냉각장치 Active KR101585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96A KR101585810B1 (ko) 2014-12-22 2014-12-22 노의 냉각장치
JP2015233091A JP6240650B2 (ja) 2014-12-22 2015-11-30 炉の冷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96A KR101585810B1 (ko) 2014-12-22 2014-12-22 노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810B1 true KR101585810B1 (ko) 2016-01-15

Family

ID=5517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096A Active KR101585810B1 (ko) 2014-12-22 2014-12-22 노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40650B2 (ko)
KR (1) KR1015858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56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블록 구조체, 용기 및 블록 구조체의 시공 방법
WO2019022312A1 (ko) * 2017-07-24 2019-01-31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이의 보수방법
KR20190058153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포스코 처리 장치
KR20190075748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노체 보호 냉각 장치
KR20200130294A (ko) * 2018-03-15 2020-11-18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스테이브 보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4814B2 (ja) * 2016-12-30 2023-01-30 アルセロールミタル 溶鉱炉のための、耐摩耗性インサートを有する銅の冷却プレート
PL3562963T3 (pl) * 2016-12-30 2022-03-14 Arcelormittal Miedziana płyta chłodząca dla wielkiego pieca z odpornymi na ścieranie wkładkami
JP6658684B2 (ja) * 2017-06-29 2020-03-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冶金炉炉体冷却用ステーブ
EP4043589B1 (en) * 2018-03-15 2023-08-30 Primetals Technologies Limited Stave protec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917A (ja) * 1994-03-03 1995-09-19 Sumitomo Metal Ind Ltd 冶金用炉の炉体保護壁
KR200153860Y1 (ko) 1995-12-23 1999-08-02 이구택 고로 노체 냉각설비의 고로내 냉각수 유입검지장치
JP2012532991A (ja) * 2009-07-08 2012-12-20 ベリー メタル カンパニー フレーム及び煉瓦を構築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3527Y2 (ko) * 1971-09-21 1975-09-30
DE3925280A1 (de) * 1989-07-31 1991-02-07 Gutehoffnungshuette Man Fluessigkeitsdurchstroemtes kuehlelement fuer schachtoefen
JPH0820814A (ja) * 1994-07-06 1996-01-23 Nkk Corp 精錬炉の炉壁構造
JP2014173164A (ja) * 2013-03-12 2014-09-22 Ihi Corp ステーブクーラーおよびこのステーブクーラーを備えた高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917A (ja) * 1994-03-03 1995-09-19 Sumitomo Metal Ind Ltd 冶金用炉の炉体保護壁
KR200153860Y1 (ko) 1995-12-23 1999-08-02 이구택 고로 노체 냉각설비의 고로내 냉각수 유입검지장치
JP2012532991A (ja) * 2009-07-08 2012-12-20 ベリー メタル カンパニー フレーム及び煉瓦を構築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56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블록 구조체, 용기 및 블록 구조체의 시공 방법
WO2018105802A1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블록 구조체, 용기 및 블록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101870708B1 (ko) * 2016-12-05 2018-07-19 주식회사 포스코 블록 구조체, 용기 및 블록 구조체의 시공 방법
EP3550034A4 (en) * 2016-12-05 2019-12-18 Posco BLOCK STRUCTURE,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BLOCK STRUCTURE
WO2019022312A1 (ko) * 2017-07-24 2019-01-31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이의 보수방법
KR20190058153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포스코 처리 장치
WO2019103233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포스코 처리 장치
KR102083533B1 (ko) 2017-11-21 2020-03-02 주식회사 포스코 처리 장치
KR20190075748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노체 보호 냉각 장치
KR102075641B1 (ko) * 2017-12-21 2020-02-10 주식회사 포스코 노체 보호 냉각 장치
KR20200130294A (ko) * 2018-03-15 2020-11-18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스테이브 보호 시스템
KR102742079B1 (ko) * 2018-03-15 2024-12-16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스테이브 보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40650B2 (ja) 2017-11-29
JP2016118375A (ja)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810B1 (ko) 노의 냉각장치
KR101684985B1 (ko) 야금로용 스테이브 쿨러 및 스테이브 쿨러의 보호 방법
CN205205161U (zh) 一种强化传热的高炉冷却壁
CN216158287U (zh) 用于对块状材料进行热处理的机器及其密封系统
CN113738873A (zh) 用于对块状材料进行热处理的机器的密封系统
JP5752742B2 (ja) 竪型石灰焼成炉の冷却構造
US20200063224A1 (en) Block structure, contain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lock structure
KR101435079B1 (ko)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JP6917181B2 (ja) 高炉炉内旋回シュート
US1376617A (en) Portable back wall for open-hearth furnaces
JP2014173164A (ja) ステーブクーラーおよびこのステーブクーラーを備えた高炉
JP7147463B2 (ja) 高炉用冷却構造体及びそれを備えた高炉
KR101585808B1 (ko) 스테이브와 이의 마모 지연 방법
CN103966466A (zh) 钛渣电炉水冷炉盖
CN222499197U (zh) 一种布置有燕尾槽的高炉冷却壁及高炉
CN221217820U (zh) 冷却壁结构
US3073264A (en) Furnace roof suspended by interconnected brick hanger extensions
CN215162858U (zh) 耐磨型铜冷却壁
CN107236838A (zh) 一种高炉冷却装置
KR102273074B1 (ko) 용융로 내화물 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로
WO2019099097A8 (en) Wear resistant single penetration stave coolers
CN112831620B (zh) 一种冷却壁结构
KR102064605B1 (ko)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고열로의 관찰창
RU2263150C1 (ru) Доменная печь
KR102083533B1 (ko)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